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으로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 복도체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복도체 방식은 어떤 특징과 장점이 있는지 알아 보자.
⊙ 우선 3상 3선식에서 한상을 기준으로 알아 보자.

⊙ 단도체 방식은 전선 한가닥을 사용하는 것이고 복도체(다도체)방식은 소선 2가닥 이상
을 꼬아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단선과 연선의 개념과 유사한 개념이다.
⊙ 위 그림에서 소선 중심과 다른 소선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선간거리라고 하며
복도체 전체의 반지름을 등가반지름이라고 한다.
※ 복도체의 등가 반지름은 단순히 단도체의 반지름에 소도체 수를 곱한 것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소도체간에 공간이 있거나 절연물로 피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피복까지 포함되므로
복도체의 등가반지름이 커질 수 있다.
【 복도체 방식의 특징】
① 복도체 방식은 3상 송전선로에서 한상의 전선을 2본 이상으로 분할한 전선이다.
② 복도체 방식은 전선 단면적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직경을 크게 한다.
여기서 전선의 직경은 복도체에서는 등가반지름(Re)을 말한다.
③ 단도체 방식에 비해서 작용인덕턴스는 작게 하면서 작용정전용량은 크게 한다.

※ 복도체는 소선이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전선에는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자속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회전하는 자속은 소선과
소선사이에서는 상호 교차하여 자속이 상쇄되어 없어지므로 복도체는 단도체에
비해 작용 인덕턴스는 작아진다. 한편 작용정전용량은 복도체는 단도체에 비해
전선의 단면적이 크므로 단도체에 비해 복도체가 작용정전용량은 커진다.
④ 코로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 코로나 현상의 원인 : 전압이 높기 때문이다.
◈ 초고압 : 200[kV] 이상 ⇒ 345[kV], 765[kV]
초고압 송전선에서는 코로나 현상방지를 위하여 복도체 방식을 사용한다.
⑤ 전위경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⑥ 임계전압을 높일 수 있다.
⑦ 복도체를 사용하면 계통에 안정도를 높이고 송전용량을 증가시킨다.
※ 안정도 = 송전용량 P

※ 복도체를 사용하면 인덕턴스가 감소하고 정전용량이 증가하므로
송전용량이 증가하고 안정도가 향상된다.
⑧ 같은 전류용량에 대하여 단도체보다 전선의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 복도체를 사용하면 같은 단면적으로 많은 전류를 흘릴 수 있기 때문에
같은 전류를 작은 단면적으로 송전할 수 있다. 다른 말로 같은 허용전류라면
전선의 굵기를 작게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⑨ 복도체의 경우 소도체 사이에 같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소도체간에는
흡인력(당기는 힘)이 발생한다.
※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는 힘이 작용한다 : 자속밀도 大 ⇒ 小 방향으로
플레밍의 왼손법칙

'전기인이 되는 길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압관계식 및 경제적인 송전전압, 송전전력과 송전전압 관련 기출문제 (0) | 2021.08.31 |
---|---|
송전단 전압과 전압강하 근사식, 송전전압과 송전전력의 관계 (전력손실) (0) | 2021.08.31 |
코로나 현상과 임계전압 (0) | 2021.08.31 |
정전용량(대지정전용량, 충전전류, 충전용량), 누설컨덕턴스 (0) | 2021.08.31 |
송배전 선로의 선로정수 (0) | 2021.08.31 |
비버리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