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61. 특정 옥외저장탱크 구조기준 중 필렛용접의 사이즈 (S, ㎜)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것은?

      [단, t1 : 얇은 쪽 강판의 두께(㎜), t2 : 두꺼운 쪽 강판의 두께 (㎜)이다.]

[풀이] 답 : ② 옆판의 용접은 필렛용접의 사이즈로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 값으로 할 것

            여기서, t1 : 얇은 쪽 강판의 두께 (㎜), t2 : 두꺼운 쪽 강판의 두께 (㎜), S : 사이즈(㎜)

62. 다음 중 제1종 판매취급소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건축물의 1층에 설치할 것

   ② 위험물을 배합하는 실의 바닥면적은 6㎡ 이상, 15㎡ 이하일 것

   ③ 위험물을 배합하는 실의 출입구 문턱 높이는 바닥면으로 부터 0.1m 이상으로 할 것

   ④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수량이 40배 이하인 판매취급소에 대하여 적용할 것

[풀이] 답 : ④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수량이 20배 이하인 판매취급소에 대하여 적용할 것

63. 피난계단의 출입구가 구비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

  ①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9m 이상으로 할 것

  ② 옥내에서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이나 노대로 통하는 출입구는 반드시 을종 방화문을 설치한다.

  ③ 출입구는 항상 피난방향으로 열수 있도록 설치한다.

  ④ 출입구는 언제나 닫혀 있는 것이 원칙이다.

[풀이] 답 : ② 옥내에서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이나 노대로 통하는 출입구는 반드시 갑종 방화문을 설치한다.

64.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장단점으로 틀린 것은 ?

  ① 비중이 공기보다 커서 심부화재에도 적합하다.       ② 약제가 방출될 때 사람 · 가축에게 해를 준다.

  ③ 전기전열성이 높아 전기화재에도 적합하다.            ④ 배관 및 관 부속이 저압이므로 시공이 간편하다.

[풀이] 정답 : ④ 배관 및 관 부속이 고압이므로 시공이 불편하다.

65.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을 옳게 짝지은 것은 ?

   "이동저장탱크는 그 내부에 (a)리터 이하마다 (b) ㎜ 이상의 강철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 내열성 및 내식성 있는

     금속성의 것으로 칸막이를 설치하여야 한다.

   ① a : 2,000, b : 2.4       ② a: 2,000, b: 3.2          ③ a: 4,000, b : 2.4          ④ a: 4,000, b: 3.2

[풀이] 답 ④ 칸막이 : 배부에 4,000ℓ, 이하마다 3.2㎜ 이상의 강철판 칸막이로 구회괸 각 부분마다 맨홀, 안정장치 및 방파판

                  설치 (칸막이로 구획된 부분의 용량이 2,000ℓ 미만인 부분에[는 방파판 설치 제외)

66.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설치기준 중 하나의 경계구역은 600㎥ 이하로 하고 그 한변의 길이는 광전식 분리형일 경우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① 10 m              ② 100 m             ③ 150 m                ④ 300m

[풀이] 답 ②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 하고 그 한변의 길이는 50m(광전식 분리형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에

                    는 100m) 이하로 할 것. 해당 건축물, 그밖의 공작물의 주요한 출입구에서 그 내부의 전체를 볼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면적을 1,000㎡ 이하로 할 수 있다.

67. 지름 50m, 높이 50m 인 옥외탱크저장소에 방유제를 설치하려고 한다. 이 때 방유제는 탱크 측면으로 부터 몇 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는가 ? (단, 인화점이 180℃ 인 위험물을 저장 · 취급한다)

  ① 10 m          ② 15 m            ③ 20m                ④ 25m

[풀이] 방유제의 탱크 옆판의 이격거리 (인화점이 200℃ 이상 탱크 제외)

          ㉠ 지름이 15m 미만인 경우 : 탱크 높이의 1/3 이상

          ㉡ 지름이 15m 이상인 경우 : 탱크 높이의 1/2 이상

              ∴ 지름 50m/2 = 25m

68. 금수성 물품에 대한 소화설비의 적응성으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

   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② 무상강화액소화기          ③ 탄산수소염류소화기           ④ 포소화기

[풀이] 답 : ③ 금수성 물품에 수분이 함유된 소화약제를 사용하면 수소가 발생하여 화재폭발위험이 있으므로 ① 이산화탄

                     소소화설비 ② 무상강화액소화기 ④ 포소화기는 적응성이 없으며, ③ 탄산수소염류소화기는 적응성이 있다.

69. 화재발생시 이를 알릴 수 있는 경보설비는 지정수량의 몇 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에 설치하여

       야 하는가 ?

   ① 10배               ② 50배                ③ 100배                ④ 200배

[풀이] 답 : ① 화재발생시 이를 알릴 수 있는 경보설비는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에

                      설치한다.

70. 화재발생을 통보하는 설비로서 경보설비가 아닌 것은 ? ④

   ① 비상경보설비          ② 자동화재탐지설비          ③ 비상방송설비            ④ 영상음향차단경보기

[풀이] 정답 : ④ ㉠ 비상경보설비 : 비상경보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방송설비

                          ㉡ 그밖의 시설 : 영상음향차단경보기

71. 펌프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에서 옥내소화전이 가장많이 설치된층의 소화전의 수가 3개 일 경우 20분동안 토출량은 ?

   ① 2.6 ㎥          ② 5.2 ㎥             ③ 7.8 ㎥          ④ 15.6 ㎥ 이상

[풀이] 위험물의 제조소 소방대상물에서

           260 ℓ/min/개 × 3개 × 20분 = 260 ℓ × 60 = 15,600ℓ = 15.6㎥

72. 소화난이도 등급 Ⅰ 의 황 만을 저장 · 취급하는 옥외탱크저장소에 설치해야 할 소화설비는 ?

   ① 물분무소화설비       ② 이산화탄소소화설비          ③ 옥외소화전소화설비             ④ 분말소화설비

[풀이] 답 : ①

73. 하나의 간이탱크저장소에 설치하는 간이탱크는 몇개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

[풀이] 하나의 간이탱크저장소에 설치하는 간이저장탱크수 : 3개 이하 (동일한 품질의 위험물 간이저장탱크 수 : 2 이상

           설치하지 아니할 것)

74. 이동탱크저장소의 탱크는 그 내부에 몇 ℓ 이하마다 3.2㎜ 이상의 강철판 칸막이를 설치하는가 ?

   ① 1,000ℓ          ② 2,000 ℓ              ③ 3,000 ℓ                ④ 4,000 ℓ

[풀이] 답 : ④ 칸막이 : 내부에 4,000 ℓ, 이하마다 3.2 ㎜ 이상의 강철판

75. 주유취급소에 설치해야 하는 "주유 중 엔진 정지" 게시판의 색깔은 ?

   ① 적색밬탕에 백색문자     ② 청색바탕에 백색문자   ③ 백색바탕에 흑색문자    ④ 황색바탕에 흑색문자

[풀이] 답 : ④

76. 주유취급소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위치 및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건축물 중 사무실, 그밖의 화기를 사용하는 곳은 누설한 가연성 증기가 그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높이 1m 이하의

        부분에 있는 창 등은 밀폐시킬 것

  ② 건축물 중 사무실, 그밖의 화기를 사용하는 곳의 출입구 또는 사이통로의 문턱 높이는 15㎝ 이상으로 할 것

  ③ 주유취급소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벽, 기둥, 바닥, 보 및 지붕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할 것

  ④ 자동차 등의 세정을 행하는 설비는 증기세차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2m 이상의 담을 설치하고 출입구가

       고정 주유설비에 면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풀이] 답 : ④ 증기세차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주위에 불연재료로 된 높이 1m 이상의 담을 설치하고, 출입구가 고정주

                       유설비에 면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77. 위허물안전관리법상 옥내소화전은 제조소 등의 건축물의 층마다 해당 층의 각 부분에서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몇 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① 5m         ② 15 m ③           25m               ④ 35m

[풀이] 답 : ③

78. 알킬알루미늄 등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이동탱크저장소의 이동탱크의 경우 얼마의 압력으로 몇 분간의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이 없어야 하는가 ?

   ① 1MPa, 10분          ② 1.5MPa, 15분         ③ 2MPa, 10분          ④ 2.5MPa, 15분

[풀이] 답 : ① 이동저장탱크는 두께 10㎜ 이상의 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기계적 성질이 있는 재료로 기밀하게 제작

                      되고 1MPa 이상의 압력으로 10분간 실시하는 수압시험에서 새거나 변형하지 아니하는 것일 것

79. 자동화재탐지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은 건축물 그 밖의 공작물의 2 이상의 층에 걸치지 아니하도록 한다.

   ②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 하고 그 한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한다.

   ③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는 지붕 또는 벽의 옥내에 면한 부분에 유효하게 화재발생을 감지할 수 있돌고 설치한다.

   ④ 자동화재탐지설비에는 비상전원을 설치한다.

[풀이] 답 : ②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 하고 그 한변의 길이는 100m

                      이하로 한다.

80. 제조소에서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 그 밖의 시설 주위에는 그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에 따라 보유해야 할

       공지가 필요하다. 위험물이 지정수량의 20배인 경우 공지의 너비는 몇 m인가 ?

  ① 3m             ② 4m                ③ 5m                ④ 10m

[풀이] 제조소의 보유공지 너비 답 : ③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
공지의 너비
지정수량 10배 이하
3m 이하
지정수량의 10배 초과
5m 이상

81. 고속국도의 도로변에 설치한 주유취급소의 탱크용량은 얼마까지 할 수 있는가 ?

   ① 10만 ℓ             ② 8만 ℓ              ③ 6만 ℓ             ④ 5만 ℓ

[풀이] 답 : ③

82. 벽, 기둥 및 바닥이 내화구조로 된 건축물을 옥내 저장소로 사용할 때 지정수량의 50배 초과 200배 이하의 위험물을

       저장하는 경우에 확보해야 하는 공지의 너비는 ?

   ① 1m 이상            ② 2m 이상             ③ 3m 이상            ④ 5m 이상

[풀이] 옥내저장소 보유공지 너비 답 : ④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
공지의 너비
벽 · 기둥 및 바닥이
내화구조로 된 건축물
그밖의 건축물
지정수량의 5배 이하
-
0.5m 이하
지정수량의 5배 초과, 10배 이하
1m 이상
1.5m 이상
지정수량의 10배 초과, 20배 이하
2m 이상
3m 이상
지정수량의 20배 초과, 50배 이하
3m 이상
5m 이상
지정수량의 50배 초과, 200배 이하
5m 이상
10m 이상
지정수량의 200배 초과
10m 이상
15m 이상

83. 인화성 위험물질 500ℓ 를 하나의 간이탱크저장소에 저장하려고 할 때 필요한 최대 탱크 수는 ?

   ① 4개              ② 3개            ③ 2개               ④ 1개

[풀이] 답 ② 하나의 간이탱크저장소(600ℓ 이하)에 설치하는 간이저장탱크 수 : 3개 이하

84. 인화성 액체 위험물 (이황화탄소는 제외)의 옥외탱크저장소의 방유제 및 칸막이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방유제의 높이는 0.5m 이상 3m 이하로 하고 방유제 내의 면적은 8만 ㎡ 이하로 한다.

  ② 높이가 1m를 넘는 방유제 및 칸막이둑의 안팎에는 방유제 내에 출입하기 위한 계단 또는 경사로를 약 50m 미다

        설치한다.

  ③ 탱크와 방유제 사이의 거리는 지름이 15m 이상인 탱크의 경우 탱크 높이의 1/3로 한다.

  ④ 방유제 용량은 방유제 안에 설치된 탱크 하나일 때에는 그 탱크용량의 110% 이상, 2기 이상인 때에는 그 탱크 중 용량

       이 최대인 것의 110% 이상으로 한다.

[풀이] 답 : ③ 탱그와 방유제 사이의 거리는 지름이 15m 이상인 탱크의 경우 탱크높이의 1/2로 한다.

85. 지정유기과산화물 저장창고의 외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두께 20 ㎝ 이상의 보강콘크리트블록조              ② 두께 20㎝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③ 두께 30㎝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④ 두께 30㎝ 이상의 철골콘크리트블록조

[풀이] 위험물의 성질에 따른 옥내 저장소의 특례 답 : ②

    지정유기과산화물 : 제5류 위험물 중 유기과산화물

      ㉮ 격벽 : 150㎡ 이내 마다 격벽으로 완전 구획

          ㉠ 격벽 두께 : 두께 30㎝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철근콘크리트, 40㎝ 이상의 보강콘크리트블록조

      ㉯ 외벽

         ㉠ 두께 20 ㎝ 이상의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 두께 30㎝ 이상의 보강 시멘트 블록조

86. 제3종분말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충전비의 범위로 옳은 것은 ?

  ① 0.85 이상, 1.45 이하      ② 1.05 이상 1.75 이하      ③ 1.5 이상 2.5 이하         ④ 2.5 이상 3.5 이하

[풀이] 분말소화약제 충전비 답 : ②

소화약제의 종별
충전비의 범위
제1종
0.85 이상 1.45 이하
제2종, 제3종
1.05 이상 1.75 이하
제4종
1.5 이상 2.5 이하
 

87. 간이저장탱크에 설치하는 통기관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통기관의 지름은 20 ㎜ 이상으로 한다.

  ② 통기관은 옥내에 설치하고 선단의 높이는 지상 1.5m 이상으로 한다.

  ③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장치를 한다.

  ④ 통기관의 선단은 수평면에 대하여 아래로 35°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풀이] 답 : ③ ㉠ 통기고나의 지름은 25㎜ 이상으로 한다.

     ㉡ 통기관은 옥외에 설치하고 선단의 높이는 지상 1.5m 이상으로 한다.

     ㉢ 통기관의 선단은 수평면에 대하여 아래로 45° 이상 구부려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88. 다음 중 경보설비는 어느 것인가 ?

  ① 자동화재탐지설비       ② 옥외소화전설비          ③ 유도등 설비          ④ 제연설비

[풀이] 답 : ① 옥외소화전설비 - 소화설비, 유도등설비-피난설비, 제연설비 - 소화활동설비

89. 제4류 위험물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① 포소화설비         ② 옥내소화전설비          ③ 봉상강화액소화기             ④ 옥외소화전설비

[풀이] 답 : ① 제4류 위험물에 옥내소화전설비, 봉상강화액소화기, 옥외소화설비를 사용하면 연소확대를 야기하므로 위험

                      하며, 유면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억제하는 포소화설비로써 소화한다.

90.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에 사용하는 소화약제 중 할론 2402를 가압식 저장용기에 충전할 때 저장용기의 충전비로 옳은

       것은 ?

   ① 0.67 이상 2.75 이하     ② 0.7 이상 1.4 이하       ③ 0.9 이상 1.6 이하          ④ 0.51 이상 0.67 이하

[풀이] 할론소화설비의 충전비 답 : ④

종류
충전비
1301
1211
2402
축압식
0.9 ~ 1.6
0.7 ~ 1.4
0.67 ~ 2.75
가압식
-
-
0.51 ~ 0.67

91. 위험물 이동탱크 저장소에서 맨홀 · 주입구 및 안전장치 등이 탱크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경우 부속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여야 할 것은 ?

   ① 불연성 가스 봉입장치        ② 동기장치           ③ 측면틀, 방호틀             ④ 비상조치레버

[풀이] 답 : ③

92. 이동저장탱크의 상부로 부터 위험물을 주입할 때에는 위험물의 액표면이 주입관의 선단을 넘는 높이가 될 때까지 그

       주입관 내의 유속을 얼마 아하로 해야 하는가? (단, 휘발유를 저장하던 이동저장탱크에 등유나 경유를 주입하는 경우

        를 가정한다)

   ① 0.5 m/sec       ② 1 m/sec         ③ 1.5 m/sec           ④ 2 m/sec

[풀이] 답 : ②

93. 위험물 제조소의 바닥 면적이 60 ㎡ 이상 90 ㎡ 미만일 때 급기구의 면적은 몇 ㎠ 이상이어랴 하는가 ?

   ① 150            ② 300            ③ 450            ④ 600

[풀이] 급기구의 면적 답 : ②

바닥면적
급기구의 면적
60 ㎡ 미만
150 ㎡ 이상
60 ㎡ 이상 90 ㎡ 미만
300 ㎡ 이상
90 ㎡ 이상 120 ㎡ 미만
450 ㎡ 이상
120 ㎡ 이상 150 ㎡ 미만
600 ㎡ 이상

94. 제1종 판매취급송에서 위험물을 배합하는 실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

   ① 내화구조로 된 벽을 구획하여야 한다.

   ② 출입구에는 수시로 열 수 있는 자동폐쇄식의 갑종 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③ 출입구에는 바닥으로 부터 0.1m 이상의 턱을 설치한다.

   ④ 바닥면적은 6 ㎡ 이상 10㎡ 이하로 한다.

[풀이] 답 ④ 바닥면적은 6㎡ 이상 15 ㎡ 이하로 한다.

95. 방호대상물의 표면적 50㎡인 곳에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수원의 수량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4,000 ℓ           ② 8,000 ℓ           ③ 30,000 ℓ               ④ 40,000 ℓ

[풀이] 저수량 : 방사구역의 표면적 1㎡당 20ℓ/min × 30min 이상

          ∴ 50 ㎡ × 20 ℓ/min × 30min = 30,000 ℓ 답 : ③

96. 국소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중 저압식 저장용기에 설치되는 압력경보장치는 어느 압력 범위에서 작동하는 것

        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

   ① 2.3MPa 이상의 압력과 1.9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② 2.5MPa 이상의 압력과 2.0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③ 2.7MPa 이상의 압력과 2.3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④ 3.0MPa 이상의 압력과 2.5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풀이] 답 : ①

97. 옥내소화전 2개와 옥외소화전 1개를 설치하였다면 수원의 수량은 얼마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단, 옥내소화

      전은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설치개수이다.)

   ① 5.4 ㎥         ② 10.5 ㎥           ③ 20.3 ㎥             ④ 29.1 ㎥

[풀이] 옥내소화전 Q (㎥) = N × 7.8 ㎥ (260ℓ/min × 30min) = 2 × 7.8 ㎥ = 15.6 ㎥

          옥외소화전 Q (㎥) = N × 13.5 ㎥ (450ℓ/min × 30min = 1× 13.5㎥ = 13.5㎥

            ∴ 13.5+15.6 = 29.1 ㎥ 답 : ④

98. 위험물 고정지붕구조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에 설치하는 포방출구가 아닌 것은 ?

   ① Ⅰ형          ② Ⅱ 형            ③ Ⅲ 형                ④ 특형

[풀이] 답 : ④ 특정 - 플로팅루프형 (부상지붕구조), Ⅰ, Ⅱ, Ⅲ 형 - 고정지붕구조

99. 경유를 저장하는 저장창고의 체적이 50㎥인 방호대상물이 있다. 이 저장창고(개구부에는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됨)에

       전역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소화설비를 설치할 경우 소화약제의 저장량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30 ㎏        ② 45 ㎏            ③ 60㎏                  ④ 100 ㎏

[풀이] Q (약제량, ㎏) = 방호구역의 체적 (㎥) × 체척당 약제량 (㎏/㎥) 답 : ②

방호구역의 체적(㎥)
방호구역의 체적1㎥당
소화약제의 양(㎏)
소화약제 총량의
최저한도 (㎏)
5 미만
1.2
-
5 이상 15 미만
1.1
6
15 이상 45 미만
1.0
17
45 이상 150 미만
0.9
45
150 이상 1,500 미만
0.8
135
1,500 이상
0.75
1,200

       Q (약제량, ㎏) = 50 ㎥ × 0.9 ㎏/㎥ = 45 ㎏

100. 스프링클러설비의 쌍구형 송수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송수구의 결합금속구는 탈착식 또는 나사식으로 한다.

   ② 송수구에는 그 직근의 보기 쉬운 장소에 송수용량및 송수시간을 함께 표시하여야 한다.

   ③ 소방펌프자동차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④ 송수구의 결합금속구는 지면으로 부터 0.5m 이상 1m 이하 높이의 송수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설치한다.

[풀이] 답 : ② 송수구에는 그 직근의 보기 쉬운 장소에 "스프링클러용 송수구"라고 표시하고 그 송수압력범위를 함께 표시

                      하여야 한다.

101. 다음 중 이산화탄소소화설비가 적응성이 있는 위험물은 ?

   ① 제1류 위험물         ② 제3류 위험물          ③ 제4류 위험물      ④ 제5류 위험물

[풀이]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산소농도를 15% 이하로 떨어 뜨려 소화하는 질식소화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제1류 위험

           물, 제5류 위험물은 부적합하며, 이산화탄소는 0.03%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제3류 위험물과 반응하면 화재

           폭발의 우려가 있어 부적합한다. 답 : ③

102. 다음 중 제조소에서 위험물을 취급하는 설비에 불활성기체를 봉입하는 장치를 갖추어야 하는 위험물은 어느 것인가 ?

   ① 알킬리튬, 알킬알루미늄                      ② 과염소산칼륨, 과염소산나트륨

   ③ 황린, 적린                                            ④ 과산화수소, 염소산나트륨

[풀이] 알킬리튬, 알킬알루미늄을 취급하는 제조소에는 설비에 불활성기체를 봉입하는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답 : ①

103. 이동탱크저장소의 측면틀의 기준에 있어서 탱크 뒷부분의 입면도에서 측면틀의 최외측과 탱크의 최외측을 연결하는

        직선의 수평면에 대한 내각은 얼마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

    ① 50°            ② 65°             ③ 75°                 ④ 90°

[풀이] 답 : ③

104. 이동저장탱크는 그 내부에 용량 몇 ℓ 이하 마다 3.2 ㎜ 이상의 강철판으로 칸막이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

   ① 2,000ℓ          ② 3,000 ℓ            ③ 4,000 ℓ                 ④ 5,000 ℓ

[풀이] 칸막이 : 내부에 4,000ℓ 이하마다 3.2 ㎜ 이상의 강철판, 답 : ③

105. 위험물 옥외탱크저장소에서 각각 30,000ℓ, 40,000ℓ, 50,000ℓ 의 용량을 갖는 탱크 3기를 설치할 경우 필요한 방유제의

        용량은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33             ② 44              ③ 55               ④ 132

[풀이] 2기 이상 : 탱크 중 용량이 최대용량의 110% 이상

             ∴ 50,000 ℓ = 50 ㎥ × 1.1 = 55㎥ 답 : ③

106. 위험물 제조소 등의 안전거리의 단축기준을 적용함에 있어서 H ≤ PD2 + a 일 경우 방화상 유효한 담의 높이는 2m

        이상으로 한다. 여기서, H가 의미하는 것은 ?

   ① 제조소 등과 인접 건축물과의 거리                ② 인근 건축물 또는 공작물의 높이

   ③ 제조소 등의 외벽 높이                                  ④ 제조소 등과 방화상 유효한 담과의 거리

[풀이] 답 : ②

107. 위험물제조소 내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배관은 최대상용압력의 몇 배 이상의 압력으로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어야 하는가 ?

   ① 0.5              ② 1.0             ③ 1.5                 ④ 2.0

[풀이] 답 : ③

108.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한 경보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① 비상경보설비        ② 자동화재탐지설비         ③ 비상방송설비       ④ 영상음향차단경보기

[풀이] 경보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비상경보설비 (비상벨, 자동식 사이렌, 단독형 화재경보기), 비상

                            방송설비, 누전경보설비, 가스누설경보설비

109. 다음 중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

  ①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는 헤드 반사판으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0.3m의 공간을 보유하여야 한다.

  ②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반사판과 헤드의 부착면과의 거리는 30㎝ 이하로 한다.

  ③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부착장소의 평상시 최고 주위온도가 28 ℃ 미만인 경우 58℃ 미만의 표시온도를 갖는 헤드를

       사용한다.

  ④ 개구부에 설치하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는 해당 개구부의 상단으로 부터 높이 30㎝ 이내의 벽면에 설치한다.

[풀이] 개구부에 설치하는 개방형 스프링클러헤드는 해당 개구부의 상단으로 부터 높이 30㎝ 이내의 벽면에 설치한다.

            답 : ④

110. 다음 중 제3류 위험물의 금수성 물질에 대하여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는 ?

   ① 이산화탄소 소화기       ② 할로겐화합물소화기        ③ 탄산수소염류소화기       ④ 인산염류소화기

[풀이] 답 : ③

111. 특정 옥외저장탱크의 구조에 대한 기준 중 틀린 것은 ?

  ① 탱크의 내경이 16m 이하일 경우 옆판의 두께는 4..5㎜ 이상일 것

  ② 지붕의 최소두께는 4.5 ㎜ 로 할 것

  ③ 부상지붕은 해당 부상지붕 위에 적어도 150㎜ 에 상당한 물이 체류한 경우 침하하지 않도록 할 것

  ④ 밑판의 최소투께는 탱크의 용량이 10,000kℓ 이상의 것에 있어서는 9㎜로 할 것

[풀이] 부상지붕은 해당 부상지붕 위에 적어도 250㎜ 에 상당하는 물이 체류한 경우 침하하지 않도록 한다. 답 : ③

112. 옥외탱크저장소의 방유제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 안에 설치된 탱크가 하나인 때는 그 탱크용량의 110% 이상으로 한다.

  ② 방유제의 높이는 0.5m 이상, 3m 이하로 한다.

  ③ 방유제 내의 면적은 8만 ㎥ 이하로 한다.

  ④ 높이가 1m 를 넘는 방유제의 안팎에는 계단 또는 경사로를 70m 마다 설치한다.

[풀이] 높이가 1m를 넘는 방유제 및 칸막이둑의 안팎에는 방유제 내에 출입하기 위한 계단 또는 경사로를 약 50m 마다

           설치한다. 답 : ④

113. 옥외저장탱크의 펌프설비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

  ① 펌프실의 지붕은 폭발력이 위로 방출될 정도의 가벼운 불연재료로 할 것

  ② 펌프실의 창 및 출입구에는 갑종 방화문 또는 을종 방화문을 설치할 것

  ③ 펌프실의 바닥 주위에는 높이 0.2m 이상의 턱을 만들 것

  ④ 펌프설비의 주위에는 너비 1m 이상의 공지를 보유할 것

[풀이] 펌프설비의 주위에는 너비 3m 이상의 공지를 보유한다 (단, 방화상 유효한 격벽으로 설치하는 경우와 제6류 위험물

           또는 지정수량의 10배 이하 위험물의 옥외저장탱크의 펌프설비에 있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답 : ④

114. 아세톤 옥외저장탱크 중 압력탱크 외의 탱크에 설치하는 대기밸브부착 통기관은 몇  kPa 이하의 압력차이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하는가 ?

   ① 5             ② 7              ③ 9           ④ 10

[풀이] 아세톤 옥외저장탱크 중 압력탱크 외의 탱크에 설치하는 대기밸브 부착 통기관은 5kPa 이하의 압력차이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답 : ①

#통기관 #옥외저장탱크 #위험물 #스프링클러설비 #국소방출방식 #할로겐화합물 #인화성 #자동화재탐지설비 #방유제 #지정수량 #금수성 #소화난이도 #경보설비 #인화성

#지정과산화물 #내화구조 #전역방출방식

반응형
반응형
 
 

 

201. 인화석회(Ca3P2)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④

  ① 적갈색의 고체이다.                                            ② 비중이 2.51이고, 약 1,600℃에서 녹는다.

