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기반응성 물질"이란 고체 또는 액체로서 폭발의 위험성 또는 가열분해의 격렬함을 판단하기 위하여 정부 고시로 정하는 시험에서 고시로 정하는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해당 시험 결과에 따라 위험성 유무와 등급을 결정하여 제1종 또는 제2종으로 분류한다.

1. 유기과산화물

일반적으로 peroxy기(-O-O-)를 가진 산화물을 과산화물(peroxide)이라 하며 공유결합 형태의 유기화합물에서 이 같은

구조를 가진 것을 유기과산화물이라 한다. -O-O- 그룹은 반응성이 매우 크고 불안정하다. 따라서 유기과산화물은 매우

불안정한 화합물로서 쉽게 분해하고 활성산소를 방출한다.

가. 벤조일퍼옥사이드 [(C6H5CO)2O2, 과산화벤조일]

 

 ① 일반적 성질

   ㉠ 비중 1.33, 융점 103 ~ 105℃, 발화온도 125℃

   ㉡ 무미, 무취의 백색분말 또는 무색의 결정성 고체로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알코올 등에는 잘 녹는다.

   ㉢ 운반 시 30% 이상의 물을 포함시켜 풀 같은 상태로 수송된다. ★★

   ㉣ 상온에서는 안정하나 산화작용을 하며, 가열하면 약 100℃ 부근에서 분해한다.

 ② 위험성

   ㉠ 폭발성이 강한 물질로 유기물, 환원성 물질, 기타 가연성 물질과 접촉하면 화재 또는 폭발을 일으킨다.

   ㉡ 100℃ 전후에서 격렬하게 분해하며, 착화하면 순간적으로 폭발한다. 진한 황산이나 질산, 금속분, 아민류 등과 접촉시

        분해 폭발한다.

   ㉢ 폭발감도는 TNT, 피크르산 보다 강하고 물, 불활성 용매 등의 희석제에 의해 폭발성이 약화되므로 저장, 취급 중 희석

        제의 증발을 막아야 한다.

   ㉣ 가소제, 용제 등의 안정제가 함유하지 않은 건조상태의 경우 약간의 충격 등에 의해 폭발한다.

   ㉤ 상온에서는 안정하나 열, 빛, 충격, 마찰 등에 의해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수분이 흡수되거나 비활성 희석제 (프탈산디

        메틸, 프탈산디뷰틸 등)가 첨가되면 폭발성을 낮출 수 있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저장 시 직사광선, 화기 등 에너지원을 차단하고, 희석제로 희석하여 폭발성을 낮추며 희석제의 증발을 최대한 억제한

        다.

   ㉡ 고체인 경우 희석제로 물 30%,페이스트인 경우 디메틸프탈레이트(C10H10O4, DMP) 50%, 탄산칼슘(CaCO3), 황산

        칼슘(CaSO4)을 첨가한다.

   ㉢ 가급적 소분하여 저장하고 용기는 완전히 밀전, 밀봉하여 누출 방지 및 파손에 주의 한다.

   ㉣ 분진 등을 취급시에는 눈이나 폐 등을 자극하므로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④ 소화방법 : 양이 적은 경우 물분무, 포, 분말, 마른 모래로 질식 소화하가 유효하나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한다.

 ⑤ 용도 : 합성수지의 중합 개시제, 방부제, 소독제 등

나.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CH3COC2H5)2O2, MEKPO, 과산화메틸에틸케톤]

 

 ① 일반적 성질

   ㉠ 인화점 58℃, 융점 -20℃, 발화온도 205℃

   ㉡ 무색, 투명한 기름상의 액체로 촉매로 쓰이는 것은 대개 가소제로 희석되어 있다.

   ㉢ 강력한 산화제임과 동시에 가연성 물질로 화기에 쉽게 인화되고 격렬하게 연소한다.

        순수한 것은 충격 등에 민감하며 직사광선, 수은, 철, 납, 구리 등과 접촉 시 분해가 촉진되고 폭발한다.

   ㉣ 물에는 약간 녹고 알코올, 에테르, 케톤류 등에는 잘 녹는다.

