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3과목 : 전기 설비

1. 접지선의 절연전선 색상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느 색으로 표시를 하여야 하는가 ?

   ① 흑색           ② 녹색           ③ 녹색 - 노란색             ④ 녹색 - 적색

[해설] 전선의 식별 (KEC 121. 2)

상 (문자)
색 상
L1
갈색
L2
흑색
L3
회색
N
갈색
보호도체 (접지선)
녹색 - 노란색

2. 전선 및 케이블의 구비조건으로 맞지 않은 것은 ?

   ① 도전율이 크고 고유저항이 작을 것             ② 기계적 강도 및 가용성이 풍부할 것

   ③ 내구성이 크고 비중이 클 것                        ④ 시공 및 접속이 쉬울 것

[해설] 전선의 재료로서 구비해야 할 조건

  ㉠ 도전율이 클 것 → 고유저항이 작을 것         

  ㉡ 기계적 강도가 클 것

  ㉢ 비중이 작을 것 → 가벼울 것

  ㉣ 내구성이 있을 것

  ㉤ 공사가 쉬울 것 ㉥ 값이 싸고 쉽게 구할 수 있을 것

3. 보조 접지극 2개를 이용하여 ㄱㅖ기판의 눈금이 0을 가리키는 순간의 저항 다이얼의 값을 읽어 접지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

   ① 캘빈 더블 브릿지    ② 휘트스톤 브릿지    ③ 콜라우시 브릿지    ④ 접지 저항계

[해설] 접지저항계 : 접지 저항 측정기 (Earth tester)

  ㉠ 캘빈 더블 브리지 (Kelvin double bridge) : 휘트스톤 브리지에 보조 저항을 첨가한 것으로 1 Ω 이하의 저저항의 정밀

                                                                          측정에 사용된다.

  ㉡ 휘트스톤 브리지 (Wheatstone bridge) : 10-4 Ω 정도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 콜라우시 브리지 (Kohlraush bridge) : 저저항 측정용 계기로 접지저항, 전해액의 저항 측정에 사용된다.

4. 다음 중 금속 전선관의 종류에서 박강 전선관의 규격이 아닌 것은 ?

   ① 19             ② 25               ③ 31                  ④ 35

[해설] 박강 전선관의 규격 : 19, 25, 31, 39, 51, 63, 75 ㎜

   ㉠ 박강 : 외경 (바깥지름)에 가까운 홀수

   ㉡ 후강 : 내경 (안지름)에 가까운 짝수

5. 다음 중 버스덕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

   ① 플로어 버스 덕트         ② 피더 버스 덕트        ③ 탭붙이 버스덕트         ④ 플러그인 버스덕트

[해설] 버스덕트 (Bus duct) 종류

   ㉠ 피더 버스 덕트                      ㉡ 플러그 인 버스덕트

   ㉢ 익스팬션 버스 덕트              ㉣ 탭붙이 버스덕트

   ㉤ 트랜스 포지션 버스덕트

6. 다음 중 배선 차단기의 기호로 옳은 것은 ?

   ① MCCB              ② ELB             ③ ACB                   ④ DS

[해설] ① MCCB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배선용 차단기

          ② ELB ( Earth leakage breaker) : 누전차단기

          ③ ACB (Air circuit breaker) : 기중 차단기

          ④ DS (Disconnecting switch) : 단로기

7. 기동시 발생하는 기동전류에 대해 동작하지 않는 퓨즈의 종류로 옳은 것은 ?

   ① 플러그 퓨즈            ② 전동기용 퓨즈              ③ 온도 퓨즈          ④ 텅스텐 퓨즈

[해설] ① 플러그 퓨즈 (Plug fuse) : 하얀 자기제의 퓨즈 커버 내에 퓨즈를 삽입하여 나사형식으로 돌리면 내부에서 서로

                                                       접촉하게 한 것이다.

