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벨트의 안전 장치

  ⊙ 밸트의 이음쇠는 동기가 없는 구조로 한다.

  ⊙ 벨트가 돌아가는 부분에은 커버, 울타리 등을 한다.

  ⊙ 바닥에서 2m 이내에 있는 벨트로서 통행 중 접근할 염려가 있는 것은 둘러 싸거나 안전 울타리를 한다.

  ⊙ 통로나 작업 장소 위에 있는 벨트로서 측 거리 3m 이상, 너비 15 ㎝ 이상, 속도 1m/s 의 경우는 불시 단절로 인한

       재해 방지를 위해 낙하 방지 장치를 해야 한다.

▣ 통행로에 설치된 계단 고려사항

   ⊙ 기계와 다른 시설물 사이의 통행로 폭은 80 ㎝ 이상으로 할 것

   ⊙ 통행로 위의 높이 2m 이하에는 장애물이 없을 것

   ⊙ 각 계단의 간격과 너비는 동일하게 할 것

   ⊙ 높이 3m를 초과할 때에는 높이 3m 이내 마다 계단참을 설치할 것

   ⊙ 적어도 한쪽에는 손잡이를 설치할 것

▣ 가죽 안전화의 손상 방지 대책

   ⊙ '탄닌' 무두질 가죽에는 산화철(녹)의 접촉을 피한다.

   ⊙ 가성소다의 침투를 방지한다. (가성소다 함유 절삭유 등)

   ⊙ 땀에 젖은 안전화는 즉시 말린다.

   ⊙ 젖은 안전화는 그늘에서 말리고 완전히 마르기 전에 구두약을 칠해 둔다.

▣ 장갑

  ⊙ 날물, 공구, 가동품 등 회전하는 기계작업, 목공 작업 등을 할 때는 장갑을 끼지 말아야 한다. 특히, 손가락으로 하는

       작업 (드릴링 머신, 프레스, 목공용 수동 대패, 기계 대패, 수평 둥근톱, 대톱)에서는 장갑을 끼는 것이 재해의 원인이

        된다.

  ⊙ 손이나 손가락이 상하기 쉬운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에 대하여 적당한 장갑, 토시, 손가락 없는 장갑을 사용하여야

       한다.

  ⊙ 용접 작업시는 가죽 장갑을 착용한다.

1. 다음 중 물적 방화 대책이 아닌 것은 ?

   ① 비상구 설치      ② 방화벽 설치      ③ 위험물 사용 금지         ④ 화재 경보기 정비

2. 유류 화재시 다음의 소화설비 중 부적당한 것은 ?

   ① 이산화탄소        ② 가마니          ③ 모래          ④ 물

3. 화재에 대한 방화 조치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

   ① 화기는 정해진 장소에서 취급한다.              ② 유류 취급 장소에는 방화수를 준비한다.

   ③ 흡연은 정해진 장소에서만 한다.                  ④ 기름 걸레 등은 정해진 용기에 보관한다.

[해설] 기름 화재시 물(방화수)은 오히려 불을 더 크게 만들어 증발 증기에 대한 위험이 증가한다.

4. 소화설비에 적용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① 작업의 성질        ② 화재의 성질        ③ 폭발의 성질          ④ 작업의 상태

5. 다음은 소화기 외의 소화 재료이다.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모래         ② 흙           ③ 석회           ④ 시멘트

6. 폭발 인화성 위험물 취급시 주의할 사항 중 잘못된 것은 ?

  ① 위험물은 취급자 외에 취급해서는 안된다.                          ② 위험물 부근에서는 화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③ 위험물은 습기가 없고 양지 바르고 온도가 높은 곳에 둔다. 

  ④ 위험물이 든 용기에 충격을 주거나 난폭하게 취급해서는 안된다.

7. 다음 중 A급 화재에 해당되는 것은 ?

  ① 금속화재          ② 고체 연료 화재      ③ 전기 장치의 화재     ④ 유지류, 알코올, 석유 제품에 의한 화재

[해설] ㉠ A급 화재 : 일반화재 - 재를 남기는 화재로서 나무, 종이, 섬유로 인한 화재

          ㉡ B급 화재 : 유류화재 -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로 유류, 가스 등의 액체나 기체 등 화재

          ㉢ C급 화재 : 전기화재 - 전기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수해의 설비, 전선의 화재 등

          ㉣ D급 화재 : 금속화재로 다른 화재에 비해 발생 정도가 높지는 않으며 자연화재, 분진 폭발 등

8. 전기화재 소화시 가장 좋은 소화기는 ?

   ① 분말 소화기        ② 포말 소화기         ③ CO2 소화기           ④ 모래

9. 포말 소화기의 사출 거리는 ?

   ① 1 ~ 6 m       ② 6 ~ 12 m          ③ 12 ~ 18 m           ④ 18 ~ 24 m

[해설] 포말 소화기는 중탄산소다가 주성분이며 유류, 종이 등 일반 화재에 적당하다.

[정답]    1. ③       2. ④      3. ②        4. ④        5. ①       6. ③        7. ②         8. ③         9. ②

10. 방화 대책으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

   ① 화재 경보기 · 소화기        ② 비상구 · 방화사         ③ 스위치 판            ④ 방화벽 · 스프링클러

11. 연료의 저장 시 자연 발화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것은 ?

   ① 증유          ② 경유          ③ 유연탄              ④ 무연탄

12. 화상을 당했을 때의 응급조치로서 가장 적당한 방법은 ?

   ① 곧 위생 붕대로 환부를 감는다.                                  ② 즉시 머큐롬을 바른다.

   ③ 즉시 찬물에 담갔다가 아연화 연고를 바른다.            ④ 곧 잉크를 바른다.

13. 다음중 응급조치의 일반적인 주의 사항 중 잘못된 것은 ?

    ① 부상자는 따뜻하게 하여 체온 보존이 되도록 한다.

    ② 의식 불명자에게는 찬물을 먹인다.

    ③ 극히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가급적 환자를 움직이게 하지 않는다.

    ④ 환자를 안정시킨다.

14. 머리의 부상이 심할 때의 응급 치료에 있어서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

  ① 머리를 아주 높게 해준다.                 ② 머리를 낮게 해준다.

  ③ 수평 상태로 둔다.                             ④ 머리를 약간 높이 들어 준다.

15. 상처를 입었을 때 전 혈액량의 얼마를 흘리면 사망을 하는가 ?

   ① 1/2             ② 1/3                 ③ 1/4                    ④ 1/5

16. 몸 표면에 화상을 입었을 때 얼마 이상이면 생명이 위험한가 ?

   ① 1/2             ②1/3               ③ 1/4               ④ 1/5

17. 200 V 3상 6 HP 전동기의 표준 용량은 ?

   ① 20 A            ② 30 A               ③ 40 A             ④ 50 A

[해설] 퓨즈는 주석, 납의 합금으로 정격 전류의 2배 이상이면 끊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P = EI 에서 I = P/E

                 P = 0.746 kW × 6 = 4.476 kW

                 E = 200 V, I = P/E = 4,476 / 200 = 22 A

                   ∴ 22 × 2배 = 44A

18. 다음중 전기기기의 방폭 구조 형태가 아닌 것은 ?

   ① 내압 방폭구조          ② 안전증 방폭 구조           ③ 특수방폭구조           ④ 자동방폭구조

[정답]    10. ③         11. ③       12. ③         13. ②      14. ④       15. ①      16. ②       17. ③        18. ④

19. 코드와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 기계 · 기구 중 노출된 비충전 금속체에 접지를 하여야 하는 것이 아닌 것은 ?

     ① 전동 기계 · 기구                                                    ② 사용전압이 대지전압 75 V인 것

     ③ 냉장고 · 세탁기 등의고정형 전기 기계 · 기구       ④ 물을 사용하는 전기 기계 · 기구, 비전비형 콘센트

[해설] 전기 기계 · 기구의 접지

   ⊙ 사용전압이 대지전압 150 V를 넘는 것

   ⊙ 냉장고 · 세탁기 ·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과 같은 고정형 전기 기계 · 기구

   ⊙ 고정형 · 이동형 또는 휴대용 전동 기계 · 기구

   ⊙ 물 또는 도전성 (導電性)이 높은 곳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계 · 기구, 비접지형 콘센트

   ⊙ 휴대형 손전등

20. 전기 스파크가 발생하면 공기 중에 무엇이 생기는가 ?

   ① 수소         ② 이산화탄소          ③ 질소                     ④ 오존

21. 다음 중 누전 차단기의 사용목적이 아닌 것은 ?

   ① 단선 방지                                    ② 감전으로 부터 보호

   ③ 누전으로 인한 화재 예방            ④ 전기설비 및 전기 기기의 보호

22. 인체에 흐르면 치명적으로 사망하게 되는 전류 값은 얼마인가 ?

   ① 10 mA            ② 20 mA           ③ 50 mA                 ④ 100 mA

[해설] 10 mA는 조금 고통을 느끼는 정도이고, 20 mA는 심한 고통을 느끼며 자기 의사대로 행동이 안되고 근육 수축이

           오며, 50mA 감전시 사망할 위험이 상당히 크다.

           여기서, 1mA = 1/1,000 A이며 인체의 저항은 아주 커서 1.2 ~ 3 kΩ 까지 이므로 사람에 따라 같은 전기라도 감전

            감도가 다르다.

23. 50,000V 가 흐르는 전선에서는 몇 m 까지 감전되는가 ?

   ① 0.5 m           ② 1.0 m              ③ 2.0 m                ④ 3.5 m

[해설] 5,000 V 이하에서는 0.3 m, 50,000V에서는 1m 이내에서도 감전된다.

24. 전기 기계 · 기구의 조작 부분을 점검하거나 보수하는 경우에는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전기 기계 · 기구로 부터

       폭은 몇 센티미터 (㎝) 이상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가 ?

    ① 30 ㎝                 ② 50 ㎝                ③ 70 ㎝                        ④ 100 ㎝

[해설] 전기 기계 · 기구의 조작 시 등의 안전조치 : 전기 기계 · 기구의 조작 부분을 점검하거나 보수하는 경우에는 안전

           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전기 기계 · 기구로 부터 폭 70 ㎝ 이상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단, 작업공간을 확보

            하는 것이 곤란하여 근로자에게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정답]    19. ②           20. ④            21. ①           22. ③           23. ②            24. ③

25. 인체에 전류가 10 ~ 15 mA 정도 흘러 근육이 수축되고 신경의 마비가 오는 전류 상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① 마비 한계 전류          ② 고통 한계 전류          ③ 최소 간지 전류            ④ 심실 세통 전류

26. 나이프 스위치를 개폐하는데 알맞은 것은 ?

   ① 오니손으로 빨리 한다.                                    ② 오른손으로 빨리 한다.

   ③ 왼손이나, 오른손 어느 쪽이라도 좋다.           ④ 막대기로 빨리 한다.

27. 다음 중 단순 골절일 때의 주의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

  ① 골절부를 움직여 뼈를 맞춘다.                ②피해자를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③ 빨리 의사를 부른다.                                ④ 부목 처리부는 30분 마다 검사한다.

28. 산업안전 보건 표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① 안내 표지        ② 주의 표지           ③ 경고 표지                 ④ 지시 표지

[해설] 산업 안전 보건 표지는 크게 금지, 지시, 경고, 안내 표지로 구분한다.

29. 산업 안전 보건 표지 중 지시 표지의 색체로 옳은 것은 ?

  ① 바탕 - 흰색, 관련 그림 - 녹색                       ② 바탕 - 녹색, 관련 그림 - 흰색

  ③ 바탕 - 파란색, 관련 그림 - 흰색                    ④ 바탕 - 흰색, 관련 그림 - 빨간색

[해설] 안전 보건 표지의 종류별 용도 · 설치 · 부착 장소, 형태 및 색채

지시표지
설치
부착
장소
형태 및
색채
보안경
착용
보안경을 착용해야만 작업
또는 출입할 수 있는 장소
그라인더 작업장
입구
바탕은 파란색,
관련 그림은 흰색
방독
마스크
착용
방독 마스크를 착용해야만
출입할 수 있는 장소
유해물질 작업장
입구
방진
마스크
착용
방진 마스크를 착용해야만
작업 또는 출입할 수 있는 장소
분진이 많은 곳
보안면
착용
보안면을 착용해야만 작업
또는 출입할 수 있는 장소
용접실
입구

30. 다음 그림과 같은 "수리중"의 표식판 색깔은 ?

 
 

  ① 녹색 바탕에 빨간 글씨       ② 흰 바탕에 흰 글씨      ③ 청색 바탕에 흰 글씨        ④ 빨간 바탕에 청색 글씨

31. 기중기의 주요 부분이나 작업장의 위험표시, 또는 위험이 게재된 기둥 지주, 난간 및 계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색은

       어느 것인가 ?

     ① 황색과 보라색           ② 적색           ③ 흑색과 백색             ④ 녹색

[정답]    25. ①       26. ④         27. ①         28. ②        29. ③         30. ③           31. ①

32. 바닥에 통로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색깔은 어느 색인가 ?

   ① 적색            ② 흑색            ③ 황색               ④ 백색

33. 안전 색채의 선택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① 순백색을 사용한다.                       ② 자극이 강한 색은 피한다.

  ③ 안정감을 내도록 한다.                   ④ 밝고 차분한 색을 선택한다.

[해설] 작업장의 안전 색채 선택시 순백색은 피한다.

34. 작업자의 통로 구획 표시에 쓰이는 색깔은 무엇인가 ?

   ① 흑색               ② 녹색                ③ 적색                    ④ 백색

​ 

[해설] 통로 구획은 백색 실선으로 표시한다. 황색을 쓰는 경우도 있다.

35. 작업장의 벽에는 어는 색이 좋은가 ?

   ① 연초록색             ② 노란색                ③ 파란색                ④ 검은색

[해설] 작업장의 색은 경우에 따라 다르나 다음 기준에 맞추는 것이 좋다.

