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위험물의 종류 및 지정수량

 
위험물
지정수량
유별
성질
품명
제1류
산화성고체
1. 아염소산염류
50 ㎏
2. 염소산염류
50 ㎏
3. 과염소산염류
50 ㎏
4. 무기과산화물
50 ㎏
5. 브로민산염류
300 ㎏
6. 질산염류
300 ㎏
7. 아이오딘산염류
300 ㎏
8. 과망가니즈산염류
1,000 ㎏
9. 다이크로뮴산염류
1,000 ㎏
10.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11. 제1호부터 제10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 하는 위험물을
      하나 이상 함유한 것
50 ㎏,300 ㎏ 또는
1,000㎏
제2류
가연성고체
1. 황화인
100 ㎏
2. 적린
100 ㎏
3. 황
100 ㎏
4. 철분
500 ㎏
5. 금속분
500 ㎏
6. 마그네슘
500 ㎏
7.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8. 제1호부터 제7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험물을 하나 이상
     함유한 것
100㎏ 또는
500㎏
9. 인화성고체
1,000 ㎏
제3류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1. 칼륨
10 ㎏
2. 나트륨
10 ㎏
3. 알킬알루미늄
10 ㎏
4. 알킬리튬
10 ㎏
5. 황린
20 ㎏
6. 알칼리금속(칼륨 및 나트륨을 제외한다) 및 알칼리토금속
50 ㎏
7. 유기금속화합물(알킬알루미늄 및 알킬리튬을 제외 한다)
50 ㎏
8. 금속의 수소화물
300 ㎏
9. 금속의 인화물
300 ㎏


10. 칼슘 또는 알루미늄의 탄화물
300 ㎏
11.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12. 제1호 내지 제11호의 1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한 것


10㎏, 20㎏,
50㎏ 또는 300㎏
제4류
인화성액체
1. 특수인화물
50 ℓ
2. 제1석유류
비수용성액체
200 ℓ
수용성액체
400 ℓ
3. 알코올류
400 ℓ
4. 제2석유류
비수용성액체
1,000 ℓ
수용성액체
2,000 ℓ
5. 제3석유류
비수용성액체
2,000 ℓ
수용성액체
4,000 ℓ
6. 제4석유류
6,000 ℓ
7. 동식물유류
10,000 ℓ
제5류
자기반응성물질
1. 유기과산화물
제1종: 10 ㎏
제2종: 100 ㎏
2. 질산에스터류
3. 나이트로화합물
4. 나이트로소화합물
5. 아조화합물
6. 다이아조화합물
7. 하이드라진 유도체
8. 하이드록실아민
9. 하이드록실아민염류
10.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11. 제1호부터 제10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위험물을
      하나 이상 함유한 것
제6류
산화성액체
1. 과염소산
300 ㎏
2. 과산화수소
300 ㎏
3. 질산
300 ㎏
4. 그 밖에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
300 ㎏
5. 제1호 내지 제4호의 1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한 것
300 ㎏
 

. 위험물의 구분

1. 산화성고체

 ▣ 고체 [액체(1기압 및 20℃에서 액상인 것 또는 20℃ 초과 40℃ 이하에서 액상인 것을 말한다) 또는 기체(1기압 및 20도℃ 기상

      인 것을 말한다)외의 것을 말한다]로서 산화력의 잠재적인 위험성 또는 충격에 대한 민감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소방청장이 정하

      여 고시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액상"이라 함은 수직으로 된 시험관(안지름 30 ㎜, 높이 120 ㎜의 원통형 유리관을 말한다)에 시료를 55 ㎜까지 채운

      다음 당해 시험관을 수평으로 하였을 때 시료액면의 선단이 30 ㎜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90초 이내에 있는 것을 말한다.

 

2. 가연성고체

 ▣ 고체로서 화염에 의한 발화의 위험성 또는 인화의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3. 황 (s)

 ▣ 순도가 60 wt% 이상인 것을 말하며, 순도 측정을 하는 경우 불순물은 활석 등 불연성 물질과 수분으로 한정한다.

4. 철분(Fe)

 ▣ 철분이라 함은 철의 분말로서 53 ㎛의 표준체를 통과하는 것이 50 wt%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5. 금속분

 ▣ 알칼리금속·알칼리토류금속·철 및 마그네슘외의 금속의 분말을 말하고, 구리분·니켈분 및 ㎛의 체를 통과하는 것이 50 wt%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6. 마그네슘 및 제2류 제8호의 물품중 마그네슘을 함유한 것에 있어서는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가. 2밀리미터의 체를 통과하지 아니하는 덩어리 상태의 것

  나. 지름 2밀리미터 이상의 막대 모양의 것

7. 황화인ㆍ적린ㆍ황 및 철분은 제2호에 따른 성질과 상태가 있는 것으로 본다.

8. 인화성고체

 ▣ 고형알코올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40℃ 미만인 고체를 말한다.

9.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 고체 또는 액체로서 공기 중에서 발화의 위험성이 있거나 물과 접촉하여 발화하거나 가연성가스를 발생하는 위험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

10. 칼륨·나트륨·알킬알루미늄·알킬리튬 및 황린은 제9호의 규정에 의한 성상이 있는 것으로 본다.

11. 인화성액체

 ▣ 액체(제3석유류, 제4석유류 및 동식물유류의 경우 1기압과 20℃에서 액체인 것만 해당 한다)로서 인화의 위험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법 제20조제1항의 중요기준과 세부기준에 따른 운반용기를 사용하여 운반하거나

   저장(진열 및 판매를 포함한다)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가. 「화장품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화장품 중 인화성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

  나. 「약사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의약품 중 인화성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

  다. 「약사법」 제2조제7호에 따른 의약외품(알코올류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중 수용성인 인화성액체를 50 vol% 이하로

         포함하고 있는 것

  라. 「의료기기법」에 따른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중 인화성액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

  마.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제4호에 따른 안전확인대 상생활화학제품(알코올류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중 수용성인 인화성액체를 50 vol% 이하로 포함하고 있는 것

12. 특수인화물

 ▣ 이황화탄소, 디에틸에테르 그 밖에 1기압에서 발화점이 100 ℃도 이하인 것 또는 인화점이 -20℃ 이하이고 비점이 40℃ 이하인

      것을 말한다.

13. 제1석유류

  ▣ 아세톤, 휘발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1℃ 미만인 것을 말한다.

14. 알코올류

  ▣ 1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1개부터 3개까지인 포화1가 알코올(변성알코올을 포함한다)을 말한다. 다만,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한다.

  가. 1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1개 내지 3개의 포화1가 알코올의 함유량이 60wt% 미만인 수용액

  나. 가연성액체량이 60 wt% 미만이고 인화점 및 연소점(태그개방식인화점측정기에 의한 연소점을 말한다. 이하 같다)이 에틸알코

        올 60중량퍼센트 수용액의 인화점 및 연소점을 초과하는 것

15. 제2석유류

  ▣ 등유, 경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1℃ 이상 70 ℃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에 있어서 가연성 액체

       량이 40 wt% 이하이면서 인화점이 40 ℃ 이상인 동시에 연소점이 60 ℃ 이상인 것은 제외한다.

16. 제3석유류

  ▣ 중유, 크레오소트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70℃ 이상 200 ℃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 wt%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17. 제4석유류

  ▣ 기어유, 실린더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00℃ 이상 250℃ 미만의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wt%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18. 동식물유류

  ▣ 동물의 지육(枝肉: 머리, 내장, 다리를 잘라 내고 아직 부위별로 나누지 않은 고기를 말한다) 등 또는 식물의 종자나 과육으로부

       터 추출한 것으로서 1기압에서 인화점이 250℃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법 제20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용기기준과 수납·저장기준에 따라 수납되어 저장·보관되고 용기의 외부에 물품의 통칭명, 수량 및 화기엄금(화기엄금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표시를 포함한다)의 표시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다.

19. 자기반응성물질

 ▣ 고체 또는 액체로서 폭발의 위험성 또는 가열분해의 격렬함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위험성 유무와 등급에 따라 제1종 또는 제2종으로 분류한다.

20. 제5류제11호의 물품에 있어서는 유기과산화물을 함유하는 것 중에서 불활성고체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다음 각목의 1에 해당하

      는 것은 제외한다.

  가. 과산화벤조일의 함유량이 35.5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으로서 전분가루, 황산칼슘2수화물 또는 인산수소칼슘2수화물과의

         혼합물

  나. 비스(4-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의 함유량이 3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으로서 불활성 고체와의 혼합물

  다. 과산화다이쿠밀의 함유량이 4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으로서 불활성고체와의 혼합물

  라. 1ㆍ4비스(2-터셔리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의 함유량이 40wt% 미만인 것으로서 불활성고체와의 혼합물

  마. 사이클로헥산온퍼옥사이드의 함유량이 30wt% 미만인 것으로서 불활성고체와의 혼합물

21. 산화성액체

  ▣ 액체로서 산화력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22. 과산화수소는 그 농도가 36 wt% 이상인 것에 한하며, 제21호의 성상이 있는 것으로 본다.

23. 질산은 그 비중이 1.49 이상인 것에 한하며, 제21호의 성상이 있는 것으로 본다.

24. 위 표의 성질란에 규정된 성상을 2가지 이상 포함하는 물품(이하 이 호에서 "복수성상 물품"이라 한다)이 속하는 품명은 다음

       각목의 1에 의한다.

  가. 복수성상물품이 산화성고체의 성상 및 가연성고체의 성상을 가지는 경우 : 제2류제8 호의 규정에 의한 품명

  나. 복수성상물품이 산화성고체의 성상 및 자기반응성물질의 성상을 가지는 경우 : 제5류 제11호의 규정에 의한 품명

  다. 복수성상물품이 가연성고체의 성상과 자연발화성물질의 성상 및 금수성물질의 성상을 가지는 경우 : 제3류제12호의 규정에

        의한 품명

  라. 복수성상물품이 자연발화성물질의 성상, 금수성물질의 성상 및 인화성액체의 성상을 가지는 경우 : 제3류제12호의 규정에

        의한 품명

  마. 복수성상물품이 인화성액체의 성상 및 자기반응성물질의 성상을 가지는 경우 : 제5류 제11호의 규정에 의한 품명

25. 위 표의 지정수량란에 정하는 수량이 복수로 있는 품명에 있어서는 당해 품명이 속하는 유(類)의 품명 가운데 위험성의 정도가

      가장 유사한 품명의 지정수량란에 정하는 수량과 같은 수량을 당해 품명의 지정수량으로 한다. 이 경우 위험물의 위험성을 실험·

      비교하기 위한 기준은 고시로 정할 수 있다.

26. 위 표의 기준에 따라 위험물을 판정하고 지정수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실험은「국가표준기본법」 제23조에 따라 인정을

       받은 시험ㆍ검사기관, 기술원, 국립소방연구원 또는 소방청장이 지정하는 기관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실험 결과에는

       실험한 위험물에 해당하는 품명과 지정수량이 포함되어야 한다.

#위험물 #지정수량 #산화성 #가연성 #자기반응성 #자연발화성 #금수성 #석유류

#특수인화물

반응형
반응형
 

1. 제6류 위험물의 종류와 지정수량

성질
위험등급
품 명
지정수량
산화성
액체
1. 과염소산 (HClO4)
500㎏
2. 과산화수소 (H2O2)
3. 질산 (HNO3)
4. 그밖에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것
- 할로겐 화합물 (ICl, IBr, BrF3, BrF5, UF5 등)
 

2. 공통 성질, 저장 및 취급 시 유의사항 및 소화방법

가. 공통성질

  ① 상온에서 액체이고 산화성이 강하다.