   ② 전동기용 퓨즈

      ㉠ 전동기용 퓨즈는 전동기 보호용으로 적합한 특성을 가진 퓨즈이다.

      ㉡ 정격전류의 5배의 전류를 10초간 통전하여 1만회를 반복해도 용단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전동기의 기동 시에는 기동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이 기동전류에 의해 기능이 저하되거나 용단되지 않도록 하는

           특성이 정해져 있다.

      ㉣ 전동기는 온(On), 오프(Off)를 많이 반복하게 되므로 반복 개폐 횟수가 많게 설정되어 있다.

  ③ 온도 퓨즈 (Thermal fuse) : 어떤 특정한 온도에서 변형, 혹은 용융하여 전기회로를 여는 일종의 과열 보호용 스위치로

                                                  서, 전기기기의 과열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④ 텅스텐 퓨즈 (Tungsten fuse)

     ㉠ 텅스텐의 가는 선을 필요한 치수로 정밀하게 만들어 소형의 유리관에 봉해 넣고, 그 양단에 도선을 붙인 것이다.

     ㉡ 전자기기와 같은 소전류이고 정밀한 제한을 요하는 곳에 사용한다.

8. 사람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주택용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의 동작시간이 얼마 이하이여야 하는가 ?

   ① 30 mA, 0.03초        ② 3 mA, 0.03초          ③ 300 mA, 0.3초         ④ 30 mA, 0.3초

[해설] ㉠ 감전사고에서는 인체의 손상 정도를 결정하는 통전전류의 크기와 통전시간이 피해 정도에 큰 영향을 끼친다.

          ㉡ 사람의 전기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택용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 30 mA, 0.03초 이내에 동작하도록 규정

               하고 있다.

9. 정격 전류가 60 A 일 때, 주택 배선 차단기의 동작시간은 얼마 이내인가 ?

   ① 15분             ② 30분               ③ 60분                ④ 120분

[해설]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표 212.6-4) 과전류 트립 동작시간 (주택용 배선 차단기)

정격전류의 구분
시간
정격전류의 배수
불용단 전류
용단전류
63 A 이하
60분
1.13 배
1.45 배
63 A 초과
120분
1.13 배
1.45 배

10. 접지 공사에서 접지극으로 동판을 사용하는 경우 면적이 몇 ㎠ 편면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300              ② 600                 ③ 900                 ④ 1,200

[해설] 접지극 (내선규정 1445-7 참조)

  ㉠ 동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 0.7 ㎜ 이상, 면적 900 ㎠ (편면) 이상일 것

  ㉡ 동봉, 동피복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8 ㎜ 이상, 길이는 0.9 m 이상의 것

11. 저압 가공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저압 가공전선은 나전선, 절연전선, 다심형 전선 또는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

   ② 사용전압이 400 V 이하인 경우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③ 사용전압이 400 V를 초과하고 시가지에 시설하는 경우 지름 5 ㎜ 이상의 경동선이어야 한다.

   ④ 사용전압이 400 V를 초과하는 경우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

[해설] [KEC 222.5 ] 저압 가공전선의 굵기 및 종류 (위 문제 ①, ②, ③ 이외에) 사용전압이 400 V 초과인 저압 가공전선에

                                는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을 사용하여서는 안된다.

12. 철근 콘크리트주로서 전장이 15m 이고, 설계하중이 7.8 kN이다. 이 지지물을 논, 기타 지반이 약한 곳 이외에 기초

       안전율의 고려없이 시설하는 경우에 그 묻히는 깊이는 기준보다 몇 ㎝를 가산하여야 하는가 ?

     ① 10                   ② 30                  ③ 50                    ④ 70

[해설] 철근 콘크리트주로서 전체 길이가 14 m 이상 20 m 이하이고, 설계하중이 6.8 kN 초과 9.8 kN 이하의 것을 논이나

           지반이 연약한 곳 이외에 시설하는 경우 최저 깊이에 30 ㎝ 를 가산하여 할 것

13. 전선로의 직선 부분을 지지하는 애자는 ?

