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재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은 연소가스 (fire gas), 연기(smoke), 화염 (flame) 및 열(heat) 등이 있다. 그러나 화재발생하면 연소가스와 연기는 혼합되어 확산되므로 이들은 구분없이 통칭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1. 화재시 인간행동

  ① 불안감으로 인한 행동

  ② 공포 (panic)로 인한 행동

2. 연소생성물의 유해성

고분자 물질 등 유기물의 구성원소는 일반적으로 탄소, 수소를 중심으로 산소, 질소를 함유하는 경우가 많고 여기에 황, 인, 할로겐 (염소, 불소, 브로민 등)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완전연소의 경우 생성물의 수는 적으며 탄소는 탄산가스, 수소는 물, 산소는 탄산가스 및 물 등의 산화물, 질소는 질소가스, 황은 이황산가스, 인은 오산화인으로 또한 할로겐은 염화수소 등의 할로겐화수소로 된다. 그러나 불완전연소의 경우 상기 생성물 외에 다수의 산화물이나 분해생성물이 발생한다. 발생가능성이 있는 화합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시각적 유해성

   ② 심리적 유해성

   ③ 생리적 유해성

3. 연소가스 (fire gas)

연소생성물 중 기체로 발생되는 것을 총칭하여 연소가스 또는 화재가스라고 한다. 건축 재료 및 일반 건축물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종 재료의 연소생성 가스 중에서 일산화탄소 (CO) 및 이산화탄소 (CO2) 이외의 유해성분으로서 Cyan계 물질, 염화수소계 물질 및 기타 합성수지류 등에서 발생되는 시안화수소 (HCN), 염화수소 (HCl) 및 포스겐 (COCl2) 등 여러가지 유독가스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그 독성이 상당히 강하여 미량으로도 인체에 위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소물질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생성가스가 발생한다.

 

특히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아황산가스, 암모니아, 시안화수소, 염화수소, 이산화질소, 아크릴로레인 및 포스겐 등이 인체에 가장 치명적인 연소가스로 알려진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가. 일산화탄소 (CO : Carbon monoxide)

 

일산화탄소는 가장 유독한 연소가스는 아니지만 양에 있어서는 가장 큰 독성가스 성분이다. 무색, 무취, 무미의 환원성을 가진 가연성 기체이다. 비중은 0.97로 공기보다 가벼우며 (분자량 = 28), 폭발범위는 12.5 ~ 74%이고 물에 녹기 어렵고 공기 속에서 점화하면 청색 불꽃을 내면서 타서 이산화탄소가 된다. 일산화탄소는 혈액 중의 산소운반 물질인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카르복시헤모글로빈을 만듦으로써 산소의 혈중농도를 저하시키고 질식을 일으키게 된다. 헤모그로빈의 산소와의 결합력 보다 일산화탄소와의 결합력이 약 250 ~

300 배 높다.

다음표는 일산화탄소의 고기중 농도에 대한 증상이다.

 

나. 시안화수소 (청산가리, HCN)

목재와 종이류의 연소시에도 발생하지만 주로 양모, 명주, 우레탄, 폴리아미드 및 아크릴 등이 연소할 때 발생한다.

다. 염화수소가스 (HCl)

염화수소가스의 흡입 만큼 인체에 장애가 심한 것은 없다. 이 가스는 전신을 부식시키고 인간의 기도를 상하게 한다. 잠깐 동안 HCl 50 ppm에 노출되면 피난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이 가스는 사람의 축축한 눈에 닿아 염산이 되며, 이로 인해 눈의 통증과 눈물이 심해져 시야를 가릴 만큼 자욱하지는 않더라도 볼 수가 없게 된다.

라. 질소화합물 (NO3)

인체에 영향이 문제가 되는 것은 많은 질소화합물 중 NO2와 NO이고 양자를 총칭하여

NOx (녹스)라 부르고 있다. 특히, NO2는 대단히 위험도가 높아서 수분이 있으면 질산을 생성하여 강철도 부식시킬 정도이며 고농도의 경우 눈, 코, 목을 강하게 자극하여 기침, 인후통을 일으키고 현기증, 두통, 악심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흡입량이 많으면 5~10시간 후 입술이 파랗게 되고 지아노제 증상을 일으켜 폐수종을 초래한다. 증상의 경우 의식불명, 사망에 이른다.

마. 이산화탄소 (CO2 : Carbon dioxide)

화재시 다량으로 발생하고 호흡속도를 매우 빠르게 하여 함께 존재하는 독성가스의 흡입 속도를 증가시킨다. 기체인 것은 탄산가스, 고체인 것은 드라이아이스 (dry ice)라고도 하며 공기중에 약 0.03%가 들어있고 천연가스나 광천가스 등에도 섞여 있는 경우가 많다.

순수한 이산화탄소는 무색, 무취, 불연성, 비조연성 가스이다. 1~2%의 공기 중에서는 수시간, 3~4%에서는 1시간 동안 안전하지만 5~7%에서는 30분 ~1시간이 위험하고

20%에서는 단시간 내에 사망한다.

바. 암모니아 (NH3)

암모니아는 눈, 코, 인후 및 폐에 매우 자극성이 큰 유독성 가스로서 사람들이 그 장소로 부터 본능적으로 피하고자 할 정도로 역학 냄새가 난다. 대체로 0.25 ~ 0.65 %의 농도를 가진 암모니아의 호나경 속에 30분 정도 노출되면 사망하기 쉬우며, 또한 그렇지 않게 될 경우라도 생체의 내부조직이 심한 손상을 입어 매우 위험하다.

사. 황화수소 (H2S : Hydrogen sulfide)

고무, 동물의 털과 가죽 및 고기 등과 같은 물질에는 황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화재시에 이들의 불완전연소로 인해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황화수소는 유화수소라고도 하며 달걀 썩는 냄새와 같은 특유한 냄새가 있어 쉽게 감지할 수 있으나 0.02% 이상의 농도에서는 후각이 바로 마비되기 때문에 불과 몇 회만 호흡하면 전혀 냄새를 맡을 수 없게 되며, 환원성이 있는 발화온도는 260 ℃ 로 비교적 낮아 착화되기 쉬운 가연성 가스로서 폭발범위는 4.0 ~ 4.4 % 이다.

아. 이황산가스 (SO2 : Sulfur dioxide)

공기보다 훨씬 무겁고 무색이며 자극성이 있는 냄새를 가진 기체로서 이산화황이라고도 한다. 이황산가스는 자극성이 있어 눈 및 호흡기 등의 점막을 상하게 하기 때문에 약 0.05% 농도에 단시간 노출되어도 위험하다.

자. 아크릴로레인 (CH2CHCHO : acrylolein)

자극성 냄새를 가진 무색의 기체 (또는 액체)로서 아크릴알데하이드라고도 하는데 이는 점막을 침해한다. 아크릴로레인은 석유제품 및 유지류 등이 탈 때 생성되는데, 너무도 자극성이 크고 맹독성이어서 1ppm 정도의 농도만 돼도 견딜 수 없을 뿐만 아니라 10 ppm 이상의 농도에서는 거의 즉사한다. 다만, 일상적인 화재에서는 발생되는 경우가 극히 드물기 때문에 그다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차. 포스겐 (COCl2)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의 유태인의 대량 학살에 이 가스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짐으로써 전시에 사용하는 인명살상용 독가스라면 이를 연상할 정도로 알려져 있다.

