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배선도 작성과 전선 가닥수

 

▣ 그림과 같은 배선평면도와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사용하는 전선은 모두 450/750[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4 [㎟]이다.

  ⊙ 박스는 모두 4각 박스를 사용하며, 기구 1개에 박스 1개를 사용한다.

       2개 연동인 경우에는 각 1개씩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 전선관은 콘크리트 매입 후강금속관이다.

  ⊙ 층고는 3[m]이고, 분전반의 설치 높이는 1.5[m]이다.

  ⊙ 3로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는 단극 스위치를 사용하며, 2개를 나란히 사용하는 개소는 2개소 이다.

 

(1)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 (A~F)에 기구를 배치하여 배선평면도를 완성하려고 한다.

      해당되는 기구의 그림기호를 그리시오.

 

(2) 배선평면도의 ① ~ ③의 배선 가닥수는 몇 가닥인가 ?

     ※ 전등용 전력선과 콘센트용 전력선은 구분하여 별도로 시설한다.

   ① 2가닥         ② 3가닥            ③ 4가닥

 

(3) 도면의 ④에 대한 그림기호의 명칭은 무엇인가 ? 케이블 헤드

(4) 본 배선평면도에 소요되는 4각 박스와 부싱은 몇 개인가?

     단, 자재의 규격은 구분하지 않고 개수만 산정한다.

  ① 4각 박스 개수

    ※ 4각 박스의 개수는 전선관 개수와 같다.

        그런데 4각 박스가 한 전선관에 나란히 2개 달린 것이 2개 이므로 4각 박스의

        개수는 전선관 개수에 2를 더해 주어야 한다.

 

   ▣ 4각 박스 개수 : C : 9개, D : 6개, E : 2개, F : 6개

                               스위치 2개 나란한 장소 추가 2개 총 25개

 ② 부싱개수

  ▣ 후강전선관은 금속관을 쓰며 금속관의 끝은 부싱을 써야 한다.

      ⊙ 전선관 하나에 양쪽에 부싱을 써야 하므로 부싱 개수는 전선관수 × 2가 된다.

           부싱수 = 전선관수 × 2 = 23 × 2 = 46개

 

▣ 부싱수

  ⊙ 4각 박스수 (스위치 2개를 나란히 한 장소 제외) = (25-3) × 2 = 46 개

 

반응형
반응형

 

1. 접지저항 측정

 ▣ 다음 그림은 전자식 접지 저항계를 사용하여 접지극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배치도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접지저항계

(1) 보조 접지극을 설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 전압과 전류를 공급하여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2) ⑤와 ⑥ 의 설치간격은 얼마인가 ?

   ⑤ 10 [m]    ⑥ 20 [m]

(3) 그림에서 ①의 측정단자 접속은 ?

   ⓐ → ⓓ ⓑ → ⓔ ⓒ → ⓕ

(4) 접지극의 매설깊이는 ? 0.75 [m ] 이상

 

2. 가공전선의 교차 이격거리

 ▣ 최대 사용전압 360[kV]의 가공전선이 최대사용전압 161[kV] 가공전선과 교차하여

     시설되는 경우 양자 간의 최소 이격거리는 몇 [m]인가 ?

 

[해설]

  ▣ KEC 333.27 특고압 가공전선 상호간의 접근 또는 교차

사용전압
이격거리
35[kV] 이하
2[m] (전선이 특고압 절연전선인 경우 1[m], 케이블인 경우 0.5[m])
35[kV] 초과
60[kV] 이하
2[m]
60[kV] 초과
2[m]에 사용전압이 60[kV]를 초과하는 10[kV] 또는 그 단수마다
0.12[m]를 더한 값

 

3. 변전설비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

  ▣ 다음 그림은 변전설비의 단선결선도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변전설비 단선결선도

(1) 부등률 적용 변압기는 ? Tr1

(2) (1)항의 변압기에 부등률을 적용하는 이유를 변압기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 Tr1에 접속되는 Tr2, Tr3, Tr4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최대 수요전력이 발생하는 시각이

      각기 다르므로 Tr1에 부등율을 적용해야 한다.

(3) Tr1의 부등률은 얼마인가 ? 단, 최대합성전력은 1,375[kVA]이다.