     ① 핀 애자           ② 지지애자                 ③ 가지애자                 ④ 구형애자

[해설] ㉠ 핀애자 : 전선의 직선 부분에 사용

         ㉡ 지지애자 : 전선의 지지부에 사용

         ㉢ 가지애자 : 전선을 다른 방향으로 돌리는 부분에 사용

         ㉣ 구형애자 : 인류용과 지선용이 있으며, 지선용은 지선의 중간에 넣어 양측 지선을 절연

14. 인류하는 곳이나 분기하는 곳에 사용하는 애자는 ?

   ① 구형 애자            ② 가지애자              ③ 새클애자            ④ 현수애자

[해설] 현수애자 : 특고압 배전선로에 사용하는 현수애자는 선로의 종단, 선로의 분기, 수평각 30 ° 이상인 인류 개소와 전선

                             의 굵기가 변경되는 지점, 개폐기 설치 전주 등의 내장 장소에 사용한다.

15. 다음 중 래크를 사용하는 장소는 ?

   ① 저압 가공전선로         ② 저압 지중전선로          ③ 고압 가공전선로            ④ 고압 지중전선로

[해설] 저압 가공전선로에 있어서 완금이나 완목 대신에 래크 (Rack)를 사용하여 전선을 수직 배선한다.

16.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안전율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

      ① 2                  ② 2.5                      ③ 3                 ④ 3.5

[해설] 지선의 시설 (KEC 331. 11)

  ㉠ 안전율 : 2.5 이상

  ㉡ 연선을 사용할 것

      ⊙ 소선 3가닥 이상의 연선일 것

      ⊙ 소선의 지름이 2.6 ㎜ 이상의 금속선을 사용한 것일 것

17. 수변전설비 구성기기의 계기용 변압기 (PT)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높은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변성하는 기기이다.

   ② 높은 전류를 낮은 전류로 변성하는 기기이다.

   ③ 회로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기기이다.

   ④ 부족전압 트립 코일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해설] ㉠ 계기용 변압기 (PT)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 - 회로에 병렬로 접속

   ⊙ 배전반의 전압계, 전력계, 주파수계, 역률계 표시등 및 부족전압 트립코일의 전원으로 사용

 ㉡ 계기용 변류기 (CT)

   ⊙ 많은 전류를 적은 전류로 변성 - 회로에 직렬로 접속

   ⊙ 배전반의 전류계 · 전력계, 차단기의 트립코일의 전원으로 사용

18. 배선설계를 위한 전등 및 소형 전기기계 기구의 부하용량 산정시 건축물의 종류에 대응한 표준 부하에서 원칙적으로

      표준 부하를 20 VA/㎥ 으로 적용하여야 하는 건축물은 ?

   ① 교회, 극장          ② 호텔, 병원             ③ 은행, 상점           ④ 아파트, 미용원

[해설] 건물의 종류별 표준부하

건축물의 종류
표준부하 [VA/㎡]
공장, 공회당, 사원, 교회, 극장, 영화관, 연회장 등
10
기숙사, 여관, 호텔, 병원, 학교, 음식점, 다방, 대중목욕탕 등
20
사무실, 은행, 상점, 이발소, 미용원
30
주택, 아파트
40

19. 교통신호등 회로의 사용전압은 몇 V 를 넘는 경우에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가 ?

     ① 100            ② 150              ③ 200              ④ 300

[해설]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234. 15. 6] : 교통 신호등 회로의 사용전압이 150 V를 넘는 경우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누전 차단기를 시설할 것

20.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배전반 및 분전반을 시설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케이블로 옳은 것은 ?

   ① 난연성 케이블        ② 광섬유 케이블           ③ 차폐 케이블             ④ 수밀형 케이블

[해설] 배전반 및 분전반 (캐비닛을 포함한다)을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하는 경우는 방수형의 것으로 수밀형 케이블을 사용

           하여야 한다.