  ③ 산과 반응하여 주로 포스핀가스가 발생한다.     ④ 물과 반응하여 주로 아세틸렌 가스가 발생한다.

[풀이] 물 또는 약산과 반응하여 유독하고 가연성인 인화수소(PH2, 포스핀)가스가 발생한다.

            Ca3P2 + 6H2O → 3Ca(OH)2 + 2PH3

            Ca3P2 + 6HCl → 3CaCl2 + 2PH3

202. 삼황화인(P4S3)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②

   ① 냉수에 잘 녹으며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② 염산에는 녹지 않는다.

   ③ 이황화탄소에는 녹지 않는다.                          ④ 황산에 잘 녹아 이산화황(SO2)이 발생한다.

[풀이] ㉠ 삼황화인(P4S3) : 물, 염소, 황산, 염산 등에는 녹지 않고, 질산이나 이산화황(SO2), 알칼리 등에 녹는다.

   ㉡ 오황화인 (P2S5) : 알코올이나 이황화탄소(CS2)에 녹으며, 물이나 알칼리와 반응하면 분해되어 황화수소(H2S)와

         인산(H3PO4)으로 된다.

          P2S5 + 8H2O → 5H2S + 2H3PO4

203. 다음 염소산칼륨의 성질 중 옳은 것은 ? ④

  ① 광택이 있는 적색의 결정이다.                              ② 비중은 약 3.2이며 녹는점은 약 250℃이다.

  ③ 가열분해하면 염화나트륨과 산소가 발생한다.     ④ 알코올에 난용이고 온수, 글리세린에 잘 녹는다.

[풀이] ① 무색의 단사정계, 판상 결정 또는 백색 분말

          ② 비중 : 2.32, 분해온도 : 400℃, 융점 : 368.4 ℃

          ③ 과염소산칼륨(KClO4)을 분해하면 염화칼륨(KCl)과 산소(O2)가 발생한다.

204.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 ②

   ① C6H6            ② CH3COOH            ③ CH3COCH3              ④ C2H5CH3

[풀이] ① C6H6(벤젠) :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

          ② CH3COOH (초산) : 제4류 위험물 중 제2석유류

          ③ CH3COCH3 (아세톤) :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

          ④ C6H5CH3 (톨루엔) : 제4류 위험물 중 제1석유류

205. NH4H2PO4 115㎏ 이 완전 열분해되어, 메타인산, 암모니아와 수증기로 되었을 때 메타인산은 몇 kg이 생성되는가 ?

        (단, P의 원자량은 31이다.) 

   ① 36               ② 40                ③ 80               ④ 115

[풀이] NH4H2PO4 의 분자량 115, 메타인산 HPO3 분자량 80이므로  115 : 80 = 115 : X, X= 80 ㎏

   ㉠ 116℃ 에서          NH4H2PO4         →             NH3           +         H3PO4

                                (제1인산암모늄)                 (암모니아)                  (인산)

   ㉡ 216℃ 에서           2H3PO4             →            H2O            +         H4P2O7

                                      (인산)                             (수증기)                  (피로인산)

   ㉢ 316℃ 에서            H4P2O7            →             H2O           +           2HPO3

                                      (피로인산)                       (수증기)                  (메타인산)

    ㉣ 1,000℃ 에서          2HPO3            →            P2O5          +             H2O

                                      (메타인산)                      (오산화인)                 (수증기)

206. 위험물의 화재위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②

   ① 인화점이 낮을 수록 위험하다.              ② 착화점이 높을 수록 위험하다.

   ③ 폭발범위가 넓을 수록 위험하다.          ④ 연소속도가 빠를수록 위험하다.

[풀이] 착화점이 낮을 수록 위험하다.

207. 위험물 취급시 정전기로 인하여 재해를 발생시킬수 있는 경우에 가장 가까운것은? ④

   ㉠ 감전사고       ② 강한 화학반응       ③ 가열로 인한 화재        ④ 불꽃방전으로 인한 화재

208. 다음 중 산화성 고체 위험물이 아닌 것은 ? ③

   ① KBrO3      ② (NH4)2Cr2O7         ③ HClO4        ④ NaClO2

[풀이] HClO4 (과염소산) - 산화성 액체

◈ KBrO3 (브로민산칼륨) 제1류 위험물 (산화성고체) 2등급 위험물

     (NH4)2Cr2O7 (다이크로뮴산암모늄) 제1류 위험물(산화성 고체) 3등급 위험물

     NaClO2 (아염소산나트륨) 제1류 위험물 (산화성고체) 1등급 위험물

209. 트리에틸알루미늄은 물과 폭발적으로 반응하다. 이 때 주로 발생하는 기체는 ? ③

   ① 산소        ② 수소        ③ 에탄           ④ 염소

[풀이] 물과 폭발적 반응을 일으켜 에탄(C2H6)가스가 발화, 비산되므로 위험하다.

           (C2H5)3Al + 3H2O → Al(OH)3 + 2C2H6

210. 아이오딘포름반응을 하는 물질로 연소범위가 약 2.5~12.8%이며 끓는 점과 인화점이 낮아 화기를 멀리해야 하고

         냉암소에 보관하는 물질은 ?

   ① CH3COCH3        ② CH3CHO          ③ C6H6             ④ C6H5NO2

[풀이] CH3COCH3 (아세톤) - 무색투명한 독특한 냄새를 갖는 인화성 물질이다. 물과 유기용제에 잘 녹는다. 아이오딘포름

          반응을 한다. 비중 : 0.79, 비점 : 56.6℃, 인화점 : -18.5℃, 발화점 : 538℃, 연소범위 : 2.6 ~ 12.8% 이다.

   ② CH3CHO (아세트알데하이드) - 액비중 : 0.783 (증기비중 : 1.52), 비점 : 21℃, 발화점 : 185℃,

                                                           연소범위 : 4.1 ~ 57% 이다.

   ③ C6H6 (벤젠) - 비중 : 0.879 (증기비중 : 2.77), 비점 : 80℃, 융점 : 5.5℃, 인화점 : -11℃, 발화점 : 498℃,

                                                           연소범위 : 1.4 ~ 7.8 % 이다.

   ④ C6H5NO2 (나이트로벤젠) - 비중 : 1.2, 비점 : 211℃, 융점 : 5.7℃, 인화점 : 88℃, 발화점 : 482 ℃ 이다.

 

211. 분진폭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③

   ① 밀폐공간 내 분진운이 부유할 때 폭발위험성이 있다.

   ② 충격, 마찰도 착화에너지가 될 수 있다.

   ③ 2차, 3차 폭발의 발생 우려가 없으므로 1차 폭발 소화에 주력하여야 한다.

   ④ 산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대형화 될 수 있다.

[풀이] 2차, 3차 폭발의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1차 폭발 소화에 주력하여야 한다.

212. 수소화칼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③

   ① 회갈색의 등축정계 결정이다.               ② 약 150 ℃ 에서 분해된다.

   ③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된다.           ④ 물과의 반응은 흡열반응이다.

[풀이] ① 무색의 사방정계 결정이다. ② 675℃ 까지는 안정하다.

          ③ 물과 접촉 시에는 가연성의 수소가스와 수산화칼슘을 생성한다.

                 CaH2 + 2H2O → Ca(OH)2 + 2H2

          ④ 물과의 반응은 발열반응이다.

213. 오황화인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③

   ① 청색의 결정으로 특이한 냄새가 난다.            ② 알코올에는 잘 녹고 이황화탄소에는 잘 녹지 않는다.

   ③ 수분을 흡수하면 분해된다.                            ④ 비점은 약 325℃ 이다.

[풀이] ① 담황색 결정으로 특이한 냄새가 있다.

          ② 알코올에는 잘 녹고 이황화탄소에는 잘 녹지 않는다.

          ④ 비점은 약 514℃이다.

214. 과산화수소의 분해 방지 안정제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 ③

   ① 구리            ② 은            ③ 인산           ④ 목탄

[풀이] 일반 시판품은 30 ~ 40%의 수용액으로 분해되기 쉬워 인산(H2PO4), 요산 (C5H4N4O3) 등 안정제를 가하거나

           약산성으로 만든다.

215. 다음 중 반건성유에 해당하는 물질은 ? ②

   ① 아마인유        ② 채종유       ③ 올리브유         ④ 파마자유

[풀이] ㉠ 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30 이상인 것 : 아마인유, 들기름, 동유, 정어리기름. 해바라기유 등

          ㉡ 반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00~130인 것 : 청어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참기름, 면실유(목화씨유), 채종유 등

          ㉢ 불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00 이하인 것 : 올리브유, 피마자유, 야자유, 땅콩기름 등

216. 물과 접촉하여도 위험하지 않은 물질은 ? ②

   ① 과산화나트륨            ② 과염소산나트륨         ③ 마그네슘           ④ 알킬알루미늄

[풀이] ㉠ 과산화나트륨 : 물과 접촉하면 발열하며, 대량의 경우 폭발한다.

          ㉡ 과염소산나트륨 : 물에는 잘 안 녹고 산소가 발생한다.

          ㉢ 마그네슘 : 산 및 온수와 반응하여 수소(H2)가 발생한다.

          ㉣ 알킬알루미늄 : 물과 폭발적 반응을 일으켜 에탄(C2H6)가스가 발화, 비산하므로 위험하다.

               (C2H5)3Al + 3H2O → Al(OH)3 + 3C2H6

217. 하이드라진을 약 180℃까지 열분해시켰을 때 발생하는 가스가 아닌 것은 ? ①

   ① 이산화탄소          ② 수소           ③ 질소            ④ 암모니아

[풀이] 2N2H4 (하이드라진) → 2NH3 + N2 + H2

218. 다음 금속 원소 중 비점이 가장 높은 것은 ? ①

   ① 리튬         ② 나트륨          ③ 칼륨           ④ 루비듐

[풀이] 원자번호가 낮을 수록 비점이 높다.

   ㉠ 리튬(Li) : 원자번호 3, ㉡ 나트륨(Na) : 원자번호 11, ㉢ 칼륨 (K) : 원자번호 19  ㉣ 루비듐(Rb) : 원자번호 37

219. 다음 중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로서 비중이 약 4.96, 융점이 약 450℃인 것으로 비교적 안정한 물질은 ? ①

   ① BaO2          ② CaO2              ③ MgO2           ④ BeO2

[풀이] BaO2 : 과산화바륨(barium peroxide)은 이 백색 고체(불순물일 때에는 회색)는 가장 일반적인 무기과산화물 중 하나

          이며 최초로 발견된 과산화물이다. 산화제이며 분화 시 밝은 녹색을 보이기 때문에 불꽃놀이에 일부 사용되며 역사

          적으로 과산화수소의 선구자적 물질로 사용되었다.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 중 매우 안정적인 물질이다.

  ㉡ CaO2 : 과산화칼슘 : 분자량 : 72, 비중 1.7, 분해온도 275℃ 무정형의 백색 분말이며, 물에 녹기 어렵고 알코올이나

       에테르 등에는 녹지 않는다.

        가열하면 275℃에서 분해되어 폭발적으로 산소를 방출한다.

  ㉢ MgO2 (과산화마그네슘) : 백색 분말로, 시판품은 MgO2의 함량이 15~20%이다.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산(HCl)에 녹아 과산화수소(H2O2)를 발생시킨다.

       습기 또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며, 수산화마그네슘과 산소를 발생시킨다.

       환원제 및 유기물과 혼합시 마찰 또는 가열, 충격에 의해 폭발의 위험이 있다.

  ㉣ BeO2 (과산화베릴륨) 제1류 위험물 중 무기과산화물류(과산화나트륨, 과산화칼륨, 과산화마그네슘, 과산화칼슘,

       과산화바륨, 과산화리튬, 과산화베릴륨 등)

220. 마그네슘의 일반적인 성질을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 ? ②

   ① 비중은 약 1.74이다.                   ② 융점은 약 905℃ 이다.

   ③ 비점은 약 1,102℃이다.              ④ 원자량은 약 24.3이다.

[풀이] 융점은 약 650℃이다.

221. 제4류 위험물 중 지정수량이 4,000ℓ인 것은 ? (단, 수용성 액체이다.) ③

   ① 제1석유류           ② 제2석유류          ③ 제3석유류              ④ 제4석유류

[풀이] 제4류 위험물 (인화성 액체) 지정수량

품 명
지정수량
특수인화물
50 ℓ
제1석유류
비수용성
200 ℓ
수용성
400 ℓ
알코올류
400 ℓ
제2석유류
비수용성
1,000 ℓ
수용성
2,000 ℓ
제3석유류
비수용성
2,000 ℓ
수용성
4,000 ℓ
제4석유류
6,000 ℓ
동식물유류
10,000 ℓ

222. 다음 중 분자식과 명칭이 잘못 연결된 것은 ? ①

   ① CH2OH - 에틸렌글리콜          ② C6H5NO2 - 나이트로벤졸

   ③ C10H8 - 나프탈렌                  ④ C3H5(OH)3 - 글리세린

[풀이] 에틸렌글리콜 : C2H4(OH) , CH2OH : 에틸기

 ◈ 에탄올은 대표적인 알코올류로 화학식은 C2H6O 이다. 분자구조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면 CH3CH2OH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구조는 메틸기(CH3)와 에틸기(CH2OH)가 결합한 형태이다. 메틸기와 하이드록실기 (-OH)가 연결되어 있어

       알코올 특유의 성질을 가지는 유기화합물이다.

223. 다음 위험물 중 상온에서 성상이 고체인 것은 ? ①

   ① 과산화벤조일       ② 질산에틸      ③ 나이트로글리세린        ④ 메틸에킬케톤퍼옥사이드

[풀이] 질산에틸 : 상온에서 액체, 나이트로글리세린 - 상온에서 액체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 상온에서 액체

224. 다음중 물속에 저장하여야 할 위험물은 ? ②

   ① 나트륨         ② 황린       ③ 피크르산          ④ 과염소산

[풀이] 나트륨(Na), 피크르산[C6H2OH(NO2)3, 트리나이트로페놀], 과염소산(HClO4)는 물과 반응을 하므로 물속에 저장할

          수 없다.

225. 다음 중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①

   ① 철분       ② 황린         ③ 금속의 수소화물          ④ 알칼리토금속

[풀이] 철분 - 가연성 고체

226. 다음 물질 중 증기비중이 가장 큰 것은 ? ④

  ① 이황화탄소         ② 시안화수소         ③ 에탄올          ④ 벤젠

[풀이] 증기비중

  ㉠ 이황화탄소(CS2) : 2.62 ㉡ 시안화수소(HCN) : 0.93 ㉢ 에탄올 (C2H6O) : 1.59  ㉣ 벤젠 (C6H6) : 2.8

       증기비중 = M(분자량)/29)은 분자량이 무거울수록 크다.

227. 다음 중 칼륨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④

   ① 산소와 반응하면 산화칼륨을 만든다.              ② 습기가 많은 곳에 보관하면 수소가 발생한다.

   ③ 에틸알코올과 혼촉하면 수소가 발생한다.       ④ 아세트산과 반응하면 산소가 발생한다.

[풀이] 아세트산과 반응하면 수소가 발생한다.

228. 다음 중 제5류 위험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① 다이아조화합물은 모두 산소를 함유하고 있다.        ② 유기과산화물의 경우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다.

   ③ 연소생성물 중에는 유독성 가스가 많다.                   ④ 대부분이 고체이고, 일부 품목은 액체이다.

[풀이] 다이아조화합물 중 다이아조메탄(CH2N2)은 산소를 함유하지 않는다.

229. 다음 산화성 액체 위험물의 취급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① 과산화수소 30% 농도의 용액은 단독으로 폭발위험이 있다. 

  ② 과염소산의 융점은 약 -112℃ 이다.

  ③ 질산은 강산이지만 백금은 부식시키지 못한다.

  ④ 과염소산은 물과 반응하여 열이 발생한다.

[풀이] 과산화수소의 60% 농도의 용액은 단독으로 폭발위험이 있다.

230. 분말 소화약제를 종별로 구분하였을 때 그 주성분이 옳게 연결된 것은 ? ①

  ① 제1종 - 탄산수소나트륨              ② 제2종 - 인산수소암모늄

  ③ 제3종 - 탄산수소칼륨                  ④ 탄산수소나트륨과 요소요 혼합물

종류
주성분
분자식
성분비
착색
적응화재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중탄산나트륨)
NaHCO3
NaHCO3
90wt% 이상
-
B,C급
제2종
탄산수소칼륨
(중탄산칼륨)
KHCO3
KHCO3
98wt% 이상
담회색
B,C급
제3종
제1인산암모늄
NH4H2PO4
NH4H2PO4
75wt% 이상
담홍색 또는 황색
A,B,C급
제4종
탄산수소칼륨과
요소
KHCO3 +
CO(NH2)2
-
-
B,C급

231. 다음 중 무색, 무취, 사방정계 결정으로 융점이 약 610℃이고 물에 녹기 어려운 위험물은 ?

   ① NaClO3        ② KClO3               ③ NaClO4               ④ KClO4

[풀이] ㉠ NaClO3 (염소산나트륨) : 무색, 무취의 입방정계 주상 결정, 물, 알코올에 잘 녹으며, 융점은 240 ℃

          ㉡ KClO3 (염소산칼륨) : 무색의 단사정계, 판상결정, 찬물, 알코올에는 녹기 어렵고, 융점은 368.4℃

          ㉢ NaClO4 (과염소산나트륨) : 무색, 무취의 사방정계 결정, 물, 알코올, 아세톤에 잘 녹으며, 융점은 482 ℃

                      

232. 금속리튬은 고온에서 질소와 반응하여 어떤 색의 질화리튬을 만드는가? ②

   ① 회흑색       ② 적갈색       ③ 청록색            ④ 은백색

▣ 질화리튬(Li3N) : [ 窒化- , lithium nitride , Lithiumnitrid ]

 

   ⊙ 용융된 리튬은 쉽게 질소와 화합하여 질화물을 생성한다.

   ⊙ 결정은 육방 결정계. 구조는 N의 주위에 육각 양뿔의 꼭대기와 모서리에 6개의 Li가 있고, 원자간 거리는 Li-N(양뿔

        꼭지점) 1.94Å, Li-N(양뿔 대칭면의 6개의 모서리) 2.11Å. 이온성 질화물에 속한다.

   ⊙ 가열하여 결정상이 된 것은 적갈색, 상온에서는 건조한 공기에 침해되지 않지만 온도를 가하면 곧 산화된다. 물에

         의해 곧 분해된다.

 

233. 과산화수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③

   ① 햇빛에 의해서 분해되어 산소를 방출한다.                  ② 단독으로 폭발할 수 있는 농도는 약 60% 이상이다.

   ③ 벤젠이나 석유에 쉽게 융해되어 급격히 분해된다.       ④ 농도가 진한 것은 피부에 접촉시 수종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풀이] 벤젠이나 석유에는 용해되지 않는다.

234. 트리에틸알루미늄을 취급할 때 물과 접촉하면 발생하는 가스는 ? ①

   ① C2H6              ② H2             ③ C2H2             ④ CO2

[풀이] (C2H5)Al(트리에틸알루미늄) + 3H2O → Al(OH)3 + 3C2H6

  ※ C2H6 (에탄, 에테인) : 천연가스나 원유에 일부 함유되어 있는 탄화수소인 에탄(에테인)은 탄소가 2개인 지방족 포화탄

       화수소이며, 분자식은 C2H6이다. 탄소 원자는 4개의 결합이 되어 있으므로 입체적인 구조를 갖는다. 2개의 탄소 원자

       를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그 구조는 시시각각으로 변화한다. 에탄은 다른 알칸(알케인)족의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치환 반응을 한다.

 

C2H2 (아세틸렌 - [ acetylene ]) 불포화 탄화수소인 알카인(alkyne) 중에서 가장 간단하게 생긴 아세틸렌은 에타인

     (ethyne)이라고도 부르며, 상온에서 불안정한 무색의 가연성 기체이고 공기보다 가볍다. 연료로도 쓰이고 유기 합성에

      서 구축 단위(building block)로도 사용된다. 순도 100%인 아세틸렌은 냄새가 없지만, 상업용 순도의 아세틸렌은 다이

      바이닐 황화물(divinyl sulfide) 불순물로 부터 유래한 특징적인 마늘 냄새가 난다. 아세틸렌은 밝은 빛을 내며, 연기나는

      불꽃을 내며 탄다.

      금속을 용접할 때 산소와 아세틸렌을 사용한다. 용접 온도는 3300°C까지 도달할 수 있다.

 

235. 마그네슘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물보다 무거운 금속이다.                                              ② 은백색의 광택이 난다.

   ③ 온수와 반응시 산화마그네슘과 산소가 발생한다.        ④ 융점은 약 650℃이다.

[풀이] 온수와 반응시 산화마그네슘과 수소가 발생한다.

           Mg + H2O → Mg(OH)2 + H2

236. T.N.T가 분해될 때 발생한느 주요 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③

   ① 질소           ② 수소              ③ 암모니아               ④ 일산화탄소

[풀이] 트리나이트로톨루엔 [T.N.T, C6H2CH3(NO2)3]

  ※1몰의 톨루엔과 3몰의 질산을 황산 촉매하에 반응시키면 나이트로화에 의해 T.N.T가 만들어진다.

     트리나이트로톨루엔 [T.N.T, C6H2CH3(NO2)3] 이 분해시 질소, 일산화탄소, 수소, 탄소가 발생한다.

      C6H2CH3(NO2)3     →       12CO + 2C + 3N2 + 5H2

237. 분자량 93.1, 비중 약 1.02, 융점 약 -6℃인 액체로 독성이 있고 알칼리금속과 반응하여 수소가스가 발생하는

         물질은 ? ③

  ① 글리세린         ② 나이트로벤젠           ③ 아닐린         ④ 아세토나이트릴

[풀이] 글리세린, 글리세롤(glycerol)은 글리세린(glycerin, glycerine), C3H8O3, (CH2OH)2CHOH 이라고도 부르는 무색,

           무취의 액체이다. 점성이 매우 강한 특징이 있다. 지방산과 마찬가지로 유지 성분이며, 공업적으로도 유지를 분해함

           으로써 얻어진다. 글리세린은 3개의 수산기를 가진 3가 알코올이다. 무색의 끈기 있는 액체로 흡습성이 있으며 감미

            가 조금 있고, 녹는점- 20 °C, 끓는점 290 °C이다. 글리세린은 글리프탈 수지 등의 합성 원료로 쓰이는 외에 윤활제

           혹은 연고, 치약같은 약품, 담배나 화장품의 방건제(防乾劑)·정미제(呈味劑) 등에, 나아가서는 방동제(防凍劑)· 냉각

            제·인쇄용 잉크 등 대단히 넓은 용도에 쓰이는 중요한 물질이다. 오늘날에는 이와 같은 유지 분해에 의해서뿐 아니

           라 프로필렌을 원료로 하는 합성법에 의해서도 제조되고 있으며, 천연품·합성품이 거의 같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 나이트로벤젠 (C6H5NO2) : 벤젠을 혼합산(混合酸)으로 나이트로화하면 얻어지는 방향족 나이트로화합물로 독성이

                                                   강하고 피부에 흡수되기 쉬우므로 취급할 때 조심해야 한다.

  ◈ 아닐린 화학식은 C6H5NH2이다. (aniline, anilin)은 벤젠의 수소 하나가 아민기로 치환된  teije goeree 을 말한다. 아닐

        린은 강력한 독성이 있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아닐린은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의 운반을 방해한다.

        지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노출은 식욕감소, 빈혈, 체중감소, 신경계 이상, 신장 이상, 간이나 연골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흡입하거나 피부를 통해서 흡수될 경우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아닐린을 보관할 때는 마개를 단단히 막아

        어두운 곳에 두어야 한다

 

 

 ◈ 아세토나이트릴(C2H3N) : (acetonitrile)은 CH3CN 화학식을 갖는화합물이다. 무색의 액체이며  가장 단순한 형태의

       나이트릴이다. 아크릴로니트릴 제조의 부산물로서 주로 생성된다. 아세토나이트릴은 1847년 프랑스의 화학자 장바티

        스트 뒤마가 최초로 만든 물질이다.

238. 다음 중 유동하기 쉽고 휘발성인 위험물로 특수 인화물에 속하는 것은 ? ①

   ① C2H5OC2H5       ② CH3COCH3       ③ C6H6              ④ C6H4(CH3)2

[풀이] ㉠ 디에틸에테르(C2H5OC2H5) : 비점이 낮고 무색 투명하며, 인화점이 낮고, 휘발성이 강하다.

  ㉡ 아세톤 CH3COCH3 [acetone] 장 간단한 케톤으로 향기가 있는 무색의 액체이다. 유기용매로서 다른 유기물질과 잘

       섞이며, 일상 생활에 많이 사용되나 폭발의 위험이 있다.

       탄소가 산소와 이중결합을 하고 있고, 그 탄소가 또 다른 두 개의 결합자리를 가지고 있어 두 알킬기(alkyl group)들과

       결합하고 있는 경우, 이 물질을 케톤(ketone)이라 한다. 케톤의 가장 간단한 형태로, 양쪽에 하나씩 총 두(di)개의 메틸

       기(methyl)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다이메틸케톤(dimethylketone)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 탄소가 총 세 개인 프로

        페인(propane)에서 변형된 케톤(ketone)이라는 의미에서 프로판온(propanon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벤젠 (C6H6) 벤젠(benzene)은 화학식 C6H6를 갖는 탄화수소로 무색이며 달콤한 냄새가 나는 가연성 액체이다.

       벤젠은 여섯 개 탄소가 정육각형 평면을 이루며 각 탄소에는 하나의 수소가 결합한다.

       여섯 개의 각 결합은 단일결합과 이중결합의 중간 정도의 동일한 결합이며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방향족성을 갖고

       있다. 벤젠은 휘발유의 옥탄가를 높이는 효과가 있어 한동안 첨가제로 사용되다가 발암성 때문에 첨가제로의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오늘날 벤젠은 공업용 재료가 되는 다양한 벤젠 유도체의 합성에 필요한 출발 물질로 연간 수천만 톤이

       석유로부터 생산되고 있다.

  ㉣ 크실렌 [C6H4(CH3)2, xylene, 자일렌] : 벤젠의 디메틸 치환체, C6 H4(CH3)2. ο-, m-, p-의 3종류의 이성질체가 있다.

       모두 무색의 액체이다. 나프타의 접촉 개질유 등에서 혼합 크실렌을 분리 회수하여 끓는점이 가장 높은 ο-크실렌을

          증류 분리한다. p- 및 m-크실렌은 끓는점이 근접되어 있어 증류 분류는 불가능하므로 분자체에 의한 분별 흡착

           등으로 m-크실렌을 분리한다. 각종 합성수지와 합성섬유의 제조 원료로 사용한다.

