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리액터 기동정지 전동기 조작 시퀀스 회로

 

  ▣ 다음 그림은 리액터 기동정지 조작회로의 미완성 도면이다. 도면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리액터 기동정지 시퀀스 제어회로

  (1) ① 부분의 미완성 주회로를 회로도에 직접 그리시오.

 
리액터 기동정지 주회로

(2) ~ (3) 제어회로에서 ② ~ ⑩ 부분의 접점 기호와 Lamp의 그림기호를 그리시오.

    단, 램프 ⓖ 정지, ⓡ 기동 및 운전, ⓨ 과부하로 인한 정지이다.

 
전동기 리액터 기동정지 시퀀스 제어회로

(4) 직입기동시 시동전류가 정격전류의 6배가 되는 전동기를 65[%] 탭에서 리액터 시동

    한 경우 시동전류는 약 몇 배 정도가 되는지 계산하시오.

  ▣ 기동전류는 전압에 비례하고 전전압에서 기동전류가 정격전류의 6배 이므로

      65% 전압에서 기동전류 Is = 0.65 × 6In = 3.9 In

 

(5) 직입기동시 시동토크가 정격토크의 2배였다고 하면 65[%] 탭에서 리액터 시동한

     경우 시동토크는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시오.

  ▣ 기동토크는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고 전전압에서 기동토크가 정격토크의 2배 이므로

      65[%] 탭 전압에서 기동토크는 τ = 0.652 × 2τn = 0.845 τn

 

반응형
반응형

♠ 역률개선을 위한 콘덴서 용량

 

 ▣ 전동기 부하를 사용하는 곳의 역률 개선을 위하여 제시된 각 전동기 회로에 병렬로 역률

     개선용 저압 콘덴서를 설치하여 각 전동기의 역률을 90[%] 이상으로 유지하려고 한다.

     필요한 3상 콘덴서의 [kVA]용량을 구하고, 이를 다시 [μF]로 환산한 용량으로 구한 다음 적합한

     표준규격의 콘덴서를 선정하시오. 단, 정격주파수는 60[Hz]로 계산하며, 용량은 최소치를 구하도록 한다.

전동기
번호
정격전압[V]
정격출력[kW]
역률[%]
기동방법
3상 농형
유도
전동기
(1)
200
7.5
80
직입기동
(2)
200
15
85
기동기 기동
(3)
200
3.7
75
직입기동

 

【문제풀이】

 ▣ 표1의 콘덴서 용량 산출표는 콘덴서 용량 산정식 Qc = P(tanθ1 - tanθ2)에서

     tanθ1-tanθ2 값을 구하는 표이다.

 ▣ Y결선에서는 Qc = ωCV2 이고 △결선에서는 Qc = 3ωCV2 인데

     Y결선으로 보고 (내선규정에 따라) Qc = ωCV2으로 계산한다.

 

<답안작성>

 (1) 표1에서 콘덴서 용량 산정계수 K = 27 [%]

     콘덴서 용량 Qc = 7.5 × 0.27 = 2.03 [kVA]

 

 (2) 표1에서 콘덴서 용량 산정계수 K=14 [%]

     콘덴서 용량 Qc = 15 × 0.14 = 2.1 [kVA]

 

 (3) 표1에서 콘덴서 용량 산정계수 K = 40 [%]

     콘덴서 용량 Qc = 3.7 × 0.4 = 1.48 [kVA]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