※ 수밀성 (Water tightness 水密性) 재료 : 압력수가 통과하지 않는 방수재료

[정답]  1. ③    2. ③    3. ④    4. ④    5. ①    6. ①    7. ②    8. ①    9. ③    10. ③    11. ④

            12. ②    13. ①    14. ④    15. ①    16. ②    17. ②    18. ②    19. ②    20. ④

#절연전선 #휘트스톤브릿지 #케이블 #콜라우시브릿지 #캘빈더블브릿지 #박강전선관

#피더버스덕트 #플러그인버스덕트 #배선용차단기 #플러그퓨즈 #온도퓨즈 #텅스텐퓨즈

#누전차단기 #접지극 #안전율 #핀애자 #현수애자 #구형애자 #트립코일 #표준부하

반응형
반응형

1. 전동기 용량 산정

가. 양수 펌프용 전동기 용량 P [kW]

 

나. 권상기용 전동기 용량 P

 

예제) 양수량 Q=6 [㎥/min], 총양정 H=7.5[m]를 양수하는데 필요한 구동용 전동기의

         출력 P[kW]는 대략 얼마인가 ? (단, 펌프효율 η=75[%], 여유계수는 1.1 이다)

 

다.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1)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① 전전압 기동법 : 5[kW]

     ② Y-△ 기동법 : 5~15[kW] : 전압 1/√3, 토크, 전류 : 1/3

     ③ 기동보상기법 : 15[kW] 이상

     ④ 리액터 기동법

  2)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① 2차 저항 기동법

     ② 2차 임피던스 기동법

     ③ 게르게스 기동법

            r2 ↑ ⇒ S ↑ ⇒ τ ↑, I

  ※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법

     1) 전압 제어법

 

     ① 일그너법 : 부하 (大)

     ② 워드 레오나드 : 부하 (小)

  2) 계자 제어법

  3) 저항 이용법 : 효율이 낮아 잘 사용 안함

2. 부하의 산정 ★★

가. 설비용량

  1) 표준 부하

    ① 건축물 종류에 따른 표준 부하 (P)

건축물의 종류
표준부하 [VA/㎡]
공장, 공회당, 교회, 영화관, 연회장
10
기숙사, 여관, 호텔, 병원, 학교
20
사무실, 상점, 은행, 이발소, 미장원
30
주택, 아파트
40

   ② 건축물 중 별도 계산할 부분의 표준부하 (Q)

건축물의 종류
표준부하 [VA/㎡]
복도, 계단, 세면장, 창고, 다락
5
강당, 관람석
10

   ③ 표준 부하에 따라 산출한 수치에 별도로 가산하여야 할 용량 [C]

     ▣ 주택, 아파트(1세대 마다)에 대하여 500~1,000 [VA]

     ▣ 상점, 진열장에 대하여 진열장 폭 1[m]에 대하여 300 [VA]

     ▣ 옥외 광고등, 전광사인, 네온 사인 등의 부하 [VA]

나. 부하의 용량 산정

 

예제) 점포가 붙어 있는 점포주택이 그림과 같을 때 주어진 참고자료를 이용하여 예상되는

         설비부하용량을 산정하고 분기회로수는 원칙적으로 몇 회로로 하여야 하는지 산정하시

          오. (사용전압은 220[V]라고 한다.)

 

다. 분기회로수 산정

   1) 부하설비 용량에 맞는 분기회로수

 

   2) 분기회로수 계산결과가 소수점 이하가 발생하면 절상

   3) 냉방기기 (에어컨디셔너) 및 취사용 기기의 용량이 110[V] 사용전압에서 1.5[kW]

       사용전압이 220[V]에서 3[kW]이상이면 전용 분기회로로 하여야 한다.