      ㉠ 벽 : 황색, 상아색, 연초록색

      ㉡ 천장 : 흰색

      ㉢ 기계 : 플레임에는 회색 또는 녹색, 중요한 부분에는 밝은 회색

36. 안전표지 중 응급 치료소, 응급 처치용 장비를 표시하는 색은 ?

      ① 적색            ② 백색              ③ 녹색                  ④ 흑색

[해설] 녹색 : 안전 위생 표식

37. 공사중이거나 번잡한 곳의 출구를 표시한 안전등의 빛갈은 무엇인가 ?

   ① 빨간             노랑                 ③ 초록                      ④ 자주색

[해설] 노란색이 주의를 잘 끈다.

38. 사람의 시각을 가장 강하게 자극하고 긴장과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되는 색은 ?

   ① 흰색              ② 적색              ③ 보라색                  ④ 녹색

[해설] 적색 : 유해 · 위험 경고를 나타내는 색으로 작업장에서 전기 유해 가스 및 위험한 물건이 있는 곳을 식별하기 위한

                     색이다.

39. 색을 식별하는 작업장의 조명색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황색            ② 황적색                ③ 황녹색                   ④ 주광색

[해설] 물건을 정확하게 보기 위해서는 ①, ②, ③의 광원색이 좋으나, 색의 식별은 주광색 (晝光色)이 좋다.

40. 고압가스 충전 용기를 차량에 적재, 운반할 때 당해 차량의 전후 보기 쉬운 곳에 "위험가스"라는 경계 표시는 무슨 색

      으로 써야 되는가 ?

    ① 청색                 ② 노란색               ③ 검은 색               ④ 적색

[정답]   32. ④      33. ①        34. ④       35. ①         36. ③         37. ②        38. ②       39. ④          40. ④

41. 보건 표지의 색채에서 바탕은 노란색이고 기본 모형, 관련 부호 및 그림은 검은색으로 되어 있는 표지판은 무슨 표지인

       가 ?

   ① 금지 표지          ② 경고 표지           ③ 지시 표지              ④ 안내 표지

42. 유기 용제 구분의 표시사항이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제1종 유기 용제 : 적색       ② 제2종 유기 용제 : 황색        ③ 제3종 유기 용제 : 청색       ④ 제4종 유기 용제 : 흑색

43. 근로자가 상시 정밀 작업을 하는 장소의 작업면 조도는 몇 럭스(lx) 상이어야 하는가 ?

    ① 75 lx            ② 150 lx              ③ 300 lx                 ④ 750 lx

[해설] 상시 작업하는 장소의 작업면 조도 (照度)

   ㉠ 초정밀 작업 : 750 [lx] 이상                    ㉡ 정밀 작업 : 300 [lx] 이상

   ㉢ 보통 작업 : 150 [lx] 이상                        ㉣ 그밖의 작업 : 75 [lx] 이상

44. 채광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채광에는 창의 모양이 가로로 넓은 것보다 세로로 긴 것이 좋다.

   ② 지붕창은 환기에는 좋으나 채광에는 좋지 않다.

   ③ 북향의 창은 직사일광은 들어오지 않으나 연중 평균 밝기를 얻는다.

   ④ 자연 채광은 인공 조명보다 평균 밝기의 유지가 어렵다.

[해설] 지붕창이 보통 창보다 3배의 채광 효과가 있다.

45. 작업장에 조명을 하는데 필요한 조건으로 잘못된 것은 ?

  ① 광원이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② 작업 성질에 따라 빛의 질이 적당하여야 한다.

  ③ 작업 장소와 그 주위의 밝기의 차이가 커야 한다.  ④ 작업 장소와 바닥 등에 너무 짙게 그림자를 만들지 않아야 한다.

[해설] 작업 장소와 그 주위의 밝기는 같아야 한다.

46. 다음 중 조명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국부 조명         ② 직접조명           ③ 근접 조명              ④ 전반 확산 조명

[해설] 이외에도 반직접 조명, 간접 조명, 반 간접 조명 등이 있다.

47. 광원으로 부터의 발산 광속의 40 ~ 60 %가 위로 향하게 하는 조명 방식은 ?

   ① 간접 조명     ② 직접 조명         ③ 반간접 조명           ④ 전반 확산 조명

[해설] ㉠ 직접 조명 : 90 ~ 100% 가 아래로       ㉡ 반직접 조명 : 60 ~ 90% 아래로

          ㉢ 간접 조명 : 90 ~ 100% 가 위로           ㉣ 반간접조명 : 60 ~ 90 %가 위로

48. 조명 장치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

   ① 가급적 많은 광도           ② 광원이나 작업 표면의 광도    ③ 손놀림에 적당한 광도   ④ 과업에 대해 균일한 광도

[해설] 작업에 따라 알맞은 광도가 좋다.

[정답]    41. ②       42. ④          43. ③      44. ②     45. ③        46. ①        47. ④        48. ①

49. 우리나라에서 가장 바람직한 상대습도는 얼마인가 ?

   ① 40 ~ 50 %        ② 50 ~ 60 %        ③ 60 ~ 70 %          ④ 70 ~ 80 %

50. 다음 중 재해 발생 빈도가 가장 낮은 온도는 ?

   ① 10 ~ 12 ℃        ② 14 ~ 17 ℃       ③ 18 ~ 22 ℃           23 ~ 26 ℃

51. 작업장과 외부의 온도차는 ?

   ① 3 ℃          ② 7 ℃          ③ 12 ℃               ④ 15℃

52. 작업장의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

   ① 기계 작업 : 10 ~ 12 ℃    ② 사무실 : 25 ~ 30 ℃    ③ 조립 작업 : 25 ~ 30 ℃     ④ 도장 작업 : 5 ~ 10 ℃

[해설] 작업장의 적당한 온도

   ㉠ 심한 육체 작업 : 7 ~ 9 ℃               ㉡ 심한 기계 작업 : 10 ~ 12 ℃

   ㉢ 목공 작업 : 15 ~ 18 ℃                   ㉣ 도장 작업 : 24 ~ 26 ℃

   ㉤ 사무실 : 18 ~ 20 ℃                        ㉥ 식당 : 20 ~ 23 ℃

53. 감각 온도 (ET)를 결정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

   ① 기온              ② 습도             ③ 기압               ④ 기류

54. 체열의 방산에 영향을 주는 4가지 외적 조건이 아닌 것은 ?

   ① 기온           ② 습도             ③ 채광                    ④ 기류

[해설] 온열 조건 : 기온, 습도, 기류, 복사열

55. 작업장의 부유하는 먼지량은 얼마 이하가 적당한가 ?

   ① 0.01 mg/㎥          ② 0.1 mg/㎥           ③ 0.15 mg/㎥             ④ 0.4 mg/㎥

56. 인체에 침입하여 전신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은 ?

   ① 산소          ② 납             ③ 석회석               ④ 일산화탄소

[해설] 중금속 물질인 납(Pb), 구리 (Cu), 수은 (Hg), 크롬 (Cr) 등은 인체에 많은 해를 미친다.

57. 기계 작업의 작업복으로서 적당하지 않은 것은 ?

  ① 계측기 등을 넣기 위해 호주머니가 많을 것             ② 소매를 손목까지 가릴 수 있을 것

  ③ 점퍼형으로서 상의 옷자락을 여밀 수 있을 것         ④ 소매를 오므려 붙이도록 되어 있을 것

 

[정답]    49. ②     50. ③    51. ②    52. ①    53. ③    54. ③    55. ③    56. ②    57. ①

58. 보호구의 관리나 점검 방법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① 월 1회 감독자의 점검 실시             ② 습기가 없고 청결한 장소에 보관

  ③ 항상 청결하게 관리                        ④ 품질이 아주 좋은 것만 골라서 보관

59. 보호구의 사용을 기피하는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지급 기피          ② 이해 부족          ③ 위생품              ④ 사용 방법 미숙

[해설] 비위생적이거나 불량품인 경우에도 사용을 기피한다.

60. 다음 중 검정대상 보호구가 아닌 것은 ?

   ① 안전대       ② 안전모         ③ 산소 마스크          ④ 안전화

[해설] 검정 대상 보호구 : 안전대, 안전모, 방진 마스크, 안전화, 귀마개, 보안경, 보안면, 안전장갑, 방독 마스크

61. 다음 중 보호구의 선택시 유의사항이 아닌 것은 ?

  ① 사용 목적에 알맞은 보호구를 선택한다.           ② 검정에 합격한 것이면 좋다.

  ③ 작업 행동에 방해되지 않는 것을 선택한다.       ④ 착용이 용이하고 크기 등 사용자에게 편리한 것을 선택한다.

[해설] KS나 검정에 합격되었다 하여도 전수 검사를 받은 것이 아니고, 또한 제품의 변질을 고려하여 선택시 보호 성능이

          보장된 것을 선택한다.

62. 다음 중 안전 보호구가 아닌 것은 ?

   ① 안전대         ② 안전모          ③ 안전화             ④ 보호의

[해설] 보호의는 위생 보호구이다.

63. 다음 중 보호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한 작업은 어느 것인가 ?

   ① 보일러를 수선하는 작업                 ② 유해물을 취급하는 작업

   ③ 유해 방사선에 쬐는 작업                ④ 증기를 발산하는 장소에서 행하는 작업

64. 다음 중 안전모 성능 시험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외관        ② 내전압성            ③ 난연성            ④ 내수성

[해설] 안전모 재료 구비 조건 : 내부식성, 피부에 무해, 내열, 내한, 내수성, 강도 유지, 발고 선명할 것 (흰색은 빛의 반사율

           이 매우 좋으나 청결 유지에 문제점이 있어 황색 선호), 충격 흡수 라이너 및 착장체의 무게가 0.44kgf를 초과하지

           않을 것

65. 안전모를 쓸 때 모자와 머리 끝 부분의 간격은 몇 ㎜㎜ 이상 되도록 조절해야 하는가 ?

   ① 20 ㎜           ② 22 ㎜              ③ 25 ㎜           ④ 30 ㎜

[해설] 모체와 정부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 전달을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 공극이 25 ㎜ 이상되도록 조절하여 쓴다.

66. 안전모가 내전압성을 가졌다는 말은 몇 볼트의 전압에 견디는 것을 말하는가 ?

       ① 600 V           ② 720 V           ③ 1,000 V              ④ 7,000 V

[정답]    58. ④       59. ③      60. ③        61. ②       62. ④        63. ①      64. ①       65. ③         66. ④

67. 안전모나 안전대의 용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

   ① 작업 능률 가속용       ② 전도 (轉倒) 방지용        ③ 작업자 용품의 일종        ④ 추락 재해 방지용

[해설] 물건이 떨어지거나 추락, 충돌시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를 착용한다.

68. 가죽제 안전화의 구비 조건으로 맞지 않은 것은 ?

  ① 신는 기분이 좋고 작업이 쉬울 것             ② 잘 구부러지고 신축성이 있을 것

  ③ 가능한 가벼울 것                                      ④ 다자인, 색상 등은 고려하지 말 것

69. 다음 중 고무 장화를 사용하여야 할 작업장은 어디인가 ?

   ① 열처리 공장         ② 화학약품 공장           ③ 조선 공장             ④ 기계 공장

[해설] 화학약품 공장에서는 고무장화를 착용함으로써 약품이 선반 속으로 스며 드는 것을 막아 주어야 한다.

 

70. 침 (chip)의 비산이나 유해물의 비말 등에 의한 눈의 보호를 위하여 보호구는 무엇인가 ?

   ① 차광 안경          ② 방진 안경           ③ 방진 마스크         ④ 방독 마스크

[해설]  ㉠ 방진 안경 : chip (칩) 등의 비산이나 유해물의 비말에 의한 눈의 보호

           ㉡ 차광 안경 : 유해 광선으로 부터 눈의 보호

71. 다음 작업 중 보안경이 필요한 것은 ?

   ① 리베팅 작업         ② 선반 작업           ③ 줄 작업           ④ 황산 제조 작업

[해설] 칩(chip) 등이 비산하는 작업 (선반, 밀링, 드릴 작업 등)에는 보안경을 사용한다.

72. 방진안경의 빛의 투과율은 얼마가 좋은가 ?

   ① 70 % 이상          ② 75 % 이상         ③ 80 % 이상          ④ 90 % 이상

[해설] 렌즈의 구비 조건

   ㉠ 줄이나 흠, 기포, 비틀어짐이 없을 것

   ㉡ 빛의 투과율은 90 % 이상이 좋고 70% 이하가 아닐 것

    광학적으로 질이 좋아 두통을 일으키지 않을 것

   ㉣ 렌즈의 양면은 매끈하고 평행일 것

73. 연마 작업, 선반 작업 등에서 비산되는 부스러기 등에 의한 눈의 상해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진 안경을 사용한다.

       다음 중 방진 안경의 구비 조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① 빛의 투과율은 투과 광선의 70 ~ 90 % 정도는 되어야 한다.

   ② 렌즈의 강도가 요구된 경우에는 특히 플라스틱 렌즈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③ 화학약품을 취급할 때는 화학 반응에 의해 보안경이 훼손되는 일이 있으므로 유리 이외의 렌즈를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④ 렌즈는 줄이 없어야 하며 렌즈 양면은 매끈하고도 평행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정답]   67. ④     68. ④     69. ②     70. ②     71. ②      72. ④      73. ②

174. 다음 중 1 ㎜ 두께의 보통 유리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은 ?

   ① 300 μm 이하의 자외선                      ② 300 ~ 400 μm 의 자외선

   ③ 400 ~ 700 μm 의 가시광선                ④ 700 ~ 4,000 μm의 자외선

[해설] 300 μm 이하의 자외선과 4,000μm 이상의 적외선은 1 ㎜ 두께의 보통 유리로 차단된다. 따라서 이를 목적으로 보통

           유리를 차광렌즈 또는 플레이트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

75. 다음은 보호 안경 재질의 구비 조건을 설명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

   ① 면체는 규격 기준에 의한다.