  ② 유독성 증기가 발생하기 쉽고, 증기는 부식성이 강하다.

  ③ 산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불연성이나 다른 가연성 물질을 착화하기가 쉽다.

  ④ 모두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불연성이다.

  ⑤ 과산화수소를 제외하고 강산에 해당한다.

나. 저장 및 취급시 유의사항

  ① 피부에의 접촉 또는 유독성 증기를 흡입하지 않도록 한다.

  ② 과산화수소를 제외하고 물과 반응시 발열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③ 용기는 밀폐용기를 사용하고, 파손되지 않도록 적절히 보호한다.

  ④ 가연성 물질과 격리시킨다.

  ⑤ 소량 누출시 마른 모래나 흙으로 흡수하고 대량 누출시 과산화수소는 물로, 나머지는 약알칼리 중화제 (소다회\

       (Na2CO3​, 중탄산나트륨(NaHCO3), 소석회[Ca(OH)2] 등)로 중화한 후 다량의 물로 씻어 낸다.

  ※ 탄산 나트륨(sodium carbonate) 또는 탄산소다, 줄여서 소다(소다회)는 나트륨의 탄산염으로, 염기성을 띄는 무색의

                         흡습성 결정이다. 화학식은 Na2CO3 이다.

다. 소화방법

  ▣ 원칙적으로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 액체로서 불연성 물질이므로 소화방법이 있을 수 없다. 다만, 가연물의 성질에

       따라 아래와 같은 소화방법이 있을 수 있다.

   ① 가연성 물질을 제거한다.

   ② 보호의, 보호장갑, 공기호흡기 등의 보호장비를 갖춘다.

   ③ 소량인 경우 다량의 주수에 의한 희석소화를 한다.

   ④ 대량의 경우 마른 모래나 CO2, 분말소화약제를 이용한다.

3. 위험물의 시험방법

가. 연소시간의 측정시험

  ① 목분(수지분이 적은 삼에 가까운 재료로 하고 크기는 500㎛의 체를 통과하고 250㎛의 체를 통과하지 않는 것), 질산

       90% 수용액 및 시험물품을 사용하여 온도 20℃, 습도 50%, 1기압의 실내에서 ② 및 ③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한다.

       다만, 배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바람의 흐름과 평행하게 측정한 풍속이 0.5m/s 이하이어야 한다.

  ② 질산 90% 수용액에 관한 시험순서는 다음 각 호와 같다.

    ㉠ 외경 120㎜의 평저증발접시[「화학분석용 자기증발접시」(KS L 1561)] 위에 목분(온도 105℃에서 4시간 건조하고

         건조용 실리카 젤을 넣은 데시케이터 속에 온도 20℃ 로 24시간 이상 보존되어 있는 것) 15g을 높이와 바닥면의 직경

         의 비가 1:1.75가 되도록 원추형으로 만들어 1시간 둘 것

    ㉡ ㉠의 원추형 모양에 질산 90% 수용액 15g을 주사기로 상부에서 균일하게 떨어뜨려 목분과 혼합할 것

    ㉢ 점화원(둥근 바퀴모양으로 한 직경 2㎜의 니크롬선에 통전하여 온도 약 1,000℃로 가열되어 있는 것)을 위쪽에서

        의 혼합물 원추형체적의 바닥부 전 둘레가 착화할 때까지 접촉할 것. 이 경우 점화원의 당해 바닥부에의 접촉시간

             은 10초로 한다.

    ㉣ 연소시간(혼합물에 점화한 경우 제2호의 원추형 모양의 바닥부 전 둘레가 착화하고 나서 발염하지 않게 되는 시간을

         말하며 간헐적으로 발염하는 경우에는 최후의 발염이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한다)을 측정할 것

    ㉤ ㉠부터 ㉣까지의 조작을 5회 이상 반복하여 연소시간의 평균치를 질산 90% 수용액과 목분과의 혼합물의 연소시간

         으로 할 것

    ㉥ 5회 이상의 측정에서 1회 이상의 연소시간이 평균치에서 ±50%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5회 이상의 측정

         결과가 그 범위에 들어가게 될 때까지 ㉠ 내지 ㉤의 조작을 반복할 것

  ③ 시험물품에 관한 시험순서는 다음 각 호와 같다.

    ㉠ 외경 120㎜ 및 외경 80㎜의 평저증발접시의 위에 목분 15g 및 6g을 높이와 바닥면의 직경의 비가 1:1.75가 되도록

         원추형으로 만들어 1시간 둘 것

    ㉡ ㉠의 목분 15g 및 6g의 원추형의 모양에 각각 시험물품 15g 및 24g을 주사기로 상부에서 균일하게 주사하여 목분과

         혼합할 것

    ㉢ ㉡의 각각의 혼합물에 대하여 제2항제3호 내지 제6호와 같은 순서로 실시할 것. 이 경우 착화 후에 소염하여 훈염

         또는 발연상태로 목분의 탄화가 진행하는 경우 또는 측정종료 후에 원추형의 모양의 내부 또는 착화위치의 위쪽에

         목분이 연소하지 않고 잔존하는 경우에는 제2항제1호 내지 제4호와 같은 조작을 5회 이상 반복하고, 총 10회 이상의

         측정에서 측정회수의 1/2 이상이 연소한 경우에는 그 연소시간의 평균치를 연소시간으로 하고, 총 10회 이상의 측정

         에서 측정회수의 1/2 미만이 연소한 경우에는 연소시간이 없는 것으로 한다.

    ㉣ 시험물품과 목분과의 혼합물의 연소시간은 제3호에서 측정된 연소시간 중 짧은 쪽의 연소시간으로 할 것

  ④ 시험물품과 목분과의 혼합물의 연소시간이 표준물질(질산 90% 수용액)과 목분과의 혼합물의 연소시간 이하인 경우에

       는 산화성액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4. 주요 산화성 액체 위험물

  ▣ "산화성 액체"라 함은 그 자체로는 연소하지 아니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산소를 발생시켜 다른 물질을 연소시키거나

       연소를 돕는 액체를 말한다.

가. 과염소산(HClO4) - 지정수량 300㎏

 ① 일반적 성질

   ㉠ 무색 무취의 유동하기 쉬운 액체이며 흡습성이 대단히 강하고 대단히 불안정한 강산이다. 순수한 것은 분해가 용이

        하고 격렬한 폭발력을 가진다.

   ㉡ 순수한 것은 농도가 높으면 모든 유기물과 폭발적으로 반응하고 알코올류와 혼합하면 심한 반응을 일으켜 발화 또는

        폭발한다.

   ㉢ 과염소산(HClO4)은 염소산 중에서 가장 강한 산이다.

         HClO < HClO2 < HClO3 < HClO4

         차아염소산 < 아염소산 < 염소산 < 과염소산

   ㉣ Fe, Cu, Zn 과 격렬하게 반응하고 산화물이 된다.

   ㉤ 가열하면 폭발하고 분해되어 유독성의 염산(염화수소, HCl)이 발생한다.

          HClO4 → HCl + 2O2

   ㉥ 비중은 3.5, 융점은 -112℃이고, 비점은 130℃이다.

   ㉦ 물과 접촉하면 발열하고 안정된 고체 수화물을 만든다.

 ② 위험성

   ㉠ 시안화합물과 반응하여 유독성, 가연성의 시안화수소(HCN)가스가 발생한다.

   ㉡ 92℃ 이상에서는 폭발적으로 분해된다.

   ㉢ 염화바륨(BaCl2)과 발열, 발화하며 암모니아(NH3)와 접촉 시 격렬하게 반응하여 폭발 비산한다.

   ㉣ 물과 접촉하면 심하게 반응하여 발열한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가열, 화기,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물, 가연물, 유기물 등과의 접촉을 피하여 보관한다.

   ㉡ 유리나 도자기 등의 밀폐용기를 사용하고 누출 시 가연물과 접촉을 피한다.

 ④ 소화방법 : 마른 모래 또는 분말소화약제를 사용할 수 있다.

 ⑤ 용도 : 산화제, 전해 연마제 등

나. 과산화수소(H2O2) - 지정수량 300㎏ : 농도가 36wt% 이상일 것

 ① 일반적 성질

   ㉠ 순수한 것은 청색을 띠며 점성이 있고 무취, 투명하며 질산과 유사한 냄새가 난다.

   ㉡ 산화제 뿐 아니라 환원제로도 사용된다.

     ⓐ 산화제 : 2KI + H2O2 → 2KOH + I2

     ⓑ 환원제 : 2KMnO4 + 3H2SO4 + 5H2O2 → K2SO4 + 2MnSO4 + 8H2O + 5O2

   ㉢ 강한 산화성이 있고, 물, 알코올, 에테르 등에는 녹으나 석유나 벤젠 등에는 녹지 않는다.

   ㉣ 알칼리 용액에서는 급격히 분해되나 약산성에서는 분해되기 어렵다. 3%인 수용액을 옥시풀이라 하며 소독약으로

        사용하고, 고농도의 경우 피부에 닿으면 화상(수종)을 입는다.

   ㉤ 일반 시판품은 30~40%의 수용액으로, 분해되기 쉬워 인산(H3PO4), 요산 (C5H4N4O3) 등의 안정제를 가하거나 약산

        성으로 만든다.

   ㉥ 가열에 의해 산소가 발생한다.

         2H2O2 → 2H2O + O2

   ㉦ 비중 1.462, 융점 -89℃

 ② 위험성

   ㉠ 강력한 산화제로 분해하여 발생기 산소가 발생하며 농도가 높을 수록 불안정하고 온도가 높아지면 분해속도가 증가하

        여 비점 이하에서도 폭발한다.

   ㉡ 농도 60% 이상인 것은 충격에 의해 단독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고농도의 것은 알칼리, 금속분, 암모니아, 유기물 등과

        접촉 시 가열이나 충격에 의해 폭발한다.

   ㉢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는 (에테르 + 과산화수소), (메탄올 + 과산화수소), (벤젠 + 과산 화수소) 등은 혼촉발화한다.

   ㉣ 이염화주석이수화물(SnCl2 · 2H2O), 나이트로글리세린(C3H5(ONO2)3, 하이드라진(N2H4)과 접촉시 발화 또는 폭발

        한다.

        2H2O2 + N2H4 → 4H2O + N2

   ㉤ 농도가 진한 것은 피부와 접촉하면 수종을 일으킨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유리는 알칼리성으로 분해를 촉진하므로 피하고 가열, 화기,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농도가 높을 수록 위험성이 크므로

       분해방지안정제 (인산(H3PO4), 요산 (C5H4N4O3) 등)를 넣어 발생기 산소의 발생을 억제한다.

   ㉡ 용기는 밀봉하되 작은 구멍이 뚫린 마개를 사용한다.

   ㉢ 누출시는 다량의 물로 희석하고 다량 누출 시는 토사 등으로 막고 다량의 물로 씻는다.

 ④ 소화방법 : 화재시 용기를 이송하고 불가능한 경우 다량의 물로 냉각 소화한다.