 

(4) 수용률의 의미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 수용설비가 동시에 사용되는 정도

(5) 변압기 1차측에 설치할 수 있는 차단기 3가지를 쓰시오.

  ▣ 유입차단기, 진공차단기, 가스차단기

    ※ 특고압(고압)용 차단기

     ⊙ 유입차단기, 진공차단기, 가스차단기, 자기차단기, 공기차단기

 

4. 변압기 보호 계전기

  ▣ 대용량의 변압기 내부고장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 5가지만 쓰시오.

   ① 비율차동계전기 ② 부흐홀쯔계전기 ③ 충격압력계전기 ④ 방압안전장치 ⑤ 유온계

 

  ※ 변압기 내부고장 보호장치

   ① 전기적 보호장치 : 과전류 계전기(소용량 변압기 내부고장 보호), 비율차동계전기 (통상 10,000[kVA] 이상

                               특고압 변압기 내부고장 보호)

   ② 기계적 보호장치 : 부흐홀쯔계전기, 충격압력계전기, 방압 안전장치, 유온계, 유위계

 

5. 가공전선로의 이도

 ▣ 가공전선로의 이도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을 시 전선로에 미치는 영향 4가지만 쓰시오.

   ① 이도의 대소는 지지물의 높이를 좌우한다.

   ② 이도가 너무 크면 전선은 그 만큼 좌우로 진동해서 다른 상의 전선과 접촉하거나

       수목에 접촉해서 위험을 준다.

   ③ 이도가 너무 크면 도로, 철도, 통선신 등의 횡단장소에서는 이들과 접촉될 위험이 크다.

   ④ 이도가 너무 작으면 그와 반비례하여 전선의 장력이 증가하여 심할 경우에는 전선이 단선되기도 한다.

 

6. 모선 점검시 차단기, 단로기 조작 순서

  ▣ 2중 모선에서 평상시에는 No.1 T/L은 A모선에서 No. 2 T/L은 B모선에서 공급하고

      모선 연락용 CB는 개방되어 있다.

 
이중모선

(1) B모선을 점검하기 위하여 절체하는 순서는? (단, 10-OFF, 20-ON 등으로 표시)

  ▣ 먼저 A,B 모선의 등전위화 조치를 취한다. 모선 전환을 위하여

  ▣ 31-ON, 32-ON, 30-ON, 21-ON, 22-OFF, 30-OFF, 31-OFF, 32-OFF

(2) B모선을 점검 후 원상복구하는 조작 순서는? (단, 10-OFF, 20-ON 등으로 표시)

  ▣ 31-ON, 32-ON, 30-ON, 22-ON, 21-OFF, 30-OFF, 31-OFF, 32-OFF

(3) 10, 20, 30 에 대한 기기의 명칭은 ? 교류차단기

(4) 11, 21에 대한 기기의 명칭은 ? 단로기

(5) 2중 모선의 장점

  ▣ 모선 점검시에도 부하의 운전을 무정전으로 할 수 있어 전원 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7. 송전계통 단락전류(Is) 및 단락용량 (Ps) 산정

  ▣ 그림과 같은 송전계통 S점에서 3상 단락사고가 발생하였다. 주어진 도면과 조건을 참고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여라.

 
송전선 3상 단락사고

[조건]

번호
기기명
용량
전압
%X
1
G : 발전기
50,000[kVA]
11[kV]
30
2
Tr1 : 변압기
50,000[kVA]
11/154[kV]
12
3
송전선
154[kV]
10(10,000[kVA]
4
Tr2 : 변압기
1차:25,000[kVA]
154[kV]
12(25,000[kVA] 1~2차
2차:30,000[kVA]
77[kV]
15(25,000[kVA] 2~3차
3차:10,000[kVA]
11[kV]
10.8(10,000[kVA])
3~1차
5
C : 조상기
10,000[kVA]
11[kV]
20(10.000[kVA]

 

(1) 발전기, 변압기(T1), 송전선 및 조상기의 %리액턴스를 기준출력 100[MVA]로 환산하시오.

  ⊙ 발전기   ⊙ 변압기(T1)   ⊙ 송전선   ⊙ 조상기

(2) 변압기 (T2)의 각각의 %리액턴스를 100[MVA] 출력으로 환산하고, 1차(P), 2차(S), 3차(T)의 %리액턴스를 구하시오.

