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분말소화설비

 ▣ 분말소화약제 저장탱크에 저장된 소화분말을 질소나 탄산가스의 압력에 의해 미리 설계된 배관 및 설비에 따라 화재발생시 분말

      과 함께 방호대상물에 방사하여 소화하는 설비로서, 표면화재 및 연소면이 급격히 확대되는 인화성 액체의 화재에 적합한 방식

      이다.

2. 소화설비의 종류

  ① 전역방출방식 : 고정식 분말소화약제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고정설치하여 밀폐 방호구역 내에 분말소화약제를 방출하

                              는 설비를 말한다.

  ② 국소방출방식 : 고정식 분말소화약제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설치하여 직접 화점에 분말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설비로

                              화재발생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소화약제를 방출하도록 설치하는 방식을 말한다.

  ③ 호스릴방식 : 분사헤드가 배관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호스를 연결하여 사람이 직접 화점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이동식 소화설비를 말한다.

3. 분사헤드

가. 전역방출방식

  ① 방사된 소화약제가 방호구역의 전역에 균일하고 신속하게 확산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② 분사헤드의 방사압력은 0.1MPa 이상일 것

  ③ 규정된 소화약제의 양을 30초 이내에 균일하게 방사할 것

나. 국소방출방식

  ① 분사헤드는 방호대상물의 모든 표면이 분사헤드의 유효사정 내에 있도록 설치할 것

  ② 소화약제의 방사에 의하여 위험물이 비산되지 않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③ 규정된 소화약제의 양을 30초 이내에 균일하게 방사할 것

4. 분말소화약제의 소화약제 저장량

 가. 전역방출방식의 분말소화설비는 다음에 정하는 것에 의하여 산출된 양 이상으로 할 것

  ① 다음 표에 정한 소화약제의 종별에 따른 양의 비율로 계산한 양

소화약제의 종별
방호구역의 체적 1㎥당
소화약제의 양 [㎏]
탄산수소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한 것 (제1종 분말)
0.60
탄산수소칼륨을 주성분으로 한 것 (제2종 분말) 또는 인산염류 등을
주성분으로 한 것 (인산암모늄을 90% 이상 함유한 것에 한함. 제3종 분말)
0.36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의 반응생성물 (제4종 분말)
0.24
특정의 위험물에 적응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것 (제 5종 분말)
소화약제에 따라 필요한 양

  ② 방호구역의 개구부에 자동폐쇄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①에 의하여 산출된 양에 다음 표에 정한 소화약제의 종별에

        따른 양의 비율로 계산한 양을 가산한 양

  ③ 방호구역 내에서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에 따라 법에서 정한 소화약제에 따른 계수를 ① 및 ②에 의하여 산출된 양에 곱해

       서 얻은 양

나. 국소방출방식의 분말소화설비는 ① 또는 ②에 의하여 산출된 양에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에 따라 법에서 정한 소화약제에

      따른 계수를 곱하고 다시 1.1을 곱한 양 이상으로 할 것

  ① 면적식의 국소방출방식 : 액체 위험물을 상부를 개방한 용기에 저장하는 경우 등 화재시 연소면이 한면에 한정되고 위험물이

       비산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 표에 정한 비율로 계산한 양

소화약제의 종별
방호대상물의 표면적 1㎡당 소화약제의 양 [㎏]
제1종 분말
8.8
제2종 분말 또는 제3종 분말
5.2
제4종 분말
3.6
제 5종 분말
소화약제에 따라 필요한 양

  ② 용적식의 국소방출방식

    ㉠ ①의 경우 외의 경우에는 다음 식에 의하여 구한 양에 방호 공간의 체적을 곱한 양

       여기서, Q : 단위체적당 소화약제의 양 [㎏/㎥]

                    a : 방호대상물 주위에 실제로 설치된 고정벽의 면적의 합계 [㎡]

                    A : 방호공간 전체 둘레의 면적 [㎡]

                    X 및 Y : 다음 표에 정한 소화약제의 종류에 따른 수치

소화약제의 종별
X의 수치
Y의 수치
제1종 분말
5.2
3.9
제2종 또는 제3종 분말
3.2
2.4
제4종 분말
2.0
1.5
제5종 분말
소화약제에 따라 필요한 양

 다. 전역방출방식 또는 국소방출방식의 분말소화설비를 설치한 동일 제조소 등에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2 이상 있을 경우에

       는 각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에 대해서 ① 및 ②에 의하여 계산한 양 중에서 최대의 양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다만, 방호구역

       또는 방호 대상물이 서로 인접하여 있을 경우에는 하나의 저장용기를 공용할 수 없다.

 

 라. 이동식 분말소화설비는 하나의 노즐마다 다음 표에 정한 소화약제의 종류에 따른 양 이상

소화약제의 종별
소화약제의 양 [㎏]
제1종 분말
50
제2종 분말 또는 제3종 분말
30
제4종 분말
20
제 5종 분말
소화약제에 따라 필요한 양

5. 전역방출방식 또는 국소방출방식의 분말소화설비의 기준

 가. 분말소화설비에 사용하는 소화약제는 제1종 분말, 제2종 분말, 제3종 분말, 제4종 분말 또는 제5종 분말로 할 것

 나. 저장용기 등의 충전비는 다음 표에 정한 소화약제의 종별에 따른 것으로 할 것

소화약제의 종별
충전비의 범위
제1종 분말
0.85 이상, 1.45 이하
제2종 분말 또는 제3종 분말
1.05 이상, 1.75 이하
제4종 분말
1.50 이상, 2.50 이하

 다. 저장용기

  ① 저장탱크는 강도 및 내식성이 있는 것을 사용할 것

  ② 저장용기 등에는 안전장치를 설치할 것

  ③ 저장용기 (축압식인 것은 내압력이 1.0MPa인 것에 한한다)에는 용기밸브를 설치할 것

  ④ 가압식의 저장용기 등에는 방출밸브를 설치할 것

  ⑤ 보기 쉬운 장소에 충전소화약제 양, 소화약제의 종류, 최고 사용압력 (가압식인 것에 한한다) 제조년월 및 제조자명을 표시할 것

 라. 저장용기 등에는 잔류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를, 배관에는 잔류소화약제를 처리하기 위한 클리닝장치를 설치할 것

 마. 가압용 가스용기는 저장용기 등의 직근에 설치되고 확실하게 접속되어 있을 것

 바. 가압용 가스용기에는 안전장치 및 용기밸브를 설치할 것

 사. 가압용 또는 축압용 가스

   ① 가압용 또는 축압용 가스는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로 할 것

   ② 가압용 가스로 질소를 사용하는 것은 소화약제 1㎏당 온도 35℃에서 0MPa의 상태로 체적 40ℓ 이상,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것은 소화약제 1㎏당 20g에 배관의 청소에 필요한 양을 더한 양 이상일 것

   ③ 축압용 가스로 질소가스를 사용하는 것은 소화약제 1㎏당 온도 35℃에서 0MPa의 상태로 환산한 체적 10ℓ에 배관의 청소에

        필요한 양을 더한 양 이상,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것은 소화약제 1㎏당 20g에 배관의 청소에 필요한 양 이상일 것

