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접지극
① 콘크리트에 매입된 기초 접지극
② 토양에 매입된 기초 접지극
③ 토양에 직접 수평, 수직으로 직접 매입한 금속체
④ 케이블의 금속체 외장 지중의 구조면
⑤ 대지에 매설된 철근 콘크리트
2. 피뢰기 설치 장소
① 발전소 ·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②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및 특고압측
③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으로 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④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3. ASS의 LOCK 전류값과 LOCK 전류의 기능
① ASS의 Lock 전류값 : 800 ± 10 [%]
② LOCK 전류의 기능 : 정격차단전류 (900[A]) 이상의 고장 발생시 개폐를 보호하면서
전류가 LOCK 전류 (800±10[%]) 이상인 경우는 개폐기는 LOCK되며, 후비보호
장치의 차단에 의해 고장전류가 제거된 후 무전압 상태에서 ASS가 차단된다.
4. PF (한류퓨즈)의 단점 2가지
① 재투입 할 수 없다. ② 과전류에서 용단될 수 있다.
(그외) 동작시간 - 전류 특성을 계전기처럼 자유로이 조정 불가능하다.
④ 용단해도 차단되지 않는 전류 범위를 가진 것이 있다.
⑤ 차단시에 이상 전압이 발생한다.
⑥ 고임피던스 접지계통의 지락보호는 불가능하다.
5. MOF의 과전류 강도
▣ "MOF의 과전류 강도는 기기 설치점에서 단락전류에 의하여 계산 적용하되,
22.9[kV]급으로서 60[A] 이하의 MoF 최소 과전류 강도는 전기사업자규격에 의한
(① 75)배로 하고, 계산한 값이 75배 이상인 경우에는 (② 150)배를 적용하며,
60[A]를 초과시 MOF의 과전류 강도는 (③ 40)배로 적용한다."
6. 선간단락 전류
7. 코니스 조명
▣ 설계자가 크기, 형상 등 전체적인 조화를 생각하여 형광등 기구를 벽면 상방 모서리에
숨겨서 설치하는 방식으로 기구로부터의 빛이 직접 벽면을 조명하는 건축화 조명
8. 과전류 강도
▣ 정격 과전류 강도(Sn), 통전시간(t)일 때 열적 과전류 강도는 ?
▣ 변류기의 기계적 과전류 : 정격과전류에 상당하는 1차 전류의 2.5배에 상당하는 초기
최대순시값을 갖는 과전류를 흘려 이에 견디어야 한다.
9. 손실계수와 평균 손실
10. 단상 유도전동기의 역회전 방법
▣ 반발기동형 : 브러시 위치를 이용한다.
▣ 분상기동형 : 기동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한다.
▣ 셰이딩 코일형 : 역회전이 불가능하다.
11. 착공신고서 제출 서류
① 시공관리책임자 지정통지서 ② 공사 예정공정표 ③ 품질관리계획서
④ 공사 도급계약서 사본 및 산출내역서 ⑤ 공사시작전 사진
⑥ 현장기술자 경력사항 확인서 및 자격증 사본 ⑦ 안전관리계획서
⑧ 작업인원 및 장비 투입 계획서 ⑨ 그밖에 발주자가 지정한 사항
12. 퓨즈의 정격사항
계통전압 [kV]
|
퓨즈의 정격
|
퓨즈 정격전압 [kV]
|
최대 설계전압 [kV]
|
6.6
|
6.9 또는 7.5
|
8.25
|
13.2
|
15
|
① 15.5
|
22 또는 22.9
|
23
|
② 25.8
|
66
|
69
|
④ 72.5
|
154
|
⑤ 161
|
169
|
13. 특고압 및 전압 차단기
① 특고압 차단기 : OCB(유입차단기), GCB(가스차단기), VCB (진공차단기) MBB (자기차단기), ABB (공기차단기)
② 저압 차단기 : 기중차단기 (ACB), 배선용차단기 (MCCB), 누전차단기 (ELB)
14. 옥내용 변류기의 습도상태
① 24시간 동안 측정한 상대 습도의 평균값은 (95) %를 초과하지 않는다.
② 24시간 동안 측정한 수증기압의 평균값은 (2.2)kPa을 초과하지 않는다.
③ 1달동안 측정한 상대 습도의 평균값은 (90) % 를 초과하지 않는다.
④ 1달 동안 측정한 수증기압의 평균값은 (1.8) kPa를 초과하지 않는다.
15. 설계감리의 기성 및 준공시 준공서류중 감리기록서류 5가지
① 설계감리일지 ② 설계감리지시부 ③ 설계감리기록부 ④ 설계감리요청서 ⑤ 설계자와 협의사항 기록부
16. "단락비가 큰 발전기는 자속수가 (① 증가하고) 효율은 (② 낮고), 안정도는(③ 높다)
17. 자기여자 현상
▣ 전동기에 개별로 콘덴서를 설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자기여자 현상 이유와 현상
① 이유 : 콘덴서 전류가 전동기의 무부하 전류보다 큰 경우 발생
② 현상 : 전동기의 단자전압이 일시적으로 정격전압을 초과하는 현상
18. Control TR (제어용 변압기)의 설치 목적은 ? 고전압을 제어회로에 필요한 저전압으
로 변환하여 제어기기의 조작전원으로 공급한다.
19. 방폭구조
① 방폭형 전동기 : 지정된 폭발성 가스 중에서 사용에 적합하도록 특별히 고려된 전동기
② 전기설비의 방폭구조 3가지 : 내압방폭구조, 유입방폭구조, 압력방폭구조, 본질안전방폭구조,
안전증방폭구조, 특수방폭구조, 몰드방폭구조
20. 경제적 송전전압 : Still 식 ※ 선로%임피던스 공식과 같이 단위 k 단위
21. 전력계통의 단락용량 경감 대책
① 고임피던스 기기 채용 ③ 한류 리액터 사용 ③ 계통분할 방식
22. 시운전이 필요한 경우 발주자에게 30일 전에 제출할 서류
① 시운전 일정 ② 시운전 항목 및 종류 ③ 시운전 절차 ④ 시험장비 확보 및 보정
⑤ 기계, 기구 사용 계획 ⑥ 운전요원 및 검사요원 선임 계획
23. 조명 광원의 발광 원리 3가지
① 온도 방사 ② 전기 루미네센스 ③ 전계 루미네센스 ④ 방사 루미네센스
24. AISS 가. 명칭 : 기중 절연형 자동 고장구분 개폐기
나. 용도 : ①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개폐하여 사고 확산 방지
② 전부하 상태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하여 과부하 보호
다. 피뢰기 (22.9[kV] 배전선)의 정격방전전류 : 2,500[A]
DISC 용도 : 피뢰기 고장시 개방되어 피뢰기를 대지로 부터 분리
라. MOF의 정격
마. Mold TR 의 장점 및 단점 2가지씩
장점
|
단점
|
① 난연성 우수 ② 소형 경량화 가능
③ 절연의 신뢰성 향상
④ 내진 및 내습성 우수
⑤ 유입변압기에 비해 보수점검 용이
|
① 내전압이 낮아 서지에 대한 대책 필요
② 가격이 고가
③ 수지층 차폐물이 없으므로 운전 중 코일
표면과 접촉하면 위험하다.