 ② 위험성

   ㉠ 상온에서는 안정하며 80~100℃ 전후에서 격렬하게 분해하며, 100℃가 넘으면 심하게 백연을 발생하고 이 때 분해가

        스에 이물질이 접촉하면 발화, 폭발한다.

   ㉡ 다공성 가연물과 접촉하면 30℃ 이하에서도 분해하고, 나프텐산코발트와 접촉하면 폭발하며, 알칼리성 물질과 접촉

         시 분해가 촉진된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직사광선, 화기 등 에너지원을 차단하고, 희석제 (DMP, DBP를 40%) 첨가로 그 농도가 60% 이상

                                    되지 않게 하며, 저장온도는 30℃ 이하를 유지한다.

      ※ DMP (C10H10O4) : 디메틸프탈레이트, 희석제, 시약 등으로 사용

          DBP (C6H4(CO2C4H9)2) : 프탈산디부틸, 위험성이 낮고 액체 범위가 넓어 가소제로 널리 사용

 ④ 소화방법 : 초기소화의 경우 CO2, 건조분말 소화약제도 유효하며, 소규모의 경우 포가 유효하지만 기타의 경우 다량의

                        물로 냉각 소화한다.

 ⑤ 용도 : 도료, 건조 촉진제, 산화제, 섬유강화제 등

다. 다아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C8H14O6)

 

 ① 일반적 성질

    ▣ 순수한 것은 융점이 8~10℃이므로 액체이며, 가열, 충격, 마찰에 민감하다.

 ② 위험성

   ㉠ 강산류, 알코올류, 아민류, 기타 가연성 물질과 혼합발화하거나 발화위험성이 현저히 증가한다.

   ㉡ 중금속분과 접촉한 것은 폭발의 위험이 있다.

 ③ 저장 및 취급 방법 : 희석제로 톨루엔 70%를 첨가하고 저장온도는 영하를 유지한다.

 ④ 소화방법 :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하여 산소의 분해 방출 방지 및 연소확대 방지에 주력한다.

 ⑤ 용도 : 염화비닐, 염화비닐덴,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중합개시제

라. 아세틸퍼옥사이드 [(CH3CO)2O2]

 ① 일반적 성질

   ㉠ 인화점 45℃, 발화점 121℃인 가연성 고체로 가열시 폭발하며 충격 마찰에 의해서 분해한다.

   ㉡ 희석제 DMF 를 75% 첨가시키고 저장온도는 0~5℃를 유지한다.

    ※다이메틸폼아마이드 [(CH3)2NC(O)H, DMF) : 무색의 액체는 물, 대부분의 유기 액체들과 혼화성이 있다. 다이메틸폼

                  아마이드는 냄새가 나지 않으나 감퇴된 샘플은 다이메틸아민의 불순도로 인해 비린내가 나는 경우가 있다.

 ② 위험성, 저장, 취급방법 및 소화방법 : 과산화벤조일에 준한다.

마. 과초산 (CH3COOOH)

 ① 일반적 성질

   ㉠ 강한 초산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이다. 물, 알코올, 에테르에 녹는다.

   ㉡ 분자량 76.1, 증기비중 2.62, 융점 0℃, 인화점 41℃, 발화점 200℃

 ② 위험성 : 매우 불안정한 유기과산화물로서 가연성, 폭발성 물질이다.

                     56% 이상의 고농도의 것은 충격 또는 마찰에 예민하다.

2. 질산에스터류

  ▣ 알코올기를 가진 화합물을 질산과 반응시켜 알코올기가 질산기로 치환된 에스터화합물을 총칭한다. 질산메틸, 질산에

       틸,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나이트로글리세린, 나이트로글리콜 등이 있다.

        R - OH + HNO3 → R - ONO2 (질산에스터) + H2O

 

가. 나이트로셀룰로오스 ([C6H7O2(ONO2)3]n, 질화면, 질산섬유소)

 ① 일반적 성질

   ㉠ 천연 셀룰로오스를 진한 질산 HNO3(3)과 진한 황산 H2SO4 (1)의 혼합액에 작용시켜 제조한다.

   ㉡ 맛과 냄새가 없으며 물에는 녹지 않고 아세톤(C3H6O, (CH3)2CO), 초산에틸(아세트산 에틸, C4H8O2) 등에는 잘

        녹는다.