(3) 고장점과 차단기를 통과하는 각각의 단락전류를 구하시오.

  ⊙ 고장점의 단락 전류   ⊙ 차단기의 고장 전류

(4) 차단기의 단락용량은 몇 [MVA]인가 ?

【문제풀이】

 

<사전에 숙지해야 할 사항>

 ▣ %리액턴스 환산 : %리액턴스(저항,임피던스)는 용량에 비례하므로 다음과 같이 환산한다.

 

▣ 3권선 변압기의 각각의 %리액턴스는 콜라우시 브리지의 접지저항 측정방법을 이용하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콜라우시 브리지

▣ 단락전류와 차단기 용량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답안작성】

(1) 발전기, 변압기(T1), 송전선 및 조상기의 %리액턴스를 기준출력 100[MVA]로 환산하시오.

   ⊙ 발전기 ⊙ 변압기(T1) ⊙ 송전선 ⊙ 조상기

 

(2) 변압기 (T2)의 각각의 %리액턴스를 100[MVA] 출력으로 환산하고, 1차(P), 2차(S),

    3차(T)의 %리액턴스를 구하시오.

 ▣ 각각의 변압기 %리액턴스는 먼저 %리액턴스를 기준용량으로 환산한다.

 

 ▣ 콜라우시 브리지법에 의해 각각의 퍼센트 임피던스를 배분한다.

 

(3) 고장점과 차단기를 통과하는 각각의 단락전류를 구하시오.

  ⊙ 고장점의 단락 전류,   ⊙ 차단기의 고장 전류

가. 고장점의 단락전류 : 먼저 %리액턴스를 합성한 후에 단락전류를 구한다.

 

나. 차단기의 고장전류 : 먼저 %리액턴스를 합성한 후에 단락전류를 구한다.

  ▣ S지점에서 3상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단락전류는 사고 지점까지만 흐르고 이곳에서

      다시 전원쪽으로 폐회로를 구성하여 단락전류가 흐르게 된다.

  ▣ 이 단락전류는 전원측과 조상기 쪽으로 병렬로 연결되며 따라서 단락전류는 전원쪽과

      조상기 쪽으로 나뉘어 흐르게 되고 그 전류의 량은 %임피던스와 반비례하여 배분된다.

  ▣ 이상의 사항을 종합하여 차단기의 고장전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4) 차단기의 단락용량은 몇 [MVA]인가 ?​

 

8. 조명설계와 눈부심

 ▣ 눈부심이 있는 경우 작업 능률의 저하, 재해 발생, 시력의 감퇴 등이 발생하므로 조명

     설계의 경우 이 눈부심을 적극 피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눈부심을 일으키는

     원인 5가지만 쓰시오.

  ① 고휘도의 광원, 반사면 또는 투과면    ② 순응의 결핍

  ③ 눈에 입사하는 광속의 과다              ④ 물체와 그 주변 사이의 고휘도 대비

  ⑤ 광원을 오래 주시할 때

 

9. 역률개선

 ▣ 부하전력이 4000[kW], 역률 80[%]인 부하에 전력용 콘덴서 1800[kVA]를 설치하였다.

      이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역률은 몇 [%]로 개선되는가 ?

 

(2) 부하설비의 역률이 90[%] 이하일 경우 (즉, 낮은 경우) 수용가 측면에서 어떤 손해가

    있는지 3가지만 쓰시오.

  ① 전력손실 증가    ② 전압강하 증가   ③ 전력요금 증가

 

(3) 전력용 콘덴서와 함께 설치되는 방전코일과 직렬 리액터의 용도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① 방전코일 :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 전하 방전

  ② 직렬 리액터 : 제5고조파 제거

 

10. 축전지의 용량 산정

 ▣ 축전지 설비의 부하특성 곡선이 그림과 같을 때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필요한 축전지의 용량을 산정하시오.

     단, K1 = 1.45, K2 = 0.69, K3 = 0.25이고 보수율은 0.8이다.