|
전선의 종류
|
시설장소
|
옥내
|
옥측
|
사용전압
|
400[V]
이하
|
400[V]
초과
|
400[V]
이하
|
400[V]
초과
|
비닐절연비닐캡타이어케이블
|
△
|
X
|
△
|
X
|
고무절연 클로로프랜캡타이케이블
|
O
|
O
|
O
|
O
|
[참고] O : 사용할 수 있다.
△ : 노출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X : 사용할 수 없다.
26. 용어
① Y-△ 기동은 기동전압은 정격전압의 1/√3 배, 기동전류는 1/3배로 감소시켜
기동특성을 개선한 기동법이다.
② 뱅크 : 전로에 접속된 변압기 또는 콘덴서의 결선상 단위
② 수구 : 소켓, 리셉터클, 콘센트 등의 총칭
③ 한류퓨즈 (Fuse) : 단락전류를 신속히 차단하며 또한 흐르는 단락전류의 값을 제한하는 성질을 가지는 퓨즈
④ 접촉전압 : 사람이나 동물 등이 도전부에 접촉할 경우 작용하는 전압
27. 적산전력계(WHM) 회전 원판 회전수
▣ 전력전력계의 회전수를 구하는 전력은 수전전력이 아니라 적산전력계에 가해지는 전력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 적산전력계의 전력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수를 구하고 회전수를 통해 산정된 전력량에 승률을 곱하여
사용 전력량을 구하게 된다.
▣ 승률은 전력량계의 전력량을 실제 수전설비 사용량으로 환산해 주는 지수이다.
▣ 승률 = PT비 × CT비 이다.
28. 브릿지 정류회로 (플로우트레스 제어회로)
▣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릴레이에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공급
29. 물저항기 시험
① S2 ON : 과전류 계전기 한시 동작 시험
② S2 OFF : 과전류 계전기 동작 최소 전류 시험
30. 전자릴레이 장단점 5가지
가. 장점
① 과부하 내량이 크다. ② 온도특성이 좋다 ③ 가격이 싸다.
④ 전기적 잡음없이 입·출력을 분리할 수 있다. ⑤ 부하가 큰 전력을 인출할 수 있다.
나. 단점
① 소비전력이 크다. ②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③ 응답속도가 느리다.
④ 가동접촉부 수명이 짧다. ⑤ 충격, 진동에 약하다.
기계기구설치
전로 장소
대지전압
|
옥내
|
옥측
|
옥외
|
물기가
있는
장소
|
건조한
장소
|
습기가 많은장소
|
우선내
|
우선외
|
150 [V] 이하
|
X
|
X
|
X
|
□
|
○
|
O
|
150[V] 초과
300 [V] 이하
|
△
|
O
|
X
|
O
|
O
|
O
|
O : 누전차단기 시설할 것,
△ : 주택에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할 것
□ : 주택 구내 또는 도로에 접한 면에 룸에어컨디셔너, 아이스박스, 자동판매기 등 전동기
를 부품으로 한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X : 누전차단기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곳
32. CT 복선 결선도
33. 축전지
가. 부동충전방식 : 축전지의 자기 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
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
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방식
나. 알칼리 축전지의 장단점
<장점> ① 충방전 특성이 양호하다. ② 방전시 전압변동이 작다.
<단점> ① 연축전지에 비해 단자전압이 낮다.
34. 저압 옥내배선
전선의 종류
|
시설장소
|
옥내
|
옥측
|
사용전압
|
400[V]
이하
|
400[V]
초과
|
400[V]
이하
|
400[V]
초과
|
비닐절연비닐캡타이어케이블
|
△
|
X
|
△
|
X
|
고무절연 클로로프랜캡타이케이블
|
O
|
O
|
O
|
O
|
[참고] O : 사용할 수 있다.
△ : 노출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장소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X : 사용할 수 없다.
35. 자가용 발전설비 주요 검사항목 (3가지)
① 접지저항 측정 ② 절연저항 측정 ③ 절연내력 시험 ④ 외관 ⑤ 보호장치 시험
⑥ 계측장치 ⑦ 제어회로 동작 및 기기조작 시험 ⑧ 전선로 (5만볼트 이상)
36. 부하율
가. 부하율의 의미
▣ 어떤 기간 중 부하의 변동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나. 부하율이 적다는 의미
① 공급설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
② 평균수요전력과 최대수요전력과의 차가 커지게 되므로 부하설비의 가동율이 저하된다.
37. 고압 전동기의 조작용 배전반에는 어떤 계전기의 설비가 필용한가 . 2가지.
▣ 과부족 전압 계전기, 결상계전기
38. 저압 전로 중의 개폐기 시설
▣ 저압 전로중에 시설하는 개폐기는 부하용량에 적합한 크기의 개폐기를 각 극에 시설해야 한다.
▣ 분기회로 중 생략하여도 되는 곳 : 중선선, 접지도체에 연결된 선도체
39. 무부하 시험
▣ 무부하 시험은 작은 전압으로 시험하기 위해 저압측에 전압을 공급하고 고압측을 개방
한다. 유도전압조정기 (IR)이 있다는 것은 전압을 조정한다는 것이고 IR 뒤에는 승압용
변압기 즉 승압기를 설치한다.
40. 복도체, 다도체의 장단점 (3가지)
가. 장점 ① 송전용량 증가 ② 전압강하 감소 ③ 안정도 향상 ④ 코로나 손실 감소
※ 복도체, 다도체 : L 감소 ↓ , C 증가 ↑
나. 단점 ① 건설비 증가 ② 꼬임현상 및 소도체 사이에 충돌현상 발생
③ 단락시 대전류 등이 흐를 때 소도체 사이에 흡인력 발생
41. 기동보상기법 기동방식 : 기동시 전동기에 대한 인가 전압을 단권변압기로 감압하여
공급함으로써 기동전류를 억제하고 기동완료 후 전전압을 가하는 방식
42. 점멸기 그림 기호
43. 예비전원으로 시설하는 고압발전기에서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 반드시시설해야 하는 것들 4가지와 시설기준을 쓰시오.