【열 및 연기의 유동 특성】

1. 열 (Heat)

계의 내부에서 온도 구배가 발생하거나 온도가 서로 다른 두 계가 서로 접촉하고 있을 경우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열이 흐르게 된다. 즉, 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열이 흐르는 과정을 열전달이라고 한다. 열전달의 형태는 전도 (conduction), 대류 (convection) 및 복사 (radiation)의 3가지 형태로 구별되며,

고체나 정지하고 있는 유체 내에 온도구배가 존재할 경우 그 매질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열전달의 형태를 전도라고 한다. 대류는 표면과 이와 다른 온도를 가진 유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전달을 말한다. 또한 복사는 서로 다른 온도의 두 표면 사이에서 전자기파의 방식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3가지 형태의 열전달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2. 전도 (conduction)

물질의 열전도는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의 현상으로 인해 일어난다.

  ① 물질의 구성분자들이 온도의 상승에 따라 진동이 심해져서 점차로 인접 분자들과 충돌하여 그 온동에너지 (열에너지

       는 분자들의 운동에너지로 보존된다)의 일부를 인접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열의 이동이 일어나는 경우로, 일반적으로

       비결정체와 비금속 고체에서의 열전달이 이에 따른다.

  ② 분자들 사이의 공간에 자유전자가 존재하는 물질에서 분자 상호간의 (진동에 의한) 충돌에 의한 열전달은 물론, 온도의

       상승과 더불어 자유전자의 흐름이 일어나면서 이 흐름이 열이동에 동시에 기여하는 경우인데, 일반적으로 결정체 및

       고체 금속의 열전도는 이 현상에 의한 것이다. 어느 경우에 의한 전도이든 그 물질 내의 분자들은 원위치에서 진동한

        다.

        물질의 어느 구간을 통하여 어느 시간 동안 전도에 의해 전달되는 열에너지의 양, 즉, 전도열은 그 구간의 온도차, 그

        구간에 있어서의 열전달 경로의 단면적 및 경로의 길이, 열전달시간, 그리고 그 경로가 갖는 고유한 열전달 능력, 즉,

        열전도율과 함수관계에 있다.

        열전달 경로를 구성하는 물질이 균질성 (homogeneous)의 것이면서 그 경로를 통해 정상열류(steady - state flow of

         heat)가 일어날 경우, 이 물리적인 양들 간에는 다음과 같은 비교적 간단한 관계식이 성립하는데 이것을 "푸리에

         (Fourier)의 방정식"이라고 한다.

             여기서, Q : 전도열 [cal]

                           t : 전도시간 [sec]

                           k : 열전도율 [cal/sec · ㎝ · ℃]

                           A : 열전달경로의 단면적 [㎠]

                           T : 경로 양단간의 온도차 [℃]

                           x : 경로의 길이 [㎝]

                           dT/dx : 열전달 경로의 온도 구배 [℃/㎝]

어떤 물질의 특성 가운데에 열전도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그 물질의 열전도율, 밀도 및 비열이다. 이들을 각각 K, ρ 및 C라고 할 때 ρC는 열전도에서 특히 흥미있는 물리적 양이 된다. ρC는 어떤 물질의 단위체적을 단위온도로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이 된다. 즉, 단위체적당의 열용량이 된다.

열전도가 교량 역할을 한 화재는 화재발생시까지 상당히 장시간이 경과되는 경우도 흔해서 사전에 발생 위험성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잦다.

3. 대류 (Convection)

증기를 포함한 기체류, 안개와 같이 공간에 분산되어 농무상태를 형성하고 있는 액체상태의 미세입자들, 그리고 액체류에 있어서 고온의 분자 (또는 응축입자)들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움직임으로써 열을 이동시키는 것을 대류라고 한다.

가. 자연대류

물질의 밀도 차로 인해 고온의 이동성 분자들 (또는 응축입자들)이 별도의 기계적 도움없이도 중력에 의하여 위치를 변화함으로써 일어나는 경우이다.

나. 강제대류

송풍기나 펌프를 사용하여 고온의 물질을 강제로 이동시켜 대류가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대규모 건물의 공조설비들은 대부분 강제대류에 의한 열전달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반면에 난로에 의하여 방안의 공기가 더워지는 현상은 자연대류의 일례로, 난로에 가까운 공기가 전도에 의하여 더워져서 팽창하여 상승하기 때문에 열을 받는 물질이 이동, 순환하는 이른바 자연대류에 의해 열이 실내의 공간에 전달되는 것이다.

4. 복사 (radiation)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열전달에 있어서는 반드시 물질이 열전달매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물질의 존재없이는 전도와 대류는 일어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절대진공에서는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열전달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에너지는 절대 진공상태의 공간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때로는 물질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는데 그것은 열에너지가 전자파의 한 형태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에너지 전달의 유형을 복사라고 부른다. 태양으로 부터 오는 복사열은 진공상태의 공간을 아무런 손실없이 진행한다. 그러므로 지상의 물체에 닿아 흡수된다. 복사열은 분자구조가 대칭인 기체, 예를 들면 수소, 산소, 질소 등의 기체 속을 통과할 때는 손실이 없다. 그러므로 공기중을 통과할 때는 수증기, 탄산가스, 이황산가스, 탄화수소와 같은 비대칭성 구조의 분자들, 그리고 기타 오염물질 (연기 등)에 의한 것 외에는 손실없이 진행한다. 그러나 이들 오염물질들이 공기중에서 차지하는 농도는 매우 낮으므로 이것에 의해 흡수되는 열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러나 대기중에서 수증기와 탄산가스의 농도가 매우 커지면 복사열의 흡수량은 무시 못할 정도로 현저히 증가한다. 습도가 높은 날의 삼림화재 (森林火災)나 대형의 액화천연가스(LNG) 화재가 습도가 낮은 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보다 덜한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분무상태의 미세한 물방울들은 복사열을 거의 대부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물분무를 사용한 복사열의 차단은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대형 화재에서 대량의 복사열이 발산되면 호스를 사용하여 방수함으로써 열을 제거하지 않으면 주위의 가연물로 불이 급속히 확대될 것인데 이 때 분무노즐을 사용하여 방수하면 열복사를 차단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분무는 복사열의 차단 및 흡수뿐만 아니라 표면에서 반사하는 효과도 있어 복사열을 주위의 공간으로 분산시켜 열에너지를 희석시켜 주기도 한다.

복사체로 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은 복사체의 단위표면적당 방사열로 정의하여 정량적으로 파악하게 되는데, 그 양은 복사표면의 절대온도의 4승에 비례한다. 이것을 슈테판-볼츠만 (Stefan-Boltzman)의 법칙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q : 복사체의 단위표면적으로 부터 단위시간당 방사되는 복사에너지 (Watts/㎠)

                       ε : 보정계수 (적외선 파장범위에서 비금속 물질의 경우에는 거의 1에 가까운 값이므로 무시할 수 있음)

                       σ : 슈테판-볼츠만 상수 (≒ 5.67 × 10-12 Watts/㎠ · K4)

                       T : 절대온도 [K]

                       A : 단면적 [㎠]

                       F : 기하학적 factor

 

5. 화상

1도 화상 (홍반성)
최외각 피부의 손상으로 분홍색이 되어 심한 통증을 느끼는 상태
2도 화상 (수포성)
화상 부위가 분홍색을 띠고 분비액이 많이 분비되는 화상의 정도
3도 화상 (괴사성)
화상 부위가 벗겨지고 열이 깊숙이 침투되어 검게 되는 현상
4도 화상 (탄화성)
피부의 전 층과 함께 근육, 힘줄, 신경 또는 골조직까지 손상되는 정도