 

11. 송전선의 전력손실과 전압강하

  ▣ 3상 3선식 송전선로가 있다. 수전단 전압이 60[kV], 역률 80[%], 전력손실률이

     10[%] 이고 저항은 0.3[Ω/㎞], 리액턴스는 0.4[Ω/㎞], 전선의 길이는 20 [㎞] 일 때

     송전선로의 송전단 전압은 몇 [kV]인가 ?

[문제풀이]

  ▣ 송전단 전압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압강하를 구해야 하며, 전압강하를 구하기 위해서는

      저항과 리액턴스가 주어졌으므로 전류를 구해야 하는데 전류를 전력손실률을 이용하여 전류를 구한다.

[답안작성]

 

12. 전등회로

 ▣ 그림과 같이 L1 전등 100[V] 200[W], L2 전등 100[V] 250[W]를 직렬로 연결하고

     200[V]를 인가했을 때, L1, L2 전등에 걸리는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어느

     전등에 몇 [Ω]의 저항을 병렬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

 

【문제풀이】

 ▣ 직렬회로이므로 전류는 일정하고 전압이 저항에 배분된다. 전압을 같게 하려면 저항이

     동일해야 하므로 저항이 큰 전등에 병렬로 저항을 연결하여 저항을 감소시킨다.

 ▣ 저항은 전압과 전력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먼저 저항을 계산한다.

  [답안작성]

 

13. 전선 가닥수 산정

 ▣ 그림과 같이 외등 3등을 거실, 현관, 대문의 3장소에 각각 점멸할 수 있도록 아래 번호의 가닥수를 쓰고

     각 점멸기의 기호기호를 쓰시오.

 

  (1) ① ~ ⑤ 까지 전선 가닥수를 쓰시오. ① 3가닥 ② 3가닥 ③ 2가닥 ④ 3가닥 ⑤ 3가닥

  (2) ⑥ ~ ⑧ 까지 점명기의 전기기호를 쓰시오. ⑥ ●3 ⑦ ●4 ⑧ ●3

【해설】 실제 결선도

 

▣ 먼저 빨간선과 같이 전원에서 전등의 한단자와 연결한다.

  ▣ 파란선과 같이 스위치의 한단자와 연결한다. 스위치의 공통단자를 연결한 다음

       다시 전등의 다른 한단자와 연결한다.

 

14.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전압

 ▣ 최대사용전압이 154,000[V]인 중성점 직접접지식 전로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몇 [V]인가 ?

  ⊙ 시험전압 : 최대사용전압 × 0.72 = 154,000×0.72=110,880[V]

【해설】

 ▣ KEC 132 전로의 절연내항 및 절연저항

  ⊙ 고압 및 특고압 전로는 표에서 정한 시험전압을 전로와 대지사이에 연속하여 10분간

      가하여 절연내력을 시험하였을 때 이에 견디어야 한다.

 

15. 사고 종류별 보호장치 및 보호조치

  ▣ 다음과 같은 사고종류에 대한 보호장치 및 보호 조치를 작성하시오.

항 목
사고종류
보호장치 및 보호조치
고압 배전선로
접지사고
① 접지 계전기
과부하, 단락
② 과전류 계전기
뇌해
피뢰기, 가공지선
주상변압기
과부하, 단락
고압퓨즈
저압배전선로
고저압 혼촉
③ 중성점 접지공사
과부하, 단락
저압 퓨즈

 

16. 특고압 수전설비 결선도

 ▣ 아래 도면은 수전설비의 단선 결선도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1) ①~②, ④ ~ ⑨, ⑬ 에 해당하는 부분의 명칭과 용도를 쓰시오.

  (2) ③의 1차, 2차 전압은 ?

  (3) ⑩의 2차측 결선방법은 ?

  (4) ⑪, ⑫ 의 1차, 2차 전류는 ? 단 CT 정격전류는 부하 정격전류의 1.5배로 한다.

  (5) ⑭의 목적은 ?

 

【답안작성】

 (1) ①~②, ④ ~ ⑨, ⑬ 에 해당하는 부분의 명칭과 용도를 쓰시오.