가. 시설해야 할 것
① 개폐기 ② 과전류 차단기 ③ 전압계 ④ 전류계
나. 시설기준
① 각 극에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할 것
② 전압계는 각 상의 전압을 읽을 수 있도록 시설할 것
③ 전류계는 각 선 (중성선은 제외)의 전류를 읽을 수 있도록 시설할 것
44. 건식변압기 장점 4가지
①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②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③ 난연성, 자기소화성으로 화재 및 폭발의 우려가 적으므로 안정성이 높다.
④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45. 역률 과보상 현상 3가지
① 모선전압 상승 ② 재점호에 의한 전압 상승 ③ 계전기 오동작
<그외 > ④ 유도전동기 자기여자 현상 ⑤ 선로 및 변압기의 손실 증가
⑥ 전원설비의 여유용량 감소에 따른 과부하가 될 수 있다.
46. 도로 조명시 고려해야 할 사항
① 도로면 전체를 높은 평균 휘도로 조명할 수 있을 것
② 조명기구의 눈부심 (Glare)가 작을 것
③ 도로 양측 보도, 건축물의 전면 등이 높은 조도로 충분히 밝게 조명할 것
④ 조명의 광색, 연색성이 적절할 것
⑤ 휘도에 따른 균제도 (최대, 최소) 확보
⑥ 주간에 도로 풍경을 손상하지 않는 디자인으로 할 것
47. 균등충전 : 각 전해조에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해 1~3개월 마다 1회 10~12
시간 충전하는 방식
48. 부등률 : 부등률이 클 수록 공급설비가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고 경제성이 높아진다.
49. 전동기 기동 현장 조작반에서 MCC까지의 전선은?
▣ CCV : 0.6/1[kV] 제어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XLPE Insulated PVC sheathed Control Cable)
▣ CVV : 0.6/1[kV] 비닐절연 비닐 시스 제어 케이블PVC Insulated PVC sheathed Control Cable
※ DG : 지락방향 계전기 OVG : 지락과전압 계전기
50. 플리커 방지대책 (3가지씩)
가. 전원측 ① 전용계통으로 공급한다. ② 전용변압기로 공급한다. ③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나. 수용측 ① 전원계통의 리액터분을 보상하는 방법 ② 전압강하를 보상하는 방법
③ 부하의 무효전력 변동분을 흡수하는 방법
51. 그림기호
53. 피뢰기
① 피뢰기 구성요소 : 직렬갭과 특성요소 ② 피뢰기 정격전압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교류 최고 전압
③ 피뢰기 제한전압 : 피뢰기 방전중 피뢰기 단자에 남게 되는 충격전압
54. 간이수전설비 표준 결선도
①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는 것 : 피뢰기용 단로기(DS)
② 22.9[kV] 용 LA는 (Disconnector 또는 Isolator) 붙임형을 사용해야 한다.
③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시설하는 경우 공동주택 등 사고시 정전피해가 큰 수전설비
인입선은 예비선을 포함하여 몇 회선으로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 한가 ? 2회선 이상
④ 22.9[kV-Y] 지중 인입선은 어떤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 CNCV-W(수밀형), TR CNCV-W (트리 억제형)
⑤ 300[kVA] 이하인 경우 PF 대신 COS를 사용하였다. 이것의 비대칭 차단전류 용량은
몇 [kA]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10[kA]
55. △-△ 결선의 장단점
가. 장점 ①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내 순환하므로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② 1대가 고장이 나도 나머지 2대로 V결선을 하여 3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③ 상전류가 선전류의 1/√3배 이므로 대전류에 유리하다.
나. 단점 ① 중성점 접지를 할 수 없어 지락전류 검출이 어렵다.
②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전류는불평형이 된다.
56. 수전설비 전력계량계의 최대 눈금은 ?
▣ 최대수용전력 (수용부하, 변압기 용량)의 120~150 [%]의 여유를 둠
473.31 [kVA] × (1.2~1.5) = 567.96 ~ 709.95 [kW] 답 600[kW]
57. 단락비
▣ "단락비가 큰 교류발전기는 일반적으로 기계의 치수가 (① 크고), 가격이 (② 높고),
풍손, 마찰손, 철손이 (③ 크고), 효율은 (④ 낮고), 전압변동률은 (⑤ 적고), 안정도는
(⑥ 높다)에서 ( ) 안에 알맞은 말은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58. 설비불평형률을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
① 저압수전에서 전용 변압기로 수전하는 경우
②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 이하 단상부하인 경우
③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단상 부하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 이하인 경우
④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 이하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 하는 경우
59. 부등률과 수용률의 의미
① 부등률이 크다 : 최대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의 사용 시간대가 다르다.
② 수용률 : 수용설비가 동시간대 사용되는 정도
60. 차단기의 AF (Ampere Frame), AT (Ampere Trip)
① AF (Ampere Frame) : 차단기의 프레임 (외형) 용량으로 단락 등의 사고시 화재, 폭
발 등이 발생하지 않고, 프레임이 견딜 수 있는 최대전류이며, AF 이상이 되면 프레임
이 파손될 수 있음 . AF는 차단기의 외형의 크기를 결정함
② AT (Ampere Trip) : 차단기의 트립용량 (차단기가 동작하는 용량), 차단기가 안전하
게 통전할 수 있는 최대전류로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됨
※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의 영문 약자는 ? CV1
61. 콘덴서 회로의 과도 전류
▣ 콘덴서 회로에 콘덴서 용량의 13%의 직렬 리액터를 설치할 때 콘덴서에 흐르는
돌입전류는 콘덴서 정격전류의 몇배의 전류가 흐르는가 ?
62. COS, ACB, MCCB의 정격
① 22.9[kV], 200[kVA] 정격 : 25[kV]
63. 연축지 고장현상
① 전체 셀의 전압 불균일 크고 비중이 낮다. : 충전부족으로 장기간 방치한 경우
② 전체셀의 비중이 낮다 : 증류수가 부족한 경우 ( 액면 저하로 극판 노출)
③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그냥 두어도 다량의 가스가 발생한다. :전해액 불순물 혼입
64. 교류용 적산 전력계
가. 잠동현상 : 무부하 상태에서 정격 주파수 및 정격전압의 110[%]를 인가했을 때
계기의 원판이 1회전 이상 회전하는 현상
나. 방지대책 ①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②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다. 적산전력계가 구비해야 할 특징
① 옥내외 설치가 적당할 것 ② 온도나 주파수 변화에 보상이 될 것
③ 기계적 강도가 클 것 ④ 부하특성이 좋을 것 ⑤ 과부하 내량이 클 것
65. 차단기의 트립방식 4가지와 간단히 설명하시오.