   ② 핸드 클립은 전기 도체로 비난연성이어야 한다.

   ③ 필터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는 차광 안경과 같다.

   ④ 면체 이외의 플라스틱 부품은 실용상 지장이 없는 강도이어야 한다.

[해설] 핸드 클립은 전기 부도체로 난연성이어야 한다.

76. 다음 중 방진 마스크 선택상의 유의사항으로서 옳지 못한 것은 ?

  ① 여과 효율이 높을 것       ② 흡기, 배기 저항이 낮을 것       ③ 시야가 넓을 것     ④ 흡기 저항 상승률이 높을 것

[해설] 방진 마스크를 사용함에 따라 흡 · 배기 저항이 커지며, 따라서 호흡이 곤란해지므로 흡기 저항 상승률이 낮을 수록

           좋다.

※ 방진 마스크 선택상 유의 사항

   ㉠ 여과 효율 (분진 포집률)이 좋을 것                  ㉡ 시야가 넓을 것 (하방 시야 50 ° 이상)

   ㉢ 안면의 밀착성이 좋을 것 ㉣ 안면에 압박감이 되도록 적을 것

   ㉤ 사용 후 손질이 용이할 것 ㉥ 사용적(死容積)이 적을 것

   ㉦ 중량이 작을 것 (직결식의 경우 120 g 이하)

77. 방독 마스크를 사용해서는 안되는 때는 언제인가 ?

  ① 공기 중의 산소가 결핍되었을 때                   ② 암모니아 가스의 존재 시

  ③ 페인트 제조 작업을 할 때                              ④ 소방 작업을 할 때

78. 방독 마스크를 선택할 때 주의를 요하는 사항은 무엇인가 ?

   ① 얼굴에 대한 압박감                          ② 온도 조절

   ③ 흡수 필터가 유효한 대상 가스          ④ 기상 조건

79. 암모니아를 제거하기 위한 방독 마스크의 흡수제는 무엇인가 ?

   ① 활성탄             ② 홉카라이트            ③ 큐프라마이트                ④ 소다라임

80. 다음은 귀마개의 재질 조건을 설명한 것이다. 잘못 설명한 것은 ?

   ① 내습, 내열, 내한, 내유성을 가진 것이여야 한다.              ②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말아야 한다.

   ③ 적당한 세정이나 소독에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④ 세기나 탄력성 없이 꼭 끼는 것이어야 한다.

[해설] 귀에 압박감을 주어서는 안된다.

[정답]    74. ①         75. ②          76. ④        77. ①        78. ③        79. ③          80. ④

81. 다음 중 복사열을 차단하기에 가장 알맞은 복장의 재료는 무엇인가 ?

   ① 모직          ② 나일론          ③ 혼방                ④ 모직에 알류미늄을 입힌 것

[해설] 알루미늄은 복사열을 잘 반사하며, 내부의 모직은 열을 차단하고 피부와 접촉하여 해를 주지 않는다.

82. 제독 작업에 필요한 보호구의 종류와 수량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① 보호복은 독성가스를 취급하는 전 종업원수의 수량을 구비할 것

   ② 보호장갑 및 보호 장화는 긴급 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원 수의 수량 만큼 구비할 것

   ③ 소화기는 긴급 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원 수의 수량을 구비할 것

   ④ 격리식 방독 마스크는 독성 가스를 취급하는 전 종업원의 수량 만큼 구비할 것

83. 다음 중 LO 기준에 적합한 안전대의 규격 기준은 ?

   ① 폭 10 ㎝, 두께 5 ㎜, 파단 강도 1,100 ㎏f                ② 폭 11 ㎝, 두께 6 ㎜, 파단 강도 1,150 ㎏f

   ③ 폭 12 ㎝, 두께 6 ㎜, 파단 강도 1,200 ㎏f                 ④ 폭 12 ㎝, 두께 6 ㎜, 파단 강도 1,150 ㎏f

[해설] ④ 의 규격에 맞아야 하고, 끈은 상질의 마닐라 로프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를 지닌 재로서 1,150㎏f의 최대 파단

               강도를 지녀야 한다.

84. 고소 작업시 추락 방지를 위한 구명줄 사용상의 안전 수칙이 아닌 것은 ?

  ① 구명줄의 설치를 확실히 한다.                                 ② 한번 큰 낙하 충격을 받은 구명줄은 사용하지 않는다.

  ③ 구명줄은 낙하 거리가 2.5 m 이상 되지 않게 한다.   ④ 끊어지기 쉬운 예리한 모서리에 접촉을 피한다.

[해설] 구명줄은 낙하 거리가 2 m 이상 되지 않게 한다.

85. 안전대용 로프의 구비 조건에 맞지 않은 것은 ?

   ① 부드럽고 되도록 매끄럽지 않을 것            ② 충분한 강도를 가질 것

   ③ 완충성이 높을 것                                        ④ 마모성이 클 것

[해설] 내마모성이 크고, 습기나 약품에 잘 견디고, 내열성도 높아야 한다.

86. 안전대 사용시 주의 사항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훅을 D고리에 걸 때 확실히 걸렸는가 확인한다.          ② 사용전에 점검을 철저히 한다.

   ③ 로프는 작업 전 보다 높게 매달아 사용한다.                ④ 쇠가죽제 벨트는 강도가 크므로 안전하다.

[해설] 쇠가죽은 가죽 부위에 따라 강도 차이가 크므로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정답]   81. ④      82. ④        83. ④      84. ③         85. ④          86. ④

87. 다음 기인물의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

   ① 재해를 발생시킨 기계 장치를 말한다.                   ② 기인물은 동력기계, 운반 기계, 기타 장치로 분류한다.

   ③ 인적요인의 불안전한 행동을 말한다.                    ④ 재해를 일으킨 근원이 되는 물체를 말한다.

88. 각재를 목재 가공용 둥근톱으로 절단하던 중 파편이 날아 와 몸에 상해를 입힌 경우 기인물과 가해물이 맞게 연결된

      것은 ?

   ① 기인물 - 동근톱, 가해물 - 각재               ② 기인물 - 절단편, 가해물 - 각재

   ③ 기인물 - 절단편, 가해물 - 둥근톱            ④ 기인물 - 동근톱, 가해물 - 절단편

[해설] 산업 재해 기록, 분류에 관한 지침

  「맞음」 재해는 물체를 지탱하고 있던 물체 또는 장소의 불안전한 상태, 물체가 떠어지거나 날아오는 재해를 일으킨 동력

   원 등을 기인물로 분류하고, 신체와 직접 접촉 · 부딛힌 물체는 가해물로 분류한다.

   (예) 각재를 목재 가공용 둥근톱으로 절단하는 작업 중 절단편이 날아 와 얼굴에 상해를 입힌 경우, 「맞음」 재해의 동력원

           인 둥근 톱을 기인물로 분류하고, 절단물 (절단편)은 가해물로 분류한다.

89. 차량에 중량물을 적재하던 중 결속을 위하여 당기던 고무 로프가 파단되어 그 파편에 작업자가 상해를 입은 경우 가해

      물과 기인물에 맞게 연결된 것은 ?

  ① 기인물 - 고무 로프, 가해물 - 파편                ② 기인물 - 파편, 가해물 - 고무 로프

  ③ 기인물 - 차량, 가해물 - 고무 로프                ④ 기인물 - 중량물, 가해물 - 고무 로프

[해설] 차량 적재 작업 과정에서 적재된 중량물의 결속을 위하여 고무 로프를 당기던 중 고무 로프가 파단되어 재해가 발생

           된 경우에는 고무 로프를 기인물로 분류한다.

90. 가설 구좀불이 갖추어야 할 3가지 요소가 아닌 것은 ?

   ① 경제성            ② 안정성            ③ 외관성                 ④ 사용성

91. 가설공사의 일반적 안전 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근로자의 보호구를 점검한다.                                             ② 작업장 주변에 주의 표지를 설치한다.

   ③ 상 · 하층 작업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작업을 추진한다.   ④ 작업 준비에 위험성이나 무리가 없도록 계획을 수립한다.

[해설] 특히, 상 · 하층에서 동시에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충분한 연락을 취한 후 작업을 추진해야 한다.

[해설]    87. ④        88. ④       89. ①          90. ③               91. ③

#방화벽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A급화재 #유류화재 #유연탄 #화상 #방폭구조

#플러그 #누전차단기 #산업안전보건표지 #조명 #국부조명 #직접조명 #습도

#안전모 #보호구 #안전대 #방진안경 #방독마스크 #리베팅 #제독작업 #복사열

#기인물 #가해물 #안전화

반응형

'설비보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압 개요  (2) 2024.02.08
산업 안전 관련 법령  (0) 2024.02.07
산업 설비와 장비의 안전  (4) 2024.02.05
산업안전 개요  (5) 2024.02.04
기계 장치 보전  (6) 2024.02.04
반응형

제3과목 : 전기 설비

1. 접지선의 절연전선 색상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느 색으로 표시를 하여야 하는가 ?

   ① 흑색           ② 녹색           ③ 녹색 - 노란색             ④ 녹색 - 적색

[해설] 전선의 식별 (KEC 121. 2)

상 (문자)
색 상
L1
갈색
L2
흑색
L3
회색
N
갈색
보호도체 (접지선)
녹색 - 노란색

2. 전선 및 케이블의 구비조건으로 맞지 않은 것은 ?

   ① 도전율이 크고 고유저항이 작을 것             ② 기계적 강도 및 가용성이 풍부할 것

   ③ 내구성이 크고 비중이 클 것                        ④ 시공 및 접속이 쉬울 것

[해설] 전선의 재료로서 구비해야 할 조건

  ㉠ 도전율이 클 것 → 고유저항이 작을 것         

  ㉡ 기계적 강도가 클 것

  ㉢ 비중이 작을 것 → 가벼울 것

  ㉣ 내구성이 있을 것

  ㉤ 공사가 쉬울 것 ㉥ 값이 싸고 쉽게 구할 수 있을 것

3. 보조 접지극 2개를 이용하여 ㄱㅖ기판의 눈금이 0을 가리키는 순간의 저항 다이얼의 값을 읽어 접지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

   ① 캘빈 더블 브릿지    ② 휘트스톤 브릿지    ③ 콜라우시 브릿지    ④ 접지 저항계

[해설] 접지저항계 : 접지 저항 측정기 (Earth tester)

  ㉠ 캘빈 더블 브리지 (Kelvin double bridge) : 휘트스톤 브리지에 보조 저항을 첨가한 것으로 1 Ω 이하의 저저항의 정밀

                                                                          측정에 사용된다.

  ㉡ 휘트스톤 브리지 (Wheatstone bridge) : 10-4 Ω 정도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 콜라우시 브리지 (Kohlraush bridge) : 저저항 측정용 계기로 접지저항, 전해액의 저항 측정에 사용된다.

4. 다음 중 금속 전선관의 종류에서 박강 전선관의 규격이 아닌 것은 ?

   ① 19             ② 25               ③ 31                  ④ 35

[해설] 박강 전선관의 규격 : 19, 25, 31, 39, 51, 63, 75 ㎜

   ㉠ 박강 : 외경 (바깥지름)에 가까운 홀수

   ㉡ 후강 : 내경 (안지름)에 가까운 짝수

5. 다음 중 버스덕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① 플로어 버스 덕트         ② 피더 버스 덕트        ③ 탭붙이 버스덕트         ④ 플러그인 버스덕트

[해설] 버스덕트 (Bus duct) 종류

   ㉠ 피더 버스 덕트                      ㉡ 플러그 인 버스덕트

   ㉢ 익스팬션 버스 덕트              ㉣ 탭붙이 버스덕트

   ㉤ 트랜스 포지션 버스덕트

6. 다음 중 배선 차단기의 기호로 옳은 것은 ?

   ① MCCB              ② ELB             ③ ACB                   ④ DS

[해설] ① 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배선용 차단기

          ② ELB ( Earth leakage breaker) : 누전차단기

          ③ ACB (Air circuit breaker) : 기중 차단기

          ④ DS (Disconnecting switch) : 단로기

7. 기동시 발생하는 기동전류에 대해 동작하지 않는 퓨즈의 종류로 옳은 것은 ?

   ① 플러그 퓨즈            ② 전동기용 퓨즈              ③ 온도 퓨즈          ④ 텅스텐 퓨즈

[해설] ① 플러그 퓨즈 (Plug fuse) : 하얀 자기제의 퓨즈 커버 내에 퓨즈를 삽입하여 나사형식으로 돌리면 내부에서 서로

                                                       접촉하게 한 것이다.

   ② 전동기용 퓨즈

      ㉠ 전동기용 퓨즈는 전동기 보호용으로 적합한 특성을 가진 퓨즈이다.

      ㉡ 정격전류의 5배의 전류를 10초간 통전하여 1만회를 반복해도 용단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전동기의 기동 시에는 기동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이 기동전류에 의해 기능이 저하되거나 용단되지 않도록 하는

           특성이 정해져 있다.

      ㉣ 전동기는 온(On), 오프(Off)를 많이 반복하게 되므로 반복 개폐 횟수가 많게 설정되어 있다.

  ③ 온도 퓨즈 (Thermal fuse) : 어떤 특정한 온도에서 변형, 혹은 용융하여 전기회로를 여는 일종의 과열 보호용 스위치로

                                                  서, 전기기기의 과열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④ 텅스텐 퓨즈 (Tungsten fuse)

     ㉠ 텅스텐의 가는 선을 필요한 치수로 정밀하게 만들어 소형의 유리관에 봉해 넣고, 그 양단에 도선을 붙인 것이다.

     ㉡ 전자기기와 같은 소전류이고 정밀한 제한을 요하는 곳에 사용한다.

8. 사람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주택용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의 동작시간이 얼마 이하이여야 하는가 ?