6. 공기 온도와 생존 한계시간

공기온도 [℃]
143
120
100
65
생존한계 시간 [분]
5 이하
15 이하
25 이하
60 이하
 

【화재의 분류 및 특성】

1. 화재의 정의

   ① 실화 도는 방화 등 사람의 의도와는 반대로 발생한 연소현상

   ② 사회 공익 · 인명 및 물적 피해를 수반하기 때문에 소화해야 할 연소 현상

   ③ 소화시설이나 그 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을 사용해야 할 연소 현상

2. 화재 성장

가. 일반적인 화재 확대 현상

   ① 발생된 증기가 산소와 발열반응을 하여 고온의 연소생성물을 생성

   ② 고온의 연소생성물은 자연대류에 의해 위로 상승하고 주위로 부터 공기가 유입

   ③ 유입된 공기는 연료와 혼합되어 가연성 증기가 생성

   ④ 가연성 증기가 주위의 열에 의해 다시 발열 반응

나. 건물내에서의 화재 확대 현상

   ① 일반화재에 의해 형성된 고온의 연소생성물이 온도 차이에 의해 천장면으로 부상

   ② 수평면에 도달 후 천장면을 따라 이동

   ③ 이런 유동현상이 개구부가 있으면 연기 및 불기둥이 대기로 방출되거나 화재가 상층으로 확대

   ④ 만일 밀폐되어 있을 경우 불기둥 또는 연기가 아랫부분으로 모임

3. 화재 발생원인

가. 화재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

발화원 · 가연물의 사용 부주의, 방화 등 인위적인 것, 자연발화 (천둥, 벼락 등)

 

나. 통계에 의한 원인 유형

전기, 마찰, 과열물질, 과열기계, 버너화염, 스파크, 자연발화, 절단 및 용접, 연소 (인접 건물로 부터의 인화), 방화, 화학적 작용, 기타 (정전기, 낙뢰 등)

4. 화재의 발생 단계

 가. 발화 조건의 형성

       물질 조건과 에너지 조건

나. 발화가 일어나기 위한 이상한 사상의 생성

       물질이나 에너지의 불안전한 상태 + 인간의 불안전한 행동

다. 이를 뒷바침하는 지배적 요인의 존재

       재료나 장치의 결함 · 고장 + 설계 · 시공 불량

라. 이들의 배경이 되는 사회 요인

5. 화재의 분류

화재 분류
명칭
비 고
소화
A급 화재
일반화재
연소후 재를 남기는 화재
냉각소화
B급 화재
유류화재
연소 후 재를 남기지 않는 화재
질식소화
C급 화재
전기화재
전기에 의한 발열체가 발화원이 되는 화재
질식소화
D급 화재
금속화재
금속 및 금속의 분, 박, 리본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화재
피복소화
K급 화재
(또는 F급 화재)
주방화재
가연성 튀김기름을 포함한 조리로 인한 화재
냉각 · 질식
소화

[비고] 1. 주방화재는 유면상의 화염을 제거하여도 유온이 발화점 이상이기 때문에 곧 다시 발화한다. 따라서 유온을

               20 ~ 50℃ 이상 기름의 온도를 낮추어서 발화점 이하로 냉각해야 소화할 수 있다.

           2.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1)에서는 D급 (금속화재)과 E급 (가스화재)에 대한 분류

                기준은 없으며, 또한 각 화재에 대한 색상기준도 없다.

6. 건축물의 화재 성상

건축물 내에서의 화재는 발화원의 불씨가 가연물에 착화하여 서서히 진행되다 세워져 있는 가연물에 착화가 되면서 천장으로 옮겨 붙어 본격적인 화재가 진행된다.

가. 목조 건축물

   ① 화재 성상 : 고온 단기형

   ② 최고 온도 : 약 1,300 ℃

나. 내화건축물

   ① 화재 성상 : 저온 장기형

   ② 최고 온도 : 약 900 ~ 1,000 ℃

다. 성장기 (초기 ~ 성장기)

내부 공간 화재에서의 성장기는 제1성장기 (초기 단계)와 제2성장기 (성장기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초기 단계에서는 가연물이 열분해되어 가연성 가스를 발생하는 시기이며 실내온도가 아직 크게 상승하지 않은 발화단계로서 화원이나 착화물의 종류들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조건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단계이고 제2성장기 (성장기 단계)는 실내에 있는 내장재에 착화하여 flash over 에 이르는 단계이다.

라. 최성기

flash over 현상 이후 실내에 있는 가연물 또는 내장재가 격렬하게 연소되는 단계로서 화염이 개구부를 통하여 출화되고 실내 온도가 화재 중 최고 온도에 이르는 시기이다.

마. 감쇠기

쇠퇴기, 종기, 말기라고도 하며 실내에 있는 내장재가 대부분 소실되어 화재가 약해지는 시기이며 완전히 타지 않은 연소물들이 실내에 남아 있을 경우 실내온도는 200 ~ 300 ℃ 정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7. 건축물의 화재

가. 플래시 오버 (flash over = 순발연소, 순간연소)

화재로 인하여 실내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가연물이 일시에 폭발적으로 착화현상을 일으켜 화재가 순간적으로 실내 전체에 확산되는 현상이다.

※ 실내온도 : 약 400 ~ 500 ℃

나. 백 드래프트 (back draft)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산소농도 저하로 불꽃을 내지 못하고 가연성 물질의 열분해로 인하여 발생한 가연성 가스가 축적되게 된다. 이 때 진화를 위해 출입문 등이 개방되면 개구부가 생겨 신선한 공기의 유입으로 폭발적인 연소가 다시 시작되는 현상을 말한다.

   ※ 플래시 백 : 환기가 잘 되지 않는 곳

       백 드래프트 : 밀폐된 공간

다. 롤 오버 (roll over)

연소의 과정에서 천장 부근에서 산발적으로 연소가 확대되는 것을 말하며, 불덩이가 천장을 굴러다니는 것처럼 뿜어져 나오는 현상이다.

라. 플레임 오버 (flame over)

벽체, 천장 또는 마루의 표면이 과열하여 발생하는 가연성 증기에 점화원이 급속히 착화하여 그 물체의 표면상에 불꽃을 전파하는 현상이다.

8. 유류 탱크 및 가스탱크에서 발생하는 폭발 현상

가. 보일 오버 (Boil - over)

  ① 중질유의 탱크에서 장시간 조용히 연소하다가 탱크 내의 잔존 기름이 갑자기 분출하는 현상을 말한다.

  ② 유류탱크에서 탱크 바닥에 물과 기름의 에멀션이 섞여 있을 때 이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③ 연소 유면으로 부터 100 ℃ 이상의 열파가 탱크 저부에 고여 있는 물을 비등하게 하면서 연소유를 탱크밖으로 배산

        시키며 연소하는 현상이다.

나. 슬롭 오버 (slop - over)

  ① 물이 연소유의 뜨거운 표면에 들어갈 때, 기름 표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현상이다.

  ② 유화제로 소화하기 위한 물이 수분의 급격한 증발에 의하여 액면이 거품을 일으키면서 열유층 밑의 냉유가 급격히

       열팽창하여 기름의 일부가 불이 붙은 채 탱크 벽을 넘어서 일출하는 현상이다.

다. 블레비 (BLEVE :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 현상

가연성 액체 저장 탱크 주위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여 기상부의 탱크 강판이 국부적으로 가열되면 그 부분의 강도가 약해져 그로 인해 탱크가 파열된다. 이 때 내부에서 가열된 액화가스가 급격히 유출, 팽창되어 화구 (fire ball)를 형성하며 폭발하는 형태를 말한다.

라. 증기운 폭발 (UVCE : Unconfined Vapor Cloud Exposion)

개방된 대기 중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자유공간 중의 증기운 폭발 (Unconfined Vapor Cloud Explosin)이라고 부르며 UVCE 라 한다. 대기 중에 대량의 가연성 가스나 인화성 액체가 유출되어 그것으로 부터 발생되는 증기가 대기 중의 공기와 혼합하여 폭발성인 증기운 (vapor cloud)을 형성하고 이 때 착화원에 의해 화구 (fire ball) 형태로 착화, 폭발하는 형태이다.