   4) 전류가 주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16[A]를 기준으로 한다.

   5) 분기회로의 종류

16 [A] 분기회로
40 [A] 분기회로
20 [A] 배선용차단기 분기회로
50 [A] 분기회로
20 [A] 분기회로
50 [A]를 초과하는 분기회로
30 [A] 분기회로

예제) 어떤 건물의 평면도와 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여기에 배선설계를 하고자 한다.

          이 평면도와 조건들을 이용하여 분기회로수를 결정하시오.

 

   1) 수전전압은 220 [V]로 한다.

   2) 분기회로 전류는 15[A]를 기준으로 80[%]로 한다.

   3) 주거지역 가산 부하는 1000[VA/세대]로 한다.

   4) 에어컨디셔너의 소비전력은 1.5[kW]로 한다.

 

라. 설비불평형률

 1) 단상 3선식

   ① 설비불평형률

 

 ② 단상 3선식 설비불평형률은 40[%] 이하이어야 한다.

 2)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

   ① 설비불평형률

 

   ② 3상 3선식의 설비불평형률은 30 [%] 이하 이어야 한다.

[예제] 설비불평형률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저압, 고압 및 특별고압 수전의 3상 3선식 또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 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부하로 계산하여 설비불평형률은 몇 [%]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30 [%] 이하

  (2) 아래 그림과 같은 3상 3선식 수전인 경우 설비불평형률을 구하시오. (전열부하의 역률

       은 1이며, 전동기의 출력 [kW]를 입력[kVA]로 환산하면 5.2[kVA]이다.

 

[답안작성]

 

반응형
반응형

1. 콜라우시 브리지법에 의해 그램과 같이 접지저항을 측정하였을 경우 접지판 X의 접지

    저항값은 ? (단, Rab = 70[Ω], Rca = 95[Ω], Rbc =125[Ω]이다.) 5점

 

 [답안작성]

 

2. 평형 3상 회로에서 운전되는 유도 전동기에 전력계, 전압계, 전류계를 그림과 같이 접속

    하고 각 계기의 지시를 측정하니 전력계 W1 〓5.43[kW], W2 〓3.86[kW]이고

    전압계 V 〓200[V], 전류계 I 〓28[A]이었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단, 전압계와 전

    류계는 정상으로 연결하였다고 한다.) (8점)

 

⑴ 도면에 전압계와 전류계의 표시를 Ⓥ와 Ⓐ를 써서 도면을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⑵ 유효전력은 몇 [kW]인가?

    유효전력 P = W1+W2 = 5.43+3.86 = 9.29 [kW]

⑶ 피상전력은 몇 [kVA]인가?

 

⑷ 역율을 계산하시오.

 

3. 수전단 전압이 3,000[V]인 3상 3선식 배전선로의 수전단에 역률 0.8(지상)인 520[kW]의 부하가 접속되어 있다.

    이 부하에 동일 역률의 부하 80[kW]를 추가하여  600[kW]로 증가시키되 부하와 병렬로 콘덴서를 설치하여

    수전단 전압 및 선로 전류를  일정하게 불변으로 유지하고자 한다. 이 경우에 필요한 소요 콘덴서 용량 및

    부하 증가 전후의 송전단 전압을 구하시오. (단, 전선의 1선당 저항 및 리액턴스는 각각 1. 78[Ω],

     1.17[Ω]이다.) (6점)

 

4. 그림은 발전기의 상간 단락 보호 계전 방식을 도면화한 것이다. 이 도면을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⑴ 점선 안의 계전기 명칭은? 비율차동계전기

⑵ 동작코일은 ABC 코일 중 어느 것인가? C

⑶ 발전기에 상간 단락이 발생할 때 코일 C의 전류 i d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5. 최대 전류 40[A]의 특고압 수전의 변류기가 60/5[A]로 되어 있다. 최대 전류의 1.2배

    에서 차단기를 동작시키려면 과전류 계전기의 전류 탭을 어느 것에 설정하여야 하겠는

    가? 단, 과전류 계전기의 전류 탭은 2[A], 3[A], 4[A], 5[A], 6[A], 7[A], 8[A],

    10[A], 12[A]로 되어 있다. (5점)

 

6. 수전용 차단기와 과전류 계전기에 시험전류를 넣기전에 시행하여야 할 3가지를 쓰시오. (6점)

   ① 오결선 등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② 결상여부 상태를 확인한다.