번호
명칭
용도
전력퓨즈
단락전류 및 고장전류 차단
피뢰기
이상전압이 내습하면 이를 대지로 방전하고 속류를 차단한다.
전력수급용
계기용변성기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하여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전력량계에 공급한다.
계기용변압기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시켜 계기 및 계전기 등의 전원으로
사용한다.
전압계용
전환개폐기
1대의 전압계로 3상 각상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환개폐기
차단기
단락사고, 과부하, 지락사고 등 사고전류와 부하전류를 차단
하기 위한 장치
과전류계전기
계통에 과전류가 흐르면 동작하여 차단기의 트립코일을
여자시킨다.
변류기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계기 및 과전류계전기에 공급한다.
전류계용
전환개폐기
1대의 전류계로 3상 각 상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개폐기

 

(2) ③의 1차, 2차 전압은 ?

 ▣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22.9[kV-Y] 송전선의 PT는 변압기 3대로 Y결선을 한다.

     따라서 1차측 전압은 Y결선의 상전압을 의미하므로 선간전압/√3이 된다.

 

(3) ⑩의 2차측 결선방법은 ? Y결선

(4) ⑪, ⑫ 의 1차, 2차 전류는 ? 단 CT 정격전류는 부하 정격전류의 1.5배로 한다.

 

(5) ⑭의 목적은 ?

  ▣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동시투입을 방지한다. (인터록)

 

17. 접지시스템 및 등전위 본딩

 ▣ 1개의 건축물에는 그 건축물 대지전위의 기준이 되는 접지극, 접지선 및 주접지지단자를 그림과 같이 구성한다.

     건축물 내 전기기기의 노출도전성 부분 및 계통외도성 부분 (건축구조물의 금속체 부분 및 가스, 물 난방 등의

     금속배관설비) 모두를 주접지단자에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하나의 건축물 내 모든 금속제 부분에 보호등전위본딩이

     시설된 것이 된다. 다음 그림에서 ① ~ ⑤까지 명칭을 쓰시오.

 
접지시스템

【답안작성】

  ① 보호도체 (PE) ② 보호등전위본딩도체 ③ 접지도체 ④ 보조등전위본딩도체  ⑤ 접지극

【해설】

 ▣ 등전위본딩에 관한 지침

 
접지시스템 구성도

 

반응형
반응형

 

1. 역률 과보상의 부작용 (3가지)

  ▣ 역률을 개선하면 전기요금의 저감과 배전선의 손실경감, 전압강하 감소, 설비 여력의

      증가 등을 기할 수 있으나, 너무 과보상하면 역효과가 나타난다. 즉, 경부하시에 콘덴서

      과대 삽입되는 경우의 결점을 3가지 쓰시오.

 [답안작성]

  ① 모선의 전압 상승

  ② 재점호에 의한 과전압 발생

  ③ 계전기 오동작

 <그 외>

  ④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현상

  ⑤ 선로 및 변압기의 손실 증가

  ⑥ 전원설비 여유용량 감소에 따른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⑦ 고조파 왜곡의 증가 (콘덴서 및 타기기 손상 및 오동작, 변압기 소음 증가)

 

2. 3상 단락전류(Is) 및 차단용량(Ps) 결정

 ▣ 66/6.6[kV], 6,000[kVA]의 3상 변압기 1대를 설치한 배전 변전소로 부터 긍장 1.5

     [㎞]의 1회선 고압 배전선로에 의해 공급되는 수용가 인입구에서 3상 단락고장이 발생

     하였다. 선로의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 변압기 1상의 리액턴스

     0.4[Ω], 배전선 1선당 저항은 0.9[Ω/㎞]라 하고 리액턴스는 0.4[Ω/㎞] 라 하고 기

     타의 정수는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3상 단락

  (1) 1상분의 단락회로를 그리시오.

  (2) 수용가 인입구에서의 3상 단락전류를 구하시오.

  (3) 이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차단기로는 몇 [MVA] 것이 적당하겠는가 ?

 

【 답안작성】

  (1) 1상분 단락회로를 그리시오.

 
단락회로도

  (2) 수용가 인입구에서의 3상 단락전류를 구하시오.

 

 (3) 이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차단기로서는 몇 [MVA] 것이 적당한가 ?

 

3. 플리커 방지대책

 가. 전원측 대책

   ① 전용계통에서 공급한다.

   ②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③ 전용변압기로 공급한다.

