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운동량 (Momentum)

운동량은 영어로 Momentum 이라고 한다.

운동량은 선형 운동량과 각 운동량으로 나뉘는데 선형 운동량은 Linear momentum이라 하고 각 운동량은 Angluar momentum이라고 한다.

여기서는 선형 운동량에 대해서만 다룬다.

선형 운동량은 물체의 속도와 질량의 곱으로 나타낸다. 이 때 운동량은 벡터량이다.

위 식에서 속도가 벡터량이기 때문에 질량과 속도의 곱인 운동량도 벡터가 된다.

선형 운동량은 단순하다.

 
 

질량 10 ㎏의 물체가 5 [m/s]의 속도로 날아 가고 있다면 10 ㎏ × 5 m/s = 50 [㎏·m/s]의

운동량을 갖게 된다. 운동량은 벡터량 이기 때문에 방향이 중요하다. 오른쪽 방향으로의 운동량을 (+)로 잡으면 왼쪽 방향으로의 운동량은 (-)로 표시하게 된다.

2. 충격량 (Impulse)

충격량은 영어로 Impulse라고 한다.

충격량은 물체에 얼마 만큼의 힘이 얼마나 오랫동안 가해졌는가를 나타내는 벡터량이다.

충격량은 기호로 I 를 쓰고 벡터량이다. 충격량은 힘을 시간에 대하여 적분한 것이다.

충격량의 단위는 힘 [N]과 시간 [sec]의 곱으로 나타낸다.

 
 

위 그래프에서 힘과 시간의 곡선 아래의 면적이 충격량, 역적(力積)이라고 한다.

여기서 역적은 힘의 적분을 말한다.

3. 운동량과 충격량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는 "물체에 가해진 충격량 만큼 물체의 운동량이 변한다"라고

할 수 있다.

물체에 가해진 충격량 만큼 물체의 운동량이 변한다.
 

위 그림에서 왼쪽 그림은 벽면이 물체에 가한 충격량은 10 ㎏의 물체가 5 m/s 로 움직이다 멈추었기에 50 ㎏·m/s 가 되고 오른쪽 그림은 5 m/s로 부딪히고 다시 5 m/s로 튕겨져 나갔으므로 벽면이 물체에 가한 충격량은 50 + 50 = 100 ㎏·m/s 로 나타나고 충격량의 단위는 [N/s]로 나타낸다.

4.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

운동량과 충격량은 벡터값이기 때문에 다음 그림과 같이 2차원상에서 알아 보자.

 

P1의 운동량을 가지고 이동하는 물체가 이동을 하고 있는데 어느 순간 충격을 받아서 P2의 운동량을 갖게 되는 경우,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충격량을 구할 수 있다.

물체가 받은 충격량 만큼 운동량이 충격량이 되므로 운동량의 변화량이 곧 충격량이 된다.

즉, 운동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운동량을 변화시킨 충격량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위 그림은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를 나타내 주는데 똑같은 높이에서 달걀을 떨어 뜨렸는데 스펀지에 떨어진 계란은 깨지지 않고 딱딱한 물체에 떨어진 계란은 깨지는 것을 보여준다. 왜 그럴까 ? 계란이 떨어지면 운동량이 "0"이 되는데 운동량이 모두 충격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 때 충격량으로 변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스펀지에 떨어진 경우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이 길어 물체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야구에서 공을 짧게 끊어 치면 충격량이 가해지는 시간이 짧아져 운동량에 변화를 많이 줄 수가 없어 공이 멀리가지 않고 밀어치게 되면 충격량이 많아져서 운동량 변화를 많이 줄 수가 있어 공이 멀리가게 되는 원리를 설명해 주고 있다.

물체가 어떤 충격량을 받게 되면 그 받은 충격량 만큼 운동량이 변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운동량 #충격량 #모멘텀 #임펄스 #momentum #Impulse #벡터 #적분

반응형
반응형

1. 운동량 (Momentum)

운동량은 영어로 Momentum 이라고 한다.

운동량은 선형 운동량과 각 운동량으로 나뉘는데 선형 운동량은 Linear momentum이라 하고

각 운동량은 Angluar momentum이라고 한다.

여기서는 선형 운동량에 대해서만 다룬다.