239. 다음 유지류에서 건성유에 해당하는 것은 ? ③

   ① 낙화생유(peanut oil)        ② 올리브유(olive oil)        ③ 동유(tung oil)     ④ 파마자유(castor oil)

[풀이] ㉠ 건성유 : 아마인유, 들기름, 동유, 정어리기름, 해바라기유 등 

          ㉡ 불건성유 : 낙화생유(peanut oil), 올리브유(olive oil), 피마자유(caster oil)

240. 황린과 적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②

  ① 적린은 황린에 비하여 안정하다.                      ② 비중은 황린이 크며, 녹는점은 적린이 낮다.

  ③ 적린과 황린은 모두 물에 녹지 않는다.             ④ 연소할 때 황린과 적린은 모두 P2O5의 흰 연기가 발생한다.

[풀이] 적린의 비중은 2.2, 녹는점은 600℃, 황린의 비중은 1.82, 녹는점은 44℃ 이다.

241. 피크르산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③

  ① 쓴 맛이 나고 독성이 있다.              ② 약 300℃ 정도에서 발화한다.

  ③ 구리용기에 보관하여야 한다.         ④ 단독으로는 마찰, 충격에 둔감하다.

[풀이] 피크르산은 중금속(Fe, Cu, Pb 등)과 반응하여 민감한 피크르산염을 형성한다.

※ 피크르산 (C6H3N3O7) : 페놀에 황산을 작용시켜 다시 진한 질산으로 나이트로화하여 만드는 노란색 결정이며 폭약으

        로 쓰인다. 피크르산이라는 이름은 ‘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pikros에서 유래하며, 피크린산 또는 2,4,6-트라이나이트

        로페놀(TNP)이라고도 한다. 화학식 C6H3N3O7. 맛이 상당히 쓰고 노란색 결정이며, 분자량 229.11, 끓는점 255℃,

        녹는점 122.5℃, 비중 1.767(19℃)이다. 뜨거운 물· 에탄올에는 상당히 녹고, 또 아세톤에도 잘 녹으나, 석유에는 거의

        녹지 않는다. 수용액은 강한 산성을 보인다. 서서히 가열하면 승화하지만, 갑자기 가열하거나 충격을 주면 폭발한다.

242. 다음 중 지정수량이 가장 작은 물질은 ? ①

   ① 칼륨         ② 적린           ③ 황린             ④ 질산염류

[풀이] 지정수량 : 칼륨 - 10㎏, 적린 - 100㎏, 황린 - 20㎏, 질산염류 - 300㎏

243. 인화칼슘의 일반적인 성질 중 옳은 것은 ? ①

  ① 물과 반응하면 독성의 가스가 발생한다.        ② 비중이 물보다 작다.

  ③ 융점은 약 600℃ 정도이다.                            ④ 회흑색의 정육면체 고체상 결정이다.

[풀이] 인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유독하고 가연성인 인화수소(PH3, 포스핀)가스가 발생한다.

           Ca3P2 + 6H2O → 3Ca(OH)2 + 2PH3

           적갈색의 괴상(덩어리 상태) 고체이며, 비중은 2.51, 융점은 1,600 ℃ 이다.

244. 다음 중 은백색의 결정으로 비중이 약 0.92이고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은 ? ②

    ① 수소화리튬          ② 수소화나트륨         ③ 탄화칼슘          ④ 탄화알루미늄

[풀이] ㉠ 수소화리튬 (LiH) : 비중은 0.82이며, 무색투명한 고체이로, 물과 작용하여 수소가 발생한다.

                   LiH + H2O → LiOH + H2

  ㉡ 수소화나트륨(NaH) : 회색의 입방정계 결정으로, 비중은 0.93이며 습한 공기 중에서 분해되고, 물과는 격렬하게 발열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킨다.

                   NaH + H2O → NaOH + H2

  ㉢ 탄화칼슘 (CaC2): 칼슘의 탄소화합물로 공업적으로 생석회와 코크스나 무연탄 등의 탄소를 전기로 속에서 가열하여

        제조한다. 비료, 아세틸렌의 원료로 사용된다.

        카바이드·칼슘카바이드라고도 한다. 화학식 CaC2. 순수한 것은 정방정계에 속하는 무색 결정으로, 녹는점 2,300℃,

        비중 2.28(18℃)이다. 물을 작용시키면 아세틸렌 C2H2를 발생하며, 이때 발열한다.

            CaC2 + 2H2O → Ca(OH)2 + C2H2

        단, 공업용 탄화칼슘은 황·인·질소·규소 등이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황화수소 ·인화수소·암모니아 등을

         발생하여 아세틸렌을 불순하게 만든다.

         또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상온(常溫)에서 안정하나, 350℃ 이상으로 가열하면 산화되고, 질소 N2와는 600℃ 이상에

         서 반응하여 사이안아마이드화칼슘 CaCN2를 생성한다.

               CaC2 + N2 → CaCN2 + C

   ㉣ 탄화알루미늄 [ 炭化- , aluminum carbide , Aluminiumcarbid ] Al4C3

         Al4C3=143.95. 외에 아세틸리드 Al2C6=126.03이 알려져 있다.

        알루미늄과 탄소를 가열한다.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산화알루미늄 및 질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순

        수한 것은 무색, 보통은 육방 결정계, 황색의 능면체 결정. 복잡한 층상 격자를 갖는다.

         녹는점 2200℃. d 2.37, 경도 8. 진공 속에서는 약 1800℃ 정도에서 승화하기 시작한다.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표면에

         산화알루미늄의 얇은 막이 생겨서 반응은 진행되지 않는다. 물과 만나면 실온에서도 곧 분해되어 메탄을 발생한다.

             Al4C3 + 12 H2O → 3CH4 + 4Al(OH)

        산과 만나면 역시 메탄을 발생한다.

             Al4C3 + 12 H2Cl → 3CH4 + 4AlCl

         진한 황산과 만나면 이것을 일부 환원해서 이산화황을 발생한다. 중금속 산화물과 가열하면 환원성을 나타내서 중금

         속을 유리한다.

245. Ca3P2의 지정수량은 얼마인가 ? ③

   ① 50 ㎏             ② 100 ㎏             ③ 300 ㎏                ④ 500 ㎏

[풀이] 제3류 위험물로서 인화칼슘이여 위험등급 3등급에 해당한다.

246. 나이트로글리세린의 성질로 옳은 것은 ? ②

   ① 물, 벤젠에 잘 녹으나 알코올에는 녹지 않는다.           ② 물에 녹지 않으나 알코올, 벤젠 등에는 잘 녹는다.

   ③ 물, 알코올 및 벤젠에 잘 녹는다.                                  ④ 알코올, 물에는 녹지 않으나 벤젠에는 잘 녹는다.

[풀이]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메탄올(에탄올), 벤젠,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에는 녹는다.

  ※ 나이트로글리세린 (C3H5(NO3)3) [ nitroglycerine ] 글리세린의 질산에스터이며 움직임에 민감하고 강력한 폭발력이

      있어 화약으로 사용된다. 트라이나이트로글리세린(trinitroglycerin), 1,2,3-트라이나이트로실프로페인(1,2,3-

       trinitroxypropane)이라고도 하며, NG로 약기(略記)한다. 분자식은 C3H5(NO3)3이다.

 

  특이하게 달콤한 맛이 나며 무색 투명한 기름 상태 액체로, 분자량 227.09, 비중 1.596(15℃)이다.

  결정에는 안정형과 불안정형이 있는데, 안정형의 녹는점은 13.2∼13.5℃, 불안정형의 녹는점은 1.9∼2.2℃이다. 민감하고

  강력한 폭발력이 있어 크게 주목을 받았다. 약간의 충격에 의해서도 폭발하므로, 액체 상태로 운반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공업제품은 8℃ 부근에서 동결하고, 14℃ 부근에서 융해한다. 물에는 별로 녹지 않으나, 에탄올에는 녹으며, 에테르

   와 임의의 비율로 섞인다. 벤젠 등유기용매에 잘 녹는다. 나이트로글리세린은 1847년 이탈리아의 소브레로(A. Sobrero)

   에 의해서 처음으로 합성되었고, 그 후 A. B. 노벨에 의해 연구·개발되어 많은 변천을 거쳐 1862년 실용을 목적으로 한

   공장이 건설되었다. 나이트로글리세린을 제조하는 질화기(窒化器)는 1901년 영국에서 고안된 다단식 질화기가 오늘날

   까지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슈미트식·비아치식·인젝터식 등 연속질화기가 발달하여 이용되고 있다.

247.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알코올류가 위험물이 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 ④

  ① 한 분자내에 탄소 원자수가 1개 부터 3개까일 것                      ② 포화알코올일 것

  ③ 수용액일 경우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의한 알코올 함유량이 60wt% 이상일 것

  ④ 2가 이상의 알코올일 것

[풀이] 한 분자내의 탄소 원자수가 3개 이하인 포화1가의 알코올로서 변성알코올을 포함하며, 알코올 수용액의 농도가

           60vol% 이상인 것을 말한다.

248.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위험도에 가장 가까운 값은 얼마인가 ? ②

   ① 약 7           ② 약 13           ③ 약 23                 ④ 약 30

[풀이] 아세트알데하이드 연소범위 : 4.1 ~ 57%

※ 아세트알데하이드[ acetaldehyde ] : 아세트알데하이드 CH3CHO의 IUPAC 이름은 에탄알(ethanal) [에테인(탄소2개)

     +알(알데하이드)]이다. 다른 이름은 아세틸알데하이드, 에틸알데하이드 등이 있다. CAS 등록번호는 75-07-0이다. 실험

     실에서는 에탄올을 산화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얻는다. 공업적으로는 에틸렌에 산소를 반응시키는 바커(Wacker)

     공정에 의하여 얻거나 혹은 아세틸렌에 물을 첨가시 켜 얻는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다양한 반응성을 가지는 화합물이기에 수지, 염료, 화약 등의 유기 합성의 출발 물질로 널리 사용한다. 이 화합물은 환원제, 보존제 및 은거울의 매개체로 사용한다. 저온에서 진한 황산과 작용하며 삼중합체 파라알데하이드(CH3CHO)3를 생성한다. 수지 합성에는 휘발성이 강한 아세트알데하이드보다는 중합체 파라알데하이드를 높은 끓는점과 인화점 때문에 선호하여 사용한다. 묽은 알칼리와 작용하면 알돌 축합 반응으로 알돌을 생성한다. 환원하면 에탄올, 산화하면 아세트산을 생성한다.

249. 과산화수소 수용액은 보관 중 서서히 분해될 수 있으므로 안정제를 첨가하는데 그 안정제로 가정 적합한 것은 ? ①

  ① H2PO4            ② MnO2          ③ C2H5OH             ④ Cu

[풀이] 과산화수소 일반 시판품은 30~40%의 수용액으로 분해되기 쉬워 인산(H2PO4), 요산(C5H4,N4O3) 등의 안정제를

          가하거나 약산성으로 만든다.

 ㉡  MnO2 이산화망간 : 二酸化- , manganese dioxide 회색 내지 흑색의 결정으로 산화망간이라고도 함망간과 산소가

       결합한 화합물로 MnO2로 표시하며 비중은 5.026, 분자량 86.94이다. 물에는 잘 녹지 않지만 전기가 통하고, 물은 산과

        같이 있으면 환원제에 의해 환원되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150~200℃ 에서 2가 망간의 황산염을 장시간 가열하거나,

        300℃에서 염서사날롬과 탄산염을 가열하면 발생한다.

        대체적으로 화학반응에서는 관여하지 않고, 반응속도를 높여주는 촉매의 성질이 있어 정촉매로 많이 쓰이고 있다.

        이산화망간은 중금속에 속하므로 사용 후 분리하여 수거해야하고 물감의 제조, 산화제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된다.

 ㉢ C2H5OH [ ethanol ] 에탄올 : 탄소 원자, 수소 원자와 산소 원자(CH3CH2OH)로 이뤄진 술의 주성분이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독제 및 공업화학의 주요 용매이다.

       에탄올(ethanol)은 에틸 알코올(ethyl alcohol)이라고도 불리는 탄소원자 두 개와 산소 원자 한 개, 수소 원자 여섯 개로

        이뤄진 분자로 C2H6O 또는 C2H5OH와 CH3CH2OH의 화학식을 갖는 분자이다.

        예로부터 술의 핵심 성분으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주정(酒精)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탄소와 수산화기(하이드록실기, -OH)로 이뤄진 알코올 화합물은 이를 이루고 있는 탄소의 개수에 의해 이름이 결정되

        는데, 탄소 1개를 포함하는 알코올은 메탄올(methanol), 탄소 두 개로 이뤄진 알코올은 에탄올(ethanol), 탄소 3개로

        이뤄진 알코올은 프로판올(propanol), 네 개로 이뤄진 알코올은 뷰탄올 (butanol)이라고 불리는 방식이다

250. 톨루엔과 크실렌의 혼합물에서 톨루엔의 분압이 전압의 60%이면 이 혼합물의 평균 분자량은 ? ②

   ① 82.2           ② 97.6             ③ 120.5              ④ 166.1

[풀이] 톨루엔의 분자량 : 92, 크실렌의 분자량 : 106.2

          전압 = PA + PB, 평균분자량 = MA · PA + MB · PB

           ∴ 평균 분자량 = 92 × 0.6 + 106.2 × 0.4 = 97.6

251.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된 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 ②

   ① 연소범위가 약 2.5~81%로 넓다.            ② 은 또는 구리 용기를 사용하여 보관한다.

   ③ 가압시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④ 탄소간 삼중결합이 있다.

 [해설] CaC2 + 2H2O → Ca(OH) + C2H2

   ◈ 생성되는 아세틸렌 가스는 금속(Cu, Ag, Hg 등)과 반응하여 폭발성 화합물인 금속아세틸레이드(M2C2)를 생성한다.

         C2H2 + 2Ag → Ag2C2 + H2

#탄화칼슘 #위험도 #안정제 #지정수량 #나이트로글리세린 #피크린산 #알칼리금속

#특수인화물 #건성유 #질화리튬 #자연발화성 #금수성 #분말소화약제 #아이오딘포름반응 #인화석회 #아세톤 #톨루엔 #벤젠

반응형
반응형
 

101. 다음 중 물속에 저장하여야 할 위험물은 ? ②

   ① 나트륨       ② 황린          ③ 피크르산         ④ 과염소산

[풀이] 제3류 위험물 - 나트륨(Na) - 물과 반응시 수소발생,

          제5류 위험물 (자기반응성 물질) - 피크르산 (강력한 폭약, C6H2OH(NO2)3 - 물에 녹음

           과염소산 - 제1류 위험물 (산화성고체) - 물과 반응시 발열 반응

102. T,N,T 가 분해될 때 주로 발생하는 가스는 ? ①

   ① 일산화탄소   ② 암모니아      ③ 시안화수소          ④ 염화수소

[풀이] C6H2CH3(NO2)3 → 12CO + 2C + 3N2 + 5H2

103. 알코올류에서 탄소수가 증가할 수록 변화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 ③

   ① 인화점이 낮아 진다.            ② 연소범위가 넓어진다.

   ③ 수용성이 감소된다.             ④ 액체비중이 작아진다.

[풀이] 탄소수가 증가할 수록 변화되는 현상

   ㉠ 인화점이 높아진다.        ㉡ 액체비중이 커진다.

   ㉢ 발화점이 낮아진다.        ㉣ 연소범위가 좁아진다.

   ㉤ 수용성이 감소된다.        ㉥ 비등점, 융점이 좁아진다.

104. 다음 유지중 아이오딘값이 100 이하인 불건성유는 ?

   ① 아마인유       ② 참기름       ③ 피마자유        ④ 번데기유

[풀이] ㉠ 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30 이상일 것

              이중결합이 많아 불포화도가 높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액표면에 피막을 만드는 기름

              아마인유, 들기름, 등유, 정어리기름, 해바라기유 등

   ㉡ 반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00 ~ 120 인 것

        공기중에서 건성유 보다 얇은 피막을 만드는 기름

        청어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참기름, 면실유(목화씨유), 채종유 등

   ㉢ 불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00 이하인 것

        공기중에서 피막을 만들지 않는 안정된 기름

        올리브유, 피마자유, 야자유, 땅콩기름 등

105. 포소화약제의 하나인 수성막포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④

   ① 불소계계면활성제포의 일종이며 라이트워터라고 한다.

   ② 소화원리는 질식작용과 냉각작용이다.

   ③ 타 포소화약제 보다 내열성, 내포화성이 높아 기름화재에 적합하다.

   ④ 단백포 보다 독성이 없으나 장기보존성이 떨어진다.

[풀이] 단백포 보다 독성이 없으나 장기본성이 우수하다.

106. 인화성 액체 위험물인 제2석유류(비수용성 액체) 60,000ℓ에 대한 소화설비의 소요단위는 ? ③

   ① 1단위          ② 4단위        ③ 6단위            ④ 8단위

[풀이] 소화능력단위 = 저장량/(지정수량 × 10배) = 60,000/(1,000×10) = 6단위

107. 화상은 정도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나뉜다. 제2도 화상의 증상은 ? ③

   ① 괴사성        ② 홍반성          ③ 수포성         ④ 화침성

[풀이] ㉠ 1도 화상(홍반성) : 최외각의 피부가 손상되어 분홍색이 되고 심한 통증을 느끼는 상태

          ㉡ 2도 화상(수포성) : 화상 부위가 분홍색을 띠고 분비액이 많이 분비되는 화상의 정도

          ㉢ 3도 화상 (괴사성) : 화상 부위가 벗겨지고 열이 깊숙히 침투되어 검게 되는 현상

          ㉣ 4도 화상 (탄화성) : 피부의 전 층과 함께 근육, 힘줄, 신경 또는 골조직까지 손상되는 정도

108. 탄화칼슘(카바이트)의 저장방법을 옳게 나타낸 것은 ? ③

   ① 석유속에 저장한다.                                  ② 에틸알코올 속에 저장한다.

   ③ 질소가스 등 불활성 가스로 봉입한다.      ④ 톱밥 속에 저장한다.

109. 다음 중 비독성 가스는 ? ③

   ① F2          ② C2H4O          ③ N2O               ④ CH3Cl

[풀이]㉠ 플루오린(Fluorine 플루어린]) 또는 플루오르(Fluor 플루오어) 또는 불소(弗素)는 할로젠에 속하는 화학원소로

               기호는 F, 원자번호 9이다. 플루오린 분자는 상온에서 옅은 황록색 기체로, 다른 할로젠 원소와 마찬가지로

                맹독물이다.

  ㉡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 또는 아세트알데히드 분자식은 CH3CHO = C2H4O 이다. 상온에서는 무색 액체

       존재한다. 녹는점은 -123.5 ℃, 끓는 점은 20.2 ℃이다. 물, 에탄올, 에테르와 잘 섞인다. 연소열은 218.9 kcal이다.

        섭취 시 위장에 자극을 주고 구역질, 구토,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 삼킬 경우 해롭다. 중추신경억제제로 작용한다.

         흡입 시 기도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고농도에는 마취효과가 있을 수 있다.

  ㉢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는 질소원자 두 개와 산소 원자 한 개로 이루어진 기체 화합물이다.

       일산화이질소·산화이질소라고도 하며, 화학식은 N2O이다. 감미로운 향기와 단맛을 지닌다.

       화학적 성질은 과 비슷하며, 나무조각·석탄·석유 등은 공기 중에서보다 이 속에서 더 잘탄다. 이 기체를 흡입하면

       얼굴 근육에 경련이 일어나 마치 웃는 것처럼 보여, 소기(笑氣), 웃음가스(laughing gas)라고도 한다. 또, 마취성이 있어

       간단한 외과수술시 전신마취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산소 10%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독성·자극성이 약하고

       안전하지만, 높은농도를 필요로 하므로 산소결핍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봄베에 넣어서 시판된다.

  ㉣ 염화 메틸(Chloromethane, methyl chloride, Refrigerant-40, R-40, HCC 40)은 화학식 CH3Cl을 갖는 유기 화합물이다.         할로알케인들 중 하나이며 무색무취의 인화성 가스이다. 염화 메틸은 산업화학에서 중요한 시약이지만 소비자용 제품

       에는 드물게 존재하며 한때 냉매로 활용된다. 염화 메틸 가스를 흡입하면 알코올 중독과 비슷한 중추신경계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기간 노출되면 돌연변이적 영향을 줄 수 있다.

110. 중질유 탱크 등의 화재시 물이나 포말을 주입하면 수분의 급격한 증발에 의하여 유면이 거품을 일으키거나 열유의

         교란에 의하여 열유층의 밑의 냉유가 급격히 팽창하여 유면을 밀어 올리는 위험한 현상은 ? ②

   ① oil - over 현상         ② slop-over 현상          ③ water hammering 현상           ④ primming 현상

[풀이] ㉠ oil-over 현상 : 유류탱크에 유류저장량을 50% 이하로 저장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하면 탱크 내의 공기가 팽창하면

                                      서 폭발하는 현상

   ㉡ water hammering 현상 : 배관 속을 흐르는 유체의 속도가 급속히 변화시 유체의 운동에너지가 압력으로 변화되어

                                                배관 및 장치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 priming 현상 : 소화설비의 펌프에 공기고임 현상

111. 위험물 연소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①

   ① 연소속도가 대단히 빠르다.                     ② 마찰, 충격은 위험물의 점화원이 되지 않는다.

   ③ 점화에너지를 많이 필요로 한다.             ④ 폭발한계가 매우 좁다.

112. 위험물의 화재위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②

   ① 인화점이 낮을 수록 위험하다.             ② 착화점이 높을 수록 위험하다.

   ③ 폭발한계가 넓을 수록 위험하다.          ④ 연소속도가 클수록 위험하다.

[풀이] 착화점이 낮을 수록 위험하다.

113. 금속나트륨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②

   ① 불꽃반응은 파란색을 띤다.          ②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고 가연성 폭발가스를 만든다.

   ③ 은색색의 중금속이다.                  ④ 물 보다 무겁다.

[풀이] 불꽃 반응은 노란색이다. 은백색의 경금속이다. 물 보다 가볍다 (비중 0.97)

114. 산화프로필렌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 에테르 냄새가 난다.

   ② 반응성이 작고 기체밀도는 공기보다 낮다.

   ③ 용기는 구리, 마그네슘 또는 이의 합금을 사용하지 못한다.

   ④ 피부에 접촉시 또는 증기를 흡입하면 해롭다.

[풀이] 반응성이 작고 기체밀도는 공기 보다 무겁다. (증기비중 2.0)

115. 크실렌(xylene)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3가지 이성질체가 있다.              ② 독특한 냄새를 가지며 갈색이다.

   ③ 유지나 수지 등을 녹인다.           ④ 증기의 비중이 높아 낮은 곳에 체류하기 쉽다.

[풀이] 독특한 냄새를 가지며 무색투명하다.

   벤젠의 디메틸 치환체, C6 H4(CH3)2 = C8H10. ο-, m-, p-의 3종류의 이성질체 가 있다. 모두 무색의 액체이다. 나프타의

   접촉 개질유 등에서 혼합 크실렌을 분리 회수하여 끓는점이 가장 높은 ο-크실렌을 증류 분리한다. p- 및 m-크실렌은 끓는

   점이 근접되어 있어 증류 분류는 불가능하므로 분자체에 의한 분별 흡착법 등으로 m-크실렌을 분리한다. 각종 합성수지

    와 합성 섬유의 제조 원료로 사용한다.

116. 인화성 액체 위험물에 해당하는 에어졸의 내장용기 등으로서 용기 포장에 표시하지 아니할 수 있는 포장의 최대 용적

        은 ? ①

   ① 300㎖            ② 500 ㎖            ③ 150 ㎖            ④ 1,000 ㎖

117. 다음 중 아염소산은 어느 것인가 ? ②

   ① HClO            ② HClO2            ③ HClO3                 ④ HClO4

[풀이] ㉠ HClO - 차아염소산 ㉢ HClO3 - 염소산 ㉣ HClO4 - 과염소산

118. 다음 중 연소되기 어려운 물질은 ? ③

   ① 산소와 접촉 표면적이 넓은 물질               ② 발열량이 큰 물질

   ③ 열전도율이 큰 물질                                   ④ 건조한 물질

[풀이] 열전도율이 낮은 물질

119. 산화열에 의한 발열로 인하여 자연발화가 가능한 물질은 ? ②

   ① 셀룰로이드          ② 건성유          ③ 활성탄               ④ 퇴비

[풀이] ㉠ 분해열에 의한 발화 : 셀룰로이드류, 나이트로셀룰로오스(질화면). 나이트로글리세린, 질산에스터류 등

          ㉡ 산화열에 의한 발화 : 건성유, 원면, 석탄, 고무분말, 액체 산소, 발열질산 등

          ㉢ 중합열에 의한 발화 : 시안화수소(HCN), 산화에틸렌(C2H4O), 염화비닐(CH2CHCl)

          ㉣ 흡착열에 의한 발화 : 활성탄, 목탄, 분말 등

          ㉤ 미생물에 의한 발화 : 퇴비, 먼지 등

120. 산화성 고체 위험물의 위험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④

  ① 불연성 물질로 산소를 방출하고 산화력이 강하다.

  ② 단독으로 분해, 폭발하는 물질도 있지만 가열, 충격, 이물질 등과의 접촉으로 분해를 하여 가연물과 접촉, 혼합에

       의하여 폭발할 위험성이 있다.

  ③ 유독성 및 부식성 등 손상의 위험성이 있는 물질이다.

  ④ 착화온도가 높아서 연소확대의 위험이 크다.

[풀이] 착화온도가 낮아서 연소확대의 위험이 크다.

121.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일반적인 연소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단, 탄소수가 증가할 수록) ①

   ① 연소범위의 하한이 커진다.         ② 연소속도가 늦어진다.

   ③ 발화온도가 높아진다.                 ④ 발열량(kcal/㎥)이 작아진다.

[풀이]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일반적인 연소성(탄소수가 증가할 수록)

   ㉠ 연소범위의 하한이 높아진다.            ㉡ 연소속도가 빨라진다.

   ㉢ 발화온도가 낮아진다.                       ㉣ 발열량(kcal/㎥)이 증가한다.

122.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은 ? ③

  ① NaHCO3       ② KHCO3         ③ NH4H2PO4            ④ NaHCO3 + (NH2)2CO

종류
주성분
분자식
성분비
착색
적응화재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중탄산나트륨)
NaHCO3
NaHCO3
90wt% 이상
-
B,C급
제2종
탄산수소칼륨
(중탄산칼륨)
KHCO3
KHCO3
98wt% 이상
담회색
B,C급
제3종
제1인산암모늄
NH4H2PO4
NH4H2PO4
75wt% 이상
담홍색 또는 황색
A,B,C급
제4종
탄산수소칼륨과
요소
KHCO3 +
CO(NH2)2
-
-
B,C급
 

123. 수소화칼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③

   ① 회갈색의 등축정계 결정이다.                ② 낮은 온도 (150℃)에서 분해된다.

   ③ 물과 작용하여 수소가 발생한다.            ④ 물과의 반응은 흡열반응이다.