 ⑤ 용도 : 표백제, 발포제, 로켓 원료, 의약 등

다. 질산(HNO3) - 지정수량 300㎏ : 비중이 1.49 이상의 것

 ① 일반적 성질

   ㉠ 3대 강산 중 하나로 흡습성이 강하고 자극성, 부식성이 강하며 휘발성, 발연성이다.

        직사광선에 의해 분해되어 이산화질소(NO2)를 생성한다.

          4HNO3 → 4NO2 + 2H2O + O2

   ㉡ 피부에 닿으면 노란색으로 변색이 되는 크산토프로테인반응(단백질 검출)을 한다.

   ㉢ 염산과 질산을 3부피와 1부피로 혼합한 용액을 왕수라 하며, 이 용액은 금과 백금을 녹이는 유일한 물질로 대단히

        강한 혼합산이다.

   ㉣ 직사광선으로 일부 분해되어 과산화질소(NO2)를 만들기 때문에 황색을 나타내며 Ag, Cu, Hg 등은 다른 산과 반응

        하지 않으나 질산과 반응하여 질산염과 산화질소 (NO)를 형성한다.

         3Cu + 8HNO3 → 3Cu(NO3)2 + 2NO + 4H2O (묽은 질산)

         Cu + 4HNO3 → Cu(NO3)2 + 2NO2 + 2H2O (진한 질산)

   ㉤ 비중은 1.49, 융점은 -50℃ 이며, 비점은 86℃ 이다.

   ㉥ 반응성이 큰 금속과 산화물 피막을 형성하여 내부를 보호한다. → 부동태(Fe, Ni, Al)

   ㉦ 질산을 가열하면 적갈색의 유독한 갈색증기(NO2)와 발생기 산소가 발생한다.

    ※ 크산토프로테인 반응 (Xanthoprotein 反應) : 단백질 검출 반응의 하나. 벤젠 고리를 가진 아미노산 또는 그것이 들어

        있는 단백질에 진한 질산을 가하여 가열하면 황색이 되고, 냉각하여 염기성으로 되게 하면 등황색을 띤다.

    ※ 부동태는 금속이나 합금이 특정 환경에서 화학 반응성을 잃고 부식 속도가 매우 느려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부동태

        피막이 형성되어 금속 표면을 보호하기 때문에, 특히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내식성이 중요한 금속에서 부동태화 처리

        는 중요한 부식 방지방법입니다.

 ② 위험성

   ㉠ 산화력과 부식성이 강해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는다.

   ㉡ 목탄분 등 유기가연물에 스며들어 서서히 갈색증기가 발생하며 자연발화한다.

   ㉢ 암모니아와 접촉시 폭발, 비산하며 가연성 물질, 산화성 물질, 유기용제, 알칼리, 시안화합물 등과 반응시 심하게 반응

        한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화기, 직사광선을 피하고 물기와의 접촉을 피하며 냉암소에 보관한다. 소량의 경우 갈색병에 보관한다.

   ㉡ 누출시 톱밥, 금속분, 환원성 물질 등 가연성 물질과 섞이지 않도록 주의하며 중화제 (소석회[수산화칼슘(Ca(OH)2]),

        소다회 [탄산수소나트륨(Na2CO3)] 등)로 중화시킨 후 물로 희석한다.

 ④ 소화방법 : 대규모 화재를 제외하고는 일반 화재의 소화방법과 같다. 소규모 화재시는 다량의 물로 희석하고 대규모

                       화재의 경우 포, 건조사 등으로 소화한다.  뜨거워진 질산에 주수하면 비산하므로 주의한다.

 ⑤ 용도 : 야금용, 폭약 및 나이트로화합물의 제조, 질산염류의 제조, 유기합성

라. 할로겐 화합물

 ▣ 두 할로겐 X와 Y로 이루어진 2원 화합물로서 보통 성분의 직접 작용으로 생긴다.

       X가 Y 보다 무거운 할로겐으로 하여 XYn (n=1, 3, 5, 7)으로 나타낸다. 모두 휘발성이고 최고 비점은 BrF3에서 127℃

       로 나타낸다. 대다수가 불안정하나 폭발하지는 않는다. 일플루오르화요오드(IF)는 얻어지지 않고 아이오딘화플루오린

       클로라이드 (IFCl2), IFCl과 같은 3종의 할로겐을 포함하는 것도 소수 있다.

 ① 삼플루오르화브로민 (BrF3)

   ㉠ 자극성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로서 비점은 125℃, 융점은 8.7℃ 이다.

   ㉡ 물과 접촉하면 폭발할 수 있으며, 가연물질을 점화할 수 있다.

   ㉢ 부식성이 있다.

 ② 오플루오르화브로민 (BrF5)

   ㉠ 심한 냄새의 무색 액체로서, 비점은 40.76℃, 융점은 -60.5℃ 이다.

   ㉡ 부식성이 있으며, 산과 반응하여 부식성 가스를 발생시킨다.

   ㉢ 물과 접촉하면 폭발의 위험이 있다.

 ③ 오플루오르화아이오딘(IF5)

   ㉠ 자극성 냄새가 나는 액체로, 비점 100.5℃, 융점은 9.4℃ 이다.

   ㉡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유독물질 또는 인화성 가스가 발생한다.

#제6류위험물 #산화성액체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질산 #연소시간측정시험

#인산 #요산 #크산토프로테인반응 #단백질 #염산 #질산 #왕수 #부동태

반응형
반응형
 

"자기반응성 물질"이란 고체 또는 액체로서 폭발의 위험성 또는 가열분해의 격렬함을 판단하기 위하여 정부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해당 시험 결과에 따라 위험성 유무와 등급을 결정하여 제1종 또는 제2종으로 분류한다.

1. 유기과산화물

일반적으로 peroxy기(-O-O-)를 가진 산화물을 과산화물(peroxide)이라 하며 공유결합 형태의 유기화합물에서 이 같은

구조를 가진 것을 유기과산화물이라 한다. -O-O- 그룹은 반응성이 매우 크고 불안정하다. 따라서 유기과산화물은 매우

불안정한 화합물로서 쉽게 분해하고 활성산소를 방출한다.

가. 벤조일퍼옥사이드 [(C6H5CO)2O2, 과산화벤조일]

 

 ① 일반적 성질

   ㉠ 비중 1.33, 융점 103 ~ 105℃, 발화온도 125℃

   ㉡ 무미, 무취의 백색분말 또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로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알코올 등에는 잘 녹는다.

   ㉢ 운반 시 30% 이상의 물을 포함시켜 풀 같은 상태로 수송된다. ★★

   ㉣ 상온에서는 안정하나 산화작용을 하며, 가열하면 약 100℃ 부근에서 분해한다.

 ② 위험성

   ㉠ 폭발성이 강한 물질로 유기물, 환원성 물질, 기타 가연성 물질과 접촉하면 화재 또는 폭발을 일으킨다.

   ㉡ 100℃ 전후에서 격렬하게 분해하며, 착화하면 순간적으로 폭발한다. 진한 황산이나 질산, 금속분, 아민류 등과 접촉시

        분해 폭발한다.

   ㉢ 폭발감도는 TNT, 피크르산 보다 강하고 물, 불활성 용매 등의 희석제에 의해 폭발성이 약화되므로 저장, 취급 중 희석

        제의 증발을 막아야 한다.

   ㉣ 가소제, 용제 등의 안정제가 함유하지 않은 건조상태의 경우 약간의 충격 등에 의해 폭발한다.

   ㉤ 상온에서는 안정하나 열, 빛, 충격, 마찰 등에 의해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수분이 흡수되거나 비활성 희석제 (프탈산디

        메틸, 프탈산디뷰틸 등)가 첨가되면 폭발성을 낮출 수 있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저장 시 직사광선, 화기 등 에너지원을 차단하고, 희석제로 희석하여 폭발성을 낮추며 희석제의 증발을 최대한 억제한

        다.

   ㉡ 고체인 경우 희석제로 물 30%,페이스트인 경우 디메틸프탈레이트(C10H10O4, DMP) 50%, 탄산칼슘(CaCO3), 황산

        칼슘(CaSO4)을 첨가한다.

   ㉢ 가급적 소분하여 저장하고 용기는 완전히 밀전, 밀봉하여 누출 방지 및 파손에 주의 한다.

   ㉣ 분진 등을 취급시에는 눈이나 폐 등을 자극하므로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④ 소화방법 : 양이 적은 경우 물분무, 포, 분말, 마른 모래로 질식 소화하가 유효하나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한다.

 ⑤ 용도 : 합성수지의 중합 개시제, 방부제, 소독제 등

나.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CH3COC2H5)2O2, MEKPO, 과산화메틸에틸케톤]

 

 ① 일반적 성질

   ㉠ 인화점 58℃, 융점 -20℃, 발화온도 205℃

   ㉡ 무색, 투명한 기름상의 액체로 촉매로 쓰이는 것은 대개 가소제로 희석되어 있다.

   ㉢ 강력한 산화제임과 동시에 가연성 물질로 화기에 쉽게 인화되고 격렬하게 연소한다.

        순수한 것은 충격 등에 민감하며 직사광선, 수은, 철, 납, 구리 등과 접촉 시 분해가 촉진되고 폭발한다.

   ㉣ 물에는 약간 녹고 알코올, 에테르, 케톤류 등에는 잘 녹는다.

 ② 위험성

   ㉠ 상온에서는 안정하며 80~100℃ 전후에서 격렬하게 분해하며, 100℃가 넘으면 심하게 백연을 발생하고 이 때 분해가

        스에 이물질이 접촉하면 발화, 폭발한다.

   ㉡ 다공성 가연물과 접촉하면 30℃ 이하에서도 분해하고, 나프텐산코발트와 접촉하면 폭발하며, 알칼리성 물질과 접촉

         시 분해가 촉진된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직사광선, 화기 등 에너지원을 차단하고, 희석제 (DMP, DBP를 40%) 첨가로 그 농도가 60% 이상

                                    되지 않게 하며, 저장온도는 30℃ 이하를 유지한다.

      ※ DMP (C10H10O4) : 디메틸프탈레이트, 희석제, 시약 등으로 사용

          DBP (C6H4(CO2C4H9)2) : 프탈산디부틸, 위험성이 낮고 액체 범위가 넓어 가소제로 널리 사용

 ④ 소화방법 : 초기소화의 경우 CO2, 건조분말 소화약제도 유효하며, 소규모의 경우 포가 유효하지만 기타의 경우 다량의

                        물로 냉각 소화한다.

 ⑤ 용도 : 도료, 건조 촉진제, 산화제, 섬유강화제 등

다. 다아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C8H14O6)

 

 ① 일반적 성질

    ▣ 순수한 것은 융점이 8~10℃이므로 액체이며, 가열, 충격, 마찰에 민감하다.

 ② 위험성

   ㉠ 강산류, 알코올류, 아민류, 기타 가연성 물질과 혼합발화하거나 발화위험성이 현저히 증가한다.

   ㉡ 중금속분과 접촉한 것은 폭발의 위험이 있다.

 ③ 저장 및 취급 방법 : 희석제로 톨루엔 70%를 첨가하고 저장온도는 영하를 유지한다.

 ④ 소화방법 :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하여 산소의 분해 방출 방지 및 연소확대 방지에 주력한다.

 ⑤ 용도 : 염화비닐, 염화비닐덴,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중합개시제

라. 아세틸퍼옥사이드 [(CH3CO)2O2]

 ① 일반적 성질

   ㉠ 인화점 45℃, 발화점 121℃인 가연성 고체로 가열시 폭발하며 충격 마찰에 의해서 분해한다.