   ④ 클리닝에 필요한 양의 가스는 별도의 용기에 저장할 것

 아. 배관

   ① 배관은 전용으로 할 것

   ② 강관의 배관은 아연도금 등에 의하여 방식처리를 한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및 내식성을 갖는 것을 사용할 것

   ③ 동관의 배관은 강도 및 내식성을 갖는 것으로 조정압력 또는 최고 사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사용할

        것

   ④ 관이음쇠는 강도, 내식성 및 내열성을 갖는 것으로 할 것

   ⑤ 밸브류

     ㉠ 소화약제를 방사하는 경우에 현저하게 소화약제와 가압용 · 축압용 가스가 분리되거나 소화약제가 잔류할 우려가 없는 구조

           일 것

     ㉡ 접속할 관의 구경에 맞는 규격일 것

     ㉢ 재질은 방식처리가 된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내식성 및 내열성을 갖는 것으로 할 것

     ㉣ 밸브류는 개폐위치 또는 개폐방향을 표시할 것

     ㉤ 방출밸브 및 가압용 가스용기밸브의 수동조작부는 화재시 쉽게 접근 가능하고 안전한 장소에 설치할 것

   ⑥ 저장용기 등으로 부터 배관의 굴곡부까지의 거리는 관경의 20배 이상이 되도록 할 것. 다만, 소화약제와 가압용 · 축압용 가스

        가 분리되지 않도록 조치를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자. 가압식의 분말소화설비에는 2.5MPa 이하의 압력으로 조정할 수 있는 압력조정기를 설치할 것

 차. 가압식의 분말소화설비에는 다음에 정하는 것에 의하여 정압작동장치를 설치할 것

   ① 기동장치의 작동 후 저장용기 등의 압력이 설정압력이 되었을 때 방출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일 것

   ② 정압작동장치는 저장용기 등마다 설치할 것

 카. 축압식의 분말 소화설비에는 사용압력의 범위를 녹색으로 표시한 지시압력계를 설치할 것

 타. 저장용기 등과 선택밸브 등 사이에는 안전장치 또는 파괴판을 설치할 것

 파. 기동용 가스용기는 다음에 정하는 것에 의할 것

   ① 내용적은 0.27ℓ 이상으로 하고 해당 용기에 저장하는 가스의 양은 145g 이상일 것

   ② 충전비는 1.5 이상일 것

6. 이동식 분말소화설비

  ▣ 하나의 노즐마다 매분당 소화약제 방사량은 다음 표에 정한 소화약제의 종류에 따른 양 이상으로 할 것

소화약제의 종류
소화약제의 양 [㎏]
제1종 분말
45  <50>
제2종 분말 또는 제3종 분말
27  <30>
제4종 분말
18  <20>

  ※ 오른쪽 란에 기재된 "<   >" 속의 수치는 전체 소화약제의 양임.

#분말소화설비 #가압용 #축압용 #전역방출방식 #국소방출방식 #방호대상물 #질소 #탄산가스 #소화약제 #분사헤드

반응형
반응형

【물분무 소화설비】

  ▣ 스프링클러설비에서의 물방울 보다 작은 물입자에 운동량 (momentum)을 주어 화원에 침투하여 소화하거나 방호대상

       물의 상부 · 하부 또는 측면에도 물을 분사하여 표면을 보호하는 설비

   ◈ 물분무 소화설비 계통도 (스프링클러 헤드 기동방식)

 

  ◈ 물분무소화설비 계통도 (감지기 기동방식)

  

 

【 구성요소 】

   ① 수원    ② 가압송수장치    ③ 배관    ④ 송수구    ⑤ 습식 유수검지장치 (알람체크밸브)

   ⑥ 일제개방밸브 (델루지밸브)    ⑦ 감지기    ⑧ 기동장치    ⑨ 스프링클러헤드 (폐쇄형)

   ⑩ 물분무헤드   ⑪ 음향경보장치    ⑫ 제어반    ⑬ 전원    ⑭ 배선

1. 물분무등 소화설비의 설치대상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4])

설치 대상
설치조건
차고, 주차장
바닥면적 200 ㎡ 이상의 층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전기실, 발전기실
변전실, 축전지실, 통신기기실, 전산실
바닥면적 300 ㎡ 이상
차고, 주차용 건축물 또는
철골 조립식 주차시설과 병원, 한방병원 및
요양병원 (정신병원과 의료재활시설은 제외)
연면적 800 ㎡ 이상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
20대 이상
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시설 (항공기 격납고)
전부 해당

2. 수원 (NFTC 104 2.1)

  ◈ 물분무 소화설비 수원의 양

구 분
토출량
비고
⊙ 컨베이어밸트
⊙ 절연유 봉입 변압기
10 ℓ/min · ㎡
-
⊙ 특수가연물
10 ℓ/min · ㎡
최소 50 ㎡
⊙ 케이블 트레이
⊙ 케이블 덕트
12 ℓ/min · ㎡
-
⊙ 차고
⊙ 주차장
20 ℓ/min · ㎡
최소 50 ㎡
  ※ 단, 20분간 방수할 수 있을 것

[참고] 물분무 소화설비의 저수량 · 펌프의 토출량

  가. 물분무 소화설비의 저수량

       Q = A × Q1 × T

       여기서, Q : 저수량 [ℓ]

                     A : 바닥면적 또는 표면적 [㎡]                   

                    Q1 : 표준방사량 (토출량) [ℓ/min · ㎡]

                     T : 시간 [min]

  나. 물분무소화설비 펌프의 토출량

          Q = A · Q1

         여기서, Q : 펌프의 토출량 [㎥/min]

                      A : 바닥면적 또는 표면적 [㎡]

                     Q1 : 표준방사량 (토출량) [ℓ/min · ㎡]

  ※ ① 절연유 봉입변압기 : 바닥면적을 제외한 표면적을 적용한다.

      ② 케이블 트레이, 케이블덕트 : 투영된 바닥면적을 적용한다.

      ③ 컨베이어벨트 : 벨트 부분의 바닥면적을 적용한다.

      ④ 차고, 주차장 : 최대 방수구역의 바닥면적을 적용한다.