선형 운동량은 물체의 속도와 질량의 곱으로 나타낸다. 이 때 운동량은 벡터량이다.

위 식에서 속도가 벡터량이기 때문에 질량과 속도의 곱인 운동량도 벡터가 된다.

선형 운동량은 단순하다.

 
 

질량 10 ㎏의 물체가 5 [m/s]의 속도로 날아 가고 있으며 10 ㎏ × 5 m/s = 50 [㎏·m/s]의

운동량을 갖게 된다. 운동량은 벡터량 이기 때문에 방향이 중요하다. 오른쪽 방향을 (+)로

잡으면 왼쪽 방향은 (-)로 표시하게 된다.

2. 충격량 (Impulse)

충격량은 영어로 Impulse라고 한다.

충격량은 물체에 얼마 만큼의 힘이 얼마나 오랫동안 가해졌는가를 나타내는 벡터량이다.

충격량은 기호로 I 를 쓰고 벡터량이다. 충격량은 힘을 시간에 대하여 적분한 것이다.

충격량의 단위는 힘 [N]과 시간 [sec]의 곱으로 나타낸다.

 
 

위 그래프에서 힘과 시간의 곡선 아래의 면적이 충격량, 역적이라고 한다.

여기서 역적은 힘의 적분을 말한다.

3. 운동량과 충격량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는 "물체에 가해진 충격량 만큼 물체의 운동량이 변한다"라고

할 수 있다.

물체에 가해진 충격량 만큼 물체의 운동량이 변한다.
 

위 그림에서 왼쪽 그림은 벽면이 물체게 가한 충격량은 10 ㎏의 물체가 5 m/s 로 움직이다 멈춰 섰기에 50 ㎏·m/s 가 되고 오른쪽 그림은 5 m/s로 부딪히고 다시 5 m/s로 튕겨져 나갔으므로 벽면이 물체에 가한 충격량은 50 + 50 = 100 ㎏·m/s 로 나타나고 충격량의 단위는 [N/s]로 나타낸다.

4.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

운동량과 충격량은 벡터값이기 때문에 다음 그림과 같이 2차원상에서 알아 보자.

 

P1의 운동량을 가지고 이동하는 물체가 이동을 하고 있는데 어느 순간 충격을 받아서 P2의 운동량을 갖게 되는 경우,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충격량을 구할 수 있다.

물체가 받은 충격량 만큼 운동량이 충격량이 되므로 운동량의 변화량이 곧 충격량이 된다.

즉, 운동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운동량을 변화시킨 충격량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위 그림은 운동량과 충격량의 관계를 나타내 주는데 똑같은 높이에서 달걀을 떨어 뜨렸는데 스펀지에 떨어진 계란은 깨지지 않고 딱딱한 물체에 떨어진 계란은 깨지는 것을 보여준다. 왜 그럴까 ? 계란이 떨어지면 운동량이 "0"이 되는데 운동량이 모두 충격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 때 충격량으로 변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스펀지에 떨어진 경우 충격이 가해지는 시간이 길어 물체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야구에서 공을 짧에 끊어 치면 충격량을 가해지는 시간이 짧아져 운동량에 변화를 많이 줄 수가 없어 공이 멀리가지 않고 밀어치게 되면 충격량이 많아져서 운동량 변화를 많이 줄 수가 있어 공이 멀리가게 되는 원리를 설명해 주고 있다.

물체가 어떤 충격량을 받게 되면 그 받은 충격량 만큼 운동량이 변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운동량 #충격량 #모멘텀 #임펄스 #momentum #Impulse #벡터 #적분

반응형
반응형

[참고] 물분무소화설비 수원의 양

  ▣ 수원의 양 Q =  A · D · T [㎥]

     여기서 ,   Q : 수원의 양 [㎥]

                     A : 방호면적 [㎡]

                     D : 설계유량 [㎥/min, ℓ/min]

                     T : 방수시간 20 [min] : 소방대 출동시간

        ※ D값 : 큰절 (컨베이어밸트, 절연유봉입변압기) : 10원

                      특수강도 (특수가연물) : 10원

                      케찹(케이블트레이, 덕트) : 12원

                     주차비 (주차장, 차고) : 20원

           ◈ 특차 (특수가연물, 차고) : 제한규정 50 ㎡

1. 바닥면적이 150 ㎡ 인 어느 차고에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였다. 송수펌프의 토출량 [㎥/min]과 수원의 저수량 [㎥]은