   ㉡ 희석제 DMF 를 75% 첨가시키고 저장온도는 0~5℃를 유지한다.

    ※다이메틸폼아마이드 [(CH3)2NC(O)H, DMF) : 무색의 액체는 물, 대부분의 유기 액체들과 혼화성이 있다. 다이메틸폼

                  아마이드는 냄새가 나지 않으나 감퇴된 샘플은 다이메틸아민의 불순도로 인해 비린내가 나는 경우가 있다.

 ② 위험성, 저장, 취급방법 및 소화방법 : 과산화벤조일에 준한다.

마. 과초산 (CH3COOOH)

 ① 일반적 성질

   ㉠ 강한 초산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이다. 물, 알코올, 에테르에 녹는다.

   ㉡ 분자량 76.1, 증기비중 2.62, 융점 0℃, 인화점 41℃, 발화점 200℃

 ② 위험성 : 매우 불안정한 유기과산화물로서 가연성, 폭발성 물질이다.

                     56% 이상의 고농도의 것은 충격 또는 마찰에 예민하다.

2. 질산에스터류

  ▣ 알코올기를 가진 화합물을 질산과 반응시켜 알코올기가 질산기로 치환된 에스터화합물을 총칭한다. 질산메틸, 질산에

       틸,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나이트로글리세린, 나이트로글리콜 등이 있다.

        R - OH + HNO3 → R - ONO2 (질산에스터) + H2O

 

가. 나이트로셀룰로오스 ([C6H7O2(ONO2)3]n, 질화면, 질산섬유소)

 ① 일반적 성질

   ㉠ 천연 셀룰로오스를 진한 질산 HNO3(3)과 진한 황산 H2SO4 (1)의 혼합액에 작용시켜 제조한다.

   ㉡ 맛과 냄새가 없으며 물에는 녹지 않고 아세톤(C3H6O, (CH3)2CO), 초산에틸(아세트산 에틸, C4H8O2) 등에는 잘

        녹는다.

   ㉢ 에테르 (2)와 알코올(1)의 혼합액에 녹는 것을 약면약(약질화면), 녹지 않는 것을 강면약(강질화면)이라 한다. 또한

         질화도가 12.5~12.8% 범위인 것을 피로콜로디온이라 한다.

   에터(영어: ether) 또는 에테르는 R-O-R'의 일반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말한다. 알코올과 에터는 물의 유사체

          이다. 알코올은 물의 수소 원자 하나가 알킬기로 치환된 형태라면, 에터는 물의 수소 원자 두개가 알킬기로 치환된

          형태이다. R = R' 인 에터를 대칭 에터(symmetrical ether)라 하고, R과 R'가 다른 에터를 비대칭 에터(unsymmetrical

          ether)라고 한다.

 

   ㉣ 인화점 : 13℃, 발화점 : 160~170℃, 끓는점 : 83℃, 분해온도 : 130℃, 비중 1.7

 ② 위험성

   ㉠ 130℃에서 서서히 분해되고 180℃에서 격렬하게 연소하며 다량의 CO2, CO, H2, N2, H2O 가스가 발생한다.

        2C24H29O9(ONO2)11 → 24CO2 + 24CO + 12H2O + 11N2 + 17H2

   ㉡ 다이너마이트, 무연화약의 원료로 질화도가 큰 것일 수록 분해도, 폭발성, 위험도가 증가한다. 질화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점화 등에 격렬히 연소하고 양이 많을 때는 마찰 시 예민하고 발화폭발의 위험이 증가한다.

   ㉢ 에탄올, 에테르 혼액에 침윤시킨 것은 인화성이 강하며, 습윤상태에서 건조되면 충격 마찰시 예민하고 발화폭발의

        위험이 증대된다.

   ㉣ 강산류, 수은염을 함유한 것은 건조상태에서 가열, 충격 등에 의해 폭발 위험성이 높아진다.

   ㉤ 저장용기가 가열되면 심하게 폭발하고 연소속도가 빠르며, 아민류, 유기과산화물류 강산화제와 혼촉에 의해 자연발화

        의 위험이 있다.

   ㉥ 물이 침윤될 수록 위험성이 감소하므로 운반 시 물(20%), 용제 또는 알코올 (30%)을 첨가하여 습윤시킨다. 건조 시

        위험성이 증대되므로 주의한다.

   ㉦ 직사일광 및 산 · 알칼리의 존재하에서 자연 발화의 위험이 있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용제로 물 (20%) 또는 알코올 (30%)로 습윤시켜 저장한다.

   ㉡ 점화원 요소를 차단하고 냉암소에 소분하여 저장한다.

 ④ 소화방법 :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으며 CO2, 건조분말, 할론은 적응성이 없고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한다.

나. 나이트로글리세린 [C3H5(ONO2)3]

 

 ① 일반적 성질

   ㉠ 다이너마이트, 로켓, 무연화약의 원료로 순수한 것은 무색투명한 기름성의 액체(공업용 시판품은 담황색)이며 점화하

         면 즉시 연소하고 폭발력이 강하다.

   ㉡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메탄올, 벤젠,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에는 녹는다.

   ㉢ 다공질 물질인 규조토에 흡수시켜 다이너마이트를 제조한다.

   ㉣ 분자량 : 227, 비중 : 1.6, 융점 : 2.8℃, 비점 : 160℃

   ㉤ 제법 : 질산과 황산의 혼산 중에 글리세린을 반응시켜 제조한다.

 

 ② 위험성

   ㉠ 40℃에서 분해되기 시작하고 145℃에서 격렬히 분해되며 200℃ 정도에서 스스로 폭발한다.

        4C3H5(ONO2)3 → 12CO2 + 10H2O + 6N2 + O2

   ㉡ 점화, 가열, 충격, 마찰에 대단히 민감하며 타격 등에 의해 폭발하고 강산류와 혼합시 자연분해를 일으켜 폭발할 위험

       이 있으며, 겨울철에는 동결할 우려가 있다.

   ㉢ 강산화제, 유기용제, 강산류, Na, NaOH 등과 혼촉 시 발화폭발한다.

   ㉣ 공기 중 수분과 작용하여 가수분해하여 질산을 생성하고 질산과 나이트로글리세린의 혼합물은 특이한 위험성을 가진

        다. 따라서 장기간 저장할 경우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 증기는 유독성이 있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액체상태로 수송하지 않고 다공성 물질에 흡수시켜 운반하며 점화원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환기가 잘되는 냉암소에

        보관한다.

   ㉡ 저장시 용기는 구리를 사용하며, 화재시에는 폭굉을 일으키므로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 증기는 유독성이므로 피부 보호나 보호구 등을 착용하여야 한다.

 ④ 소화방법 :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하며 소화 중에 있을 수 있는 폭발의 위험에 항시 대비한다.

 ⑤ 용도 : 젤라틴, 다이너마이트, 무연화약의 원료 등

다. 질산메틸 (CH3ONO2)

 ① 일반적 성질

   ㉠ 분자량은 약 77, 비중은 1.2(증기비중 : 2.67), 비점은 66℃

   ㉡ 무색 투명한 액체이며 향긋한 냄새가 있고 단맛이 난다.

 ② 위험성, 저장 및 취급방법, 소화방법 : 질산에틸에 준한다.

라. 질산에틸 (C2H5ONO2)

 ① 일반적 성질

   ㉠ 무색 투명한 액체로 냄새가 나며 단맛이 난다.

   ㉡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코올, 에테르 등에 녹는다.

   ㉢ 비중 1.11, 융점 -112℃, 비점 88℃, 인화점 -10℃

 ② 위험성

   ㉠ 인화점 (-10℃)이 낮아 인화하기 쉬워 비점 이상으로 가열하거나 아질산(HNO2)과 접촉시키면 폭발한다. (겨울에도

        인화하기 쉬움)

   ㉡ 휘발하기 쉽고 증기는 낮은 곳에 체류하고 인화점 (-10℃)이 낮으며 비점 (88℃) 이상 가열시 격렬하게 폭발하고, 기타

         의 위험성은 제1석유류와 유사하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불꽃, 화기, 직사광선을 피하고 용기를 밀봉하여 환기가 잘 되는 냉암소에 보관한다.

   ㉡ 용기는 갈색병을 사용하여 밀전, 밀봉한다.

 ④ 소화방법 : 초기소화는 모래, CO2, 분말소화약제도 유효하나 보통 다량의 물로 냉각 소화한다.

마. 펜트리티[C(CH2ONO2)4, 페틴, PETN]

   ① 백색 분말 또는 결정으로 도폭선의 심약, 군용 폭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② 충격에 예민하고 210℃에서 폭발하며 폭발속도는 약 8,000 m/s 로 빠르며 저장용기에 안정제로 아세톤을 첨가한다.

바. 나이트로글리콜 [(C2H4(ONO2)2]

 

  ① 액비중 : 1.5 (증기비중은 5.2), 융점 : -11.3℃, 비점 : 105.5℃, 응고점 : -22℃, 발화점 : 215℃, 폭발속도 : 약 7,800m/s,

        폭발열은 1,550 kcal/㎏ 이다. 순수한 것은 무색이나, 공업용은 담황색 또는 분홍색의 무거운 기름상 액체로 유동성이

        있다.

  ② 알코올, 아세톤, 벤젠에 잘 녹는다.

  ③ 산의 존재하에 분해촉진되며, 폭발할 수 있다.

  ④ 다이너마이트 제조에 사용되며, 운송시 부동제에 흡수시켜 운반한다.

사. 셀룰로이드

  ① 발화온도 : 180℃, 비중 : 1.4

  ② 무색 또는 반투명 고체이나 열이나 햇빛에 의해 황색으로 변색된다.

  ③ 습도와 온도가 높을 경우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④ 나이트로셀룰로오스와 장뇌의 균일한 콜로이드 분산액으로 부터 개발한 최초의 합성플라스틱물질이다.

3. 나이트로화합물

  ▣ 나이트로기(NO2)가 2개 이상인 유기화합물을 총칭하며 트리나이트로톨루엔(T.N.T), 트리나이트로페놀(피크르산) 등

       이 대표적인 물질이다.

 

가. 트리나이트로톨루엔 [T.N.T, C6H2CH3(NO2)3]

 

 ① 일반적 성질

   ㉠ 순수한 것은 무색 결정 또는 담황색의 결정이나, 직사광선에 의해 다갈색으로 변하며 중성으로 금속과는 반응이 없으

        며 장기 저장해도 자연발화의 위험없이 안정하다.

   ㉡ 물에는 불용이며, 에테르, 아세톤 등에는 잘 녹고 알코올에서는 가열하면 약간 녹는다.

   ㉢ 충격감도는 피크르산 보다 둔하지만 급격한 타격을 주면 폭발한다.

   ㉣ 몇가지 이성질체가 있으며 2, 4, 6 - 트리나이트로톨루엔이 폭발력이 가장 강하다.

   ㉤ 비중 : 1.66, 융점 : 81℃, 비점 : 280℃, 분자량 : 227, 발화온도 : 약 300℃

   ㉥ 제법 : 1몰의 톨루엔과 3몰의 질산을 황산 촉매하에 반응시키면 나이트로화에 의해 T.N.T가 만들어진다.