 

마. 프로스 오버 (froth - over)

탱크 속의 물이 점성을 가진 뜨거운 기름의 표면 아래에서 끓을 때 기름이 넘쳐 흐르는 현상으로 이는 화재 이외의 경우에도 물이 고점도 유류 아래에서 비등할 때 탱크 밖으로 물과 기름이 거품과 같은 상태로 넘치는 현상이다. 전형적인 예는 뜨거운 아스팔트가 물이 약간 채워진 무게 탱크차에 옮겨질 때 일어난다. 고온의 아스팔트에 의해서 탱크차 속의 물이 가열되고 끓기 시작하면 아스팔트는 탱크차 밖으로 넘치게 된다. 비슷한 경우가 유류탱크의 아래 쪽에 물이나 물 - 기름 혼합물이 있을 때 폐유 등이 물의 비점 이상의 온도로 상당량 주입될 때도 froth over가 일어난다.

바. 오일 오버 (oil over)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 저장량이 내용적의 50% 이하로 충전되어 있을 때 화재로 인하여 탱크가 폭발하는 현상이다.

사. 파이어 볼 (fire ball)

증기가 공기와 혼합하여 연소범위가 형성되어서 공모양의 대형화염이 상승하는 현상이다.

아. 액면 화재 (pool fire)

개방된 용기에 탄화수소계 위험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증발되는 연료에 착화되어 난류 확산 화염을 발생하는 화재로서 화재 초기에 진화하지 않으면 진화가 어려워 보일 오비 또는 스롭 오비 등의 탱크 화재 이상현상이 발생한다.

자. 분출화재 (jet fire)

탄화수소계 위험물의 이송배관이나 용기로 부터 위험물이 고속으로 누출될 때 점화되어 발생하는 난류 확산형 화재로 복사열에 의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화재의 유형이다.

【 피뢰설비 】

1. 설치대상

지정수량의 1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제6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위험물 제조소를 제외한다)

2. 설치기준

낙뢰의 우려가 있는 건축물 또는 높이 20 m 이상의 건축물에는 피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① 피뢰설비는 한국산업표준이 정하는 피뢰레벨 등급에 적합한 피뢰설비일 것. 다만,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에 설치하

       는 피뢰설비는 한국산업표준이 정하는 피뢰시스템 레벨 이상이어야 한다.

  ② 돌침은 건축물의 맨 윗부분으로 부터 25 ㎝ 이상 돌출시켜 설치하되, 건축물 구조기준에 따른 설계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일 것

  ③ 피뢰설비의 재료는 최소 단면적이 피복이 없는 동선을 기준으로 수뢰부, 인하도선 및 접지극은 50 ㎡ 이상이거나 이와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갖출 것

  ④ 피뢰설비의 인하도선을 대신하여 철골조의 철골구조물과 철근콘크리트조의 철근구조체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

       적 연속성이 보장될 것. 이 경우 전기적 연속성이 있다고 판단되기 위해서는 건축물 금속 구조체의 최상단부와 지표레

       벨 사이의 전기저항이 0.2 Ω 이하이어야 한다.

  ⑤ 측면 낙뢰를 방지하기 위하여 높이가 60 m 미터를 초과하는 건축물 등에는 지면에서 건축물 높이의 5분의 4가 되는 지

       점 부터 최상단 부분까지의 측면에 수뢰부를 설치하여야 하며, 지표 레벨에서 최상단부의 높이가 150 m 를 초과하는

       건축물은 120 m 지점부터 최상단 부분까지의 측면에 수뢰부를 설치할 것. 다만, 건축물의 외벽이 금속부재 (部材)로

       마감되고 금속부재 상호간에 ④ 후단에 적합한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되며 피뢰시스템 레벨 등급에 적합하게 설치하여

       인하도선에 연결한 경우에는 측면 수뢰부가 설치된 것으로 본다.

  ⑥ 접지 (接地)는 환경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시공방법이나 화학 첨가물 등을 사용하지 아니할 것

【 위험장소의 분류 】

가. 0종 장소

정상상태에서 폭발성 분위기가 연속적으로 또는 장시간 생성되는 장소

나. 1종 장소

정상상태에서 폭발성 분위기가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생성될 우려가 있는 장소

다. 2종 장소

이상상태에서 폭발성 분위기가 생성될 우려가 있는 장소

#연소생성물 #연소가스 #염화수소 #황화수소 #전도 #대류 #복사 #포스겐 #최성기 #감쇠기 #성장기 #플래시오버 #보일오버 #블레비 #프로스오버 #증기운폭발

반응형
반응형

발화 : 가연성 물질에 불이 붙는 현상을 발화, 착화 등으로 표현한다.

1. 발화의 조건

발화되기 위한 첫째 조건은 화학반응이 발열반응이어야 하며, 이와같은 충분한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화학반응이 비교적 활발하게 일어나야 하므로 외부에서 어떤 '에너지'가 가해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자체 내부에서 점차 산화나 분해 반응이 일어나서 자연히 온도가 상승하여야 한다.

2. 자연발화

외부에서 점화에너지를 부여하지 않았는데도 상온에서 물질이 공기 중 화학변화를 일으켜 오랜 시간에 걸쳐 열의 축적이 발생하여 발화하는 현상이다.

가. 자연발화의 조건

 ① 열의 발생

   ㉠ 온도 : 온도가 높으면 반응속도가 증가하여 열 발생을 촉진

   ㉡ 발열량 : 발열량이 클 수록 열의 축적이 큼 (단, 반응속도가 낮으면 열의 축적 감소)

   ㉢ 수분 : 고온 다습한 경우 자연발화 촉진 (적당한 수분은 촉매 역할)

   ㉣ 표면적 : 표면적이 클수록 자연발화가 용이

   ㉤ 촉매 : 발열반응 시 정촉매에 의해 반응이 빨라짐

 ② 열의 축적

   ㉠ 열전도도 : 분말상, 섬유상 물질들은 열전도율이 작은 공기를 다량 함유하므로 열의 축적이 용이하다.

   ㉡ 저장방법 : 여러겹의 중첩이나 분말상과 대량 집접물의 중심부가 표면 보다 단열성이 높아 자연발화가 쉽다.

   ㉢ 공기의 흐름 : 통풍이 잘 되는 장소가 열의 축적이 곤란하여 자연발화가 곤란하다.

나. 자연발화의 종류

① 완만한 온도상승을 일으키는 경우

자연발화의 원인
자연발화 형태
산화열
건성유(정어리 기름, 아마인유, 들기름 등), 반건성유 (면실유, 대두유 등)가 적셔진다공성 가연물,
원면, 석탄, 금속분, 고무조각 등
분해열
나이트셀룰로오스, 셀룰로이드류, 나이트로글리세린 등의 질산에스터류
흡착열
탄소분말 (유연탄, 목탄 등) 가연성 물질 + 촉매
증합열
아크릴로나이트릴, 스티렌, 비닐아세테이트 등의 증합반응
미생물 발열
퇴비, 먼지, 퇴적물, 곡물 등
 

 ② 비교적 온도가 발리 상승하는 경우

   ㉠ 발화점이 상온에 가깝고 산화열에 의해 물질 자신이 발화하는 물질 : 황린, 디메틸마그네슘, 디에틸아연, 알킬리튬,

        액체 인화수소 등

   ㉡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거나 물과 접촉 시 발열 또는 발화하는 물질

     ⓐ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고 자신이 발화하는 물질 : 칼륨, 나트륨, 알칼리금속류, 알루미늄분 등

     ⓑ 발열하여 다른 가연성 물질을 발화시키는 물질 : 무기과산화물류, 삼산화크로뮴, 진한 황산 등

   ㉢ 다른 물질과 접촉 또는 혼합하면 발열하고 발화하는 물질 (혼촉발화)

     ⓐ 혼합 시 즉시 발화하는 물질 : 삼산화크로뮴 + 에틸알코올, 아염소산나트륨 + 황산 + 에테르 등

     ⓑ 원래 물질 보다 발화가 쉬운 물질 : 염소산칼륨 + 알루미늄, 과산화나트륨+황 등

다. 영향을 주는 인자

  열의 축적, 열전도율, 퇴적방법, 공기의 유동, 발열량, 수분(습도), 촉매물질 등은 자연발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

   인들이다.

