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원자량

  1~20번 원자의 원자량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원자번호가 홀수일 때 : 원자번호 × 2 + 1

   ⊙ 원자번호가 짝수일 때 : 원자번호 × 2

         이 방법이 맞지 않는 예외 원소가 5가지이며 원자량은 다음과 같다.

 
H (수소)
Be (베릴륨)
N (질소)
Cl (염소)
Ar (아르곤)
1
9
14
35.5
40

  ▣ 원자량은 탄소 12를 기준으로 양을 비교한 값이므로 단위가 없다. 단, 물질 1mol 이 있을 때의 g수를 말한다.

      ※ 산소의 원자량은 16이다. O2의 1 mol 이 있을 때 32g 이 된다.

<참고> 탄소(C)는 6번 원소이다.

            원자번호가 짝수 이므로 원자량을 구하기 위해서

            원자번호 × 2를 하면 6 × 2 = 12이다.

            나트륨(Na)은 11번 원소이다.

            원자번호가 홀수이므로 원자량을 구하기 위해

            원자번호 × 2 + 1 을 하면 11 × 2 + 1 = 23이다.

수헬리베 붕탄질 산풀네 나마알 규인황염 아칼칼

H
수소
He
헬륨
Li
리튬
Be
베릴륨
B
붕소
C
탄소
N
질소
O
산소
F
플루오린
Ne
네온
Na
나트륨
Mg
마그네슘
Al
알루미늄
Si
규소
P
S
Cl
염소
Ar
아르곤
K
칼륨
Ca
칼슘

   ※ 평균 원자량 : 평균 원자량 = Σ 원자량 × 비율

2. 몰 (mol)

3. 증기비중

  ▣ 공기의 밀도 (29g/22.4ℓ)를 기준으로 한 해당 기체와의 밀도의 비 (단위없음)

[개념잡기]

 ▣ 어떤 화합물의 질량을 분석한 결과 나트륨 58.9%, 산소 41.03%였다. 이 화합물의

      실험식과 분자식을 구하시오. (단, 화합물의 분자량은 78(g/mol)이다)

4. 농도

  ▣ 몰 농도 (M) : 용액 1ℓ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몰 수

  ▣ 노르말 농도 (N) : 용액 1ℓ에 녹아 있는 용질의 g 당량수

  ▣ 몰랄 농도 (m) : 용매 1 ㎏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몰 수

 <참고>

  ▣ 노르말 농도 (N)

     ⊙ 당량(n) × 몰 농도 (M)

  ▣ 산의 당량

     ⊙ 이온화되어 수소이온 (H+)을 내는 개수

         ex : HCl : 1당량

                H2SO4 : 2당량

5. 용해도

가. 고체의 용해도

  ▣ 용매 100g 에 용해되는 용질의 g수

 

  ▣ 온도가 증가하면 더 잘 녹으므로 용해도가 증가한다.

  ▣ 70℃에서 용해도가 50이라면, 용매 100g 에 용질 50g이 녹은 것이므로

      용액의 양은 150g으로 보아야 한다.

#용해도 #몰농도 #몰랄농도 #노르말농도 #주기율 #원자량 #원소 #원자번호

반응형

'위험물 기능장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물기능장 실기 제48회 2010년  (2) 2025.03.07
위험물기능장 실기 제47회 2010년  (2) 2025.03.03
화학반응식  (0) 2025.02.27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0) 2025.02.23
연소와 소화  (0) 2025.02.10
반응형

농도에 관한 문제는 고등학교, 대학교, 그리고 자격증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문제 유형 중 하나입니다.

몰농도, 몰농도공식, 몰랄농도, 퍼센트농도 등

다양한 농도 유형이 존재하므로,

이 개념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세 가지 농도를 자유롭게 변환하고

몰농도공식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1. 몰농도

▣ 몰농도는 용질의 몰 수를 용매의 부피(ℓ)로 나눈 값으로 정의됩니다.

여기서 용질의 몰 수는 몰(mol) 단위를 말하며, 용매의 부피는 리터(ℓ) 단위로 계산됩니다.

공식만으로는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니,

예제를 통해 설명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연습문제 1.

NaCl 58.44g을 1ℓ 물에 녹여 NaCl 수용액을 만들었습니다.

이때의 몰농도는 몇 M일까요?

 

NaCl 58.44g은 용질로 사용되었고,

1ℓ 물에 녹였으므로, 1ℓ의 물은 용매의 부피가 됩니다.

 

용질의 몰 수를 구하기 위해 NaCl의 분자량으로 질량을 나누어 몰 수를 계산합니다.

​ (질량 / 분자량 = 몰 수) 이 공식으로 몰 수를 구하고,

이를 용매의 부피로 나누면 1M(몰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몰랄농도

몰랄농도는 용매 1kg당 녹아 있는 용질의 몰 수를 나타내며, 용질의 몰 수를 용매의 질량(kg)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됩니다.

연습문제 2.

NaCl 58.44g을 1ℓ 물에 녹여 NaCl 수용액을 만들었습니다.

이때의 몰랄농도는 몇 m일까요?

1번 문제와 마찬가지로 용질의 몰 수를 계산한 후,

용매의 부피를 질량으로 환산해야 합니다.

