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윤활유 채취

  ▣ 다음과 같이 탱크에서 윤활유를 채취할 때 탱크의 어느 지점에서 채취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

 

  ▣ 유류 탱크 바닥과 유면의 중간 지점

   ※ 윤활유를 검사할 때 윤활유 탱크 바닥과 유면의 중간 위치의 윤활유를 채취한다.

2. 유욕 급유법

  ▣ 유욕 급유법을 사용하고 있는 장치에서 유면은 어느 위치에 있도록 해야 하는가 ?

 

  ▣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전동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 기어 박스의 유욕 윤활업에서 최저 유면은 가장 밑에 있는 축(베어링)의 중심까지 있어야 한다.

  ※ 선반 등의 윤활법

 

3. 분무 급유법

  ▣ 다음은 무슨 급유법인가 ?

 

  ▣ 분무 급유법

  ※ 콤프레셔를 보여 주다가 에어유니트를 보여 주고 호스를 통해서 통속의 기름을 베어링으로 보내는 동영상

 

  ※ 왼쪽 콤프레셔에서 에어를 쏘면 기름 통에서 기름을 끌고 가서 베어링 하우징에 뿌려 준다. (모기약 뿌리는 기구와 같은

      원리)

  ※ 분무 급유법은 오일 미스트 (Oil mist) 급유법이라고도 하며, 공기 압축기에서 나온 공기압이 윤활유의 흐름을 결정한

      다.

4. 강제 순환 급유법

  ▣ 다음 윤활유 급유법은 무엇인가 ?

 

  ▣ 강제 순환 급유법

  ※ 모터 2개가 나란히 있고 검은색으로 덮여 있는 (체인이라고 하는) 사각형과 노랑색 커버 사진

  ※ 강제 순환 급유법은 윤활유 급유법 중 가장 효율적인 급유법이다.

5. 드럼 보관 방법

  ▣ 다음 중 올바른 드럼 보관 방법은 어느 것인가 ?

 

  ▣ 정답 A

  ※ 윤활유의 드럼 구멍과 공기 구멍이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보관한다.

6. 필터 사용법

 ▣ 필터의 입자가 1 ~ 3 μm인 것을 사용했을 때 문제점은 ?

  ※ 오일 필터가 너무 조밀하면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물어 보는 문제

 

  ▣ 윤활유에 포함되어 있는 첨가제를 제거하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7. 필터의 형식

  ▣ 다음과 같은 필터에서 보여주는 "60G"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

 

  ▣ 60 μm

  ※ 60 G는 입자 크기가 60 μm 라는 뜻이다.

8. 유압 파워 유닛

  ▣ 유압 파워 유닛에서 화살표가 지시하는 A, B 부품의 명칭과 용도를 쓰시오.

 

  A : 명칭 - 마그넷, 용도 - 철분 이물질 제거

  B : 명칭 - 온도 센서, 용도 - 유압 작동유의 온도 측정

  ※ A 네모 박스 모양의 영구자석은 윤활유 내 철 성분의 이물질을 제거시키며, 오른 쪽 그림의 온도센서는 탱크 내

       윤활유 온도를 측정하여 적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자료가 된다.

9. 드레인 밸브

  ▣ 다음 화살표가 지시하는 장치의 명칭과 용도를 쓰시오.

 

  ① 명칭 : 드레인 밸브        ② 오일 및 이물질 배출

  ※ 드레인 밸브는 유압 탱크 또는 감속기나 변속기 장치 내에 있는 윤활유와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배출하는 데 사용된다.

9 - 1. 스트레이너

  ▣ 다음에서 화살표가 지시하는 부품의 명칭과 역할은 ?

 

① 명칭 : 스트레이너

  ② 용도 : 이물질 여과 (이물질 제거는 오답)

10. 강제 순환 급유장치의 부품

  ▣ 다음은 강제 순환 급유장치이다. 화살표가 지시하는 부품의 명칭과 역할을 쓰시오.

 

  ① 명칭 : 냉각기

  ② 역할 : 오일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온도 상승을 예방한다.

   ※ 문제의 부품은 열교환기 중 냉각기로 애프터 쿨러 (After cooler)라 하며, 유압 시스템내 유압 작동유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점도 변화를 막기 위해 사용한다.

11. 유압 작동유 냉각방식

  ▣ 다음에서 ㉮, ㉯ 의 유압 작동유 냉각 방식을 쓰시오.

 

  ▣ 정답 :  ㉮ 공냉식     ㉯ 수냉식

  ※  냉각 방식에는 공랭식, 수랭식 외 강제식이 있다.

12. 에어 브리더

  ▣ 오일 탱크에서 다음 부품의 명칭과 역할을 쓰시오.

 

  ① 명칭 : 에어 브리더

  ② 역할 : 탱크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한다.

      ※ 자동 그리스 통처럼 생긴 노랑색 원통이 탱크 위에 붙어 있다. (에어밴트) 노랑색 캡으로 되어 있고 필터가 있다.

      ※ 펌프 작동시 대기압 유지 목적으로 사용 (통기 유량은 유압 펌프 토출량의 2배 이상)

      ※ 에어 브리더는 공기 청정기 (필터) 또는 에어 통기구라고도 하며, 탱크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유증기 발생

          을 억제시킨다. 탱크 내로 이물질의 흡입을 억제하고, 통기 용량은 유압 펌프 토출량의 2배 이상으로 한다.

13. 유면계

  ▣ 다음 요소의 명칭과 역할을 쓰시오.

 

  ① 명칭 : 유면계

  ② 역할 : 오일 탱크 내의 윤활유량 점검

     ※ 오일 탱크 내의 윤활유량을 확인하기 위해 유면계를 설치한다.

14. 강제 순환 급유 장치 부품

  ▣ 다음은 강제 순환 급유장치이다. 화살표가 지시하는 부품의 명칭과 용도를 쓰시오.

 

  ① 명칭 : 사이트 피트

  ② 용도 : 급유 장치에서 급유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사이트 피트는 윤활유 유량계라고 하며, 급유 장치에서 급유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15. 작동유 오염도 측정

  ▣ 다음은 유압 작동유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다. 이 시험법은 무엇인가 ?

 

  ▣ 계수법

  ※ Number of particles : 시험을 하다가 측정기 화면을 보여준다. 이 때 측정기 제어판에 Number of particles라고 적혀

                                         있다.

  ※ 계수법은 유압 작동유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오염 물질의 크기에 따른 개수를 표시해 준다.

16. 크래클 시험

  ▣ 다음은 윤활유의 무슨 시험이며, 무엇을 알기 위한 것인지 설명하시오.

 

  ① 명칭 : 크래클 시험

  ② 용도 : 수분 유무를 알기 위해

      ※ 뜨거운 철판에 기름을 뿌리면 뿌지직하면서 사방으로 튄다.

17. 윤활유 구분

  ▣ 다음 중 수분이 혼입된 윤활유는 어느 것인가 ?

     ※ 크래클 시험하는 동영상 2개를 보여 주며 Oil에 수분이 함유된 것 찾는 문제

 

  ▣ 정답 ㉯

  ※ ㉮ : 유증기가 약간 피어 오르는 동영상

      ㉯ : 오일이 피식 피식 소리를 내며 사방으로 튄다.

18. 윤활유 유화현상

  ▣ 다음은 윤활유의 무슨 현상인가 ?

 

  ▣ 유화 현상

    ※ 윤활유와 물이 섞인 현상을 유화 현상이라 한다.

19. 유압 작동유와 수분이 혼합되지 않으려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

   ▣ 항 유화 현상

   ※ 윤활유에 물이 섞이지 않으려는 성질을 항유화성이라 한다.

20. 항유화성 시험

  ▣ 다음은 윤활유의 무슨 시험인가 ?

 

  ※ 물통에 증류수와 기름을 넣고 자전과 공전을 하면서 섞다가 타임워치를 보면서 계속 회전을 하다가 일정시간이 되면

       (7분 몇초) 정지시킨다.

 

  ▣ 항 유화성 시험

  ※ 항유화성 시험은 시험관에 증류수를 먼저 넣고, 윤활유를 넣은 다음 시험 장치에 열을 가하면서 교반시켜 유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21. 작동유 수분 함유량

  ▣ 일반 광유계 작동유의 수분 혼입 관계치는 얼마인가 ?

 

  ▣ 0.2 % 이하

  ※ 윤활유 등 광유계 제품의 허용 수분 함유량은 0.2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KS 규격에 0.2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22. 유화 현상

  ▣ 다음 중 수분이 혼입된 것은 ?

 

  ▣ 정답 : ㉰

    ※ 유화현상은 ㉰와 같이 윤활유를 오염시킨다.

23. 윤활유 오염

  ▣ 다음 중 금속 성분의 오염물질의 혼입된 것은 어느 것인가 ?

 

  ▣ 정답 : ㉯

  ※ 금속 성분이 윤활유에 혼입되면 금속 성분은 슬러지화되고, 윤활유는 오염된다.

#윤활유 #광유 #항유화성 #유화현상 #계수법 #크래클 #사이트피트 #유면계 #에어브리더 #냉각기 #드레인밸브 #스트레인너 #필터 #마그넷 #강제순환급유법 #분무급유법

#유욕급유법 #첨가제

반응형
반응형
 

1. 윤활 설비의 고장과 원인에서 작업에 의한 고장 원인이 아닌 것은 ? [21-2]

   ① 플러싱의 불충분                                ② 과잉 급유 및 부주의

   ③ 급유가 빠르거나 너무 느림                ④ 높은 전도율 및 마찰면의 불충분한 방열

2. 공기 압축기에서 윤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맞는 것은 ? [13-4, 17-2, 20-3]

   ① 첨가제              ② 열과 물        ③ 압력과 용량            ④ 유동점 및 인화점

3. 공기 압축기의 윤활 트러블 원인이 아닌 것은 ? [16-2, 19-4]

   ① 냉각        ② 탄소          ③ 마모              ④ 드레인

[해설] 공기 압축기는 토출 공기의 청정과 윤활유의 열화에도 냉각이 절대 필요하다.

4. 운전 중 압축기 윤활유의 관리를 위한 점검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   [07-4, 15-2, 18-2]

   ① 베어링 검사          ② 윤활유의 양          ③ 윤활유의 온도            ④ 윤활유의 색상

5. 다음은 왕복동 압축기 윤활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옳지 않은 것은 ? [09-4]

   ① 압축기용 윤활유는 탄화 경향이 적고 압축가스에 대해 안정해야 한다.

   ② 카본 및 슬러지는 윤활 방해, 밸브 작동 이상을 일으키며, 압축 효율을 감소시킨다.

   ③ 압축기용 윤활유는 점도가 너무 높으면 내부 저항이 작아지고 윤활유의 탄화 경향도 작아진다.

   ④ 흡입 공기의 고온도와 오염도는 토출공기의 온도 상승과 카본 퇴적을 촉진시킨다.

[해설] 압축기 윤활유 선정

   ㉠ 열 안정성이 좋고 쉽게 탄화되지 않을 것

   ㉡ 부착된 카본이 연질이어서 보수 관리상 간단히 제거가 가능할 것

   ㉢ 적당한 점도를 가질 것

   ㉣ 산화 안정성이 좋을 것

   ㉤ 수 분리성이 좋을 것

   ㉥ 기포가 적을 것

6. 왕복동 압축기에서 윤활상 문제로 발생하는 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 [10-4]

   ① 흡입 밸브 및 흡입 배관계에 카본 부착량의 증가

   ② 토출 배관계의 발화 및 폭발

   ③ 드레인 트랩의 작동 불량

   ④ 피스톤 링 및 실린더의 이상 마모

[해설]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 관로에는 윤활을 하지 않으므로 윤활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7. 왕복동 공기 압축기에서 내부 윤활유의 원인으로 발생되는 고장이 아닌 것은 ? [12-4]

   ① 크랭크 샤프트 마모                       ② 드레인 트랩의 작동 불량

   ③ 탄소의 부착, 발화, 폭발                ④ 실린더나 피스톤 링의 마모

[해설] 크랭크 축은 외부 유에 의한 윤활이다.

   ※ 왕복동 압축기 : 실린더내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가스를 응축압까지 압축하는 장치

 

[정답]   1. ④    2. ②      3. ①       4. ①       5. ③        6. ①        7. ①

8. 압축기의 내부 윤활유의 요구 성능과 거리가 먼 것은 ? [20-4]

  ① 적정 온도    ② 연질의 생성 탄소   ③ 드레인 트랩의 작동 상태    ④ 금속 표면에 대한 부착성

[해설] 드레인 트랩과 윤활유은 상관관계가 전혀 없다.

9. 복동형 왕복 압축기의 운전부(외부 윤활) 윤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9-2]

   ① 산화 안정성이 좋아야 한다.                       ② 녹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③ 터빈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지방유를 혼합한 윤활유를 사용하면 좋다.

[해설] 외부 윤활유의 요구 성능

  ㉠ 적정 점도     ㉡ 높은 점도 지수     ㉢ 산화 안정성이 우수    ㉣ 양호한 수분성    ㉤ 방청성, 소포성이 우수

10. 왕복동 압축기의 윤활 설비의 고장 현상과 조치 방법으로 틀린 것은 ? [14-2]

   ① 토출 밸브에 기본 부착이 많은 경우 윤활유 소모량을 점검하고 냉각수 온도를 낮춘다.

   ② 피스톤 링과 실린더의 마모가 증가한 경우 급유관의 막힘을 점검한다.

   ③ 발화 시 압축링과 스크래퍼 링을 점검하여 윤활유의 실린더 유입을 방지한다.

   ④ 수분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친유화성 윤활유를 사용한다.