① 직류 트립방식 : 보호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트립코일에 직류 전류를 흘려 차단하는 방식
② 콘덴서 트립방식 :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상시 콘덴서에 충전해 두고 이 전압을 트립전원 으로 하여 차단하는 방식
③ 전류트립방식 : 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변류기의 2차 전류를 트립코일에 흘려 차단하는방식
④ 부족전압 트립방식 : 부족전압 개폐장치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의 저하에 따라 차단하는 방식
66. UPS에 Bypass Transformer를 설치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이유?
① 회로의 절연
② UPS나 축전지의 점검 보수 및 고장시에도 부하에 연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해 주기 위함
※ 변압기의 기능
① 전압을 변성하여 준다.
② 1차측과 2차측의 회로를 구분하여 준다. (회로의 절연)
67. UPS, CVCF, VVVF
장치
구분
|
UPS
|
CVCF
|
VVVF
|
우리말 명칭
|
무정전전원
공급장치
|
전압전 정주파수
장치
|
가변전압 가변
주파수 장치
|
주회로 방식
|
전압형 인버터
|
전압형 인버터
|
전류형 인버터
|
스위칭
방식
|
컨버터
|
PWM또는
위상제어
|
PWM제어
|
PWM제어 또는
위상 제어
|
인버터
|
PWM제어
|
PWM제어
|
PWM제어
|
주회로
디바이스
|
컨버터
|
IGBT
|
IGBT
|
IGBT
|
인버터
|
IGBT
|
IGBT
|
IGBT
|
출력
접안
|
무정전
|
O
|
X
|
X
|
정전압
정주파수
|
O
|
O
|
X
|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
X
|
X
|
O
|
68. OA : 유입 자냉식, FA : 유입 풍냉식
ULTC 의 구조상 종류 : ① 병렬 구분식 ② 단일 회로식
69. 개폐장치
기구명칭
|
정상전류
|
이상전류
|
통전
|
개
|
폐
|
통전
|
개
|
폐
|
차단기
|
O
|
O
|
O
|
O
|
O
|
O
|
퓨즈
|
O
|
X
|
X
|
X
|
X
|
O
|
단로기
|
O
|
△
|
X
|
O
|
X
|
X
|
개폐기
|
O
|
O
|
O
|
O
|
△
|
X
|
O : 가능 △ : 때에 따라 가능 X : 불가능
70. 조명설비 깜박거림 현상 줄이는 방법
① 백열전등 : 직류를 사용하여 점등
② 3상 전원인 경우 : 전체 램프를 1/3씩 3군으로 나눠 각 군의 위상이 120˚가 되도록 접속하고 개개의 빛을 혼합한다.
③ 전구가 2개씩인 방전등 기구 : 2등용으로 하나는 콘덴서, 다른 하나는 코일을 설치하여위상차를 발생시켜 점등한다.
71. 건식변압기의 장점
①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②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③ 난연성, 자기 소화성으로 화재 및 폭발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
④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72. 단락전류 계산 목적 3가지
① 차단기의 용량결정 ② 보호계전기 정정 ③ 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 추정
73. 극수 변환 3상 유도 전동기가 있다. 고속측은 4극이고 정력출력은 30[kW]이다. 저속
측은 고속측의 1/3 속도라면 저속측의 극수와 정격출력은 얼마인가 ? 단, 슬립 및 정격
토크는 저속측과 고속측이 같다.
① 극수 : N =120f/P 속도 1/3이면 극수는 3배 즉 3 × 4 = 12극
② 정격출력 : τ =9.55 P/N [N·m] 토크 일정하면 출력은 속도와 비례 출력 = 30 × 1/3 = 10 [kW]
74. 고압회로용 진상 콘덴서 설비의 보호장치에 사용되는 계전기 3가지
① 과전압 계전기 ② 저전압 계전기 ③ 과전류 계전기
【 참고 】 고압회로용 진상콘덴서 설비 보호장치
① 과전압계전기(OVR) : 콘덴서 자체 보호, 정격전압의 130%로 정정
② 저전압계전기 (UVR) : 전압회복시 무부하 상태에서 콘덴서 투입방지, 정격전압의 70%로 정정
③ 과전류계전기(OCR) : 콘덴서 설비 모선단락보호, 고압에서 콘덴서 내부소자 파괴 검출 층간절연파괴 검출
④ 지락과전압계전기 (OVGR) : 비접지계통 콘덴서 접지고장 검출
⑤ 지락과전류계전기 (OCGR) : 접지계통 접지고장 검출
75. 축전지 구성요소 4가지
① 축전지 ② 충전지 ③ 보안장치 ④ 제어장치
76. VCB의 정격 : VCB 400[A], 670 [A], 1250 [A]
77. 주요 자동제어기기 번호
기구
번호
|
기구명칭
|
설 명
|
27
|
교류 부족전압 계전기
|
교류전압이 부족할 때 동작하는 것
|
44
|
거리계전기
|
단락 또는 지락 고장점까지의 거리에 의한 동작하는 것
|
47
|
결상 역상전압 계전기
|
결상 또는 역상 전압일 때 동작하는 것
|
50
|
단락선택 또는 지락선택 계전기
|
단락 또는 지락회로를 선책하는 것
|
51
|
교류 과전류계전기 또는 지락
과전류 계전기
|
교류의 과전류 또는 지락과전류로 동작하는 것
|
52
|
교류 차단기 또는 접촉기
|
교류회로를 차단하는 것
|
59
|
교류 과전압 계전기
|
교류 과전압으로 동작하는 것
|
64
|
지락과전압 계전기
|
지락을 전압에 의해 검출하는 것
|
67
|
지락 방향 계전기
|
지락방향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
|
87
|
차동계전기
|
단락 또는 지락전류에 의하여 동작하는 것
|
78. 선로에서 발생하는 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영향 4가지
① 전력용 기기의 과열 및 소손 ② 보호계전기의 오·부동작
③ 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④ 통신선의 유도장해
※ 고조파가 전기기기에 미치는 영향
기기
|
고조파 영향
|
변압기
|
철심의 자화현상에 따른 소음, 철손, 동손 증가 및 용량 감소
|
보호계전기
|
고조파 전류, 전압의 설정값 초과 혹은 위상변화에 의한 오동작, 부동작
|
유도전동기
|
진동토크 발생에 의한 회전수의 주기적 변동, 철손, 동손 증가
|
콘덴서,
직렬리액터
|
고조파 과전류 유입에 따른 과열, 소손, 진동, 소음발생
|
중성선
케이블
|
3상 4선식 선로의 중성선 고조파 전류 흐름에 따른 과열
|
통신선
|
전자유도에 의한 잡음 전압의 발생
|
전력퓨즈
|
과대한 고조파 전류에 의한 용단
|
MCCB
|
과대한 고조파 전류에 의한 오동작
|
형광등
|
고조파 과전류 유입에 따른 과열, 소손
|
79. 자가용 전기설비 중요 검사(시험) 항목 3가지
① 접지저항 측정 ② 절연저항 측정 ③ 절연내력 시험
<그외> ④ 외관 ⑤ 절연유 시험 및 측정 ⑥ 보호장치 시험 ⑦ 계측장치 ⑧ 제어회로
동작 및 기기 조작 시험 ⑨ 전선로 (전압 5만 볼트 이상)
80. 수변전 설비에 시설하고자 하는 전류퓨즈 (Power Fuse)
가. 전력퓨즈(PF)의 가장 큰 단점은 ? 재 투입이 불가능하다.