3. 가압송수장치

  가. 고가수조방식

       H = h1 + 10

      여기서, H : 필요한 낙차 [m]

                  h1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10 : 물분무헤드의 설계압력환산수두 [m] (0.1 MPa → 약 10 [m])

  나. 압력수조방식

         P = P1 + P2 +P3

        여기서, P : 필요한 압력 [MPa]

                     P1 : 물분무헤드의 설계압력 [MPa]

                     P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압 [MPa]

                     P3 : 낙차의 환산수두압 [MPa]

  다. 펌프방식

            H = h1 + h2

           여기서, H : 전양정 [m]

                        h1 : 물분무헤드의 설계압력환산수두 [m]

                        h2 : 배관 및 관부속품의 마찰손실수두 [m]

  라. 가압수조방식

4. 기동장치의 설치기준 (NFTC 104 2.5)

  가. 수동식 기동장치

    ① 직접조작 또는 원격조작에 따라 각각의 가압송수장치수동식 개방밸브 또는 가압송수장치자동개방밸브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② 기동장치의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기동장치"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나. 자동식 기동장치

   ▣ 자동식 기동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의 작동 또는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의 개방과 연동하여 경보를

         발하고, 가압송수장치 및 자동개방밸브를 기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해야 한다.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고, 화재시 물분무소화설비를 즉시 작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제외)

5. 제어밸브 등의 설치기준 (NFTC 104 2.6)

  가. 제어밸브의 설치기준

    ① 제어밸브는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② 제어밸브의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제어밸브"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나. 자동개방밸브 및 수동식 개방밸브의 설치기준

    ① 자동개방밸브의 기동조작부 및 수동식 개방밸브는 화재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의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② 자동개방밸브 및 수동식 개방밸브의 2차측 배관부분에는 해당 방수구역 외에 밸브의 작동을 시험할 수 있는 장치

         설치할 것 (방수구역에서 직접 방사시험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외)

6. 물분무헤드

  가. 물분무헤드의 종류

    ① 충돌형 : 유수와 유수의 충돌에 의해 미세한 물방울을 만드는 물분무 헤드

 

  ② 분사형 : 소구경의 오리피스로 부터 고압분사하여 미세한 물방울을 만드는 물분무헤드

 

   ③ 선회류형 : 선회류에 의해 확산방출하든가 선회류직선류충돌에 의해 확산방출하여 미세한 물방울로 만드는

                          물분무 헤드

 

   ④ 디플렉터형 : 수류를 살수판충돌시켜 미세한 물방울을 만드는 물분무 헤드

 

   ⑤ 슬릿(Slit)형 : 수류를 슬릿에 의해 방출시켜 수막상의 분무를 만드는 물분무 헤드

 

나. 고압의 전기기기가 있는 장소의 물분무헤드의 이격거리 (NFTC 104 표 2.7.2)

전압 [kV]
거리 [㎝]
전압 [kV]
거리 [㎝]
66 이하
70 이상
154 초과 181 이하
180 이상
66 초과 77 이하
80 이상
181 초과 220 이하
210 이상
77 초과 110 이하
110 이상
220 초과 275 이하
260 이상
110 초과 154 이하
150 이상
-
-

7. 배수설비 (NFTC 104 2.8)

  ① 차량이 주차하는 장소의 적당한 곳에 높이 10 ㎝ 이상의 경계턱으로 배수구를 설치할 것.

  ② 배수구에는 새어 나온 기름을 모아 소화할 수 있도록 길이 40 m 이하 마다 집수관, 소화피트기름분리장치를 설치

       할 것

  ③ 차량이 주차하는 바닥은 배수구를 향하여 2/100 이상의 기울기를 유지할 것

  ④ 배수설비는 가압송수장치의 최대송수능력의 수량을 유효하게 배수할 수 있는 크기 및 기울기를 할 것

8. 물분무소화설비의 설치 제외 장소 (NFTC 104 2.12)

  ① 과 심하게 반응하는 물질 또는 물과 반응하여 위험한 물질을 생성하는 물질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② 고온물질증류범위가 넓어 끓어 넘치는 위험이 있는 물질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③ 운전시에 표면의 온도가 260 ℃ 이상으로 되는 등 직접 분무를 하는 경우 그 부분에 손상을 입힐 우려가 있는 기계장치

        등이 있는 장소

◈ 소방시설의 면제 기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

설치가 면제되는 소방시설
대체 설비
스프링클럿설비
⊙ 물분무등 소화설비
물분무등 소화설비 (차고, 주차장)
⊙ 스프링클러설비
간이 스프링클러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물분무소화설비
⊙ 미분무소화설비
비상경보설비 또는 단독경보형 감지기
⊙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설비
⊙ 2개 이상의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연동
비상방송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 또는 비상경보설비와 같은 수준 이상의
     음향을 발하는 장치를 부설한
방송설비
연결살수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간이 스프링클러설비
⊙ 미분무소화설비
    → 송수구를 부설한 것
제연설비
⊙ 공기조화설비
비상조명등
⊙ 피난구유도등
⊙ 통로유도등
연소방지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물분무소화설비
⊙ 미분무소화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지표면에서 최상층 방수구의
높이가 70 m 이상인 경우
에는 설치해야 한다)
⊙ 옥내소화전설비
⊙ 스프링클러설비
⊙ 간이 스프링클러설비
⊙ 연결살수설비
    → 옥외에 연결송수구 및 옥내에ㅐ 방수구가 부설된 것
자동화재탐지설비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기능 (감지·수신·경보 기능)과 성능을 가진
     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
자동소화장치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제외)
⊙ 물분무등소화설비

【미분무 소화설비】

 

가. 미분무소화설비

  ▣ 가압된 물이 헤드 통과 후 미세한 입자로 분무됨으로써 소화성능을 가지는 설비를 말하며 소화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화액 등을 첨가할 수 있다.

 
 

  ◈ 미분무소화설비 계통도 (감지기 기동방식)

 

  나. 구성요소

    ① 수원       ② 가압송수장치       ③ 배관     ④ 송수구       ⑤ 습식 유수검지장치 (알람체크밸브)

    ⑥ 일제개방밸브 (델루지밸브)     ⑦ 감지기 ⑧ 기동장치   ⑨ 스프링클러헤드 (폐쇄형)

    ⑩ 미분무 헤드     ⑪ 음향경보장치    ⑫ 제어반    ⑬ 전원    ⑭ 배선

1. 수원 (NFTC 104A 2.3)

  ① 미분무소화설비에 사용되는 용수는 "먹는물 관리법" 제5조에 적합하고, 저수조 등할 경우 필터 또는 스트레이

       너를 통해야 하며, 사용되는 에는 입자 · 용해고체 또는 염분이 없어야 한다.

  ② 배관의 연결부 (용접부 제외) 또는 주배관유입측에는 필터 또는 스트레이너를 설치해야하고, 사용되는 스트레이너

       에는 청소구가 있어야 하며, 검사 · 유지관리보수배치위치를 변경하지 아니해야 한다. 다만, 노즐이 막힐 우려

       가 없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 사용되는 필터 또는 스트레이너메시헤드오리피스 지름의 80 % 이하가 되어야 한다.

  ④ 수원의 양

      Q = N × D × T × S + V

       여기서, Q : 수원의 양 [㎥]

                    N : 방호구역(방수구역) 내 헤드의 개수

                    D : 설계유량 [㎥/min]

                    T : 설계방수시간 [min]

                    S : 안전율 (1.2 이상 )

                    V : 배관의 총 체적 [㎥]

   ◈ 저압 미분무 소화설비 : 최고 사용압력이 1.2 MPa 이하인 미분무소화설비

   ◈ 중압 미분무 소화설비 : 사용압력이 1.2 MPa 초과하고 3.5 MPa 이하인 미분무 소화설비

   ◈ 고압 미분무 소화설비 : 최저 사용압력이 3.5 MPa 을 초과하는 미분무 소화설비

2. 수조 (NFTC 104A 2.4)

  ① 수조의 재료냉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강대 (KS D 3698)STS 304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 내식성 · 내열

        성이 있는 것으로 해야 한다.

  ② 수조를 용접할 경우 용접 찌꺼기 등이 남아 있지 아니해야 하며, 부식의 우려가 없는 용접방식으로 해야 한다.