124. 하이드라진(hydrazi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③

   ① NH3를 CO- 이온으로 산화시켜 얻는다.           ② Raschig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③ 주된 용도는 산화제로서의 작용이다.               ④ 수소결합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

[풀이] 하이드라진의 주된 용도는 플라스택 발포제 등의 환원제로서의 작용이다.

하이드라진 : 질소와 수소의 화합물로 1887년 T. 쿠르티우스가 황산염으로 처음 제조했다. 공기 중에서 발연하는 무색의 액체로 암모니아와 비슷한 냄새가 난다. 금속이온을 금속상태까지 환원시키는 특징이 있다.

화학식 NH2NH2. 녹는점 2℃, 끓는점 113.5℃, 비중 1.011이다. 발화점 270℃, 인화점 37.8℃이다. 공기 속에서 발연하는 무색의 액체로 암모니아와 비슷한 냄새를 가진다. 물 및 저급 알코올에 임의의 비율로 녹는다. 1887년에 T. 쿠르티우스에 의하여 처음으로 황산염으로 제조되었다. 많은 유기 및 무기화합물을 녹여서 이온화한다. 밀폐하여 냉암소에 두면 몇 년 동안은 안정하나 180℃ 정도로 가열하면 질소와 암모니아로 분해한다. 또 350℃ 이상으로 가열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면 질소와 수소로 분해한다. 공기 속에서는 보라색 불꽃을 내며 탄다.

125. 과산화나트륨과 묽은 산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은 ? ④

   ① NaOH          ② H2O            ③ Na2O           ④ H2O2

[풀이] 에틸알코올에는 녹지 않으나 묽은 산과 반응하여 과산화수소(H2O2)를 생성한다.

           Na2O2 + 2CH3COONa + H2O2

126. 수소화나트륨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질은 ? ③

   ① Na2O2와 H2       ② Na2O 와 H2O           ③ NaOH 와 H2            ④ NaOH와 H2O

[풀이] 습한 공기 중에서 분해되고 물과는 격렬하게 발열반응하여 수소가스가 발생된다.

           NaH + H2O → NaOH + H2

127. 다음 중 물보다 무거운 물질은 ? ④

   ① 에테르          ② 아이소프렌           ③ 산화프로필렌            ④ 이황화탄소

[풀이] 비중 에테르 : 0.719, 아이소프렌 : 0.7, 산화프로필렌 : 0.83, 이황화탄소 : 1.26

128. 제4석유류의 인화점 범위는 ? ④

   ① 21℃ 미만인 것                            ② 21℃ 이상 70℃ 미만인 것

   ③ 70℃ 이상 200℃ 미만인 것          ④ 200℃ 이상 250℃ 미만인 것

[풀이] 제1석유류 : 21℃ 미만인 것, 제2석유류 : 21℃ 이상 70℃ 미만인 것

           제3석유류 : 70℃ 이상 200℃ 미만인 것 제4석유류 : 200℃ 이상 250℃ 미만인 것

129. 위험물의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

   ① 통풍이 잘 되게 한다.                    ② 습도를 높게 한다.

   ③ 저장실의 온도를 낮춘다.              ④ 열이 축적되지 않도록 한다.

[풀이] 습도를 낮게 한다.

130. 건성유는 아이오딘값이 얼마인 것을 말하는가 ? ④

   ① 100 미만          ② 100 이상 130 미만         ③ 130 미만           ④ 130 이상

[풀이] 아이오딘값

   ㉠ 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30 이상인 것

   ㉡ 반건성유 : 아이오딘 값이 100 ~ 130 인 것

   ㉢ 불건성유 : 아이오딘 값이 100 이하인 것

131. 알코올류 위험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②

   ① 탄소수가 1개 부터 3개까지인 포화1가 알코올을 말한다.

   ② 포 소화약제 중 단백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③ 메틸알코올은 산화되면 최종적으로 포름산이 된다.

   ④ 포화1가 알코올의 수용액의 농도가 60wt% 이상인 것을 말한다.

[풀이] 알코올류는 한 분자내의 탄소 원자 수가 3개 이하인 포화1가의 알코올로서 변성 알코올을 포함하며, 알코올 수용액

           의 농도가 60wt% 이상인 것을 말한다. 알코올류에는 내알코올 포 소화약제가 효과적이다.

132. 제1류 위험물인 염소산나트륨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④

   ① 산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킨다.

   ② 가연물과 혼합되어 있으면 약간의 자극에도 폭발할 수 있다.

   ③ 조해성이 좋으며 철제용기를 잘 부식시킨다.

   ④ CO2 등의 질식소화가 효과적이며 물과의 접촉시 단독 폭발할 수 있다.

[풀이] 염소산 나트륨은 산과 반응하여 유독한 이산화염소(ClO2)가 발생한다.

           3NaClO3 → NaClO4 + Na2O + 2ClO2

          CO2 등의 질식소화가 효과적이며 물과의 접촉시 단독 폭발하지 않는다.

133. 자동차의 부동액으로 많이 사용되는 에틸렌글리콜을 가열하거나 연소했을 때 주로 발생되는 가스는 ? ①

   ① 일산화탄소        ② 인화수소         ③ 포스겐가스       ④ 메탄

[풀이] 상온에서는 인화의 위험이 없으나 가열하면 연소 위험성이 증가하고 가열하거나

           연소에 의해 자극성 또는 유독성의 일산화탄소가 발생한다.

134. 아세톤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① 보관 중 청색으로 변한다.              ② 아이오딘포름반응을 일으킨다.

   ③ 아세틸렌 저장에 이용된다.            ④ 유기물을 잘 녹인다.

[풀이] 보관 중 황색으로 변한다.

아이오도폼 [ iodoform ] : 방부제로 사용되는 의약품 : 트라이아이오도메테인이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CHI3이다. 분자량 393.73, 비중 4.008(17℃ 값), 녹는점 119℃이다. 유기할로젠화물의 일종으로서 아세틸기() CH3CO를 갖는 유기화합물에 수산화알칼리와 아이오딘을 작용시키면 생성된다. 이 반응을 아이오도폼반응이라 하며, 매우 예민하다.

노란색의 육방판상결정(六方板狀結晶)이며, 냄새가 독특하다.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하면 분해·승화하지만, 증류가 가능하다. 물·벤젠에는 녹지 않으나, 에탄올·에테르·아세트산에는 녹는다.

135. 가연물의 구비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③

   ① 열전도도가 적을 것                 ② 연소열량이 클 것

   ③ 완전산화물일 것                      ④ 점화에너지가 적을 것

[풀이] 완전산화물은 반응성이 작아 가연물의 연소조건이 될 수 없다.

136. 아염소산나트륨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 ④

   ① 단독으로 폭발 가능하고 분해온도 이상에서는 산소가 발생한다.

   ② 비교적 안정하나 시판품은 140 ℃ 이상의 온도에서 발열반응을 일으킨다.

   ③ 유기물, 금속분 등 환원성 물질과 접촉하여 자극하면 즉시 폭발한다.

   ④ 수용액 중에서 강력한 환원력이 있다.

[풀이] 수용액 중에서 강력한 산화력이 있다.

137. 가연성 혼합기체에 전기적 스파크로 점화 시작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최소착화에너지라 하는데

         최소 착화에너지를 구하는 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 ③

         (단, C : 콘덴서의 용량, V : 전압, T : 전도율, F : 점화상수이다.)

   ① FVT2         ② FCV2           ③ 1/2CV2             ④ CV

138. 벤젠핵에 메틸기 한 개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 무색투명한 액체로서 방향성의 독특한 냄새를 가지고 있는 물질은 ? ① 

   ① C6H5CH3           ② C6H4(CH3)2           ③ CH3COCH3         ④ HCOOCH3

[풀이] ① C6H5CH3 (톨루엔) : 벤젠핵에 메틸기 1개가 결합된 구조

          ② C6H4(CH3)2 크실렌

          ③ CH3COCH3 아세톤

          ④ HCOOCH3 의산메틸

139. 다음 중 지정수량이 다른 것은 ? ④

   ① 금속인화물          ② 질산염류           ③ 과염소산           ④ 과망가니즈산염류

[풀이] 금속인화물, 질산염류, 과염소산 : 300 ㎏, 과망가니즈산염류 : 1,000㎏

140. 다음 할로겐화합물소화약제 중 종류가 다른 하나는 ? ②

   ① 트리플루오로메탄      ② 퍼플루오르부탄       ③ 펜타플루오르에탄         ④ 헵타플루오르프로판

[풀이] ㉮ HFO(Hydro Fluoro Carbon) : 불화탄화수소

             ㉠ 트르플루오로메탄           ㉡ 헥사플루오로프로판

             ㉢ 펜타플루오로에탄           ㉣ 헵파플로오로프로판

   ㉯ HBFC (Hydro Bromo Fluoro Carbon) : 브로민불화탄화수소

   ㉰ HCFC (Hydro Chloro Fluoro Carbon) : 염화불화탄화수소

   ㉱ FC or PFC (Perfluoro Carbon) : 불화탄소 또는 퍼플루오로부탄

   ㉲ FIC (Fluoreoiodo Carbon) : 불화이이오딘화탄소

141. 과산화나트륨(Na2O2)의 저장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① 유기물질, 황분, 알루미늄분 등의 혼입을 막고 수분이 들어가지 않게 필전 및 밀봉한다.

   ② 유기물질, 황분, 알루미늄분 등의 혼입을 막고 수분에 관계없이 저장해도 좋다.

   ③ 유기물질, 황분, 알루미늄분 등의 혼입과 관계없이 수분만 들어가지 않게 밀전 및 밀봉하여야 한다.

   ④ 유기물질과 혼합하여 저장해도 좋다.

142. 염소화규소화합물은 제 몇류 위험물에 해당되는가 ?

   ① 제1류         ② 제2류             ③ 제3류               ④ 제5류

[풀이] 연소화규소화합물은 행정자치부령(소방청)이 정하는 제3류 위험물이다.

  ◈ 제3류 위험물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 1등급 :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황린, 2등급 : 알칼리금속

       류, 유기금속화합물, 3등급(금속의 수소화물, 금속의 인화물, 칼슘 또는 알루니뮨의 탄화물,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염소화규소화합물

   ⊙ 염소화규소화합물 (SiHCl2)

143. 제6류 위험물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②

   ① 모두 무기화합물이며 물에 녹기 쉽고 물 보다 무겁다.

   ② 모두 강산에 속한다.

   ③ 모두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다른 물질을 산화시킨다.

   ④ 자신은 모두 불연성 물질이다.

[풀이] 제6류 위험물은 과산화수소를 제외하고 강산에 속한다.

144. 공기를 차단하고 황린이 적린으로 만들어지는 가열온도는 약 몇 ℃ 정도인가 ? ①

   ① 260            ② 310             ③ 340             ④ 430

145. 다음 위험물 중 성상이 고체인 것은 ? ①

   ① 과산화벤조일      ② 질산에틸      ③ 나이트로글리세린      ④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풀이] 과산화벤조일 : 백색 분말 또는 무색 결정의 고체

           질산에틸, 나이트로글리세린,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 액체

146. 탄화칼슘과 질소가 약 700℃ 에서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질은 ? ②

   ① C2H2             ② CaCN2            ③ C2H4O            ④ CaH2

[풀이] 질소와 약 700℃ 이상에서 질화되어 칼슘시안나이드 (CaCN2, 석회질소)가 생성

           CaC2 + N2 → CaCN2 + C

C2H2 : 아세틸렌 [acetylene ] 아세틸렌계 탄화수소 중 가장 간단한 것으로 에타인(ethyne)이라고도 한다.

천연으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1836년 H. 데이비가 발견하고, 1892년 프랑스의 무아상이 공업화에 성공하였다. 탄소의 삼중결합을 가지므로, 이중결합을 가진 에틸렌보다 불포화도가 크다.

 

화학식 C2H2. 냄새가 없는 무색의 기체로, 분자량 26.04, 끓는점 -82 ℃, 공기에 대한 비중0.906이다. 카바이드에서 만든 아세틸렌이 악취가 나는 것은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공기 또는 산소와의 혼합물은 폭발하기 쉬우므로 취급할 때 주의해야 한다.

아세트알데히드(아세트알데하이드) [ acetaldehyde] C2H4O

C2H4O=44.1. 제법 : 공업적으로 수은염 촉매의 가온된 묽은 황산 분산액에 아세틸렌을 통한다.

실험적으로는 파라알데히드에 묽은 황산을 첨가하여 증류한다.

무색 액체. 녹는점 -121℃, 끓는점 21℃. 물, 에탄올, 에테르와 임의의 비율로 혼합된다.

연소열(일정 압력) 281.9kcal. 저온에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의 할로겐화물의 작용으로

중합되어 고체의 메타할데히드((C2H4O)4 또는 (C2H4O)6)를 준다. 저온에서 황산을 작용시키면 파라알데히드

를 준다. 양 반응에서는 메타 및 파라알데히드가 모두 생성된다.

  CaH2 수소화칼슘

   ① 금속 칼슘을 수소 기류 중에서 가열해 만든다.

   ② 수소 기류 중에서 산화칼슘을 마그네슘으로 환원해도 얻을 수 있다.

백색 사방 결정체의 결정 또는 분말. 녹는점은 1000℃ 이상이라고 되어 있다. 600℃까지는 안정하고, 그 이상에서는 칼슘과 수소로 분해된다. 해리압 0.1mm/600℃ ; 760mm/1000℃, d 1.9, n 1.574. 생성열 51.1kcal. 화학적 활성이 강하고, 그 성질은 알칼리 금속의 수소화물과 비슷하다.

147. 다음 제4류 위험물 중 무색의 끈기 있는 액체로 인화점이 -18℃인 위험물은 ? ③

   ① 아이소프렌          ② 펜타보란          ③ 콜로디온             ④ 아세트알데하이드

[풀이] 아이소프렌 : -54℃, 펜타보란 : -40℃, 아세트알데하이드 : -39℃

148.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사용시 소화약제에 의한 피해도 발생할 수 있는데 공기 중에서 기화하여 기상의 이산화탄소로

        되었을 때 인체에 대한 허용농도는 ? ③

   ① 100ppm          ② 3,000 ppm             ③ 5,000ppm             ④ 10,000ppm

149. 다음 위험물 중 소화방법이 마그네슘과 동일하지 않은 것은 ? ③

   ① 알루미늄분          ② 아연분           ③ 황분                ④ 카드뮴분

[풀이] 마른 모자 : 알루미늄분, 아연분, 카드뮴

           황분 : 주수에 의한 냉각 소화

150. 제1종 소화분말인 탄산수소나트륨 소화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① 소화 후 불씨에 의하여 재연할 우려가 없다.

   ② 화재 시 방사하면 화열에 의하여 CO2, H2O, Na2CO3가 발생한다.

   ③ 화재시 주로 냉각, 질식 소화작용 및 부촉매 소화작용을 일으킨다.

   ④ 일반 가연물 화재에는 적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풀이] 소화후 불씨에 의하여 재연할 수 있다.

#분말소화기 #인화점 #탄산시안나이트 #황린 #자기반응성 #자연발화 #위험물 #염소산나트륨 #알코올 #산화성고체 #산화열 #분해열 #중합열 #흡착열 #아이오딘값 #건성유

반응형
반응형
 

1. 다음 중 제1석유류에 속하는 것은 ? ②

   ① 산화프로필렌(CH3CHCH2)              ② 아세톤 (CH3COCH3)

   ③ 아세트알데하이드 (CH3CHO)          ④ 이황화탄소 (CS2)

[문제풀이] 제4류 위험물 - 인화성 액체

특수인화물 : 디에틸에테르, 이황화탄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산화프로필렌

제1석유류 (비수용성) 가솔린, 벤젠,톨루엔, 사이클로헥산, 콜로디온,메틸에틸케톤, 초사메틸, 초산에틸, 의산에틸, 헥산 등

                  (수용성) 아세톤, 피리딘, 아크롤레인, 의산메틸, 시안화수소 등

2. 다음 위험물 중 지정수량이 제일 적은 것은 ? ②

   ① 황          ② 황린            ③ 황화인              ④ 적린

[문제풀이] 지정수량 : 황 - 100㎏, 황린 - 20㎏, 황화인 - 100㎏, 적린 - 100㎏

3. 다음 금속탄화물 중 물과 접촉했을 때 메탄가스가 발생하는 것은 ? ②

   ① LiC2           ② Mn3C          ③ K2C2             ④ MgC2

[문제풀이] 카바이드 (Carbide)

  ⊙ 탄소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할로젠 따위의 양성인 원소와의 화합물.

  ⊙ 물과 반응하면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 탄화 칼슘의 상품명이다.

     * 금속과 탄소의 결합으로 매우 단단하고 고온에서 내열성이 뛰어나 절삭기구 등에 사용된다.

  ㉠ 아세틸렌(C2H2)가스를 발생시키는 카바이드 : LiC2, Na2C2, K2C2, MgC2, CaC2

        CaC2 + 2H2O → Ca(OH)2 + C2H2

  ㉡ 메탄(CH4) 가스를 발생시키는 카바이드 : BeC2, Al4C3

        BeC2 + 4H2O → 2Be(OH)2 + CH4

  ㉢ 메탄(CH4)과 수소(H2) 가스를 발생시키는 카바이드 : Mn2C

        MnC + 6H2O → 3Mn(OH)2 + CH4 + H2

4. 산화성 고체 위험물의 특징과 성질이 맞게 짝지어진 것은 ? ①

   ① 산화력 - 불연성       ② 환원력 - 불연성       ③ 산화력 - 가연성      ④ 환원력 - 가연성

[문제풀이] 산화성 고체 위험물은 산소를 많이 많이 함유하고 있는 강산화력이며 불연성이다.

5. 다음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 위험물로서 대부분 무색 또는 백색 결정으로 되어 있다. 이중 무색 또는 백색이 아닌 물질은

      ? ③

   ① KClO3           ② BaO2           ③ KMnO4       ④ KClO4

[문제풀이] KMnO4 는 흑자색의 사방정계

사방정계(斜方晶系, Orthorhombic crystal system)는 3개의 벡터로 결정 구조를 기술하는 7결정계 중의 하나이다. 사방정

    계는 입방정계 (정육면체 모양)에서 두 개의 벡터를 서로 다른 길이로 잡아늘린 모양이다. 따라서 직사각형을 밑면으로

     하는 사각기둥의 모양이며, 밑면의 양 변의 길이와 높이는 서로 다르다. 입방정계에서 길이만 달라지고 각은 변하지

     않으므로 세 벡터는 여전히 직교한다.

 

6. 다음 물질 중 알칼리 금속의 과산화물로서 물과 접촉을 피해야 하는 금수성 물질은 ? ① 

  ① 과산화세슘           ② 과산화마그네슘           ③ 과산화칼슘             ④ 과산화바륨

[문제풀이] 과산화세슘은 물과반응하여 발열하고 산소를 방출한다.

                   산화성 고체(무기과산화물류) : K2O2, Na2O2, Ba2O2, Ca2O2, MgO2

7. 화상은 정도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나뉜다. 제2도 화상의 다른 명칭은 ? ③

   ① 괴사성      ② 홍반성       ③ 수포성           ④ 화침성

[풀이] 화상의 다른 명치

   ㉠ 1도 화상(홍반성) : 최외각의 피부가 손상되어 분홍색이 되고 심한 통증을 느끼는 상태

   ㉡ 2도 화상 (수포성) : 화상 부위가 분홍색을 띠고 분비액이 많이 분비되는 화상의 정도

   ㉢ 3도 화상 (괴사성) : 화상의 부위가 벗겨지고 열이 깊숙히 침투되어 검게 되는 현상

   ㉣ 4도 화상 (탄화성) : 피부의 전 층과 함께 근육, 힘줄, 신경 또는 골조직까지 손상되는 정도

 

8. 아염소산나트륨의 위험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④

   ① 단독으로 폭발 가능하고 분해온도 이상에서는 산소가 발생한다.

   ② 비교적 안정하나 시판품은 140 ℃ 이상의 온도에서 발열반응을 일으킨다.

   ③ 유기물, 금속분 등 환원성 물질과 접촉하면 즉시 폭발한다.

   ④ 수용액 중에서 강력한 환원력이 있다.

[풀이] 제1류 위험물 - 1등급 -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류

  ◈ 아염소산염류 : 아염소산(HClO2)의 수소(H)가 금속 or 다른 양이온으로 치환된 화합물

    ⊙ 아염소산나트륨 (NaClO2)

      ㉠ 무색,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조해성이 있고 무수염은 안정하며 물에 잘 녹는다.

      ㉡ 수분이 있는 경우 120 ~ 140 ℃ 에서 발열, 분해된다.

      ㉢ 비교적 안정하나 130~140℃ 에서 발열, 분해된다.

      ㉣ 암모니아, 아민류 등과 반응하여 폭발성 물질을 생성하고, 황, 금속분 등의 환원제와 혼촉시 발화한다.

      ㉤ 산과 접촉시 이산화염소 (ClO2) 가스가 발생한다.

9. 다음은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시 주의사항이다. 어떤 위험물인가 ? ④

"36% 이상의 위험물로서 수용액은 안정제를 가하여 분해를 방지시키고 용기는 착색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금속류의 용기
사용은 금한다."

   ① 염소산칼륨     ② 과염소산마그네슘       ③ 과산화나트륨        ④ 과산화수소

[풀이] 그 농도가 36% 이상의 위험물은 과산화수소이다.

   제6류 위험물 산화성 액체 - 과염소산(HClO4), 과산화수소(H2O2), 질산(HNO3) , 과산화수소(H2O2) : 지정수량 300㎏ :

                                                 농도가 36wt% 이상인 것

   ㉠ 순수한 것은 청색을 띠며 점성이 있고 무취, 투명하며 질산과 유사한 냄새가 난다.

   ㉡ 산화제 뿐만 아니라 환원제로도 사용된다.

   ㉢ 강한 산화성이 있고 물, 알코올, 에테르 등에는 녹으마 석유나 벤젠 등에는 녹지 않는다.

   ㉣ 일반 시판품은 30~40%의 수용액으로 분해되기 쉬워 인산(H3PO4), 요산(C5H4N4O3) 등의 안정제를 가하거나

        약산성으로 만든다.

   ㉤ 농도 60% 이상인 것은 충격에 의해 단독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고농도의 것은 알칼리, 급속분, 암모니아, 유기물 등과

        접촉시 가열이나 충격에 의해 폭발한다.

10. 황린(P)이 공기 중에서 발화했을 때 생성된 화합물은 ? ①

   ① P2O5           ② P2O3          ③ P5O2           ④ P3O2

[풀이] 오산화인(P2O5)은 흰 연기가 발생한다.

           P4 + 5O2 → 2P2O5

   제3류 위험물 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 : 1등급 : 칼륨(K), 나트륨(Na), 알킬알루미늄(R·Al) 또는 R·Al·X), 알킬리튬

                                               (R·Li), 황린(P4)

 ◈ 황린 (P4, 백린)

   ㉠ 백색 또는 담황색의 왁스상 가연성 자연발화성 고체이다. 증기는 공기 보다 무겁고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고, 매우

        자극적이며 맹독성 물질이다.

   ㉡ 물속에 저장하고, 상온에서 서서히 산화하며 어두운 곳에서 청백색의 인광을 낸다.

   ㉢ 공기를 차단하고 약 260℃로 가열하면 적린이 된다.

   ㉣ 공기중에서 격렬하게 오산화인의 백색 연기를 내며 연소하고 일부 유독성의 포스핀 (PH3)도 발생하며 환원력이 강하

        여 산소농도가 낮은 곳에서도 연소한다.

11. 다음 위험물 중 산과 접촉하였을 때 이산화염소가스가 발생하는 것은 ? ②

   ① KClO3         ② NaClO3         ③ KClO3             ④ NaClO4

 [풀이] 산과 반응하여 유독한 이산화염소(ClO2)가 발생

       2NaClO3 + 2HCl → 2NaCl + 2ClO2 + H2O2

  [풀이] 제1류 위험물 - 1등급 -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류

   ◈ 염소산염류 : 염소산(HClO3)의 수소(H)가 금속 or 다른 양이온으로 치환된 화합물

      ⊙ 염소산나트륨 (NaClO3)

         ㉠ 조해성, 흡습성이 있고 물, 알코올, 글리세린, 에테르 등에 잘 녹는다.

         ㉡ 산과의 반응이나 분해반응으로 독성이 있으며 폭발성이 강한 이산화염소(ClO2)가 발생한다.

         ㉢ 분진이 있는 대기 중에 오래 있으면 피부, 점막 및 시력을 잃기 쉬우며, 다량 섭취 할 경우에는 위험하다.

         ㉣ 300℃ 에서 가열분해되어 염화나트륨과 산소가 발생한다.

         ㉤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혼촉발화하므로 접촉을 피해야 한다.

12. 분말소화기 (粉末消火器)의 소화약제에 속하는 것은 ? ②

   ① Na2CO3             ② NaHCO3            ③ NaNO3               ④ NaCl

[풀이] 분말소화약제

종별
주성분
분자식
성분비
착색
적응화재
제1종
탄산수소나트륨
(중탄산나트륨)
NaHCO2
NaHCO3
90wt% 이상
-
B,C급
제2종
탄산수소칼륨
(중탄산칼륨)
KHCO3
KHCO3
98wt% 이상
담회색
B,C급
제3종
제1인산암모늄
NH4H2PO4
NH4H2PO4
75wt% 이상
담홍색
또는 황색
A,B,C급
제4종
탄산수소칼륨과
요소
KHCO3+
CO(NH2)2
-
-
B,C급
 

13. 인화성 액체 위험물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 ①

   ① 착화온도가 낮다.                            ② 증기의 비중은 1보다 작으며 높은 곳에 체류한다.

   ③ 전기 전도체이다.                            ④ 비중이 물보다 크다.

[풀이] 제4류 위험물 : 인화성 액체 - 특수인화물 (디에틸에테르, 이황화탄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산화프로필렌, 제1석유류 :

           가솔린, 벤젠, 톨루엔, 사이클로헥산, 콜로디온 아세톤, 피리딘, 알코올류, 제2석유류 : 등유, 경유, 스티렌, 자일렌,

            포름산, 초산

  제3석유류 : 중유, 크레오소트유, 아닐린, 나이트로벤젠, 나이트로톨루엔

  제4서규류 : 기어유, 실린더유, 윤활유, 가소제 , 동식물유류 등

      ㉠ 액체는 물보다 가볍고 물이 잘 녹든다.

      ㉡ 증기비중이 1보다 크며 낮은 곳에 체류한다.

      ㉢ 상온에서 액체이며 인화하기 쉽다.

      ㉣ 착화온도 (착화점, 발화온도, 발화점)가 낮을 수록 위험하다.

      ㉤ 연소하한이 낮아 증기와 공기가 약간 혼합되어 있어도 연소한다.

14. 염소산염류의 성질이 아닌 것은 ? ③

   ① 무색결정이다.                    ② 산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③ 환원력이 강하다.                ④ 강산과 혼합하면 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풀이] 염소산염류는 제1류 위험물로서 산화력이 강하다.