   ㉢ 에테르 (2)와 알코올(1)의 혼합액에 녹는 것을 약면약(약질화면), 녹지 않는 것을 강면약(강질화면)이라 한다. 또한

         질화도가 12.5~12.8% 범위인 것을 피로콜로디온이라 한다.

   에터(영어: ether) 또는 에테르는 R-O-R'의 일반식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말한다. 알코올과 에터는 물의 유사체

          이다. 알코올은 물의 수소 원자 하나가 알킬기로 치환된 형태라면, 에터는 물의 수소 원자 두개가 알킬기로 치환된

          형태이다. R = R' 인 에터를 대칭 에터(symmetrical ether)라 하고, R과 R'가 다른 에터를 비대칭 에터(unsymmetrical

          ether)라고 한다.

 

   ㉣ 인화점 : 13℃, 발화점 : 160~170℃, 끓는점 : 83℃, 분해온도 : 130℃, 비중 1.7

 ② 위험성

   ㉠ 130℃에서 서서히 분해되고 180℃에서 격렬하게 연소하며 다량의 CO2, CO, H2, N2, H2O 가스가 발생한다.

        2C24H29O9(ONO2)11 → 24CO2 + 24CO + 12H2O + 11N2 + 17H2

   ㉡ 다이너마이트, 무연화약의 원료로 질화도가 큰 것일 수록 분해도, 폭발성, 위험도가 증가한다. 질화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점화 등에 격렬히 연소하고 양이 많을 때는 마찰 시 예민하고 발화폭발의 위험이 증가한다.

   ㉢ 에탄올, 에테르 혼액에 침윤시킨 것은 인화성이 강하며, 습윤상태에서 건조되면 충격 마찰시 예민하고 발화폭발의

        위험이 증대된다.

   ㉣ 강산류, 수은염을 함유한 것은 건조상태에서 가열, 충격 등에 의해 폭발 위험성이 높아진다.

   ㉤ 저장용기가 가열되면 심하게 폭발하고 연소속도가 빠르며, 아민류, 유기과산화물류 강산화제와 혼촉에 의해 자연발화

        의 위험이 있다.

   ㉥ 물이 침윤될 수록 위험성이 감소하므로 운반 시 물(20%), 용제 또는 알코올 (30%)을 첨가하여 습윤시킨다. 건조 시

        위험성이 증대되므로 주의한다.

   ㉦ 직사일광 및 산 · 알칼리의 존재하에서 자연 발화의 위험이 있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용제로 물 (20%) 또는 알코올 (30%)로 습윤시켜 저장한다.

   ㉡ 점화원 요소를 차단하고 냉암소에 소분하여 저장한다.

 ④ 소화방법 :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으며 CO2, 건조분말, 할론은 적응성이 없고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한다.

나. 나이트로글리세린 [C3H5(ONO2)3]

 

 ① 일반적 성질

   ㉠ 다이너마이트, 로켓, 무연화약의 원료로 순수한 것은 무색투명한 기름성의 액체(공업용 시판품은 담황색)이며 점화하

         면 즉시 연소하고 폭발력이 강하다.

   ㉡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메탄올, 벤젠, 클로로포름, 아세톤 등에는 녹는다.

   ㉢ 다공질 물질인 규조토에 흡수시켜 다이너마이트를 제조한다.

   ㉣ 분자량 : 227, 비중 : 1.6, 융점 : 2.8℃, 비점 : 160℃

   ㉤ 제법 : 질산과 황산의 혼산 중에 글리세린을 반응시켜 제조한다.

 

 ② 위험성

   ㉠ 40℃에서 분해되기 시작하고 145℃에서 격렬히 분해되며 200℃ 정도에서 스스로 폭발한다.

        4C3H5(ONO2)3 → 12CO2 + 10H2O + 6N2 + O2

   ㉡ 점화, 가열, 충격, 마찰에 대단히 민감하며 타격 등에 의해 폭발하고 강산류와 혼합시 자연분해를 일으켜 폭발할 위험

       이 있으며, 겨울철에는 동결할 우려가 있다.

   ㉢ 강산화제, 유기용제, 강산류, Na, NaOH 등과 혼촉 시 발화폭발한다.

