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저항 R1, R2 및 인덕턴스 L의 직렬회로의 시정수는 ? ④

2.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L=50[mH], R=20[kΩ]인 경우 회로의 시정수는
몇 [μsec]인가 ? ④

① 4 ② 3.5 ③ 3.0 ④ 2.5
[풀이] 시정수 τ = L / R ⇒ τ = 50 × 10-3 / 20 × 103 = 2.5 × 10 -6
3. 자계 코일의 권수 N=1000, 코일의 내부저항 R [Ω]으로 전류 I = 10[A]를 통했을 때의
자속 φ = 2 × 10-2 [wb]이다. 이 때의 회로의 시정수가 0.1[s]이라면 저항 R은 몇 [Ω]
인가 ? ④
① 0.2 ② 1/20 ③ 2 ④ 20

4. R-L 직렬회로에 직류 전압 5[V]를 t = 0 에서 인가했더니 i(t) = 50 (1-e-20×10^-3t)
[mA]이었다. 이 회로의 저항을 처음 값의 2배로 하면 시정수는 얼마가 되겠는가 ? ④
① 10[msec] ② 40 [msec] ③ 5[sec] ④ 25[sec]

5. 시정수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 ④
① 시정수가 작으면 과도현상이 짧다. ② 시정수가 크면 정상상태에 늦게 도달한다.
③ 시정수는 τ로 표기하며 단위는 초[sec]이다.
④ 시정수는 과도기간 중 변해야 할 양의 0.632[%]가 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6. 회로방정식의 특성근과 시정수에 대하여 바르게 서술된 것은 ? ③
① 특성근과 시정수는 같다. ② 특성근의 역(逆)과 회로의 시정수는 같다.
③ 특성근의 절대값의 역과 회로의 시정수는 같다.
④ 특성근과 회로의 시정수는 서로 상관되지 않는다.
7. 다음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① 회로의 시정수는 L / (R1+R2) 이다. ② 회로의 특성근은 (R1+R2)/L이다.
③ 정상전류값은 E / R2 값이다. ④ 이 회로의 전류값은 i(t)= E/R(1-e-(L/R1+R2)t )이다.
8. R-L 직렬회로에서 스위치 S를 닫아 직류전압 E[V]를 회로 양단에 가한 후 L / R (초) 후
의 전류 A [A]은 ? ①
① 0.632 E / R ② 0.5 E / R ③ 0.368 E / R ④ E / R

9. R=5[Ω], L = 1[H]의 직렬회로에 직류 10[V]를 가할 때 순간의 전류식은 ? ④

10. 그림과 같은 R-L 직렬 회로에 t=0에서 스위치S를 닫아 직류 전압 100[V]를 회로망에
급히 가한 후 L/R[sec]일 때의 전류값 [A]은 ? 단, R=10[Ω], L = 0.1 [H] 이다. ②

① 0.632 ② 6.32 ③ 36.8 ④ 63.2

11. 다음 회로에서 E = 40[V]일 때의 정상 전류는 ? ③

① 0.5 ② 1 ③ 2 ④ 4

12. 그림의 R-L 직렬회로가 스위치를 닫은 상태에서 정상이었다. 스위치를 개방한 후
t=1/1000[sec] 일 때의 전류 i [A]는 ? ④

① 0.12 ② 0.084 ③ 0.076 ④ 0.044

1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t = 0 에서 스위치를 닫으면서 전압 E[V]를 가했을 때 L 양단에
걸리는 전압 eL 는 ? ②

14. R-L 직렬회로에 V인 직류전압원을 갑자기 연결했을 때 i = 0 인 순간 이 회로에 흐르는
회로전류에 대하여 바르게 표현된 것은 ? ①
① 회로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② 이 회로에는 V / R 만큼의 전류가 흐른다.
③ 이 회로에는 무한대의 전류가 흐른다 . ④ 이 회로에는 V / (R+jωL)의 전류가 흐른다.
15. 직류 R-C 직렬회로에서 회로의 시정수 값은 ? ③
① R / c ② C / R ③ RC ④ 1/ RC
16. RC 직렬회로의 과도상태 현상에 관한 설명중 옳게 표현된 것은 ? ③
① 과도 전류값은 RC값에 상관없다. ② RC값이 클수록 회로의 과도값이 빨리 없어진다.
③ RC값이 클수록 과도전류값은 천천히 사라진다. ④ 1/RC 의 값이 클수록 과도전류값은 천천히 사라진다.
1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스위치 S를 닫을 때 방전 과도전류 i(t)[A]는 ? ①

18. 그림에서 t = 0 에서 스위치 S를 닫았다. 콘덴서에 충전된 초기 전압 Vc (0)가 1[V]
였다면 전류 i(t)를 변환한 값 I(s)는 ? ④

※ 다른 풀이 방법으로 풀이를 해 보자.

19. 그림의 회로에서 스위치 S를 갑자기 닫은 후 회로에 흐르는 전류 i(t)의 시정수는 ?
단, C에 초기 전하는 없었다. ③

20. 그림과 같은 회로를 t = 0 에서 스위치 S를 닫았을 때 R [Ω]에 흐르는 전류 iR(i) [A]는 ? ④

[풀이] 전류원을 전압원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위 회로를 R-L 직렬회로 변환하자.

21. 다음 회로에서 t = 0 일 때 스위치 K를 닫았다. i1 (0+), i2 (0+)의 값은 ? 단, t < 0
에서 C 전압과 L전압은 각각 0[V]이다. ①

[풀이] Switch ON ⇒ C 단락, L 개방
22. 회로에서 10[mH]의 인덕턴스에 흐르는 전류는 일반적으로 i(t)=A+e-at 로 표시된다. a 값은 ? ③

① 100 ② 200 ③ 400 ④ 500
[풀이] i(t)=A+e-at 에서 a의 값은 특성근을 의미한다.
위의 회로를 L앞을 테브난의 등가회로로 단순화하여 R-L직렬 회로로 구성해 보자.

23. R-L-C 직렬회로에 t = 0에서 교류전압 e=Em sin(ωt+θ)를 가할 때 R2-4L/C > 0 이면
이 회로는 ? ②
① 진동적이다. ② 비진동적이다. ③ 임계적이다. ④ 비감쇠진동이다.
24. 저항 R, 인덕턴스 L, 콘덴서 C의 직렬회로에서 발생되는 과도현상이 비진동적이 되는
조건은 ? (직류전압 인가시) ①

25. 그림과 같은 직류 L-C직렬회로에 대한 설명중 옳은 것은 ? ③

① eL은 진동함수이나 ec는 진동하지 않는다.
② eL 의 최대치는 2E까지 될 수 있다.
③ ec의 최대치는 2E까지 될 수 있다.
④ C의 충전전하 q는 시간 t에 무관하다.
26. 그림의 정전용량 C[F]을 충전한 후 스위치 S를 닫아 이것을 방전하는 경우의 과도전류
는? 단, 회로에는 저항이 없다. ①

① 불변하는 전류 진동 ② 감쇠하는 전류 ③ 감쇠하는 전류 진동
④ 일정치까지 증가한 후 감쇠하는 전류
'전기인이 되는 길 > 회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플라스 변환 기출문제 풀이 (0) | 2022.01.25 |
---|---|
라플라스, 역라플라스 변환 (0) | 2022.01.24 |
과도현상 (시정수, 시상수, 특성근) (1) | 2022.01.23 |
Z·Y 파라미터, 영상전달함수, 전파정수 기출문제 풀이... (2) | 2022.01.21 |
4단자망 기출 문제 풀이 (0) | 202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