 

15. 자연발화(自然發火)의 조건 (條件)으로 부적합한 것은 ? ④

  ① 발열량이 클 때                                    ② 열전도율이 작을 때

  ③ 저장소 등의 주위온도가 높을 때         ④ 열의 축적이 적을 때

[풀이] 열의 축적이 많을 때

16.비중 0.79인 에틸알코올의 지정수량 200ℓ 는 몇 kg인가 ? ③ 

  ① 200kg               ② 100kg           ③ 158 kg            ④ 256 kg

  [풀이] 200 ℓ × 0.79 kg/ℓ = 158kg 

 

17. 중질유 탱크 등의 화재시 열유층에 소화하기 위하여 물이나 포말을 주입하면 수분의 급격한 증발에 의하여 유면이

     거품을 일으키거나 열유의 교란에 의하여 열유층 밑의 냉유가 급격히 팽창하여 유면을 밀어 올리는 위험한 현상은 ? ②

  ① Oil - over 현상         ② slop-over 현상       ③ water hammering 현상           ④ primming 현상

[풀이] oil - over 현상 : 유류탱크에 유류저장량을 50% 이하로 저장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하면 탱크 내의 공기가 팽창하면

                                    서 폭발하는 현상

    water hammering 현상 : 배관 속을 흐르는 유체의 속도가 급속히 변화 시 유체의 운동 에너지가 압력으로 변화되어 배관

                                           및 장치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priming 현상 : 소화설비의 펌프에 공기고임 현상

18. 알킬아루미늄의 위험성으로 틀린 것은 ? ③

  ① C1~C4 까지는 공기와 접촉하면 자연발화한다.            ② 물과의 반응은 천천히 진행한다.

  ③ 벤젠, 헥산으로 희석시킨다.                                           ④ 피부에 닿으면 심한화상을 입는다.

[풀이] 물과 폭발적 반응을 일으켜 에탄(C2H6)가스가 발생, 비산하므로 위험하다.

           (C2H5)3Al + 3H2O → Al(OH)3 + 3C2H6

  제3류 위험물 - 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 - 1등급 - 칼륨(K), 나트륨(Na), 알킬알루미늄(R·Al 또는 R · Al · X), 알킬

                           리튬, 황린(P4)

   알킬알루미늄은 알킬기(alkyl, R-)와 알루미늄이 결합한 화합물로 대펴적인 알킬알루미늄 (RAl)은 다음과 같다.

     트리메틸알루니늄((CH3)3Al), 트리에틸알루미늄((C2H5)3Al), 트리프로필알루니늄 ((C3H7)3Al, 트리아이소뷰틸알루미

      늄(iso-(C4H9)3Al)

 ※ 트리에틸알루미늄((C2H5)3Al)

   ㉠ 무색투명한 액체로 가연성으로 C1 ~ C4는 자연발화성이 강하다.

   ㉡ 물, 산, 알코올과 접촉하면 폭발적으로 반응하여 에탄을 형성하고 이 때 발연, 폭발에 이른다.

   ㉢ 인화점의 측정치는 없지만 융점(-46℃) 이하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며 200℃ 이상에서 폭발적으로 분해되어 가연성

         가스가 발생된다.

   ㉣ 염소가스와 접촉하면 삼염화알루미늄이 생성된다.

19. 이산화탄소가 불연성인 이유는 ? ③

   ① 산화반응을 일으켜 열발생이 적기 때문         ② 산소와의 반응이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

   ③ 산소와 전혀 반응하지 않기 때문                    ④ 착화하여도 곧 불이 꺼지므로

[풀이] 이산화탄소(CO2)는 산화반응이 완결된 안전된 산화물

20. 고무의 용제로 사용하며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연소에 의해 유독한 기체가 발생하는물질은 ? ①

   ① 이황화탄소        ② 톨루엔        ③ 클로로포름          ④ 아세톤

[풀이] 이황화탄소 : ㉠ 연소시 유독한 아황산(SO2) 가스가 발생한다.

          CS2 + 3O2 → CO2 + 2SO2

   ㉡ 연소범위가 넓고 물과 150℃ 이상으로 가열하면 분해되어 이산화탄소(CO2)와 황화수소 (H2S) 가스가 발생한다.

         CS2 + 2H2O → CO2 + 2H2S

  <제4류위험물 - 인화성 액체 -1등급- 특수인화물 : 디에틸에테르, 이황화탄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산화프로필렌

      이황화탄소(CS2) - 비수용성 액체

   ㉠ 순수한 것은 무색투명하고 약한 향기가 나는 액체지만 통상 불순물이 있기 때문에 황색을 띠며 불쾌한 냄새가 난다.

   ㉡ 휘발하기 쉽고 발화점이 낮아 백열등, 난방기구 등의 열에 의해 발화하며, 점화하면 청색을 내고 연소하는데 연소생성

        물 중 SO2 는 유독성이 강하다.

   ㉢ 강산화제와 접촉시 격렬하게 반응하고 혼촉발화한다. 특히, NaclO3와 혼합한 것은 습기 또는 햇빛에 의해 발화한다.

   ㉣ 증기는 공기와 혼합하여 인화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나트륨과 같은 알칼리금속류와 접촉하면 발화 또는 폭발한다.

   ㉤ 물 보다 무겁고 물에 녹기 어렵기 때문에 가연성 증기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물(수조)속에 저장한다.

21. 다음 중 사방황과 단사황의 전이온도 (transition temperature)로 옳은 것은 ? ①

    ① 95.5 ℃           ② 112.8℃         ③ 119.1℃            ④ 444.6℃

[풀이] 95.5℃ 에서는 단사황이 서서히 사방황으로,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사방황이 단사황으로 변화한다.

22. 순수한 것은 무색투명한 휘발성 액체로, 물보다 무겁고 물에 녹지 않으며 연소시 아황산가스가 발생하는 물질은 ? ②

  ① 에테르           ② 이황화탄소           ③ 아세트알데하이드           ④ 질산메틸

[풀이] 이황화탄소(CS2) : 순수한 것은 무색투명한 액체로 냄새가 없으나, 시판품은 불순물로 인해 황색을 띠고 불쾌한

           냄새를 지닌다. 분자량 : 76, 비중 : 1.26(증기비중 : 2.64), 인화점 : -30℃, 발화점 : 100℃, 연소범위 : 1.2~44%, 연소

           시 유독한 아황산(SO2)가스가 발생한다.

               CS2 + 3O2 → CO2 + 2SO2

23. 다음 공기 중에서 연소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 ④

   ① 수소         ② 부탄            ③ 에테르         ④ 아세틸렌

[풀이] 수소 : 4~75 vol%, 부탄 : 1.8 ~ 8.4 vol%, 에테르 : 1.9~48 vol%, 아세틸렌 : 2.5 ~ 81 vol%

24. 인화석회(Ca3P2)의 성질로서 옳지 않은 것은 ?

  ① 적갈색의 괴상 고체이다.                                        ② 비중이 2.51이고, 1,600℃에서 녹는다.

  ③ 물 또는 산과 반응하여 PH3 가스가 발생한다.       ④ 물과 반응하여 아세틸렌(C2H2) 가스가 발생한다.

[풀이] 인화석회(Ca3P2)는 물 또는 약산과 반응하여 유독하고 가연성인 인화수소(PH3, 포스핀) 가스가 발생한다.

           Ca3P2 + 6H2O → 3Ca(OH)2 + 2PH3

           Ca3P2 + 6HCl → 3CaCl2 + 2PH3

 ◈ 제3류 위험물 : 자연발화성, 금수성 물질 : 금속 인화합물 인화석회 (Ca3P2, 인화칼슘)

   ㉮ 일반적 성질 : 적갈색의 고체이며, 비중 : 2.51, 융점 : 1,600 ℃

   ㉯ 위험성 : 물 또는 약산과 반응하여 가연성이며 독성이 강한 인화수소(PH3, 포스핀) 가스가 발생한다.

        Ca3P2 + 6H2O → 3Ca(OH)2 + 2PH3

        Ca3P2 + 6HCl → 3CaCl2 + 2PH3

  ㉰ 소화방법 : 건조사 등에 의한 질식 소화  

  ㉱ 용도 : 살서제(쥐약)의 원료 등

25. 알코올류, 초산에스터류, 의산에스터류의 탄소수가 증가함에 따른 공통된 특징으로 옳은 것은 ? ④

  ① 인화점이 낮아진다.                                ② 연소범위가 증가한다.

  ③ 포말소화기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④ 비중이 증가한다.

[풀이] 탄소수가 증가할 수록 변화되는 현상

  ㉠ 인화점이 높아진다.         ㉡ 액체비중이 커진다.            ㉢ 발화점이 낮아진다.

  ㉣ 연소범위가 좁아진다.      ㉣ 수용성이 감소한다.            ㉣ 비등점, 융점이 좁아진다.

26. 다음 금속탄화물 중 물과 접촉했을 때 메탄가스가 발생하는 것은 ? ②

     ① Li2C2           ② Mn3C             ③ K2C2                ④ Mg2

[문제풀이] 카바이드 (Carbide)

  ⊙ 탄소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할로젠 따위의 양성인 원소와의 화합물.

  ⊙ 물과 반응하면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키는 물질. 탄화 칼슘의 상품명이다.

        * 금속과 탄소의 결합으로 매우 단단하고 고온에서 내열성이 뛰어나 절삭기구 등에 사용된다.

        ㉠ 아세틸렌(C2H2)가스를 발생시키는 카바이드 : LiC2, Na2C2, K2C2, MgC2, CaC2,

              CaC2 + 2H2O → Ca(OH)2 + C2H2

         ㉡ 메탄(CH4) 가스를 발생시키는 카바이드 : BeC2, Al4C3

              BeC2 + 4H2O → 2Be(OH)2 + CH4

         ㉢ 메탄(CH4)과 수소(H2) 가스를 발생시키는 카바이드 : Mn2C

               MnC + 6H2O → 3Mn(OH)2 + CH4 + H2

27. 금속칼륨(K)과 금속나트륨(Na)의 공통적 특징이 아닌 것은 ?

   ① 은백색의 광택이 나는 무른 금속이다.              ②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하면 고유의 색깔을 띠며 산화한다.

   ③ 액체 암모니아에 녹아서 청색을 띤다.              ④ 물과 심하게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한다.

[풀이] 제3류 위험물 -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 1등급 - 칼륨(K), 나트륨(Na), 알킬알루미늄(R·Al 또는 R·Al·X), 알킬리

           튬(R·Li), 황린(P4), 2등급 - 알칼리금속, 알칼리 토금속, 유기금속화합물, 3등급 - 금속수소화물, 금속의 인화물,

           칼슘 또는 알루미늄의 탄화물

<금속칼률(K)>

  ㉠ 은백색의 광택이 있는 경금속으로 흡습성, 조해성이 있고, 석유 등 보호액에 장기 보존시 표면에 K2O, KOH, K2CO3

        피복되어 가라 앉는다.

  ㉡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하면 보라색 불꽃을 내면서 연소한다.

  ㉢ 물 또는 알코올과 반응하지만, 에테르와는 반응하지 않는다.

  ㉣ 고온에서 수소와 수소화물(KH)을 형성하며, 수은과 반응하여 아말감을 만든다.

  ㉤ 물과 격렬히 반응하여 발열하고 수산화칼륨과 수소가 발생한다. 이 때 발생된 열은 점화원의 역할을 한다.

  ㉥ CO2, CCl2와 격렬히 반응하여 연소,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연소 중에 모래를 뿌리면 규소(Si) 성분과 격렬히 반응한

       다.

  ㉦ 알코올과 반응하여 칼륨에틸레이트를 만들며 수소가 발생한다.

<금속나트륨(Na)>

  ㉠ 은백색의 무른 금속으로 물보다 가볍고 노란색 불꽃을 내면서 연소한다.

  ㉡ 실온에서 산화되어 NaOH의 염홍색 피막을 형성한다.

  ㉢ 수은과 아말감을 생성하며, 액체 암모니아와 나트륨아미드(NaH2)와 수소를 생성한다. 

  ㉣ 가연성 고체로 장기간 방치시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으며,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면 쉽게 황색 불꽃을 내며 연소한다.

  ㉤ 물과 격렬히 반응하여 발열하고 수소슬 발생하며 산과 폭발적으로 반응한다.

  ㉥ 알코올과 반응하여 나트륨알코올레이트와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 용융나트륨과 암모니아를 Fe2O3 촉매하에서 반응시키거나 액체 암모니아에 나트륨이 녹을 때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2Na + 2NH3 → 2NaNH3 + H2

28. 다음 질산 염류에서 칠레초석이라고 하는 것은 ? ②

  ① 질산암모늄        ② 질산나트륨           ③ 질산칼륨        ④ 질산마그네슘

※ 칠레 초석[ 硝石, soda-nitre , Chile nitre ] 나트륨의 질산염 광물. 정식 명칭은 니트라이타이트. 관용적으로는 칠레에서

    산출되는 천연 질산나트륨광을 정제한 것을 말한다. 천연 질산소다라고도 하고, 이것에 대해 화학적으로 제조된 질산나

     트륨을 합성 질산나트륨이라 한다.

29. 다음중 제1류 위험물이 아닌 것은 ?

  ① Al4C3       ② KMnO4         ③ NaNO3        ④ NH4NO3

[풀이] 제1류 위험물 : 산화성 고체 -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 브로민산염류, 질산염류,

             아이딘산염류, 과망가니즈산염류, 다이크로뮴산염류

   제3류 위험물 :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황린, 알칼리금속 및 알칼리토금속,

                           유기금속화합물, 금속수소화물, 금속인화물, 칼슘 또는 알루미늄의 탄화물

30. 삼산화크로뮴 (Chromium trioxide)을 융점 이상 (250℃)으로 가열하였을 때 분해생성물은 ? ②

   ① CrO2와 O2           ② Cr2O3와 O2           ③ Cr와 O2              ④ Cr2O5와 O2

[풀이] 4CrO3 → Cr2O3 + 3O2

31. 자기 반응성 물질의 가장 중용한 연소특성은 어느 것인가 ? ②

  ① 분해연소이다.                              ② 폭발적인 자기연소이다.

  ③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④ 연소시 유독가스가 발생한다.

[풀이] 제5류 위험물 - 자기반응성 물질 -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터류, 나이트로화합물, 나이트로소화합물, 아조화합물,

                                   다이조화합물, 하이드라진유도체, 하이드록실아민 (NH2OH), 하이드록실아민염류

   ㉠ 가연성 물질로서 연소 또는 분해 속도가 매우 빠르다.

   ㉡ 분자내 조연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연소를 한다.

   ㉢ 가열이나 충격, 마찰 등에 의해 폭발한다.

   ㉣ 장시간 공기 중에 방치하면 산화반응에 의해 열분해하여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32. 다음 석유류 가운데 지정수량이 4,000ℓ 에 속하는 것은 ? ①

   ① 에틸렌글리콜         ② 등유         ③ 기계유           ④ 아세톤

[풀이] 지정수량 : 에틸렌글리콜 - 4,000ℓ, 등유 - 1,000ℓ, 기계유 - 6,000ℓ

아세톤 - 200 ℓ

▣ 지정수량

  ⊙ 1등급 - 특수인화물 : 디에틸에테르, 이황화탄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산화프로필렌 50 ℓ

  ⊙ 2등급 - 제1석유류 : 비수용성 - 가솔린, 벤젠, 톨루엔, 초산 메틸·에틸 등 : 200ℓ

                                       수용성 : 아세톤,피리딘, 의산메칠, 알코올류 : 400 ℓ

  ⊙ 3등급 - 제2석유류 : 비수용성 : 등유, 경유, 스티렌, 자일렌, 클로로벤제, 장뇌유,  뷰틸알코올, 알릴알코올, 아밀알코올 :

                                                         1,000ℓ

                                      수용성 : 포름산, 초산, 하이드라진, 아크릴산 : 2,000 ℓ

  ⊙ 3등급 - 제3석유류 (비수용성) 중유, 크레오소트유, 아닐린, 나이트로벤젠, 나이트로 톨루엔 등 : 2,000 ℓ

                                     수용성 :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 4,000 ℓ

  ⊙ 3등급 - 제4석유류 : 기어유, 실린더유, 윤활유, 가소제 : 6,000 ℓ

  ⊙ 3등급 - 동식물유류 - 건성유: 아마인유, 들기름, 동유, 정어리기름, 해바라기유, 반건성유 : 참기름, 옥수수기름, 청어기

                                                     름, 종유, 실유(목화씨유), 콩기름, 쌀겨유 등

                                         불건성유 : 올리브유, 피마자유, 야자유, 땅콩기름, 동백유 등 : 10,000ℓ

33. 염소산염류는 분해되어 산소가 발생하는 성질이 있다. 융점과 분해온도와의 관계 중 옳은 것은 ? ①

   ①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분해되어 산소가 발생한다.      ②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분해되어 산소가 발생한다.

   ③ 융점이나 분해온도와 무관하에 산소가 발생한다.       ④ 융점이나 분해온도가 동일하여 산소가 발생한다.

34. 제3류 위험물 중 보호액 중에 저장하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 ②

  ① 화기를 피하기 위해                        ②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③ 산소발생을 피하기 위해                 ④ 승화를 막기 위하여

35. 최소 발화에너지를 가장 적게 필요로 하는 위험물은 ? ④

  ① 메틸에틸케톤          ② 메탄올          ③ 등유                 ④ 에틸에테르

[풀이] 메틸에틸케톤 : 제1석유류(2등급), 메탄올 : 알코올류(2등급), 등유 : 제2석유류

          (3등급), 에틸에테르 : 특수인화물(1등급) - 인화점 - 40℃

  ※ ㉠ 특수인화물 : 이황화탄소(CS2), 디에틸에테르(C2H5OC2H5) 그밖의 1기압에서 발화점이 100℃ 이하인 것 또는

                                 인화점이 -20℃ 이하고 비점이 40℃ 이하인 것

   ㉡ 제1석유류 : 아세톤(CH3COCH3), 휘발유 그밖의 1기압에서 인화점이 21℃ 미만인 것

   ㉢ 제2석유류 : 등유, 경유 그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1℃ 이상 70℃ 미만인 것

36. CS2는 화재예방상 액면 위에 물을 채워두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로 맞는 것은 ? ②

  ① 산소와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② 가연성 증기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③ 공기와 접촉하면 발화되기 때문에              ④ 불순물을 물에 용해시키기 위하여

37. 위험물의 유형 특성에 있어서 틀린 것은 ? ③

  ① 제6류 위험물은 강산화제이며 다른 것의 연소를 돕고 일반적으로 물과 접촉하면 발열한다.

  ② 제1류 위험물은 일반적으로 불연성이지만 강산화제이다.

  ③ 제3류 위험물은 모두 물과 작용하여 발열하고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④ 제5류 위험물은 일반적으로 가연성 물질이고 자기연소를 일으키기 쉽다.

[풀이] 제3류 위험물은 물과 작용하여 발열하고 아세틸렌(C2H2), 수소가스등을 발생한다.

 ㉠ 아세틸렌C2H2) 가스를 발생시키는 카바이드 : Li2C2, Na2C2, K2C2, MgC2, CaC2 CaC2 + 2H2O → Ca(OH)2 + C2H2

㉡ 메탄(CH4)가스를 발생시키는 카바이드 : BeC2, Al4C3,

       BeC2 + 4H2O → 2Be(OH)2 + CH4

㉢ 메탄(CH4)과 수소(H2) 가스를 발생시키는 카바이드 : Mn3C

       Mn3C + 6H2O → 3Mn(OH)2 + CH4 + H2

38. 금속칼륨 100㎏과 알킬리튬 100㎏을 취급할 때 지정수량 배수는 ? ②

   ① 10             ② 20              ③ 50             ④ 200

[풀이] 제3류 위험물 -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의 지정수량

   ㉠ 1등급 :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 10 ㎏, 

                     황린 : 20 ㎏

   ㉡ 2등급 : 알칼리금속류, 유기금속화합물 : 50㎏

   ㉢ 3등급 : 금속의 수소화물, 금속의 인화물, 칼슘 또는 알루미늄 탄화물 : 300 ㎏

                     염소화규소화합물 (SiHCl3) : 300㎏

39. 위험물의 보호액으로서 틀린 것은 ? ③

   ① 황린 - 물           ② 칼슘 - 석유             ③ 나트륨 - 에탄올            ④ CS2 - 물

[풀이] 나트륨(Na)의 보호액 : 석유(등유)

40. 탄화수소 C5H12 ~ C9H20 까지의 포화, 불포화 탄화수소의 혼합물인 휘발성 액체 위험물의 인화점 범위는 ? ②

   ① -5 ~ 10℃            ② -43 ~ -20℃          ③ -70 ~ -45℃            ④ -15 ~ -5℃

41. 제5류 위험물인 페닐하이드라진의 분자식은 ? ②

   ① C6H5N=NC6H4OH     ② C6H5NHNH2        ③ C6H5NHHNC6H5           ④ C6H5N=NC6H5

42. 산화프로필렌의 성질로서 가장 옳은 것은 ? ①

   ① 산, 알칼리 또는 구리(Cu), 마그네슘(Mg)의 촉매에서 중합반응을 한다.

   ② 물속에서 분해되어 에탄(C2H6)이 발생한다.

   ③ 폭발범위가 4~57% 이다.

   ④ 물에 녹기 힘들며 흡열반응을 한다.

[풀이] 제4류 위험물 - 인화성 액체 (특수인화물 ) : 디에틸에테르, 이황화탄소, 아세트알데하이드,

                                     산화프로필렌 (CH3CHOCH2)

 ※ 산화프로필렌 (CH3CHOCH2)

   ㉠ 에테르 냄새를 가진 무색의 휘발성이 강한 액체이다.

   ㉡ 반응성이 풍부하며 물 또는 유기용제(벤젠, 에테르, 알코올 등)에 잘 녹는다.

   ㉢ 증기는 공기와 혼합하여 작은 점화원에 의해 인화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연소속도가 빠르다.

   ㉣ 반응성이 풍부하여 구리, 마그네슘, 수은, 은 및 그 합금 또는 산, 염기, 염화제이철 등과의 접촉에 의해 폭발성 혼합물

        인 아세틸라이드를 생성한다.

   ㉤ 증기압이 매우 높으므로 (20℃에서 45.5㎜Hg) 상온에서 쉽게 위험농도에 도달한다.

   ㉥ 강산화제와 접촉시 격렬히 반응하여 혼촉발화의 위험이 있다.

   ㉦ 연소범위는 2.8 ~ 37% 이다.

43. 제4류 위험물의 발생 증기와 비교하여 시안화수소(HCN)가 갖는 대표적인 특징은? ③

  ① 물에 녹기 쉽다.       ② 물보다 무겁다.       ③ 증기는 공기보다 가볍다.    ④ 인화성이 높다.

[풀이] 제4류 위험물 - 인화성 액체 - 제1석유류 : 수용성 - 아세톤, 피리딘, 아크롤레인, 의산 메틸, 시안화수소 (HCN) 등

  ※ 시안화수소 (HCN, 청산), H-C≡N

   ㉠ 독특한 자극성의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상온에서)이다. 물, 알코올에 잘 녹으며 수용성은 약산성이다.

   ㉡ 맹독성 물질이며, 휘발성이 높아 인화위험도 매우 높다. 증기는 공기보다 약간 가벼우며 연소하면 푸른 불꽃을 내면서

        탄다.

   ㉢ 순수한 것은 저온에서 안정하나 소량의 수분 또는 알칼리가 혼입되면 불한정하게 되어 중합폭발할 위험이 있다.

   ㉣ 매우 불안정하여 장기간 저장하면 암갈색의 폭발성 물질로 변한다.

  ※ 제1석유류의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단, HCN은 27/29=0.93 으로 제외)

44. 트리나이트로톨루엔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④

   ① 폭발력이 강하다.                           ② 물에는 불용이며 아세톤, 벤젠에는 잘 녹는다.

   ③ 증금속과 반응하지 않는다.            ④ 햇빛에 변색되고 이는 폭발성을 높인다.

[풀이] 제4류 위험물 - 인화성 액체 - 제3석유류(비수용성) : 중유, 크레오소트유, 아닐린, 나이트로톨루엔(nitro toluene,

                                                   C6H4(NO2)CH3)

나이트로톨루엔(nitro toluene, C6H4(NO2)CH3)

   ㉠ 방향성 냄새가 나는 황색의 액체이다. 물에 잘 녹지 않는다.

   ㉡ p-nitro toluene은 20℃ 에서 고체상태이므로 제3석유류에서 제외된다.

   ㉢ 알코올, 에테르, 벤젠 등 유기용제에 잘 녹는다.

   ㉣ 상온에서 연소위험성은 없으나 가열하면 위험하다.

   ㉤ 연소시 질소산화물을 포함한 자극성, 유독성의 가스가 발생한다.

   ㉥ 강산화제, 환원제, 강산류, 알칼리 등 여러 물질과 광범위하게 반응한다.

   ㉦ 순수한 것은 무색 결정 또는 담황색의 결정으로 햇빛에 의해 다갈색으로 변색되고 이때 자체성분은 변하지 않는다.

45. 에테르가 공기와 오랫동안 접촉하든지 햇빛에 쪼이게 될 때 생성되는 것은 ? ④

   ① 에스터(ester)           ② 케톤(ketone)         ③ 불변              ④ 과산화물

[풀이] ▣ 제4류 위험물(인화성액체) : 특수인화물류 - 디에틸에테르 (C2H5OC2H5, 산화 에틸, 에테르, 에틸에테르)

 에테르류 (R - O - R')

  ▣ 산소원자에 2개의 알킬기가 결합된 화합물이다.

       디메틸에테르 [CH3OCH3 (b.p. -23.7℃]와 디에틸에테르 [C2H5OC2H5 (b.p. 34.6℃]의 두가지가 있다.

  ㉠ 알코올에 진한 황산을 넣고 가열한다.

  ㉡ 물에 난용성인 휘발성 액체이며, 인화점이 낮고 마취성이 있다.

  ㉢ 기름 등 유기물을 잘 녹인다. (유기 용매)

  ㉣ 수소원자를 알킬기로 치환한다. (C2H5)2O [에틸에테르], C2H5OCH3 [에틸메틸에테르]

  ㉤ 보통 사용하고 있는 에테르는 디에틸에테르로서 단지 에테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증기는 마취성이 있다. 전기의 부도체로서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 증기누출이 용이하며 장기간 저장시 공기중에서 산화되어 구조 불명의 불안정하고 폭발성의 과산화물을 만드는데

       이는 유기과산화물과 같은 위험성을 가지기 때문에 100℃로 가열하거나 충격, 압축으로 폭발한다.

46. 은백색의 연하고 광택나는 금속으로 알코올과 접촉했을 때 생성되는 물질은 ? ①

   ① C2H5ONa            ② CO2          ③ MgO2              ④ HClO4

[풀이] 제3류 위험물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1등급 - 칼륨(K), 나트륨(Na),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황린

 ※ 나트륨 (Na)

   ㉠ 은백색의 무른 금속으로 물보다 가벽고 노란색 불꽃을 내면서 연소한다.