나. 전력퓨즈(PF)를 구입하고자 할 때 주요 고려사항 4가지.
① 정격전압 ② 정격전류 ③ 정격차단전류 ④ 사용장소
다. 전력퓨즈(PF)의 성능(특성) 3가지
① 용단특성 ② 단시간 허용특성 ③ 전차단특성
라. PF-S형 큐비클은 큐비클의 주차단 장치로서 어떤 종류의 전력퓨즈와 무엇을 조합한 것인가 ?
① 전력퓨즈의 종류 : 한류형 퓨즈 ② 조합하여 설치하는 것 : 고압 개폐기
※ PF-S : PF = 전력퓨즈 S = 개폐기
마. 전력퓨즈의 선정
① 과부하에 동작하지 말 것 ② 전동기 여자돌입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③ 충전기 및 기동전류에 동작하지 말 것 ④ 보호기기와 협조를 가질 것
81. 축전지
① 부동충전시 발생하는 가스 : 수소 가스
② 충전이 부족할 경우 극판에서 발생되는 현상 : 설페이션 현상
82. 발전기에서 전로 가까운 곳에 쉽게 개폐 및 점검할 수 있는 기기 설치한다. 설치해야 하는 기기 4가지를 쓰시오.
▣ 개폐기, 과전류 차단기, 전압계, 전류계
83. 가스절연개폐장치 (GIS : Gas Insulation Switchgear)
① SF6 가스를 이용한 밀폐형 구조의 개폐장치
② 대기절연을 이용한 것에 비해 현저하게 소형화할 수 있다.
③ 충전부가 완전 밀폐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다.
④ 대기중의 오염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고 보수가 용이하다.
⑤ 소음이 적고 환경조화를 기할 수 있다.
< SF6 가스 >
① 무색, 무취, 무독성이다. ② 소호능력이 우수하다. (공기의 100배 이상)
③ 절연내력이 높다. (공기의 2~3배) ④ 난연성 불활성 기체이다.
84. 고조파 발생 원인과 대책 (3가지씩)
가. 고조파 전류 발생원인
① 변압기, 전동기 등의 여자전류
② 컨버터, 인버터, 초퍼 등의 전력변환 장치
③ 전기로, 아크로 등
<그외> ④ 용접기등 ⑤ 전력전자 응용기기 (컴퓨터, 전동기 구동장치 등)
나. 대책
① 전력변환장치의 펄스수를 크게 한다.
② 고조파 필터를 사용한다.
③ 변압기에는 △결선을 사용하여 고조파 순환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외부에 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그외> ④ 전력용 콘덴서에는 직렬 리액터를 설치한다.
⑤ 선로의 코로나 방지를 위해 복도체, 다도체를 사용한다.
85. 옥외용 변압기 사고라고 생각되는 사고 종류 5가지
① 권선의 선간단락 및 층간 단락 ② 철심과 권선간의 절연파괴에 의한 지락사고
③ 고저압 권선의 혼촉 ④ 권선의 단선사고 ⑤ 부싱리드선의 절연파괴
86. 디지털 계전기의 장점
① 고성능 다기능화 가능 ② 소형화할 수 있다. ③ 신뢰도가 높다. ④ 융통성이 좋다. ⑤ 변성기의 부담이 작아진다.
87. 그림기호
▣ 3극 50[A] 개폐기로서 퓨즈 정격 20[A], 정격전류 5[A]인 전류계 붙이
88. 전기설비 방폭구조 4가지
① 내압방폭구조 ② 압력방폭구조 ③ 유입방폭구조 ④ 안전증방폭구조
(그외) 본질안전방폭구조, 특수방폭구조, 몰드 방폭구조
89. 적외선 전구
① 용도 : 적외선에 의한 가열 및 건조 (표면 가열)
② 전력 : 250 [W]
③ 효율 : 75 [%]
④ 필라멘트 온도 : 2500 [˚K]
⑤ 빛의 파장 : 1 ~ 3 [μm]
90. 몰드변압기의 장점 5가지, 단점 2가지
가. 장점 ① 소형, 경량화 가능 ② 난연성 우수 ③ 절연의 신뢰성이 높다.
④ 내진, 내습성이 우수하다. ⑤ 절연유가 없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나. 단점 ① 가격이 비싸다. ② 내전압이 낮아 서지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91. A, B 공장의 종합부하율은 A, B 공장의 평균전력을 합성 최대전력으로 나누어 산정
92. MCC (Motor Control Center)의 구성요소 3가지
① 기동장치 ② 제어 및 보호장치 ③ 차단장치
② 5고조파 제거를 위한 직렬 리액터 용량은 ? 콘덴서 용량의 이론상 4% 실제 6%
③ 차단기는 보호계전기의 4요소로 동작하는데 4가지 요소는 ?