라. 예방대책

  ① 통풍, 환기, 저장방법 등을 고려하여 열의 축적을 방지한다.

  ② 저장실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한다.

  ③ 습도를 낮게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여름날 해만 뜨겁게 내리 쬐는 날보다 비가 오는 날 더 땀이 더 나며 더위를 느끼는

       원리와 같다. 즉, 습한 경우 그 만큼 축적된 열은 잘 발산되지 않는다.)

3. 혼촉발화

가. 개요

2가지 이상의 물질을 혼합, 접촉시키는 경우 위험한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말하여, 혼촉발화가 도무 발화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며 유해위험도에 해당한다. 이러한 혼촉발화 현상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① 혼촉 즉시 반응이 일어나 발열, 발화하거나 폭발을 일으키는 것

  ② 혼촉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급격히 반응이 일어 나거나 발열, 발화하거나 폭발을 일으키는 것

  ③ 혼촉에 의해 폭발성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

  ④ 혼촉에 의해 발열, 발화하지는 않지만 원래의 물질 보다 발화가 쉬운 상태로 되는 것

나. 혼촉 위험 물질

  ① 산화성 물질과 환원성 물질의 혼촉 : 1류와 6류 위험물, 액체 산소나 액체 할로겐 원소 등의 강산화성 물질과 탄화수소

       류, 아민류, 알코올 등과 같은 유기화합물과 금속분, 목탄, 황, 인 등과 같은 환원성 물질간의 접촉은 혼촉 위험을

       갖는다.

  ② 산화성 염류와 강산의 혼촉 : 강산화성을 갖는 1류 위험물인 MClO2, MClO3, MClO4, MMnO4 등은 진한 황산과 접촉

       하면 불안정한 아염소산, 염소산, 과염소산, 망가니즈산 혹은 Cl2O3, Cl2O5, Cl2O7, Mn2O7 등 무수물을 생성하여

        더욱 강한 산화성이 되고 주위 가연물을 착화시켜 폭발하는 경우가 있다.

  ③ 불안정한 혼촉물질이 상호 간에 접촉하여 화학반응을 일으켜 극히 불안정한 물질을 생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마찰, 충격, 가열 등에 의해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다음은 몇가지 예이다.

    ㉠ 암모니아 + 염소산칼륨 → 질산암모늄

    ㉡ 아세트알데하이드 + 산소 → 과초산

    ㉢ 암모니아 + 할로겐 원소 → 할로겐화 질소

다. 혼촉시 위험한 화학반응

혼촉 위험반응은 2종류 이상의 물질이 혼합하여 일어나는 경우이므로 화학반응, 지진, 수송, 폐기처리 중일 때 가장 위험하며, 위험한 화학반응에서는 증류, 여과 (주로 감압), 증발,

추출 조작, 결정화, 응축, 교반, 승온 조작 시 및 반응 중 누출이나 폐기 시에 혼촉 위험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라. 예방대책

  ① (산화제와 환원제, 가연물, 강산류), (강산과 강염기), (자연발열형 유기과산화물, 폭발성물질, 질산에스터 등) 등을

       동일 실내에 저장하지 말아야 한다.

  ② 불확실한 물질은 물질 자체의 위험성과 혼촉발화성 등을 문헌을 통해 조사, 관리한다.

  ③ 사용빈도가 적은 물질은 폐기하고, 인화성 및 가연성 물질은 소분하여 저장한다.

  ④ 천재지변 등의 요인에 의한 전도, 추락, 파손 및 수송 중 누출, 비산 등의 조건에 주의한다.

  ⑤ 약품장은 불연재료로 하고 약품의 양, 소재 등을 대장을 만들어 구분, 기록관리한다.

  ⑥ 화학반응시 발화위험성에 철저히 대비한다.

  ⑦ 유별을 달리하는 위험물의 저장 및 혼합 적재 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특히, 산화제인 1류, 6류 위험물과 환원제인

       2류, 3류, 5류 위험물을 혼합 보관하지 않는다.

【폭발 (explosion】

1. 정의

   ①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소리를 동반하는 파괴나 화재를 수반하는 예기치 않은 현상

   ② 급격한 압력의 발생 결과로서 심한 폭음이 발생하며 파괴하거나 팽창하는 현상

   ③ 폭음을 수반하는 연소 또는 파열 현상

   ④ 화학반응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급격한 압력의 상승 현상

   ⑤ 기체의 발생을 동반한 고속의 연소현상

   ⑥ 압력의 급격한 발생 또는 해방의 결과, 용기가 파괴되거나 기체가 급격하게 팽창하여 파괴작용을 수반하는 현상

2. 폭발의 종류

가. 공정에 의한 분류

   ① 핵폭발 : 원자핵의 분열이나 융합에 의한 폭발

   ② 물리적 폭발 : 물리적인 변화에 의한 폭발

        ex : 용기의 파열, 탱크의 감압 파손, 폭발적인 증발 등

   ③ 화학적 폭발 : 화학반응에 의한 폭발

        ex : 연소, 중축합, 분해, 반응 폭주 등

   ④ 물리 · 화학적 폭발의 병립에 의한 폭발

나. 물리적인 상태에 의한 분류

   ① 기상 폭발 : 폭발하는 물질이 기체 상태인 경우

   ② 응상 폭발 : 폭발하는 물질이 액체나 고체 상태인 경우

다. 기상폭발

가스폭발, 분무폭발, 분진폭발, 가스의 분해폭발 등으로 가연성 가스나 가연성 액체의 증기와 지연성 가스의 혼합물이 일정한 에너지에 의해 폭발하는 경우를 말한다. 기상폭발은 화학적으로 연소의 특별한 형태로 착화에너지가 필요하며, 화염의 발생을 수반한다.

  ① 가스폭발

     ㉠ 조성조건 : 연소범위 또는 폭발범위

     ㉡ 발화원의 존재 : 에너지 조건

       ⓐ 발화온도

       ⓑ 발화원 : 정전기 불꽃, 전기불꽃, 화염, 고온물질, 자연발화, 열복사, 충격, 마찰, 단열 압축

  ② 증기운 폭발 : 다량의 가연성 가스 또는 기화하기 쉬운 가연성 액체가 지표면에 유출되어 다량의 가연성 혼합기체를

                             형성하여 폭발이 일어나는 경우의 가스 폭발

  ③ 분무폭발 : 고압의 유압설비의 일부가 파손되어 내부의 가연성 액체가 공기 중에 분출되어 이것이 미세한 액적이 되어

                        무상 (霧狀)으로 공기 중에 현탁하여 존재할 때 착화에너지에 의해 폭발이 일어나는 현상

  ④ 박막폭굉 : 고압의 공기 또는 산소배관에 윤활유가 박막상으로 존재할 때, 비록 박막의 온도가 배관에 부착된 윤활유의

                        인화점 보다 낮을 지라도, 배관이 높은 에너지를 갖는 충격파에 노출되면 관벽의 윤활유가 안개화되어 폭발

                        하는 현상

3. 응상 폭발

가. 수증기 폭발 (증기폭발)

고온의 물질이 갖는 열이 저온의 물로 순간적으로 열을 전달하면 일시적으로 물은 과열상태가 되고 급격하게 비등하여

상변화에 따른 폭발현상이 발생한다. (액상 → 기상간 전이폭발)

나. 전선폭발

알루미늄제 전선에 한도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흘러 순식간에 전선이 과열되고 용융과 기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일어나는 폭발현상이다. (고상 → 액상 → 기상간 전이폭발)

다. 혼촉 폭발

단독으로는 안전하나 두가지 이상의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을 때 미소한 충격 등에 의해 발열분해를 일으켜 폭발하는 현상이다.