   ① 30 mA, 0.03초        ② 3 mA, 0.03초          ③ 300 mA, 0.3초         ④ 30 mA, 0.3초

[해설] ㉠ 감전사고에서는 인체의 손상 정도를 결정하는 통전전류의 크기와 통전시간이 피해 정도에 큰 영향을 끼친다.

          ㉡ 사람의 전기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택용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 30 mA, 0.03초 이내에 동작하도록 규정

               하고 있다.

9. 정격 전류가 60 A 일 때, 주택 배선 차단기의 동작시간은 얼마 이내인가 ?

   ① 15분             ② 30분               ③ 60분                ④ 120분

[해설]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표 212.6-4) 과전류 트립 동작시간 (주택용 배선 차단기)

정격전류의 구분
시간
정격전류의 배수
불용단 전류
용단전류
63 A 이하
60분
1.13 배
1.45 배
63 A 초과
120분
1.13 배
1.45 배

10. 접지 공사에서 접지극으로 동판을 사용하는 경우 면적이 몇 ㎠ 편면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300              ② 600                 ③ 900                 ④ 1,200

[해설] 접지극 (내선규정 1445-7 참조)

  ㉠ 동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 0.7 ㎜ 이상, 면적 900 ㎠ (편면) 이상일 것

  ㉡ 동봉, 동피복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8 ㎜ 이상, 길이는 0.9 m 이상의 것

11. 저압 가공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저압 가공전선은 나전선, 절연전선, 다심형 전선 또는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

   ② 사용전압이 400 V 이하인 경우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③ 사용전압이 400 V를 초과하고 시가지에 시설하는 경우 지름 5 ㎜ 이상의 경동선이어야 한다.

   ④ 사용전압이 400 V를 초과하는 경우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

[해설] [KEC 222.5 ] 저압 가공전선의 굵기 및 종류 (위 문제 ①, ②, ③ 이외에) 사용전압이 400 V 초과인 저압 가공전선에

                                는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을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12. 철근 콘크리트주로서 전장이 15m 이고, 설계하중이 7.8 kN이다. 이 지지물을 논, 기타 지반이 약한 곳 이외에 기초

       안전율의 고려없이 시설하는 경우에 그 묻히는 깊이는 기준보다 몇 ㎝를 가산하여야 하는가 ?

     ① 10                   ② 30                  ③ 50                    ④ 70

[해설] 철근 콘크리트주로서 전체 길이가 14 m 이상 20 m 이하이고, 설계하중이 6.8 kN 초과 9.8 kN 이하의 것을 논이나

           지반이 연약한 곳 이외에 시설하는 경우 최저 깊이에 30 ㎝ 를 가산하여 할 것

13. 전선로의 직선 부분을 지지하는 애자는 ?

     ① 핀 애자           ② 지지애자                 ③ 가지애자                 ④ 구형애자

[해설] ㉠ 핀애자 : 전선의 직선 부분에 사용

         ㉡ 지지애자 : 전선의 지지부에 사용

         ㉢ 가지애자 : 전선을 다른 방향으로 돌리는 부분에 사용

         ㉣ 구형애자 : 인류용과 지선용이 있으며, 지선용은 지선의 중간에 넣어 양측 지선을 절연

14. 인류하는 곳이나 분기하는 곳에 사용하는 애자는 ?

   ① 구형 애자            ② 가지애자              ③ 새클애자            ④ 현수애자

[해설] 현수애자 : 특고압 배전선로에 사용하는 현수애자는 선로의 종단, 선로의 분기, 수평각 30 ° 이상인 인류 개소와 전선

                             의 굵기가 변경되는 지점, 개폐기 설치 전주 등의 내장 장소에 사용한다.

15. 다음 중 래크를 사용하는 장소는 ?

   ① 저압 가공전선로         ② 저압 지중전선로          ③ 고압 가공전선로            ④ 고압 지중전선로

[해설] 저압 가공전선로에 있어서 완금이나 완목 대신에 래크 (Rack)를 사용하여 전선을 수직 배선한다.

16.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2                  ② 2.5                      ③ 3                 ④ 3.5

[해설] 지선의 시설 (KEC 331. 11)

  ㉠ 안전율 : 2.5 이상

  ㉡ 연선을 사용할 것

      ⊙ 소선 3가닥 이상의 연선일 것

      ⊙ 소선의 지름이 2.6 ㎜ 이상의 금속선을 사용한 것일 것

17. 수변전설비 구성기기의 계기용 변압기 (PT)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변성하는 기기이다.

   ② 높은 전류를 낮은 전류로 변성하는 기기이다.

   ③ 회로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기기이다.

   ④ 부족전압 트립 코일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해설] ㉠ 계기용 변압기 (PT)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 회로에 병렬로 접속

   ⊙ 배전반의 전압계, 전력계, 주파수계, 역률계 표시등 및 부족전압 트립코일의 전원으로 사용

 ㉡ 계기용 변류기 (CT)

   ⊙ 많은 전류를 적은 전류로 변성 - 회로에 직렬로 접속

   ⊙ 배전반의 전류계 · 전력계, 차단기의 트립코일의 전원으로 사용

18. 배선설계를 위한 전등 및 소형 전기기계 기구의 부하용량 산정시 건축물의 종류에 대응한 표준 부하에서 원칙적으로

      표준 부하를 20 VA/㎥ 으로 적용하여야 하는 건축물은 ?

   ① 교회, 극장          ② 호텔, 병원             ③ 은행, 상점           ④ 아파트, 미용원

[해설] 건물의 종류별 표준부하

건축물의 종류
표준부하 [VA/㎡]
공장, 공회당, 사원, 교회, 극장, 영화관, 연회장 등
10
기숙사, 여관, 호텔, 병원, 학교, 음식점, 다방, 대중목욕탕 등
20
사무실, 은행, 상점, 이발소, 미용원
30
주택, 아파트
40

19. 교통신호등 회로의 사용전압은 몇 V 를 넘는 경우에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

     ① 100            ② 150              ③ 200              ④ 300

[해설]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234. 15. 6] : 교통 신호등 회로의 사용전압이 150 V를 넘는 경우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누전 차단기를 시설할 것

20.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배전반 및 분전반을 시설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케이블로 옳은 것은 ?

   ① 난연성 케이블        ② 광섬유 케이블           ③ 차폐 케이블             ④ 수밀형 케이블

[해설] 배전반 및 분전반 (캐비닛을 포함한다)을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경우는 방수형의 것으로 수밀형 케이블을 사용

           하여야 한다.

※ 수밀성 (Water tightness 水密性) 재료 : 압력수가 통과하지 않는 방수재료

[정답]  1. ③    2. ③    3. ④    4. ④    5. ①    6. ①    7. ②    8. ①    9. ③    10. ③    11. ④

            12. ②    13. ①    14. ④    15. ①    16. ②    17. ②    18. ②    19. ②    20. ④

#절연전선 #휘트스톤브릿지 #케이블 #콜라우시브릿지 #캘빈더블브릿지 #박강전선관

#피더버스덕트 #플러그인버스덕트 #배선용차단기 #플러그퓨즈 #온도퓨즈 #텅스텐퓨즈

#누전차단기 #접지극 #안전율 #핀애자 #현수애자 #구형애자 #트립코일 #표준부하

반응형
반응형

 

1. 3전류계법 (부하전력 및 역률)

 ▣ 그림과 같이 전류계 3대를 갖고 부하전력 및 역률을 측정하려고 한다. 각 전류계의

     눈금이 A1 = 10 [A], A2 = 4[A], A3 = 7[A] 일 때 부하전력 및 역률은 얼마인가 ?

     단, 저항 R = 25 [Ω] 이다.

 

 【 문제풀이】

  ▣ 3전류계법, 3전압계법은 코사인 제2법칙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2. 절연내력 시험전압과 시험방법

 ▣ 사용전압 154[kV]의 중성점 직접 접지식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을 하고자 한다. 시험

     전압과 시험방법에 대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절연내력 시험전압 : 154,000 × 0.72 = 110, 880 [V]

  (2) 절연내력 시험방법

    ▣ 절연내력 시험할 부분(전로)에 최대사용전압에 의하여 결정되는 시험전압을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여 이에 견디어야 한다.

  ※ KEC 132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는 표에서 정한 시험전압을 전로와 대지 사이에 연속하여 10분

        간 가하여 절연내력을 시험하였을 때에 이에 견디어야 한다.

 
 

3. 자가 발전기 용량

 ▣ 비상용 자가 발전기를 구입하고자 한다. 부하는 단일 부하로서 유도전동기이며, 기동용량이

     1,800[kVA]이고, 기동시의 전압강하는 20[%]까지 허용하며, 발전기의 과도 리액턴스는 26[%]로

     본다면 자가발전기의 용량은 이론(계산)상 몇 [kVA] 이상의 것을 선정하여야 하는지 구하시오.

 

4. 피뢰기 설치 장소

  ▣ 다음은 가공 송전계통도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피뢰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장소를 도면에 "  "로 표시하시오.

 

 (2) 피뢰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장소에 대한 기준 4가지를 쓰시오.

   ①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②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 및 특고압측

   ③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로로 부터 공급받는 수용가의 인입구

   ④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5. 역률개선용 콘덴서 용량

 ▣ 부하설비가 100[kW]이며, 뒤진 역률이 85 [%]인 부하를 100 [%]로 개선하기 위한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몇 [kVA]가 필요한지 계산하시오.

 

6. 일반 수용가의 변압기 용량

 ▣ 일반 수용가의 개별 최대 전력이 200[W], 300[W], 800[W], 1,200[W], 2,500[W]

    일 때 변압기의 용량을 결정하시오. 단, 부등률은 1.14, 역률은 0.9로 하며, 표준변압기

    용량으로 산정한다.

단상 변압기 표준용량 [kVA]
1, 2, 3, 5, 7.5, 10, 15, 20, 30, 50, 100, 150, 200
 

7. 누전차단기 명칭

 ▣ 욕실 등 인체가 물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

     설치하여야 하는 저압 차단기의 정확한 명칭을 쓰시오.

   ⊙ 인체 감전 보호용 누전차단기 (정격감도전류 15 [mA]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 동작형)

 ▣ KEC 234.5 콘센트의 시설

  ⊙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 등 인체가 물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의 적용

     을 받은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 (정격감도전류 15[mA]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동작형의 것에 한한다) 또는 절연변압기 (정격용량 3[kVA] 이하인 것에

     한한다)로 보호된 전로에 접속하거나,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부착된 콘센트를

     시설하여야 한다.

 

8. 감리원의 공사 중지 명령

 ▣ 다음은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 중 감리원의 공사 중지명령과 관련된 사항이다.

    ① ~ ⑤ 의 알맞은 내용을 답란에 쓰시오.

감리원은 시공된 공사가 품질확보 미흡 또는 중대한 위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고 판단 되거나, 안전상 중대한 위험이 발견된 경우에는 공사중지를 지시할 수 있으며 공사
중지는 부분중지와 전면중지로 구분한다. 부분중지의 경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 ( ① 재시공 지시)이(가) 이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다음 단계의 공정이 진행됨으로써
( ② 하자 발생) 이 (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될 때
⊙ 안전 시공상 (③ 중대한 위험)이(가) 예상되어 물적, 인적 중대한 피해가 예견될 때
⊙ 동일 공정에 있어 ( ④ 3회 이상 시정지시) 이(가) 이행되지 않을 때
⊙ 동일 공정에 있어 (⑤ 2회 이상 경고)이 (가) 있었음에도 이행되지 않을 때

9.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장치

 ▣ 단상 유도전동기는 반드시 기동장치가 필요하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기동장치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 단상 유도전동기는 회전자계가 생기지 않아 자기 기동을 하지 못하므로 보조 권선의

        수단에 의해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기동을 하게 된다.

  (2)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방식에 따라 분류할 때 그 종류를 4가지 쓰시오.

      ① 반발기동형      ② 분상 기동형         ③ 콘덴서 기동형        ④ 세이딩 코일형

   ▣ 단상유도 전동기의 종류 (기동토크 큰 순서로 나열)

반발기동형
브러시를 단락하여 기동하며 브러시를 이동하여 속도를 제어한다. 기동 토크가 가장 크다.
콘덴서기동형
보조권선에 직렬로 콘덴서를 접속하여 보조권선의 직류를 주권선의 전류보다 90˚ 앞서게 함
으로써 위상차가 생겨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기동하는 방법. 기동토크가 크며 역률이 좋다.
분상기동형
주권선과 90˚ 위상차가 있는 보조 권선을 설치하여 주권선과 위상차에 의해 회전자계를 발생
시켜 기동하는 방법. 기동토크가 적고 기동전류가 커서 잘 사용되지 않는다.
세이딩코일형
구조가 간단하나 기동토크가 매우 작고 단락권선 내 손실이 크기 때문에 효율과 역률이 나쁘
며 구조상 회전방향을 바꿀 수 없다.

10. 전열기 효율

 ▣ 4[L]의 물을 15[℃]에서 90[℃]로 온도를 높이는데 1[kW]의 전열기로 30분간 가열하였다.

     이 전열기의 효율을 계산하시오.

 

11. 특고압 수전설비

  ▣ 다음 그림은 어느 수용가의 수전설비 계통도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AISS의 명칭을 쓰고, 기능을 2가지 쓰시오. 기중 절연형 자동 고장구분 개폐기

  ▣ 기능 ① 고장 구간을 자동으로 개방하여 사고확대를 방지

             ② 전부하 상태에서 자동(또는 수동)으로 개방하여 과부하 보호

 (2) 피뢰기의 정격전압 및 공칭 방전전류를 쓰고, 도면에서 Disc 의 기능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 피뢰기 규격 : 정격전압 18 [kV], 공칭방전전류 2.5[kA]

   ▣ DISC 의 기능 : 피뢰기 고장시 개방되어 피뢰기를 대지로 부터 분리

    ※ 내선규정 3250절 피뢰기

공칭
방전전류
설치장소
적 용 조 건
10,000 [A]
변전소
⊙ 154[kV] 이상의 계통
⊙ 66[kV] 및 그 이하의 계통에서 Bank 용량이 3,000[kVA]를 초과하거
나 특히 중요한 곳
⊙ 장거리 송전케이블(배전선로 인출용 단거리 케이블은 제외) 정전축전기
Bank를 개폐하는 곳
⊙ 배전선로 인출축 (배전 간선 인출용 장거리 케이블은 제외)
5,000 [A]
변전소
⊙ 66 [kV] 및 그 이하의 계통에서 Bank 용량이 3,000[kVA] 이하인 곳
2,500[A]
배전선로
⊙ 배전선로

(3) MOF의 정격을 구하시오.