 

 ② 위험성

   ㉠ 강력한 폭약으로, 피크르산 보다는 약하나 점화하면 연소하지만 기폭약을 쓰지 않으면 폭발하지 않는다.

   ㉡ 칼륨(K), 수산화칼륨(KOH), 중크롬산나트륨(Na2Cr2O7)과 접촉시 조건에 따라 발화하거나 충격, 마찰에 민감하며

        폭발 위험성이 있고, 분해되면 다량의 기체가 발생하고 불완전 연소시 유독성의 질소산화물과 CO를 생성한다.

         2C6H2CH3(NO2)3 → 12CO + 2C + 3N2 + 5H2

   ㉢ 질산암모늄(NH4NO3)과 T.N.T를 3 : 1 (wt%)로 혼합하면 폭발력이 현저히 증가하여 폭파약으로 사용된다.

 ④ 저장 및 취급 방법

   ㉠ 저온의 격리된 지정 장소에서 엄격히 관리한다.

   ㉡ 운반시 10%의 물을 넣어 운반하면 안전하다.

   ㉢ 화기, 충격, 마찰, 직사광선, 알칼리, 강산, 강산화제를 피하고 분말로 취급 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한다.

 ⑤ 소화방법 : 다량의 주수소화를 하지만 소화가 곤란하다.

나. 트리나이트로페놀 [C6H2OH(NO2)3, 피크르산]

 

 ① 일반적 성질

   ㉠ 순수한 것은 무색이나 보통 공업용은 휘황색의 침전 결정이며 충격, 마찰에 둔감하고 자연분해하지 않으므로 장기저

        장해도 자연발화의 위험없이 안정하다.

   ㉡ 찬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온수, 알코올, 에테르, 벤젠 등에는 잘 녹는다.

   ㉢ 비중 : 1.8, 융점 : 122.5℃, 인화점 : 150℃, 비점 : 255℃, 발화온도 : 약 300℃, 폭발온도 : 3,320℃,

        폭발속도 약 7,000 m/s

   ㉣ 강한 쓴맛이 있고 유독하며 물에 전리하여 강한 산이 된다.

   ㉤ 제조 : 페놀을 진한 황산에 녹여 질산으로 작용시켜 만든다.

 

   ㉥ 벤젠에 수은을 촉매로 하여 질산을 반응시켜 제조하는 물질로 DDNP(diazo-dinitro phenol)의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이

          다.

 ② 위험성

   ㉠ 강력한 폭약으로, 점화하면 서서히 연소하나 뇌관으로 폭발시키면 폭굉한다.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하고 금속

        분 (Fe, Cu, Pb 등)과 금속염을 생성하여 본래의 피크르산 보다 폭발강도가 예민하여 건조한 것은 폭발 위험이 있다.

   ㉡ 산화되기 쉬운 유기물과 혼합된 것은 충격, 마찰에 의해 폭발한다. 300℃ 이상으로 급격히 가열하면 폭발한다. 폭발온

        도는 3,320℃, 폭발속도는 약 7,000m/s이다.

         C6H2OH(NO2)3 → 6CO + 2C + 3N2 + 3H2 + 4CO2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화기, 충격, 마찰, 직사광선을 피하고 황, 알코올 및 인화점이 낮은 석유류와의 접촉을 멀리한다.

   ㉡ 운반시 10~20% 물로 습윤하면 안전하다.

 ④ 소화방법 : 초기소화는 포소화약제도 효과가 있지만 보통은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한다.

 ⑤ 용도 : 황색 염료, 농약, 도폭선의 심약, 군용 폭파약, 뇌관의 첨장약, 피혁공업

다. 트리메틸렌트리나이트로아민 (C3H6N6O6, 헥소겐)

 ① 일반적 성질

   ㉠ 백색 바늘 모양의 결정이다.

   ㉡ 물, 알코올에는 녹지 않고, 뜨거운 벤젠에 극히 소량 녹는다.

   ㉢ 비중 1.8, 융점 202℃, 발화온도 약 230℃, 폭발속도 8,350m/s

   ㉣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다량의 진한 질산에서 나이트롤리시스하여 만든다.

        (CH2)6N4 + 6HNO3 → (CH2)3(N-NO2)3 + 3CO2 + 6H2O + 2N2

       이 때 진한 질산 중에 아질산이 존재하면 분해가 촉진되기 때문에 과망가니즈산칼륨을 가한다.

라. 테트릴 [C6H2(NO2)4NCH3]

  ① 비중 1.73, 융점 120 ~ 130℃, 발화온도는 약 190 ~ 195 ℃

  ② 황백색의 침상결정으로 물에는 녹지 않고 벤젠에는 녹는다.

  ③ 피크르산이나 T.N.T 보다 더 민감하고 폭발력이 높다.

마. 기타

  ▣ 디나이트로벤젠 [DNB, C6H4(NO2)2], 디나이트로톨루엔[DNT, C6H3(NO2)3], 디나이트로페놀 [DNP,

         C6H4OH(NO2)2]

4. 나이트로소화합물

 ▣ 하나의 벤젠핵에 2 이상의 나이트로소기가 결합된 것으로 파라디나이트로소벤젠, 디나이트로소레조르신, 디나이트로

      소펜타메릴렌테드라민(DPT) 등이 있다.

 

가. 파라디나이트로소벤젠 [C6H4(NO)2]

 

  ① 황갈색의 분말로 가연물로서 분해가 용이하고 가열 등에 의해 폭발한다.

  ② 화기, 직사광선, 가열, 마찰을 피하고 환기가 양호한 찬 곳에 저장한다.

  ③ 다량 저장하지 않고 소분하여 저장용기에 파라핀을 첨가하여 안정을 기한다.

  ④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고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한다.

 ※ 파라핀(paraffin)은 CnH2n+2(n≥19)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알케인 탄화수소를 두루 일컫는 낱말이다. 물에 녹지 않으

      나 에테르나 벤젠, 에스터(에스테르)에는 녹는다. 파라핀은 20 혹은 40의 탄소분자로 이루어진 탄화수소분자의 혼합물

      로 석유나 석탄, 오일셰일에서 도출된 하얗고 색깔 없는 부드러운 고체이다. 파라핀은 윤활, 절연, 양초에 사용된다.

      가끔 파라핀이라 통칭되는 다른 석유제품 '등유'와는 다르다.

나. 디나이트로소레조르신 [C6H2(NO)2(OH)2]

 

  ① 흑회색의 결정으로 폭발성이 있으며 약 160℃에서 분해된다.

  ② 기타 저장, 취급 방법, 위험성, 소화방법은 파라디나이트로소벤젠에 준한다.

5. 아조 화합물

  ▣ 아조화합물이란 아조기 (-N=N-)가 주성분으로 함유된 물질을 말하며 아조디카르본아미드, 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나이

       트릴, 아조벤젠, 하이드록시아조벤젠, 아미노아조벤젠, 하이드라조벤젠 등이 있다.

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ADCA, C2H4N4O2)

 

  ① 담황색 또는 미황색의 미세분말로 250℃에서 분해되어 N2, CO, CO2 가스가 발생하며 발포제 용도로 가열에 의한

       발포공정시 순수한 것은 폭발적으로 분해할 위험이 있다.

  ② 건조상태, 고농도인 것은 고온에서 매우 위험하고 강한 타격에 의해서도 위험하며 유기산과 접촉한 것은 분해온도가

       낮아진다.

나.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AIBN, C8H12N4)

 

  ① 백색 결정성 분말로 100℃ 전후에서 분해되어 질소(N2)가 쉽게 발생하며 약간의 유독성 물질인 시안화수소(HCN)이

       발생한다.

  ② 기타의 특성은 ADCA와 유사하다.

 ※ 사이안화 수소(hydrogen cyanide) 혹은 청화수소(靑化水素), 청산(靑酸, prussic acid)은화학식이 HCN인 화합물이다.          물, 에테르, 에탄올 등에는 반드시 녹으며, 거기서도 수용액은 별명이 사이안화 수소산 또는 청산이다. 무색인 맹독성

       화합물이며, 휘발성이 있다. 치사량은 2g이며, 불에도 잘 탄다. 실온보다 약간 높은 26 ℃에서 끓는다. 쓴맛이며 아몬드

       향이 나지만 유전적 소인으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사이안화 수소는 약산이며 수용액에서 사이안화음이

        온(CN)을 내놓으며 부분적으로 이온화된다.

다. 아조벤젠 (C6H5N=NC6H5)

  ① 트랜스아조벤젠은 등적색 결정이며, 융점은 68℃, 비점은 293℃이며, 물에는 잘 녹지 않고 알코올, 에테르 등에는

       잘 녹는다.

  ② 시스형 아조벤젠은 융점이 71℃로 불안정하여 실온에서 서서히 트랜스형으로 이성질화한다.

6. 다이아조화합물

  ▣ 다이아조화합물이란 다이아조기 (- N ≡ N)를 가진 화합물로서 다이아조디나이트로페놀, 다이아조카르복실산에스터

       등이 대표적이다.

가. 다이아조디나이트로페놀 [DDNP, C6H2ON2(NO2)2]

 

  ① 빛나는 황색 또는 홍황색의 미세한 무정형 분말 또는 결정으로 매우 예민하여 가열, 충격, 타격 또는 작은 압력에 의해

       폭발한다.

  ② 점화하면 폭발하고 기폭제 중 맹도가 가장 크며 폭발속도가 6,900m/s로 기폭제로 사용할 때 이것이 폭발하면 폭약류

       의 폭약을 유도한다.

  ③ 저장용기에 물을 10% 이상 첨가하여 운반하고 대량 누출 시 누출량의 10배로 10%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으로

        처리한다.

  ④ 가능한 습식상태에서 저장, 취급 또는 제조하여야 한다. 

  ⑤ 고농도, 건조상태로 취급하는 경우 충격 조건을 배제해야 한다.

나. 다이아조아세토나이트릴 (C2HN3)

       N≡N-CHCN

  ① 담황색 액체로 물에 용해되고 에테르 중에 안정하다.

  ② 공기 중에서 매우 불안정하며 고농도의 것은 가열, 충격 등에 의해서 폭발한다.

7. 하이드라진유도체

  ▣ 하이드라진 및 그 유도체류의 수용액으로서 80vol% 미만은 제외한다. 다만, 40vol% 이상의 수용액은 석유류로 취급하

       며, 하이드라진, 하이드라조벤젠, 하이드라지드 등이 대표적이다.

가. 디메틸하이드라진 [(CH3)2NNH2]

  ①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무색 또는 미황색의 기름상 액체로 고농도의 것은 충격, 마찰, 작은 점화원에 의해서도 인화,

        폭발하며 연소 시 역화의 위험이 있다.

  ② 연소 시 유독성의 질소산화물 등이 발생한다.

  ③ 강산, 강산화성 물질, 구리, 철, 수은 및 그 화합물과 격리한다.

  ④ 저장시 화기, 가열,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통풍이 잘 되는 안전한 곳에 보관하며 누출시 불연성 물질로 희석하여 회수

       한다.

  ⑤ 안개상 분무, 건조분말, 알코올포, CO2가 유효하며 소규모 화재시 다량의 물로 희석 소화한다. 대형 화재의 경우 폭발

       의 위험이 있으므로 용기 외벽을 냉각하는데 주력한다.

나. 하이드라조벤젠 (C6H5NHHNC6H5)

  ① 무색 결정으로 융점이 126℃ 이며 물, 아세트산에는 녹지 않으나 유기용매에는 녹는다.