11. 윤활유의 카본(carbon) 및 슬러지 (sludge) 가 압축기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09-4]

  ① 윤활 방해, 마모 증대 및 온도 상승, 동력비 증가                   ② 밸브 작동 이상, 재압축 현상, 압축 효율 저하

  ③ 오일 필터 막힘, 오일 청정성 불량, 부품 교체 비용 증가        ④ 밀봉 작용 불량, 유수 분리 불량, 압축 효율 증대

[해설] 카본 및 슬러지가 압축기에 미치는 영향

   ㉠ 윤활 방해 - 마모 증대 및 온도 상승 - 동력비 증가        ㉡ 밸브 작동 이상 - 재압축 현상 - 압축 효율 저하

   ㉢ 밸브 막힘 - 정비 횟수 증가 (교환비 증가)                     ㉣ 밀봉 작용 불량 - 압축 효율 저하 - 동력비 증가 - 이물질 혼합

   ㉤ 외일 필터 막힘 - 오일 청정성 불량 - 부품 교체 비용 증가

12. 베어링 윤활의 목적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 [15-4, 21-1]

   ① 베어링의 수명 연장                              ② 먼지 또는 이물질 방지

   ③ 동력 손실을 줄이고 발열을 억제          ④ 유화에 의한 윤활면의 내압성 저하

[해설] 베어링 윤활의 목적

   ㉠ 베어링의 수명 연장      ㉡ 베어링 내부 이물질 침입 방지     ㉢ 마찰열의 방출, 냉각       ㉣ 피로 수명의 연장

13. 일반적인 베어링 윤활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

   ① 마모를 적게 하여 동력 손실을 줄인다.                   ② 마모를 막아 베어링 수명을 연장시킨다.

   ③ 금속류의 직접 접촉에 의한 소음을 발생시킨다.

   ④ 윤활유의 냉각 효과로 발생열을 제거하고 베어링의 온도상승을 억제한다.

[해설] 금속류의 직접 접촉에 의한 소음을 막는다.

[해설]   8. ③      9. ④      10. ④      11. ④     12. ④     13. ③

14. 일반적인 베어링 윤활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0-3]

   ① 금속류의 직접 접촉에 의한 소음을 막는다.                ② 윤활유의 사용으로 먼지 또는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다.

   ③ 베어링의 마모를 막고 윤활유의 냉각 효과로 수명을 연장시킨다.

   ④ 마모를 적게 하여 동력 손실을 높이고 마찰에 의한 발열을 증가시킨다.

[해설] 마모를 적게 하여 동력 손실을 낮추고 마찰에 의한 발열을 감소시킨다.

15. 베어링의 마찰면이 일정하지 않은 상황에서 국부적인 고하중이 걸릴 때 작용하는 윤활유의 기능은 ? [14-4, 16-4, 20-3]

   ① 밀봉 작용          ② 세정 작용          ③ 응력 분산 작용              ④ 마찰 감소 작용

[해설] 응력 분산 작용 : 활동 부분에 가해진 힘을 분산시켜 균일하게 하는 작용

16. 베어링 윤활유의 요구 특성이 아닌 것은 ? [16-2]

   ① 내열성          ② 유화성          ③ 내부식성          ④ 산화 안정성

17. 윤활유로 베어링을 윤활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1-4, 18-2]

   ① 하중           ② 침전가           ③ 운전속도               ④ 적정 점도

18. 고압 고속의 베어링에 윤활유를 오일 펌프로 공급하여 윤활을 하고 배출된 오일은 다시 기름 탱크로 모이고 여과 냉각 

      후 다시 순환하는 급유 방법은 ? [20-4]

   ① 중력 순환 급유법       ② 강제 순환 급유법        ③ 오일 순환식 급유법       ④ 가시 부상 유적 급유법

[해설] 강제 순환 급유법에서 유압은 일반적으로 1~4 ㎏f/㎠ 범위로 공급된다.

19. 고압 고속으로 회전하는 베어링에 윤활유를 펌프를 이용해 강제적으로 밀어 공급하는 방법으로, 내연기관, 고속의

      비행기, 자동차 엔진, 증기터빈 및 공작 기계 등에 사용되는 윤활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어느 것인가 ? [19-1]

   ① 체인 급유법        ② 칼라 급유법       ③ 사이펀 급유법          ④ 강제 순환 급유법

20. 순환 급유 종류 중 마찰면이 기름 속에 잠겨서 윤활하는 급유 방법은 ? [21-4]

   ① 유욕 급유        ② 패드 급유        ③ 나사 급유         ④ 원심 급유

[해설] 유욕 급유법 : 윤활제의 순환 급유법으로 직립형 수력 터빈의 추력 베어링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마찰면이 기름

                                 속에 잠겨서 윤활하는 방법

[정답]    14. ④       15. ③     16. ②       17. ②       18. ②      19. ④      20. ①

21. 베어링의 온도가 60 ~ 100 ℃ , 속도 지수 (dn)가 1,500 이하인 보통 하중에 적합한 윤활유는 ? [16-2]

   ① SAE 46        ② SAE 68          ③ ISO VG 32            ④ ISO VG 100

22. 윤활유로서 베어링을 윤활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일반적인 선정 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 ? [09-4, 16-4]

   ① 적정 점도      ② 나프텐 기유의 선택      ③ 급유 방법 및 주위 환경          ④ 운전 속도

[해설] 베어링 윤활에는 나프텐 기유 보다는 파라핀 기유의 선정이 더 유리하다.

23. 미끄럼 베어링과 구름 베어링의 비교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 [06-4]

   ① 미끄럼 베어링은 구름 베어링에 비하여 추력 하중을 용이하게 받는다.

   ② 미끄럼 베어링은 구름 베어링에 비하여 유막에 의한 감쇠력이 우수하다.

   ③ 미끄럼 베어링은 구름 베어링에 비하여 특별한 고속 이외는 정숙하다.

   ④ 미끄럼 베어링은 구름 베어링에 비하여 고속회전이 가능하다.

[해설] ▣ 미끄럼 베어링과 구름 베어링

 

   ⊙ 구름 베어링 (Roller bearing) : 축과 베어링 사이에 볼(Ball) 또는 롤러 (Roller), 니들 롤러 (Needle Roller)를 넣어서

                                                        미끄럼 접촉을 구름 접촉으로 바꿔서 마찰을 작게 한다

   ⊙ 미끄럼 베어링 (Sliding bearing, Plain bearing) : 축과 베어링이 면접촉으로 미끄럼 마찰을 하는 베어링

   ⊙ 레이디어 베어링 (Radial bearing) : 축선과 직각으로 작용하는 하중 지지

   ⊙ 스러스트 베어링 (Thrust bearing) : 축선 방향으로 하중 지지

▣ 미끄럼 베어링과 구름 베어링의 비교

 
항 목
미끄럼 베어링
구름 베어링
크기
지름은 작으나 폭이 크게 된다.
폭은 작으나 지름이 크게 된다.
구조
일반적으로 간단하다.
전동체가 있어서 복잡하다.
충격흡수
유막에 의한 감쇠력이 우수하다.
감쇠력이 작아 충격 흡수력이 작다.
고속회전
저항은 일반적으로 크게 되나 고속회전에 유리하다.
윤활유가 비산하고, 전동체가 있어 고속회전에 불리하다.
저속회전
유막 구성력이 낮아 불리하다.
유막의 구성력이 불충분하더라도 유리하다.
소음
특별한 고속이외에는 정숙하다.
일반적으로 소음이 크다.
하중
추력하중은 받기 힘들다. 비교적 작은 하중을 받는다.
추력하중을 용이하게 받는다. 큰 하중을 받는다.
기둥토크
유막형성이 늦은 경우 크다.
작다.
베어링 강성
정압 베어링에서는 축심의 변동 가능성이 있다.
축심의 변동은 적다.
규격화
자체 제작하는 경우가 많다.
표준형 양산품으로 호환성이 높다.
마찰
마찰계수가 크다.
마찰계수가 작다.
경제성
호환성이 없고 동압 미끄럼 베어링은 싸고 정압 미끄럼 베어링은 부대시설이 비싸다.
양산 및 규격화로 비교적 싸다.

24. 미끄럼 베어링의 윤활법 중 자동화, 시스템화로 기계류에 많이 사용되며 확실한 오일 공급과 유온, 유량의 조절이 쉽고

      많은 베어링의 윤활이 가능한 방법은 ? [14-2]

   ① 유욕 윤활법          ② 링 윤활법         ③ 손 급유 윤활법           ④ 강제 윤활법

25. 미끄럼 베어링 급유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4-4, 19-1]

   ① 전손식은 적하 급유, 원심 급유법 등에서 쓰인다.

   ② 전손식은 운전 속도가 빠를 때 주로 적용된다.

   ③ 유욕식은 링 급유, 체인 급유, 컬러 급유, 비말 급유 등의 방법이 있다.

   ④ 순환식은 베어링의 온도가 높아져 온도를 내리고자 할 경우에 적용된다.

[해설] 전손식 (적하 급유, 원심 급유 등) 급유법 : 적은 급유량으로 윤활이 가능하며, 운전속도가 낮을 때 채용된다.

26. 다음 미끄럼 베어링의 급유법 중 베어링 온도가 높아져 온도를 내리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급유법은 ? [19-2]

   ① 링 급유법        ② 체인 급유법        ③ 적하식 급유법            ④ 순환식 급유법

[해설] 순환식 급유법 : 윤활유를 연속적으로 마찰면에 공급하여 같은 기름 단지 속에서 기름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급유법

                                    과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기름을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베어링의 온도가 내려간다. 여러 순환식

                                    급유법 중 체인 급유법은 유륜식 급유법의 경우 보다 점도가 높은 기름을 필요할 할 때 사용된다.

27. 미끄럼 베어링 급유법 중 적은 급유량으로 윤활이 가능하고 운전 속도가 낮을 때 적용 되는 방법은 ? [20-4]

   ① 순환식             ② 전손식             ③ 유욕식                ④ 분무식

28. 미끄럼 베어링의 급유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방식은 ?

   ① 분무식            ② 순환식            ③ 유욕식                  ④ 전손식

[정답]   21. ④        22. ②         23. ①        24. ④           25. ②          26. ④        27. ②          28. ①

29. 다음 베어링 윤활에 있어서 윤활유의 윤활과 그리스의 윤활을 비교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17-4]

  ① 누유는 윤활유 윤활 보다 그리스 윤활이 더 크다.

  ② 회전 저항은 그리스 윤활보다 윤활유 윤활이 크다.

  ③ 냉각 효과는 그리스 윤활 보다 윤활유 윤활이 더 크다.

  ④ 중 고속용 회전에는 윤활유 윤활보다는 그리스 윤활이 유리하다.

30. 일반적으로 베어링의 윤활에서 그리스 윤활이 윤활유 윤활 보다 장점인 특성은 어느 것인가 ? [15-4, 21-2]

   ① 밀봉성          ② 냉각 효과          ③ 회전 저항             ④ 순환 급유

[해설] 베어링 윤활에서 윤활유의 윤활 보다 그리스 윤활이 좋은 특성을 가지는 항목은 누유가 적고, 밀봉 장치가 간단하며,

          급유 간격이 길다는 것이다.

31. 베어링이나 기어 등에 사용되는 윤활유는 사용 중에 교반에 의해 기포가 생성되며, 이 기포가 마멸이나 윤활유의 열화

       를 촉진시킨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윤활유에서 요구하는 성질은 ? [08-4, 15-4, 18-4]

   ① 점도        ② 소포성            ③ 내하중성           ④ 청정 분산성

32. 그리스의 급유 방법 중 자기 순환 급유법의 윤활 장치로 적합한 장치는 ? [15-2]

   ① 밀봉 베어링          ② 링 급유 장치          ③ 칼라 급유 장치            ④ 패드 급유 장치

33. 베어링의 그리스 윤활에서 그리스 선정 조건이 아닌 것은 ? [09-4]

   ① 온도          ② 속도           ③ 하중                ④ 비열

[해설] 그리스 선정 : 온도, 하중, 속도

34. 미끄럼 베어링의 그리스 윤활을 위한 그리스의 선정 기준으로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 [06-4, 11-4]

   ① 사용 온도에 적당한 주도를 가진 그리스를 선정한다.                     ② 일반적으로 2 m/s 이하에 적합하다.

   ③ 급유 방법으로서 급유하기에 용이한 주도의 그리스를 선택한다.   ④ 저하중인 경우 EP급 그리스를 반드시 선정한다.

[해설] 중하중의 경우 극압제 (EP, Extra pressure) 그리스를 사용한다.

35. 베어링 허용 회전수의 50% 이상으로 회전할 때, 하우징 내부의 축 및 베어링을 제외한 공간 용적에 대하여 충진하여야

      할 가장 적절한 그리스 양은 ? {14-1, 17-4, 21-4]

   ① 100 % 충전한다.                                 ② 1/3 ~ 1/2 정도 충진한다.

   ③ 3/2 ~ 3/4 정도 충진한다.                     ④ 신휴가 빠져 나올 때까지 충진한다.

[정답]   29. ③      30. ①     31. ②     32. ①      33. ④      34. ④      35. ②

36. 베어링의 그리스 윤활에 관한 내용으로 맞지 않는 것은 ? [10-4]

   ① 그리스의 평균 수명은 운전 속도, 회전수, 하중 등에 따라 결정된다.

   ② 베어링의 dn 값이 클수록 그리스에 사용되는 기유의 동점도는 작아진다.

   ③ 그리스를 베어링에 충진 시 적정량은 일반적으로 하우징 공간의 1/2 내지 3/4이다.

   ④ 베어링의 그리스 윤활은 주도, 전산가, 적점, 마멸분의 함량 등으로 부터 그리스의 열화 상태를 알 수 있다.

[해설] 그리스를 베어링에 충전시 적정량은 일반적으로 하우징 공간의 1/2 내지 2/3이다.

          고속일 경우 하우징 공간의 1/3 ~ 1/2, 저속일 경우 1/2 ~ 2/3 이다.

37. 베어링 그리스의 적유 선정과 관련한 내용 중 맞지 않는 것은 ? [10-4]

   ① 범용 그리스의 사용 가능 온도 범위는 120 ℃ 이다.

   ② 고하중용 기기에는 고점도의 기유를 사용한 그리스가 적당하다.

   ③ 고속 회전용 기기에는 저점도의 기유를 사용한 그리스가 적당하다.

   ④ 주도는 가급적 큰 것을 사용함이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해설] 점도가 높으면 마찰이 커지고 점도가 낮은면 윤활 효과가 작아진다.

38. 구름 베어링의 그리스 주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3-4, 18-2]

   ① 하우징의 설계에 관계없이 주입량은 같다.

   ② 과잉 그리스 (excessive grease)는 저속에서 품질 변화와 누설을 일으킨다.

   ③ 과잉 그리스 (excessive grease)는 고속에서 과열 또는 연화를 일으킨다.