 

 (4) Mold TR의 장점 및 단점을 각각 2가지만 쓰시오.

   ① 장점 : 난연성이 우수하다. 소형 경량화 가능

   ② 단점 : 충격파 내전압이 낮아 서지에 대한 대책이 필요, 가격이 비싸다.

 (5) ACB의 명칭을 쓰시오. 기중차단기

 (6) CT비를 구하시오.

 

12. 전동기 정역회전 시퀀스

 ▣ 다음 동작설명을 보고 만족하는 주회로 및 제어회로의 미완성 결선도를 직접

     그려 완성하시오. 단, 접점기호와 명칭 등을 정확히 나타내시오.

 [동작설명]

  ① 전원스위치 MCCB 를 투입하면 주회로 및 제어 회로에 전원이 공급된다.

  ② 누름 버튼 스위치(PB1)를 누르면 MC1이 여자되고 MC1의 보조접점에 의하여

      RL이 점등되며, 전동기는 정회전한다.

  ③ 누름버튼 스위치 (PB1)를 누른 후 손을 떼어도 MC1은 자기 유지되어 전동기는 계속

      정회전한다.

  ④ 전동기 운전중 누름버튼 스위치 (PB2)를 누르면 연동에 의하여 MC1이 소자되어

      전동기가 정지되고, RL은 소등된다. 이 때 MC2는 자기유지되어 전동기는 역회전(역상

      제동을 함)하고 타이머가 여자되며, GL이 점등된다.

  ⑤ 타이머 설정시간 후 역회전 중인 전동기는 정지하고 GL도 소등된다. 또한, MC1

      MC2의 보조접점에 의하여 상호 인터록이 되어 동시에 동작되지 않는다.

  ⑥ 전동기 운전중 과전류가 감지되어 EOCR이 동작되면, 모든 제어회로의 전원은 차단되고 OL만 점등된다.

  ⑦ EOCR을 리셋(Reset)하면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답안작성]

 

13. 유접점 시퀀스 회로와 무접점 논리회로

  ▣ 그림과 같은 유접점 시퀀스 회로를 무접점 논리회로로 변경하여 그리시오.

 

  【답안작성】

 

14. 차단기 차단용량

  ▣ 그림과 같은 도면을 보고 각 차단기의 차단용량을 구하시오.

 [조건]

   ⊙ 발전기 G1 : 용량 10 [MVA], %XG1 = 10 [%]

   ⊙ 발전기 G2 : 용량 20 [MVA], %XG2 = 14 [%]

   ⊙ 변압기 T : 용량 30 [MVA], %XT = 12 [%]

   ⊙ S1, S2, S3는 단락사고 발생 지점이며, 선로측으로 부터의 단락전류는 고려하지 않는다.

 

   (1) S1 지점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B1, B2 차단기의 차단용량[MVA]를 구하시오.

   (2) S2 지점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B3 차단기의 차단용량[MVA]를 구하시오.

   (2) S3 지점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B4 차단기의 차단용량[MVA]를 구하시오.

  【문제풀이】

 

15. 피뢰기의 접지저항

 ▣ 피뢰기를 접지공사를 실시한 후 접지저항을 보조 접지 2개(A와 B)를 시설하여 측정

     하였더니 주 접지와 A사이의 저항은 110[Ω], A와 B 사이의 저항은 220[Ω], B와

     주접지 사이의 저항은 120[Ω] 이었다.

  (1) 피뢰기의 접지 저항값을 구하시오.

  (2) 접지공사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 콜라우시 브리지법

 

16. 주상변압기 2차측 접지저항

 ▣ 3상 3선식 중성점 비접지식 6,600[V] 가공전선로가 있다. 이 전선로의 전선연장이

     350[㎞]이고, 고압측 1선 지락사고시 지락전류가 5[A]라고 할 때 이 전로에 접속된

     주상변압기 100[V] 측 그 1단자에 접지공사 접지 저항값은 얼마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 단, 이 전선로는 고저압 혼촉시 2초 이내에 자동 차단하는 장치가 있다.

 

 ▣ KEC 142.5 변압기 중성점 접지

  1. 변압기의 중성점 접지 저항값은 다음에 의한다.

    가. 일반적 변압기 고압 ·특고압측 전로 1선 지락전류를 150으로 나눈값 이하

    나. 변압기의 고압 ·특고압측 전로 또는 사용전압이 35 [kV] 이하의 특고압 전로가 저압측

         전로와 혼촉하고 저압전로의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경우는 저항값은 다음에 의한다.

     (1) 1초 초과 2초 이내에 고압 ·특고압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할 때는 300을 나눈 값 이하

     (2) 1초 이내에 고압 ·특고압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할 때는 600을 나눈 값 이하

구 분
접지저항값
일반
150 / Ig 이하
1초 초과 2초 이내에
고압 · 특고압 전로를 자동 차단하는 장치 설치시
300 / Ig 이하
1초 이내에
고압 · 특고압 전로를 자동 차단하는 장치 설치시
600 / Ig 이하

  2. 전로의 1선 지락전류는 실측값에 의한다. 다만, 실측이 곤란한 경우에는 선로정수 등으로 계산한 값에 의한다.

 

 

반응형
반응형

 

1. 전압강하율과 전압변동률

  ▣ 송전단 전압 66[kV], 수전단전압 60 [kV]인 송전선로에서 수전단의 부하를 끊은 경우

   수전단전압이 63[kV]라 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전압강하율을 구하시오.

  (2) 전압변동율을 구하시오.

[답안작성]

 

2. 중성점 전류검출(NCS) 보호방식과 중성점 전압검출(NVS) 보호방식

 ▣ 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내부고장 보호방식으로 NCS 방식과 NVS 방식이 있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NCS와 NVS의 기능을 설명하시오.

  (2) [그림 1] ①과 [그림2]에 누락된 부분을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1) ① NCS (Neutral Current Sensor) : 콘덴서 고장시 중성점간에 흐르는 전류 검출

     ② NCS (Neutral Voltage Sensor) : 콘덴서 고장시 중성점간의 불평형 전압 검출

 (2) [그림 1] ①과 [그림2]에 누락된 부분을 완성하시오.

 

[해설]

가. 중성점 전류 검출 보호방식 : NCS (Neutral Current Sensor)

 ▣ NCS의 원리는 콘덴서 내부 소자를 Y-Y 결선하여 중성점 간에 전류 검출 코일을 삽입

    시키고 콘덴서 내부 고장시 이 코일이 여자됨으로써 동작하는 접점이 내장되어 있다.

    이 접점은 콘덴서 내부 소자의 파괴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동작되며 이것을 이용하여

    부하전원을 차단하거나 개폐기를 작동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검출속도가 빠르고 동작이 확실하다.

  ② 회로 전압의 변동, 직렬리액터의 유무, 고조파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③ 콘덴서 투입시 과도현상(돌입전류)에 의한 오동작이 없다.

나. 중성점 전압 검출 보호방식 ( NVS : Neutral Voltage Sensor)

 ▣ NVS의 원리는 단기콘덴서를 이용해 외부에서 Y-Y 결선하고 고장 발생시 중성점 간에

     전압차를 검출하여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 장점은 다음과 같다.

  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② 계전기의 오동작이 없다.

  ③ 돌입전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④ 정기적인 검사가 가능하다.

  ⑤ 콘덴서의 발열이 감소한다.

 

3. 무접점 회로와 유접점 논리회로

 ▣ 다음 진리표를 보고 무접점 회로와 유접점 논리회로로 각각 나타내시오.

입 력
출 력
A
B
C
X
0
0
0
0
0
0
1
0
0
1
0
0
0
1
1
0
1
0
0
1
1
0
1
0
1
1
0
0
1
1
1
1

 

  (1) 논리식을 간략화하여 나타내시오.

  (2) 무접점 회로

  (3) 유접점 회로

[답안작성]

 

  (3) 유접점 회로

 

5. 병렬 우선 순위 회로

 ▣ 그림의 회로는 푸시 버튼 스위치 PB1, PB2, PB3를 ON 조작하여 기계 A, B, C를

     운전한다. 이 회로를 타임차트의 요구대로 병렬 우선 순위 회로로 고쳐서 그리시오.

 

 

    R1, R2, R3는 계전기이며 이 계전기의 보조 a접점, 또는 보조 b접점을 추가 또는 삭제하여

    작성하되 불필요한 접점을 사용하지 않도록 할 것이며 보조 접점에는 접점의 명칭을 기입하도록 할 것

[답안작성]

 

6. 단상 3선식 회로의 중성선 전류

  ▣ 그림과 같은 100/200[V] 단상 3선식 회로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중성선 N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

 

(2) 중성선의 굵기를 결정할 때의 전류는 몇 [A]를 기준으로 하는가 ?

     37.5 [A]

 

7. 방재용 자재

 ▣ 지중선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의 확대방지를 위하여 케이블이 밀집 시설되는 개소의 케이블은

     난연성 케이블을 사용하여 시설하는 것이 원칙이다. 부득이 전력구에 일반케이블로 시설하고자 할 경우,

     케이블에 방재대책을 하여야 하는데 케이블과 접속재에사용하는 방재용 자재 2가지를 쓰시오.

 

[답안작성] 난연테이프, 난연도료

 ▣ 내선규정 2150-12 케이블

   ⊙ 지중전선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의 확대방지를 위하여 케이블 밀집 시설되는 개소

      의 케이블은 난연케이블을 사용하여 시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 일반 케이블

      로 시설하는 경우는 케이블에 방재대책을 강구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적용장소 : 집단 아파트 또는 집단 상가의 구내 수전실, 케이블 처리실, 전력구, 덕트 및

                    4회선 이상 시설된 맨홀

  ② 적용대상 방재용 자재

    가. 케이블 및 접속재 : 난연테이프 및 난연도료

    나. 바닥, 벽, 천장 등의 케이블 관통부 : 난연실(퍼티), 난연보드, 난연레진, 모래 등

 

8. 상용전원과 예비전원

 ▣ 다음 상용전원과 예비전원 운전시 유의하여야 할 사항이다. (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쓰시오.

   ⊙ 상용전원과 예비전원 사이에는 병렬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므로 수전용차단기와

      발전용차단기 사이에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 ① 인터록)을 시설해야 하며 (② 전환개폐

      기)를 사용해야 한다.

 ▣ 내선규정 4168-7 전환개폐기의 설치

   ① 상시전원의 정전시에는 상시전원에서 예비전원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그 접속하는 부하

       및 배선이 동일한 경우는 양 전원의 접속점에 전환개폐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② "①"항의 전환개폐기는 예비전원에서 공급하는 전력이 상시 선로에 송전되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 KEC 244. 2. 1 비상용 예비전원 시설

  ⊙ 상용전원의 정전으로 비상용전원이 대체되는 경우에는 상용전원과 병렬운전이 되지 않

      되지 않도록 다음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으로 격리조치를 하여야 한다.

  가. 조작기구 또는 절환 개폐장치의 제어회로 사이의 전기적, 기계적 또는 전기기계적 연동

  나. 단일 이동식 열쇠를 갖춘 잠금 계통

  다. 차단-중립-투입의 3단계 절환개폐장치

  라. 적절한 연동기능을 갖춘 자동 절환 개폐장치

  마. 동등한 동작을 보장하는 기타 수단

 

9. 과부하 보호장치의 설치 위치

  ▣ 다음은 과부하 보호장치의 설치 위치에 대한 내용이다. 주어진 조건에 의하여 (가)의

      거리는 몇 [m] 이내인가 ?

【조건】

  ① 분기점 O와 P2 사이에 다른 분기회로 및 콘센트의 설치가 없을 것

  ② 단락의 위험과 화재 및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최소화 되도록 시설할 것

  ③ 분기회로 도체 S2는 전원측 보호장치 P1에 의해 단락보호가 보장되지 않는다.

 

   【답안작성】 3 [m]

<해설>

 ▣ KEC 212.4.2 과부하 보호장치의 설치 위치

   ① 과부하 보호장치는 전로 중 도체의 허용전류 값이 줄어드는 분기점에 설치해야 한다.

   ② 분기회로도체 S2는 전원측 보호장치 P1에 의해 단락보호가 보장되지 않을 경우

       : 3 [m] 이내에 설치

   ③ 분기회로도체 S2는 전원측 보호장치 P1에 의해 단락보호가 보장되는 경우 : 분기점

       으로 부터 거리제한 없이 설치

   ④ 전원측 과부하 보호장치 P1이 분기회로에 발생하는 과부하를 보호하는 경우

       : 보호장치의 설치 생략 가능

 

10. 변류기와 전류계

  ▣ 다음 그림과 같이 200/5 [A] 변류기 1차측에 150[A]의 3상 평형전류가 흐를 때 전류

      계 A3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

 

  [답안작성]

 

 [해설] 가동결선(V결선) 벡터도

 

11. 진상용 콘덴서 육안검사

  ▣ 전력용 진상 콘덴서의 정기점검(육안검사) 항목 3가지를 쓰시오.