 나. 수용가측 대책

   ① 전원계통의 리액터분을 보상하는 방법

   ② 전압강하를 보상하는 방법

   ③ 부하의 무효전력 변동분을 흡수하는 방법

 

4. 배선평면도

 

  ▣ 그림과 같은 배선평면도와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조건]

  ● 사용하는 전선은 모두 450/ 750 [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4[㎟] 이다.

  ● 박스는 모두 4각 박스를 사용하며, 기구 1개에 박스 1개를 사용한다.

      2개 연등인 경우에는 각 1개씩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 전선관은 콘크리트 매입 후강금속관이다.

  ● 층고는 3[m]이고, 분전반의 설치 높이는 1.5[m]이다.

  ● 3로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는 단극 스위치를 사용하며, 2개를 나란히 사용한 개소는

      2개이다.

 

 (1)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A~F)에 기구를 배치하여 배선평면도를 완성하려고 한다.

     해당되는 기구의 그림기호를 그리시오.

 

 (2) 배선평면도의 ① ~ ③ 의 배선 가닥수는 몇 가닥인가 ?

   ※ 전등과 콘센트의 배선은 구분하여 별개의 전선으로 연결한다.

 

  [정답] ① 2가닥    ② 3가닥    ③ 4가닥

(3) 도면의 ④에 대한 그림기호의 명칭은 무엇인가 ? 케이블 헤드

(4) 본 배선 평면도에 소요되는 4각 박스와 부싱은 몇 개인가 ?

  단, 자재의 규격은 구분하지 않고 개수만 산정한다.

   ※ 후강 전선관은 금속관을 쓰며 부싱을 해야 한다.

    ▣ 4각 박스 개수 = 전선관의 개수

      ⊙ 전선관의 개수를 세어 보면 24개이다. 그런데 케이블 헤드에서 적산전력계(전력량계)

          이르는 전선의 옥외 전선이므로 전선관을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선관은 개수는 옥내전선의 수 즉 23개 이다.

      ⊙ 4각 박스는 전선관의 개수와 같으므로 23개가 된다.

    ▣ 부싱은 전선관(4각 박스) 수 × 2가 된다.

        따라서 23 × 2 = 46개가 된다.

        ※ 부싱은 박스(전선관) 하나 당 양쪽에 부싱을 해야 하므로 2배가 된다.

 
부싱

5. 슬림라인 형광등 (Slim Line) 장점 5가지와 단점 3가지

 가. 장점

  ① 필라멘트를 예열할 필요가 없어 점등관등 기동장치가 불필요하다.

  ② 순시기동으로 점등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③ 관이 길어 양광주가 길고 효율이 좋다.

  ④ 점등불량으로 인한 고장이 없다.

  ⑤ 전압변동에 의한 수명의 단축이 없다.

 나. 단점

  ① 점등 장치가 비싸다.

  ② 전압이 높아 기동시에 음극이 손상하기 쉽다.

  ③ 전압이 높아 위험하다.

 

6. 2전력계법

 ▣ 어떤 부하에 그림과 같이 접속된 전압계, 전류계의 지시가 각각 V=200[V], I = 30[A],

     W1 = 5.96[kW], W2 = 2.36[kW]이다. 이 부하에 대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2전력계법

 (1) 소비전력은 몇 [kW]인가 ?

 (2) 피상전력은 몇 [kVA]인가?

 (3) 부하역률은 몇 [%]인가 ?

   【답안작성】

 

7. 피뢰기

 ▣ 피뢰기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류용 피뢰기의 구조는 무엇과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2)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3) 피뢰기의 제한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답안작성】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류용 피뢰기의 구조는 무엇과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 정답 : 직렬갭,   특성요소

 (2) 피뢰기의 정격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 속류를 차단할 수 있는 교류 최고전압

 (3) 피뢰기의 제한전압은 어떤 전압을 말하는가 ?

  ▣ 피뢰기 방전 중 피뢰기에 남게 되는 충격전압

 <해설>

  ▣ 피뢰기의 구성요소

 
피뢰기의 구성

▣ 피뢰기 관련 용어 (전압)

 

 ① 정격전압 (Rated Voltage)

   ⊙ 그 전압을 선로단자와 접지단자 간에 인가한 상태에서 소정의 동작 책무를 소정의 횟수

      반복할 수 있는 정격주파수의 상용주파전압 최고한도를 규정한 값 (실효치)

   ⊙ 속류를 끊을 수 있는 교류 최고 전압이며, 실효값으로 나타낸다.