   ④ 공간 용적은 하우징의 내용적에서 축과 베어링의 용적을 뺀 값이다.

39. 베어링에 그리스를 충전하는 휴대용 그리스 펌프로 1회의 공급으로 수 일 또는 수 주간의 그리스 공급 주기를 가진

      경우에 사용하는 것은 ? [17-2]

   ① 오일 미스트        ② 그리스 컵          ③ 집중 그리스 윤활장치           ④ 그리스 건

40. 다음 중 그리스 윤활의 고장 원인별 대책 측면에서 베어링의 온도 상승의 직접적인 추정 원인으로서 적절하지 못한 것

      은 어느 것인가 ? [08-4, 10-4]

   ① 그리스 과다         ② 그리스 과소          ③ 유종 선택 오류         ④ 밀봉재 불량

[해설] 구름 베어링의 고장원인 중 온도 상승에 대한 것으로서는 그리스 과다, 그리스 고갈, 유종 선택 오류 등이고, 미끄럼

           베어링의 고장 원인 중 온도 상승에 대한 것으로서는 급유 상태 불량, 그리스 고갈, 유종 선택의 오류 등이다. 밀봉재

           불량는 과다 누설의 원인이 된다.

41. 기어용 윤활유의 필요한 성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0-4]

   ① 적정한 점도 유지 및 저온 유동성                  ② 내하중성, 내 마모성

   ③ 열 안정성, 산화 안정성                                 ④ 비극압성

[정답]   36. ③      37. ④      38. ③      39. ④      40. ④     41. ④

42. 다음 중 기어 윤활에 관련된 내용으로 맞는 것은 ? [08-4]

   ① 기어 윤활에서 가장 중요시 하여야 할 특성은 유성(oilness)이다.

   ② 유욕 급유와 강제 순환식 급유 방식은 밀폐형 기어의 급유 방식에 적당한다.

   ③ 공업용 기어유의 대표적인 관리 항목으로는 동판 부식, 색, 침전가, 잔류 탄소분이다.

   ④ 미끄럼 속도가 크고 운전 온도가 높은 웜 기어유에서 특히 요구하는 품질 특성은 고점도 지주 (high viscosity index)

         이다.

43. 기어 윤활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7-2]

   ① 고속 기어에는 저점도의 윤활유가 적합하다.

   ② 웜 기어는 미끄럼 속도가 빠르고 운전 온도도 높게 되므로 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순광유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③ 기어는 높은 하중을 받아 미끄러질 때 마찰면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하중성이 있는 극압유가 요구된다.

   ④ 하이포이드 기어는 일반적으로 중하중을 받으므로 불활성 극압 윤활유가 적당하다.

[해설] 하이포이드 기어의 윤활 : 상대 기어 간의 미끄럼이 크고 중하중을 받아 스커핑의 우려가 있으므로 활성 극압 기어유

                                                   를 사용한다.

   ※ 스커핑 : 높은 압력으로 접촉하여 통상 오일로 윤활하고 있는 금속 표면의 융착에 의해 발생하는 상처로서 스코어링

                     (scoring)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피스톤 주위나 캠에서 볼 수 있는 상처를 스커링, 기어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처를 스코어링이라고 한다.

   ※ 하이 포이드 기어 : 교차되는 두 축의 각도가 90°인 엇갈림 기어.

             [특징] 스파이럴 베벨 기어(spiral bevel gear)와 비슷하며, 피니언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고 맞물림률도 크고,

                       매끄러운 회전으로 큰 속도비를 얻을 수 있다.

              [용도] 승용차의 감속기

 

 

44. 기어의 성능을 증대시키고 윤활유 성능과 기어의 사용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 [06-4, 10-4]

   ① 윤활유의 성질            ② 윤활유의 점도             ③ 미끄럼과 구름 속도              ④ NLG#2 그리스

45. 고하중, 충격 하중으로 기어에 소부 마모가 발생하였다. 대책으로 맞는 것은 ? [08-4]

   ① 극압 첨가제가 첨가된 기어유로 선정               ② 속도에 따라서 적정한 점도를 선정

   ③ 윤활유의 작동 온도를 높게 선정                      ④ 내수성이 아주 큰 기어유를 선정

46. 기어 윤활의 제반 조건에 따른 대책을 잘못 설명한 것은 ? [12-4]

   ① 온도 상승에 따른 점도 저하 및 열화 대책 - 주위 온도에 따라 적정 점도 및 유량의 조정

   ② 하중 충격에 의한 기어의 소부 마모 - 극압 첨가제가 첨가된 기어유 사용

   ③ 치면 접촉 불균일에 의한 소부 이상 마모 - 운전 초기 하중을 많이 걸고 충분한 길들이기 운전 실시

   ④ 적정개소에 적정량의 윤활유 급유 부족에 의한 소부 이상 마모 - 사용 조건을 고려하여 적정 급유 방식의 선정

47. 기어용 윤활유의 요구 조건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 [19-1]

   ① 방식, 방청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② 고속 기어에는 저점도의 윤활유가 적합하다.

   ③ 기어의 회전에 따라 기포가 발생하면 윤활 성능이 증대되므로 소포성이 낮은 윤활유가 요구된다.

   ④ 윤활유의 수분이 침투하여 유화가 발생되면 녹이 발생되므로 항유화성의 윤활유가 요구된다.

48. 다음 중 경하중 또는 보통 하중을 받고 있는 평기어, 헬리컬 기어, 베벨 기어의 윤활제로 가장 적합하고, 녹 방지와 산화

      방지제가 첨가된 윤활유는 ? [17-4, 21-2]

   ① 극압 윤활유         ② 전기 윤활유            ③ R&D 윤활유           ④ 개방형 기어유

[해설] 미국 기어 제조업협회 (AGMA)에서 공업용 밀폐 기어용 기어유를 분류할 때 분류하는 것 (R & O, EP, 컴파운드, 합성

           유)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어유이며, 광유에 방청제와 산화 방지제를 첨가한 것이다. 스퍼 기어, 바벨

           기어 등에 사용할 수 있으나 고부하의 웜 기어나 하이포이드 기어에는 EP를 사용한다.

[정답]    42. ②        43. ④          44. ④           45. ①          46. ③            47. ③          48. ③

49. R & O 윤활유를 보통 하중에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이 곤란한 기어는 ? [09-4]

   ① 평기어     ② 헬리컬 기어     ③ 베벨 기어      ④ 하이포이드 기어

[해설] R & O, EP, 컴파운드, 합성유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어유이며, 황유에 방청제와 산화 방지제를 첨가한 것이

          다. 스퍼 기어, 베벨 기어 등에 사용할 수 있으나 고부하의 웜 기어나 하이포이드 기어에는 EP를 사용한다.

 

50. 중, 저속의 밀폐 기어, 감속기 내의 베어링 하우징 등 윤활 개소의 일부가 오일 베스 (oil bath)에 잠긴 상태로 윤활되는

      방식의 급유법은 ? [09-4, 17-4]

   ① 나사 급유            ② 비산 급유           ③ 유욕식 급유            ④ 사이펀 급유

51. 두 축이 교차하지도 평행하지도 않는 기어로서 활성 극압 기어유를 사용하는 기어는 ?   [19-1]

   ① 평기어           ② 베벨 기어           ③ 헬리컬 기어           ④ 하이포이드 기어

[해설] 하이포이드 기어의 윤활 : 이 기어는 미끄럼이 크고 중하중을 받는 가혹한 윤활조건 이므로 순광유나 불활성 극압

                                                    윤활유는 부적당하며, 스커핑 (scurffing)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활성형 극압 윤활유가

                                                    적당하다.

  ▣ 헬리컬 기어 : 톱니 줄기가 비스듬히 경사져 있어서 헬리컬이라고 한다. 톱니줄이 나선 곡선인 원통기어로서 2

                             상대적 위치는 스퍼기어(spur gear)처럼 평행하다. 스퍼기어보다 접촉선의 길이가 길어서 큰 힘을 전달

                             할 수 있고, 원활하게 회전하므로 소음이 작다.


 

  ▣ 베벨 기어 : 두 축이 교차하는 원추마찰차(圓錐摩擦車)의 접촉면을 피치원으로 하는 기어

  ▣ 스퍼 기어 : 두 축이 평행인 스퍼기어(spur gear)는 축에 평행하게 절삭한 이를 가지며,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바깥

                         물림의 경우에는 축의 회전은 서로 역방향이 된다. 회전을 동일한 방향으로 하고자 할 때에는 안쪽 기어를

                         사용한다.

 

52. 다음 중 고하중 기어나 극압성이 큰 압연기 등에 사용되는 윤활유로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 [07-4, 14-4, 19-4]

  ① 웜형 기어유       ② 레귤허형 기어유         ③ 다목적용 기어유           ④ 마일드 EP형 기어유

[해설] 극압성 기어유 (마일드 EP형) : 광유계 윤활유에 연과 비부식성 유황, 염소, 인 등의 EP 첨가제를 첨가한 것으로 극압

                                                            성이 크며 압연기, 기타 고하중 기어에 사용한다.

53. 다음 중 기어 박스에 기어가 들어 있는 밀폐형 윤활 방식으로 적합한 것은 어느 것인가 ? 19-4]

   ① 브러시        ② 손급유         ③ 유욕 급유             ④ 패드 급유

54. 스퍼 기어, 핼리컬 기어, 베벨 기어 등 밀폐식 기어장치의 급유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14-4,18-1, 20-4]

   ① 손 급유            ② 순환 급유             ③ 적하 급유                  ④ 도포 급유

[해설] 밀폐식은 유욕 급유법이나 강제 순환법을 사용한다.

[정답]    49. ④          50. ③         51. ④           52. ④            53. ③            54. ②

55. 유막 형성이 어려워 윤활관리에 특히 유의하여야 하는 기어로 맞는 것은 ? [11-4]

① 베벨 기어 ② 스퍼 기어 ③ 웜 기어 ④ 헬리컬 기어

[해설] 일반적인 기어의 치면 접촉은 구름 접촉인데 반하여 웜 기어는 미끄럼 접촉이므로 유막이 쉽게 제거되어 경계 윤활

          이 되는 경우가 많다.

GEAR에는 축(軸)과 치형(齒形)에 따라 spur gear, bevel gear, worm gear, helical gear, involute gear, cycloid gear 등이

          있으며, gear 검사기에는 치형을 검사하는 치형검사기, pitch 및 편심오차(偏心誤差)를 검사하는 gear 검사기, 한 쌍

          의 gear를 맞물리어 검사하는 물림검사기 및 이두께를 검사하는 이두께 측정기 등이 있다.

56. 기어 윤활에서 기어 손상과 윤활 대책으로 짝지어진 것 중 맞는 것은 ? [15-4]

   ① 기어의 부식 마멸 - 적정 윤활유 (종류, 동점도) 재검토

   ② 기어의 눌어 붙음 - 여과를 통한 교형의 금속분 및 수분 제거

   ③ 미끄럼 방향과 평행한 연마상의 마멸 - 오일의 교환 또는 여과 필터를 점검

   ④ 고온으로 인한 기어의 변색 및 심한 마멸 - 수분 제거 및 적정량까지 오일의 보충

5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어의 이면 손상현상은 ? [12-4]

고속 · 고하중 기어에서 이면의 유막이 파단되어 국부적으로 금속 접촉이 일어나 마찰에 의해 그 부분이 용융되어 뜯겨 나가는 현상이다.

   ① 리징 (ridging)         ② 리플링 (rippling)          ③ 스폴링 (spalling)         ④ 스코어링 (scoring)

[해설] 스코어링 또는 스키핑 : 톱니 사이의 유막이 터져서 금속 접촉을 일으켜 나나타는 스크래치

  ㉠ 리징 (ridging) : 치 작용면 미끄럼 방향으로 산마루 같은 주름이 형성되는 소성유동 의 형상 중 하나이다. 접촉 부위의

                               미끄럼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웜과 웜기어, 하이 포이드 기어와 피니언에서 주로 발견할 수 있다.

  ㉡ 리플링(rippling) : 물결 무늬 항복 : 기어 맞물림의 미끄럼 운동 방향과 90° 근처의 각도로 접촉면에 물결형태로 발생하

                                   며 금속 표면을 변형 시킬 수 있는 높은 응력이 원인이다. 

  ㉢ 스커핑 (scuffing - adhesive wear, scoring) 금속 - 급속 접촉, 융착과 분리의 반복 작용으로 나타나는 점착 마모

                                  (adhesive)를 허용하게 하는 과열에 의한 윤활막의 국부적 파손에 의한 마모 현상

  ㉣ 스폴링 (spalling) : 급격한 온도차에 의하여 대상물에 균열이 생기고 표면이 갈라져 떨어져 나가는 현상

58. 다음 중 기어의 치면에 높은 응력이 반복 작용하여 국부적으로 피로 현상을 일으켜 박리되어 작은 구멍을 방생하는

      현상은 무엇인가 ? [14-2, 17-4]

   ① 피팅           ② 리플링          ③ 정상 마모           ④ 스코어링

[해설] 피팅 (pitting) 스테인리스는 표면에 산화막(Cr2O3)이 존재하기 때문에 녹이 생기는 것이 억제되는데, 산화막 중 일부

            가 손상되어 부식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화학적인 악순환이 반복되어 부식이 계속 깊어져 결국엔 마치 구멍(pit)처럼

            보이게 되는 현상

59. 기어의 이면 손상 중 재질의 결함이나 과도한 하중 등에 의한 것으로 피팅과 같이 이면의 국부적인 피로현상에서 나타

       나지만 피팅 보다 약간 큰 불규칙한 현상의 박리를 발생하는 현상은 ? [20-3]

   ① 버닝           ② 부식            ③ 스폴링              ④ 리플링

[해설] 스폴링 (spalling) : 피팅과 같이 이면의 국부적인 피로 현상에서 나타나지만 피팅 보다 약간 큰 불규칙한 형상의 박리

                                       를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 원인으로는 과잉 내부 응력의 발생 등에 의한 것이며 열처리하여

                                       표면 경화된 기어 등에 발생하기 쉽다.