 [답안작성]

    ① 단자부 이완    ② 기름누설 여부   ③ 애자 손상 여부

 [해설]

  ▣ 전력용 콘덴서의 정기점검

    ① 육안검사 : 단자부 이완, 단자부 과열, 기름누설, 용기 등의 녹발생, 보호장치 동작

    ② 후각검사 : 이상한 냄새 여부           ③ 절연저항 측정 (절연저항계)

    ④ 기기온도 (온도계)

 

12.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 (GPT)

 ▣ 비접지 선로의 접지 전압을 검출하기 위하여 그림과 같은 Y-개방△ 결선을 한 GPT가 있다.

 

  (1) A상 고장시 (완전 지락시) 2차 접지 표시등 L1, L2, L3의 점멸 상태와 밝기를 비교하시오.

      L1 : 소등 L2와 L3는 점등 (더 밝아짐)

 (2) 1선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의 변화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 평상시 건전상의 대지전위는 110/√3 [V] 이나 1선 지락사고시에는 전위가 √3배 증

       가하여 110[V]가 된다.

 (3) GR, SGR 을 우리말 명칭을 쓰시오. GR : 지락계전기 SGR : 선택지락계전기

 

13. 완전 확산성 반구 램프

 ▣ 지름 30[㎝]인 완전 확산성 반구의 램프를 사용하여 평균 휘도가 1[㎠]에 대하여

     0.3[cd]인 천장등을 가설하려고 한다. 기구의 효율은 0.75라 하면, 전구로 부터 나오는

     광속은 몇 [lm]이겠는가 ? 단, 광속발산도는 0.75[lm/㎠]라 한다.

 

[해설]

 
 

14. 3상 △결선 승압기 용량산정

 ▣ 단권변압기 3대를 사용한 3상 △결선 승압기에 의해 45[kVA]인 3상 평형 부하의 전압을 3,000[V]에서

     3,300[V]로 승압하는데 필요한 변압기의 총용량은 얼마인지 계산하시오.

[답안작성]

15. 직렬 리액터 용량산정

  ▣ 전력용 콘덴서에 설치하는 직렬 리액터의 용량산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직렬 리액터의 용량

   ⊙ 이론상 콘덴서 용량의 4[%] 이상

   ⊙ 실제상 주파수 변동 등의 여유를 봐서 약 5~6[%] 인 것을 사용

 

16. 카르노 맵

  ▣ 카르노 도표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논리식과 무접점 논리회로를 나타내시오.

     단, "0" : L{Low level), "1" : H(Hight level)이며, 입력은 A, B, C, 출력은 X이다.

BC
A
00
01
11
10
0
 
1
 
1
1
 
1
 
1

 

(1) 논리식으로 나타낸 후 간략화 하시오.

17. 3상 단락용량, 단락전류, 차단기 차단용량

 ▣ 그림과 주어진 조건 및 참고표를 이용하여 3상 단락용량, 3상 단락전류, 차단기의 차단

     용량 등을 계산하시오.

 

 

   (1) 수전설비에서의 합성 %임피던스를 계산하시오.

   (2) 수전설비에서의 3상 단락용량을 계산하시오.

   (3) 수전설비에서의 3상 단락전류를 계산하시오.

   (4) 수전설비에서의 정격차단용량을 계산하고, 표에서 적당한 용량을 찾아 선정하시오.

 

[답안작성]

 

(1) 수전설비에서의 합성 %임피던스를 계산하시오.

 

(2) 수전설비에서의 3상 단락용량을 계산하시오.

 

(3) 수전설비에서의 3상 단락전류를 계산하시오.

 

(4) 수전설비에서의 정격차단용량을 계산하고, 표에서 적당한 용량을 찾아 선정하시오.

 

18. 변압기 보호장치

 ▣ 특고압 대용량 유입변압기의 내부고장이 생겻을 경우 보호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특고압 유입변압기의 기계적인 보호장치 3가지를 쓰시고

  ① 부흐홀쯔 계전기    ② 충격압력 계전기   ③ 방압안정장치

 

19. 누전차단기 시설

  ▣ 그림은 누전차단기를 적용하는 것으로 CVCF 출력단의 접지용 콘덴서 Co = 6[μF] 이고

      부하측 라인필터의 대지 정전용량 C1 = C2 = 0.1[μF], 누전차단기 ELB1에서 지락점

      까지의 케이블 대지 정전용량 CL1=0(ELB1의 출력단에 지락발생 예상), ELB2에서 부

      하2 까지의 케이블 대지정전용량 CL2=0.2[μF] 이다. 지락저항은 무시하며, 사용전압

      은 200[V], 주파수 60[Hz]인 경우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① ELB1에 흐르는 지락전류 Ig1은 약 822.74[mA] (Ig1=3×2πfCE에 의하여 계산)이다.

  ② 누전차단기는 지락시의 지락전류의 1/3에 동작 가능하여야 하며, 부동작 전류는 건전

      피더에 흐르는 지락전류의 2배 이상의 것으로 한다.

  ③ 누전차단기의 시설 구분에 대한 표시기호는 다음과 같다.

    O :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곳

    △ : 주택에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할 곳

    □ : 주택 구내 또는 도로에 접한 면에 룸에어컨디셔너, 아이스박스, 진열장, 자동판매기

         등 전동기를 부품으로 한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 사람이 조작하고자 하는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장소보다 전기적인 조건이 나쁜 장소

       에서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적 조건이 나쁜 장소에 시설된 것으로 취급한다.

  (1) 도면에서 CVCF는 무엇인지 우리말로 그 명칭을 쓰시오. 정전압정주파수 전원공급장치

  (2) 건전피더 ELB2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2는 몇 [mA]인가 ?

  (3) 누전차단기 ELB1, ELB2 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격감도전류 몇

       [mA] 범위의 것을 선정하여야 하는가 ?

  (4) 누전 차단기의 시설 예에 대한 표의 빈칸에 O, △, □를 표현하시오.

기계기구의
전로의 설치장소
대지전압
옥내
옥측
옥외
물기가
있는
장소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 장소
우선내
우선외
150[V] 이하
-
-
-
O
150[V] 초과
300[V] 이하
O
-
O
O
O

 

[답안작성]

  (2) 건전피더 ELB2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2는 몇 [mA]인가 ?

 

(3) 누전차단기 ELB1, ELB2 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격감도전류 몇

    [mA] 범위의 것을 선정하여야 하는가 ?

  ① 부하 1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② 부하 2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20. ASS와 인터럽트 스위치

 ▣ 간이 수변전 설비에서는 1차측 개폐기로 ASS (Auto Section Switch)나 인터럽트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 두 스위치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1) ASS (Automatic Section Switch) : 무전압시 개방이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고장 구분 개폐기로 돌입전류 억제기능이 있다.

  (2) 인터럽트 스위치 : 수동 조작만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없고 돌입전류

       억제 기능을 갖고 있지 않으며 용량 300[kVA] 이하에서 ASS 대신에 주로 사용할고 있다.

 

21. 보호계전시스템 - 주보호와 후비보호

  ▣ 일반적으로 보호계전 시스템은 사고시의 오동작이나 부작동에 따른 손해를 줄이기 위해

      그림과 같이 주보호와 후비보호로 구성된다. 각 사고점 (F1, F2, F3, F4)별 주보호 및

      후비보호 요소들의 보호계전기와 해당 CB를 빈칸에 쓰시오.

 
사고점
주보호
후비보호
F1
OC1+CB1 and OC2+CB2
① OC12+CB12 and OC13+CB13
F2
② RDf1+OC4+CB4, OC3+CB3
③ OC1+CB1 and OC2+CB2
F3
④ OC4+CB4 and OC7+CB7
⑤ OC3+CB3 and OC6+CB6
F4
⑥ OC8+CB8
⑨ OC4+CB4 and OC7+CB7

 

22. 금속관의 명칭과 특징

 ▣ 아래 표에서 금속관 부품의 특징에 해당하는 명칭을 쓰시오

부품명
특 징
① 로크너트
관과 박스를 접속할 때 파이트 나사를 죄어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며
6각형과 기어형이 있다.
② 부싱
전선 관단에 끼우고 전선을 넣거나 빼는데 있어서 전선의 피복을 보호하여 전선이 손상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 금속제와 합성수지제의 2종류가 있다.
③ 커플링
금속관 상호 접속 또는 관과 노멀밴드와의 접속에 사용되며 내면에
나사가 있으며 관의 양측을 돌리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유니온 커플
링을 사용한다.
④ 새들
노출배관에서 금속관을 조영재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며 합성수지 전선관, 가요전선관, 케이블 공사에도 사용된다.
⑤ 노멀밴드
배관의 직각 굴곡에 사용하며 양단에 나사가 나있어 관과 접속에는
커플링을 사용한다.
⑥ 링리듀서
금속관을 아웃렛 박스에 노크아웃에 취부할 때 노크아웃의 구멍이 관
의 구멍보다 클 때 사용된다.
⑦ 스위치박스
매입형의 스위치나 콘센트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며 1개용, 2개용, 3개
용 등이 있다.
⑧ 아웃렛박스
전선관 공사에 있어 전등기구나 점멸기 또는 콘센트의 고정, 접속함으로 사용되며 4각 및 8각이 있다.

 

23. 허용전압강하 및 전선의 굵기

 ▣ 3상 4선식 교류 380[V], 50[kVA] 부하가 변전실 배전반에서 270[m]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허용전압강하는 얼마이며 이 경우 배전용 케이블의 최소 굵기는 얼마로 하여야하는지 계산하시오.

     단, 전압강하는 한국전기설비규정에 의거하며, 설비유형은 저압으로 수전하는 경우이다.

 (1) 허용 전압강하를 계산하시오.

   ▣ 전압강하율 = 5[%]+(270-100) × 0.005[%] =5.85 [%]

                        100[m]를 넘는 부분의 증가분이 0.85[%] dlamfh (0.5[%]를 넘으므로) 증가분은

                         0.5[%]까지만 적용한다. 따라서 적용 전압강하율 = 5+0.5 = 5.5[%]

    ∴ 전압강하 e = 380 × 0.055 = 20.9[V]

 (2) 케이블의 굵기를 선정하시오.

 

 

 

반응형
반응형

 

1. 도로조명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노면 전체에 가능한 한 높은 휘도로 조명할 수 있을 것

  ② 조명의 눈부심 (글래어(Glare))가 적을 것

  ③ 도로 양측의 보도, 건축물 등이 높은 조도로 충분히 밝게 조명할 수 있을 것

  ④ 조명의 광색, 연색성이 좋을 것

  ⑤ 휘도의 차이에 따른 균제도(최대, 최소)를 확보할 것

  ⑥ 주간에 도로의 풍경을 손상하지 않는 디자인으로 할 것

 

2. 콘덴서 돌입 전류

 ▣ 콘덴서의 회로에 제3고조파의 유입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덴서 용량의

      13[%]인 직렬 리액터를 설치하고자 한다. 이 경우 투입시의 전류는 콘덴서의 정격전류

      (정상시 전류)의 몇 배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가 ?

 

3. 설비 부하 평형 시설

 ▣ 내선규정 1410-1 설비 부하 평형의 시설

    저압, 고압 및 특고압수전의 3상 4선식에서 불평형 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 부하로

    계산하여 설비불평형률을 30%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이 제한에 따르지 않을 수 있다.

  ① 저압수전에서 전용변압기 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②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kW) 이하의 단상 부하인 경우

  ③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단상부하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kW)이하인 경우

  ④ 특고압수전에서 100[kVA](kW) 이하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하는 경우

 

4. 22.9[kV] 간이 수전설비 결선도

 

  ▣ 그림과 같은 간이 수전 설비에 대한 결선도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2.9[kV] 간이 수전설비 결선도

 가. 수전실의 형태를 Cubicle Type으로 할 경우 고압반 (HV : High voltage)과

     저압반(LV : Low Voltage)은 몇개 면으로 구성되는지 구분하고, 수용되는 기기의

     명칭을 쓰시오.

 나. 도면에 표시된 ①, ②, ③ 기기의 최대 설계전압과 정격전류를 쓰시오.

 다. ④, ⑤ 차단기의 용량 (AF, AT)은 어느 것을 선정하면 되겠는가 ?

 

【문제풀이】

 가. 수전실의 형태를 Cubicle Type으로 할 경우 고압반 (HV : High voltage)과

      저압반(LV : Low Voltage)은 몇개 면으로 구성되는지 구분하고, 수용되는 기기의

      명칭을 쓰시오.

    ※ 큐비클의 면을 구성하는 기기를 알아 보자.

  ① ASS는 인입구 옥외에 설치하므로 큐비클의 면 구성에서는 제외 된다.

  ② 피뢰기와 전력퓨즈는 하나의 면으로 구성된다.

      MOF(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는 하나의 면으로 구성된다.

      변압기와 COS, 전력퓨즈는 하나의 면으로 구성된다.

   ∴ 따라서 고압반은 LA+PF, MOF, Tr+COS (PF) 2면으로 총 4면으로 구성되고

      저압반은 ACB(기중차단기)와 MCCB(배선용차단기)가 각각 하나의 면으로 구성된다.

구 분
면수
수용기기
고압반
4면
전력퓨즈, 피뢰기, 전력수급용계기용변성기, 컷아웃스위치,
동력용 변압기, 전등용 변압기
저압반
2면
기중 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나. 도면에 표시된 ①, ②, ③ 기기의 최대 설계전압과 정격전류를 쓰시오.

 ① ASS : 자동고장구분개폐기

   ⊙ 설계최대전압 : 25.8 [kV]

   ⊙ 정격전류 : 200[A]

 ② LA : 피뢰기

   ⊙ 설계최대전압 : 18[kV]

   ⊙ 정격전류 : 2,500[A]

 ③ COS : 컷아웃스위치

   ⊙ 설계최대전압 25[kV]

 

  ※ cos 의 정격전류는 변압기 1차 전류의 1.5~2배로 적용한다.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1.5배를 적용한다.