물 1ℓ의 부피를 cm3로 환산하고, 물의 밀도(1g / cm3)를

이용해 질량으로 환산합니다.

이를 통해 계산하면 1m(몰랄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퍼센트농도

퍼센트농도는 용질의 질량을 용액의 총 질량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 얻는 값입니다.

이는 용매에 얼마나 많은 용질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연습문제 3.

NaCl 58.44g을 1ℓ 물에 녹여 NaCl 수용액을 만들었습니다.

이때의 퍼센트농도는 몇 %일까요?

퍼센트농도를 구하기 위해, 용질의 질량과 용액의 총 질량을 계산해야 합니다.

용매의 질량을 구한 후, 용질의 질량을 더해 용액의 총 질량을 구합니다.

이를 통해 계산하면 5.52%의 퍼센트농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몰농도, 몰랄농도, 몰농도계산 퍼센트농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세 가지 농도는 시험뿐만 아니라 실무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공식을 사용할 때 단위 변환을 정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몰 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화합물의 분자량을,

부피를 질량으로 환산할 때는 물질의 밀도를 알아야 합니다.

#몰농도 #몰랄농도 #퍼센트농도 #밀도 #부피 #질량 #용매 #용질 #용액

반응형
반응형
 

 

화학에서 아주 중요한 개념인 '몰농도'에 대해 알아 봅시다.

몰농도란 무엇일까요 ?

몰농도는 용액 1리터 속에 들어있는 용질의 몰 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물 같은 용매에 얼마나 많은 양의 물질이 녹아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몰농도의 단위는 M(몰라, molar)이죠.

예를 들어, 1M 설탕물은 물 1리터(ℓ)에 설탕 1몰(mol)이 녹아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몰농도를 구하는 공식은 이렇습니다.

몰농도 (M) = 용질의 몰(mol) 수 / 용액의 부피 (ℓ)

 

 

이제 몰농도(M)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1. 몰농도의 의미

 ▣ 몰농도는 용액의 진하기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진하다는 것은 용질이 많이 녹아 있다는 뜻이고,

     묽다는 건 용질이 적게 녹아 있다는 뜻입니다.

2. 몰농도의 예시

  ▣ 0.1M 소금물 : 물 1리터에 소금 0.1몰이 녹아 있는 수용액의 농도를 말합니다.

  ▣ 2M 설탕물 : 물 1리터에 설탕 2몰이 녹아 있는 수용액을 말합니다.

3. 몰농도 계산하기

  ▣ 예를 들면, 물 500 ㎖에 소금 29.25 g을 녹였다고 한다면

       소금의 분자량이 58.5g / mol이라면 몰농도는 어떻게 될까요?

  ▣ 풀이

    ① 먼저 소금의 몰 수를 구합니다.

         29.25g ÷ 58.5 g /mol = 0.5mol

   ② 용액의 부피를 리터(ℓ)로 바꿉니다.

        500 ㎖ = 0.5 ℓ

   ③ 몰농도 산정 공식에 대입합니다.

        몰농도 = 몰수 / 부피(ℓ) = 0.5 mol / 0.5 ℓ = 1 M

   따라서 이 소금물의 몰농도는 1M 입니다.

 
 

4. 몰농도의 활용

  ▣ 몰농도는 화학 실험에서 정말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산과 염기의 반응을 연구할 때나 약품을 만들 때

      몰농도를 이용해 정확한 양을 계산합니다.

5. 몰농도와 일상생활

  ▣ 우리 일상생활에서도 몰농도 개념을 찾아볼 수 있죠.

       예를 들어, 주스를 물로 묽게 만들 때도 비슷한 원리를 사용합니다.

이제 몰농도를 응용하여 삼투압 몰농도에 대해 알아 봅시다.

삼투압 몰농도란 무엇일까요?

삼투압 몰농도는 용액의 삼투압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삼투압은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물이 이동하도록 하는 힘(압력)을 말합니다.

삼투압 몰농도의 단위는 Osm(오스몰, osmole) 입니다.

삼투압 몰농도를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삼투압 몰농도 (Osm) = i × 몰농도 (M)

여기서 i는 반트호프 계수라고 하고 이는 이온화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삼투압 몰농도의 예를 들어 봅시다.

  ◈ 0.9% 생리식염수 : 혈액과 같은 삼투압을 가져서 우리 몸에 주사할 수 있어요.

  ◈ 5% 포도당 용액 : 수액으로 많이 사용되는 용액이에요.

삼투압 몰농도 계산하기

 

예를 들어,

  0.1 M NaCl 용액의 삼투압 몰농도를 구해봅시다.

  이때 NaCl의 반트호프 계수는 2라고 합시다.

풀이 :

삼투압 몰농도 (Osm) = i × 몰농도 (M)

삼투압 몰농도 = 2 × 0.1M = 0.2 Osm

따라서 이 용액의 삼투압 몰농도는 0.2 Osm 입니다.

몰농도와 삼투압 몰농도는 화학뿐만 아니라 생물학, 의학에서도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 몸의 세포가 적절한 삼투압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몰농도와 삼투압 몰농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몰농도 #몰랄농도 #삼투압 #농도 #삼투압몰농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