60. 무단 변속기에 사용되는 윤활유가 가져야 할 윤활 조건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어느 것인가 ? [20-4]

   ① 기포가 적을 것     ② 내하중성이 클 것        ③ 점도 지수가 낮을 것         ④ 산화 안정성이 좋을 것

[해설] 점도가 적당해야 하고, 점도 지수는 높아야 한다.

[정답]   55. ③       56. ③      57. ④       58. ①          59. ③         60. ③

61. 기어 윤활에서 기어의 손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06-4, 16-2, 16-4]

   ① 리징 (ridding) : 외관이 미세한 홈과 토적상이 마찰 방향과 평행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된 것이 특징이다.

   ② 리플링 (rippling) : 국부적으로 금속 첩촉이 일어나 용융되어 뜯겨가는 현상으로 극압성 윤활제가 좋다.

   ③ 스폴링 (spalling) : 높은 응력이 반복 작용된 결과로 박리 현상이 없으며 유활유의 성상과는 무관하다.

   ④ 피팅 (pitting) : 고속 · 고하중 기어에는 이면의 유막이 파단되어 국부적으로 급속 접촉이 일어나는 것이다.

[해설] ㉠ 리플링 (rippling) : 리징은 마모적인 활동 방향과 평행하게 되지만 리플링은 활동 방향과 직각으로 잔잔한 파도

                                            혹은 린상 형상이 되어 소성항복의 일종이다. 이 현상은 윤활 불량이나 극대 하중 또는 진동 등

                                             에 의해 이면에 스틱 슬립을 일으켜 리플링이 되기 쉽다.

   ㉡ 피팅 (pitting) : 이면에 높은 응력이 반복 작용된 결과 이면상에 국부적으로 피로된 부분이 박리되어 작은 구멍을 발생

                       하는 현상으로 운전 불능의 위험이 생기는데 이 현상은 윤활유의 성상 이면의 거칠음 등에는 거의 무관하다.

62. 다음 유압 작동유 중 광유계 작동유가 아닌 것은 ? [19-4]

   ① R & O 형 작동유        ② 내마성 작동유        ③ 고점도 지수 작동유         ④ O/W 유화형 작동유

[해설] O/W 유화형 작동유 (HFAE)는 비광유계인 불연성 함수형 작동유이다.

63. 다음 중 광유계 유압 작동유에 해당되는 것은 ? [15-2, 16-2]

   ① 내마모성 작동유          ② 물 - 글리콜계 작동유     ③ O/W 에멀전계 작동유       ④ 합성 인산에스테르계 작동유

64. 다음 중 광물계 유압 작동유로 맞는 것은 ? [10-4]

   ① 합성 인산에스테르계          ② 첨가 터빈유       ③ O/W 에멀전계         ④ 물 - 글리콜계

65. 다음 중 광물계 유압 작동유가 아닌 것은 ? [06-4]

   ① 합성 인산에스테르계       ② 첨가 터빈유        ③ 클린 유압 작동유       ④ 일반 유압 작동유

[해설] 유압 작동유는 광물계와 난연성 작동유가 있다. 난연성 작동유는 합성 작동유와 수성형 작동유가 있으며, 합성 인산

            에스테르계는 합성 윤활유에 해당한다.

66. 유압 작동유 (KS M 2129)에 따라 인화점이 가장 낮은 것은 ? [19-2]

   ① ISO VG 15           ② ISO VG 32          ③ ISO VG 46              ④ ISO VG 68

[해설] 숫자가 작을 수록 점도가 낮고 인화점이 낮다.

67. 유압 작동유가 갖추어야 할 성질로서 틀린 것은 ? [18-4]

   ① 난연성일 것                                                ② 체적 탄성계수가 작을 것

   ③ 전단 안정성, 유화 안정성이 클 것              ④ 케비테이션이 잘 일어나지 않을 것

[정답]   61. ②       62. ④       63. ①        64. ②         65. ①         66. ①          67. ②

68. 다음 중 유압 작동유에 필요한 성질이 아닌 것은 ? [19-1]

   ① 산화 안정성이 좋아야 한다.                              ② 마모 방지성이 좋아야 한다.

   ③ 부식 방지성 및 방향성을 가져야 한다.              ④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가 커야 한다.

[해설] 점도는 적당해야 하고, 점도 지수는 높아야 한다.

69. 유압 작동유와 공급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6-4]

   ① 유압 시스템은 압력을 가진 매체로 에너지를 전달 수행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② 유압 작동유는 압축성 유체이어야 한다.

   ③ 유압 펌프는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④ 공급 시스템에서 유체는 항상 청결해야 하며, 필터를 사용해야 한다.

[해설] 유압 작동유는 비압축성 유체이어야 한다.

70. 다음 중 유압 작동유의 유효한 성질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철저히 관리해야 할 주요 사항이 아닌 것은 ? [12-4]

   ① 온도            ② 공기의 혼입            ③ 이물질의 혼입             ④ 윤활성

[해설] 윤활성은 작동유의 역할이다.

71. 유압 작동유의 필요한 성상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09-4]

   ①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의 변화가 적어야 한다.            ② 증기압이 높고 비점이 낮아야 한다.

   ③ 산화 안정성이 좋아야 한다.                                        ④ 향유화성(抗乳化性)이 좋아야 한다.

[해설] 점도가 설비에 미치는 영향

   ㉠ 고점도일 경우 유동성이 나쁘기 때문에 동력 손실이 발생하고 열이 발생한다.

   ㉡ 저점도일 경우 유동성이 좋기 때문에 누설이 크다.

72. 다음 중 O/W 유화형 작동유의 특징이 아닌 것은 ? [07-4]

   ① 불연성이다.         ② 냉각성이 양호하다.             ③ 점도 변화가 크다.       ④ 환경 보전성이 양호하다.

73. 윤활유의 점도는 온도에 의해서 변하므로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압작동유 탱크 (oil tank)의 최고 온도

      는 몇 ℃ 이내로 관리하여야 하는가 ? [19-2]

   ① 30 ℃            ② 55 ℃           ③ 75 ℃              ④ 90 ℃

[해설] 오일의 교환 주기는 일반적으로 양호한 환경이며, 운전 온도 50 ℃ 이하인 경우 1년에 1번 정도 교환한다. 그러나

           온도가 100 ℃ 정도 되는 경우에는 3개월 마다 또는 그 이전에 교환한다.

74. 다음 중 일반 작동유 (일반 기계)의 일반적인 관리 한계 (교환기준)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 [08-4, 11-4, 15-4]

   ① 수분 : 0.5 % (용량) 이하                                  ② n-펜탄 불용분 : 0.05% (무게) 이하

   ③ 동점도의 변화 : 신유의 ±15 %이내                  ④ 전산가(신유 대비 증가) : 0.5mg KOH/g 이하

[해설] 수분의 함량은 0.1 %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   68. ④      69. ②      70. ④      71. ②      72. ③      73. ②      74. ①

75. 다음 중 유압 펌프에서 유압 작동유가 토출되지 않는 원인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 [14-2, 19-2]

   ① 오일의 점도가 낮다.                                    ② 오일 흡입 라인의 누설이 있다.

   ③ 펌프(베인 펌프) 회전속도가 낮다.               ④ 오일 탱크 내의 유량이 부족하다.

[해설] 오일 점도가 낮을 경우 토출 유량이 적어질 수 있으나 펌핑은 가능하다.

76. 유압 펌프에서 고점도유 사용 시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4-4]

   ① 유압 펌프의 용적 효율 저하     ② 케비테이션의 발생    ③ 축입력 (軸入力)의 증가      ④ 유동, 교반 저항의 증가

77. 유압 작동유 열화의 원인으로 맞지 않는 것은 ? [15-2]

   ① 미세한 불순물 침입          ② 작동유의 온도 급상승     ③ 작동유의 수분 혼입         ④ 고점도 지수 오일 사용

78. 유압 작동유가 오염되는 침입 경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1-1]

   ① 고체 입자     ② 유압 필터        ③ 공기의 침입         ④ 작동유와 다른 종류의 액체

[해설] 필터는 오염을 방지해 주는 기기이다.

[정답]   75. ①        76. ①         77. ④             78. ②

#플러싱 #유동점 #터빈유 #슬러지 #밀봉작용 #점도 #순환식 #유욕식 #평기어 #헬리컬기어 #베벨기어 #윤활유 #사이펀 #리징 #리플링 #스폴링 #스코어링 #극압윤활유 #피팅

 

반응형

'설비보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공작법  (0) 2024.02.02
기계 요소 제도  (4) 2024.02.02
윤활유 시험 출제 예상 문제  (2) 2024.01.30
윤활 기술 출제 예상 문제  (2) 2024.01.29
윤활 급유법 출제 예상 문제  (0) 2024.01.29
반응형
 

1. 윤활제의 성질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6-2]

   ① 유동점 : 윤활유의 온도를 낮출 때 유동점을 잃기 전의 온도

   ② 점도 : 액체가 유동할 때 나타나는 내부 저항으로 동점도는 절대 밀도로 나눈 값이다.

   ③ 주도 : 그리스의 주도는 윤활유의 점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그리스의 무르고 단단한 정도를 나타낸다.

   ④ 적하점 : 그리스를 가열했을 때 반고체 상태의 그리스가 액체 상태로 되어 떨어지는 최초의 온도이다.

[해설] 동점도 = 절대 점도 / 밀도

2. 윤활유의 성질 중 액체가 유동할 때 나타나는 내부 저항을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  [07-4, 10-4, 18-1]

   ① 점도     ② 중화가     ③ 동판 부식     ④ 산화 안정도

[해설] 점도 : 윤활유의 가장 기본적인 성질로 유체역학적 유막 형성에 기여하는 성질

3. 다음 중 윤활유의 점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9-4]

   ① 동점도의 단위는 센티 스톡 (cSt)이다.

   ② 액체가 유동할 때 나타나는 내부 저항이다.

   ③ 절대 점도는 동점도를 밀로로 나눈 것이다.

   ④ 기계의 윤활 조건이 동일하다면 마찰열, 마찰손실, 기계 효율을 좌우한다.

[해설] 절대 점도 = 동점도 × 밀도

4. 다음 중 윤활유의 점도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17-2]

   ① 점도란 윤활유가 유동할 때 나타나는 공기의 저항을 나타낸다.

   ② 윤활유의 물리 화학적 성질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성질이다.

   ③ 절대점도 = 동점도 × 밀도로 계산한다.

   ④ 점도의 단위는 poise나 N · s / ㎡이 사용된다.

5. 유압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 발생되는 현상은 ? [21- 4]

   ① 동력 소비 증대                      ② 계통 내의 압력 상승

   ③ 계통내의 압력 손실 증대       ④ 내 · 외부 틈으로의 누유 증대

6. 다음 중 윤활유의 점도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는 어느 것인가 ? [14-2, 16-4]

   ① 습도        ② 압력            ③ 비중           ④ 온도

[해설] 점도는 온도에 매우 민감하다.

7. 다음 중 윤활유의 점도와 온도의 관계를 지수로 나타내는 실험값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 [07-4, 14-2, 19-1]

   ① 색     ② 유동점     ③ 점도 지수     ④ 인화점 및 연소점

[정답]   1. ②    2. ①    3. ③    4. ①    5. ④    6. ④    7. ③

8. 오일의 열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맞는 것은 ?

   ① 유동점      ② 중화가      ③ 산화 안정도      ④ 점도 지수

[해설] 점도 지수가 높다는 것은 온도 변화에 대한 점도 변화가 적다는 것이다.

9. 윤활유(적유)를 선정할 때 가장 중요시 하여야 할 항목은 ? [07-4]

   ① 비중      ② 동점도      ③ 중화가      ④ 산화 안정성

10. SAE 엔진유 점도 분류에서 동점도를 표시하는 기준 온도는 ? [13-4]

   ① 10 ℃      ② 40 ℃      ③ 50 ℃      ④ 100 ℃

[해설] SAE 에서 점도 분류에서 동점도를 표시하는 기준 온도는 100 ℃ 이다.

11. 일반적으로 윤활유의 적정 점도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틀린 것은 ? [14-4]

   ① 윤활유의 점도를 선정할 때는 주로 운전온도, 하중, 운전 속도를 고려한다.

   ② 하중이 클수록 고점도유를 사용한다.

   ③ 운전 온도 (주위 온도)가 높을 수록 고점도유를 사용한다.

   ④ 운전 속도가 느릴수록 저점도유를 사용한다.

12. 윤활유의 적정 점도를 선정하려고 할 때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어느 것인가 ? [18-1, 20-3]

   ① 운전 속도      ② 운전 온도      ③ 운전 하중      ④ 윤활유의 수명

13. 절삭유에 요구되는 주요 성능으로 틀린 것은 ? [13-4]

   ① 반용착성     ② 세정성     ③ 가열성     ④ 방청성

14. 무단 변속기에 사용되는 윤활유가 가져야 할 윤활조건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어느 것인가 ? [15-2, 18-2, 20-4]

   ① 기포가 적을 것    ② 내하중성이 클것     ③ 점도 지수가 낮을 것    ④ 산화 안정성이 좋을 것

 

[해설] 모든 윤활유의 점도는 적당하고, 점도 지수가 높아야 한다.