  ② 아조벤젠의 환원으로 얻어지며 산화되어 아조벤젠이 되기 쉽다.

  ③ 강하게 환원시키면 아닐린(C6H5NH2)

다. 염산하이드라진 (N2H4 · HCl)

  ① 백색 결정성 분말로 피부 접촉시 부식성이 매우 강하다.

  ② 융점은 890℃, 흡습성이 강하며, 질산은과 반응하여 백색 침전이 생성된다.

라. 메틸하이드라진 (CH3NHNH2)

  ①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가연성 액체로 물에 용해되며, 독성이 강하다.

  ② 융점 -52℃, 비점 88℃, 인화점 70℃, 발화점 196℃

  ③ 상온에서 안정하나 발화점이 낮아 가열 시 연소 위험이 있으며, 연소시 역화의 위험이 있다.

  ④ 강산류, 산화성 물질, 할로겐화합물, 공기와 접촉 시 심하게 반응하고 발화하는 경우도 있다.

  ⑤ 대량 주수소화, 용기 외벽은 물분무로 냉각하고 바람을 등지고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마. 황산하이드라진 (N2H4 · H2SO4)

  ① 무색 무취의 결정 또는 백색 결정성 분말로 피부 접촉시 부식성이 매우 강하다.

  ② 융점은 85℃, 흡습성이 강하며, 유기물과 접촉시 위험하다.

  ③ 주위 가연물의 소화에 주력하고 누출시 소다회로 중화한다.

8. 하이드록실아민 (NH2OH)

  ① 백색의 침상결정, 비중 1.204, 융점 33.05℃, 비점 70℃

  ② 가열시 폭발의 위험이 있다. 129℃에서 폭발한다.

  ③ 환원성 유기합성원료, 알데하이드와 케톤에서 옥심을 합성하는데 사용한다. 옥심은 쉽게 아민으로 환원되며, 염료,

       플라스틱, 합성섬유, 의약품, 사진정착액 등을 만드는데 이용된다.

  ④ 하이드록실아민과 그 무기염은 강력한 환원제로 중합체, 사진 현상액의 구성 성분으로도 사용된다.

  ⑤ 하이드록실아민 제조방법 : 나이트로알칸(RCH2NO2)의 가수분해법과 산화질소(NO)의 촉매 수소화반응이 기술적으

                                                   로 널리 중요하게 사용된다.

  ⑥ 불안정한 화합물로, 산화질소와 수소로 분해되기 쉬우므로 대개 염 형태로 취급된다.

  ⑦ 과산화바륨(BaO2), 과망가니즈산칼륨(KMnO4), 나트륨(Na), 칼륨(K), 염화인(삼염화인 PCl3, 오염화인 PCl5), 염소

       (Cl2) 등과 혼촉시 발화, 폭발의 위험이 있다.

9. 하이드록실아민염류

가. 황산하이드록실아민 [(NH2OH)2 · H2SO4]

  ① 백색 결정, 융점 170 ℃, 강력한 환원제이며 약한 산화제이다.

  ② 수용액은 산성이며, 금속을 부식시키므로 유리, 스테인리스제, 폴리에틸렌 용기에 저장한다.

  ③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하고 취급시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나. 염산하이드록실아민 (NH2OH · HCl)

  ① 무색의 조해성 결정으로 물에 거의 안 녹고, 에탄올에 잘 녹는다.

  ② 습한 공기 중에서 서서히 분해된다.

다. N-벤조일-N-페닐하이드록실아민

  ① 백색 결정이며, 에틸알코올, 벤젠에 쉽게 녹는다.

  ② 물에 녹지 않으며, 킬레이트 적정 지시약으로 사용된다.

#제5류위험물 #자기반응성 #유기과산화물 #벤조일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질산에스터류 #나이트로글리세린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나이트로화합물 #트리나이트로톨루엔 #트리나이트로페놀 #아조화합물 #하이드라진유도체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록실아민염류

반응형
반응형

알코올과 에테르의 화학식은 ?

알칸의 화학식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알코올과 에테르는 그냥 분자식으로만 보면 같습니다.

예를 들어 에탄올의 분자식은 C2H6O입니다.

그리고 디메틸에테르의 분자식도 C2H6O 로 둘 다 같습니다.

그런데 위 두 물질은 분자식은 같지만 엄연히 다른 성질이 물질입니다.

소주에 디메틸에테르가 들어 있다면 우리 몸에 매우 유해할 겁니다.

이 두 물질이 다르다는 것을 표현해 주기 위해 시성식이란 식으로 분자구조를 나타내 줍니다.

위 두 물질을 시성식으로 나타내 주면

에탄올은 C2H5-OH가 되고 디메틸에테르는 CH3-O-CH3가 됩니다.

여기서 -로 표시된 부분은 작용기를 나타낸 부분입니다.

이와같이 분자식은 같지만 성질이 다른 물질을 이성질체라고 합니다.

알칸은 포화탄화수소로서 CnH2n+2 의 구조를 갖는 물질을 말합니다.

위에서 탄소 2개짜리 에탄올을 예로 들었으므로 탄소 2개 짜리 알칸인 에탄을 예로 들어 봅시다.

에탄의 분자식은 C2H6 입니다.

에탄올은 C2H5-OH 이므로 차이는 수소 H 하나에 있습니다.

즉, 에탄에서 수소 H가 하나 빠지고 그 자리에 OH가 들어오면 에탄올이 됩니다.

에탄올에서 처럼 알칸에서 수소 H가 하나 빠진 것을 알킬기라고 하며 상당히 반응을 잘 합니다.

에틸 = C2H5

디메틸에테르(CH3-O-CH3)에서의 알킬기는 CH3 으로 메틸이라 부릅니다.

알코올은 알칸에서의 수소 하나가 hydroxy group (-OH)로 치환된 것입니다.

에테르는 ROR' 형태, 즉 산소를 중심으로 양쪽에 알킬기가 결합된 형태의 물질입니다.

 

종합하여 보면

C2H6O 의 이성질체 (알코올과 에테르)

C2H5OH = ethanol

CH3OCH3 = dimethyl ether

#이성질체 #에탄올 #디메틸에테르 #시성식 #화학식 #분자식 #알칸

반응형
반응형

 



음식은 시간이 흐르면 부패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발효가 되어 더욱 맛있어지고,
건강에도 유익한 유산균이 생기는
발효식품도 있습니다.

이처럼 사람도 헛되이 세월만 흘려보내
나이만 먹어가는 노인이 있는 반면에,
세월과 함께 내면에 깊이가 생긴
어른이 있습니다.

진정한 어른은 그의 삶을 통해서
우리가 어떠한 인생을 살아야 하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그들의 인생을 보면서
'나도 저런 어른이 되고 싶다'는
마음이 들게 하는 사람이
진짜 어른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노인과 어른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노인은 허송세월을 흘려보낸 사람이지만,
어른은 나이가 들수록 성숙해지는 사람입니다.

노인은 자신밖에 챙길 줄 모르지만,
어른은 넓은 아량으로 주변을 챙기고,
항상 배려합니다.

노인은 더 이상 배우려고 하지 않지만,
어른은 젊은 사람에게도 끊임없이
배우려고 합니다.

노인은 끝없는 욕심을 채우려고만 하지만,
어른은 자신을 비우고 나누어줍니다.

노인은 '나'와 '타인'을 늘 비교하지만,
어른은 나만의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사람입니다.

노인은 매일 거울을 보며
자신의 늙어가는 모습에 슬퍼하지만,
어른은 가득 찬 내면을 볼 줄 알며,
이에 기뻐하는 사람입니다.


 



백구과극(白駒過隙).
흰 망아지가 빨리 지나가는 순간을
문틈으로 언뜻 본다는 뜻으로,
세월과 인생이 덧없이 짧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입니다.

설령 지금은 젊다고 할지라도
눈 깜짝하는 사이에 인생은 멀리 와있기
마련입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어른의 조건'을 갖추었는지
삶의 자리를 항상 돌아보아야 합니다.


# 오늘의 명언
당신은 나이만큼 늙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생각만큼 늙는 것이다.
- 조지 번스 -

반응형
반응형
 

 

1. 제5류 위험물의 종류

종류
품 명
대표 품목
자기반응성 물질
1. 유기과산화물
과산화벤조일, MEKPO, 아세틸퍼옥사이드
2. 질산에스터류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나이트로글리세린, 질산메틸,
질산에틸
3. 나이트로화합물
T.N.T, 피크르산, 디나이트로벤젠, 디나이트로톨루엔
4. 나이트로소화합물
파라나이트로소벤젠
5. 아조화합물
아조디카르본아미드
6. 다이아조화합물
다이아조디나이트로벤젠
7. 하이드라진유도체
디메틸하이드라진
8. 하이드록실아민(NH2O)H)
-
9. 하이드록실아민염류
황산하이드록실아민
10. 그밖에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것
① 금속의 아지드화합물
② 질산구아니딘
-
 

※ "자기반응성 물질"이란 고체 또는 액체로서 폭발의 위험성 또는 가열분해의 격렬함을 판단하기 위하여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해당 시험 결과에 따라 위험성 유무와 등급을

     결정하여 제1종 또는 제2종으로 분류한다.

2. 공통성질, 저장 및 취급시 유의 사항 및 소화방법

가. 공통성질

  ① 가연성 물질로서 연소 또는 분해 속도가 매우 빠르다.

  ② 분자 내 조연성 물질을 함유하여 쉽게 연소를 한다.

  ③ 가열이나 충격, 마찰 등에 의해 폭발한다.

  ④ 장시간 공기 중에 방치하면 산화반응에 의해 열분해하여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나. 저장 및 취급시 주의사항

  ① 가열이나 마찰 또는 충격에 주의한다.

  ② 화기 및 점화원과 격리하여 냉암소에 보관한다.

  ③ 저장실은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④ 관련시설은 방폭구조로 하고, 정전기 축적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히 접지한다.

  ⑤ 용기는 밀전, 밀봉하고 운반용기 및 포장 외부에는 "화기엄금", "충격주의" 등의 주의 사항을 게시한다.

다. 소화방법

  ① 대량의 물을 주수하여 냉각소화를 한다.

  ② 화재발생시 사실상 폭발을 일으키므로, 방어대책을 강구한다.

3. 위험물의 시험방법

가. 폭발성 시험방법

  ▣ 폭발성으로 인한 위험성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시험은 열분석시험으로 하며, 그 방법은 다음에 의한다.

  ① 표준물질의 발열개시온도 및 발열량

     ㉠ 표준물질인 2 · 4 - 디나이트로톨루엔 및 기준물질인 산화알루미늄을 각각 1mg씩 파열압력이 5MPa 이상인 스테인

          리스 강재의 내압성 셀에 밀봉한 것을 시차주사 (示差走査)열량측정장치(DSC) 또는 시차(示差)열분석장치(DTA)에

          충전하고 2 · 4 - 디나이트로톨루엔 및 산화알루미늄의 온도가 60초간 10℃의 비율로 상승하도록 가열하는 시험을

          5회 이상 반복하여 발열개시온도 및 발열량의 각각의 평균치를 구할 것

    ㉡ 표준물질인 과산화벤조일 및 기준물질인 산화알루미늄을 각각 2mg 씩으로 하여 ㉠ 에 의할 것

  ② 시험물품의 발열개시온도 및 발열량 시험은 시험물질 및 기준물질인 산화알루미늄을 각각 2mg씩으로 할 것

나. 폭발성 판정기준

   ▣ 폭발성으로 인하여 자기반응성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다음에 의한다.