라. 기타

감압상태의 용기의 일부가 파괴되어 고압용기의 파열과 달리 외기가 급속히 유입되고, 이 때 큰 폭음과 함께 파편이 주위로 비산하며 발생하는 폭발이다.

4. 폭발의 성립 조건

 

  ① 가연성 가스, 증기 및 분진 등이 조연성 가스인 공기 또는 산소 등과 접촉, 혼합되어 있을 때

  ② 혼합되어 있는 가스, 증기 및 분진 등이 어떤 구획되어 있는 방이나 용기 같은 밀폐공간에 존재하고 있을 때

  ③ 그 혼합된 물질 (가연성 가스, 증기 및 분진 + 공기)의 일부에 점화원이 존재하고 그것이 매개가 되어 어떤 한도 이상의

       에너지 (활성화에너지)를 줄 때

5. 폭발의 영향인자

가. 온도

   발화온도가 낮을 수록 폭발하기 쉽다.

 

나. 조성 (폭발범위)

  폭발범위가 넓을수록 폭발의 위험이 있다.

  아세틸렌, 산화에틸렌, 하이드라진, 오존 등은 조성에 관계없이 단독으로도 조건이 형성폭발할 수 있으며, 일반적

  으로 가연성 가스의 폭발범위는 공기 중에서 보다 산소 중에서 더 넓어진다.

<주요 물질의 공기 중 폭발범위 (1atm, 상온기준>

가스
하한계
상한계
위험도
가스
하한계
상한계
위험도
수소
4.0
75.0
17.75
벤젠
1.4
8.0
4.71
일산화탄소
12.5
74.0
4.92
톨루엔
1.27
7.0
4.5
시안화수소
5.6
40.0
6.14
메틸알코올
6.0
36.0
5.0
메탄
5.0
15.0
2.00
에틸알코올
4.3
19.0
3.42
에탄
3.0
12.4
3.13
아세트알데하이드
4.1
57.0
12.90
프로판
2.1
9.5
3.31
에테르
1.9
48.0
24.26
부탄
1.8
8.4
3.67
아세톤
2.5
12.8
4.12
에틸렌
3.1
32.0
9.32
산화에틸렌
3.0
100.0
32.33
프로필렌
2.0
11.1
4.55
산화프로필렌
2.8
37.0
12.21
아세틸렌
2.5
81.0
31.4
염화비닐
4.0
22.0
4.5
암모니아
15.0
25.0
0.6
이황화탄소
1.0
50.0
49.0
황화수소
4.0
44.0
10
가솔린
1.2
7.6
5.33

  ※ 굵은 글씨의 물질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어 반드시 암기가 필요함

   ① 폭굉범위 (폭굉한계) : 폭발범위 내에서도 특히 격렬한 폭굉을 생성하는 조성 범위

   ② 르 샤틀리에 (Le Chatelier)의 혼합가스 폭발범위를 구하는 식 ★★★

        여기서, L : 혼합가스의 폭발 한계치

                     L1, L2, L3 : 각 성분의 단독 폭발 한계치 (vol%)

                     V1, V2, V3 : 각 성분의 체적 (vol%)

  ③ 위험도 (H) : 가연성 혼합가스의 연소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다.

    여기서, H : 위험도

                 U : 연소 상한치 (UEL)

                 L : 연소 하한치 (LEL)

  ④ 산소평형 (OB : Oxygen Balance) : 화학물질로 부터 완전연소 생성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산소와 과부족량을 나타낸

        지수로서 어떤 물질 100g 이 연소할 때의 산소의 과부족량을 g으로 나타낸 값이다. 0에 가까울 수록 폭발위력이 크다.

OB지수
± 0 ~ 45
± 45 ~ 90
± 90 ~ 135
폭발위험성
나이트로글리콜 : OB=0
피크로산 : OB=-45
나이트로에탄 : OB = -96

   ㉠ 나이트로글리콜

         C2H4(ONO2)2   →   2CO2   +   2H2O   +   N2 에서 O2가 없으므로 OB = 0

   ㉡ 나이트로글리세린

        4C3H5(ONO2)3   →   12CO2   +   10H2O   +   6N2   +   O2

        100g에 대한 산소평형값을 구하면

        (4×227) : 1 × 32 = 100 : OB 에서 OB = 3.52

다. 압력

  가스압력이 높아질수록 발화온도는 낮아지고 폭발범위는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가스 압력이 높아질수록 폭발의 위험이 크다.

라. 용기의 크기와 형태

  온도, 조성, 압력 등의 조건이 갖추어져 있어도 용기가 작으면 발화하지 않거나, 발화해도 화염이 전파되지 않고 도중에

   꺼져 버린다.

  ① 소염 (quenching, 화염일주) 현상 : 발화된 화염이 전파되지 않고 도중에 꺼져 버리는 현상이다.

  ② 안전간극 (MESG, 최대 안전틈새, 화염일주한계, 소염거리) : 안전간극이 작은 물질일 수록 폭발하기 쉽다.

      ㉠ 안전간극의 정의

 

폭발성 혼합가스의 용기를 금속제의 좁은 간극에 의해 두 부분으로 격리한 경우 한쪽에 착화한 경우 화염이 간극을 통과하여 다른 쪽의 혼합가스에 인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측정할 때 화염이 전파하지 않는 간극의 최대 허용치를 말하며 내용적이 8ℓ, 틈새길이가 25㎜인 표준용기를 사용하며 압력방폭구조에 있어서 대상가스의 폭발등급을 구분하는데 사용하며, 역화방지기 설계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 안전간극에 따른 폭발 등급 구분

     ⓐ 폭발 1등급 (안전간극 : 0.6 ㎜ 초과) : LPG, 일산화탄소, 아세톤, 에틸에테르, 암모니아 등

     ⓑ 폭발 2등급 (안전간극 : 0.1 ㎜ 초과, 0.6 ㎜ 이하) : 에틸렌, 석탄가스 등

     ⓒ 폭발 3등급 (안전간극 : 0.4 ㎜ 이하) : 아세틸렌, 수소, 이황화탄소, 수성가스 (CO+H2) 등

 

6. 연소파와 폭굉파

가. 연소파

가연성 가스와 공기를 혼합할 때 그 농도가 연소범위에 이르면 확산의 과정은 생략하고 전파속도가 매우 빠르게 되어 그 진행속도가 대체로 0.1 ~ 10 m/s 정도의 속도로 연소가 진해하게 되는데, 이 영역을 연소파라 한다.

나. 폭굉파

폭굉이란 연소속도 1,000 ~ 3,500 m/s 이상의 극렬한 폭발을 의미하며, 가연성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가 밀폐계 내에서 연소하여 폭발하는 경우 발생한다. 그 때 발생하는 전파 속도를 폭굉파라 한다.

