반응형

【 옥내 소화전 설비】

▣ 화재 초기에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소화전에 비치되어 있는 호스 및 노즐을 이용하여 소화를 하는 설비

1. 옥내 소화전 설비 표시등의 설치기준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 부터 15 [°] 이상의 범위 안

       에서 10 [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② 가압송수장치의 기둥을 표시하는 표시등은 옥내소화전함의 상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하되 적색등으로 할 것. 다만,

       자체소방대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경우 가압송수장치의 기둥표시등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옥내소화전설비의 제어반

  ① 감시제어반

    ▣ 소화설비용 수신반으로서 제어기능이 있는 것

  ② 동력제어반

    ▣ MCC (Motor Control Center) 패널을 말하며, 각종 동력장치의 제어기능이 있는 것

3. 옥내소화전설비의 상용전원회로 배선의 설치기준

  ① 저압수전인 경우에는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하여야 하며, 전용의 전선관에 보호되도록 할 것

  ② 특별고압수전 또는 고압수전일 경우에는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하되,

       상용전원의 상시공급에 지장이 없을 경우에는 주차단기 2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할 것

4. 옥내소화전설비의 비상전원

  가. 비상전원의 종류 :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

  나. 설치기준

    ① 점검에 편리하고 하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② 옥내소화전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할 것

    ③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④ 비상전원(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 축전지 제외)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이 경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외의 것 (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을 두어서는

        아니된다.

    ⑤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5. 비상전원의 설치 제외

   ① 2 이상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는 경우

   ② 하나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때에는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용

        전원을 설치하는 경우

   ③ 가압수조방식을 채용한 경우

6. 옥내소화전설비 감시제어반의 기능

   ① 각 펌프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음향경보기능이 있어야 할 것

   ② 각 펌프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중단시킬 수 있어야 할 것

   ③ 비상전원을 설치한 경우에는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

   ④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가 저수위로 될 때 표시등 및 음향으로 경보할 것

   ⑤ 각 확인회로 (기동용수압개폐장치의 압력스위치회로 ·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의 감시회로를 말한다)마다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을 할 수 있어야 할 것

   ⑥ 예비전원이 확보되고 예비전원의 적합여부를 시험할 수 있어야 할 것

【 출제 예상 문제 】

1. 옥내 소화전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비상전원의 종류 2가지를 쓰시오.

      ▣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

  나. 비상전원의 설치기준 5가지를 쓰시오.

    ①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

    ② 옥내소화전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을 것

    ③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

    ④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 구획하여야 하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장비외의

         것을 두지 말 것 (단, 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

    ⑤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2. 다음 표는 설비별 비상전원의 종류이다. 해당되는 비상전원에 ○ 표시를 하시오.

설비명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비상전원수전설비
전기저장장치
옥내소화전설비,
제연설비
o
o
o
비상콘센트설비
o
o
o
스프링클러설비
o
o
o
o

3. 다음은 옥내 소화전설비 감시제어반의 기능에 대한 적합기준이다. ( )안을 완성하시오.

   가. 각 펌프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① 표시등) 및 (② 음향경보) 기능이 있어야 할 것

   나.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가 (③ 저수위)로 될 때 표시등 및 음향으로 경보할 것

   다. 각 확인회로(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압력스위치회로 ·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의 감시회로를 말한다) 마다 (④ 도통시

         험) 및 (⑤ 작동 ) 시험을 할 수 있어야 할 것

4. 옥내소화전설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 부터 몇 도 이상의 범위 안에

     서 몇 [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하는지 그림의 ( ) 안을 완성하시오.

 

5. 옥내소화전설비에서 비상전원의 설치를 제외할 수 있는 경우 3가지를 쓰시오.

   ① 2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는 경우

   ② 하나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사용전원

        을 설치한 경우

   ③ 가압수조방식을 채용한 경우

6. 다음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전원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가. 저압수전인 경우에는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 전용 )배선으로 하여야 한다.

   나. 옥내 소화전설비의 비상전원은 ( ① 자가발전설비) 또는 (②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 비상전원은 해당

         옥내소화전설비를 유효하게 (③ 20) 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7. 옥내소화전설비의 상용전원회로의 배선은 다음의 경우에 어디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하는지를 설명하시오.

   가. 저압수전인 경우 : 인입개폐기 직후에서

   나. 특고압 수전 또는 고압수전인 경우 :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에서

#옥내소화전설비 #감시제어반 #MCC #저압수전 #고압수전 #특고압수전 #비상전원

#상용전원 #기동표시등 #변전소 #예비전원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반응형
반응형

 

♠ 345[kV] 변전소의 단선 결선도

 

 ▣ 도면과 같이 345 [kV] 변전소의 단선도와 변전소에 사용되는 주요 제원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도면의 345 [kV] 측 모선방식은 어떤 모선방식인가 ?

  (2) 도면에서 ① 번 기기의 설치 목적은 무엇인가 ?

  (3) 도면에 주어진 제원을 참조하여 주변압기에 대한 등가 %임피던스(%ZH, %ZM,

      %ZL)를 구하고 ② 번 23[kV] VCB의 차단용량을 계산하시오. 단, 그림과 같은 임피던스 회로는

      100[MVA] 기준이다.

 
임피던스 맵

  (4) 도면의 345[kV] GCB에 내장된 BCT의 오차계급은 C800이다. 부담은 몇 [VA]인가 ?