   ㉣ 공기 중 수분과 작용하여 가수분해하여 질산을 생성하고 질산과 나이트로글리세린의 혼합물은 특이한 위험성을 가진

        다. 따라서 장기간 저장할 경우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 증기는 유독성이 있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액체상태로 수송하지 않고 다공성 물질에 흡수시켜 운반하며 점화원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환기가 잘되는 냉암소에

        보관한다.

   ㉡ 저장시 용기는 구리를 사용하며, 화재시에는 폭굉을 일으키므로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 증기는 유독성이므로 피부 보호나 보호구 등을 착용하여야 한다.

 ④ 소화방법 :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하며 소화 중에 있을 수 있는 폭발의 위험에 항시 대비한다.

 ⑤ 용도 : 젤라틴, 다이너마이트, 무연화약의 원료 등

다. 질산메틸 (CH3ONO2)

 ① 일반적 성질

   ㉠ 분자량은 약 77, 비중은 1.2(증기비중 : 2.67), 비점은 66℃

   ㉡ 무색 투명한 액체이며 향긋한 냄새가 있고 단맛이 난다.

 ② 위험성, 저장 및 취급방법, 소화방법 : 질산에틸에 준한다.

라. 질산에틸 (C2H5ONO2)

 ① 일반적 성질

   ㉠ 무색 투명한 액체로 냄새가 나며 단맛이 난다.

   ㉡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코올, 에테르 등에 녹는다.

   ㉢ 비중 1.11, 융점 -112℃, 비점 88℃, 인화점 -10℃

 ② 위험성

   ㉠ 인화점 (-10℃)이 낮아 인화하기 쉬워 비점 이상으로 가열하거나 아질산(HNO2)과 접촉시키면 폭발한다. (겨울에도

        인화하기 쉬움)

   ㉡ 휘발하기 쉽고 증기는 낮은 곳에 체류하고 인화점 (-10℃)이 낮으며 비점 (88℃) 이상 가열시 격렬하게 폭발하고, 기타

         의 위험성은 제1석유류와 유사하다.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불꽃, 화기, 직사광선을 피하고 용기를 밀봉하여 환기가 잘 되는 냉암소에 보관한다.

   ㉡ 용기는 갈색병을 사용하여 밀전, 밀봉한다.

 ④ 소화방법 : 초기소화는 모래, CO2, 분말소화약제도 유효하나 보통 다량의 물로 냉각 소화한다.

마. 펜트리티[C(CH2ONO2)4, 페틴, PETN]

   ① 백색 분말 또는 결정으로 도폭선의 심약, 군용 폭약의 원료로 사용된다.

   ② 충격에 예민하고 210℃에서 폭발하며 폭발속도는 약 8,000 m/s 로 빠르며 저장용기에 안정제로 아세톤을 첨가한다.

바. 나이트로글리콜 [(C2H4(ONO2)2]

 

  ① 액비중 : 1.5 (증기비중은 5.2), 융점 : -11.3℃, 비점 : 105.5℃, 응고점 : -22℃, 발화점 : 215℃, 폭발속도 : 약 7,800m/s,

        폭발열은 1,550 kcal/㎏ 이다. 순수한 것은 무색이나, 공업용은 담황색 또는 분홍색의 무거운 기름상 액체로 유동성이

        있다.

  ② 알코올, 아세톤, 벤젠에 잘 녹는다.

  ③ 산의 존재하에 분해촉진되며, 폭발할 수 있다.

  ④ 다이너마이트 제조에 사용되며, 운송시 부동제에 흡수시켜 운반한다.

사. 셀룰로이드

  ① 발화온도 : 180℃, 비중 : 1.4

  ② 무색 또는 반투명 고체이나 열이나 햇빛에 의해 황색으로 변색된다.

  ③ 습도와 온도가 높을 경우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④ 나이트로셀룰로오스와 장뇌의 균일한 콜로이드 분산액으로 부터 개발한 최초의 합성플라스틱물질이다.

3. 나이트로화합물

  ▣ 나이트로기(NO2)가 2개 이상인 유기화합물을 총칭하며 트리나이트로톨루엔(T.N.T), 트리나이트로페놀(피크르산) 등

       이 대표적인 물질이다.