  ③ 수조의 설치기준

    ㉠ 전용으로 하며 점검편리한 곳에 설치할 것

    ㉡ 동결방지조치를 하거나 동결우려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 수조의 외측에 수위계를 설치할 것. 다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수조의 맨홀 등을 통하여 수조 내 물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수조상단바닥보다 높은 때에는 수조외측고정식 사다리를 설치할 것

    ㉤ 수조가 실내에 설치된 때에는 그 실내에 조명설비를 설치할 것

    ㉥ 수조의 밑 부분에는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을 설치할 것

    ㉦ 수조 외측의 보기 쉬운 곳에 "미분무설비용 수조"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미분무펌프흡수배관 또는 수직배관수조접속부분에는 "미분무설비용 배관"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다만, 수조와 가까운 장소에 미분무펌프가 설치되고 미분무 펌프에 "㉦"에 따른 표지를 설치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수조의 재료

    ①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강판

    ② 강대 (KS D 3698)의 STS 304

3. 폐쇄형 미분무 소화설비의 방호구역 (NFTC 104 A 2.6)

  ① 하나방호구역바닥면적펌프용량, 배관구경 등을 수리학적으로 계산결과헤드방수압방수량방호

       구역 범위 내에서 소화목적달성할 수 있도록 산정해야 한다.

  ② 하나방호구역2개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4. 개방형 미분무소화설비의 방수구역 (NFTC 104A 2.7)

  ① 하나방수구역2개 층에 미치지 아니할 것

  ② 하나방수구역담당하는 헤드개수최대 설계 개수 이하로 할 것. 다만, 2개 이상의 방수구역으로 나눌 경우에

       는 하나의 방수구역을 담당하는 헤드의 개수는 최대설계 개수1/2 이상으로 할 것

  ③ 터널, 지하가 등에 설치할 경우 동시방수되어야 하는 방수구역화재발생된 방수구역접한 방수구역으로

       할 것

5. 배관 등 (NFTC 104 A 2.8)

  ① 설비에 사용되는 구성요소 : STS 304 이상재료를 사용

  ② 배관은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KS D 3576)이나 이와 동등 이상강도 · 내식성내열성을 가진 것으로 해야 하고,

       용접할 경우 용접찌꺼기 등이 남아 있지 아니해야 하며, 부식우려가 없는 용접방식으로 해야 한다.

  ◈ 가압송수장치는 부식 등으로 인한 펌프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할 것. 다만,

        충압펌프는 제외한다.

   ① 임펠러는 청동 또는 스테인리스 등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할 것

   ② 펌프축은 스테인리스 등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할 것

6. 폐쇄형 미분무헤드의 최고 주위온도 (NFTC 104A 2.10)

      Ta = 0.9 Tm - 27.3 ℃

      여기서, Ta : 최고 주위온도 [℃]

                   Tm : 헤드의 표시온도 [℃]

[참고] 설계도서 작성기준

 

  1. 공통사항

    ▣ 설계도서는 건축물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을 선정하되, 건축물의 특성에 따라 다음 2의 설계도서 유형 중 일반설계

          도서와 특별설계도서 중 1개 이상을 작성한다.

 

2. 설계도서 유형

  ① 일반설계도서

    ㉠ 건물용도, 사용자 중심의 일반적인 화재를 가상한다.

    ㉡ 설계도서에는 다음 사항에 필수적으로 명확히 설명되어야 한다.

      ⊙ 건물 사용자 특성

      ⊙ 사용자의 수와 장소

      ⊙ 실의 크기

      ⊙ 가구와 실내 내용물

      ⊙ 연소가능한 물질들과 그 특성 및 발화원

      ⊙ 환기조건

      ⊙ 최초 발화물과 발화물의 위치

    ㉢ 설계자가 필요한 경우 기타 설계도서에 필요한 사항을 추가할 수 있다.

  ② 특별설계도서 1

    ㉠ 내부 문들이 개방되어 있는 상황에서 피난로에 화재가 발생하여 급격한 화재연소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가상한다.

    ㉡ 화재시 가능한 피난방법의 수에 중심을 두고 작성한다.

  ③ 특별설계도서 2

    ㉠ 사람이 상주하지 않는 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지만, 잠재적으로 많은 재실자에게 위험이 되는 상황을 가상한다.

    ㉡ 건축물 내의 재실자가 없는 곳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재실자가 있는 공간으로 연소확대되는 상황에 중심을 두고

         작성한다.

  ④ 특별설계도서 3

    ㉠ 많은 사람들이 있는 실에 인접한 벽이나 덕트 공간 등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가상한다.

    ㉡ 화재감지기가 없는 곳이나 자동으로 작동하는 소화설비가 없는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재실자가 있는

         곳으로의 연소확대가 가능한 상황에 중심을 두고 작성한다.

  ⑤ 특별설계도서 4

    ㉠ 많은 거주자가 있는 아주 인접한 장소 중 소방시설의 작동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장소에서 아주 천천히 성장하는 화재

         를 가상한다.

    ㉡ 작은 화재에서 시작하지만 큰 대형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화재에 중심을 두고 작성한다.

  ⑥ 특별설계도서 5

    ㉠ 건축물의 일반적인 사용특성과 관련, 화재하중이 가장 큰 장소에서 발생한 아주 심각한 화재를 가상한다.

    ㉡ 재실자가 있는 공간에서 급격하게 연소확대되는 화재를 중심으로 작성한다.

  ⑦ 특별설계도서 6

    ㉠ 외부에서 발생하여 본 건물로 화재가 확대되는 경우를 가상한다.

    ㉡ 본 건물에서 떨어진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본 건물로 화재가 확대되거나 피난로를 막거나 거주가 불가능한 조건

         을 만드는 화재에 중심을 두고 작성한다.

#물분무소화설비 #미분무소화설비 #방호대상물 #운동량 #화원 #가압송수장치 #송수구

#일제개방밸브 #유수검지장치 #스프링클러헤드 #음향경보장치 #봉입변압기 #절연유

#케이블트레이 #컨베이어밸트 #디플렉터 #안전률

 

반응형
반응형

1. 다음 그림과 같은 위험물 탱크에 국소방출방식으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고압식으로 설치하려고 한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6점] ★★★★★

 

 가. 방호공간의 체적 [㎥]을 구하시오.

 나. 소화약제 저장량 [㎏]을 구하시오.