  ① 발열개시온도에서 25℃를 뺀 온도의 상용대수를 횡축으로 하고 발열량의 상용대수를 종축으로 하는 좌표도를 만들 것

  ② ①의 좌표도상에 2 · 4-다이나이트로톨루엔의 발열량에 0.7을 곱하여 얻은 수치의 상용대수와 보정온도의 상용대수의

       상호대응 좌표점 및 과산화벤조일의 발열량에 0.8을 곱하여 얻은 수치의 상용대수와 보정온도의 상용대수의 상호대응

        좌표점을 연결하여 직선을 그을 것

  ③ 시험물품의 발열량의 상용대수와 보정온도(1℃ 미만일 때에는 1℃로 한다)의 상용대수의 상호대응 좌표점을 표시할

       것

  ④ ③에 의한 좌표점이 ②에 의한 직선상 또는 이 보다 위에 있는 것을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할 것

다. 가열분해성 시험방법

  ▣ 가열분해성으로 인한 위험성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시험은 압력용기시험으로 하며 그 방법은 다음에 의한다.

   ① 압력용기시험의 시험장치는 다음에 의할 것

      ㉠ 압력용기는 다음 그림과 같이 할 것

 

   ㉡ 압력용기는 그 측면 및 상부에 각각 불소고무제 등의 내열성의 가스켓을 넣어 구멍의 직경이 1㎜ 또는 9㎜인 오리피스

        판 및 파열판을 부착하고 그 내부에 시료용기를 넣을 수 있는 내용량 200㎤의 스테인레스강재로 할 것

   ㉢ 시료용기는 내경30㎜, 높이50㎜, 두께0.4㎜의 것으로 바닥이 평면이고 상부가 개방 된 알루미늄제의 원통형의 것으로

        할 것

   ㉣ 오리피스판은 구멍의 직경이 1㎜ 또는 9㎜이고 두께가 2㎜인 스테인레스강재로 할 것

   ㉤ 파열판은 알루미늄 기타 금속제로서 파열압력이 0.6MPa인 것으로 할 것

   ㉥ 가열기는 출력 700W 이상의 전기로를 사용할 것

  ② 압력용기의 바닥에 실리콘유 5g을 넣은 시료용기를 놓고 당해 압력용기를 가열기로 가열하여 당해 실리콘유의 온도가

        100℃에서 200℃의 사이에서 60초간에 40℃의 비율로 상승하도록 가열기의 전압 및 전류를 설정할 것

  ③ 가열기를 30분 이상에 걸쳐 가열을 계속할 것

  ④ 파열판의 상부에 물을 바르고 압력용기를 가열기에 넣고 시료용기를 가열할 것

  ⑤ ② 내지 ④에 의하여 10회 이상 반복하여 1/2 이상의 확률로 파열판이 파열되는지 여부를 관찰할 것

라. 가열분해성 판정기준 등

  ▣ 가열분해성으로 인하여 자기반응성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가열분해성 시험결과 파열판이 파열되는 것으로 하되,

        그 등급은 다음 각 호와 같다 (2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등급이 낮은 쪽으로 한다).

   ① 구멍의 직경이 1㎜인 오리피스판을 이용하여 파열판이 파열되지 않는 물질 : 등급

   ② 구멍의 직경이 1㎜인 오리피스판을 이용하여 파열판이 파열되는 물질 : 등급

   ③ 구멍의 직경이 9㎜인 오리피스판을 이용하여 파열판이 파열되는 물질 : 등급

마. 자기반응성물질 판정기준

#제5류위험물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터류 #나이트로화합물 #나이트로소화합물

#아조화합물 #다이아조화합물 #하이드라진유도체 #하이드록실아민 #폭발성시험

#가열분해성시험

반응형
반응형
 

【제4석유류】

"제4석유류"라 함은 기어유, 실린더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00℃ 이상 250℃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wt&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1. 기어유 (Gear oil)

   ① 기계, 자동차 등에 이용한다.

   ② 비중 : 0.90, 인화점 : 220℃, 유동점 : -12℃, 수분 : 0.2 %

2. 실린더유 (Cylinder oil)

   ① 각종 증기기관의 실린더에 사용된다.

   ② 비중 : 0.90, 인화점 : 250℃, 유동점 : -10℃, 수분 : 0.5%

3. 윤활유

   ▣ 기계에서 마찰을 많이 받는 부분의 마찰을 덜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름

 
종 류
용 도
기계유
윤활유 중 가장 많이 사용, 마찰 부위에 쓰이는 외부 윤활용 오일이다. 인화점 200~300℃, 계절에 따라 적당한 점도, 인화점을 주어 여러 종류가 있다.
실린더유
각종 증기기관의 실린더에 사용, 인화점 230~370℃, 과일 수증기를 사용하는 경우 인화점은 280℃가 적당하다.
모빌유
항공 발전기, 자동차 엔진, 디젤엔진, 가스엔진에 사용
엔진오일
기관차, 증기기관, 가스엔진 등의 외부 윤활유로 사용
컴프레셔오일
에어컴퓨레셔에 사용, 공기와의 접촉 시 산화중합 및 연소 위험성이 적어야 한다.

4. 가소제 : 성형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품에 유연성과 내한성 등의 성능을 부여해 주는 물질로 다음 표에서

                  몇가지 예를 들어 본다.

<대표적인 가소제의 일반적인 특징>

 

물질명
융점(℃)
비점(℃)
비중
인화점(℃)
용도
아디핀산디아이소데실
-18~43
349
0.92
219
가소제
세바신산디뷰틸
-12
345
0.94
202
가소제
세바신산디옥틸
-62
377
0.91
215
가소제, 윤활유
인산트리크레실(TCP)
-33
250
1.13
255
가소제
프탈산디옥틸(DOP)
-50
230
0.98
216
가소제, 안정제
프탈산디아이소데실(DIOP)
-37
420
0.97
232
전선필름

5. 전기절연유 : 변압기 등에 쓰이는 인화점이 200℃ 이상인 절연유

6. 절삭유 : 금속 재료를 절삭 가공할 때 공구와 재료와의 마찰열을 감소시키고 절삭물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인화점이 200℃ 이상인 기름

7. 방청유 :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여 철제가 녹슬지 않도록 해 주는 기름

【동식물유류】

"동식물유류"는 동물의 지육 또는 식물의 종자나 과육 등으로 부터 추출한 것으로서 1기압에서 인화점이 250℃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위험물관리법 제20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용기기준, 수납 · 저장 기준에 따라 수납되어 저장 · 보관되고 용기의 외부에 물품의 통명칭, 수량 및 화기엄금(화기엄금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표시를 포함한다)의 표시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다.

 
물질명
원료
인화점(℃)
아이오딘값
용도
비고
동유
오동의열매
289
145~
176
도료의 도막 형성요소, 방식용, 고무충전제, 니스
건성유
아마인유
아마의 열매
222
168~
190
페인트, 기름, 바니스의 도막 형성 요소
건성유
들기름
들께
272
192~208
도료, 식용
건성유
어유
바닷고기의 어체 및 내장
-
92~150
정화유
반건성및
건성유
채종유
겨자씨
163
97~107
식용, 윤활유
반건성유
면실유
목화씨
252
88~121
식용, 의약품,정화유,방수용
반건성유
올리브유
올리브 열매
225
75~90
화장품
불건성유
파마자유
아주까리씨
229
81~91
도료, 화장품, 윤활유, 브레이크유
불건성유
낙화생유
땅콩
282
82~109
식용
불건성유

1. 종류 : 유지의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아이오딘값에 따라 건성유, 반건성유, 불건성유로 구분한다.

   ※ 아이오딘값 : 유지 100g에 부가되는 아이오딘의 g수, 불포화도가 증가할 수록 아이오딘 값이 증가하며, 자연발화

                            위험이 있다.

가. 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30 이상인 것

                   이중결합이 많아 불포화도가 높기 때문에 공기 중에 산화되어 액 표면에 피막을 만드는 기름

         ex : 들기름, 동유, 정어리기름, 해바라기유 등

나. 반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00~130인 것

                 공기중에서 건성유 보다 얇은 피막을 만드는 기름

        ex : 참기름, 옥수수기름, 청어기름, 채종유, 면실유(목화씨유), 콩기름, 쌀겨유 등

다. 불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00 이하인 것

                      공기중에서 피막을 만들지 않는 안정된 기름

        ex : 올리브기름, 피마자유, 야자유, 땅콩기름, 동백유 등

 

2. 위험성

  ① 인화점 이상에서는 가솔린과 같은 인화의 위험이 있다.

  ② 화재 시 액온이 상승하여 대형 화재로 발전하기 때문에 소화가 곤란하다.

  ③ 건성유는 헝겊 또는 종이 등에 스며들어 있는 상태로 방치하면 분자 속의 불포화 결합이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중합반응을 일으켜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3. 저장 및 취급방법

   ① 화기 및 점화원을 멀리할 것

   ② 증기 및 액체의 누설이 없도록 할 것

   ③ 가열시 인화점 이상 가열하지 말 것

4. 소화방법

   ① 안개상태의 분무 주수

   ② 탄산가스(CO2), 분말, 할로겐화합물 등에 의한 질식 소화

#건성유 #반건성유 #불건성유 #올리브유 #청어기름 #채종유 #땅콩기름 #동백유

#들기름 #참기름 #면실유 #아이오딘값 #실린더유 #윤활유 #기어유 #가소제

#전기절연유 #절삭유

반응형
반응형
 

"제3석유류"는 중유, 크레오소트유, 그밖의 1기압에서 인화점이 70℃ 이상 200℃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wt%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지정수량 : 비수용성 액체 2,000ℓ】

1. 중유 (heavy oil)

비중
비점
인화점
발화점
연소범위
0.92 ~ 1.0
200℃ 이상
70℃ 이상
400 ℃ 이상
1.0 ~ 5.0%

가. 일반적 성질

  ① 원유의 성분 중 비점이 300 ~ 350℃ 이상인 갈색 또는 암갈색의 액체로, 직류 중유와 분해 중유로 나눌 수 있다.

    ㉠ 직류 중유 (디젤기관의 연료용) : 원유를 300~350℃에서 추출한 유분 또는 이에 경유를 혼합한 것으로 포화탄화수소

          가 많으므로 점도가 낮고 분무성이 좋으며 착화가 잘 된다.

    ㉡ 분해 중유(보일러의 연료용) : 중유 또는 경유를 열분해하여 가솔린을 제조한 잔유에 이 계통의 분해 경유를 혼합한

         것으로 불포화 탄화수소가 많아 분무성도 좋지 않아 탄화수소가 불안정하게 형성된다.

  ② 등급은 동점도(점도/밀도) 차에 따라 A중유, B중유, C중유로 구분하며, 벙커C유는 C중유에 속한다.

나. 위험성

  ① 석유 냄새가 나는 갈색 또는 암갈색의 끈적끈적한 액체로 상온에서는 인화 위험성이 없으나 가열하면 제1석유류와

       같은 위험성이 있으며 가열에 의해 용기가 폭발하며 연소할 때 CO 등의 유독성 가스와 다량의 흑연이 생성한다.