▣ 단일 전압요소, 단일 전류요소, 전압전류 요소, 2전류요소
93. 절연협조 : 계통내이 각 기기, 기구 및 애자 등의 상호간에 적정한 절연강도를 지니게
함으로써 계통설계를 합리적,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
피뢰기 < 변압기 < 기기부싱 < 결합콘덴서 < 선로애자
94. 고조파 발생 원인과 대책 (3가지씩)
가. 고조파 전류 발생원인
① 변압기, 전동기 등의 여자전류 ② 컨버터, 인버터, 초퍼 등의 전력변환 장치 ③ 전기로, 아크로 등
<그외> ④ 용접기등 ⑤ 전력전자 응용기기 (컴퓨터, 전동기 구동장치 등)
나. 대책
① 전력변환장치의 펄스수를 크게 한다. ② 고조파 필터를 사용한다.
③ 변압기에는 △결선을 사용하여 고조파 순환회로를 구성함으로써 외부에 고조파가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그외> ④ 전력용 콘덴서에는 직렬 리액터를 설치한다.
⑤ 선로의 코로나 방지를 위해 복도체, 다도체를 사용한다.
94. △-△ 결선의 장단점
가. 장점 ①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내 순환하므로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② 1대가 고장이 발생해도 나머지 2대로 V결선을 하여 3상 교류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③ 상전류가 선전류의 1/√3 배 이므로 대전류에 적합하다.
나. 단점 ① 중성점 접지를 할 수 없어 지락전류 검출이 어렵다.
② 변압기 각상의 권수비가 다를 경우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 변압기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 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95. 접지저항 저감법
① 접지극의 길이를 길게 한다. ② 접지극을 병렬로 접속한다. ③ 심타공법으로 시공한다.
④ 접지저항 저감제를 사용한다. ⑤ 접지봉의 매설깊이를 깊게 한다.
96. 수변전설비의 기본설계에서 주요사항
① 필요전력 추정 ② 전기방식 및 수전방식 ③ 주결선방식 ④ 제어 및 감시장치
⑤ 변전설비의 형식 <그외> 변전실의 위치와 면적
97. 조명설비의 에너지 절약방안
① 고효율 기기의 사용 ②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용 ③ 고역률 기기 사용
④ 적절한 조광제어 ⑤ 등기구의 적절한 보수 및 유지관리
<기타> ⑥ 창측 조명기구 개별 점등 ⑦ 등기구 격등 제어 ⑧ 재실감지기 및 카드키 사용
⑩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의 적절한 병용 (Tal 조명)
98. BIL : Basic Impulse Insulation Level : 기준충격 절연강도
① BIL = 5E + 50 [kV}
99. 몰드 변압기의 장단점
가. 장점 ① 난연성 우수 ② 절연신뢰성 향상 ③ 소형, 경량화 가능
④ 내습성 및 내진성 우수 ⑤ 유입변압기에 비해 보수점검 용이
나. 단점 ① 내전압이 낮아 서지에 대한 대책 필요 ② 가격이 비싸다.
100. 온도상승과 저항관계
▣ 연동선을 사용한 코일의 저항이 0[℃]에서 4000[Ω] 이었다. 이코일에 전류를 흘렸더
그 온도가 상승하여 코일의 저항이 4500[Ω]으로 되었다고 한다. 이 때 연동선의 온도는 ?
101. 전압과 전압강하, 전력손실 등과의 관계
102. 과전류의 종류 2가지
① 과부하전류 : 전기적인 고장없이 회로에 발생한 과전류
② 정상운전상태에서 전위차가 있는 충전된 도체 사이에 임피던스가 0인 고장에 기인한 전류
103. 발전기실 위치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4가지
① 기기의 반입, 반출 및 운전보수가 편리할 것
② 배기 배출구에 가급적 가까이 위치할 것
③ 실내 환기를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④ 급 · 배수가 용이할 것
<그외> ⑤ 연료유의 보급이 용이할 것 ⑥ 수변전실과 인접하여 전력공급이 원활할 것
⑦ 발전기실의 높이는 기관의 보수, 점검이 용이하도록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104. 지중배전선로에서 전력케이블 고장점 측정 방법 3가지.
① 머레이루프법 ② 펄스레이다법 ③ 정전용량법
<그외> ④ 수색코일법 ⑤ 음향법
105. 공용접지(공통접지, 통합접지)의 장단점
가. 장점 ① 접지극의 연접으로 접지저항이 감소한다.
② 접지극의 연접으로 접지의 신뢰성 향상
③ 접지극 수량 감소
나. 단점 ① 계통의 이상전압 발생시 유기전압 상승
② 다른 기기 계통으로 부터 사고파급
③ 피뢰침용과 공용하므로 뇌서지에 대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106. 코로나
가. 코로나 현상 : 임계전압 이상의 전압이 전선로 부근이나 애자 부근에 가해지면 주위의
공기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는 현상
나. 코롸 현상이 미치는 영향 4가지
① 코로나 손실 ② 전선부식 촉진 ③ 통신선 유도장해 ④ 코로나 잡음
다. 방지대책 : ① 복도체, 다도체 사용 ② 굵은 전선 사용 <그외> ③ 가선금구류 개선
107. 옥내 저압 배선
▣ 건조한 장소, 습기진 장소, 노출배선 장소, 은폐배선을 하여야 할 장소, 점검불가능한
장소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배선방법은 ?
① 합성수지관 공사 ② 금속관공사 ③ 제2종 가요전선관 공사 ④ 케이블 공사
※ 애자공사는 점검불가능 (건조한 곳, 습기 또는 물기 많은 장소)에 시설할 수 없음
108. 설비불평형률 예외사항
① 저압수전에서 전용변압기로 수전하는 경우
②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 단상 부하인 경우
③ 코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단상 부하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 이하인 경우
④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 하는 경우
109. 발전소 및 변전소에 사용되는 모선 보호 계전방식은 ?
① 전류 차동 계전방식 ② 전압차동 계전방식 ③ 위상비교 계전방식 ④ 방향비교 계전방식
110. 3전압계법, 3전류계법
111. 간이수전설비 300[kVA] 이하에서 PF 대신 사용가능기기
▣ COS (비대칭 차단전류 10[kVA] 이상의 것)
112. 환상직류 배전선로 전압 구하기
▣ 전압강하를 합할 때, 마지막(처음) 100[V]를 전압강하에도 더해 준다.