 다. 하나의 분사헤드에 대한 방사량 [㎏/s]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 소화약제의 저장량

  ◈ 면적식 [㎡]

    ⊙ 조건 : 위면이 개방되어 있거나, 연소면이 한정되고, 비산의 우려가 없는 경우

   ① 고압식 : 표면적(위면) × 13 ㎏/㎡ × 1.4

   ② 저압식 : 표면적(위면) × 13 ㎏/㎡ × 1.1

  ◈ 체적식 [㎥]

   a : 방호대상물 주위에 설치된 벽 면적 합계 (실제 벽면적 합계)

        ※ 방호대상물로 부터 0.6 m 이내의 벽만 인정

   A : 방호공간의 벽면적

[답안작성]

가. 방호공간의 체적 [㎥]

   ▣ 방호공간의 체적 [㎥] = 가로[m] × 세로 [m] × 높이 [m]

                                          = (2m + 0.6m + 0.6m) × (1m + 0.6m + 0.6m) × (1.5m + 0.6m)

                                          = 3.2m × 2.2 m × 2.1 m = 14.784 ≒ 14.78 ㎥

나. 소화약제 저장량

   a = 0 : 벽이 설치되어 있지 않음

   A = (3.2 × 2.1) × 2 + (2.2 × 2.1) × 2 = 22.68 ㎡

     ∴ 소화약제 저장량 = 14.78 × (8 - 6 (0/22.68)) × 1.4 = 165.536 ≒ 165.54 ㎏

다. 하나의 분사헤드에 대한 방사량 [㎏/s]

  ▣ 하나의 분사헤드에 대한 방사량

[해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국소방출방식)

 가. 방호공간 :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0.6m의 거리에 둘러 쌓인 공간

 

 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국소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여기서, a : 방호공간 주위에 설치된 벽 면적의 합계 [㎡] (0.6m 이내에 설치된 실제 벽)

                   A : 방호공간의 벽 면적 (벽이 없는 경우에는 0.6m의 가상의 벽 부분의 면적)의  합계 [㎡]

                   (0.6 m 이내에 실제 벽이 있을 경우를 포함하며 0.6 m 이내에 벽이 없을 경우에는 가상의 벽 부분의 면적의

                  합계)

다. 하나의 분사헤드에 대한 방사량

설비별 약제 방사시간

구 분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할론
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 화합물
불활성 기체
표면화재
심부화재
전역
방출
방식
기타
특정소방
대상물
10초 이내
(최소 설계농도의
95% 이상 방사)
A·C급 화재: 2분
B급화재 :1분
(최소 설계농도의
95% 이상 방사)
10초이내
10초이내
1분이내
7분이내
(설계농도가
2분이내에
30% 
도달)
위험물
제조소등
30초이내
30초이내
60초이내
60초이내
국소
방출
방식
기타
특정소방
대상물
1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위험물
제조소등
3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 약제 방출시간 [S, min]

  CO2 : - 표면화재 : 1분

             - 심부화재 : 7분 (2분이내 설계농도 30% 도달)

  할론 : 10초 (무조건)

  분말 : 30초 (무조건)

  할로겐화합물 · 불활성기체 : 할로겐화합물 : 10초

  불활성기체 : A·C급 화재 : 2분

                       B급 화재 : 1분

 

2. 다음 그림과 같은 위험물 탱크에 국소방출방식으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고압식으로 설치하려고 한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고압식이며, 방호대상물 주위에는 방호대상물과 동일한 크기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6점] ★★★★★

 

 가. 방호공간의 체적 [㎥]을 구하시오.

 나. 소화약제 저장량 [㎏]을 구하시오.

 다. 하나의 분사헤드에 대한 방사량 [㎏/s]을 구하시오.

[문제풀이]

 가. 방호공간의 체적 [㎥]

   ▣ 방호공간의 체적 [㎥] = 가로[m] × 세로 [m] × 높이 [m] = 2m × 1m × (1.5m + 0.6m) = 4.2 ㎥

   ※ 높이 즉, 위 쪽으로는 벽이 없으므로 가상으로 0.6m의 높이를 설정하여 방호구역의 체적을 설정한다.

  나. 소화약제 저장량

           a : (2×1.5×2) + (1×1.5 × 2) = 9 ㎡

           A : (2×2.1×2) + (1×2.1 × 2) = 12.6 ㎡

 다. 하나의 분사헤드에 대한 방사량 [㎏/s]

3. 방호대상물 규격이 가로 3m, 세로 7m, 높이 2m인 특수가연물 제1종이 있다. 화재시 비산할 우려가 있어 밀폐된 용기에

    저장하였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국소방출방식으로 설계하려고 할 때 고압식과 저압식의 경우 각각의 약제 저장량은

    몇 [㎏]인지 계산하시오. (단, 방호대상물 주위에 가로 3.2m, 세로 7.2 m, 높이 2.2 m의 벽이 설치되어 있다.) [6점]

     ★★★★★

   ① 고압식             ② 저압식

[문제풀이]

  ① 고압식

      ⊙ 방호공간의 체적 = 가로 m × 세로 m × 높이 m  = 3.2 m × 7.2 m × (2m + 0.6 m) = 59.904 ㎥

      ⊙ a : (3.2×2.2)×2+(7.2×2.2)×2 = 45.76 [㎡]

      ⊙ A : (3.2×2.6)×2+(7.2×2.6)×2 = 54.08 [㎡]

  ② 저압식

[해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국소방출방식)

 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국소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4. 가로 4m, 세로 3m, 높이 2m인 윗면이 개방된 용기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국소방출방식으로 설계하려고 한다.

    소화약제 저장량 [㎏]을 구하시오. (단, 고압식이며 고정벽은 없다.) [5점] ★★★★★

[문제풀이]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국소방출방식의 면적식

⊙ 소화약제 저장량 = 표면적 (윗면) × 13 ㎏/㎡ × 1.4 = (4m × 3m) × 13㎏/㎡ × 1.4

= 218.4 ㎏

[참고]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국소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여기서, a : 방호공간 주위에 설치된 벽 면적의 합계 [㎡] (0.6m 이내에 설치된 실제 벽)

                   A : 방호공간의 벽 면적 (벽이 없는 경우에는 0.6m의 가상의 벽 부분의 면적)의  합계 [㎡]

                   (0.6 m 이내에 실제 벽이 있을 경우를 포함하며 0.6 m 이내에 벽이 없을 경우에는 가상의 벽 부분의 면적의

                   합계)

5. 어느 소방대상물에 화재안전기준과 다음 조건에 따라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하려고 한다.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각 물음에 답하시오. [24점] ★★★★★

[조건]

 ① 소방대상물 천장까지의 높이는 3 m 이고 방호구역의 크기와 용도는 다음과 같다.

통신기기실
가로 12 m × 세로 10 m
자동폐쇄장치 설치
전자제품 창고
가로 20m × 세로 10 m
개구부 2m × 2 m
위험물 저장 창고
가로 32 m × 세로 10 m
자동폐쇄장치 설치

  ② 소화약제는 고압식으로 하고 충전량은 45 ㎏이다.

  ③ 통신기기실과 전자제품창고는 전역방출방식으로 설치하고 위험물 저장 창고에는 국소방출방식을 적용한다.

  ④ 개구부 가산량은 10 ㎏/㎡, 사용하는 CO2 순도 99.5 %, 헤드의 방사율 1.3 ㎏/min·개 이다.

  ⑤ 위험물 저장창고에는 가로, 세로가 각각 5m, 높이가 2m인 개방된 용기에 제4류 위험물을 저장한다.

  ⑥ 기타 조건은 소방관련 법규 및 화재안전기준에 따른다.

가. 각 방호구역에 대한 약제 저장량은 몇 [㎏]이상인가 ?

   ① 통신기기실        ② 전자제품창고           ③ 위험물 저장소

나. 각 방호구역별 약제 저장용기는 몇 병인가 ?