15. 윤활제의 열화와 원인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 [10-4]

   ① 산화 방지제의 소모 → 전단                     ② 이유 현상 (증주제의 함량 증가) → 산화

   ③ 점도의 증가 (기유의 감소) → 증발           ④ 증주제 구조의 파괴 → 원심력

[해설]   ① 산화방지제의 소모 → 산화           ② 이유 현상 (증주제의 함량 증가) → 원심력

             ④ 증주제 구조의 파괴 (주도 증가) → 전단

16. 윤활유의 열화에 미치는 인자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0-4]

  ① 산화 (oxidation)      ② 동화 (assimilation)          ③ 탄화 (carbonization)      ④ 유화 (emulsification)

[정답]   8. ④    9. ②    10. ④    11. ④    12. ④    13. ③     14. ③    15. ③    16. ②

17. 윤활유에서 발생되는 트러블 현상에 대한 원인이 잘못 연결된 것은 ? [18-4]

   ① 수분 증가 - 고체 입자 혼입                   ② 인화점 감소 - 저점도유의 혼입

   ③ 동점도 증가 - 고점도유의 혼입            ④ 외관 혼탁 - 수분이나 고체의 혼입

[해설] 윤활유의 트러블과 대책

트러블 현상
원 인
대 책
동점도 증가
⊙ 고점도유의 혼입
⊙ 산화로 인한 열화
⊙ 다른 윤활유 순환계통 점검
⊙ 동점도 과도시 윤활유 교환
동점도 감소
⊙ 저점도유 혼입
⊙ 연료유 혼입에 의한 희석
⊙ 다른 윤활유 순환 계통 점검
⊙ 연료 계통 누유 상태 점검
수분 증가
⊙ 공기 중의 수분 응축
⊙ 낸각수 혼입
⊙ 수분 제거
⊙ 수분 혼입원의 점검
외관 혼탁
⊙ 수분이나 고체의 혼입
⊙ 점검 후 윤활유 교환
소포성 불량
⊙ 고체 입자 혼입
⊙ 부적합 윤활유 혼입
⊙ 윤활유 교환
전산가 증가
⊙ 열화가 심한 경우
⊙ 이물질 혼입
⊙ 열화 원인 파악
⊙ 이물질 파악 및 교환
인화점 증가
⊙ 고점도유 혼입
⊙ 점검 후 윤활유 교환
인화점 감소
⊙ 저점도유 혼입
⊙ 연료유 혼입
⊙ 점검 후 윤활유 교환
 

18. 다음 중 윤활유의 열화 원인으로 맞지 않는 것은 ? [07-4, 17-4, 19-1]

   ① 질화 현상          ② 산화 현상          ③ 유화 현상           ④ 탄화 현상

19. 다음 중 윤활유의 열화 판정법 중 직접 판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  [08-4, 14-2, 17-4]

   ① 신유의 성상을 사전에 명확히 파악한다.              ② 손으로 찍어 보고 점도의 대소를 판단한다.

   ③ 사용유의 대표적 시료를 채취하여 성상을 조사한다.

   ④ 신유와 사용유의 성상을 비교 · 검토 후 관리 기준을 정한다.

20. 다음 중 윤활유의 간이 측정에 의한 열화 판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0-4, 13-4, 18-2]

   ① 냄새를 맡아 보고 판단한다.

   ② 기름을 방치 후 색상 변화로 수분 혼입 상태를 판단한다.

   ③ 손으로 기름을 찍어 보고 경험으로 점도의 대소를 판단한다.

   ④ 기름과 물을 같은 양으로 넣고 심하게 교반 후 방치 향유화성을 판단한다.

21. 윤활유 열화의 직접적인 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 [09-4, 13-4]

  ① 내부 변화 (윤활유 자체의 변화)           ② 연료유 및 이종유 희석

  ③ 유화 (물)                                               ④ 0.3 ~ 0.4% 황분 함유

[해설] 산화방지 방법은 밀봉 장치를 철저히 보수하여 공기 중의 산소 흡수를 차단한다.

          또한 윤활유 내에 존재하는 황 함량이 0.3 ~ 0.4 %일 때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을 하지 못하게 하여

          산화 방지를 유도할 수 있다.

[정답]   17. ②     18. ①     19. ②     20. ②     21. ④

22. 다음 중 윤활유의 열화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 [12-4]

   ① 산가의 감소       ② 점도 변화        ③ 수분 증가       ④ 색상 변화

23. 다음 윤활유의 열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내부 변화에 의한 인자는 어느 것인가 ?  [08-4, 12-4, 16-2, 21-1]

   ① 유화     ② 희석     ③ 산화        ④ 이물질 혼입

24. 윤활유 열화에 미치는 인자 중 윤활유를 사용할 때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여 화학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은 ?

        [20-3]

   ① 희석        ② 유화         ③ 산화           ④ 이물질 혼입

[해설] 산화란 어떤 물질이 산소와 화합하는 것을 말한다. (공기중의 산소 흡수), 즉, 공기 중의 산소를 차단하는 것이 산화

          방지에 중요한 방법이다. 윤활유가 산화를 하면 윤활유 색의 변화와 점도 증가 및 산가의 증가 그리고 표면 장력의

          저하를 가져온다.  (슬러지 증가로 인해 점도 증가)

25. 윤활 관리에 있어서 윤활유의 산화 (Oxidation)는 윤활유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다음 중 윤활유

       산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8-1]

   ① 산소       ② 온도         ③ 금속 촉매           ④ 동질의 윤활유

26. 다음 중 윤활유의 탄화와 관계가 없는 것은 ? [09-4, 15-4, 18-4]

   ① 고온 표면과의 접촉           ② 윤활유의 가열 분해

   ③ 공기 중의 산소 흡수          ④ 열전도 속도 보다 산소와의 반응 속도가 늦음

27. 다음 중 윤활유가 유화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 [19-4, 20-4, 21-2]

   ① 수분과의 접촉이 없을 때

   ② 기름의 산화가 상당히 일어 났을 때

   ③ 윤활유가 열화되어 이물질분이 증가되어 고점도유에 이르렀을 때

   ④ 운전 조건이 가혹해서 탄화수소분의 변질을 가져왔을 때

[해설] 수분과 접촉이 많아야 유화된다.

28. 다음 중 윤활유의 유화를 촉진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 [06-4]

   ① 기름의 산화가 상당히 일어 났을 때

   ② 수분과의 접촉이 많을 경우

   ③ 윤활유가 열화되어 오염이 증가되어 고점도가 될 경우

   ④ 점도가 저하되었을 때

[해설] 유화 : 윤활유가 수분과 혼합해서 유화액을 만드는 현상은 유 중에 존재하는 미세한 이물질 입자의 극성 (일종의

                     응집력)에 의해서 물과 기름의 표면 장력이 저하하여 W/O형 에멀젼이 생성되면서 점차 강인한 보호막이

                     형성되는 결과로 일어나는 것으로, 유화 입자는 보통 1개의 크기가 10-5 ~ 10-6 ㎜ 정도이며 큰 것도 있어

                     이것이 집합해서 유화액이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윤활유가 유화되는 원인으로서는

        ㉠ 오일의 산화가 상당히 일어 났을 때

        ㉡ 윤활유가 열화되어 이물질이 증가하여 고점도유에 이르렀을 때

        ㉢ 운전 조건이 가혹해서 탄화수소분의 변질을 가져왔을 때

        ㉣ 수분과의 접촉이 많을 경우 등이다.

[정답]    22. ①     23. ③     24. ③     25. ④     26. ③     27. ①     28. ④

29. 윤활유 중에 연료유나 다량의 수분이 혼입되었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윤활 성능을 저하시키는 것은 ? [16-4, 20-4]

   ① 산화       ② 탄화         ③ 동화          ④ 희석

[해설] 탄화는 윤활유가 고온에 있을 때, 산화는 공기중에 산소와 접촉이 많을 때 발생한다.

30. 다음 중 윤활유의 열화방지책으로 틀린 것은 ? [14-4]

   ① 오일의 적정 점도 유지를 위한 적당한 첨가제 사용을 권장한다.

   ② 신기계 도입 시 쇠, 녹물, 방청제 등을 충분히 세척 후 사용한다.

   ③ 월 1회 정도 세척을 실시하여 순환계통을 청정하게 유지한다.

   ④ 사용유는 원심 분리기 백토 처리 등의 재생법을 이용하여 재사용한다.

[해설] 윤활유의 열화 방지법

   ㉠ 고온은 가능한 피할 것

   ㉡ 기름의 혼합 사용은 극력 피할 것 (첨가제 반응 적합 점도 유지)

     신기계 도입시는 충분히 세척 (flushing)을 행한 후 사용할 것

   ㉣ 교환시는 열화유를 완전히 제거할 것

   ㉤ 협잡물 (挾雜物) : 수분, 먼지, 금속, 마모분, 연료유) 혼입시는 신속히 제거할 것

   ㉥ 연 1회 정도는 세척을 실시하여 순환계통을 청정하게 유지할 것

   ㉦ 사용유는 가능한 원심 분리기 백토 처리 등의 재생법을 사용하여 재사용할 것

   ㉧ 경우에 따라서 적당한 첨가제를 사용할 것

   ㉨ 급유를 원활히 할 것 등

31. 다음 중 윤활유의 열화 방지책으로 틀린 것은 ? [17-2]

   ① 고속 기어에는 저점도의 윤활유가 적합하다.

   ② 원 기어는 미끄럼 속도가 빠르고 운전 온도도 높게 되므로 산화 안정성이 우수한 순광유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③ 새로운 기계 도입시 쇠, 녹물, 방청제 등을 충분히 세척 후 사용한다.

   ④ 월 1회 정도 세척을 실시하여 순환계통을 청정하게 유지하고, 교환시는 열화유를 50% 정도 제거한다.

32. 윤활유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 [18-1, 20-3]

   ① 고온을 피한다.                                    ② 협잡물 혼입시는 신속히 제거한다.

   ③ 신기계 도입 시 충분한 세척을 한 후 사용한다.

   ④ 윤활유 교환시 열화유와 새로운 오일을 섞어서 교환한다.

33. 오일의 산화, 열화, 이물질 혼입 등으로 인하여 재생 작업을 하고자 한다. 다음 중 물리적 재생 방법에 속하는 것은 ?

       [18-1]

   ① 여과법       ② 정치 침전법       ③ 벡토 처리법         ④ 원심 분리 방법

[정답]   29. ④    30. ③    31. ③    32. ④    33. ③

34. 오염도 측정법 중에서 질량법에 의한 방법으로서 NAS 오염도 등급을 기준으로 일반 사용에서의 사용 한계라고 할 수

      있는 기준치는 ? [08-4, 12-4]

   ① NAS 3급      ② NAS 5급         ③ NAS 7급           ④ NAS 12급

[해설] NAS 12급은 5~15 마이크론의 오염 입자가 약 100만 개 이상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폐기 판정이 바람직하다.

35. NAS 10등급은 입경 5~15 μm 기준으로 이물질이 몇 개이어야 하는가 ? [11-4]

   ① 6,000개 초과 32,000개 이하               ② 32,000개 초과 64,000개 이하

   ③ 64,000개 초과 128,000개 이하           ④ 128,000개 초과 256,000개 이하

[해설] 00등급 125개, 0등급 250개, 1등급 500개 ··· 10등급 256,000개 등 등급이 높아짐에 따라 이물질의 개수가 배수로

           증가한다.

36. 다음 윤활유의 주요 오염물질의 종류별 발생원인을 나열한 것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 [14-2]

   ① 산화 생성물 : 고온, 수분에 의한 오일의 분해       ② 슬러지 : 오염도 증가로 인한 수분의 분해

   ③ 수분 : 수분에 의한 산화 방지제의 분해                ④ 공기 : 펌프 패킹 불량에 의한 공기 흡입

37. 윤활유에 영향을 주는 여러 오염원 중에서 정상적인 설비에서 윤활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 자연적으로 영향을 주는

      오염원이 아닌 것은 ?

   ① 열           ② 수분          ③ 슬러지            ④ 부동액

38. 윤활유가 열화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0-3]

    점도가 변화한다.      ② 산가가 증가한다.         ③ 색상이 변화한다.           ④ 슬러지가 감소한다.

[해설] 윤활유가 열화하면 슬러지가 증가한다.

39. 작동유의 수명을 결정하는 성상으로 오일의 산화로 생성된 슬러지가 밸브나 오르피스관 등을 막히게 하거나 마찰 부위

      를 마모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은 ? [17-2]

   ① 전단 안정성       ② 산화 안정성        ③ 마모 안정성         ④ 청정 안정성

40. 윤활유의 수명은 산화 및 이물질의 혼입에 따라 정해진다. 윤활유의 산화 속도와 관계가 없는 것은 ? [11-4]

   ① 온도                                                  ② 존재하는 촉매

   ③ 공기와의 접촉 윤활유의 종류           ④ 유동점 강화제 무첨가의 경우

[해설] 첨가제는 산화 방지제의 종류 등에 의해 변한다.

41. 다음 사용중인 윤활제의 분석 결과 윤활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는 ? [19-4]

   ① 수분이 0.1 vol% 이내이다.                           ② 마모 입자가 10 μm 보다 크다.

   ③ 동점도가 규정치 보다 10% 이내이다.          ④ 산성 성분 (전산가)이 0.3 mg KOH/g 이내이다.

[정답]   34. ④    35. ④     36. ②     37. ④     38. ④     39. ②     40. ④     41. ②

42. 커플링의 기계적 특성은 사용 윤활제의 종류나 윤활방법과 중요한 관계를 갖고 있다.

      모든 기계적 유형의 커플링 윤활제 선택조건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11-4]

   ① 커플링을 위한 윤활제는 온도와 하중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② 유동성은 최고 예상 온도 이상에서도 반드시 유지되어야 한다.

   ③ EP 오일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 요구되는 저점도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④ 지나친 어긋남과 고속의 상태에서는 저온에서 저점도 오일이 요구되며 고온 상태하에서는 점도의 감소 현상이

         일어난다.

[해설] 유동성은 최고 예상 온도에서는 유지되지 않는다.

43. 기계 설비의 운전시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될 만한 항목들을 윤활 부위, 윤활 조건, 윤활 환경 등에 따라 분류하게 되는데

       윤활제와 관련된 사항이 아닌 것은 ? [10-4]

   ① 부적합 윤활유의 사용                        ② 오일의 누설

   ③ 성상이 다른 오일과의 혼합                ④ 마찰면의 작용 불량

[해설] 마찰면의 작용 불량은 마찰면에 기인되는 현상이다.

44. 기계설비의 운전시 사고 발생의 원인으로 윤활 부위, 윤활 조건, 윤활 환경 등에 따른 분류로 나뉜다. 이 중 윤활 환경적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4-4, 17-2]

   ① 오일의 열화와 오탁                                      ③ 전도열이 높은 경우

   ③ 기온에 의한 현저한 온도 변화                      ④ 마찰면의 방열이 불충분한 경우

45. 윤활유 오염방지를 위해 oil tank 설치 시 다음 중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6-4]

   ① tank 저부에 magnetic filter 설치                  ② 적당한 strainer 설치

   ③ 적당한 baffle plate 설치                               ④ suction pipe는 tank 맨 하부에 설치

[해설] suction pipe는 tank 상부에 설치

46. 윤활 설비의 마모 매커니즘과 원인에 대하여 연결이 잘못된 것은 ? [09-4]

   ① 부식 마멸 - 부식성 용제나 산성 물질에 의한 마모

   ② 표면 피로 마멸 - 반복되는 충격으로 인한 마모

   ③ 침식 마멸 - 금속과 금속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마모

   ④ 연삭 마멸 - 경도가 작은 표면에 단단한 입자가 분포되어 있고 상대적인 미끄럼 운동이 있을 때 발생하는 마멸

[해설] 마모의 종류

  ㉠ 응착 마모 : 상호 운동하는 두 물체의 마찰 표면에서 원자 상호간 인력이 작용하며 상대적으로 약한 소재의 접촉면에서

                         마멸 입자가 떨어져 나오는 현상으로 금속과 금속이 직접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모는 응착 마모이다.