   ③ 계전기의 레벨 탭 정정 및 설정치 확인

7. 아래 빈 칸의 내용을 주어진 표에 작성하시오. (6점)

 ▣ 전력 계통에서 선로에 ( ① )를 접속하면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회로의 전압이나 전류의

     파형이 왜곡되어 확대되는 수가 있으며 때로는 기본파형 이상의 고조파를 발생하는 수

    가 있다. 고조파로 인한 영향으로는 동손, 철손의 증대로 기기의 과열,소음가 원인이 되

    며 절연파괴,보호계전기의 오동작,충전전류 발생 등 각종 장해가 발생한다.

    이 고조파를 줄이는 방법은 고조파에 대해 회로를 유도성으로 하면 되기 때문에 ( ① )

    (와)에 ( ② ) (으)로 ( ③ ) 을 연결하여 주면 된다.

      ① 전력용 콘덴서

      ② 직렬

      ③ 직렬 리액터

8. 기계기구 및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곳에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는데

   과전류 차단기의 시설을 제안하고 있는 곳이 있다. 과전류 차단기의 시설을 제한하는 곳 3가지를 쓰시오. (6점)

   ① 접지공사의 접지도체

   ② 다선식 전로의 중성선

   ③ 저압 가공전선로의 접지측 전선

9. 인텔리전트 빌딩(Intelligent Building)은 빌딩 자동화 시스템, 사무자동화 시스템,

    정보통신 시스템, 건축 환경을 총망라한 건설과 유지 관리의 경제성을 추구하는 빌딩이

    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빌딩의 전산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상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UPS에 대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1) UPS를 우리말로 하면 어떤 것을 뜻하는가?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

   (2) UPS에서 AC → DC부와 DC → AC부로 변환하는 부분의 명칭을 각각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컨버터, 인버터

   (3) UPS가 동작되면 전력 공급을 위한 축전지가 필요한데, 그때의 축전지 용량을 구하는

        공식을 쓰시오. (단, 사용 기호에 대한 의미도 설명하도록 하시오.)

 

10. 그림과 같은 방전 특성을 갖는 부하에 필요한 축전지 용량 [Ah]을 구하시오.

    (단, 방전 전류: I1=500[A], I2=300[A], I3=100[A], I4=200[A] 방전 시간 : T1=120분, T2=119분, T3=60분, T4=1분,

     용량 환산 시간 계수: K1=2.49, K2=2.49, K3=1.46, K4=0.57, 보수율은 0.8을 적용한다.) (3점)

 

   [답안작성]

 

11. 어느 빌딩의 수용가가 자가용 디젤 발전기 설비를 계획하고 있다. 발전기 용량 산출에 필요한 부하의 종류 및 특성이

      다음과 같을 때 주어진 조건과 참고 자료를 이용하여 전부하를 운전하는 데 필요한 발전기 용량은 몇 [kVA]인지

      표의 빈칸을 채우면서 선정 하시오. (6점)

 

 [조건]

  •참고 자료의 수치는 최소치를 적용한다.

  •전동기 기동 시에 필요한 용량은 무시한다.

  •수용률 적용

    - 동력: 적용 부하에 대한 전동기의 대수가 1대인 경우에는 100[%] , 2대인 경우에는 80[%]를 적용한다.

    - 전등, 기타: 100[%]를 적용한다.

  •부하의 종류가 전등, 기타인 경우의 역률은 100[%]를 적용한다.