 

▣ ASS (자동고장구분개폐기)

 ① 22.9[kV-Y] 특고압 수용가의 책임분계점 구분 개폐기 및 수전설비 보호장치로

     1000[kVA] 이하에서 사용한다.

 ② 정격전류

   ⊙ 200[A] : 배전계통에서 부하용량 7,000[kVA] 이하의 수전실 인입구

   ⊙ 400[A] : 배전계통에서 부하용량 8,000[kVA] 이하의 수전실 인입구

 

▣ 특고압 컷아웃스위치 (COS : Cut Out Switch)

  ⊙ 정격전압 : 25[kV]

  ⊙ 정격전류 (연속통전전류) : 100 [A]

 

다. ④, ⑤ 차단기의 용량 (AF, AT)은 어느 것을 선정하면 되겠는가 ?

 

5. 배전선 전압조정 방법 3가지

 ① 자동전압조정기 (SVR : Static Voltage Regulator 정지형 전압조정기

                            IR : Induction Regulator 유도전압조정기

 ② 승압기

 ③ 병렬콘덴서 : 선로의 무효전력을 흡수하여 전압강하 방지

 

6. 연축전지 사용중 고장현상

 

 (1) 전체 셀의 전압 불균일이 크고 비중이 낮다.

 (2) 전체 셀의 비중이 높다.

 (3)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그냥 두어도 다량으로 가스가 발생한다.

 

[답안작성]

 (1) 전체 셀의 전압 불균일이 크고 비중이 낮다.

   ▣ 충전부족으로 장기간 방치한 경우

 (2) 전체 셀의 비중이 높다.

   ▣ 증류수가 부족한 경우 (액면 저하로 극판 노출)

 (3)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그냥 두어도 다량으로 가스가 발생한다.

   ▣ 전해액에 불순물의 혼입

< 해설 >

  ▣ 축전지 고장의 원인과 현상

현 상
추정원인
초기
고장
⊙ 전체 셀 전압의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 사용개시 시의 충전 보충 부족
⊙ 전지 전압의 비중 저하, 전압계의 역전
⊙ 역접속
사용중
고장
⊙ 전체 셀 전압의 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 충전부족으로 장시간 방치
⊙ 어떤 셀만의 전압, 비중이 극히 낮다.
⊙ 국부 단락
⊙ 전체 셀의 비중이 높다
⊙ 전압은 정상
⊙ 액면저하
⊙ 보수시 묽은 황산의 혼입
⊙ 충전중 비중이 낮고 전압은 높다.
⊙ 방전 중 전압은 낮고 용량이 감퇴한다.



⊙ 방전상태에서 장기간 방치
⊙ 충전부족의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
⊙ 극판 노출
⊙ 불순물 혼입
⊙ 전해액의 변색, 충전하지 않고 방치 중에도 다량
으로 가스가 발생한다.
⊙ 불순물 혼입

⊙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 충전전압이 높다
⊙ 실온이 높다.
⊙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 상승, 또는 소손





⊙ 충전장치의 고장
⊙ 과충전
⊙ 액면저하로 인한 극판의 노출
⊙ 교류 전류의 유입이 크다.

 

7. 교류용 적산전력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잠동(Creeping)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고 잠동을 막기 위한 유효한 방법을

     2가지만 쓰시오.

 가. 잠동현상

   ▣ 무부하 상태에서 정격 주파수 및 정격전압의 110[%]를 인가하여 계기의 원판이

       1회전 이상 회전하는 현상

 나. 방지대책

  ▣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2) 적산전력계가 구비해야 할 특성 5가지를 쓰시오.

  ① 옥내 및 옥외에 설치가 적당할 것

  ② 온도나 주파수 변화에 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기계적 강도가 클 것

  ④ 부하특성이 좋을 것

  ⑤ 과부하내량이 클 것

 

8. 누전차단기의 정격 감도 전류

 

 ▣ 그림은 누전차단기를 적용하는 것으로 CVCF 출력단의 접지용 콘덴서 C0 = 6[μF]이고,

     부하측 라인필터의 대지 정전용량 C1 = C2 = 0.1 [μF], 누전차단기 ELB1에서 지락점

     까지의 대지정전용량 CL1 = 0 (ELB1의 출력단에 지락발생 예상), ELB2 에서 부하까지

     케이블 대지 정전용량 CL2 =0.2 [μF] 이다. 지락저항은 무시하며, 사용전압은 200[V],

     주파수는 60[Hz]인 경우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누전차단기 지락전류

[조건]

① ELB1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1은 약 822.74[mA] (Ig1 = 2πfCE에 의하여 계산)이다.

② 누전차단기는 지락시의 지락전류의 1/3에 동작 가능하여야 하며, 부동작 전류는 건전

    피더(Feeder)에 흐르는 지락전류의 2배 이상의 것으로 한다.

③ 누전차단기의 시설 구분에 대한 표시 기호는 다음과 같다.

   O :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곳

   △ : 주택에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할 곳

   □ : 주택 구내 또는 도로에 접한 면에 룸에어컨디셔너, 아시스 박스, 진열장, 자동판매기

         전동기를 부품으로 한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것

         바람직 하다.

   ※ 사람이 조작하고자 하는 기계기구를 시설한 장소보다 전기적인 조건이 나쁜 장소에서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적 조건이 나쁜 장소에 시설된 것으로 취급한다.

 (1) 도면에서 CVCF는 무엇인지 우리말로 그 명칭을 쓰시오.

 (2) 건전피더 ELB2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2는 몇 [mA]인가 ?

 (3) 누전차단기 RLB1, ELB2 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격감도전류 몇

      [mA] 범위 안의 것을 선정하여야 하는가 ?

 (4) 누전차단기의 시설 예에 대한 표의 빈칸에 O, △, □ 를 표현하시오.

기계기구의
전로의 시설장소
대지전압
옥내
옥측
옥외
물기가
있는장소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장소
우선내
우선외
150[V] 이하






150[V] 초과
300[V] 이하






【문제풀이】

 ▣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의 흐름을 알아 보자.

  < 부하1 라인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

  ⊙ 지락전류는 지락점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는데 지락전류는 2갈레로 나뉘어 진다.

     하나는 대지를 통하여 C0 를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고 다른 하나는 C2를 통하여

     부하 라인(ELB2)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한다. 따라서 ELB1의 지락전류는 이 두

     지락전류를 합한 전류값이 되고 ELB2의 지락전류는 Ig 하나만 흐르게 된다.

 

 < 부하2 라인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1

⊙ 지락전류는 지락점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는데 지락전류는 2갈레로 나뉘어 진다.

    하나는 대지를 통하여 C0 를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고 다른 하나는 C1를 통하여

    부하 라인(ELB1)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한다. 따라서 ELB2의 지락전류는 이 두

    지락전류를 합한 전류값이 되고 ELB1의 지락전류는 Ig 하나만 흐르게 된다.

 

[답안작성]

(1) 도면에서 CVCF는 무엇인지 우리말로 그 명칭을 쓰시오.

     정전압 정주파수 공급장치

(2) 건전피더 ELB2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2는 몇 [mA]인가 ?

 

(3) 누전차단기 RLB1, ELB2 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격감도전류 몇

    [mA] 범위 안의 것을 선정하여야 하는가 ?

가. 부하1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

 

나. 부하2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

 

다. 동작전류 (지락전류의 1/3)

 

라. 부동작 전류 (건전피더 지락전류의 2배)

 

(4) 누전차단기의 시설 예에 대한 표의 빈칸에 O, △, □ 를 표현하시오.

기계기구의
전로의 시설장소
대지전압
옥내
옥측
옥외
물기가
있는장소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장소
우선내
우선외
150[V] 이하
-
-
-
150[V] 초과
300[V] 이하
o
-
o
o
o

 

<해설>

KEC 211.2.4 누전차단기의 시설

 ▣ 전원의 자동차단에 의한 저압전로의 보호대책으로 누전차단기를 시설해야 할 대상은

     다음과 같다.

 가.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 5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

     해당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① 기계·기구를 발전소 · 변전소 ·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② 기계기구를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③ 대지전압이 150[V] 이하인 기계기구를 물기가 있는 곳 이외의 곳에 시설하는 경우

 나. 주택의 인입구 등 이 규정에서 누전차단기 설치를 요구하는 전로

 다. 특고압전로, 고압전로 또는 저압전로와 변압기에 의하여 결합되는 사용전압 400[V]

      초과의 저압전로 또는 발전기에서 공급하는 사용전압 400 [V] 초과의 저압전로 (발전

      및 변전소와 이에 준하는 곳에 있는 부분의 전로를 제외)

 

▣ 내선규정 1300 용어의 정의

  ⊙ 우선내 : 옥측의 처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선단에서 연직선에 대하여 45˚ 각도로

                 그은 선내의 옥측 부분으로 통상의 강우 상태에서 비를 맞지 않는 부분

  ⊙ 우선외 : 옥측에서 우선내 이외의 부분

 

9. 차단기의 트립방식을 4가지 쓰고 각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직류트립방식
보호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트립코일에 직류전류를 흘려 차단하는 방식
콘덴서트립
방식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상시 콘덴서를 충전해 두고 이 전압을 트립전원
으로 하여 차단하는 방식
전류트립방식
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2차 전류를 트립코일에 흘려 차단하는 방식
부족전압
트립방식
부족전압 개폐장치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의 저항에 따라 차단하는
방식

 

10. 무정전전원공급장치 UPS

(1) Bypass Transformer 를 설치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 UPS 축전지의 점검 보수 및 고장시에도 부하에 연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함

(2) 전원장치인 UPS, CVCF, VVVF 장치에 대한 비교표를 다음과 같이 구성할 때 빈칸을

   채우시오. 단, 출력전원에 대하여는 가능은 O, 불가능은 × 로 표시하시오.

구 분
UPS
CVCF
VVVF
우리말 명칭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
전전압 정주파수
공급장치
가변전압 가변
주파수 공급장치
주회로 방식
전압형 인버터
전압형 인버터
전류형 인버터
스위칭
방식
컨터버
PMW 또는
위상제어
PMW 제어
PMW 또는
위상제어
인버터
PMW 제어
PMW 제어
PMW 제어
주회로
디바이스
컨버터
IGBT
IGBT
IGBT
인버터
IGBT
IGBT
IGBT
출력
전압
무정전
O
X
X
정전압
정주파수
O
O
X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X
X
O

 

11. 154[kV] 수전설비 단선결선도

 [문제] 도면은 어느 154[kV] 수용가의 수전설비 단선 결선도의 일부분이다. 주어진 표와

         도면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변압기 2차 부하설비용량이 51[MW], 수용률이 70[%], 부하역률이 90[%]일 때

     도면의 변압기 용량은 몇 [MVA]가 되는가 ?

 (2) 변압기 1차측 DS의 정격전압은 몇 [kV]인가 ?

 (3) CT1의 비는 얼마인지를 계산하고 표에서 선정하시오.

 (4) GCB의 정격전압은 몇 [kV]인가 ?

 (5) 변압기 명판에 표시되어 있는 OA/FA 의 뜻을 설명하시오.

 (6) GCB 내에 사용되는 가스는 주로 어떤 가스가 사용되는지 그 가스의 명칭을 쓰시오.

 (7) 154[kV] 측 LA의 정격전압은 몇 [kV]인가 ?

 (8) ULTC 의 구조상의 종류 2가지를 쓰시오.

 (9) CT5의 비는 얼마인지를 계산하고 표에서 산정하시오.

 (10) OCB 의 정격 차단전류가 23[kA]일 때, 이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몇 [kVA]인가 ?

 (11) 변압기 2차측 DS의 정격전압은 몇 [kV]인가 ?

 (12) 과전류 계전기의 정격부담이 9[VA]일 때 이 계전기의 임피던스는 몇 [Ω]인가 ?

 (13) CT7 1차 전류가 600[A]일 때 CT7의 2차에서 비율차동 계전기의 단자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

                                                CT의 정격

1차 정격전류 [A]
200
400
600
800
1200
2차 정격전류 [A]
5

 

 
154[kV] 수전설비 단선결선도

【 문제풀이 】

(1) 변압기 2차 부하설비용량이 51[MW], 수용률이 70[%], 부하역률이 90[%]일 때

     도면의 변압기 용량은 몇 [MVA]가 되는가 ?

 

(2) 변압기 1차측 DS의 정격전압은 몇 [kV]인가 ? 170[kV]

(3) CT1의 비는 얼마인지를 계산하고 표에서 선정하시오.

 

    ※ CT에는 여유율 적용 : 여유율 1.25 ~ 1.5

(4) GCB의 정격전압은 몇 [kV]인가 ? 170[kV]

(5) 변압기 명판에 표시되어 있는 OA / FA 의 뜻을 설명하시오.

    ▣ OA : 유입자냉식, FA : 유입풍냉식

(6) GCB 내에 사용되는 가스는 주로 어떤 가스가 사용되는지 그 가스의 명칭을 쓰시오.

    ▣ SF6 : 육불화황가스

(7) 154[kV] 측 LA의 정격전압은 몇 [kV]인가 ? 144[kV]

(8) ULTC 의 구조상의 종류 2가지를 쓰시오.

    ▣ 병렬구분식         ▣ 단일 회로식

   ※ ULTC : Under Load Tap changer

 
ULTC, OLTC

   ▣ ULTC : 부하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로서 전압의 조정범위는

                일반적으로 ± 10[%] 정도임

(9) CT5의 비는 얼마인지를 계산하고 표에서 산정하시오.

 

(10) OCB 의 정격 차단전류가 23[kA]일 때, 이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몇 [kVA]인가 ?

 

(11) 변압기 2차측 DS의 정격전압은 몇 [kV]인가 ? 25.8 [kV]

(12) 과전류 계전기의 정격부담이 9[VA]일 때 이 계전기의 임피던스는 몇 [Ω]인가 ?