 ② 제한전압

   ⊙ 충전전류가 방전으로 저하되어서 피뢰기의 단자간에 남게 되는 충격전압.

       즉, 뇌서지의 전류가 충분히 형성되어 양 단자 간 전압강하로 이것은 피뢰기 동작 중

       계속해서 걸리고 있는 단자전압의 파고값으로 표시한다.

 ③ 사용주파 방전개시전압 (Power-Frequency Spark Over Voltage)

   ⊙ 선로단자와 접지단자간에 인가했을 때 파고치 부근에 있어서 직렬갭에서 불꽃 방전을

       발생하는 등 실질적으로 피뢰기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 최저의 상용주파 전압을 말하

       실효값으로 표시한다.

 ④ 충격 방전개시전압 (Impulse Spark Over Voltage)

   ⊙ 피뢰기의 양단자 사이에 충격전압이 인가되어 피뢰기가 방전하는 경우 그 초기에 방전

      전류가 충분히 형성되어 단자간 전압강하가 시작하기 이전에 도달하는 단자전압의

      최고 전압

 

8. 강제전선관의 호칭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① 후강전선관 : 16, 22, 28, 36, 42, 54, 70, 82, 92 104

  ② 박강관전관 : C19, C25, C31, C39, C51, C63, C75

 

9. 조명 설비

  가. ○H400 의 표현 : 수은등 400W

  나. 비상용 조명을 형광등으로 하는 경우 기호는 ?

 
비상용 형광등

10. 지중전선로의 시설

 ▣ KEC 334.1 지중전선로의 시설

  1. 지중전선로는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고 또한 관로식 · 암거식 또는 직접매설식에 의하

       시설하여야 한다.

 2. 지중 전선로를 관로식 또는 암거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다음에 따라야 한다.

   가. 관로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1.0[m] 이상으로 하되,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한 장소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에 견디는 것을 사용할 것. 다만,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곳은 0.6[m] 이상으로 한다.

  나. 암거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

       사용할 것

 3. 지중전선을 냉각하기 위하여 케이블에 넣은 관내에 물을 순환시키는 경우에는 지중전

     선로는 순환수 압력에 견디고 또한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시설해야 한다.

 4. 지중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11. 특고압 간이 수전설비 표준 결선도

 

 ▣ 그림은 22.9[kV-Y] 1000[kVA] 이하에 적용 가능한 특고압 간이 수전설비 표준결선도이다.

     이 결선도를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본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는 것은 ?

  (2) 22.9[kV-Y]용의 LA는 ( )붙임형 사용해야 한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3)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시설하는 경우로서 공동주택 등 사고시 정전 피해가 큰 수전설비

      인입선을 예비선을 포함하여 몇 회선으로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

  (4) 22.9[kV-Y] 지중 인입선에는 어떤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5) 300[kVA] 이하인 경우 PF 대신 COS를 사용하였다.

      이것의 비대칭 차단전류 용량은 몇 [kA]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간이 수전설비 표준결선도

【답안작성】

(1) 본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는 것은 ? LA용 단로기 DS

(2) 22.9 [kV-Y] 용의 LA는 ( ) 붙임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 Disconnector 또는 Isolator

(3)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시설하는 경우로서 공동주택 등 사고시 정전 피해가 큰 수전 설비

     인입선은 예비선을 포함하여 몇 회선으로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 2회선

(4) 22.9[kV-Y] 지중 인입선에는 어떤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 CNCV-W 케이블(수밀형) 또는 TR CNCV-W 케이블 (트리억제형)

(5) 300[kVA] 이하인 경우 PF 대신 COS를 사용하였다.