 

가. 트리나이트로톨루엔 [T.N.T, C6H2CH3(NO2)3]

 

 ① 일반적 성질

   ㉠ 순수한 것은 무색 결정 또는 담황색의 결정이나, 직사광선에 의해 다갈색으로 변하며 중성으로 금속과는 반응이 없으

        며 장기 저장해도 자연발화의 위험없이 안정하다.

   ㉡ 물에는 불용이며, 에테르, 아세톤 등에는 잘 녹고 알코올에서는 가열하면 약간 녹는다.

   ㉢ 충격감도는 피크르산 보다 둔하지만 급격한 타격을 주면 폭발한다.

   ㉣ 몇가지 이성질체가 있으며 2, 4, 6 - 트리나이트로톨루엔이 폭발력이 가장 강하다.

   ㉤ 비중 : 1.66, 융점 : 81℃, 비점 : 280℃, 분자량 : 227, 발화온도 : 약 300℃

   ㉥ 제법 : 1몰의 톨루엔과 3몰의 질산을 황산 촉매하에 반응시키면 나이트로화에 의해 T.N.T가 만들어진다.

 

 ② 위험성

   ㉠ 강력한 폭약으로, 피크르산 보다는 약하나 점화하면 연소하지만 기폭약을 쓰지 않으면 폭발하지 않는다.

   ㉡ 칼륨(K), 수산화칼륨(KOH), 중크롬산나트륨(Na2Cr2O7)과 접촉시 조건에 따라 발화하거나 충격, 마찰에 민감하며

        폭발 위험성이 있고, 분해되면 다량의 기체가 발생하고 불완전 연소시 유독성의 질소산화물과 CO를 생성한다.

         2C6H2CH3(NO2)3 → 12CO + 2C + 3N2 + 5H2

   ㉢ 질산암모늄(NH4NO3)과 T.N.T를 3 : 1 (wt%)로 혼합하면 폭발력이 현저히 증가하여 폭파약으로 사용된다.

 ④ 저장 및 취급 방법

   ㉠ 저온의 격리된 지정 장소에서 엄격히 관리한다.

   ㉡ 운반시 10%의 물을 넣어 운반하면 안전하다.

   ㉢ 화기, 충격, 마찰, 직사광선, 알칼리, 강산, 강산화제를 피하고 분말로 취급 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한다.

 ⑤ 소화방법 : 다량의 주수소화를 하지만 소화가 곤란하다.

나. 트리나이트로페놀 [C6H2OH(NO2)3, 피크르산]

 

 ① 일반적 성질

   ㉠ 순수한 것은 무색이나 보통 공업용은 휘황색의 침전 결정이며 충격, 마찰에 둔감하고 자연분해하지 않으므로 장기저

        장해도 자연발화의 위험없이 안정하다.

   ㉡ 찬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온수, 알코올, 에테르, 벤젠 등에는 잘 녹는다.

   ㉢ 비중 : 1.8, 융점 : 122.5℃, 인화점 : 150℃, 비점 : 255℃, 발화온도 : 약 300℃, 폭발온도 : 3,320℃,

        폭발속도 약 7,000 m/s

   ㉣ 강한 쓴맛이 있고 유독하며 물에 전리하여 강한 산이 된다.

   ㉤ 제조 : 페놀을 진한 황산에 녹여 질산으로 작용시켜 만든다.

 

   ㉥ 벤젠에 수은을 촉매로 하여 질산을 반응시켜 제조하는 물질로 DDNP(diazo-dinitro phenol)의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이

          다.

 ② 위험성

   ㉠ 강력한 폭약으로, 점화하면 서서히 연소하나 뇌관으로 폭발시키면 폭굉한다.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가 발생하고 금속

        분 (Fe, Cu, Pb 등)과 금속염을 생성하여 본래의 피크르산 보다 폭발강도가 예민하여 건조한 것은 폭발 위험이 있다.

   ㉡ 산화되기 쉬운 유기물과 혼합된 것은 충격, 마찰에 의해 폭발한다. 300℃ 이상으로 급격히 가열하면 폭발한다. 폭발온

        도는 3,320℃, 폭발속도는 약 7,000m/s이다.