 

7. 폭굉 유도거리 (DLD) ★★★

관 내에 폭굉성 가스가 존재할 경우 최초의 완만한 연소가 격렬한 폭굉으로 발전할 때까지의 거리이다. 일반적으로 짧아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① 정상연소속도가 큰 혼합가스일 수록

   ② 관속에 방해물이 있거나 관 지름이 가늘수록

   ③ 압력이 높을 수록

   ④ 점화원의 에너지가 강할 수록

8. 방폭구조 (폭발을 방지하는 구조)

가. 압력 방폭구조

 

용기내에 질소 등의 보호용 가스를 충전하여 외부에서 폭발성 가스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 구조

나. 유입방폭구조

 

전기불꽃, 아크 또는 고온이 발생하는 부분을 기름속에 넣어 폭발성 가스에 의해 인화가 되지 않도록 한 구조

다. 안전증방폭구조

 

기기의 정상운전 중에 폭발성 가스에 의해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전기 불꽃 또는 고온이 되어서는 안될 부분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특히 안전도를 증가시킨 구조

라. 본질안전 방폭구조

 

폭발성 가스가 단선, 단락, 지락 등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불꽃, 아크 또는 고온에 의하여 점화되지 않는 것이 확인된 구조

마. 내압 방폭구조

 

대상 폭방성 가스에 대해서 점화능력을 가진 전기불꽃 또는 고온부위에 있어서도 기기 내부에서 폭발성 가스의 폭발이 발생하여도 기기가 그 폭발압력에 견디고 또한 기기 주위의 폭발성 가스에 인화 · 파급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

9. 정전기

두 물체를 마찰시키면 그 물체는 전기를 띠게 되는데 이것을 마찰전기라고도 하며, 이때 발생하는 전기를 정전기 (靜電氣 : Static electricity)라 한다.

가. 정전기의 발생요인

  ① 물질의 특성 : 정전기의 발생은 접촉, 분리되는 두 물질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것은 대전 서열에서 두 물질

                             이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정전기의 발생량이 적고 반대로 먼 위치에 있으면 발생량이 증가하게 된다.

  ② 물질의 표면상태 : 물질의 표면이 깨끗하면 정전기 발생이 적어지고 표면이 기름과 같은 부도체에 의해 오면되면 산화,

                            부식에 의해 정전기 발생이 많아진다.

  ③ 접촉면과 압력 : 일반적으로 접촉면이 클수록, 접촉압력이 증가할 수록 정전기의 발생량도 증가한다.

  ④ 분리속도 : 분리속도가 빠를수록, 전하의 완화시간이 길면 전하분리에 주는 에너지도 커져서 발생량이 증가한다.

나. 정전기 대전의 종류

  ① 마찰대전 : 두 물체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하는 현상

  ② 유동대전 : 부도체인 액체류를 파이프 등으로 수송할 때 발생하는 현상

  ③ 분출대전 : 분체류, 액체류, 기체류가 단면적이 작은 분출구에서 분출할 때 발생하는 현상

  ④ 박리대전 : 상호 밀착해 있는 물체가 벗겨질 때 발생하는 현상

  ⑤ 충돌대전 : 분체에 의한 입자끼리 또는 입자와 고체 표면과의 충돌에 의하여 발생하는 현상

  ⑥ 유도대전 : 대전 물체의 부근에 전열된 도체가 있을 때 정전유도를 받아 전하의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어 대전되는 현상

  ⑦ 파괴대전 : 고체나 분체와 같은 물질이 파손시 전하분리로 부터 발생된 현상

  ⑧ 교반대전 및 침강대전 : 액체의 교반 또는 수송시 액체 상호간에 마찰접촉 또는 고체와 액체 사이에서 발생되는 현상

다. 정전기로 인한 재해의 원인

비전도성 물질의 유동, 분출, 마찰, 전기 부도체 유체의 흐름, 인체의 운동 등이 있다.

  ① 정전기 재해의 종류

    ㉠ 생산 재해

    ㉡ 전기 충격 : 정전기가 대전되어 있는 인체 혹은 대전 물체로 부터 인체로 방전이 일어나면 인체에 전류가 흘러 전격

                           재해가 발생한다.

    ㉢ 화재 및 폭발 : 정전기 방전이 점화원이 되어 가연성 물질이 공기와 혼합되어 폭발성 혼합가스를 생성할 때 착화되어

                           연소(화재)와 폭발

  ② 정전기의 예방대책

    ㉠ 접지를 한다.

    ㉡ 공기중의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한다.

    ㉢ 유속을 1 m/s 이하로 유지한다.

    ㉣ 공기를 이온화시킨다.

    ㉤ 제진기를 설치한다.

라. 정전기 방전

  정전기의 방전에 의해 가연성 증기나 기체 또는 분진을 점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E : 정전기에너지

                 C : 정전용량 (F)

                 V : 전압 (V)

                 Q : 전하량 (C)

                 Q = CV

마. 방전

전지나 축전기 따위의 전기를 띤 물체에서 전기가 밖으로 흘러 나오는 현상

  ① 기체방전 : 본래 중성인 기체 분자가 특정한 상황에서 이온화되어 방전하는 현상

  ② 진공방전 : 진공상태의 유리관 속에 있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높은 전압을 흐르게 하였을 때 일어나는 방전

  ③ 글로 방전 :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흐름에 따라 글로(희미한 빛)가 발생하는 현상

  ④ 아크방전 : 기체방전이 절정에 달하여 전극 재료의 일부가 증발하여 기체가 된 상태

  ⑤ 코로나 방전 : 기체방전의 한 형태로서 불꽃방전이 일어나기 전에 대전체 표면의 전기장이 큰 곳이 부분적으로 절연,

                          파괴되어 발생하는 발광방전이며 빛은 약함

  ⑥ 불꽃방전 : 기체 방전에서 전극 간의 절연이 완전히 파괴되어 강한 불꽃을 내면서 방전하는 현상

#발화 #폭발 #산화열 #분해열 #혼촉발화 #폭굉 #박막폭굉 #증기폭발 #폭발범위 #정전기

반응형
반응형

1. 연소의 정의

연소 (Combustion)는 열과 빛을 동반하는 산화반응으로서 F2, Cl2, CO2, NO2 그리고 산소의 존재가 없는 몇몇 다른 가스(기체) 중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금속분 등은 CO2 중에서도 점화할 수 있다)

가. 완전 연소

더 이상 연소할 수 없는 연소생성물이 생성되는 연소를 말한다.

  ① 탄소 (흑연의 경우)의 연소 : C + O2 (g) → CO2 (g)

  ② 프로판 (C3H8)의 연소 : C3H8(g) + 5O2 (g) → 3CO2 (g) + 4H2O (ℓ)

  ③ 수소의 연소

나. 불안전연소

부분적인 연소, 재연소가 가능한 생성물이 발생하는 연소를 말한다.

다. 산화반응이지만 연소반응이라 할 수 없는 경우

 ① 산화반응이나 발열이 나지 아니하거나 아주 미약한 발열반응인 경우

      4Fe + 3O2 → 2Fe2O3

 ② 산화반응이나 흡열반응인 경우

      N2 + O2 → 2NO - 43.2 kcal (산화반응이지만 흡열반응식)

 라. 유기화합물이 대기중에서 연소할 경우 완전연소 생성물은 CO2 와 H2O이며 불완전연소인 경우에는 C, CO, CO2,

        H2O, H2 등이 생성된다.

2. 연소의 구비조건

가. 연소의 필수요소

  연소는 연소되는 물질인 가연성 물질, 가연성 물질을 산화시키는 데 필요한 조연성 물질 (산소 공급원), 가연성 물질과

  조연성 물질을 활성화 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인 점화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3가지 요소를 연소의 3요소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연소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연소의 3요소 이외에 연속적인 연쇄반응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가연성 물질, 산소공급원, 점화원 및 연쇄반응을 연소의 4요소라 한다.

     ◈ 연소의 3요소 : 가연성 물질, 산소공급원, 점화원

     ◈ 연소의 4요소 : 가연성 물질, 산소공급원, 점화원, 연쇄반응

나. 연소의 4요소 특징

  ① 가연성 물질 : 연소가 일어나는 물질로 발열을 일으키며, 산화반응을 하는 모든 물질로 환원제이며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 산소와의 친화력이 클 것

    ㉡ 고체 · 액체에서는 분자구조가 복잡해질 수록 열전도율이 작을 것

         (단, 기체분자의 경우 단순할 수록 가볍기 때문에 확산속도가 빠르고 분해가 쉽다.