    이것의 비대칭 차단전류 용량은 몇 [kA]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

   ▣ 10[kA]

 

<해 설>

 ▣ 22.9[kV-Y] 1,000[kVA] 이하를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간이수전설비 결선도)- 부록2. 참고

 [비고 1] LA용 DS는 생략할 수 있으며 22.9[kV-Y]용 LA는 (Disconnector 또는Isolator) 붙임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비고 2] 인입선을 지중선으로 시설하는 경우 공동주택 등 고장시 정전피해가 큰 경우는

           예비지중선을 포함하여 2회선을 사용하여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 3] 지중인입선의 경우에 22.9[kV-Y] 계통은 CNCV-W 케이블(수밀형) 또는 TR

          CNCV-W(트리억제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전력구·공동구·덕트·건물구내 등 화재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FR CNCO-W(난연)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 4] 300[kVA] 이하인 경우에는 PF 대신 COS (비대칭 차단전류 10[kA] 이상의 것)

          사용할 수 있다.

[비고 5] 특고압 간이수전설비 PF의 용단 등의 결상사고에 대한 대책이 없으므로 변압기 2

          차측에 설치되는 주차단기에는 결상계전기 등을 설치하여 결상사고에 대한 보호 능력이

          있도록 함이 바람직 하다.

 

12. 설비 부하평형의 시설

 ▣ 내선규정 1410-1 설비 부하평형의 시설

   ⊙ 저압, 고압 및 특고압수전의 3상3선식 또는 3상 4선식에서 불평형 부하의 한도는 단상

       접속부하로 계산하여 설비불평형률을 30%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다

       각호의 경우는 이 제한에 따르지 않을 수 있다.

  ① 저압수전에서 전용변압기로 수전하는 경우

  ② 고압 및 특고압수전에서 100[kVA] 이하의 단상부하인 경우

  ③ 고압 및 특고압수전에서 단상 부하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 이하인 경우

  ④ 특고압수전에서 100[kVA] 이하의 단상변압기 2대로 역V결선하는 경우

 

13. 변압기 △-△ 결선의 장·단점 3가지

 가. 장점

  ①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 내를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전압을 유기하여 기전력의 파형

      왜곡되지 않는다.

  ② 변압기 1대가 고장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을 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③ 각 변압기의 상전류가 선전류의 1/√3이 되어 대전류에 적합하다.

 나. 단점

  ①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으므로 지락사고의 검출이 곤란하다.

  ②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14. 전력계의 최대눈금(Scale)은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

 ▣ 최대수용전력의 120 ~ 150 %

    ※ 최대수용전력이 473.3[kVA]인 경우 전력계의 최대 눈금은 ?

       473.3 × 1.2 ~ 1.5 = 597.96 ~ 709.95 [kVA]

      ∴ 전력계의 최대 눈금 : 600 [kW]

 

15. 동기발전기

 가. 단락비 : 단락전류 / 정격전류 = Is / In

 나. "단락비가 큰 교류발전기는 일반적으로 기계의 치수가 (① 크고), 가격이 (② 높고),

      풍손, 마찰손, 철손이 (③ 크고), 효율이 (④ 낮고), 전압변동률은 (⑤ 낮고), 안정도는

      (⑥ 높다)"

 다. 비상용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을 4가지를 쓰시오.

   ①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②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③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④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 상회전 방향이 같을 것

 

16. 단상유도전동기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기동방식 4가지를 쓰시오.

     ① 반발기동형    ② 분상기동형    ③ 콘덴서 기동형   ④ 세이딩 코일형

  (2) 분상기동형 단상유도 전동기의 회전방향을 바꾸려면 어떻게 하면 되는가 ?

     ▣ 기동권선의 접속을 반대로 바꾸어 준다.

 

17. 부등율과 수용률의 의미

  ▣ 부등율이 크다 : 최대전력을 사용하는 시간대가 다르다.

  ▣ 수용률 : 수용설비가 동시간에 사용되는 정도

 

18. 배선용 차단기 (AF. AT)

  ▣ AF [Amphere Frame] : 차단기 프레임(외형) 용량으로 단락 등의 사고시 화재, 폭발

          등이 발생하지 않고 프레임이 견딜 수 있는 최대전류이며, AF 이상이 되면 차단기 프레

          임이 파손될 수 있음. 또한 AF은 차단기의 외형 크기를 결정함

  ▣ AT [Amphere Trip] 차단기 트립용량 (차단기가 동작하는 용량) : 안전하게 통전시킬

          수 있는 최대전류로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