   ㉡ 실온에서 산화되어 NaOH의 염홍색의 피막을 형성한다.

   ㉢ 고온에서 수소와 화합하여 불안정한 수소화합물을 만들고 할로겐과 할로겐 화합물을 생성한다.

   ㉣ 수은과 아말감을 생성하며, 액체 암모니아와 나트륨아미드(NaNH2)와 수소를 생성한다.

   ㉤ 고온으로 공기 중에 연소시키면 과산화나트륨이 된다.

   ㉥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하며, 산과는 폭발적으로 반응한다. 수용액은 염기성으로 변하고, 페놀프탈레인

        과 반응시 붉은색을 나타낸다.

   ㉦ 알코올과 반응하여 나트륨알코올레이트와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2Na + 2C2H5OH → 2NaH5ONa + H2

47. 산화성 고체 위험물이 아닌 것은 ?

   ① NaClO3           ② AgNO3            ③ MgO2           ④ HClO4

[풀이] 제1류 위험물 - 산화성 고체 (1등급) 아염소산염류,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무기과산화물류

   2등급 : 브로민산염류, 질산염류, 아이오딘산염류

   3등급 : 과망가니즈산염류, 다이크로뮴산염류

   제6류 위험물 - 산화성 액체 (1등급) : 과염소산 (HClO4), 과산화수소 (H2O2)

                             질산(HNO3), 할로겐화합물 (ICl, IBr, BrF3, BrF5, IF5 등)

48. H2O2는 농도가 일정 이상으로 높을 때 단독으로 폭발한다. 몇 % (중량) 이상일 때인가 ? ④

   ① 30 %          ② 40 %         ③ 50%            ④ 60 %

[풀이] 제6류 위험물 -산화성 액체 - 1등급 - 과염소산(HClO4), 과산화수소(H2O2), 질산(HNO3), 할로겐화합물 (ICl, IBr,

                                                                                                                                                           BrF3, BrF5, IF5 등)

 ※ 과산화수소(H2O2) - 지정수량 300㎏, 농도다 36wt% 이상인 것

   ㉠ 순수한 것은 청색을 띠며 점성이 있고 무취, 투명하며 질산과 유사한 냄새가 난다.

   ㉡ 산화제 뿐만 아니라 환원제로도 쓰인다.

   ㉢ 강한 산성이 있고, 물, 알코올, 에테르 등에는 녹으나 석유, 벤젠 등에는 녹지 않는다.

   ㉣ 알칼리 용액에서는 급격히 분해되나 약산성에서는 분해되기 어렵다. 3%인 수용액을 옥시풀이라 하며 소독약으로

       사용하고, 고농도의 경우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는다.

   ㉤ 일반 시판품은 30~40%의 수용액으로 분해되기 쉬워 인산(H3PO4), 요산(C5H4N4O3) 등의 안정제를 가하거나 약산

        성으로 만든다.

   ㉥ 농도가 60% 이상인 것은 충격에 의해 단독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고농도의 것은 알칼리, 급속분, 암모니아, 유기물 등

         과 접촉시 가열이나 충격에 의해 폭발한다.

49. 다음 중 가장 강한 산은 ? ①

  ① HClO4       ② HClO3        ③ HClO2             ④ HClO

[풀이] 염소산의 산의 세기

    HClO < HClO2 < HClO3 < HClO4

50. 소화설비의 소요단위 계산법으로 옳은 것은 ? ④

   ① 건물외벽이 내화구조일 때 1,000 ㎡ 당 1소요단위

   ② 저장소용 외벽이 내화구조일 때 500㎡ 앙 1소요단위

   ③ 위험물일 때 지정수량당 1소요단위

   ④ 위험물일 때 지정수량의 10배를 1소요단위

[풀이] 소화설비 소요단위의 계산방법 (1소요단위의 기준)

제조소 취급소의 건축물
저장소의 건축물
위험물
외벽이 내화
구조인 것
외벽이 내화
구조 아닌 것
외벽이 내화
구조인 것
외벽이 내화
구조 아닌것
지정수량의
10배
100 ㎡
50 ㎡
150 ㎡
75 ㎡

#위험물 #지정수량 #산화성고체 #가연성 #자연발화성 #금수성 #인화성 #과산화물

#알칼리금속 #아염소산나트륨 #황린 #슬롭오버 #slopover #이황화탄소

#에틸렌글리콜 #단사황 #금속탄화물 #염소산염류 #발화에너지 #에테르

반응형
반응형
 

1. 제6류 위험물의 종류와 지정수량

 
 

2. 공통성질, 저장 및 취급시 유의사항 및 소화방법

가. 공통성질

  ① 상온에서 액체이고 산화성이 강하다.

  ② 유독성 증기가 발생하기 쉽고, 증기는 부식성이 강하다.   

  ③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불연성이나 다른 가연성 물질을 착화시키기 쉽다.

  ④ 과산화수소를 제외하고 강산에 해당한다.

나. 저장 및 취급시 유의 사항

  ① 피부에의 접촉 또는 유독성 증기를 흡입하지 않도록 한다.

  ② 과산화수소를 제외하고 물과 반응시 발열하므로 주의한다.

  ③ 용기는 밀폐용기를 사용하고, 파손되지 않도록 적절히 보호한다.

  ④ 가연성 물질과 격리시킨다.

  ⑤ 소량 누출시 마른 모래나 흙으로 흡수하고 대량 누출시 과산화수소는 물로, 나머지는 약알칼리 중화제 (소다회,

       중탄산나트륨, 소석회 등)로 중화한 후 다량의 물로 씻어낸다.

다. 소화방법

   원칙적으로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 액체로서 불연성 물질이므로 소화방법이 있을 수 없다. 다만, 가연물의 성질에 따라

   아래와 같은 소화방법이 있을 수 있다.

  ① 가연성 물질을 제거한다.

  ② 보호의, 보호장갑, 공기호흡기 등의 보호장비를 갖춘다.

  ③ 소량인 경우 다량의 주수에 의한 희석소화를 한다.

  ④ 대량의 경우 마른 모래나 CO2, 분말소화약제를 사용한다.

3. 위험물의 시험방법

가. 연소시간의 측정 시험

 ▣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소방청 고시)

  제23조(연소시간의 측정시험) ① 목분(수지분이 적은 삼에 가까운 재료로 하고 크기는 500㎛의 체를 통과하고 250㎛의

       체를 통과하지 않는 것), 질산 90% 수용액 및 시험물품을 사용하여 온도 20℃, 습도 50%, 1기압의 실내에서 제2항 및

       제3항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한다. 다만, 배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바람의 흐름과 평행하게 측정한 풍속이 0.5m/s 이하

        이어야 한다.

  ② 질산 90% 수용액에 관한 시험순서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외경 120㎜의 평저증발접시[「화학분석용 자기증발접시」(KS L 1561)] 위에 목분(온도 105℃에서 4시간 건조하고

         건조용 실리카 젤을 넣은 데시케이터 속에 온도 20℃로 24시간 이상 보존되어 있는 것. 이하 이 조에서 같다) 15g을

          높이와 바닥면의 직경의 비가 1:1.75가 되도록 원추형으로 만들어 1시간 둘 것

    2. 제1호의 원추형 모양에 질산 90% 수용액 15g을 주사기로 상부에서 균일하게 떨어 뜨려 목분과 혼합할 것

    3. 점화원(둥근 바퀴모양으로 한 직경 2㎜의 니크롬선에 통전하여 온도 약 1,000℃로 가열되어 있는 것)을 위쪽에서

        제2호의 혼합물 원추형체적의 바닥부 전 둘레가 착화할 때까지 접촉할 것. 이 경우 점화원의 당해 바닥부에의

         접촉시간은 10초로 한다.

    4. 연소시간(혼합물에 점화한 경우 제2호의 원추형 모양의 바닥부 전 둘레가 착화하고 나서 발염하지 않게 되는 시간을 

        말하며 간헐적으로 발염하는 경우에는 최후의 발염이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측정할 것

    5. 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조작을 5회 이상 반복하여 연소시간의 평균치를 질산 90% 수용액과 목분과의 혼합물의 연소

        시간으로 할 것

    6. 5회 이상의 측정에서 1회 이상의 연소시간이 평균치에서 ±50%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5회 이상의 측정결

         과가 그 범위에 들어가게 될 때까지 제1호 내지 제5호의 조작을 반복할 것

  ③ 시험물품에 관한 시험순서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외경 120㎜ 및 외경 80㎜의 평저증발접시의 위에 목분 15g 및 6g을 높이와 바닥면의 직경의 비가 1:1.75가 되도록

          원추형으로 만들어 1시간 둘 것

     2. 제1호의 목분 15g 및 6g의 원추형의 모양에 각각 시험물품 15g 및 24g을 주사기로 상부에서 균일하게 주사하여 목분

          과 혼합할 것

     3. 제2호의 각각의 혼합물에 대하여 제2항제3호 내지 제6호와 같은 순서로 실시할 것. 이 경우 착화 후에 소염하여 훈염

          또는 발연상태로 목분의 탄화가 진행하는 경우 또는 측정종료 후에 원추형의 모양의 내부 또는 착화위치의 위쪽에

          목분이 연소하지 않고 잔존하는 경우에는 제2항제1호 내지 제4호와 같은 조작을 5회 이상 반복하고, 총 10회 이상의

          측정에서 측정회수의 1/2 이상이 연소한 경우에는 그 연소시간의 평균치를 연소시간으로 하고, 총 10회 이상의 측정

          에서 측정회수의 1/2 미만이 연소한 경우에는 연소시간이 없는 것으로 한다.

     4. 시험물품과 목분과의 혼합물의 연소시간은 제3호에서 측정된 연소시간 중 짧은 쪽의 연소시간으로 할 것

  ④ 시험물품과 목분과의 혼합물의 연소시간이 표준물질(질산 90% 수용액)과 목분과의 혼합물의 연소시간 이하인 경우에

       는 산화성액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4. 산화성 액체의 각론

  "산화성 액체"라 함은 액체로서 산화력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소방청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

   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가. 과염소산(HClO4) - 지정수량 : 300㎏

 ① 일반적 성질

   ㉮ 무색 무취의 유동하기 쉬운 액체이며 흡습성이 대단히 강하고 대단히 불안정한 강산이다. 순수한 것은 분해가 용이하

        고 격렬한 폭발력을 가진다.

   ㉯ 순수한 것은 농도가 높으면 모든 유기물과 폭발적으로 반응하고 알코올류와 혼합하면 심한 반응을 일으켜 발화 또는

        폭발한다.

   ㉰ HClO4는 염소산 중에서 가장 강한 산이다.

        HClO < HClO2 < HClO3 < HClO4

   ㉱ Fe, Cu, Zn과 격렬하게 반응하고 산화물이 된다.

   ㉲ 가열하면 폭발하고 분해되어 유독성의 HCl이 발생한다.

          HClO4 → HCl + 2O2

   ㉳ 비중은 3.5, 융점은 -112℃, 비점은 130℃ 이다.

   ㉴ 물과 접촉하면 발열하며 안정된 고체 수화물을 만든다.

 ② 위험성

   ㉮ 시안화합물과 반응하여 유독성, 가연성의 시안화수소(HCN)가스가 발생한다.

   ㉯ 92℃ 이상에서는 폭발적으로 분해된다.

   ㉰ 염화바륨(BaCl2)과 발열, 발화하며 암모니아(NH3)와 접촉시 격렬하게 반응하여 폭발 비산한다.

   ㉱ 물과 접촉하면 심하게 반응하여 발열한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가열, 화기,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물, 가연물, 유기물 등과의 접촉을 피하여 보관한다.

   ㉯ 유리나 도자기 등의 밀폐용기를 사용하고 누출 시 가연물과 접촉을 피한다.

 ④ 소화방법 : 마른 모래 또는 분말 소화약제를 사용할 수 있다.

 ⑤ 용도 : 산화제, 전해 연마제 등

나. 과산화수소(H2O2) - 지정수량 300㎏ : 농도가 36wt% 이상인 것

 ① 일반적 성질

   ㉮ 순수한 것은 청색을 띠며 점성이 있고 무취, 투명하며 질산과 유사한 냄새가 난다.

   ㉯ 산화제 뿐만 아니라 환원제로도 사용된다.

     ㉠ 산화제 : 2KI + H2O2 → 2KOH + I2

     ㉡ 환원제 : 2KMnO4 +3H2SO4 + 5H2O2 → K2SO4 +2MnSO4 + 8H2O + 5O2

   ㉰ 강한 산화성이 있고, 물, 알코올, 에테르 등에는 녹으나 석유나 벤젠 등에는 녹지 않는다.

   ㉱ 알칼리 용액에서는 급격히 분해되나 약산성에서는 분해되기 어렵다. 3%인 수용액을 옥시풀이라 하며 소독약으로

        사용하고, 고농도의 경우 피부에 닿으면 화상(수종)을 입는다.

   ㉲ 일반 시판품은 30 ~ 40%의 수용액으로, 분해되기 쉬워 인산(H3PO4), 요산(C5H4N4O3) 등의 안정제를 가하거나

        약산성으로 만든다.

   ㉳ 가열에 의해 산소가 발생한다.

          2H2O2 → 2H2O + O2

   ㉴ 비중 : 1.462, 융점 : -0.89℃

 ② 위험성

   ㉮ 강력한 산화제로 분해하여 발생기 산소가 발생하며 농도가 높을 수록 불안정하고 온도가 높아지면 분해속도가 증가

        하여 비점 이하에서도 폭발한다.

   ㉯ 농도 60% 이상인 것은 충격에 의해 단독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고농도의 것은 알칼리, 금속분, 암모니아, 유기물 등과

         첩촉 시 가열이나 충격에 의해 폭발한다.

   ㉰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는 (에테르 + 고산화수소), (메탄올 + 과산화수소), (벤젠 + 과산화수소) 등은 혼촉발화한다.

   ㉱ SnCl2 · 2H2O, 나이트로글리세린, 하이드라진과 접촉시 발화 또는 폭발한다.

           2H2O2 + N2H4 → 4H2O + N2

   ㉲ 농도가 진한 것은 피부와 접촉하면 수종을 일으킨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유리는 알칼리성으로 분해를 촉진하므로 피하고 가열, 화기,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농도가 높을 수록 위험성이 크므로

        분해방지안정제(인산, 요산 등)를 넣어 발생기 산소의 발생을 억제한다.

   ㉯ 용기는 밀봉하되 작은 구멍이 뚫린 마개를 사용한다.

   ㉰ 누출시는 다량의 물로 희석하고 다량 누출 시는 토사 등으로 막고 다량의 물로 씻는다.

 ④ 소화방법 : 화재시 용기를 이송하고 불가능한 경우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한다.

 ⑤ 용도 : 표백제, 발포제, 로켓 원료, 의약 등

다. 질산(HNO3) - 지정수량 300㎏ : 비중이 1.49 이상의 것

 ① 일반적 성질

   ㉮ 3대 강산 중 하나로 흡습성이 강하고 자극성, 부식성이 강하며 휘발성, 발연성이다.

        직사광선에 의해 분해되어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한다.

          4HNO3 → 4NO2 + 2H2O + O2

   ㉯ 피부에 닿으면 노란색으로 변색이 되는 크산토프로테인반응(단백질 검출)을 한다.

   ㉰ 염산과 질산을 3부피와 1부피로 혼합한 용액을 왕수라 하며, 이 용액은 금과 백금을 녹이는 유일한 물질로 대단히

         강한 혼합산이다.

   ㉱ 직사광선으로 일부 분해되어 과산화질소를 만들기 때문에 황색을 나타내며 Ag, Cu, Hg 등은 다른 산과는 반응하지

        않으나 질산과 반응하여 질산염과 산화질소를 형성한다.

           3Cu + 8HNO3 + 3Cu(NO3)2 + 2NO + 4H2O (묽은 질산)

            Cu + 4HNO3 + Cu(NO3)2 + 2NO2 + 2H2O (진한 질산)

   ㉲ 비중 1.49, 융점은 -50℃, 비점은 86℃ 이다.

   ㉳ 반응성이 큰 금속과 산화물 피막을 형성하여 내부를 보호한다. → 부동태 (Fe, Ni, Al)

   ㉴ 질산을 가열하면 적갈색의 유독한 갈색증기(NO2)와 발생기 산소가 발생한다.

           2HNO3 → H2O + 2NO2 + O

 ② 위험성

   ㉮ 산화력과 부식성이 강해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는다.

   ㉯ 목탄분 등 유기가연물에 스며들어 서서히 갈색증기가 발생하며 자연발화한다.

   ㉰ 암모니아와 접촉시 폭발, 비산하며 가연성 물질, 산화성 물질, 유기용제, 알칼리, 시안화합물 등과 반응 시 심하게 반응

         한다.

   ㉱ 물과 접촉하면 심하게 발열하며,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NO2)는 유독성이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화기, 직사광선을 피하고 물기와의 접촉을 피하며 냉암소에 보관한다. 소량의 경우 갈색병에 보관한다.

   ㉯ 누출시 톱밥, 금속분, 환원성 물질 등 가연성 물질과 섞이지 않도록 주의하며 중화제 (소석회, 소다회 등)로

        중화시킨 후 물로 희석한다.

 ④ 소화방법 : 대규모 화재를 제외하고는 일반 화재의 소화방법과 같다. 소규모 화재 시는 다량의 물로 희석하고 대규모

                        화재의 경우 포, 건조사 등으로 소화한다. 뜨거워진 질산에 주수하면 비산하므로 주의한다.

 ⑤ 용도 : 야금용, 폭약 및 나이트로화합물의 제조, 질산염류의 제조, 유기합성

라. 할로겐화합물

  두 할로겐 X와 Y로 이루어진 2원 화합물로서 보통 성분의 직접 작용으로 생긴다. X가 Y보다 무거운 할로겐으로 하여

   XYn (n=1, 3, 5, 7)으로 나타낸다. 모두 휘발성이고 최고 비점은 BrF3에서 127℃로 나타난다. 대다수가 불안정하나 폭발

   하지는 않는다. IF는 얻어지지 않고 IFCl2, IF2Cl 과 같은 3종의 할로겐을 포함하는 것도 소수 있다.

 

 ① 삼불화브로민 (BrF3)

   ㉮ 자극성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로서, 비점은 125℃, 융점은 -60.5℃ 이다.

   ㉯ 물과 접촉하면 폭발할 수 있으며, 가연물질을 점화할 수 있다.

   ㉰ 부식성이 있다.

 ② 오불화브로민 (BrF5)

   ㉮ 심한 냄새의 무색 액체로서, 비점은 40.78℃, 융점은 -60.5℃ 이다.

   ㉯ 부식성이 있으며 산과 반응하여 부식성 가스를 발생시킨다.

   ㉰ 물과 접촉하면 폭발의 위험이 있다.

 ③ 오불화아이오딘 (BrF3)

   ㉮ 자극성 냄새가 나는 액체로, 비점은 100.5℃, 융점은 9.4℃ 이다.

   ㉯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유독물질 또는 인화성 가스가 발생한다.

#제6류위험물 #산화성액체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 #할로겐화합물

#연소시간측정시험 #지정수량

반응형
반응형
 

1. 제4류 위험물의 종류와 지정수량

 

2. 공통성질, 저장 및 취급시 유의사항 등

가. 공통성질

  ① 액체는 물보다 가변고, 대부분 물에 잘 녹지 않는다.

  ② 상온에서 액체이며 인화하기 쉽다.

  ③ 대부분의 증기는 공기보다 무겁다.

  ④ 착화온도 (착화점, 발화온도, 발화점)가 낮을 수록 위험하다.

  ⑤ 연소하한이 낮아 증기와 공기가 약간 혼합되어 있어도 연소한다.

나. 저장 및 취급 시 유의사항

  ① 화기 및 점화원으로 부터 멀리 저장할 것

  ② 인화점 이상으로 가열하지 말 것

  ③ 증기 및 액체의 누설에 주의하여 저장할 것

  ④ 용기는 밀전하고 통풍이 잘 되는 찬 곳에 저장할 것

  ⑤ 부도체이며 정전기 발생에 주의하여 저장, 취급할 것

다. 예방대책

  ① 점화원을 제거한다.            ② 폭발성 혼합기의 형성을 방지한다.

  ③ 누출을 방지한다.                ④ 보관시 탱크 등의 관리를 철저히 한다.

라. 소화방법

    이산화탄소, 할로겐화합물, 분말, 물분무 등으로 질식소화한다.

마. 화재의 특성

  ① 유동성 액체이므로 연소속도와 화재의 확대가 빠르다.

  ② 증발연소하므로 불티가 나지 않는다.

  ③ 인화점이 낮은 것은 겨울철에도 쉽게 인화한다.

  ④ 소화 후에도 발화점 이상으로 가열된 물체 등에 의해 재연소 또는 폭발한다.

3. 위험물의 시험방법

가. 인화성 액체의 인화점 시험방법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제13조)

  ① 인화성액체의 인화점 측정은 나. 태그밀폐식 인화점 측정기에 의한 인화점을 측정한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한다.

   ㉮ 측정결과가 0℃ 미만인 경우에는 당해 측정결과를 인화점으로 할 것

   ㉯ 측정결과가 0℃ 이상 80℃ 이하인 경우에는 동점도 측정을 하여 동점도가 10㎟/s 미만인 경우에는 당해 측정결과를

        인화점으로 하고, 동점도가 10㎟/s 이상인 경우에는 다.신속평형법 인화점측정기에 의한 인화점 측정시험으로 다시

        측정할 것

   ㉰ 측정결과가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라. 클리브랜드개방컵 인화점측정기에 의한 인화점 측정시험에 따른 방법으로

       다시 측정할 것

  ② 인화성 액체 중 수용성 액체란 온도 20℃, 기압 1기압에서 동일한 양의 증류수와 완만하게 혼합하여 혼합액의 유동이

       멈춘 후 당해 혼합액이 균일한 외관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나. 태그(Tag)밀폐식 인화점 측정기에 의한 인화점 측정시험

  ① 시험장소는 1기압, 무풍의 장소로 할 것

  ② 「원유 및 석유 제품 인화점 시험방법 - 태그 밀폐식시험방법」(KS M 2010)에 의한 인화점측정기의 시료컵에 시험물품

        50㎤를 넣고 시험물품의 표면의 기포를 제거한 후 뚜껑을 덮을 것

  ③ 시험불꽃을 점화하고 화염의 크기를 직경이 4㎜가 되도록 조정할 것

  ④ 시험물품의 온도가 60초간 1℃의 비율로 상승하도록 수조를 가열하고 시험물품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5℃ 낮은 온도

       에 도달하면 개폐기를 작동하여 시험불꽃을 시료컵에 1초간 노출시키고 닫을 것. 이 경우 시험불꽃을 급격히 상하로

       움직이지 아니하여야 한다.

  ⑤ ④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험물품의 온도가 0.5℃ 상승할 때마다 개폐기를 작동하여 시험불꽃을

       시료컵에 1초간 노출시키고 닫는 조작을 인화할 때까지 반복할 것

  ⑥ ⑤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온도가 60℃ 미만의 온도이고 설정온도와의 차가 2℃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온도

      를 인화점으로 할 것

  ⑦ ④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경우 및 ⑤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차가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② 내지 ⑤에 의한 방법으로 반복하여 실시할 것

  ⑧ ⑤의 방법 및 ⑦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온도가 60℃ 이상의 온도인 경우에는 ⑨ 내지 ⑬의 순서에 의하여 실시할 것

  ⑨ ② 및 ③과 같은 순서로 실시할 것

  ⑩ 시험물품의 온도가 60초간 3℃의 비율로 상승하도록 수조를 가열하고 시험물품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5℃ 낮은 온도

       에 도달하면 개폐기를 작동하여 시험불꽃을 시료컵에 1초간 노출시키고 닫을 것. 이 경우 시험불꽃을 급격히 상하로

        움직이지 아니하여야 한다.

  ⑪ ⑩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험물품의 온도가 1℃ 상승마다 개폐기를 작동하여 시험불꽃을 시료컵

       에 1초간 노출시키고 닫는 조작을 인화할 때까지 반복할 것

  ⑫ ⑪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차가 2℃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온도를 인화점으로 할 것

  ⑬ ⑩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경우 및 제11호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차가 2℃를 초과하는 경우에

       는 ⑨ 내지 ⑪와 같은 순서로 반복하여 실시할 것

다. 신속평형법 인화점측정기에 의한 인화점 측정시험

  ① 시험장소는 1기압, 무풍의 장소로 할 것

  ② 신속평형법인화점측정기의 시료컵을 설정온도까지 가열 또는 냉각하여 시험물품(설정온도가 상온보다 낮은 온도인

       경우에는 설정온도까지 냉각한 것) 2㎖를 시료컵에 넣고 즉시 뚜껑 및 개폐기를 닫을 것

  ③ 시료컵의 온도를 1분간 설정온도로 유지할 것

  ④ 시험불꽃을 점화하고 화염의 크기를 직경 4㎜가 되도록 조정할 것

  ⑤ 1분 경과 후 개폐기를 작동하여 시험불꽃을 시료컵에 2.5초간 노출시키고 닫을 것. 이 경우 시험불꽃을 급격히 상하로

       움직이지 아니하여야 한다.

  ⑥ ⑤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경우에는 인화하지 않을 때까지 설정온도를 낮추고, 인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화할 때까

       지 설정온도를 높여 ② 내지 ⑤의 조작을 반복하여 인화점을 측정할 것

라. 클리브랜드(Cleaveland)개방컵 인화점 측정기에 의한 인화점 측정시험

  ① 시험장소는 1기압, 무풍의 장소로 할 것

  ② 「인화점 및 연소점 시험방법 - 클리브랜드 개방컵 시험방법」(KS M ISO 2592)에 의한 인화점측정기의 시료컵의 표선

        (標線)까지 시험물품을 채우고 시험물품의 표면의 기포를 제거할 것

  ③ 시험불꽃을 점화하고 화염의 크기를 직경 4㎜가 되도록 조정할 것

  ④ 시험물품의 온도가 60초간 14℃의 비율로 상승하도록 가열하고 설정온도보다 55℃ 낮은 온도에 달하면 가열을 조절하

       여 설정온도보다 28℃ 낮은 온도에서 60초간 5.5℃의 비율로 온도가 상승하도록 할 것

  ⑤ 시험물품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28℃ 낮은 온도에 달하면 시험불꽃을 시료컵의 중심을 횡단하여 일직선으로 1초간

       통과시킬 것. 이 경우 시험불꽃의 중심을 시료컵 위쪽 가장자리의 상방 2㎜ 이하에서 수평으로 움직여야 한다.

  ⑥ ⑤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험물품의 온도가 2℃ 상승할 때마다 시험불꽃을 시료컵의 중심을 횡단

       하여 일직선으로 1초간 통과시키는 조작을 인화할 때까지 반복할 것

  ⑦ ⑥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차가 4℃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온도를 인화점으로 할 것

  ⑧ ⑤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경우 및 ⑥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온도와 설정온도와의 차가 4℃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② 내지⑥와 같은 순서로 반복하여 실시할 것

4. 인화성 액체 각론

【 지정수량 : 50 ℓ】

 

가. 특수인화물류

  "특수인화물"이라 함은 이황화탄소, 디에틸에테르, 그 밖의 1기압에서 발화점이 100℃ 이하인 것 또는 인화점이 영하

   20℃ 이하이고 비점이 40℃ 이하인 것을 말한다.