         C6H2OH(NO2)3 → 6CO + 2C + 3N2 + 3H2 + 4CO2

 ③ 저장 및 취급방법

   ㉠ 화기, 충격, 마찰, 직사광선을 피하고 황, 알코올 및 인화점이 낮은 석유류와의 접촉을 멀리한다.

   ㉡ 운반시 10~20% 물로 습윤하면 안전하다.

 ④ 소화방법 : 초기소화는 포소화약제도 효과가 있지만 보통은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한다.

 ⑤ 용도 : 황색 염료, 농약, 도폭선의 심약, 군용 폭파약, 뇌관의 첨장약, 피혁공업

다. 트리메틸렌트리나이트로아민 (C3H6N6O6, 헥소겐)

 ① 일반적 성질

   ㉠ 백색 바늘 모양의 결정이다.

   ㉡ 물, 알코올에는 녹지 않고, 뜨거운 벤젠에 극히 소량 녹는다.

   ㉢ 비중 1.8, 융점 202℃, 발화온도 약 230℃, 폭발속도 8,350m/s

   ㉣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을 다량의 진한 질산에서 나이트롤리시스하여 만든다.

        (CH2)6N4 + 6HNO3 → (CH2)3(N-NO2)3 + 3CO2 + 6H2O + 2N2

       이 때 진한 질산 중에 아질산이 존재하면 분해가 촉진되기 때문에 과망가니즈산칼륨을 가한다.

라. 테트릴 [C6H2(NO2)4NCH3]

  ① 비중 1.73, 융점 120 ~ 130℃, 발화온도는 약 190 ~ 195 ℃

  ② 황백색의 침상결정으로 물에는 녹지 않고 벤젠에는 녹는다.

  ③ 피크르산이나 T.N.T 보다 더 민감하고 폭발력이 높다.

마. 기타

  ▣ 디나이트로벤젠 [DNB, C6H4(NO2)2], 디나이트로톨루엔[DNT, C6H3(NO2)3], 디나이트로페놀 [DNP,

         C6H4OH(NO2)2]

4. 나이트로소화합물

 ▣ 하나의 벤젠핵에 2 이상의 나이트로소기가 결합된 것으로 파라디나이트로소벤젠, 디나이트로소레조르신, 디나이트로

      소펜타메릴렌테드라민(DPT) 등이 있다.

 

가. 파라디나이트로소벤젠 [C6H4(NO)2]

 

  ① 황갈색의 분말로 가연물로서 분해가 용이하고 가열 등에 의해 폭발한다.

  ② 화기, 직사광선, 가열, 마찰을 피하고 환기가 양호한 찬 곳에 저장한다.

  ③ 다량 저장하지 않고 소분하여 저장용기에 파라핀을 첨가하여 안정을 기한다.

  ④ 질식소화는 효과가 없고 다량의 물로 냉각소화한다.

 ※ 파라핀(paraffin)은 CnH2n+2(n≥19)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알케인 탄화수소를 두루 일컫는 낱말이다. 물에 녹지 않으

      나 에테르나 벤젠, 에스터(에스테르)에는 녹는다. 파라핀은 20 혹은 40의 탄소분자로 이루어진 탄화수소분자의 혼합물

      로 석유나 석탄, 오일셰일에서 도출된 하얗고 색깔 없는 부드러운 고체이다. 파라핀은 윤활, 절연, 양초에 사용된다.

      가끔 파라핀이라 통칭되는 다른 석유제품 '등유'와는 다르다.

나. 디나이트로소레조르신 [C6H2(NO)2(OH)2]

 

  ① 흑회색의 결정으로 폭발성이 있으며 약 160℃에서 분해된다.

  ② 기타 저장, 취급 방법, 위험성, 소화방법은 파라디나이트로소벤젠에 준한다.

5. 아조 화합물

  ▣ 아조화합물이란 아조기 (-N=N-)가 주성분으로 함유된 물질을 말하며 아조디카르본아미드, 아조비스아이소부티로나이

       트릴, 아조벤젠, 하이드록시아조벤젠, 아미노아조벤젠, 하이드라조벤젠 등이 있다.

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ADCA, C2H4N4O2)

 

  ① 담황색 또는 미황색의 미세분말로 250℃에서 분해되어 N2, CO, CO2 가스가 발생하며 발포제 용도로 가열에 의한

       발포공정시 순수한 것은 폭발적으로 분해할 위험이 있다.