113.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 방전장치
▣ 5초 이내에 50[V] 이하로 저하시킬 능력
※ 저압 진상용 콘덴서 방전장치 : 3분 이내에 75[V] 이하로 저하시킬 수 있는 능력
114. 수전설비의 배전반 등 최소 유지거리
위치별
기기별
|
앞면 또는
조작면
|
뒷면 또는
점검면
|
열상호간
(점검하는 면)
|
기타의 면
|
특고압 배전반
|
1.8 m
|
0.8 m
|
1.4 m
|
|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
1.5 m
|
0.6 m
|
1.2 m
|
|
변압기 등
|
0.6 m
|
0.6 m
|
1.2 m
|
0.3 m
|
116. 충전방식
① 보통충전 : 필요할 때 마다 표준 시간율로 소정의 충전을 하는 방식
② 세류충전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하기 위하여 부하를 OFF한 상태에서 미소전류로 항상 충전하는 방식
③ 균등충전 :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3개월 마다 1회, 정전압 충전하여 각 전해조의
용량을 균일호하기 위하여 행하는 충전방식
④ 부동충전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의 부하는 축전지가 부담하도록 하는 방식
⑤ 급속충전 : 짧은 시간에 보통 충전전류의 2~3배의 전류로 충전하는 방식
117. 감전피해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요인 4가지
① 통전전류의 크기 ② 통전경로 ③ 통전시간 ④ 전원의 종류
118. 피뢰기의 정격전압 (154[kV] 계통) : Vn = α β Vm (α :접지계수, β : 여유도
Vm : 계통 최고 허용전압 (차단기의 정격전압)
Vn = 0.75 × 1.1 × 170 = 140.25 [kV] 답 : 144 [kV]
피뢰기 정격전압 : 345 - 288, 154 - 144, 66 - 72, 22 - 24, 22.9 - 24, 18
119. 스폿 네트워크 (Spot Network) 수전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가. Spot Network 방식 : 배전용 변전소로 부터 2회선 이상의 배전선으로 수전하는 방식
으로 배전선 1회선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일지라도 건전한 회선으로 부터 자동적으로
수전할 수 있는 무정전 방식으로 신뢰도가 매우 높은 방식
나. 장점 ① 무정전 전원공급 가능 ② 전압변동율이 작다. ③ 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④ 부하 증가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
120 : 부흐홀쯔 계전기 : 변압기 본체 탱크내에 발생한 가스 또는 이에 따른 유류를 검출하여 변압기 내부고장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계전기로서 본체와 콘서베이터 사이에 설치하는 계전기
121. 사고 종류와 보호장치 및 보호조치
항 목
|
사고종류
|
보호장치 및 보호조치
|
고압 배전선로
|
접지사고
|
① 접지계전기
|
과부하, 단락사고
|
② 과전류 계전기
|
뇌해
|
피뢰기, 가공지선
|
주상 변압기
|
과부하, 단락
|
고압 퓨즈
|
저압 배전선로
|
고저압 혼촉
|
③ 중성점 접지공사
|
과부하, 단락
|
저압 퓨즈
|
122. 배전선로에서 과부하 보호장치의 설치 위치
① 과부하 보호장치는 전로 중 도체의 허용전류 값이 줄어드는 분기점에 설치해야 한다.
② 분기회로도체 S2는 전원측 보호장치 P1에 의해 단락보호가 되지 않는 경우 : 3m 이내 설치
③ 분기회로 도체 S2는 전원측 보호장치 P1에 의해 단락보호가 보장되는 경우 : 분기점으로 부터 거리 제한 없이 설치
④ 전원측 과부하보호장치 P1이 분기회로에 발생하는 과부하를 보호하는 경우 : 보호장치의 생략 가능
123. COS : 컷아웃스위치 : 계기용변압기 및 부하측에 고장 발생시 이를 고압회로로 부터 분리하여 사고의 확대 방지
124. 인체에 전류가 흘러 감전된 정도
가. (감지)전류 : 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수[mA]를 넘으면 자극으로서 느낄 수 있게 되는데
사람에 따라서는 1[mA] 이하에서 느끼는 경우도 있다.
나. 경련전류 : 도체를 잡은 상태로 인체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켜 5~20[mA] 정도의 범
위에서 근육이 수축 경련을 일으켜 사람 스스로 도체에서 손을 뗄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다. 심실세동전류 : 인체 통과 전류가 수십 [mA]에 이르면 심장 근육이 경련을 일으켜
신체내의 혈액 공급이 정지되며 사망에 이르게 될 우려가 있으며 단시간 내에 통전을
정지시키면 죽음을 면할 수 있다.
125. 퓨즈 정격
계통전압 [kV]
|
퓨즈 정격
|
퓨즈 정격전압 [kV]
|
최대 설계전압 [kV]
|
6.6
|
① 7.5
|
8.25
|
13.2
|
15
|
15.5
|
22 또는 22.9
|
③ 23
|
25.8
|
66
|
69
|
④ 72.5
|
154
|
⑤ 161
|
169
|
127. 오차, 보정, 비오차
128. 무한대 모선 : 내부 임피던스가 0이고 전압은 그 크기와 위상이 부하의 증가에 관계없
이 전혀 변화하지 않고 또 극히 큰 관성정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는 용량 무한대 전원
129. 코로나
가. 코로나 임계전압
나. 코로나 손실
130. 동기발전기 병렬운전시 생기는 횡류 3가지
① 기전력의 크기 : 무효순환전류 : 두발전기의 역률이 달라지고 발전기 과열
② 기전력 위상 : 동기화 전류 : 출력이 주기적으로 동요, 발전기 과열
③ 기전력의 파형 : 고조파 무효순환전류 : 저항손실 증가, 권선 과열
※ 기전력의 주파수가 다를 때 : 난조발생
131. 비접지 3상 3선식과 비교하여 3상 4선식 다중접지 배전방식의 장단점 4가지
가. 장점 ① 1선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이 낮다. (전로나 기기의 절연레벨 경감)
② 중성점을 0전위로 유지 가능하므로 단절연 가능
③ 보호계전기의 동작이 신속 확실하다.
④ 정격이 낮은 피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나. 단점 ① 지락전류가 크다. ② 통신선 유도장해가 크다.
③ 지락전류는 저역률 대전류이므로 과도안정도가 낮다.
④ 송전선의 사고 대부분이 1선 지락사고 이므로 차단기의 빈번한 동작으로 차단기의 수명 단축
132. 보호계전기의 기억작용 (Memory Action)이란 ?
▣ 계전기의 입력이 급변했을 때 변화 전의 전기량을 계전기에 일시적으로 잔류시키게 하는 것을 말한다.