  ㉡ 연삭 마모 : 연한 소재의 표면에 고형체에 의한 연삭 작용이다. 연한 표면은 고형체에 의한 연삭 작용으로 물질의 일부

                           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 부식 마모 : 부식(산소, 부식성 화학물질)에서 일어나는 화학 작용에 의한 마모 현상이다.

  ㉣ 표면 피로 마멸 : 마찰 표면에 반복 하중으로 인한 피로 현상을 일으키며 발생하는 마모 현상이다.

  ㉤ 플레팅 마모 : 상호 운동하는 마찰 표면에 작은 진폭의 진동 하중에 의해 표면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

  ㉥ 침식 마모 : 물체 접촉 표면에 고체, 액체, 기체 입자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부딪힐 때 입자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다.

[정답]   42. ②     43. ④       44. ①      45. ④         46. ③

47. 윤활의 운동 형태 측면에서 굴림 운동 혹은 미끄럼 운동으로 나눠 볼 수 있다. 기계 요소 측면에서 미끄럼 및 굴림 운동

       모두 해당하는 곳이 아닌 곳은 ? [07-4]

   ① 헬리컬 기어         ② 하이포드 기어       ③ 베벨 기어         ④ 유입 실린더

48. 윤활제의 저장 보관시 다음 중 공통적으로 알아 두어야 할 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어느 것인가 ? [07-4]

   ① 청결 정돈       ② 안전          ③ 윤활제의 취급 방법         ④ 방청관리의 철저

49. 윤활설비의 고장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 [08-4]

    과소 급유                                                         ② 이물질의 혼입

  ③ 마찰면의 마멸에 의한 기계 부분의 변형           ④ 화학적 피막 또는 층상 고체 피막의 형성

50. 윤활 설비의 고장 원인 중 환경적인 요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

  ① 급유 작업의 부주의                                ② 전도열이 높은 경우

  ③ 기온에 의한 현저한 온도 변화                ④ 마찰면의 방열이 불충한 경우

51. 윤활공장 발생원인 중에는 윤활제면, 마찰면, 작업면, 급유 방법면, 환경면 등의 고장원인이 있는데, 작업면의 고장

        원인이 아닌 것은 ? [11-4]

   ① 급유 작업의 부주의                            ② 과잉의 급유 또는 과소한 급유

   ③ 급유기간이 너무 느리거나 빠름         ④ 성질이 다른 윤활제와의 혼합

52. 기계의 운전중 윤활 고장 현상으로 나타나는 직접적인 증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2-4]

   ① 마찰 부분의 손상        ② 소음이나 진동의 발생         ③ 온도의 상승         ④ 동력비의 감소

[해설] 동력비은 윤활 고장 현상이 아니라 사용량의 변화이다.

[정답]    47. ④     48. ④    49. ④    50. ①    51. ④    52. ④

53. 윤활유의 분석 결과 입자 오염도는 증가하였으나 그다지 마모분은 증가하지 않았다. 고장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은

      어느 것인가 ? [06-4]

   ① 점도의 저하       ② 에어브리더의 파손         ③ 펌프의 마모           ④ 산가의 증가

54. 터빈의 윤활 고장 중 기포 발생시 장애가 아닌 것은 ? [07-4]

   ① 유압 작동 불량        ② 윤활 사고         ③ 윤활유 산화 촉진          ④ 윤활유 열화

55. 공압 장치의 액추에이터 습동 부분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장치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 [18-2, 20-4]

   ① 미니메스          ② 오일 스톤          ③ 에어브리더           ④ 루브리케이터

[해설] 공압 장치에서 루브리케이터는 윤활기이다.

56. 윤활장치의 고장 원인 중 윤활유로 인한 원인이 아닌 것은 ? [19-4]

   ① 기름의 누설                                      ② 부적절한 오일 사용

   ③ 성질이 다른 기름의 혼합 사용          ④ 높은 전도열 및 마찰면의 불충분한 방열

57. 윤활 장치의 고장 원인 중 윤활유에 의한 원인이 아닌 것은 ? [20-3]

   ① 부적정유의 사용                         ② 오일의 열화와 오염

   ③ 급유 방법의 부적당                     ④ 이종유의 혼합 사용

58. 윤활 설비의 고장 방지를 위한 플러싱 전처리 방법 및 확인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13-4]

   ① 배관용 파이프 - 산 세정, 화학세정 후 방청 처리, 용접개소는 스케일 제거 후 조립한다.

   ② 펌프, 쿨러 및 필터류 - 방청 도료 도포 유무 개방 검사를 실시한다.

   ③ 각종 밸브 - 압축 공기로 청소, 방청 그리스가 도포된 경우 탈지를 하여야 한다.

   ④ 오일 탱크 - 스케일 부착 시 기름걸레로 닦아 낸다.

[해설] 오일 탱크 - 와이어 브러시로 스케일 제거 후 스펀지로 닦아 내며, 오염된 걸레의 사용은 피한다.

59. 유압 장치의 플러싱을 실시하기 위한 적정 시기가 아닌 것은 ? [15-2]

   ① 설치된 유압 장치의 분해 정비 후

   ② 사용유를 분석하여 윤활유를 교환할 때

   ③ 기계 장치 신설 시 고형 물질, 절삭가루, 이물질 등의 제거가 필요할 때

   ④ 순환 계통의 입구 유온과 냉각기 출구 유온과의 차가 일정한 기준치일 때

[정답]   53. ②      54. ④     55. ④      56. ④      57. ③       58. ④          59. ④

60. 다음 중 윤활계의 운전과 보전에서 플러싱유를 선택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 [16-2, 19-2]

   ① 방청성이 매우 우수할 것                        ② 고점도유로 인화점이 낮을 것

   ③ 고온의 청정 분산성을 가질 것                ④ 사용유와 동질의 오일을 사용할 것

[해설] 플러싱유의 선택

   ㉠ 저점도유로서 인화점이 높을 것

   ㉡ 사용유와 동질의 오일을 사용할 것

   ㉢ 고온의 청정 분산성을 가질 것

   ㉣ 방청성이 매우 우수할 것

61. 다음 중 윤활 계통의 운전과 보전 활동 중 플러싱 실시 시기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2-4, 16-4, 19-1]

    윤활유 보충시 실시한다.               ② 윤활유 교환시 실시한다.

  ③ 윤활계의 검사시 실시한다.            ④ 기계장치의 신설시 실시한다.

62. 다음 중 oil flushing을 해야 할 시기로 가장 적절한 것은 ? [18-2]

   ① 정상 운전 중                               ② 기계의 수리 작업 이후

   ③ 매일 한 번씩 강제 실시               ④ oil sampling 검사를 실시하기 전

[정답]    60. ②      61. ①      62. ②

#윤활제 #중화가 #점도 #유동점 #인화점 #방청성 #산화 #유화 #탄화 #열화 #촉매

#백토처리법 #부동액 #핼리컬기어 #하이포드기어 #베벨기어 #에어브리더

반응형
반응형
 
 

1. 다음은 그리스 윤활과 오일 윤활의 특성을 비교한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 ? [19-2]

   ① 윤활제 누설은 오일 윤활에 비해 그리스 윤활이 많다.

   ② 냉각 효과는 오일 윤활에 비해 그리스 윤활이 좋지 않다.

   ③ 오염 방지는 오일 윤활에 비해 그리스 윤활이 용이하다.

   ④ 윤활제 교환은 그리스 윤활에 비해 오일 윤활이 용이하다.

2. 그리스 윤활의 단점이 아닌 것은 ? [09-2]

   ① 급유 교환, 세정 등이 어렵다.         ② 초기 회전 시 회전 저항이 크다.

   ③ 급유량 조절이 곤란하다.                ④ 유동성이 나쁘기 때문에 누설이 크다.

[해설] 그리스는 유 윤활유에 비해 누설이 적다.

3. 그리스와 액상 윤활제의 비교에서 액상 윤활제의 특징이 아닌 것은 ? [07-4]

   ① 모든 속도에 가능             ② 밀봉 장치 설계가 용이

   ③ 먼지 여과가 용이             ④ 세부 윤활이 용이

4. 액체 윤활에 비해 그리스 윤활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 [18-1]

   ① 누설이 많다.     ② 냉각 작용이 크다.    ③ 급유 간격이 짧다.     ④ 밀봉 효과가 좋아 먼지 등의 침입이 작다.

[해설] 그리스 윤활은 윤활유 윤활에 비해 냉각 작용이 작고, 누설이 적으며, 급유 간격이 비교적 긴 것이 특징이다.

5. 윤활유 윤활과 그리스 윤활을 비교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 [19-4]

   ① 그리스 윤활이 누설이 적다.               ② 윤활유 윤활이 냉각 효과가 크다.

   ③ 그리스 윤활이 회전 저항이 작다.      ④ 윤활유 윤활이 밀봉 장치가 복잡하다.

[해설] 그리스 윤활이 유 윤활보다 회전 저항이 더 크다.

6. 일반적인 그리스 윤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20-4]

   ① 급유, 교환, 세정 등이 어렵다.                    ② 초기 회전 시 회전 저항이 크다.

   ③ 유동성이 좋고 온도 상승 제어가 쉽다.      ④ 흡착력이 강하므로 고하중에 잘 견딘다.

[해설] 그리스는 유동성과 냉각 효과가 나쁘므로 온도 상승 제어가 어렵다.

7. 윤활유 급유 방법 - 윤활제 - 윤활 장치의 종류를 순서대로 연결한 것 중 틀린 것은 ?   [08-4, 15-2]

   ① 수동 급유 - 그리스 - 그리스건                         ② 적하 급유 - 윤활유 - 심지 급유기

   ③ 자기 순환 급유 - 윤활유 - 분무장치                 ④ 강제순환급유 - 그리스 - 자동 집중 급유 장치

[정답]    1. ①    2. ④    3. ②    4. ④    5. ③    6. ③    7. ③

8. 윤활제의 공급법 중 순환 급유법이 아닌 것은 ? [21-2]

   ① 바늘 급유법    ② 비말 급유법    ③ 유욕 급유법    ④ 원심 급유법

[해설] 비순환 급유법의 적하 급유법 종류에는 사이펀 급유법, 가시 적하 급유법, 바늘 급유법, 실린더용 적하 급유법 등이

          있다.

9. 비순환 급유법에 해당하는 것은 ? [15-2]

   ① 바늘 급유법    ② 비말 급유법    ③ 유욕 급유법    ④ 패드 급유법

10. 다음 중 비순환 급유 방법이 아닌 것은 ? [09-4, 14-2, 16-2, 17-2, 16-2, 20-3]

   ① 손 급유법    ② 적하 급유법    ③ 바늘 급유법    ④ 유욕 급유법

[해설] 비순환급유법

 ㉠ 손 급유법 (Hand oiling)

   ⊙ 윤활 부위에 윤활유를 손으로 급유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 기계적 급유법을 사용할 수 없는 곳 또는 마찰면의 미끄럼 속도가 낮고 경하중인 경우

   ⊙ 윤활유 소비량이 많고 사용빈도수가 적은 경우

 ㉡ 적하 급유법 (Drop - feed oiling)

   ⊙ 급유 되어야 하는 마찰면이 넓은 경우 윤활유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

   ⊙ 니들 밸브를 이용하여 급유량 조절 가능

㉢ 가시 부상 유적 급유법

  ⊙ 유적물 등의 액체를 가득 채운 유리관 속을 서서히 떠오르게 하는 급유기를 사용

  ⊙ 급유 상태를 뚜렸하게 확인할 수 있음

11. 순환 급유 종류 중 마찰면이 기름 속에 잠겨서 윤활하는 급유 방법은 ? [21-4]

   ① 유욕 급유    ② 패드 급유    ③ 나사 급유    ④ 원심 급유

[해설] 유욕 급유법 : 마찰면이 기름 속에 잠겨서 윤활하는 방법으로 윤활이 원활하고 냉각 효과가 크다.

12. 다음 중 전손식 급유 방법이 아닌 윤활방식은 ? [09-4]

   ① 손 급유       ② 적하 급유      ③ 심지 급유       ④ 순환 급유

[해설] 전손식 급유방법 : 손급유, 적하 급유, 심지급유, 기력급유, 상부 패킹 급유, 분무 급유, needle 밸브 급유, 핀형 급유

13. 다음 급유 방법 중에 순환 급유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06-4, 10-4, 17-4, 19-4]

   ① 비말 급유법     ② 원심 급유법       ③ 적하 급유법       ④ 유륜식 급유법

[해설] 순환 급유법 : 패드 급유법, 비말 급유법, 원심 급유법, 체인 급유법, 유륜식 급유법, 유욕 급유법 등

14. 윤활유 공급 방법 중 순환 급유 방법은 어느 것인가 ? [21-1]

   ① 손 급유법       ② 비말 급유법        ③ 적하 급유법        ④ 사이펀 급유법

15. 윤활유 급유법 중 기계의 운동부가 기름 탱크 내의 유면에 미소하게 접촉하면 기름의 미립자 또는 분무 상태로 기름

      단지에서 떨어져 마찰면에 튀겨 급유하는 것은 무엇인가 ? [17-2]

   ① 패드 급유법       ② 비말 급유법         ③ 그리스 급유법        ④ 사이펀 급유법

16. 급유 방법 별 적정 유면 관리 기준으로서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1-4]

   ① 가시 적하 : 오일 용기 높이의 1/3 ~ 2/3             ② 체인 급유 : 체인의 최하부가 충분히 젖는 높이

   ③ 링 급유 : 링 바깥지름 밑에서 1/3 ~ 2/3             ④ 유욕 급유 : 기계별로 정해진 계기의 적정 유면

[해설] 링 급유는 링 외경의 1/5 ~ 1/7 정도가 Oil에 젖는 높이로 적당하다.