   ① 통신기기실        ② 전자제품창고           ③ 위험물 저장소

 다. 통신기기실 헤드의 방사압력은 몇 [MPa]이어야 하는가 ?

 라. 통신기기실에서 약제가 방출되는 시간은 몇 분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

 마. 전자제품창고의 헤드수를 14개로 할 때 헤드의 분구면적[㎟]을 구하시오.

 바.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저장온도가 20 [℃]일 때 압력 [MPa]은 얼마인가 ?

 사. 소화약제 저장용기는 몇 [MPa] 이상의 내압시험압력에 합격하여야 하는가 ?

 아. 전자제품창고에 방출하여야 하는 이산화탄소의 체적 [㎥]을 구하시오. (단, 전자제품창고는 25 ℃ 의 표준대기압 상태

       라고 한다.)

 자. 배관의 설치기준에 관한 ( )안을 완성하시오.

  ▣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중 스케줄 ( ① )  (저압식은 스케줄 ( ② ))이상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 ③ ) 등 으로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할 것. 다만, 배관의 호칭구경이 20 ㎜

       이하인 경우에는 스케줄 ( ④ )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문제풀이]

 가. 소화약제의 저장량 [㎏]

    ① 통신기기실

   ② 전자제품창고

  ③ 위험물 저장소

나. 약제저장용기의 병수

  ① 통신기기실

  ② 전자제품 창고

     ▣ 저장용기수 = 1,246.23 / 45 = 27.694 ≒ 28병

  ③ 위험물 저장소

     ▣ 저장용기수 = 457.29 / 45 = 10.162 ≒ 11병

 다. 통신기기실 헤드의 방사압력 : 2.1 [MPa]

 라. 통신기기실에서 약제 방출시간 : 7분 (설계농도가 2분 이내에 30% 도달)

 마. 전자제품창고의 헤드를 14개로 할 때 헤드의 분구면적 [㎟]은 ? 

 바.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저장압력 : 6 [MPa]

 사.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내압시험압력 : 25 [MPa]

 아. 전자제품창고에 방출하여야 하는 이산화탄소(CO2)의 체적은 ?

자. ( )안을 완성하시오.

  ▣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중 스케줄 (① 80) (저압식은 스케줄 ( ② 40 ))이상

       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 ③ 아연도금 ) 등으로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할 것. 다만, 배관의 호칭

       구경이 20 ㎜ 이하인 경우에는 스케줄 ( ④ 40 )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해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 ·국소방출방식)

 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전역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심부화재)

     ▣ 소화약제저장량 [㎏] = 방호구역체적 [㎥] × 소화약제량 [㎏/㎥] + 개구구 면적 [㎡] × 개구부 가산량 [ ㎏/㎡]

※ 이산화탄소 (CO2) 소화설비의 체적 1 ㎥ 당 소화약제량

소방대상물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적용)
⊙ 전기설비 (유압기기 제외)
⊙ 케이블실
1.3 ㎏/㎥
10 ㎏/㎡
⊙ 전기설비 (55㎥ 미만)
1.6 ㎏/㎥
⊙ 서고, 전자부품창고, 목재가공창고, 박물관
2.0 ㎏/㎥
⊙ 고무류, 면화류창고, 모피창고, 석탄창고, 집진설비
2.7 ㎏/㎥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국소방출방식의 소화약제 저장량

 

      여기서, a : 방호공간 주위에 설치된 벽 면적의 합계 [㎡] (0.6m 이내에 설치된 실제 벽)

                   A : 방호공간의 벽 면적 (벽이 없는 경우에는 0.6m의 가상의 벽 부분의 면적)의  합계 [㎡]

                   (0.6 m 이내에 실제 벽이 있을 경우를 포함하며 0.6 m 이내에 벽이 없을 경우에는 가상의 벽 부분의 면적의

                  합계)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관련 압력 기준

구 분
기준
저장용기의 저장압력
고압식
⊙ 20℃ (상온) : 6 [MPa]
저압식
(자동냉동장치)
⊙ 18℃ 이하 : 2.1 [MPa]
저장용기의 내압시험압력
고압식
⊙ 25 [MPa] 이상
저압식
⊙ 3.5 [MPa] 이상
개폐밸브 또는 선택밸브
배관 부속품의 팽창압력
고압식
⊙ 1차측 : 4[MPa] 이상
⊙ 2차측 : 2[MPa] 이상
저압식
⊙ 2[MPa] 이상
기동용 가스용기의 충전압력 [21℃] 기준
⊙ 6 [MPa] 이상
기동용 가스용기의 내압시험 압력
⊙ 25 [MPa] 이상
기동용 가스용기의 안전장치의 작동압력
⊙ 내압시험압력의 0.8~1 (내압시험압력) 이하 : 20 ~25 [MPa]
     이하
저장용기의 선택밸브 또는 개폐밸브 사이의
안전장치 작동압력
⊙ 내압시험압력의 0.8배
   - 고압식 : 20 [MPa]
   - 저압식 : 2.8 [MPa]
안전밸브의 작동압력 (저압식)
⊙ 내압시험압력의 0.6 ~ 0.8배  (2.24 ~ 2.8 [MPa])
충전의 작동압력 (저압식)
내압시험압력의 0.8 ~ 1 (내압시험 압력) 2.8 ~ 3.5 [MPa]
압력경보장치의 작동압력 (저압식)
⊙ 2.3[MPa]이상 1.9 [MPa] 이하
충전비 (저장용기)
고압식
1.5 ~ 1.9 이하
저압식
1.1 ~ 1.4 이하
분사헤드의 방사압력
고압식
⊙ 2.1 [MPa] 이상
저압식
⊙ 1.05 [MPa] 이상

※ 설비별 약제 방사시간

구 분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할론
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로겐화합물
불활성기체
표면화재
심부화재
전역
방출
방식
기타
특정소방
대상물
10초 이내
(최소 설계농도의
95% 이상 방사)
A·C급 화재: 2분
B급화재 :1분
(최소 설계농도의
95% 이상 방사)
10초이내
10초이내
1분이내
7분이내
(설계농도가
2분이내에
30% 
도달)
위험물
제조소등
30초이내
30초이내
60초이내
60초이내
국소
방출
방식
기타
특정소방
대상물
1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위험물
제조소등
3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30초이내

[참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배관의 설치기준 [NFSC 106 제8조 ①]

  ① 배관은 전용으로 할 것

  ② 강관 · 동관의 배관과 배관부속은 다음 표에 따른다.

구 분
설치조건
강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고압식
스케줄 80 이상
(호칭구경 20㎜ 이하 : 스케줄 40 이상)
저압식
스케줄 40 이상
동관 (이음이 없는 동 및 동합금관)
고압식
16.5 MPa 이상
저압식
3.75 MPa 이상
배관 부속
고압식
1차측 : 4 MPa 이상
2차측 : 2 MPa 이상
저압식
2 MPa 이상

 

6. 다음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수동식 가압장치의 설치기준이다. 다음 글을 잘 읽어 보고  (   )안에 알맞은 답을 쓰시오.

    [8점] ★★★

가. 전역방출방식은 ( ① ) 마다. 국소방출방식은 ( ② )마다 설치할 것.