133. 도로조명 설계시 성능상 고려사항
① 도로면 전체를 높은 평균 휘도로 조명할 수 있을 것
② 조명기구의 눈부심 (Glare)가 적을 것
③ 도로 양측의 보도, 건축물의 전면 등이 높은 조도로 충분히 밝게 조명할 수 있을 것
④ 조명의 광색, 연색성이 좋을 것
⑤ 휘도의 차이에 따른 균제도 (최대, 최소) 확보
<그외> 주간에 주위의 경관을 해치지 않을 것
134.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장치
① 전동기용 퓨즈 ② 열동계전기 (Thermal Relay) ③ 전동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④ 유도형 계전기 ⑤ 정지형 계전기 (전자식 계전기, 디지털 계전기)
135. 한시동작 순시복귀 a접점의 동작 상황 설명
① 타이머가 여자 되면 설정시간 후에 a접점은 폐로되고 타이머가 소자되면 순시 복귀한다.
136. 갭형 피뢰기 : ① 특성요소 ② 주갭 ③ 측로갭 ④ 분로저항 ⑤ 소호코일
137. 가스절연개폐기 (GIS : Gas Insulation Switchgear)
가. GIS 장점 ①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② 충전부가 완전밀폐되어 있어 안전성이 높다.
③ 대기중의 오염물의 영향을 받지 않아 신뢰성이 높다.
④ 소음이 적고 환경조화를 기할 수 있다.
나. SF6 가스 ① 무색, 무취, 무독성이다. ② 난연성, 자기소화성이 우수한다. (공기의 100배)
③ 절연내력이 좋다 (공기의 2~3배) ④ 난연성, 불활성 가스이다.
137. 차동계전기 여자돌입전류에 대한 오동작 방지법 : 감도저하법
① 감도저하법 ② 비대칭 저지법 ③ 고조파 억제법
138. 변압기 호흡작용
가. 호흡작용 : 변압기 외부온도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변압기 내부에 있는 절연
유가 수축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외부의 공기가 변압기 내부로 출입하게 되는데
이를 변압기 호흡작용이라 한다.
나. 문제점 : 변압기 내부에 수분과 불순물이 혼입되어 절연유의 절연내력를 저하시키고 침전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 대책 : 콘서베이터 설치
139. 수변전설비 에너지 절약 대응방안 5가지
① 고효율 변압기 채택 ② 최대수요전력 제어시스템 채택
③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 개선 ④ 우수한 역률기기 선정
⑤ 변압기 운전대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뱅크를 구성하여 효율적인 운전관리를 통한 손실 최소화
140. 전동기 소손 방지를 위한 보호장치 시설
① 전동기용 퓨즈 ② 전동기용 배선용 차단기 ③ 열동계전기 (Thermal Relay)
④ 유도형 계전기 ⑤ 정지형 계전기 (전자식 계전기, 디지털 계전기)
141. 변압기 중성점 접지
가. 일반적 변압기 고압 · 특고압측 전로 1선 지락전류로 150을 나눈 값
나. 변압기의 고압 · 특고압측 전로 또는 사용전압이 35[kV] 이하의 특고압 전로가
저압측 전로와 혼촉하고 저압전로의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경우
① 1초 초과 2초 이내에 고압 · 특고압 전로를 자동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할 때는 300을 나눈 값 이하
② 1초 이내에 고압·특고압 전로를 자동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한 때는 600을 나눈값 이하
구 분
|
접지 저항값
|
일반
|
150 / Ig
|
1초 초과 2초 이내에
고압 · 특고압 전로를 자동차단하는 장치 시설한 때
|
300 / Ig
|
1초이내에 고압 · 특고압 전로를 자동차단하는 장치 시설한 때
|
600 / Ig
|
142. 수변전설비 설계시 기본설계에서 검토할 사항
① 필요전력의 추정 ③ 수전전압 및 수전방식 ③ 주회로의 결선방식 ④ 감시 및 제어방식 ⑤ 변전설비의 형식
143. 콘덴서 설비의 주요 사고 원인 3가지
① 콘덴서 설비의 모선 단락 및 지락 ② 콘덴서 소체 파괴 및 절연 파괴 ③ 콘덴서 설비내의 배선 단락
144. 콘덴서 용량
145. 가동코일형 : 평균값 직류, 가동철편형 : 실효값 교류
146. 유입풍냉식 : 유입변압기에 방열기를 부착시키고 송풍기에 의해 강제 통풍시켜 절연유의 냉각효과를
증대시키는 방식
무부하 탭절환 장치 : 무부하 상태에서 변압기의 권수비를 조정하여 변압기의 2차측 전압을 조정하는 방식
비율차동계전기 : 변압기의 내부고장 검출
무부하손 : 부하에 관계없이 전원만 공급하면 발생하는 손실로 히스테리시스손, 와류손 및 유전체손이 있음
147. 에너지 절약을 위한 동력설비 대응방안
① 고효율 전동기 채용 ② 부하역률 개선 (역률개선용 콘덴서를 전동기별로 설치)
③ 전동기 제어 시스템 (VVVF) 채용 ④ 에너지 절약형 공조시스템 채택
⑤ 부하에 맞는 적정용량의 전동기 선정
148.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에서 CLR의 명칭은 ?
▣ CLR : Current Limit Resistance : 전류 제한형 저항기
149. 전동기 소손방지를 위한 과부하 보호장치 생략할 수 있는 경우
① 전동기의 출력이 0.2[kW] 이하인 경우
② 전동기기를 운전 중 상시 취급자가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시설하는 경우
③ 전동기의 구조나 부하의 성질상 전동기가 손상될 수 있는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경우
④ 단상 전동기로서 그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5[A] (배선용 차단기는 20[A]) 이하인 경우
150. 소형 전등수구, 콘센트 : 150 [VA/개], 대형전등수구 : 300 [VA/개]
151. 케이블 트리현상
가. 케이블 트리 : 고체 절연체 속에서 나뭇가지 모양의 방전흔적을 남기는 절연열화 현상
나. 종류 : 수트리, 전기적 트리, 화학적 트리
152. 전기화재 발생원인
① 누전 /지락 ② 접촉불량에 의한 단락 ③ 절연열화에 의한 단락 ④ 압착손상에 의한 단락 ⑤ 과부하 / 과전류
153. 조명설비 전력 절약방안
① 고효율 등기구 채용 ② 고역률 등기구 채용 ③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용
④ 적절한 조광제어 실시 ⑤ 재실감지기 및 카드키 사용 ⑥ 창측 조명기구 개별 점등
⑦ 등기구의 적절한 보수 및 유지관리 ⑧ 등기구 격등제어 및 회로 구성
<그외> ⑨ 슬림라인 형광등 및 전구식 형광등 채용 ⑩ 전반조명 및 국부조명을 적절히 병용하여 이용
154. 공사시방서
▣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