 

㉮ 일반적 성질

  ㉠ 무색투명한 유동성 액체로 휘발성이 크며, 에탄올과 나트륨이 반응하면 수소가 발행하지만 에테르는 나트륨과 반응하

       여도 수소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구별할 수 있다.

  ㉡ 물에는 약간 녹고 알코올 등에는 잘 녹고, 증기는 마취성이 있다.

  ㉢ 전기의 부도체로서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 위험성

  ㉠ 인화점이 낮고 휘발성이 강하다.

  ㉡ 증기 누출이 용이하며 장기간 저장시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구조 불명의 불안정하고 폭발성의 과산화물을 만드는데

       이는 유기과산화물과 같은 위험성을 가지기 때문에 100℃로 가열하거나 충격, 압축으로 폭발한다.

  ㉢ 증기와 공기의 혼합가스는 발화점이 낮고, 폭발성이 있다.

  ㉣ 건조과정이나 여과를 할 때 유체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 축적하기 쉽고 소량의 물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이 수분으

       로 대전되기 쉬우므로 비닐관 등의 절연성 물체내를 흐르면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스파크는

       에테르 증기의 연소폭발을 일으키는 데 충분하다.

  ㉤ 강산화제와 접촉시 격렬하게 반응하고 혼촉발화한다. 특히, NaClO3와 혼합한 것은 습기 또는 햇빛에 의해 발화한다.

㉰ 저장 및 취급방법

  ㉠ 직사광선에 분해되어 과산화물을 생성하므로 갈색병을 사용하여 밀전하고 냉암소 등에 보관하며 용기의 공간용적은

       2% 이상으로 해야 한다.

  ㉡ 불꽃 등 화기를 멀리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저장한다.

  ㉢ 대량저장 시에는 불활성가스를 봉입하고, 운반용기의 공간용적으로 10% 이상 여유를 둔다. 또한, 옥외저장탱크 중

       압력탱크에 저장하는 경우 40℃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 점화원을 피해야 하며 특히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약간의 CaCl2를 넣어 두고, 또한 폭발성의 과산화물 생성 방지를

       위해 40 mesh의 구리망을 넣어 둔다.

  ㉤ 과산화물의 검출은 10% 아이오딘화칼륨(KI) 용액과의 황색반응으로 확인한다. 또한, 생성된 과산화물을 제거하는

       시약으로는 황산제일철(FeSO4)을 사용한다.

㉱ 소화방법 : 소규모 화재 시는 물분무, CO2, 건조분말도 유효하나, 대형 화재의 경우는 다량의 알코올포 방사에 의한

                      질식소화가 적당하다.

㉲ 용도 : 유기용제, 무연화약 제조, 시약, 의약, 유기합성 등에 사용

② 이황화탄소 (CS2) - 비수용성 액체

분자량
비중
녹는점
비점
인화점
발화점
연소범위
76
1.26
-111℃
34.6℃
-30℃
90℃
1.0~50%

㉮ 일반적 성질

  ㉠ 순수한 것은 무색투명하고 클로로포름과 같은 약한 향기가 있는 액체지만 통상 불순물이 있기 때문에 황색을 띠며

       불쾌한 냄새가 난다.

  ㉡ 물보다 무겁고 물에 녹지 않으나, 알코올, 에테르, 벤젠 등에는 잘 녹으며, 유지, 수지 등의 용제로 사용된다.

  ㉢ 독성이 있어 피부에 장시간 접촉하거나 중기 흡입시 인체에 유해하다.

  ㉣ 제4류 위험물 중 발화점 (90℃ 또는 100℃)가 가장 낮고 연소범위 (1.0 ~ 50%)가 넓으며 증기압 (300㎜Hg)이 높아 휘발

        이 높고 인화성, 발화성이 강하다.

㉯ 위험성

  ㉠ 휘발하기 쉽고 발화점이 낮아 백열등, 난방기구 등의 열에 의해 발화하며, 점화하면 청색을 내고 연소하는데 연소생성

       물 중 SO2는 유독성이 강하다.

        CS2 + 3O2 → CO2 + 2SO2

  ㉡ 강산화제와 접촉시 격렬하게 반응하고 혼촉발화한다. 특히, NaClO3와 혼합한 것은 습기 또는 햇빛에 의해 발화한다.

  ㉢ 증기는 공기와 혼합하여 인화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나트륨 같은 알칼리금속류와 접촉하면 발화 또는 폭발한다.

  ㉣ 고온의 물과 반응하면 이산화탄소와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CS2 + 2H2O → CO2 + 2H2S

㉰ 저장 및 취급 방법

  ㉠ 착화온도가 낮으므로 화기를 멀리하고, 직사광선을 피해 통풍이 잘 안되는 냉암소에 저장한다.

  ㉡ 밀봉, 밀전하여 액체나 증기의 누설을 방지한다.

  ㉢ 물 보다 무겁고 물에 녹기 어렵기 때문에 가연성 증기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물(수조)속에 저장한다.

㉱ 소화방법 : 화재확대위험이 없거나 고정된 탱크나 밀폐용기 중의 화재인 경우 표면에 조심스럽게 주수하여 물을 채워

                       피복소화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소화시 CO2, 분말, 할론이 유효하나, 대형 화재의 경우는 다량의 포방사에

                       의한 질식소화가 적당한다.

㉲ 용도 : 유기용제, 고무가황, 촉진제, 살충제 등

③ 아세트알데하이드 (CH3CHO, 알데하이드, 초산알데하이드) - 수용성 액체

 

㉮ 일반적 성질

  ㉠ 무색이며 고농도는 자극성 냄가가 나며 저농도의 것은 과일같은 향이 나는 휘발성이 강한 액체로서 물, 에탄올, 에테르

        에 잘 녹고, 고무를 녹인다.

  ㉡ 환원성이 커서 은거울반응을 하며, I2와 NaOH를 넣고 가열하는 경우 황색의 아이오딘 포름(CH3I) 침전이 생기는

       아이오딘포름반응을 한다.

        CH3CHO + I2 + 2NaOH → HCOONa + NaI + CH3I + H2O

   ※ 은거울 반응 [ silver mirror reaction ] : 암모니아를 첨가한 질산 은(AgNO3) 용액(톨렌스 시약, Tollen's reagent)과 환원

           성 유기 화합물이 반응하여 은이 거울처럼 석출되는 현상을 뜻하며 환원성 유기 화합물을 검출하는 반응으로 알려

            져 있다.

  ㉢ 진한황산과의 접촉에 의해 격렬히 중합반응을 일으켜 발열한다.

  ㉣ 산화시 초산, 환원시 에탄올이 생성된다.

        2CH3CHO + O2 → 2CH3COOH (산화작용)

        CH3CHO + H2 → C2H5OH (환원반응)

  ㉤ 발화점(175℃)이 매우 낮고 연소범위(4.1 ~ 57%)가 넓으나 증기압 (750㎜Hg)이 높아 휘발이 잘되고, 인화성, 발화성이

       강하며 수용액 상태에서도 인화의 위험이 있다.

  ㉥ 제조방법

     ⓐ 에틸렌의 직접 산화법 : 에틸렌을 염화구리 또는 염화팔라듐의 촉매하에서 산화반응을 시켜 제조한다.

          2C2H4 + O2 → 2CH3CHO

     ⓑ 에틸알코올의 직접 산화법 : 에틸알코올을 이산화망가니즈 촉매하에서 산화시켜 제조한다.

           2C2H5OH + O2 → 2CH3CHO + 2H2O

      ⓒ 아세틸렌의 수화법 : 아세틸렌과 물을 수은 촉매하에서 수화시켜 제조한다.

           C2H2 + H2O → CH3CHO

㉯ 위험성

  ㉠ 구리, 수은, 마그네슘, 은 및 그 합금으로 된 취급설비는 아세트알데하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이들간에 중합반응을 일으

       켜 구조 불명의 폭발성 물질을 생선한다.

   ※ 고분자화학(高分子化學, polymer chemistry)에서 중합은 단량체 분자들이 화학적 반응에 의해 고분자 사슬을 만들거

       나 삼차원 망상구조가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 중합이란 분자 내에 복수의 반응점이 있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

       가 차례로 반응하여, 단량체에 기초한 반복구조를 갖는 분자인 고분자를 생성하는 화학반응을 말한다. 간단한 예로는

       알켄의 이중결합이 라디칼 반응 통하여 탄소 원자 사이에 안정한 σ-결합으로 형성하는 반응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 강산화제와 접촉시 격렬하게 반응하여 혼촉발화의 위험이 있고 가압하에서 공기와 접촉시 폭발성의 과산화물을 생성

      한다.

  ㉢ 자극성이 강해 증기 및 액체는 인체에 유해하다.

㉰ 저장 및 취급 방법

  ㉠ 공기와 접촉시 폭발성의 과산화물이 생성된다.

  ㉡ 산의 존재하에서는 격심한 중합반응을 하기 때문에 접촉을 피하도록 한다.

  ㉢ 탱크 저장시에는 불활성 가스 또는 수증기를 봉입하고 냉각장치 등을 이용하여 저장온도를 비점 이하로 유지시켜야

       한다. 보냉장치가 없는 이동저장탱크에 저장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온도는 40℃로 유지하여야 한다.

  ㉣ 자극성이 강하므로 증기의 발생이나 흡입을 피하도록 한다.

㉱ 소화방법 : 수용성이므로 소화시 분무상의 물을 대량 주수하여 희석소화하고 소량의 경우는 CO2, 할론, 분말, 물분무도

                       유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량의 포를 사용한다.

㉲ 용도 : 플라스틱, 합성고무의 원료, 곰팡이 방지제, 사진 현상용, 용제 등에 사용

④ 산화프로필렌 (CH3CHOCH2, 프로필렌옥사이드) - 수용성 액체

 

㉮ 일반적 성질

  ㉠ 에테르 냄새를 가진 무색의 휘발성이 강한 액체이다.

  ㉡ 반응성이 풍부하며 물 또는 유기용제 (벤젠, 에테르, 알코올 등)에 잘 녹는다.

  ㉢ 증기는 공기와 혼합하여 작은 점화원에 의해 인화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연소속도가 빠르다.

㉯ 위험성

  ㉠ 수용액 상태에서도 인화의 위험이 있으며, 밀폐용기는 가열하면 심하게 폭발하고 공기중에서 폭발적으로 분해할 위험

       이 있다.

  ㉡ 증기는 눈, 점막 등을 자극하며 흡입시 폐부종 등을 일으키고, 액체가 피부와 접촉할 때에는 동상과 같은 증상이 나타

       난다.

  ㉢ 반응성이 풍부하여 구리, 마그네슘, 수은, 은 및 그 합금 또는 산, 염기, 염화제이철 등과의 접촉에 의해 폭발성 혼합물

      인 아세틸라이드를 생성한다.

  ㉣ 증기압이 매우 높으므로 (20℃에서 45㎜Hg) 상온에서 쉽게 위험농도에 도달한다.

  ㉤ 강산화제와 접촉 시 격렬히 반응하여 혼촉발화의 위험이 있다.

㉰ 저장 및 취급 방법

  ㉠ 공기와 접촉시 폭발성의 과산화물이 생성된다.

  ㉡ 산의 존재하에서는 격심한 중합반응을 하기 때문에 접촉을 피하도록 한다.

  ㉢ 탱크 저장시에는 불활성 가스 또는 수증기를 봉입하고 냉각장치 등을 이용하여 저장온도를 비점 이하로 유지시켜야

       한다. 보냉장치가 없는 이동저장탱크에 저장하는 산화프로필렌의 온도는 40℃로 유지하여야 한다.

  ㉣ 자극성이 강하므로 증기의 발생이나 흡입을 피하도록 한다.

㉱ 소화방법 : 수용성이므로 소화시 분무상의 물을 대량 주수하여 희석소화하고 소량의 경우는 CO2, 할론, 분말, 물분무도

                       유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량의 포를 사용한다.

㉲ 용도 : 용제, 안료, 살균제 등의 제조

⑤ 기타

  ㉮ 아이소프렌 : 인화점 -54℃, 착화점 : 220℃, 연소범위 2 ~ 9%

  ㉯ 아이소펜탄 : 인화점 -51℃

#인화성 #특수인화물 #디에틸에테르

반응형
반응형
 
 

그럼 다음으로 정형식 재판관이 쟁점정리를 해 주시겠습니다.

예..

청구인 측에 여쭙겠습니다. 지난 준비기일에 소추사유로

첫째, 피청구인이 이 사건 계엄을 선포한 행위

둘째, 계엄사령관을 통하여 계엄사령부 포고령 제1호를 발포하게 한 행위

세째, 군대와 경찰을 동원하여 국회를 봉쇄, 진입함으로써 계엄해제 요구권 행사를 포함한 국회활동을 방해한 행위

네째, 군대를 동원하여 영장없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압수 · 수색한 행위를 특정했습니다. 그리고 위헌 · 위번한 비상계엄을 선포와 관련하여 군대를 동원한 행위는 별도의 소추사유로 삼지 않고 다른 소추사유중에 군대를 동원한 행위를 판단할 때 함께 판단하는 것으로 정리를 했고 정치인 등 주요인사에 대한 체포지시는 국회활동 방해행위를 판단할 때 함께 판단하는 것으로 정리했습니다. 다만, 청구인 측에서 법조인 체포지시에 대해서는 별도의 소추사유로 삼을 것인지 여부에 관하여 서면으로 의견을 밝히기로 하셨죠? 네..

그래서 이번에 1월 2일자 답변서로 제출하셨는데 일단 국회의원 등 정당대표에 대한 체포지시 행위는 국회활동 방해 행위로 주장한다는 것이고요.

다음에 언론인 체포 지시 행위는 포고령 발령행위에 관한 소추사유에 언론의 자유 침해 내용으로 주장하겠다는 것인데요... 그렇습니다.

법관 체포 지시행위는 별도의 소추사유로 진행하겠다는 그런 취지시지요. 네 그렇습니다.

그러면 법조인 체포 지시행위에 관련해서 구체적으로 헌법과 법률위반 행위는 무엇으로 주장하는 것인지는 적시를 하지 않으셨던데 무엇으로 주장하신다는 취지이신가요 ? 네, 사법독립의 침해, 법관 신분보장의 침해 등 입니다... 구체적으로 서면에서 자세하게 적시해 주시기 바라고요.. 네 그렇게 하겠습니다.

그리고 지난 번 준비기일에서 형법위반 주장과 관련해서 헌법위반으로 재구성하시기로 했는데 그것에 대하여 말씀을 좀 해 주시겠습니까 ?

네, 재판부께서 위헌적 사실관계로 정리해 주신 것으로 이해를 했고 그래서 그 사실관계로서 그러니까 형법을 위반한 사실관계와 헌법을 위반한 사실관계가 동일합니다. 그래서 자칫 이 헌법재판이 형법 위반여부에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헌법위반 사실관계로 다툼으로서 헌법위반을 주장함으로써 헌법 재판에 맞는 주장과 입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그것이 재판부께서 저희에게 권유하신 바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어, 계엄과 관련한 일련의 행위가 내란죄, 직권남용죄, 특수공무집행방해죄 등 형법상의 범죄에 해당한다는 주장은 철회한다는 그런 취지이신가요 ?

어, 사실상 철회한다는 주장입니다.

그리고, 헌법위반의 관점에서 상정해서 판단을 구한다는 내용인거죠? 네, 그렇습니다.

사실관계는 그대로 가져가고.. 그대로 가져갑니다.

형법위반 부분은 형법상의 범죄에 해당한다는 것은 철회한다는 것이고요.

어, 그렇게 정리하겠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압수수색행위와 관련해서 답변서를 통해서 계엄선포 다음 날인 2024년 12월 4일에 출근하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에 관한 체포 · 구금계획까지 소추사유에 포함하고자 한다라고 밝히셨던데요.. 네 그렇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피청구인 측에서는 어떻습니까 ? 아까 말씀하신 것과 동일한 건가요 ?

그러니까 지금 지난번에 정리한 것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전산실 서버 압수에다 플러스 휴대전화 압수까지 포함하겠다고 말씀하셨는데 이번에 답변서에는 직원들에 대한 체포 · 구금계획까지 소추사유에 포함하고자 한다고 하시거든요. 혹시 답변서를 보셨습니까 ?

오전에 확인했습니다. 정확하게 대략 보았습니다만, 그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전에 청구인측 대리인께서 말씀하신 내란죄의 형법위반 사항을 철회하겠다는 부분하고 선거관리위원회 부분도 혹시 소추사유에 대한 철회일 수 있어서 소추사유를 철회한다. 형법 위반사실을 철회한다면 이것은 국회의 새로운 의결을 받아야 한다고 저희들은 생각하고 그 부분에 대해서 입장을 명확하게 서면으로 밝혀 주시기를 요청을 드리고 그리고 선관위 부분도 마찬가지로 그것이 소추사유 철회에 해당하는 부분이라서 추가로 저희들이 검토를 해서 서면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그 부분이 조금 소추의결서에는 체포 · 구금계획이 안들어가 있잖습니까 ? 네.. 그래서 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한다면 피청구인 측 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소추 사유의 추가가 가능한 것인가 ?

저희 입장은 이렇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침입해서 전산실 서버를 압수수색을 하고 직원들의 휴대폰을 압수한 행위는 사실은 어떤 개인적인 침해가 아니라 헌법기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한 침해이며 장악이었다고 보입니다. 그리고 다음 날 직원들에 대한 구금계획 이것도 전체적인 하나의 행위속에 이루어진 하나의 계획속에 이루어진 행위이기 때문에 이것을 일련의 행위로서 같이 다루어서 특정하고자 함인데 만약에 그것이 특정으로서 구금계획까지 포함될 수 없다고 한다면 구금계획은 제외하고 휴대폰에 대한 압수 수색까지 저희는 주장하고 그것은 부수적으로 그 전체적인 계획속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주장하고 입증하겠습니다.

그러면 다음에 서면으로 그 부분을 명확하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다는 것인지, 할 수 있다는 것인지 아니면 가능해 보이지 않으니까 그건 아니고 수사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확하게 서면으로 명백하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재판관님 추가로 하나 말씀드리면요..

지금 청구인 측에서 주장하시는 것은 필요하면 넣었다가, 재판 열리면 뺐다가 사실은 심하게 말하면 그런 소송을 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왜냐하면 그 근본적인 원인이 그 소추의결을 할 때 국회에서 법제사법위원회의 조사절차를 거치지 않고 그러니까 여기 저희들이 소추의결만 보아도 헌번위반이 수십개 조문입니다. 지금 몇개 조문만 처음에 나열하셨지만 구체적인 증거가 뒷바침되지 않되서 무엇을 주장하는지 또 무슨 행위를 주장하는지 재판관님께서 확인해달라고 하셨지만 이건 확인했다.. 말씀하시는데 이 건 넣겠다, 무엇에 의해서 뒷받침됩니까 ?

저희들이 지금 증거를 낸 것이 언론보도에 불과합니다.

구체적으로 증거만으로 청구인측에서 내고 있지 않습니다.

피청구인측은 청구인이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저희들이 대응하고 입증하고 반대로 대응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

계속 이렇게 혼란이 온다면 기일이 지나면 어떻게 될 것인가 ?..

정상적인 절차, 적법절차에 부합하는지 의문이 듭니다. 이런 걸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도 한 말씀드려도 되겠습니까 ?

지금 저 소추인 측에서는 그 어떤 사실을 집어 넣고 그래서 재판부한테 어떤 인식을 주고 그 다음에 그것에 대하여 절차상 편의를 위해서 이건 빼고 이렇게 한다. 그러니까 증거조사는 안하고 재판부한테 어떤 인식을 준다 이런 식의 방법을 계속 쓰고 있습니다. 자, 조금 전에 그리고 저 선관위에 압수수색을 얘기했다가 그러고 들어왔다가 인신구속을 했다는 계획인지 아니면 진짜 구금을 했다는 것인지, 명확하지 않은 주장을 해 가지고 저희가 선관위를 거의 마비시켰다는 주장을 하고서는 또 빼는 식으로 헌법에 흡수시킨다는 그런 식으로 계속, 저번 준비기일 부터 계속 그렇게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건 재판관님들께 심리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잘못된 재판진행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꼭 지적을 드리고 싶습니다. 그 석명을 해주셔 가지고 정확하게 처음부터 저희가 방어할 수 있게 정확한 주장을 갖다가 정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네, 일단 주장된 내용은 소추의결서를 기반으로 하는 겁니다.

소추의결서를 기반으로 해서 심리를 저희는 하게 되고요.

그리고 거기에 대한 입증도 청구인 측에서 해야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인제 청구사유가 조금 불명확하거나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에 대하여는 저희가 석명을 구할 수 있는 것은 당연히 있어야 하는 것이겠지요.

물론 뭐 피청구인측에서는 이번 서면 등으로 그런 것이 불가능하다.

오탈자까지도 고치면 안된다 그런 주장을 하고 계시는거지요.

하여튼 그것은 나중에 결론적으로 어떻게 볼지는 저희가 판달할 것이고

주장은 이렇게 일단 해오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렇다면 추가를 하겠다는 것이고 저희가 판단할 때 물론 안된다고 하는 것은 저희가 뺍니다. 배서 진행하겠습니다.

그런데 그것을 무슨 재판부의 심리형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넣었다 뺐다 한다라는 식으로 말씀하시면 조금 곤란할 것 같아요.

그것은 ... 전혀 엉뚱한 이기를 집어 넣는 것은 아니니까요..

저희로서는 우려를 많이 합니다.

그 부분은 저희가 충분히 고려해서 판단을 하기 때문에 소유사유는 소추의결서에 들어 있는 내용을 기반으로 판단을 하겠습니다.

재판관님 귀한 말씀 잘 들었고요.

저희가 관련해서 그 지난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사건 때에 선례가 있기 때문에 우려하는 바가 그런 것거이고요.

소추의결서 구성을 당시 이렇게 거의 병경하다시피 그렇게 되어서

소추의결의 통과될 때에는 그 여러가지 선동적인 형법죄 예를 들면 특정법죄가중처벌법상 뇌물죄, 이런 것이, 이번에는 내란죄이고요, 이런 것이 소추의결이 되었다가 막상 탄핵심판이 개시되고 난 뒤에는 극히 추상적인 헌법위반을..

예를 들어 당시에는 복지국원리 위반, 지금 같은 경우에는 여러가지 원리 위반, 권리위반, 권한남용 이렇게 재구성하다시피 하는 것은

굉장히 다시 반복되어서는 안되는 것이고

그런 부분은 소추권 남용과 같은 그런 또 극심한 혼란 낳게 된다는 점을

꼭 좀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예, 하튼 잘 알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탄핵심판 #변론준비기일 #내란죄 #헌법위반

반응형
반응형

1. 제2류 위험물의 종류와 지정수량

성질
위험등급
품명
대표품목
지정수량
가연성
고체
1. 황화인
2. 적린(P)
3. 황(S)
P4S3, P2S5, P4Sr
100 ㎏
4. 철분(Fe)
5. 금속분
6. 마그네슘 (Mg)
Al, Zn
500 ㎏
7. 인화성 고체
고형 알코올
1,000㎏

2. 공통성질, 저장 및 취급시 유의사항, 예방대책 및 소화방법

가. 공통성질

  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착화하기 쉬운 가연성 고체로서 이연성, 속연성 물질이다.

  ② 연소속도가 매우 빠르고, 연소시 유독가스가 발생하며, 연소열이 크고, 연소온도가 높다.

  ③ 강환원제로서 비중이 1보다 크며, 대부분 물에 잘 녹지 않는다.

  ④ 인화성 고체를 제외하고 무기화합물이다.

  ⑤ 산화제와 접촉, 마찰로 인화여 착화되면 급격히 연소한다.

  ⑥ 철분, 마그네슘, 금속분은 물, 산과의 접촉시 발열한다.

  ⑦ 금속은 양성원소이므로 산소와의 결합력이 일밙거으로 크고,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일수록 산화되기 쉽다.

나. 저장, 취급시 유의 사항

  ① 점화원을 멀리하고 가열을 피한다.

  ② 산화제와의 접촉을 피한다.

  ③ 용기 등의 파손으로 위험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④ 금속분 (철분, 마그네슘, 금속분 등)은 물이나 산과의 접촉을 피한다.

  ⑤ 용기는 밀전, 밀봉하여 누설에 주의한다.

다. 예방대책

  ① 화기엄금, 가열엄금, 고온체와의 접촉을 피한다.

  ② 산화제인 제1류 위험물, 제6류 위험물 같은 물질과 혼합, 혼촉을 피한다.

  ③ 통풍이 잘 되는 냉암소에 보관, 저장하며, 폐기 시에는 소량씩 소각 처리한다.

라. 소화방법

  ① 주수에 의한 냉각 소화

  ② 황화인, 철분, 금속분, 마그네슘의 경우 건조사 등에 의한 질식소화

3. 위험성 시험방법

   가연성 고체에 해당하는 착화의 위험성 시험방법 ㅁ치 판정기준은 다음의 규정에 따른다.

 

가. 착화의 위험성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

  ① 착화의 위험성 시험방법은 작은 불꽃 착화시험에 의하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시험장소는 온도 20℃, 습도 50%, 1기압, 무풍의 장소로 할 것

    ㉡ 두께 10㎜ 이상의 무기질 단열판 위에 시험물품 (건조용 실리카겔을 넣은 데시케이터 속에 온도 20℃로 24시간 이상

         보존되어 있는 것) 3 ㎤ 정도로 둘 것. 이 경우 시험물품이 분말상 또는 입자상이면 무기질의 단열판 위에 반구상(半球

          狀)으로 둔다.

    ㉢ 액화석유가스의 불꽃 [선단이 봉상(棒狀)인 착화기구의 확산염으로서 화염의 길이가 해당 착화기구의 구멍이 위로

         향한 상태로 70 ㎜가 되도록 조절한 것]을 시험물품에 10초간 접촉 (화염과 시험물품의 접촉면적은 2 ㎠로 하고 접촉

         각도는 30°로 한다)시킬 것

    ㉣ ㉡ 및 ㉢의 조작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화염을 시험물품에 접촉할 때 부터 시험물품이 착화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

         하고, 시험물품이 1회 이상 연소 (불꽃없이 연소하는 상태를 포함한다)를 계속하는지 여부를 관찰할 것.