  ② 분해 중유는 불포화 탄화수소이므로 산화, 중합하기 쉽고, 액체의 누설은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③ 강산화제와 혼합하면 발화 위험이 생성된다. 또한 대형 탱크에 화재가 발생하면 보일 오버(boil over) 또는 슬롭 오버

       (slop over) 현상을 초래한다.

    ㉠ 보일 오버 (boil over) 현상 : 원유나 중질유와 같은 성분을 가진 유류탱크 화재시 탱크 바닥의 물 등이 뜨거운 열유층

                                                    (heat layer)의 온도에 의해서 물이 수증기로 변하면서 부피 팽창에 의해서 유류가 갑작스

                                                    럽게 탱크 외부로 넘쳐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 슬롭오버 (slop over) 현상 : 포말 및 수분이 함유된 물질의 소화는 시간이 지연되면 수분이 비등 증발하여 포가 파괴

                                                    되어 화재면의 액체가 포말과 함께 혼합되어 넘쳐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다. 저장 및 취급 방법

  ① 가열, 화기를 금하고 냉암소에 보관하며, 중유가 들어 있는 용기나 탱크에 직접 용접 시 공간의 저비점 유증기 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② 강산화제, 강산류와 격리하며, 누출로 인해 다공성 가연물에 스며들지 않게 한다.

라. 소화방법 : 소규모 화재 시는 마른 모래, 물분무 소화도 유효하나 초기화재 시는 포, CO2, 할론, 분말이 유효하며 주수는

                       연소방지 및 탱크의 외벽을 냉각하는데 사용하고 대형탱크 화재시는 슬롭오버 또는 보일오버 현상을 방지하

                       는데 주력한다.

마. 용도 : 디젤기관 또는 보일러의 연료, 금속 정련용 등

2. 크레오소트유 (타르유, 액체 피치유, 콜타르)

비중
비점
인화점
발화점
1.02 ~ 1.03
194~400℃
74℃
336 ℃

가. 일반적 성질

  ① 콜타르를 중류할 때 혼합물로 얻으며 나프탈렌, 안트라센을 포함하고 자극성의 타르 냄새가 나는 황갈색의 액체로

       목재 방부제로 사용한다.

  ② 콜타르를 230~300℃에서 증류할 때 혼합물로 얻으며, 주성분으로 나프탈렌과 안트라센을 함유하고 있는 혼합물이다.

나. 위험성, 저장 및 취급방법, 소화방법 : 중유에 준한다.

다. 용도 : 카본블랙의 제조, 목재의 방부제, 살충제, 도료 등

3. 아닐린(C6H5NH2, 페닐아민, 아미노벤젠, 아닐린오일)

분자량
비중
증기비중
녹는점
비점
인화점
발화점
연소범위
93.13
1.02
3.2
-6℃
184℃
70℃
615℃
1.3~11%

가. 일반적 성질

  ① 무색 또는 담황색의 기름상 액체로 공기 중에서 적갈색으로 변색한다.

  ②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과 반응하여 수소와 아닐리드를 생성한다.

나. 위험성

  ① 인화점(70℃)이 높아 상온에서는 안정하나 가열 시 위험성이 증가하여 증기는 공기와  혼합할 때 인화, 폭발의 위험이

       있다.

  ② 강산화제, 황산과 같은 강산류와 접촉시 격렬하게 반응한다.

다. 저장 및 취급방법 : 가열, 화기, 직사광선을 피하고, 냉암소에 보관하며, 증기 방출을 억제하고 방출된 증기는 배출한다.

라. 소화방법 : 화재 시는 분말, 물분무, CO2가 유효하며 대형 화재시는 알코올형 포로 일시에 소화한다.

마. 용도 : 염료, 고무 유화 촉진제, 의약품, 유기합성, 살균제, 페인트, 향료 등의 원료

4. 나이트로벤젠 (C6H5NO2, 나이트로벤졸)

분자량
비중
비점
녹는점
인화점
발화점
연소범위
123.1
1.2
211℃
5℃
88℃
482℃
1.8~40%
 

가. 일반적 성질

  ① 물에 녹지 않고 유기용제에 잘 녹는 특유한 냄새를 지닌 담황색 또는 갈색의 액체이다.

  ② 벤젠에 진한 황산과 진한 질산을 사용하여 나이트로화시켜 제조한다.

  ③ 산이나 알칼리에는 안정하나 금속 촉매에 의해 염산과 반응하면 환원되어 아닐린이 생성된다.

나. 위험성

  ① 상온에서는 안정하나 가열하면 비점 부근에서 인화의 위험이 있다.

  ② 가열하면 용기가 심하게 폭발한다.

  ③ 연소시 유독성 가스가 발생하며, 산화제와 혼촉시 발열, 발화한다.

다. 저장 및 취급방법, 소화방법 : 아닐린에 준한다.

라. 용도 : 연료, 향료, 독가스 (아담사이드의 원료), 산화제, 용제 등

5. 나이트로톨루엔 [nitro toluene, C6H4(NO2)CH3]

 
 

가. 일반적 성질

  ① 방향성 냄새가 나는 황색의 액체이다. 물에 잘 녹지 않는다.

  ② p-nitro toluene은 20℃에서 고체상태이므로 제3석유류에서 제외된다.

  ③ 알코올, 에테르, 벤젠 등 유기용제에 잘 녹는다.

나. 위험성

  ① 상온에서의 연소 위험성은 없으나 가열하면 위험하다.

  ② 연소시 질소산화물을 포함한 자극성, 유독성의 가스가 발생한다.

  ③ 강산화제, 환원제, 강산류, 알칼리 등 여러 물질과 광범위하게 반응한다.

다. 저장 및 취급방법

  ① 가열금지, 화기엄금, 용기는 차고 건조하며 환기가 잘 되는 곳에 저장한다.

  ② 강산화제, 환원제, 강산류, 알칼리, 기타 화학물질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라. 소화방법 : 초기소화는 건조분말, CO2, 물분무로 질식소화한다. 기타의 경우는 물분무, 포, 알코올형 포를 사용한다.

                       급격히 직사주수하면 비산한다. 용기의 외벽은 물분무로 냉각시킨다. 연소생성물 및 유증기를 피하고

                       바람을 등지고 분사해야 하며 공기호흡기 등의 안전장구를 착용한다.

마. 용도 : 염료, 유기합성, 톨루이딘 및 디나이트로톨루엔의 중간제

6. 아세트시안하이드린 [(CH3)2C(OH)CN]

분자량
증기비중
비점
녹는점
인화점
발화점
연소범위
85.1
2.9
120℃
-19℃
74℃
688℃
2.2~12.0%

가. 일반적 성질 : 무색 또는 미황색의 액체로 매우 유독하고 착화가 용이하며, 가열이나 강알칼리에 의해 아세톤과 시안화

                            수소가 발생한다.

나. 위험성 : 강산화제와 혼합하면 인화,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강산류, 환원성 물질과 접촉시 반응을 일으킨다.

다. 저장 및 취급방법 : 저장시 가열, 화기, 직사광선을 피하고, 냉암소에 보관하며, 증기 방출을 억제하고 방출된 증기는

                                    배출한다.

라. 소화방법 : 초기 또는 소규모 화재시는 분말, 물분무, CO2, 알코올형 포 소화도 유효하나 대형 화재시는 물분무, 알코올

                       형 포로 일시에 소화한다.

마. 용도 : 합성 화학연료, 살충제, 메타아크릴수지의 원료

7. 염화벤조일 (C6H5COCl)

분자량
비중
증기비중
비점
인화점
발화점
녹는점
연소범위
140.6
1.21
4.88
74℃
72℃
197.2℃
-1℃
2.5~27%

가. 자극성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로 물에는 분해되고 에테르에 녹는다.

나. 위험성 : 산화성 물잴과 혼합시 폭발할 우려가 있다.

【지정수량 : 수용성 액체 4,000ℓ】

10. 에틸렌글리콜 [C2H4(OH)2, 글리콜, 1,2-에탄디올]

분자량
비중
비점
녹는점
인화점
발화점
연소범위
62.1
1.1
198℃
-13℃
120℃
398℃
3.2~15.3
 

가. 일반적 성질

  ① 무색무취의 단맛이 나고 흡습성이 있는 끈끈한 액체로서 2가 알코올이다.

  ② 물, 알코올, 에테르, 글리세린 등에는 잘 녹고 사염화탄소(CCl4), 이황화탄소(CS2), 클로로포름(CHCl3)에는 녹지 않는

       다.

  ③ 독성이 있으며, 무기산 및 유기산과 반응하여 에스터를 생성한다.

   ※ 클로로포름(CHCl3) : 클로로포름 (chloroform)은 화합물로 트리클로로메탄이라고도 한다.

                                         표백분에 알코올 또는 아세톤을 넣고 증류하여 얻는 불연성으로 투명하고 무색을 띠며 유동성이

                                         있는 밀도가 큰 액체이다. 화학식은 CHCI3. 에테르와 비슷한 향이 나며 용매와 마취제로 사용된

                                         다. 무색 투명한 액체로 휘발성이며 특유한 냄새가 나고, 약간 달면서 찌르는 듯한 맛이 난다.

                                         에틸알코올이나 벤젠에는 녹으나 물에는 잘 녹지 않는다.

                                         1831년에 최초로 제조되었고 1847년 스코틀랜드인 내과의사 제임스 심슨이 최초로 마취제로

                                         사용했다. 1853년 영국의 내과의사인 존 스노가 빅토리아 여왕이 8번째 아이인 레오폴드 왕자를

                                         출산할 때 클로로포름을 사용했는데, 이때부터 마취제로 사용되었다.

나. 위험성

  ① 산화제와 혼합한 것은 가열, 충격, 마찰 등에 의해 발열, 발화한다.

  ② 1류 위험물과 가연성 황, 적린 등이 혼합된 상태에서 에틸렌글리콜이 첨가되면 발화한다.

다. 저장 및 취급방법, 소화방법 : 중유에 준한다.

라. 용도 : 부동액, 유기합성, 부동 다이너마이트, 계면활성제의 제조원료, 건조방지제 등

2. 글리세린 [C3H5(OH)3]

분자량
증기비중
비중
녹는점
비점
인화점
발화점
92
3.1
1.26
20℃
182℃
160℃
370℃
 

가. 일반적 성질

  ① 물보다 무겁고 단맛이 나는 무색 액체로서, 3가의 알코올이다.

  ② 물, 알코올, 에테르에 잘 녹으며 벤젠, 클로로포름 등에는 녹지 않는다.

나. 위험성 : 비점 부근에서 인화의 위험이 있으며 기타 위험성은 에틸렌글리콜에 준한다.

다. 저장 및 취급방법 : 에틸렌클리콜에 준한다.

라. 소화방법 : 초기화재에는 CO2, 포, 분말이 유효하며, 소규모 화재시 다량의 물로 냉각 소화한다. 기타의 경우 알코올형

                       포로 소화한다.

마. 용도 : 용제, 윤활제, 투명비누, 화장품 등

#글리세린 #제3석유류 #에틸렌글리콜 #분자량 #에탄디올 #지정수량 #2가알코올 #3가알코올 #아세트시안하이드린 #나이트로톨루엔 #톨루엔 #나이트로벤젠 #아닐린 #페닐아민 #아미노벤젠 #아닐린오일 #크레오소트유 #타르유 #콜타르 #중유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