  •자가용 디젤 발전기 용량은 50,100,150, 200, 300, 400, 500 에서 선정한다.(단위: [kVA)

 

   [답안작성]

 

  [참고자료]

 

12. 그림에 제시된 건물의 표준 부하표를 보고 건물 단면도의 분기 회로 수를 산출하시오.

     (단, ① 사용 전압은 220[V]로 하고 룸 에어컨은 별도 회로로 한다. ② 가산해야 할

      [VA] 수는 표에 제시된 값 범위 내에서 큰 값을 적용한다. ③ 부하의 상정은 표준 부하법

      에 의해 설비 부하 용량을 산출한다.) (8점)

 

[답안작성]

  ▣ 주택부분 상정부하 = (15×22-4×4)×40+1,000=13,560 [VA]

  ▣ 상점부분 상정부하 = (11×22-×4×4)×30+8×300=9,180 [VA]

  ▣ 세면장 상정 부하 = 8×4×5=160 [VA]

 

  ▣ 총 분기회로수는 룸 에어컨 별도 분기회로를 포함하여 8회로이다.

     답 : 16[A] 분기 8회로

13. 가로 8[m], 세로 18[m], 천장 높이 3[m], 작업면 높이 0.75[m]인 사무실에 천장

     직부 형광등(40[W] × 2)을 설치하고자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조건] ∙ 작업면 소요 조도 1000[lx] ∙ 천장 반사율 70 [%]

    ∙ 벽 반사율 50[%]                     ∙ 바닥 반사율 10[%]

    ∙ 보수율 70[%]                         ∙40[W]× 2 형광등의 광속 8,800[lm]

 

(1) 실지수를 구하시오.

 

(2) 조명률을 구하시오.

  ▣ 천장반사율 70%, 벽반사율 50%, 바닥반사율 10%와 실지수 2.5와 만나는 표의 값은 66[%] 이다. 답 : 0.66

(3) 등기구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소요 등수는 몇 조인가?

 

14. 카르노표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논리식과 무접점 논리 회로를 나타내시오.(단, ‘0’: L(Low Level), ‘1’: H(High Level)이며

      입력은 A, B, C, 출력은 X이다.) (6점)

 

(1) 논리식으로 나타낸 후 간략화하시오.

 

(2) 무접점 논리 회로를 그리시오.

 

15. PLC 래더 다이어그램이 그림과 같을 때 표 (b)에 ① ~ ⑥의 프로그램을 완성하시오.

(단, 회로 시작(STR), 출력(OUT), AND , OR, NOT 등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6점)

 

  ① STR

  ② STR NOT

  ③ 15

  ④ AND NOT

  ⑤ OUT

  ⑥ 68

16. 다음은 전력 시설물 공사 감리 업무 수행 지침과 관련된 사항이다. ( ) 안에 알맞은 내용을 답란에 쓰시오. (5점)

“감리원은 설계 도서 등에 대하여 공사 계약 문서 상호 간의 모순되는 사항, 현장 실정과의 부합 여부 등 현장 시공을 주안으로 하여 해당 공사 시작 전에 검토하여야 하며 검토 내용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1) 현장 조건에 부합 여부

  (2) 시공의 ( ① ) 여부

  (3) 다른 사업 또는 다른 공정과의 상호 부합 여부

  (4) ( ② ), 설계 설명서, 기술 계산서, ( ③ ) 등의 내용에 대한 상호 일치 여부

  (5) ( ④ ), 오류 등 불명확한 부분의 존재 여부

  (6) 발주자가 제공한 ( ⑤ )와 공사업자가 제출한 산출 내역서의 수량 일치 여부

  (7) 시공상의 예상 문제점 및 대책 등

[답안작성]

  ① 실제 가능

  ② 설계도면

  ③ 산출내역서

  ④ 설계도서의 누락

  ⑤ 물량내역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