  ② 건조상태, 고농도인 것은 고온에서 매우 위험하고 강한 타격에 의해서도 위험하며 유기산과 접촉한 것은 분해온도가

       낮아진다.

나.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AIBN, C8H12N4)

 

  ① 백색 결정성 분말로 100℃ 전후에서 분해되어 질소(N2)가 쉽게 발생하며 약간의 유독성 물질인 시안화수소(HCN)이

       발생한다.

  ② 기타의 특성은 ADCA와 유사하다.

 ※ 사이안화 수소(hydrogen cyanide) 혹은 청화수소(靑化水素), 청산(靑酸, prussic acid)은화학식이 HCN인 화합물이다.          물, 에테르, 에탄올 등에는 반드시 녹으며, 거기서도 수용액은 별명이 사이안화 수소산 또는 청산이다. 무색인 맹독성

       화합물이며, 휘발성이 있다. 치사량은 2g이며, 불에도 잘 탄다. 실온보다 약간 높은 26 ℃에서 끓는다. 쓴맛이며 아몬드

       향이 나지만 유전적 소인으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사이안화 수소는 약산이며 수용액에서 사이안화음이

        온(CN)을 내놓으며 부분적으로 이온화된다.

다. 아조벤젠 (C6H5N=NC6H5)

  ① 트랜스아조벤젠은 등적색 결정이며, 융점은 68℃, 비점은 293℃이며, 물에는 잘 녹지 않고 알코올, 에테르 등에는

       잘 녹는다.

  ② 시스형 아조벤젠은 융점이 71℃로 불안정하여 실온에서 서서히 트랜스형으로 이성질화한다.

6. 다이아조화합물

  ▣ 다이아조화합물이란 다이아조기 (- N ≡ N)를 가진 화합물로서 다이아조디나이트로페놀, 다이아조카르복실산에스터

       등이 대표적이다.

가. 다이아조디나이트로페놀 [DDNP, C6H2ON2(NO2)2]

 

  ① 빛나는 황색 또는 홍황색의 미세한 무정형 분말 또는 결정으로 매우 예민하여 가열, 충격, 타격 또는 작은 압력에 의해

       폭발한다.

  ② 점화하면 폭발하고 기폭제 중 맹도가 가장 크며 폭발속도가 6,900m/s로 기폭제로 사용할 때 이것이 폭발하면 폭약류

       의 폭약을 유도한다.

  ③ 저장용기에 물을 10% 이상 첨가하여 운반하고 대량 누출 시 누출량의 10배로 10%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으로

        처리한다.

  ④ 가능한 습식상태에서 저장, 취급 또는 제조하여야 한다. 

  ⑤ 고농도, 건조상태로 취급하는 경우 충격 조건을 배제해야 한다.

나. 다이아조아세토나이트릴 (C2HN3)

       N≡N-CHCN

  ① 담황색 액체로 물에 용해되고 에테르 중에 안정하다.

  ② 공기 중에서 매우 불안정하며 고농도의 것은 가열, 충격 등에 의해서 폭발한다.

7. 하이드라진유도체

  ▣ 하이드라진 및 그 유도체류의 수용액으로서 80vol% 미만은 제외한다. 다만, 40vol% 이상의 수용액은 석유류로 취급하

       며, 하이드라진, 하이드라조벤젠, 하이드라지드 등이 대표적이다.

가. 디메틸하이드라진 [(CH3)2NNH2]

  ①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무색 또는 미황색의 기름상 액체로 고농도의 것은 충격, 마찰, 작은 점화원에 의해서도 인화,

        폭발하며 연소 시 역화의 위험이 있다.

  ② 연소 시 유독성의 질소산화물 등이 발생한다.

  ③ 강산, 강산화성 물질, 구리, 철, 수은 및 그 화합물과 격리한다.

  ④ 저장시 화기, 가열,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통풍이 잘 되는 안전한 곳에 보관하며 누출시 불연성 물질로 희석하여 회수

       한다.

  ⑤ 안개상 분무, 건조분말, 알코올포, CO2가 유효하며 소규모 화재시 다량의 물로 희석 소화한다. 대형 화재의 경우 폭발

       의 위험이 있으므로 용기 외벽을 냉각하는데 주력한다.