  (5) 도면의 ③번 차단기의 설치목적을 설명하시오.

  (6) 도면의 주변압기 1 Bank(단상 × 3대)을 증설하여 병렬 운전시키고자 한다.

       이 때 병렬운전 조건 4가지를 쓰시오.

 

[주변압기]

  단권변압기 345[kV]/154[kV]/23[kV] (Y-Y-△), 166.7[MVA] × 3대 ≒500 [MVA]

  OLTC부 %임피던스 (500[MVA] 기준) : 1차 ~ 2차 : 10 [%]

                                                   2차 ~ 3차 : 67 [%]

                                                   3차 ~ 1차 : 78 [%]

[차단기]

  362 [kV] GCB 25 [GVA] 4,000[A] ~ 2,000[A]

  170 [kV] GCB 15 [GVA] 4,000[A] ~ 2,000[A]

  25.8 [kV] VCB ( )[MVA] 2,500 [A] ~ 1,200 [A]

 

[단로기]

  362 [kV] DS 4,000[A] ~ 2,000[A]

  170 [kV] DS 4,000[A] ~ 2,000[A]

  25.8 [kV] DS 2,500 [A] ~ 1,200 [A]

 

[피뢰기]

  288[kV] LA 10 [kA]

  144[kV] LA 10 [kA]

  21[kV] LA 10[kA]

 

[분로 리액터]

  23[kV] sh. R 30[MVAR]

 

[주모선]

  Al-Tube 200φ

 

【문제풀이 참고사항】

  ▣ T-BUS (Transfer Bus 보조모선) : 1,2번 모선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무정전으로

      공급하기 위한 차단장치

  ▣ BCT (Bushing Circent Transformer)

  ▣ C100 (ANSI 규격) : 계전기용 오차계급으로 2차 단자에 1차 정격전류 5[A]의

      20배의 전류 (100[A])가 흐를 때 2차 단자전압이 100[V]이고 허용오차는 ± 10[%] 미만이어야 한다.

  ▣ 오차계급 : C100, C200, C400, C800

     ⊙ 25 VA 5P 20 (IEC BS 규격)

        ◈ 25 : 부담,

       ◈ 5 : Class (과전류 정수20에서의 오차)

       ◈ 20 : 과전류 정수 (최고 사고 전류 : 정격전류)

 

[답안작성]

 

(1) 도면의 345 [kV] 측 모선방식은 어떤 모선방식인가 ?

    ▣ 2중 모선방식의 1.5 차단방식

(2) 도면에서 ① 번 기기의 설치 목적은 무엇인가 ?

   ▣ Sh. R (분로(병렬)리액터) : 페란티 현상 방지

     <리액터의 종류>

       ⊙ 직렬 리액터 : 제5고조파 제거

       ⊙ 병렬(분로)리액터, : 페란티 현상 방지

       ⊙ 소호리액터 : 지락전류 제한

       ⊙ 한류리액터 : 단락전류 제한

 

(3) 도면에 주어진 제원을 참조하여 주변압기에 대한 등가 %임피던스(%ZH, %ZM,

     %ZL)를 구하고 ② 번 23[kV] VCB의 차단용량을 계산하시오. 단, 그림과 같은 임피

     던스 회로는 100[MVA] 기준이다.

 

        ③ 23[kV] VCB 차단용량 등가회로

 

        ※ 등가회로를 간소화 하면 다음과 같다.

 

         ④ 23[kV] 설치점까지의 합성 %임피던스를 산정하면

 

  (4) 도면의 345[kV] GCB에 내장된 BCT의 오차계급은 C800이다. 부담은 몇 [VA]인가 ?

      ▣ 오차계급 C800은 2차 전류 5[A]의 20배 전류 즉, 100[A]가 흐를 때 전압이

          100[V] 이므로 V=IZ, Z=V/I 이므로 임피던스는 8[Ω]이 된다.

 

  (5) 도면의 ③번 차단기의 설치목적을 설명하시오.

      ▣ 모선 절체(전환) : 무정전으로 점검하기 위해

  (6) 도면의 주변압기 1 Bank(단상 × 3대)을 증설하여 병렬 운전시키고자 한다.

      이 때 병렬운전 조건 4가지를 쓰시오.

    ① 극성이 같을 것      ② 권수비가 같을 것        ③ 각 변압기의 임피던스 전압이 같을 것

    ④ 각 변압기의 내부저항과 누설리액턴스의 비가 같을 것

 

[참고사항]

 ▣ 계전기용 오차계급 C800 의미

    ① C : 변류기 Type C형 (Calculating Type)

    ② 800 : 2차 단자전압 ( V = I × Z × n)

              (2차 정격전류의 20배 전류가 즉 5 × 20 = 100[A] 가 흐를 때 나타나는 전압)

 ▣ 부담 (Burden)

    ① 변류기의 2차측 단자 혹은 3차측 단자에 접속되는 부하 임피던스

       (변류기 2차측 단자에 연결되는 모든 부하는 직렬로 연결됨)

    ② 변류기에 정격 2차 전류를 흘렸을 때 부하 임피던스에서 소비되는 피상전력

        부담 [VA] = I2Z = (정격 2차전류)2 × 임피던스

표기
임피던스
CT 2차 단자전압
정격부담
용도
C800
8.0 [Ω]
20 × 5 × 8 =800 [V]
5 × 5 × 8 = 200 [VA]
계전기용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