    얼마인지 구하시오. [4점] ★★★★★

      가. 송수펌프의 토출량                나. 수원의 저수량

   [문제풀이]

     가. 송수펌프의 토출량

           Q = A · D = 150 ㎡ × 20 [ℓ/min · ㎡] = 3,000 [ℓ/min] = 3 [㎥/min]

     나. 수원의 저수량

           Q = A · D · T = 150 ㎡ × 20 [ℓ/min · ㎡] × 20[min] = 60,000 [ℓ] = 60 [㎥]

 

[해설] 물분무 소화설비의 수원의 양

구 분
토출량
비고
⊙ 켄베이어 벨트
⊙ 절연유 봉입 변압기
10 [ℓ/min · ㎡]
⊙ 특수가연물
10 [ℓ/min · ㎡]
최소 50 ㎡
⊙ 케이블 트레이
⊙ 케이블 덕트
12 [ℓ/min · ㎡]
⊙ 차고
⊙ 주차장
20 [ℓ/min · ㎡]
최소 50 ㎡

2. 바닥면적이 100 ㎡인 어느 주차장에 물분무 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수원의 저수량 [㎥]을 구하시오. [3점]

       ★★★★★

[문제풀이]

     수원의 양 : A · D · T = 100 ㎡ × 20 ℓ/min · ㎡ × 20 min = 40,000 ℓ = 40 ㎥

[해설] 물분무소화설비 수원의 양

구 분
토출량
비고
⊙ 켄베이어 벨트
⊙ 절연유 봉입 변압기
10 [ℓ/min · ㎡]
⊙ 특수가연물
10 [ℓ/min · ㎡]
최소 50 ㎡
⊙ 케이블 트레이
⊙ 케이블 덕트
12 [ℓ/min · ㎡]
⊙ 차고
⊙ 주차장
20 [ℓ/min · ㎡]
최소 50 ㎡

3. 절연유 봉입변압기에 물분무소화설비를 다음 그림과 같이 적용하려고 한다. 바닥부분을 제외한 변압기의 표면적이

     100 ㎡ 라고 할 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표준방사량은 1 ㎡당 10 ℓ/min 으로 하며 물분무헤드의 방사압력은

      0.4 [MPa]로 한다. [6점]  ★★★★★ (자주 출제)

 

  가. 물분무헤드 1개당 분당 방사량 [ℓ/min]을 구하시오.

  나. 방출계수 K값을 구하시오.

  다. 총 저수량 [㎥]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헤드 1개당 분당 방사량 [ℓ/min]

        전체 헤드 방사량 Q = A · D = 100 [㎡] × 10 [ℓ/min · ㎡] = 1,000 [ℓ/min]

        헤드 1개당 방사량 Q1 = Q / 8개 = 1,000 [ℓ/min] / 8개 = 125 [ℓ/min]

  나. 방출계수 K값

   다. 총 저수량 [㎥]

        Q = A · D · T = 100 ㎡ × 10 ℓ/min · ㎡ × 20 min = 20,000 [ℓ] = 20 [㎥]

4. 그림과 같이 바닥면이 자갈로 되어 있는 절연유 봉입변압기에 물분무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물분무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가. 소화펌프의 최소 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나. 필요한 최소 수원의 양 [㎥]을 구하시오.

   다. 다음은 고압의 전기기기가 있는 장소의 물분무 헤드와 전기기기의 이격거리 기준이다.  표를 완성하시오.

전압 [kV]
거리 [㎝]
전압 [kV]
거리 [㎝]
66 이하
( ① ) 이상
154 초과 184 이하
180 이상
66 초과 77 이하
80 이상
181 초과 220 이하
( ② ) 이상
77 초과 110 이하
110 이상
220 초과 275 이하
260 이상
110 초과 154 이하
150 이상

[문제풀이]

 ※ 표면적 [㎡]

   ▣ 물분무소화설비 : 표면적 (바닥면적 제외 : 5면)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국소 방출 방식

     ⊙ 면적식 : 방호대상물의 표면적 × 13 × (1.4 or 1.1)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위 면(1면)만 대상이 된다.