  ② ①의 방법에 의한 시험결과 불꽃을 시험물품에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 시험물품이 모두 연소하는 경우, 불꽃을 격리시

       킨 후 10초 이내에 연소물품 전부 연소한 경우 또는 불꽃을 격리시킨 후 10초 이상 계속하여 시험물품이 연소한 경우

       에는 가연성 고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나. 고체의 인화 위험성 시험방법

   인화성 위험성 시험은 인화점 측정에 의하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시험장치는 「페인트, 바니시, 석유 및 관련제품 - 인화점 시험방법 - 신속평형법」 (KS M ISO 3679)에 의한 인화점

       측정기 또는 이에 준하는 것으로 할 것

  ② 시험장소는 1기압의 무풍의 무풍장소로 할 것

  ③ 다음 그림의 신속평형법 시료컵을 설정온도 (시험물품이 인화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온도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

       지 가열 또는 냉각하여 시험물품(설정온도가 상온보다 낮은 온도인 경우에는 설정온도까지 냉각시킨 것) 2g을 시료컵

       에 넣고 뚜껑 및 개폐기를 닫을 것

 

  ④ 시료컵의 온도를 5분간 설정온도로 유지할 것

  ⑤ 시험불꽃을 점화하고 화염의 크기를 직경 4㎜가 되도록 조정할 것

  ⑥ 5분 경과 후 개폐기를 작동하여 시험불꽃을 시료컵에 2.5초간 노출시키고 닫을 것. 이 경우 시험불꽃을 급격히 상하로

       움직이지 아니하여야 한다.

  ⑦ ⑥의 방법에 의하여 인화한 경우에는 인화하지 않게 될 때까지 설정온도를 낮추고, 인화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화할 때

       까지 높여 ③ 내지 ⑥의 조작을 반복하여 인화점을 측정할 것

4. 가연성 고체 각론

【 지정수량 100 ㎏】

 

가. 황화인

① 일반적 성질

 

  ㉠ 삼황화인(P4S3) : 물, 황산, 염산 등에는 녹지 않고, 산이나 황화탄소(CS2), 리 등에 녹는다.

  ㉡ 오황화인(P2S5) : 코올이나 황화탄소(CS2)에 녹으며, 물이나 알칼리와 반응하면 분해되어 황화수소(H2S)와 인산

       (H3PO4)으로 된다. ★★

      P2S5 + 8H2O → 5H2S + 2H3PO4

  ㉢ 칠황화인(P4S7) : 황화탄소(CS2), 물에는 약간 녹으며, 따뜻한 물에서는 급격히 분해되어 황화수소(H2S)와 인산

        (H3PO4)이 생성된다.

② 위험성

  ㉠ 황화인의 미립자를 흡수하면 기관지 및 눈의 점막을 자극한다.

  ㉡ 가연성 고체 물질로서 약간의 열에 의해서도 대단히 연소하기 쉬우며, 조건에 따라 폭발한다.

  ㉢ 연소생성물은 매우 유독하다.

       P4S3 + 8O2 → 2P2O5 + 3SO2

       2P2S5 + 15O2 → 2P2O5 + 10SO2

  ㉣ 알코올, 알칼리, 아민류, 유기산, 강산 등과 접촉하면 심하게 반응한다.

  ㉤ 단독 또는 무기과산화물류, 과망가니즈산염류, 납 등의 금속분, 유기물 등과 혼합하는 경우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발화 또는 폭발한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소량인 경우 유리병에 저장, 대량인 경우 양철통에 넣은 후 나무상자에 보관한다.

  ㉡ 산화제, 과산화물류, 알칼리, 아민류, 유기산, 강산 등과의 접촉을 피하고 용기는 차고 건조하며 통풍이 잘 되는 안전한

       곳에 저장한다.

  ㉢ 가열금지, 직사광선 차단, 화기를 엄금하고, 충격과 마찰을 피한다.

  ㉣ 용기는 밀폐하여 보존하고, 물과 반응하므로 습기의 차단과 빗물 등의 침투에 항상 주의하여 보관한다.

④ 소화방법 : 화재시 CO2, 건조 소금분말, 마른 모래 등으로 질식 소화하며, 누설된 증기에 대해서는 물분무에 의하여

                      회수하여야 한다. 특히, 연소생성물이 대단히 유독하므로 보호장구의 착용은 필수이다.

⑤ 용도

  ㉠ 삼황화인 : 성냥, 유기합성 탈색 등

  ㉡ 오황화인 : 선광제, 윤활유 첨가제, 농약 제조 등

  ㉢ 칠황화인 : 유기합성 등

나. 적린 (P, 붉은 인)

① 일반적 성질

  ㉠ 원자량 : 31, 비중 : 2.2, 융점 : 600 ℃, 발화온도 : 260℃, 승화온도 : 400 ℃

  ㉡ 조해성이 있으며, 물, 이황화탄소, 에테르, 암모니아 등에는 녹지 않는다.

  ㉢ 암적색의 분말로 황린의 동소체이지만 자연발화의 위험이 없어 안전하며, 독성도 황린에 비하여 약하다.

② 위험성

  ㉠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등 강산화제와 혼합하면 불안정한 폭발물과 같이 되어 약간의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폭발

       한다.

       6P + 5KClP3 → 5KCl + 3P2O5

  ㉡ 연소하면 황린이나 황화인과 같이 유독성이 감한 백색의 오산화인이 발생하며, 일부 포스핀도 발생한다. ★★

        4P + 5O2 → 2P2O5

  ㉢ 불순물로 황린이 혼재하는 경우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 강알칼리와 반응하여 포스핀을 생성하고 할로겐 원소 중 Br2, I2와 격렬히 반응하면서 혼촉발화한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화기엄금, 가열금지, 충격, 타격, 마찰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 제1류 위험물과 절대 혼합되지 않게 하고, 화약류, 폭발성 물질, 가연성 물질 등과 격리하여 냉암소에 보관한다.

④ 소화방법 : 다량의 물로 소화하고 소량인 경우에는 모래나 CO2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

                      거리의 확보와 연소생성물이 독성이 강하므로 보호장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⑤ 용도 : 성냥, 불꽃놀이, 의약, 농약, 유기합성, 구리의 탈탄, 폭음제 등

다. 황 (S)

  황은 순도가 60wt% 미만인 것을 제외한다. 이 경우 순도 측정에 있어서 불순물은 활석 등 불연성 물질과 수분에 한한다.

① 일반적 성질

구 분
단사황(S8)
사방황(S8)
고무상황(S8)
결정형
바늘모양(침상)
팔면체
무정형
비중
1.95
2.07
-

  ㉠ 황색의 결정 또는 미황색의 분말로서 단사황, 사방황 및 고무상황 등의 동소체가 있다.

       (동소체 : 같은 원소로 되어 있으나 구조가 다른 단체)

  ㉡ 물, 산에는 녹지 않으며 알코올에는 약간 녹고, 이황화탄소(CS2)에는 잘 녹는다.

        (단, 고무상황은 녹지 않는다)

  ㉢ 공기중에서 연소하면 푸른 빛을 내며 아황산가스(SO2)가 발생한다.

        S + O2 → SO2

  ㉣ 분자량 : 32, 융점 : 120℃, 비점 : 444℃, 인화점 : 207℃, 발화점 : 232℃, 비중: 2.07

② 위험성

  ㉠ 연소가 매우 쉬운 가연성 고체로 유독성의 이산화황가스가 발생하고, 연소할 때 연소열에 의해 액화하고 증발한 증기

       가 연소한다.

  ㉡ 제1류 위험물과 같은 산화성 물질과 혼합시 약간의 가열이나 충격 등에 의해 발화, 폭발한다. ( ex : 흑색화약)

  ㉢ 황가루가 공기 중에 부유할 때 분진폭발의 위험이 있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산화제와 멀리하고 화기 등에 주의한다.

  ㉡ 절연성으로 인해 정전기에 의한 발화가 가능하므로 정전기의 축적을 방지하고, 가열, 충격, 마찰 등은 피한다.

  ㉢ 분말은 분진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취급시 유의하여야 한다.

  ㉣ 제1류 위험물과 같은 강산화제, 유기과산화물, 탄화수소류, 화약류, 목탄분, 산화성 가스와의 혼합을 피한다.

④ 소화방법 : 소규모의 화재시는 모래로 질식소화하나, 보통은 직사주수는 비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다량의 물로 분무주수

                       에 의해 냉각소화한다.

⑤ 용도 : 화약, 고무상황, 이황화탄소(CS2)의 제조, 성냥, 의약, 농약, 살균, 살충, 염료, 표백 등

【지정수량 - 500 ㎏】

라. 마그네슘 (Mg)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을 함유한 것 중 2㎜의 체를 통과하지 아니하는 덩어리는 제외

① 일반적 성질

 

  ㉠ 삼황화인(P4S3) : 물, 황산, 염산 등에는 녹지 않고, 산이나 황화탄소(CS2), 리 등에 녹는다.

  ㉡ 오황화인(P2S5) : 코올이나 황화탄소(CS2)에 녹으며, 물이나 알칼리와 반응하면 분해되어 황화수소(H2S)와 인산

                                   (H3PO4)으로 된다. ★★

         P2S5 + 8H2O → 5H2S + 2H3PO4

  ㉢ 칠황화인(P4S7) : 황화탄소(CS2), 물에는 약간 녹으며, 따뜻한 물에서는 급격히 분해되어 황화수소(H2S)와 인산

                                    (H3PO4)이 생성된다.

② 위험성

  ㉠ 황화인의 미립자를 흡수하면 기관지 및 눈의 점막을 자극한다.

  ㉡ 가연성 고체 물질로서 약간의 열에 의해서도 대단히 연소하기 쉬우며, 조건에 따라 폭발한다.

  ㉢ 연소생성물은 매우 유독하다.

        P4S3 + 8O2 → 2P2O5 + 3SO2

        2P2S5 + 15O2 → 2P2O5 + 10SO2

  ㉣ 알코올, 알칼리, 아민류, 유기산, 강산 등과 접촉하면 심하게 반응한다.

  ㉤ 단독 또는 무기과산화물류, 과망가니즈산염류, 납 등의 금속분, 유기물 등과 혼합하는 경우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발화 또는 폭발한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소량인 경우 유리병에 저장, 대량인 경우 양철통에 넣은 후 나무상자에 보관한다.

  ㉡ 산화제, 과산화물류, 알칼리, 아민류, 유기산, 강산 등과의 접촉을 피하고 용기는 차고 건조하며 통풍이 잘 되는 안전한

       곳에 저장한다.

  ㉢ 가열금지, 직사광선 차단, 화기를 엄금하고, 충격과 마찰을 피한다.

  ㉣ 용기는 밀폐하여 보존하고, 물과 반응하므로 습기의 차단과 빗물 등의 침투에 항상 주의하여 보관한다.

④ 소화방법 : 화재시 CO2, 건조 소금분말, 마른 모래 등으로 질식 소화하며, 누설된 증기에 대해서는 물분무에 의하여

                       회수하여야 한다. 특히, 연소생성물이 대단히 유독하므로 보호장구의 착용은 필수이다.

⑤ 용도

  ㉠ 삼황화인 : 성냥, 유기합성 탈색 등

  ㉡ 오황화인 : 선광제, 윤활유 첨가제, 농약 제조 등

  ㉢ 칠황화인 : 유기합성 등

나. 적린 (P, 붉은 인)

① 일반적 성질

  ㉠ 원자량 : 31, 비중 : 2.2, 융점 : 600 ℃, 발화온도 : 260℃, 승화온도 : 400 ℃

  ㉡ 조해성이 있으며, 물, 이황화탄소, 에테르, 암모니아 등에는 녹지 않는다.

  ㉢ 암적색의 분말로 황린의 동소체이지만 자연발화의 위험이 없어 안전하며, 독성도 황린에 비하여 약하다.

② 위험성

  ㉠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등 강산화제와 혼합하면 불안정한 폭발물과 같이 되어 약간의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폭발

       한다.

      6P + 5KClP3 → 5KCl + 3P2O5

  ㉡ 연소하면 황린이나 황화인과 같이 유독성이 감한 백색의 오산화인이 발생하며, 일부 포스핀도 발생한다. ★★

       4P + 5O2 → 2P2O5

  ㉢ 불순물로 황린이 혼재하는 경우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 강알칼리와 반응하여 포스핀을 생성하고 할로겐 원소 중 Br2, I2와 격렬히 반응하면서 혼촉발화한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화기엄금, 가열금지, 충격, 타격, 마찰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 제1류 위험물과 절대 혼합되지 않게 하고, 화약류, 폭발성 물질, 가연성 물질 등과 격리하여 냉암소에 보관한다.

④ 소화방법 : 다량의 물로 소화하고 소량인 경우에는 모래나 CO2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거

                       리의 확보와 연소생성물이 독성이 강하므로 보호장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⑤ 용도 : 성냥, 불꽃놀이, 의약, 농약, 유기합성, 구리의 탈탄, 폭음제 등

다. 황 (S)

  황은 순도가 60wt% 미만인 것을 제외한다. 이 경우 순도 측정에 있어서 불순물은 활석 등 불연성 물질과 수분에 한한다.

① 일반적 성질

  ㉠ 알칼리토금속에 속하는 대표적인 경금속으로 은백색의 광택이 있는 금속이며 공기 중에서 서서히 산화하여 광택을

       잃는다.

  ㉡ 열전도율 및 전기전도도가 큰 금속이다.

  ㉢ 산 및 온수와 반응하여 많은 양의 열과 수소(H2)가 발생한다. ★★

        Mg + 2HCl → MgCl2 + H2

        Mg + 2H2O → Mg(OH)2 + H2

  ㉣ 공기중 부식성은 적지만, 산이나 염류에는 침식된다.

  ㉣ 원자량 : 24, 비중 : 1.74, 융점 : 65℃, 비점 : 1,107℃, 착화온도 : 473℃

② 위험성

  ㉠ 공기중에서 미세한 분말이 밀폐공간에 부유할 때 스파크 등 작은 점화원에 의해 분진폭발한다.

  ㉡ 얇은 박, 부스러기도 쉽게 발화하고, PbO2, Fe2O3, N2O, 할로겐 및 1류 위험물과 같은 강산화제와 혼합된 것은 약간

       의 가열, 충격, 마찰 등에 의해 발화, 폭발한다.

  ㉢ 상온에서는 물을 분해하지 못하여 안정하지만 뜨거운 물이나 과열 수증기와 접촉시 격렬하게 수소가 발생하며 염화암

       모늄 용액과의 반응은 위험을 초래한다.

  ㉣ 가열하면 연소가 쉽고 양이 많은 경우 맹렬히 연소하며 강한 빛을 낸다. 특히 연소열이 매우 높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

       지고 화세가 격렬하여 소화가 곤란하다.

        2Mg + O2 → 2MgO

  ㉤ CO2 등 질식성 가승와 접촉시에는 가연성 물질인 C와 유독성인 CO가스가 발생한다.

         2Mg + CO2 → 2MgO + C

         Mg + CO2 → 2MgO + CO

  ㉥ 사염화탄소(CCl4)나 C2H4ClBr 등과 고온에서 작용시에는 맹독성인 포스겐(COCl2) 가스가 발생한다.

  ㉦ 가열된 마그네슘을 SO2 속에 넣으면 SO2 가 산화제로 작용하여 연소한다.

         3Mg + SO2 → 2MgO + MgS

  ㉧ 질소 기체 속에도 타고 있는 마그네슘을 넣으면 직접 반응하여 공기나 CO2 속에서 보다 활발하지는 않지만 연소한다.

         3Mg + N2 → Mg3N2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가열, 충격, 마찰 등을 피하고 산화제, 수분, 할로겐 원소와의 접촉을 피한다.

  ㉡ 분진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분진이 비산되지 않도록 취급시 주의한다.

④ 소화방법 : 일단 연소하면 소화가 곤란하나 초기 소화 또는 대규모 화재시는 석회분, 마른 모래 등으로 소화하고, 기타의

                       경우 다량의 소화분말, 소석회, 건조사 등으로 질식소화한다. 특히, 물, CO2, N2, 포,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

                       제는 소화 적응성이 없으므로 절대 사용을 엄금한다.

⑤ 용도 : 환원제(Grignard 시약), 주물 제조, 섬광분, 사진 촬영, 알루미늄 합금에의 첨가제 등으로 이용

마. 철분 (Fe)

  철분이라 함은 철은 분말로서 53㎛의 표준체를 통과하는 것이 50wt%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① 일반적 성질

  ㉠ 비중 : 7.86, 융점 : 1,535℃, 비등점 : 2,750 ℃

  ㉡ 회백색의 분말이며 강자성체이지만 766℃ 에서 강자성을 상실한다.

  ㉢ 공기중에서 서서히 산화하여 산화철(Fe2O3)이 되어 은백색의 광택이 황갈색으로 변한다.

        4Fe + 3O2 → 2FeO3

  ㉣ 강산화제인 발연질산에 넣었다 꺼내면 산화피복을 형성하여 부동태가 된다.

② 위험성

  ㉠ 연소하기 쉽고 기름이 묻은 철분을 장기 방치하면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특히 미세한 분말일 수록 작은 점화원에

       의해 발화, 폭발한다.

  ㉡ 뜨거운 철분, 철솜과 브로민이 접촉하면 격렬하게 발열반응을 일으키고 연소한다.

         2Fe + 3Br2 → 2FeBr3

  ㉢ 가열되거나 금속의 온도가 높은 경우 더운 물 또는 수증기와 반응하면 수소가 발생하고 경우에 따라 폭발한다.

        또한 묽은 산과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한다. ★★

      2Fe + 2H2O → Fe2O3 + 3H2

      Fe + 2HCl → FeCl2 + H2

      2Fe + 6HCl → 2FeCl3 + 3H2

  ㉣ KClO3, NaClO3 와 혼합한 것은 약간의 충격에 의해서 폭발하며 HClO4와 격렬히 반응하여 산화물을 만든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가열, 충격, 마찰 등을 피한다.

  ㉡ 산화제와 격리하고 수분의 접촉을 피한다.

  ㉢ 직사광선을 피하고, 냉암소에 저장한다.

④ 소화방법 : 주수엄금, 마른 모래, 소금분말, 건조분말, 소석회로 질식소화한다.

⑤ 용도 : 각종 철화합물의 제조, 유기합성시 촉매, 환원제 등으로 이용한다.

바. 금속분

  금속분이라 함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철 및 마그네슘 이외의 금속분을 말하여, 구리, 니켈분과 150㎛의 체를 통과

  하는 것이 50wt% 미만인 것을 제외한다.

① 알루미늄분(Al)

㉮ 일반적 성질

  ㉠ 녹는점 : 660℃, 비중 : 2.7, 연성(퍼짐성), 전성(뽑힘성)이 좋으며, 열전도율, 전기전도도가 큰 은백색의 무른 금속으로

       진한 질산에서는 부동태가 되며 묽은 질산에는 잘 녹는다.

  ㉡ 공기 중에서는 표면에 산화피막(산화알루미늄)을 형성하여 내부를 부식으로 부터 보호한다.

        4Al + 3O2 → 2Al2O3

  ㉢ 다른 금속 산화물을 환원한다. 특히 Fe3O4와 강렬한 산화반응을 한다.

         3Fe3O4 + 8Al → 4Al4O3 + 9Fe (테르밋 반응)

㉯ 위험성

  ㉠ 알루미늄 분말이 발화하면 다량의 열이 발생하며, 불꽃 및 흰 연기를 내면서 연소하므로 소화가 곤란하다.

        4Al + 3O2 → 2Al2O3

  ㉡ 대부분의 산과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된다. (단, 진한질산 제외)

        2Al + 6HCl → 2AlCl3 + 3H2

  ㉢ 알칼리 수용액과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한다.

        2Al + 2NaOH + 2H2O → 2NaAlO2 + 3H2

  ㉣ 제1류 위험물 같은 강산화제와의 혼합물은 약간의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발화 폭발한다.

  ㉤ 물과 반응하면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

         2Al + 6H2O → 2Al(OH)3 + 3H2

㉰ 저장 및 취급방법

  ㉠ 소량인 경우 유리병에 저장, 대량인 경우 양철통에 넣은 후 나무상자에 보관한다.

  ㉡ 산화제, 과산화물류, 알칼리, 아민류, 유기산, 강산 등과의 접촉을 피하고 용기는 차고 건조하며 통풍이 잘 되는 안전한

       곳에 저장한다.

  ㉢ 가열금지, 직사광선 차단, 화기를 엄금하고, 충격과 마찰을 피한다.

  ㉣ 용기는 밀폐하여 보존하고, 물과 반응하므로 습기의 차단과 빗물 등의 침투에 항상 주의하여 보관한다.

㉱ 소화방법 : 화재시 CO2, 건조 소금분말, 마른 모래 등으로 질식 소화하며, 누설된 증기에 대해서는 물분무에 의하여

                       회수하여야 한다. 특히, 연소생성물이 대단히 유독하므로 보호장구의 착용은 필수이다.

㉲ 용도 : 도료, 인쇄, 전선 등에 이용

② 아연분 (Zn)

㉮ 일반적 성질

  ㉠ 비중 : 7.142, 융점 : 420 ℃, 비점 : 907 ℃

  ㉡ 흐릿한 회색의 분말로 양쪽성 원소이므로 산, 알칼리와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한다.

  ㉢ 황아연광을 가열하여 산화아연을 만들어 1,000℃ 에서 코크스와 반응하여 환원 시킨다.

        2ZnS + 3O4 → 2ZnO + 2SO2

        ZnO + C → Zn + CO

  ㉣ 아연분은 공기 중에서 표면에 흰 염기성의 탄산아연의 얇은 막을 만들어 내부를 보호한다.

        2Zn + CO2 + H2O + O2 → Zn(OH)2 · ZnCO3

  ㉤ KCN 수용액과 암모니아수에 용해되며, 산소가 존재하는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아연과 과산화수소를 생성한다.

  ㉥ 아연이 산과 반응하면 수소가스가 발생한다. ★★

        Zn + 2HCl → ZnCl2 + H2

        Zn + H2SO4 → ZnSO4 + H2

㉯ 위험성

  ㉠ 공기 중에서 융점 이상 가열 시 연소가 잘 된다.

        4Zn + O2 → 2ZnO

  ㉡ 하이드록실아민, 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유와 혼합한 것은 가열, 충격 등으로 발화, 폭발하며, NH4NO3와의 혼합물에

       소량의 물을 가하면 발화의 위험이 있다.

  ㉢ 석유류, 황 등의 가연물이 혼입되면 산화발열이 촉진된다. 따라서, 윤활유 등이 혼입되면 기름의 특성에 따라 자연발화

       의 위험이 있다.

㉰ 저장 및 취급방법 : 직사광선, 높은 온도를 피하며, 냉암소에 저장한다.

㉱ 소화방법 : 화재 초기에는 마른 모래 또는 건조분말로 질식소화하며, 물, 포에 의한 냉각소화는 적당하지 않다.

㉲ 용도 : 연막, 의약, 도료, 염색 가공, 유리 화학반응, 금속 제련 등에 이용

③ 안티몬분(Sb)

  ㉮ 일반적 성질

    ㉠ 비중 : 6.68, 융점 : 630 ℃, 비점 : 1,750 ℃, 은백색의 광택이 있는 금속으로 여러가지의 이성질체를 갖는다.

    ㉡ 진한 황산, 진한 질산 등에는 녹으나 묽은 황산에는 녹지 않는다.

    ㉢ 물, 염산, 묽은 황산, 알칼리 수용액에 녹지 않고, 왕수, 뜨겁고 진한 황산에는 녹으며, 뜨겁고 진한 질산과 반응을

         한다.

          2Sb + 10HNO3 → Sb2O3 + 5NO2 + H2O

  ㉯ 위험성

    ㉠ 흑색 안티몬은 공기 중에서 발화한다.

    ㉡ 무정형 안티몬은 약간의 자극 및 가열로 인하여 폭발적으로 회색 안티몬으로 변한다.

    ㉢ 약 630℃ 이상 가열하면 발화한다.

  ㉰ 저장 및 취급방법 : 직사광선, 높은 온도를 피하며, 냉암소에 저장한다.

  ㉱ 소화방법 : 화재 초기에는 마른 모래 또는 건조분말로 질식소화하며, 물, 포에 의한 냉각소화는 적당하지 않다.

  ㉲ 용도 : 활자의 주조, 베어링 합금, 촉매 등에 사용

④ 지르코늄분 (Zr)

  ㉮ 일반적 성질

    ㉠ 비중 : 6.5, 융점 : 1,850 ℃, 비점 : 4,400 ℃, 물리적으로 단단하고 겉모양은 은백색의 스테인리스와 유사하다.

    ㉡ 강도가 매우 크고 내부식성이 있어 유용한 금속재료로 쓰인다.

  ㉯ 위험성

    ㉠ 불화수소산과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한다.

       Zr + 7HF → H3ZrF7 + 2H2

    ㉡ 실온의 공기 중에서 산화피막을 형성하여 반응성은 적으나 분말이거나 가열하면 활성을 가지며 발화하여 이산화지르

         코늄(ZrO2)이 된다.

    ㉢ 이산화탄소 중에서도 연소한다.

  ㉰ 저장 및 취급방법 : 직사광선, 높은 온도를 피하며, 냉암소에 저장한다.

  ㉱ 소화방법 : 화재 초기에는 마른 모래 또는 건조분말로 질식소화하며, 물, 포에 의한 냉각소화는 적당하지 않다.

  ㉲ 용도 : 합금, 섬광탄의 내관, 전자관 부품재료 등

【지정수량 : 1,000㎏】

사. 인화성 고체

  인화성 고체라 함은 고형 알코올과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40℃ 미만인 고체를 말한다.

① 고형 알코올

  ㉮ 합성수지에 메탄올을 혼합, 침투시켜 한천상으로 만든 것이다.

  ㉯ 30℃ 미만에서 가연성 증기가 발생하기 쉽고 인화하기 매우 쉽다.

  ㉰ 가열 또는 화염에 의한 화재의 위험이 매우 높다.

② 메타알데하이드 [metaldehyde, (CH3CHO)4]

  ㉮ 분자량 : 176, 인화점 : 36℃, 융점 : 246℃, 비점 : 112 ~ 116 ℃, 무색의 침상 또는 판상의 결정이다.

  ㉯ 물에 녹지 않으며 에테르, 에탄올, 벤젠에는 녹기 어렵다.

  ㉰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워서 낮은 곳에 체류할 위험이 있다.

  ㉱ 80℃에서 일부 분해되어 인화성이 강한 액체인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변해 더욱 위험해진다.

③ 제삼뷰틸알코올 [tert-butyl alcohol, (CH3)3COH]

  ㉮ 분자량 : 74, 인화점 : 11℃, 유점 : 25.6℃, 비점 : 83℃, 무색의 고체로서 물보다 가볍고 물에 잘 녹는다.

  ㉯ 정뷰틸알코올에 비해서 알코올로서의 특성이 적고 탈수제에 의해 가연성 기체로 변하여 더욱 위험해진다.

  ㉰ 상온에서 가연성의 증기 발생이 용이하고 증기는 공기보다 무거워서 낮은 곳에 체류하며 밀폐공간에서는 인화폭발의

       위험이 크다.

  ㉱ 연소 열량이 커서 소화가 곤란하다.

#가연성고체 #강환원제 #철분 #마그네슘 #금속분 #산화제 #점화원 #적린 #황린 #황화인 #위험물 #제2류위험물 #인화성고체 #안티몬분 #지르코늄 #고형알코올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