나. 하이드라조벤젠 (C6H5NHHNC6H5)

  ① 무색 결정으로 융점이 126℃ 이며 물, 아세트산에는 녹지 않으나 유기용매에는 녹는다.

  ② 아조벤젠의 환원으로 얻어지며 산화되어 아조벤젠이 되기 쉽다.

  ③ 강하게 환원시키면 아닐린(C6H5NH2)

다. 염산하이드라진 (N2H4 · HCl)

  ① 백색 결정성 분말로 피부 접촉시 부식성이 매우 강하다.

  ② 융점은 890℃, 흡습성이 강하며, 질산은과 반응하여 백색 침전이 생성된다.

라. 메틸하이드라진 (CH3NHNH2)

  ①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가연성 액체로 물에 용해되며, 독성이 강하다.

  ② 융점 -52℃, 비점 88℃, 인화점 70℃, 발화점 196℃

  ③ 상온에서 안정하나 발화점이 낮아 가열 시 연소 위험이 있으며, 연소시 역화의 위험이 있다.

  ④ 강산류, 산화성 물질, 할로겐화합물, 공기와 접촉 시 심하게 반응하고 발화하는 경우도 있다.

  ⑤ 대량 주수소화, 용기 외벽은 물분무로 냉각하고 바람을 등지고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마. 황산하이드라진 (N2H4 · H2SO4)

  ① 무색 무취의 결정 또는 백색 결정성 분말로 피부 접촉시 부식성이 매우 강하다.

  ② 융점은 85℃, 흡습성이 강하며, 유기물과 접촉시 위험하다.

  ③ 주위 가연물의 소화에 주력하고 누출시 소다회로 중화한다.

8. 하이드록실아민 (NH2OH)

  ① 백색의 침상결정, 비중 1.204, 융점 33.05℃, 비점 70℃

  ② 가열시 폭발의 위험이 있다. 129℃에서 폭발한다.

  ③ 환원성 유기합성원료, 알데하이드와 케톤에서 옥심을 합성하는데 사용한다. 옥심은 쉽게 아민으로 환원되며, 염료,

       플라스틱, 합성섬유, 의약품, 사진정착액 등을 만드는데 이용된다.

  ④ 하이드록실아민과 그 무기염은 강력한 환원제로 중합체, 사진 현상액의 구성 성분으로도 사용된다.

  ⑤ 하이드록실아민 제조방법 : 나이트로알칸(RCH2NO2)의 가수분해법과 산화질소(NO)의 촉매 수소화반응이 기술적으

                                                   로 널리 중요하게 사용된다.

  ⑥ 불안정한 화합물로, 산화질소와 수소로 분해되기 쉬우므로 대개 염 형태로 취급된다.

  ⑦ 과산화바륨(BaO2), 과망가니즈산칼륨(KMnO4), 나트륨(Na), 칼륨(K), 염화인(삼염화인 PCl3, 오염화인 PCl5), 염소

       (Cl2) 등과 혼촉시 발화, 폭발의 위험이 있다.

9. 하이드록실아민염류

가. 황산하이드록실아민 [(NH2OH)2 · H2SO4]

  ① 백색 결정, 융점 170 ℃, 강력한 환원제이며 약한 산화제이다.

  ② 수용액은 산성이며, 금속을 부식시키므로 유리, 스테인리스제, 폴리에틸렌 용기에 저장한다.

  ③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하고 취급시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나. 염산하이드록실아민 (NH2OH · HCl)

  ① 무색의 조해성 결정으로 물에 거의 안 녹고, 에탄올에 잘 녹는다.

  ② 습한 공기 중에서 서서히 분해된다.

다. N-벤조일-N-페닐하이드록실아민

  ① 백색 결정이며, 에틸알코올, 벤젠에 쉽게 녹는다.

  ② 물에 녹지 않으며, 킬레이트 적정 지시약으로 사용된다.

#제5류위험물 #자기반응성 #유기과산화물 #벤조일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질산에스터류 #나이트로글리세린 #나이트로셀룰로오스 #나이트로화합물 #트리나이트로톨루엔 #트리나이트로페놀 #아조화합물 #하이드라진유도체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록실아민염류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