 가. 소화펌프의 최소 토출량 [ℓ/min]

      토출량 Q = A · D =[ (3×5)+(5×1.8)×2+(3×1.8)×2] ㎡ × 10 ℓ/min·㎡  = 438 [ℓ/min]

 나. 필요한 최소 수원의 양 [㎥]

      수원의 양 Q = A · D · T = 438 [ℓ/min] × 20 [min] = 8,760 [ℓ] = 8.76 [㎥]

 다. 표 작성 : ① 70 ② 210

      ※ 표 보는 법

        ⊙ 끝자리 반올림 66 → 70

                                    77 → 80

                                    110 → 110

                                    154 → 150

                                    220 → 210

                                    275 → 260

5. 바닥면이 자갈로 되어 있는 절연유 보입 변압기에 물분무 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물분무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

     준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절연유 봉입 변압기는 가로 5 m, 폭 3m, 바닥면에서 높이 1.9 m, 바닥면에서

     갈 높이는 0.4 m 이다.)   [8점] ★★★★★

  가. 소화펌프의 최소 토출량 [ℓ/min]

       Q = A · D =[ (3×5)+(5×1.5)×2+(3×1.5)×2] ㎡ × 10 ℓ/min·㎡ = 390 [ℓ/min]

  나. 필요한 최소 수원의 양 [㎥]

       Q = A · D · T = 390 [ℓ/min] × 20 [min] = 7,800 [ℓ] = 7.8 [㎥]

[해설] 물분무 소화설비

  ▣ 소화펌프의 최소 토출량

구 분
토출량
비고
⊙ 켄베이어 벨트
⊙ 절연유 봉입 변압기
10 [ℓ/min · ㎡]
⊙ 특수가연물
10 [ℓ/min · ㎡]
최소 50 ㎡
⊙ 케이블 트레이
⊙ 케이블 덕트
12 [ℓ/min · ㎡]
⊙ 차고
⊙ 주차장
20 [ℓ/min · ㎡]
최소 50 ㎡

6. 다음 표는 고압의 전기기기가 있는 장소의 물분무헤드의 이격거리이다. 빈칸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5점] ★★★★★

전압 [kV]
거리 [㎝]
전압 [kV]
거리 [㎝]
66 이하
70 이상
154 초과 184 이하
( ③ ) 이상
66 초과 77 이하
( ① ) 이상
181 초과 220 이하
( ④ ) 이상
77 초과 110 이하
110 이상
220 초과 275 이하
( ⑤ ) 이상
110 초과 154 이하
( ② ) 이상

[답안작성]

    ① 80          ② 150          ③ 180          ④ 210             ⑤ 260

  ※ 표 보는 법

     ⊙ 끝자리 반올림 66 → 70

                                 77 → 80

                                110 → 110

                                154 → 150

                                 220 → 210

                                 275 → 260

7. 물분무 소화설비 배수설비의 설치기준을 4가지 쓰시오. [4점] ★★★

[답안작성]

  ①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 ㎝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할

  ② 배수구에는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40 m 이하 마다 집수관, 소화피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할

        것

  ③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2/100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④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의 최대 통수능력의 수량을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는 크기 및 기울기로 할 것

 

[해설] 물분무 소화설비 배수설비의 설치기준 (NFSC 104 제11조)

  ①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 ㎝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할

  ② 배수구에는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40 m 이하 마다 집수관, 소화피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할

        것

  ③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2/100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④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의 최대 통수능력의 수량을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는 크기 및 기울기로 할 것

 

[참고] 물분무소화설비

  ▣ 스프링클러소화설비에서의 물방울 보다 작은 물입자에 운동량 (Momentum)을 주어 화원에 침투하여 소화하거나 방호

       대상물의 상부 · 하부 또는 측면에도 물을 분사하여 표면을 보호하는 설비

8. 다음은 물분무소화설비의 배수설비의 설치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3점] ★★★★★

  가.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 ① ) ㎝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 할 것

  나. 배수구역에는 새어 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깊이 ( ② ) m 이하마다 집수관, 소화피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할 것

  다.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 ③ )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답안작성]      ① 10            ② 40              ③ 2/100

 

[해설] 물분무설비 배수설비의 설치기준 (NFSC 104 제 11 조)

