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압송수장치】
① 펌프방식
② 고가수조방식
③ 압력수조방식
④ 가압수조방식

※ 고가수조방식은 아래에 있는 물탱크를 없애고 자연낙차 압력을 이용하여 송수해 주는 방식이다.
그런데 문제는 옥내 소화전이나 스프링클러나 모두 기준압력이 있는데 옥내 소화전은 0.17[MPa]이다.
그런데 이 압력을 위해서는 소화전에서 물탱크까지 약 17[m]의 수두차가 있어야 하는데 고압수조방식은
중간에 별도의 수조를 설치하여 낙차를 17[m]가 안되는 소화전에 펌프를 통해 물을 공급해 주는 방식이고
압력수조방식은 수원과 압력가스를 각각 1/3, 2/3를 충전했다가 자체 압력으로 공급하는 방식이고
가압수조방식은 외부의 질소가스의 압력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1. 옥내소화전 (필기에서는 계산문제 안 나옴)
H = h1 + h2 + h3 + 17 [m]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 수두 [m]
h3 : 실양정 (흡입양정 + 토출양정) [m]
17 : 옥내 소화전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 수두 [m]
(0.17 [MPa] ⇒ 약 17 [m])
전양정 [m] = 정격 토출 압력 [MPa]
※ 전양정이 100[m]라면 최하층 압력은 몇 [MPa]인가 ?

예전에는 1.7 [kg/㎠] 을 기준으로 17 [m]로 하였으나 0.17[MPa]로 압력을 바꾸었으나
낙차는 17 [m]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약 17 [m]로 계산하면 된다.

※ 각각의 양정은 다음 그림과 같다.

2. 옥외 소화전 설비
H = h1 + h2 + h3 + 25 [m]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 수두 [m]
h3 : 실양정 (흡입양정 + 토출양정) [m]
25 : 옥외 소화전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 수두 [m]
(0.25 [MPa] ⇒ 약 25 [m])
3. 스프링클러설비
H = h1 + h2 + 25 [m]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두 [m]
h2 : 실양정 (흡입양정 + 토출양정) [m]
10 : 스프링클러 설비 규정방수압력의 환산 수두 [m]
(0.1 [MPa] ⇒ 약 10 [m])
4. 포소화설비
H = h1 + h2 + h3 + h4 [m]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방수구의 설계압력환산수두 또는 노출선단의 방사압력 환산 수도 [m]
h2 : 배관 및 부속품의 마찰손실 수두 [m]
h3 : 낙차 ⇒ (실양정 [m])
h4 : 소방호스의 마찰손실수도 [m]
포에는 호스가 달린 것도 있고 헤드가 있는 설비도 있다. 또한 포에서는 환산수두가
제조사의 설비별로 다르기 때문에 포소화설비 문제가 나오면 문제에서 제시해 준다.
※ 헤드 마찰손실도 있으나 그 양이 크지 않기 때문에 양정산정에서는 제외한다.
그런데 필기시험에서 이 말이 나오면 틀린 것이다.
#양정 #실양정 #기준압력 #마찰손실 #고가수조방식 #펌프방식 #압력수조방식
#가압수조방식 #마찰손실수두 #스프링클러 #포소화설비 #낙차 #자연낙차 #헤드
#옥내소화전 #옥외소화전
'소방설비기사 (기계) > 소방설비의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프 및 송수구설치기준 - 옥내소화전설비 6 (0) | 2023.08.13 |
---|---|
기동용 수압개폐장치 - 옥내 소화전 설비 5 (0) | 2023.08.13 |
수원의 양 - 2 (0) | 2023.08.11 |
수원의 양 (옥 내 · 외 소화전 설비) (0) | 2023.08.09 |
옥내 소화전 설비 - 2 (2) | 2023.08.08 |
비버리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