[정답]   8. ①    9. ①    10. ④    11. ①    12. ④    13. ③    14. ②    15. ②    16. ③

17. 순환 급유 방법 중 고압, 고속의 윤활 개소에 가장 적당한 급유 방법은 ? [13-4]

   ① 강제 순환 급유법    ② 중력 순환 급유법    ③ 버킷 급유법    ④ 체인 급유법

18. 다음은 강제 순환 급유 장치의 특징을 열거하였다. 틀린 것은 ? [10-4]

   ① 냉각 효과가 크고, 윤활 부위에서 발생한 마찰열을 윤활유가 냉각시킨다.

   ② 금속면의 마멸 입자, 윤활유의 열화 생성물, 외부 혼입 이물질을 제거하고 깨끗한 윤활유를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③ 다수의 윤활 부위에 적정 유량을 쉽게 배분할 수 있다.

   ④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므로 관리가 쉽다.

19. 강제 순환 급유 장치의 오일 탱크 유면의 관리 기준으로 맞는 것은 ? [16-2]

   ① 최고 유면은 탱크 유량의 60% 이하, 최저 유면은 운전시 탱크 유량의 40 % 이하

   ② 최고 유면은 탱크 유량의 70% 이하, 최저 유면은 운전시 탱크 유량의 20 % 이하

   ③ 최고 유면은 탱크 유량의 80% 이하, 최저 유면은 운전시 탱크 유량의 30 % 이하

  ④ 최고 유면은 탱크 유량의 90% 이하, 최저 유면은 운전시 탱크 유량의 50 % 이상

20. 윤활 관리의 방법이나 설비관리의 내용 중 맞지 않는 것은 ? [09-4]

   ① 그리스는 많이 주입할 수록 좋다.

   ② 설비에 수분과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③ 오일 온도는 적정 온도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④ 오일의 오염도는 NAS 등급을 사용한다.

[해설] 그리스는 베어링 하우징 내부 공간의 1/2 ~ 1/3 정도 주유한다.

21. 다음 중 그리스 윤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16-4, 19-4]

   ① 밀봉 효과가 크다.                     ② 내수성이 강하다.

   ③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④ 이 물질 혼합시 제거가 용이하다.

[해설] 그리스 윤활은 유 윤활에 비해 혼입물 제거가 곤란하다.

22. 다음 중 그리스 윤활의 장점이 아닌 것은 ? [14-2, 17-4, 20-3]

   ① 유동성이 나쁘기 때문에 누설이 적다.            ② 냉각효과가 커서 온도 상승 제어가 쉽다.

   ③ 흡착력이 강하므로 고하중에 잘 견딘다.        ④ 기계의 설계가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

[해설] 그리스는 유 윤활유에 비해 냉각 효과가 작다.

[정답]   17. ①    18. ④    19. ④    20. ①    21. ④    22. ②

23. 그리스 윤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2-4]

   ① 베어링 온도가 높을 수록 급유 주기를 짧게 조정한다.

   ② 그리스 급유법으로는 그리스 건에 의한 수동 급유법, 펌프 급유법, 기계식 및 집중 급유법 등이 있다.

   ③ 고속 회전일 수록 그리스 주입량을 많게 한다.

   ④ 용도가 다른 그리스를 혼용하여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24. 그리스 충전 방법에 과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 [06-4]

   ① 저속 베어링일 수록 그리스의 충전량은 적게 한다.

   ② 나트륨 그리스와 리튬 그리스의 혼합 충전을 피한다.

   ③ 베어링의 하중이 클수록 최소 적정량으로 관리한다.

   ④ 일반적으로 베어링 하우징의 공간에 1/3내지 1/2을 충전한다.

25. 다음 중 그리스 윤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16-4]

   ① 유동성이 나쁘기 때문에 누설이 적다.

   ② 초기 회전시 회전 저항이 크고 급유량 조절이 어렵다.

   ③ 유막이 장기간 유지되므로 녹이나 부식이 방지된다.

   ④ 흡착력이 약하고 온도 상승 제어가 쉬워 초고속에 적합하다.

[해설] 그리스는 온도 상승 제어가 어렵고, 저 · 중속에 적합하다.

26. 구름 베어링의 그리스 주입에 관련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13-4]

   ① 하우징의 설계에 관계없이 주입량은 같다.

   ② 과잉 그리스 (excessive grease)는 저속에서 품질 변화와 누설을 일으킨다.

   ③ 과잉 그리스 (excessive grease)는 고속에서 과열 또는 연화를 일으킨다.

   ④ 공간 용적은 하우징의 내용적에서 축과 베어링의 용적을 뺀 값이다.

27. 그리스의 급지 (급유)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 [11-4, 15-2]

   ① 그리스의 충전량이 너무 많으면 마찰 손실이 크며, 온도 상승 원인이 된다.

   ② 그리스 건을 사용하므로 마찰면에서 급유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③ 베어링의 경우 그리스의 일반적인 충전량은 베어링 내부공간의 3/4이 적당하다.

   ④ 그리스를 교체할 때는 전에 사용하던 그리스를 완전히 제거하고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해설] 그리스를 베어링에 충전시 적정량은 일반적으로 통상 베어링 내부 공간의 1/2 내지 2/3이다. 고속일 경우 1/3 ~ 1/2,

            저속일 경우 1/2 ~ 2/3 이다.

28. 집중 급유 장치를 이용하여 그리스 윤활을 하려고 한다. 이 때 사용되는 그리스의 주도번호는 몇 호 이하인 것이 가장

      적합한가 ? (단, KS 기준을 준용한다.)

   ① 2호 이하      ② 3호 이하        ③ 4호 이하           ④ 5호 이상

[해설] KS M 2130 (그리스)

용도
종류
주도 번호
집중 급유용
그리스
1종
00, 0, 1호
2종
0, 1, 2호
3종
0, 1, 2호
4종
0, 1, 2호

※ NLGI 000호는 액상 반유동상으로 집중 급유용, 6호는 고상으로 매우 단단하여 미끄럼 베어링으로 사용된다.

[정답]    23. ③    24. ①    25. ④    26. ③    27. ③    28. ①

29. 다음 중 그리스 급유법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8-4, 21-4]

   ① 그리스 건    ② 그리스 컵    ③ 그리스 니플    ④ 집중 그리스 윤활 장치

30. 집중 그리스 윤활 장치에서 각 급유 개소 베어링의 급유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부품은 ? [07-4]

   ① 압송 펌프      ② 절환변       ③ 기동 타이머      ④ 분배 밸브

31. 다음 중 다수의 윤활 개소에 동일한 그리스로 윤활할 때 가장 좋은 급지 방법은 어느 것인가 ? [15-4]

     ① 건에 의한 급지      ② 컵에 의한 급지      ③ 중앙 집중식 급지      ④ 블록 시스템에 의한 급지

32. 설비의 대형, 자동화로 분배 밸브를 지관에 설치하고 임의의 양을 공급할 수 있는 급유방법으로 맞는 것은 ? [16-4]

   ① 집중 그리스 윤활장치      ② 그리스 프레스 공급 장치    ③ 강제 순환 급유법       ④ 중력 순환 급유법

[해설] 집중 그리스 윤활 장치 : 센트럴라이즈드 그리스 공급 시스텝 (Centralized grease supply system)으로서

                강압 그리스 펌프를 주체로 하여 다수의 베어링에 동시 일정량의 그리스를 확실히 급유하는 방법이다.

33. 중앙 집중식 그리스 공급 장치에서 그리스를 확실히 공급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다음 중

       그리스를 확실히 공급하기 위해 만족시켜야 할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7-2]

   ① 작동의 보증                                      ② 배관계의 복잡 다단화

   ③ 확실한 정량 분배의 급유                  ④ 보다 긴 배관계와 많은 급유 개소

[정답]   29. ③     30. ④     31. ③     32. ①     33. ②

#윤활 #그리스 #냉각 #밀봉 #급유 #순환윤활 #비순활윤활 #적하급유법 #손급유법

#유욕급유 #바늘급유법 #비말급유법 #링급유 #강제순환급유 #유동성 #흡착력

반응형
반응형

 

1. 유류의 위험물에 대한 분류 중 윤활제에 해당되는 각 석유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14-4]

   ① 제1석유류 : 아세톤, 나프타, 가솔린 등으로서 인화점이 20 ℃ 이하인 것

   ② 제2석유류 : 등유, 경유 등으로서 인화점이 21 ℃ 이상 60 ℃ 이하인 것

   ③ 제3석유류 : 중유, 저점도 윤활유 등으로서 인화점이 70 ℃ 이상 200 ℃ 미만인 것

   ④ 제4석유류 : 기계유, 실린더유 등으로서 인화점이 300 ℃ 이상인 것

[해설] 기계유, 실린더유 등 으로서 인화점이 300 ℃ 이하인 것

2. 다음 중 윤활제의 대분류로 알맞게 구성된 것은 ? [17-4]

   ① 윤활유 - 기어유 - 광유                       ② 고체 윤활유 - 기체 윤활유

   ③ 지방유 - 유압 작동유 - 기어유           ④ 윤활유 - 그시스 - 고체 윤활유

3. 다음 중 윤활유의 분류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0-4]

   ① SAE 분류법    ② API 분류법    ③ SAE 신분류법    ④ ASNT 분류법

[해설] 윤활유 분류법에는 SAE 분류법, API 분류법, SAE 신분류법이 있으며, AGMA, ASNT 는 미국 비파괴 검사학회 약칭

            이다.

4. 다음 중 우너유를 정유할 때 공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5-2]

   ① 기유 공정    ② 배합 공정    ③ 정제 공정    ④ 증류 공정

5. 다음 정유 공정 중 원유 중에 포함된 염분을 제거하는 탐염 장치와 같은 전체리 과정을 거친 후 가열된 원유를 상압 증류

     탑으로 보내어 가벼운 성분 부터 무거운 성분으로 분리하는 공정은 ? [20-3]

   ① 정제 공정          ② 배합 공정          ③ 증류 공정         ④ 기유 공정

6. 원료에 따른 윤활유를 분류할 때 석유계 윤활유에 속하는 것은 ? [20-4]

   ① 합성 윤활유       ② 동물계 윤활유          ③ 식물계 윤활유           ④ 나프텐계 윤활유

[해설] ㉠ 석유계 윤활유 : 파라핀계, 나프텐계, 혼합 윤활유

          ㉡ 비광유계 윤활유 : 동식물계, 합성 윤활유

7. 다음 중 석유계 윤활유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9-1, 19-2]

   ① 파라핀계 윤활유    ② 동식물계 윤활유    ③ 나프텐계 윤활유    ④ 혼합계(파라핀+나프텐) 윤활유

8. CnH2n+2 의 직렬 쇄상 구조이며 연소성이 양호한 원유는 ? [15-4]

   ① 나프텐계    ② 방향족계     ③ 올레핀계    ④ 파라핀계

[정답]   1. ④    2. ④    3. ④    4. ①    5. ③    6. ④    7. ②    8. ④

9. 윤활 기유에서 나프텐계와 비교하여 파라핀계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 [20-4]

   ① 밀도가 높다       ② 휘발성이 낮다.       ③ 인화점이 높다.         ④ 잔류 탄소가 많다.

[해설] 파라핀계와 나프텐계의 비교

구 분
파라핀계 원유
나프텐계 원유
유동점
높다.
낮다.
점도 지수 (VI)
높다
낮다.
밀도
낮다.
높다.
인화점
높다.
낮다.
색상
밝다.
어둡다.
잔류탄소
많다.
적다.
아닐린점 (용해성)
높다.
낮다.
 

10. 다음 중 파라핀계 윤활유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15-4]

   ① 점도 지수가 높다.                    ② 산화 안정성이 양호하다.

   ③ 냉동기용으로 적합하다.          ④ 경유의 품질은 우수하나 휘발유의 옥탄가가 낮다.

[해설] 나프텐계 기유는 점도 지수 및 산화 안정도가 낮은 반면 유동점이 낮아 저온 유동성이 좋기 때문에 냉동기유 등의

                                      특수 용도에 그 사용이 국한된다.

11. 윤활유의 기유로 사용되는 파라핀계 기유를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  [11-4, 18-2, 20-3]

   ① 휘발성은 나프텐 기유 보다 낮다.                    ② 점도 지수가 나프텐계 기유 보다 낮다.

   ③ 산화 저항성이 나프텐계 기유보다 높다.         ④ 인화점, 유동점이 나프텐계 기유보다 높다.

[해설] 점도 지수는 파라핀계가 나프텐계 보다 높다.

12. 윤활기유에서 파라핀계와 나프텐계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 [16-2]

   ① 유동점이 높다.    ② 휘발성이 높다.        ③ 점도 지수가 낮다.          ④ 산화 안정도가 낮다.

[해설] 유동점은 파라핀계가 나프텐계 보다 높다.

13. 다음 중 액상의 윤활유로서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 [06-4, 16-4]

   ① 가능한 한 화학적으로 활성이며, 청정 균질한 것                   ② 사용 상태에서 충분한 점도를 가질 것

   ③ 한계 윤활 상태에서 견디어 낼 수 있는 유성이 있을 것          ④ 산화나 열에 대한 안전성이 높을 것

[해설] 화학적으로 비활성이어야 한다.

14. 윤활유가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성질로 맞지 않는 것은 ? [12-4]

   ① 기기에 적합한 충분한 점도를 가져야 한다.

   ② 점도 지수가 낮아서 고온 상태에서도 충분한 점도를 유지해야 한다.

   ③ 한계 윤활 상태에서 견딜 수 있는 유성이 있어야 한다.

   ④ 산화에 대하여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정답]   9. ①     10. ③     11. ②     12. ①     13. ①     14. ②

15. 액상 윤활유가 갖추어야 할 성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4-4]

 ① Al, Na, Ca, Li, 벤톤 등의 증주제를 사용할 것                       ② 사용 상태에서 충분한 점도를 가질 것

 ③ 한계 윤활 상태를 견디어 낼 수 있는 유성(油性)이 있을 것  ④ 산화나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화학적으로 불활성일 것

16. 윤활유의 일반적인 성질을 잘못 설명한 것은 ? [08-4]

   ① 비중 (specific gravity)은 성능을 결절짓는데 중요한 요소는 아니고 오일의 종류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② API는 미국 석유협의에서 정한 비중이며, 물을 1로 하여 물보다 가벼운 것은 1이상, 물보다 무거운 것은 1이하의 수치

        로 표시한다.