나. 해당 방호구역의 충입구 부분 등 조작자가 ( ③ )에 설치할 것

다. 기동장치 조작부는 바닥으로 부터 높이 ( ④ ) 이상 ( ⑤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장치를 할 것

라. 기동장치에는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 ⑥ )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마.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 ⑦ )을 설치할 것

바. 기동장치의 방출용 스위치는 ( ⑧ )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문제풀이]

  ① 방호구역           ② 방호대상물            ③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        ④ 0.8 m            ⑤ 1.5 m

  ⑥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기동장치           ⑦ 전원표시등            ⑧ 음향경보장치

[해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기준 [NFSC 106 제 6조]

  ① 전역방출방식은 방호구역마다, 국소방출방식은 방호대상물 마다 설치할 것

  ②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 부분 등 조작을 하는 자가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③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 부터 높이 0.8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

       할 것

  ④ 기동장치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기동장치'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⑤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⑥ 기동장치의 방출용 스위치는 음향경보장치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참고] 방출지연 스위치

  ▣ 수동식 기동장치의 부근에는 소화약제방출을 지연시킬 수 있는 비상스위치를 설치할 것

7. 소방시설 종합정밀점검표에서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수동식 기동장치의 점검항목 5가지를 쓰시오 [5점]

  [답안작성]

  ① 방호구역별 또는 방호대상물별 설치위치 (높이 포함) 및 기능

  ② 조작부의 보호판 및 기동장치의 표지상태

  ③ 전원등 상태

  ④ 음향경보장치와 연동 기능

  ⑤ 방출지연 비상 스위치 작동 상태

[해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종합정밀점검표 (기동장치) (소방시설 자체 점검사항 등에 관한 고시 [서식 3의 11])

번호
점검항목
3
<기동장치>
 가. 수동식 기동장치
   ⊙ 방호구역별 또는 방호대상별 설치위치 (높이 포함) 및 기능
   ⊙ 조작부의 보호판 및 기동장치의 표시상태
   ⊙ 전원 등 상태
   ⊙ 음향경보장치와 연동 기능
   ⊙ 방출지연 비상 스위치 작동 상태
 나. 자동식 기동장치 (자동식 기동장치가 설치된 것에 한한다.)
   ⊙ 수동기동 기능 유무 및 상태
   ⊙ 전기식 기동장치의 경우 저장용기에 대한 전자개방밸브의 배치 적정여부 및 전자개방 밸브의 위치
   ⊙ 가스압력식 기동장치의 경우 기동용 가스용기의 용적 · 충전량 · 충전비 및 압력게이지의 적정 여부
   ⊙ 기계식 기동장치의 경우 개방장치의 시험 작동 상태

8. 다음은 고압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배관의 설치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4점] ★★★★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 배관은 ( ① ) 중 ( ② ) 이상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 ③ ) 등으로 ( ④ ) 된

    것을 사용할 것

[답안작성]

  ① 압력 배관용 탄소 강관     ② 스케줄 80          ③ 아연도금              ④ 방식처리

 

[해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배관의 설치기준 [NFSC 106 제 8조 ① ]

  ① 배관은 전용으로 할 것

  ②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중 스케줄 80 (저압식은 스케줄 40) 이상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아연도금 등으로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할 것. 다만, 배관의 호칭구경이 20 ㎜

       이하인 경우에는 스케줄 40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③ 동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이음이 없는 동 및 동합금관 (KS D 5301)으로서 고압식은 6.5 MPa 이상, 저압식은

       3.75 MPa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사용할 것

9. 다음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배관의 설치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4점] ★★★★

 가. 강관을 사용하는 배관은 ( ① )중 ( ② ) (저압식에 있어서는 스케줄 40) 이상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아연도금 등으로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할 것. 다만, 배관의 호칭구경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스케줄 40 이상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나. ( ③ )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이음이 없는 동 및 동합금관 (KS D 5301)으로서 고압식은 ( ④ )MPa 이상, 저압식은

       3.75 MPa 이상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사용할 것

[답안작성]

  ①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② 스케줄 80       ③ 동관            ④ 16.5

10. 가지배관의 배관을 토너먼트(Tournament)방식으로 해야 유리한 소화설비 4가지를 쓰시오. [4점] ★★★★★

[답안작성]

  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② 할론 소화설비   ③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④ 분말소화설비

[해설] 토너먼트 배관 방식

가. 소화약제 방출시 배관내의 마찰손실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식

 

나. 토너먼트배관방식 (균배배관) 방식의 적용 설비

 ① 유리한 설비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할론소화설비

    ㉢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

    ㉣ 분말소화설비

 ② 적용해야 하는 설비

    ㉠ 압축공기포 소화설비

11. 어느 건물에 전역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할 경우 과압배출구의 면적 [㎡]을 구하시오. (단, 이산화탄소

      의 유량은 250 ㎏/min, 방호구역의 허용압력은 2.4 kPa이다) [5점] ★

[문제풀이]

[해설]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과압배출구의 면적

          여기서, A : 과압 배출구의 면적 [㎟]

                       Q : 이산화탄소의 유량 [ ㎏/min]

                       P : 방호구역내 구조물의 허용압력 [㎏/㎠, kPa]

[참고]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과압배출구

 가. NFSC 106 제17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방호구역에 소화약제가 방출시 과압으로 인하여 구조물 등에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과압배출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과압배출구의 적용

 ① 전역방출방식과 같은 완전 밀폐공간의 경우 가연성 가스 및 압력의 방출을 위해 NFPA에서는 과압배출구를 적용하고

      있으며, 출입구, 창문, 댐퍼 등의 누설 틈새도 과압배출구로 인정하고 있다.

 ② 과압배출구를 설치할 경우 과압 배출구의 위치는 이산화탄소의 증기 배중이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바닥으로 부터 높은

      곳에 설치하여 소화약제 방사시 방호구역 내 농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12. 가로 16m, 세로 10m, 높이 5m인 경량 구조물의 전자제품 창고에 전역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할 경우

       필요한 과압배출구의 면적 [㎟]을 구하시오. (단, 1병당 저장용기의 충전량은 45 ㎏ / 병이고, 설계농도가 2분 이내에

       30%가 되기 위한 약제량으로 계산하며, 개구부는 없다.) [6점] ★

[답안작성]

[참고] 이너젠 (Inergen) (IG-541) 설비의 과압배출구 면적

     여기서, A : 과압배출구의 면적 [㎠]

                 Q : 이너젠의 유량 [㎥/min]

                 P : 방호구역내 구조물의 허용압력 [㎏/㎠]

구조
압력 [P]
경량구조물
10 ㎏/㎡
블록마감
50 ㎏/㎡
철근콘크리트 벽
100 ㎏/㎡
부재의 종류를 알 수 없는
일반적인 건축 자재
49 ㎏/㎡

13. 피스톤 릴리져란 무엇인지 간단히 쓰시오. [4점] ★★★★★

      피스톤릴리져 : 소화가스 방출시 소화가스가 누설될 수 있는 급배기 댐퍼, 환기팬 등에 설치하며 소화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개구부를 자동적으로 폐쇄시키기 위한 장치