  ①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 ㎝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할

  ② 배수구에는 새어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40 m 이하 마다 집수관, 소화피트 등 기름분리장치를 설치할

       것

  ③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2/100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④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의 최대 통수능력의 수량을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는 크기 및 기울기로 할 것

9. 수리계산으로 배관의 유량과 압력을 해석할 때 동일한 지점에서 서로 다른 2개의 유량과 압력이 산출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유량과 압력을 보정해 주어야 한다. 그림과 같이 6개의 물분무헤드에서 소화수가 방출되고 있을 때 다음 조건을

     참고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10점] ★★★★

 

[조건]

   ① 각 헤드의 방출계수는 동일하다.

   ② A지점 헤드의 방출량은 60 ℓ/min이고 방수압은 350 kPa이다.

   ③ 각 구간별 배관의 길이와 안지름은 다음과 같다.

구간
A ~ B
B ~ C
C ~ D
배관길이
8 m
4 m
4 m
배관구경
25 ㎜
25 ㎜
25 ㎜

  ④ 직관 이외의 배관부속품의 마찰손실은 무시한다.

  ⑤ 배관의 마찰손실은 다음 식에 따른다.

  가. A지점에서 시작하여 유량과 마찰손실을 구하시오.

  나. D지점ㅇ의 유량과 압력이 A지점의 유량 및 압력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D지점 헤드에서 시작하여 유량과

        마찰손실을 구하시오.

  다. A~C 경로에서의 C점과 D~C경로에서의 C지점의 유량과 압력이 다르다. 유량과 압력을 보정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

       D지점 헤드의 유량은 얼마로 보정해야 하는지 구하시오.

  라. D지점의 유량을 보정한 후 C지점의 유량과 압력을 구하시오.

[ 문제풀이]

  ▣ 먼저 K값을 구한다.

  가. A지점에서 시작하여 유량과 마찰손실을 구하시오.

    ① A ~ B 구간의 마찰손실

    ② B지점의 압력 : P = 350 + 29.29 = 379.29 [kPa]

    ③ B헤드의 유량

    ④ B~C 구간의 유량 : 60 + 62.46 = 122. 46 [ℓ/min]

    ⑤ B ~ C 구간의 마찰손실압력

    ⑥ C지점의 압력 : 350 + 29.29 + 16.47 = 395.76 [kPa]

  나. D지점ㅇ의 유량과 압력이 A지점의 유량 및 압력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D지점 헤드에서 시작하여 유량과 마찰

        손실을 구하시오.

    ① D ~ C 구간의 유량 : 60 ℓ/min

    ② D~C 구간의 마찰손실압력

    ③ C지점의 압력 : 350 + 14.64 = 364.64 [kPa]

    ④ C지점의 유량 : 60 [ℓ/min]

  다. A~C 경로에서의 C점과 D~C경로에서의 C지점의 유량과 압력이 다르다. 유량과 압력을 보정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

       D지점 헤드의 유량은 얼마로 보정해야 하는지 구하시오.

    ① D지점의 보정 유량을 위한 압력 보정

         D지점 보정압력 = A~C 경로에서 산출한 C지점 압력 - C~D구간의 마찰손실 압력 = 395.76 - 14.64 = 381.12 [kPa]

  라. D지점의 유량을 보정한 후 C지점의 유량과 압력을 구하시오.

    ① 보정 후 C지점 유량 : A~C 지점 유량 + D~C지점 보정 유량

          122.46 ℓ/min + 62.61 ℓ/min = 185.07 ℓ/min

    ② 보정 후 C지점 압력

        ㉠ 보정 후 D지점 압력 : A~C경로의 C지점 압력 - C~D 경로 마찰손실압력 :  395.76 - 14.64 = 381.12 [kPa]

        ㉡ 보정후 C~D구간 마찰손실 

        ㉢ 보정 후 C지점의 압력 : 381.12 + 15.843 = 396.963 [kPa]

#물분무소화설비 #펌프 #특수가연물 #방호면적 #토출량 #변압기 #절연유 #방출계수

#이산화탄소 #헤드 #수원 #배수구 #스프링클러 #운동량 #모멘텀 #momentum

#마찰손실 #방수압 #유량 #보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