   ③ 점도는 물보다 유동할 때 나타나는 내부 저항을 나타낸다.

   ④ 점도 지수 (viscosity index)는 윤활유의 점도와 온도관리를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17. 액상의 윤활유로서 갖추어야 할 성질로 틀린 것은 ? [19-1]

   ① 산화나 열에 대한 안전성이 낮을 것               ② 사용 상태에서 충분한 점도를 가질 것

   ③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청정 균질할 것        ④ 한계 윤활 상태에서 견디어 낼 수 있는 유성이 있을 것

[해설] 산화나 열에 대한 안전성이 높을 것

18. 윤활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불연성이란 이점으로 제철소 등의 고온 개소 유압 작동유로 사용되는 것은 ?

   ① water-glyclo계 작동유      ② 고온용 작동유     ③ 고점도 지수 작동유         ④ EP 작동유

[해설] 물 40%와 에틸렌글리콜을 주체로 한 불연성 유압 작동유인 water-glycol계 유압 작동유를 사용한다.

19. 자동차 내연기관용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및 베어링용 기어유는 일반적으로 어떤 규격을 사용하는가 ? [18-1]

   ① API (미국석유협회)                         ② ISO (국제표준화기구)

   ③ SAE (미국자동차기술자협회)         ④ ASME (미국 기계기술자협회)

20. 윤활유의 물리 화학적 성질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액체가 유동할 때 나타나는 내부 저항을 의미하는 것은 ?

       [21-2]

   ① 점도           ② 인화점         ③ 발화점         ④ 유동점

21. 유체 윤활에 기본적으로 중요하게 쓰이는 것이 레이놀즈 (Reynolds) 방정식이다. 다음 중 이 방정식에 대한 가정으로

       거리가 먼 것은 ? [14-2, 21-1]

   ① 유체 관성은 무시한다.                    ② 윤활유는 뉴턴 유체이다.

   ③ 유막 내의 유동은 층류이다.            ④ 점성은 유막 내에서 일정하지 않다.

[해설] 윤활유는 뉴턴 유체로 전단응력은 전단율 변화에 비례한다.

[정답]   15. ①    16. ②    17. ①    18. ①    19. ③    20. ①    24. ④

22. ISO 산업용 윤활유 점도 분류의 기준 온도는 ? [21-4]

   ① 15 ℃     ② 24 ℃      ③ 40 ℃        ④ 44 ℃

23. SAE 엔진유 점도 분류에서 동점도가 가장 높은 분류 기호는 ? [16-4]

   ① 10W        ② 20 W        ③ 20           ④ 50

[해설] SAE 엔진유 점도 분류에서 숫자가 커질 수록 점도가 커진다. 10W는 4.1 cSt, 20W는 5.6 cSt, 20은 5.6 cSt,

            50은 15.3 cSt이다.

 

24. KS M 2129 는 유압 작동유 KS 규격이다. 이 규격에서 종류(점도 등급) 15, 22, 32, 46, 68, 100, 150, 220은 다음 중 \

      어떤 종류 (점도 등급)를 따른 것인가 ? [12-4]

   ① NLGI          ② ISO VG              ③ SEA            ④ OSO

[해설] 유압 작동유의 종류는 점도 등급을 구분한 것이며, 점도 등급은 ISO VG (ISO viscosity grade)이다.

25. ISO VG 32와 320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09-4]

   ① ISO VG 32는 점도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② 32는 동점도의 중심값을 나타낸 것이다.

   ③ 점도 등급의 32와 320 중에서 32가 고점도 오일이다.    ④ 동점도 단위는 ㎟/s를 사용한다.

[해설] VG 32와 VG 320 중 32는 저점도 오일이다.

26. 다음 중 실린더유의 품질 조건으로 틀린 것은 ? [19-4]

   ① 황산에 의한 부식의 억제를 위한 산 중화성을 가질 것

   ② 고온에서 품질의 변화가 크고, 카본이나 화분 등의 잔류물이 많을 것

   ③ 실린더 라이너의 미끄럼부에 즉시 윤활이 가능하도록 확산성을 가질 것

   ④ 실린더 라이너나 피스톤 링의 이상 마모를 방지하는 극압성이나 유막의 유지성을 가질

[해설] 고온에서 품질의 변화가 적고, 카본이나 화분 등의 잔류물이 적어야 한다.

27. 다음 중 액상 윤활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 09-4]

   ① 광유          ② 그리스         ③ 지방유           ④ 합성유

28. 일반적인 그리스 윤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 [21-1]

   ① 밀봉 효과가 크다.                                  ② 냉각 효과가 낮다.

   ③ 이 물질 혼합시 제거가 곤란하다.          ④ 내수성이 약하고 적하 유출이 많다.

[해설] 그리스는 윤활유에 대해 내수성이 강하고 적하 유출이 적다.

29. 그리스의 기유에 대한 특유의 요구 성질 중 틀린 것은 ? [11-2, 16-2]

   ① 증발 온도가 낮을 것                       ② 증주제와 친화력이 좋을 것

   ③ 적당한 점도 특성을 가질 것           ④ Oil seal 등에 영향이 없을 것

[정답]   22. ③     23. ④     24. ②     25. ③     26. ②     27. ②     28. ④     29. ①

30. 다음 중 가장 높은 온도 조건 (주위 환경 온도)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그리스는 ?  [16-4, 19-2]

   ① 칼슘 그리스      ② 리튬 그리스         ③ 나트륨 그리스         ④ 알루미늄 그리스

[해설] 최고 사용 온도는 Ca는 60 ℃, Na는 80 ℃, Al은 50 ℃, Li은 120~130 ℃ 이다.

31. 만능 그리스라고 하는 고급 그리스로서 내열성, 내수성, 기계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사용온도 한계는 -20 ~ 130 ℃ 로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그리스는 ? [14-4]

   ① 나트륨 비누기 그리스    ② 알류미늄 비누기 그리스    ③ 칼슘 비누기 그리스    ④ 리튬 비누기 그리스

32. 120 ~ 230 ℃ 정도의 적점을 지니고 있으며, 섬유 구조로 안정성이 높아 고온 특성은 좋은 편이지만, 내수성이 나쁜

      특성을 가진 그리스는 ? [17-4, 19-1, 21-4]

   ① 칼슘 그리스      ② 바륨 그리스         ③ 나트륨 그리스             ④ 알루미늄 그리스

[해설] 비누기에서 내수성이 나쁜 것은 나트륨 비누기, 비비누기에서는 실리카겔이다.

33. 다음 중 내수성이 나빠 수분과의 접촉이 없고, 일반 및 고온 개소에 적절한 그리스는 무엇인가 ? [17-4, 21-2]

   ① 칼슘계 그리스 (Ca Base Grease)                      ② 리튬 복한 그리스 (Li-Cx Grease)

   ③ 나트륨계 그리스 (Na Base Grease)                   ④ 알루미늄계 그리스 (Al Base Grease)

[해설] 비누기에서 내수성이 나쁜 것은 나트륨 비누기, 비비누기에서는 실리카겔이다.

34. 그리스는 증주제의 종류에 따라 대단히 다른 성질을 나타내므로, 사용 조건에 따라 그리스의 종류를 결정한 후 적정

      주도를 결정한다. 다음 중 일반적으로 수분과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서 사용이 부적절한 증주제는 ? [18-1]

   ① Ca            ② Na            ③ Al                  ④ Li

[해설] 그리스의 특성은 주로 사용되는 증주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중주제는 그리스 내부의 오일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증주제에 따라 기계적 안전성, 내수성, 녹는점, 밀봉력 및 재윤활 주기와 같은 특성이 결정된다. 그리스

           는 일반적으로 금속 수산화물로 지방산을 비누화(감화)하여 만들지만, NovaWay 기술을 기반으로 한 것과 같이

            soap-free 증주제도 있다. 증주제는 일반적으로 soap 기반 및 non-soap 기반 두 가지로 나뉘며 , soap 기반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soap 기반 증주제는 화학 성분에 따라 다양한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35. 다음 중 그리스 증주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17-4]

   ① AL           ② Na            ③ Ca            ④ PbO

36. 다음 고체 윤활제의 일반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3-4]

   ① 녹는 점이 높을 것                  ② 열전도도가 좋을 것

   ③ 전단 강도가 클 것                  ④ 작은 입자로 되기 쉬울 것

[해설] 고체 윤활제는 전단력이 작아 층상조직을 가지며 마찰 저항이 작아야 한다.

37. 다음 그리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 [14-2]

   ① 그리스 보충은 베어링 온도가 70 ℃ 를 초과할 경우 베어링 온도가 15 ℃ 상승할 때 마다 보충 주기를 1/2로 단축해야

        한다.

   ② 일반적으로 증주제의 타입 및 기유의 종류가 동일하면 혼용이 가능하나 첨가제 간 상호 역반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혼용에 주의해야 한다.

   ③ 그리스 NLGI 주도 000 호는 매우 단단하여 미끄럼 베어링 용, 6호는 반유동상으로 집중 급유용으로 사용된다.

   ④ 그리스 기유 (base oil), 특성을 결정해 주는 증주제와 제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해 주는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다.

[해설] 주도 000호는 반유동상으로 집중 급유용, 6호는 매우 단단하여 미끄럼 베어링용으로 사용된다.

[정답]    30. ②    31. ④    32. ③    33. ③    34. ②    35. ④    36. ③    37. ③

38. 그리스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8-2]

   ① 그리스 제조법 및 급지 방법                                 ② 증주제의 종류 및 베이스 오일의 점도

   ③ 윤활 개소의 운전 조건인 회전수 및 하중

   ④ 윤활개소의 운전 온도 범위 및 물, 약품 등의 접촉 유무와 관련된 환경

39. 상대 접촉면의 윤활을 원활히 하고, 기계의 운전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그리스의 일반적인 선정 기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8-4]

   ① 보관 방법          ② 운전 조건         ③ 급유 방법            ④ 주변환경

40. 윤활제에 사용되는 첨가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 [21-4]

   ① 물에 대한 안정할 것                     ② 장기간 보관시 안정할 것

   ③ 첨가 시 휘발성이 높을 것            ④ 첨가제 상호간 반응으로 침전 등이 생성되지 않을 것

[해설] 윤활유 첨가제는 휘발성이 작아야 한다.

41. 다음 중 윤활유 첨가제의 성질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 [15-4, 19-2, 21-4]

  ① 증발이 적어야 한다.                           ② 기유에 용해도가 좋아야 한다.

  ③ 수용성 물질에 잘 녹아야 한다.           ④ 냄새 및 활동이 제어 되어야 한다.

[해설] 첨가제는 수용성 물질에 녹지 않아야 하고, 증발이 없어야 한다.

42. 옥외에 사용되는 유압 시스템에서 온도 변화가 심할 경우에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유압 작동유에

       첨가되는 첨가제는 무엇인가 ? [18-4]

   ① 방청제          ② 내마모제         ③ 산화 방지제        ④ 점도 지수 향상제

[해설] 점도 지수 향상제 :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의 비율을 낮게 하기 위하여 점도 지수 (VI) 향상제를 사용한다.

43. 순환 급유를 하는 윤활 개소의 유욕조를 관찰해 보니 거품이 많이 발생하였다. 어떤 첨가제가 부족할 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가 ? [12-4, 18-1]

   ① 유화제           ② 소포제           ③ 부식 방지제           ④ 산화 방지제

[정답]   38. ①    39. ①     40. ③     41. ③     42. ④     43. ②

44. 다음 중 윤활유에 소포제를 첨가하는 주된 목적은 ? [15-2, 19-4]

   ①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율의 감소                      ② 물과 친화성이 있는 광유를 생성

   ③ 오일 층의 공기 기포 생성 방지 및 제거            ④ 베어링 및 금속 물질의 부식 억제

[해설] 기포가 마멸이나 윤활유의 열화를 촉진시키므로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포제를 첨가한다.

45. 윤활유의 첨가제 중 금속의 표면에 유막을 형성시켜 마찰계수를 작게 하여 유막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은 ? [15-4]

   ① 극압제          ② 유성 향상제          ③ 유동점 강하제           ④ 점도 지수 향상제

46. EP유라고도 하며, 큰 하중을 받는 베어링의 경우 유막이 파괴되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윤활유의

       첨가제는 무엇인가 ? [20-4]

   ① 극압제         ② 청전 분산제          ③ 산화 방지제           ④ 점도 지수 향상제

47. 다음 중 고하중 및 충격 하중에 사용되는 그리스의 첨가제로 맞는 것은 ? [13-4]

   ① 산화 방지제         ② 점도 지수 향상제         ③ 유동점 강하제             ④ 극압 첨가제

[해설] ① 은 윤활유 보호제, ②, ③은 윤활 성능 보강제이다.

48. 극압 윤활을 위한 극압제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 [18-2]

   ① H              ② Cl              ③ S                 ④ P

[해설] 윤활유의 극압제로는 일반적으로 염소 (Cl), 유황 (S), 인 (P) 등을 사용한다.

49. 슬러지 등이 오일 중에 침전되지 않도록 분산시켜 엔진 내부를 깨끗하게 하고, 발생되는 산을 중화시켜 부식 마모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첨가제는 ? [19-1, 19-4]

   ① 부식 방지제         ② 청정 분산제         ③ 점도 지수 향상제             ④ 내마모성 첨가제

[해설] 청정 분산제 (detergent and disperant) : 산화에 의하여 금속 표면에 붙어 있는 슬러지나 탄소 성분을 녹여 기름 중의

                                                                          미세한 입자 상태로 분산시켜 내부를 깨끗이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44. ③         45. ②            46. ①          47. ④          48. ①          49. ②

#위험물 #윤활유 #기어유 #실린더유 #나프텐계 #파라핀계 #유동점 #점도 #잔류탄소

#휘발성 #산화 #인화점 #뉴턴유체 #동점도 #그리스 #증주제 #첨가제 #나트륨 #칼륨

#칼슘 #리튬 #열전도 #소포제 #유화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