 

(13) CT7 1차 전류가 600[A]일 때 CT7의 2차에서 비율차동 계전기의 단자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

 

    ※ 변압기 냉각방식 및 규격별 표시기호

냉각방식
규격별 기호표시
권선,철심 냉각매체
주위 냉각매체
IEC
ANSI
종류
순환방식
종류
순환방식
유입
변압기
유입자냉식
ONAN
OA
기름
자연
공기
자연
유입풍냉식
ONAF
FA
공기
강제
유입수냉식
ONWF
OW
강제
송유자냉식
OFAN

강제
공기
자연
송유풍냉식
OFAF
FOA
공기
강제
송유수냉식
OFWF
FOW
강제
몰드
변압기
건식 자냉식
AN
AA
공기
자연


건식 풍냉식
AF
AFA
강제


건식밀폐자냉식
ANAN
GA
자연
공기
자연
건식밀폐풍냉식
ANAF

강제
공기
강제

※ 변류기의 부담 (Burden)

 ① 변류기의 2차측 단자 혹은 3차측 단자에 접속되는 부하 임피던스

     (변류기 2차측 단자에 연결되는 모든 부하는 직렬로 연결됨)

 ② 변류기에 정격 2차 전류를 흘렸을 때 부하 임피던스에서 소비되는 피상전력 [VA]

 

12. 단락용량 경감 대책

 ▣ 전력계통의 발전기, 변압기 등의 증설이나 송전선의 신 · 증설로 인하여 단락 · 지락

     전류가 증가하여 송변전 기기의 손상이 증대되고, 부근에 있는 통신선의 유도장해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력

     계통의 단락용량의 경감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 대책을 3가지만 쓰시오.

   ① 고 임피던스 기기의 채용

   ② 한류 리액터의 사용

   ③ 계통분할 방식 채용

<해설>

 ▣ 단락용량 경감대책 (단란전류 억제대책)

  ① 고임피던스기기의 채용

    ⊙ 고임피던스 기기 채택시 임피던스가 커지면서 %임피던스의 증가로 단락용량 감소

    ⊙ 무효전력 손실 증가, 계통안정도 저하, 전압변동의 증가 등의 문제 발생

  ② 한류리액터의 사용

    ⊙ 계통의 임피던스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로 또는 모선측에 리액터를 접속하는 방법

    ⊙ 무효전력 손실 증가, 전압조정의 문제, 안정도 저하, 보호방식 및 재기전압 등의 문제 발생

  ③ 계통분할방식 채용

    ⊙ 단락전류의 집중을 피하기 위하여 변전소의 모선을 분할하여 송전선의 루프 회선수를

        줄이는 방법

 
계통분할, 계통연계

  ④ 격상전압 도입에 의한 계통분할

    ⊙ 상의 전압레벨의 계통을 도입하여 이를 기간계통으로 하고 문제의 하위계통은 방사형

       으로 분할하여 단락용량을 억제하는 방법

  ⑤ 직류연계에 의한 교류계통의 분할

    ⊙ 양쪽 계통을 직류로 연계 시 양쪽 계통의 전류를 억제하여 단락전류를 경감

    ⊙ 동작특성, 신뢰성, 경제성 등의 문제 발생

 

13. 전력개폐장치

 ▣ 다음의 표와 같은 전력개폐장치의 정상전류와 이상전류시의 통전, 개·폐 등의 기능

     유무를 빈칸에 표시하시오. 단, O : 가능, △ : 때에 따라 가능, X : 불가능

기구명치
정상전류
이상전류
통전
통전
투입
차단
차단기
O
O
O
O
O
O
퓨즈
O
X
X
X
X
O
단로기
O
X
O
X
X
개폐기
O
O
O
O
X

 

14. 접지저항 측정법 2가지

  ① 어스테스터(접지저항측정기)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법

  ② 콜라우시브리지에 의한 3극 접지저항 측정법

 

15. 과전류 계전기 (OCR)의 탭전류

  ▣ 2, 3, 4, 5, 6, 7, 8, 10, 12

 

16. 로직 시퀀스 회로

  ▣ 그림과 같은 로직 시퀀스 회로를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로직 시퀀스 회로

 (1) 주어진 도면을 점선으로 구획하여 3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하되, 입력회로 부분, 제어회로 부분,

     출력회로 부분으로 구획하고 그 구획단 하단에 회로의 명칭을 쓰시오.

(2) 로직 시퀀스 회로에 대한 논리식을 쓰시오.

(3) 주어진 미완성 타임차트와 같이 버튼 스위치 BS1과 BS2를 ON하였을 때의 출력에 대

     타임차트를 완성하시오.

 

【문제 풀이】

 

(1) 주어진 도면을 점선으로 구획하여 3단계로 구분하여 표시하되, 입력회로 부분, 제어회로 부분,

     출력회로 부분으로 구획하고 그 구획단 하단에 회로의 명칭을 쓰시오.

  <풀이> 푸쉬버튼으로 입력하게 되므로 입력회로 부분은 푸시버튼 부분이고 제어회로는

        논리식 부분이 제어회로이며, 출력은 최종 출력값 램프와 트랜지스터가 출력회로 부분이 된다.

 
시퀀스 제어회로, 논리회로

(2) 로직 시퀀스 회로에 대한 논리식을 쓰시오.

    X = (BS2 + X) BS1

 ※ 출력 X가 다시 입력으로 되돌아 오는 것은 자기유지 시퀀스 회로이다.

 

(3) 주어진 미완성 타임차트와 같이 버튼 스위치 BS1과 BS2를 ON하였을 때의 출력에 대

    타임차트를 완성하시오.

 ▣ 무접점 논리회로를 이해하기 어려우면 익숙한 유접점 회로 바꾸어 생각하면 타임차트를

     이해하는 것이 쉬울 수가 있다. 위 논리회로는 X에 의한 자기 유지회로를 나타내고 BS2

     ON 버튼이고 BS1은 OFF 버튼이다.

 ▣ 위 논리회로를 유접점회로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유접점회로

   ※ 위 회로에서 X에 의하여 ON버튼 자기유지가 되고 X = Tr 즉 X =1 이면 Tr은 도통이

       되어 트랜지스터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램프가 켜지게 된다.

  ▣ 트랜지스터 Tr은 베이스가 "1"이 되면 도통하게 되고 +VC와 -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전류의 흐름에 의해 램프에 불이 들어 오게 된다.

 

▣ 또한 B = X 이며 출력값이 다시 입력값이 되어 자기유지가 되고 트랜지스터 Tr은 베이

    즉 X = 1이 되면 도통이 될어 출력값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X = Tr 이 된다.

▣ 이상의 사항들을 종합하여 타임차트를 완성하면 다음과 같다.

 
타임차트

17. 부하의 상정

 ▣ 내선규정 3315-1 부하의 상정

  1. 배선을 설계하기 위한 전등 및 소형 전기기계기구의 부하용량 산정

   가. 건축물의 종류에 대응한 표준부하

건축물의 종류
표준부하 (VA/㎡)
공장, 공회당, 사원, 교회, 극장, 영화관, 연회장 등
10
기숙사, 여관, 호텔, 병원, 학교, 음식점, 다방, 대중목욕탕
20
사무실, 은행, 상점, 이발소, 미용원
30
주택, 아파트
40

 

나. 건축물(주택, 아파트를 제외) 중 별도 계산할 부분의 표준부하

건축물의 부분
표준부하 (VA/㎡)
복도, 계단, 세면장, 창고, 다락
5
강당, 관람석
10

 

다. 표준부하에 따라 산출한 값에 가산하여야 할 VA수

   ① 주택, 아파트(1세대 마다)에 대하여 500~1,000 [VA]

   ② 상점의 진열장에 대하여는 진열장 폭 1[m]에 대하여 300[VA]

   ③ 옥외의 광고등, 전광사인, 네온사인 등의 VA수

   ④ 극장, 댄스홀 등의 무대조명, 영화관 등의 특수전등부하의 VA 수

라. 제1항 이외의 부하상정은 설치하는 전기기계기구의 부하용량에 따라 개별 산출

 

▣ 내선규정 3315-3 분기회로 수

 1. 대형전기기계기구에 대하여는 별도로 전용 분기회로를 만들 것

 2. 대형전기기계기구 : 공칭전압 220[V]는 3[kW]이상, 110[V]는 1.5[kW]

    ※ 대형전기기계기구 : 대형전기기계기구란 정격 소비전력 3[kW] 이상의 가정용

                                 전기기계기구를 말한다.

    ※ 가정용 전기기계기구 : 라디오, 텔레비젼, 선풍기, 전기냉장고, 전기세탁기, 전기난로,

                                     전기다리미, 전기스탠드 및 기타 이와 유사한 것으로 주로 가정용에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백열전등, 방전등 및 배선기구는 포함하지 않는다.

 

 

반응형
반응형

♠ 누전차단기의 정격 감도 전류

 ▣ 그림은 누전차단기를 적용하는 것으로 CVCF 출력단의 접지용 콘덴서 C0 = 6[μF]이고,

     부하측 라인필터의 대지 정전용량 C1 = C2 = 0.1 [μF], 누전차단기 ELB1에서 지락점

     까지의 대지정전용량 CL1 = 0 (ELB1의 출력단에 지락발생 예상), ELB2 에서 부하까지

     의 케이블 대지 정전용량 CL2 =0.2 [μF] 이다. 지락저항은 무시하며, 사용전압은 200[V],

     주파수는 60[Hz]인 경우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누전차단기 정격 감도전류

[조건]

① ELB1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1은 약 822.74[mA] (Ig1 = 2πfCE에 의하여 계산)이다.

② 누전차단기는 지락시의 지락전류의 1/3에 동작 가능하여야 하며, 부동작 전류는 건전

    피더(Feeder)에 흐르는 지락전류의 2배 이상의 것으로 한다.

③ 누전차단기의 시설 구분에 대한 표시 기호는 다음과 같다.

   O :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곳

   △ : 주택에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할 곳

   □ : 주택 구내 또는 도로에 접한 면에 룸에어컨디셔너, 아시스 박스, 진열장, 자동판매기

         전동기를 부품으로 한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것

         바람직 하다.

   ※ 사람이 조작하고자 하는 기계기구를 시설한 장소보다 전기적인 조건이 나쁜 장소에서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적 조건이 나쁜 장소에 시설된 것으로 취급한다.

(1) 도면에서 CVCF는 무엇인지 우리말로 그 명칭을 쓰시오.

(2) 건전피더 ELB2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2는 몇 [mA]인가 ?

(3) 누전차단기 RLB1, ELB2 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격감도전류 몇

     [mA] 범위 안의 것을 선정하여야 하는가 ?

(4) 누전차단기의 시설 예에 대한 표의 빈칸에 O, △, □ 를 표현하시오.

 
기계기구의
전로의 시설장소
대지전압
옥내
옥측
옥외
물기가
있는장소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장소
우선내
우선외
150[V] 이하
 
 
 
 
 
 
150[V] 초과
300[V] 이하
 
 
 
 
 
 

 

【문제풀이】

 ▣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의 흐름을 알아 보자.

  < 부하1 라인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누전차단기 지락전류

  ⊙ 지락전류는 지락점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는데 지락전류는 2갈레로 나뉘어 진다.

      하나는 대지를 통하여 C0 를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고 다른 하나는 C2를 통하여

      부하 라인(ELB2)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한다. 따라서 ELB1의 지락전류는 이 두

      지락전류를 합한 전류값이 되고 ELB2의 지락전류는 Ig 하나만 흐르게 된다.

 

  < 부하2 라인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

⊙ 지락전류는 지락점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는데 지락전류는 2갈레로 나뉘어 진다.

     하나는 대지를 통하여 C0 를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고 다른 하나는 C1를 통하여

     부하 라인(ELB1)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한다. 따라서 ELB2의 지락전류는 이 두

     지락전류를 합한 전류값이 되고 ELB1의 지락전류는 Ig 하나만 흐르게 된다.

 

[답안작성]

 (1) 도면에서 CVCF는 무엇인지 우리말로 그 명칭을 쓰시오.

     정전압 정주파수 공급장치

 (2) 건전피더 ELB2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2는 몇 [mA]인가 ?

(3) 누전차단기 RLB1, ELB2 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격감도전류 몇

     [mA] 범위 안의 것을 선정하여야 하는가 ?

 

가. 부하1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

 나. 부하2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

 

다. 동작전류 (지락전류의 1/3)

라. 부동작 전류 (건전피더 지락전류의 2배)

 

(4) 누전차단기의 시설 예에 대한 표의 빈칸에 O, △, □ 를 표현하시오.

 
기계기구의
전로의 시설장소
대지전압
옥내
옥측
옥외
물기가
있는장소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장소
우선내
우선외
150[V] 이하
-
-
-
150[V] 초과
300[V] 이하
o
-
o
o
o

 

<해설>

KEC 211.2.4 누전차단기의 시설

▣ 전원의 자동차단에 의한 저압전로의 보호대책으로 누전차단기를 시설해야 할 대상은

    다음과 같다.

 가.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 5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

     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① 기계·기구를 발전소 · 변전소 ·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② 기계기구를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③ 대지전압이 150[V] 이하인 기계기구를 물기가 있는 곳 이외의 곳에 시설하는 경우

 나. 주택의 인입구 등 이 규정에서 누전차단기 설치를 요구하는 전로

 다. 특고압전로, 고압전로 또는 저압전로와 변압기에 의하여 결합되는 사용전압 400[V]

     초과의 저압전로 또는 발전기에서 공급하는 사용전압 400 [V] 초과의 저압전로 (발전소 및

     변전소와 이에 준하는 곳에 있는 부분의 전로를 제외)

▣ 내선규정 1300 용어의 정의

 ⊙ 우선내 : 옥측의 처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선단에서 연직선에 대하여 45˚ 각도로

    그은 선내의 옥측 부분으로 통상의 강우 상태에서 비를 맞지 않는 부분

 ⊙ 우선외 : 옥측에서 우선내 이외의 부분

우선내, 우선외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