  ※ 자동폐쇄장치

    ⊙ 전기식 : 모터식 댐퍼

    ⊙ 기계식 : 피스톤 릴리져

#위험물 #이산화탄소 #CO2 #소화설비 #국소방출방식 #전역방출방식 #면적식 #체적식

#방호공간 #방호대상물 #소화약제 #표면화재 #심부화재 #헤드 #방사량 #개구부

#이상기체방정식 #수동기동장치 #압력 #전자개방밸브 #종합정밀점검 #기동장치

반응형
반응형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실내의 산소 농도를 낮추거나 연소면의 공기공급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설비

1.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기준

  ① 전역방출방식은 방호구역마다, 국소방출방식은 방호대상물 마다 설치할 것

  ②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 부분 등 조작을 하는 자가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③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 부터 높이 0.8[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④ 기동장치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기동장치"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⑤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⑥ 기동장치의 방출용 스위치는 음향경보장치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2.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의 설치기준

  ① 제어반은 수동기동장치 또는 감지기에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경보장치의 작동, 소화약제의 방출 또는 지연 기타의

     제어기능을 가진 것으로 하고, 제어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② 화재표시반은 제어반에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하되, 다음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각 방호구역마다 음향경보장치의 조작 및 감지기의 작동을 명시하는 표시등과 이와연동하여 작동하는 벨 · 부저 등의

         경보기를 설치할 것. 이 경우 음향경보장치의 조작 및 감지기의 작동을 명시하는 표시등을 겸용할 수 있다.

    ㉡ 수동식 기동장치는 그 방출용 스위치의 작동을 명시하는 표시등을 설치할 것

    ㉢ 소화약제의 방출을 명시하는 표시등을 설치할 것

    ㉣ 자동식 기동장치는 자동·수동의 절환을 명시하는 표시등을 설치할 것

  ③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의 설치장소는 화재에 따른 영향, 진동 및 충격에 따른 영향 및 부식의 우려가 없고 점검에 편리

       한 장소에 설치할 것

  ④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에는 해당 회로도 및 취급설명서를 비치할 것

  ⑤ 수동잠금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등을 설치할 것

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음향경보장치의 설치기준

  ① 수동식 기동장치를 설치한 것은 그 기동장치의 조작과정에서 자동식 기동장치를 설치한 것은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경보를 발하는 것으로 할 것

  ② 소화약제의 방사개시 후 1분 이상 경보를 계속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③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 안에 있는 자에게 유효하게 경보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④ 증폭기의 재생장치는 화재시 연소의 우려가 없고, 유지관리가 쉬운 장소에 설치할 것

  ⑤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2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⑥ 제어반의 복구 스위치를 조작하여도 경보를 계속 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참고] 제어반에서 기동스위치 조작시 기동용기가 개방되지 않는 이유

 ① 기동 스위치 불량 (접점불량 등)
 ② 제어반의 전원공급차단
 ③ 제어반과 전자개방밸브(솔레노이드 밸브) 사이에 연결된 배선의 단선 또는 오접속
 ④ 제어반에 설치된 기동용 시한계전기(타이머) 불량
 ⑤ 전자개발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코일 단선 또는 절연불량

 

4. 이산화탄소(CO2) 설비의 블록 다이어그램

 

5.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동작순서

  ① 2개 이상의 감지기 회로 작동

  ② 수신반에 신호

  ③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점등

  ④ 사이렌 경보

  ⑤ 기동용기 솔레노이드 개방

  ⑥ 약제방출

  ⑦ 압력스위치 작동

  ⑧ 방출표시등 점등

【 출제 예상 문제 】

1. 다음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가. 전역방출방식에 있어서는 (방호구역) 마다, 국소방출방식에 있어서는 (방호대상물) 마다 설치할 것

  나. 기동장치의 조작부 설치 높이를 쓰시오.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

  다. 수동식 기동장치의 타이머를 순간 정지시키는 기능의 스위치(비상스위치)를 설치하는 목적은 ?

        소화약제의 방출 지연

2.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음향경보장치를 설치하려고 한다.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며, 소화약제의 방사 개시 후 음향경보장치는 몇 분 이상 경보

    를 계속할 수 있게 하여야 하는가 ? ① 수평거리 25 [m] 이하, ② 경보시간 : 1분 이상

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제어반에서 수동으로 기동스위치를 조작하였으나 기동용기가 개방되지 않았다. 기동용기가

     개방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전기적 원인 4가지만 쓰시오. (단, 제어반의 회로기판은 정상이다)

  ① 기동스위치 불량

  ② 제어반의 전원공급 차단

  ③ 제어반에 설치된 기동용 시한계전기 불량

  ④ 전자개방밸브 코일단선 또는 절연불량

4. 다음은 가스압 기동방식 CO2 설비의 계통을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것이다.

    □ 안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장치명을 기재하고 그 장치의 기능에 대해 요약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① 압력스위치 : 선택밸브의 개방에 따른 소화약제가 방출되면 이 압력에 의해 컨트롤판넬에 신호를 보냄

  ② 방출표시등 : 소화가스의 방출을 알려 실내로의 입실 금지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억제 효과 (부촉매 효과)를 이용하여 소화하는 설비

1.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의 작동흐름

 

[작동순서]

  ① 2개 이상의 감지기 회로 작동

  ② 수신반에 신호

  ③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점등

  ④ 사이렌 경보

  ⑤ 기동용기 솔레노이드 개방

  ⑥ 약제 방출

  ⑦ 압력스위치 작동

  ⑧ 방출표시등 점등

2.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 기기의 설치장소 및 설치 목적

  ① 경보 사이렌

    ⊙ 설치 위치 : 방호구역 내

    ⊙ 설치목적 : 음향으로 경보하여 방호구역 내에 있는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하여

  ② 수동조작함

    ⊙ 설치위치 : 방호구역외 출입구 옆의 조작이 용이한 장소

  ③ 방출표시등

    ⊙ 설치위치 : 방호구역 외 출입구 상부

    ⊙ 설치목적 : 소화약제의 방출을 알리고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시키기 위하여

  ④ 압력스위치

    ⊙ 설치위치 : 저장용기실 (실린더실) 선택밸브 2차측

     ※ 선택밸브 :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에만 소화약제가 방출되도록 하는 밸브

【 출제 예상 문제 】

  1. 할론 소화설비에 설치되는 방출표시등 및 사이렌의 설치위치와 설치 목적을 쓰시오.

    가. 사이렌

     ① 설치위치 : 방호구역내

     ② 설치목적 : 음향으로 경보를 알려 실내에 있는 인명을 대피시킨다.

   나. 방출등

    ① 설치위치 : 방호구역외 출입구 상부

    ② 설치목적 : 소화약제의 방출을 알려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시킨다.

2. 할론 1301 설비에 설치되는 방출지연스위치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 자동복귀형 스위치로서 수동식 기동장치의 타이머를 순간 정지시키는 기능의 스위치

#방호구역 #방호대상물 #전역방출 #국소방출 #화재표시반 #연소 #제어반 #소화약제

#이산화탄소 #CO2 #수동잠금밸브 #표시등 #음향경보장치 #수평거리 #기동장치

#증폭기 #확성기 #다이어그램 #시한계전기 #계전기 #감지기 #스위치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