           따라서, 열전도율이 클수록 연소폭발의 위험이 있다.)

    ㉢ 활성화 에너지가 적을 것

    ㉣ 연소열이 클 것

    ㉤ 크기가 작고 접촉면적이 클 것

  ② 산소공급원 (조연성 물질) : 가연성 물질의 산화반응을 도와주는 물질로 산화제이다.

        공기, 산화제 (제1류 위험물, 제6류 위험물 등), 자기반응성 물질 (제5류 위험물), 할로겐 원소 등이 대표적인 조연성

        물질이다.

  ③ 점화원 (열원, heat energy source) : 어떤 물질의 발화에 필요한 최소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

                             며, 일반적인 불꽃과 같은 점화원 외에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화학적 에너지원 : 반응열 등으로 산화열, 연소열, 분해열, 융해열 등

     ㉡ 전기적 에너지원 : 저항열, 유도열, 유전열, 정전기열 (정전기 불꽃), 낙뢰에 의한 열, 아크방전 (전기불꽃 에너지) 등

     ㉢ 기계적 에너지원 : 마찰열, 마찰 스파크 (충격열), 단열 압축열 등

  ④ 연쇄반응 : 가연성 물질이 유기화합물인 경우 불꽃 연소가 개시되어 열을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열은 가연성 물질의

                         형태를 연소가 용이한 중간체 (화학에서 자유 라디칼이라 함)로 형성하여 연소를 촉진시킨다. 이와 같이

                         에너지에 의해 연소가 용이한 라디칼의 형성은 연쇄적으로 이루어지며, 점화원이 제거되어도 생성된 라디

                         칼이 완전하게 소실되는 시점까지 연소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연쇄반응이라고 말하며, 이것

                         을 연소의 3요소에 추가하여 연소의 4요소라고 한다.

3. 온도에 따른 불꽃의 색상

불꽃의 온도
불꽃의 색상
불꽃의 온도
불꽃의 색상
500 ℃
적열
1,100 ℃
황적색
700 ℃
암적색
1,300 ℃
백적색
850 ℃
적색
1,500 ℃
휘백색
950 ℃
휘적색
-
-
 

4. 연소의 분류

가. 정상연소

가연성 물질이 서서히 연소하는 현상으로 연소로 인한 열의 발생속도와 열의 확산속도가 평행을 유지하면서 연소하는 형태이다. 가연물의 성질에 따라서 그 연소속도는 일정하지 않으며 난연성 (難燃性), 이연성 (易燃性), 속연성 (速燃性) 등의 말로 표현되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연소의 경우는 열의 전도이다. 작게는 성냥개비와 담배가 타는 경우에서 부터 크게는 보일러 등에서 연료가 타는 경우 등이다. 즉, 화원으로 부터 끊임없이 타는 것이 연소의 특징이다.

나. 접염연소

불꽃이 물체와 접촉함으로써 착화되어 연소되는 현상이다. 불꽃의 온도가 높을 수록 타기 쉽다. 이 경우 불꽃이 직접 닿는 곳에는 전도 불꽃이, 가까운 곳에는 복사에 의하여, 멀어질 수록 대류에 의하여 주로 발생한다. 그러나 불꽃은 끊임없이 동요하므로 결국은 전도, 복사, 대류가 가 같이 작용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다. 대류연소

열기가 흘러 그 기류가 가연성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끝내는 그 물질을 착화하여 연소로 유도하는 현상을 말한다. 대류 연소는 기류의 온도가 그다지 높지 아니한 때는 문제가 될 것이 없으나 불꽃이 연소되는 고열이나 또는 고열상태에 있을 때에는 대단히 위험하다.

라. 복사연소

연소체로 부터 발산하는 열에 의하여 주위의 가연성 물질에 인화하여 연소를 전개하는 현상이다. 복사열은 그 자체는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으므로 당장 그 작용이 격렬히 진행되고 있어도 대상물에 발화될 까지는 판별을 못하여 결국 화재방어에 실패하는 때도 있다. 복사열은 본래 열원의 작용이며 그 작용은 열원의 쌍방에서 사방으로 파급된다.

마. 비화연소

불티가 바람에 날리거나 혹은 튀어서 발화점에서 떨어진 곳에 있는 대상물에 착화하여 연소되는 현상이다. 비화연소에

대한 화재방어상의 문제는 화원에서 상당한 거리에 있는 장소엪 다수의 새로운 발화점을 만든다는 것이다. 이 불티는 대소가 있으며 그것이 크면 클수록 위험률이 높은 것이다. 그러나 때로는 작은 불티라도 바람, 온도 등의 관계로 화재에 이르게 하는 수가 있다. 또한 불티의 비산거리와 범위는 연소 중인 물질의 종류, 발화점의 분화력, 풍력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5. 연소의 형태 (물질의 상태에 따른 분류)

가. 기체의 연소

  ① 확산연소 (불균일 연소) : '가연성 가스'와 공기를 미리 혼합하지 않고 산소의 공급을 '가스의 확산에 의하여 주위에

          공기와 혼합, 연소하는 것. 산소의 공급을 주위의 공기로 부터 얻으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불꽃의 위치나 모

          양이 변하지 않는 정상연소이기는 하나, 확산에 의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에서만 연소가 일어나므로 불의

          세기는 약하며 충분한 연소가 일어나기 어렵다.

  ② 예혼합연소 (균일연소) : '가연성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것. 즉, 가연성 기체를 공기와 일정한 비율로

           혼합시켜 놓고 혼합기체를 점화에 의해 점화하여 연소하는 방식으로 '가연성 가스'와 공기가 적당히 잘 혼합되어

           있어 반응이 빠르고 온도도 높아 폭발적인 연소가 일어나기도 하며, 이러한 형식의 불꽃을 예혼염이라 한다.

나. 액체의 연소

  ① 액면연소 : 열원으로 부터 연료 표면에 열이 전달되어 증발이 일어나고 발생된 증기가 공기와 접촉하여 유면의 상부에

                        서 확산연소를 하지만 화염 시에 볼 수 있을 뿐 실용 예는 거의 없는 연소 형태이다.

  ② 심화연소 : 모세관현상에 의해 심지의 일부분으로 부터 연료를 빨아 올려서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어 거기서 연소열을

                        받아 증발된 증기가 확산연소하는 형태이다.

  ③ 분무연소(액적연소) : 점도가 높고, 비휘발성인 액체를 안개상으로 분사하여 액체의 표면적을 넓혀 연소시키는 형태이

                         다.

  ④ 증발연소 : 가연성 액체를 외부에서 가열하거나 연소열이 미치면 그 액표면에 가연 가스 (증기)가 증발하여 연소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등유에 점화하면 등유의 상층 액면과 화염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간격이 생기는

                        데, 이 간격은 바로 등유에서 발생한 증기의 층이다 (알코올, 휘발유).

  ⑤ 분해연소 : 비휘발성이거나 끓는 점이 높은 가연성 액체가 연소할 때는 먼저 열분해하여 탄소가 석출되면서 연소하는

                         데, 이와 같은 연소를 말한다.

다. 고체의 연소 ★★★

  ① 표면 연소 (직접연소) : 열분해에 의하여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그 자체가 연소하는 형태로서 연소반응이 고체

                                            의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ex : 목탄, 코크스, 금속분 등

  ② 분해 연소 : '가연성 가스'가 공기 중에서 산소와 혼합되어 타는 현상이다.

         ex : 목재, 석탄, 종이 등

  ③ 증발 연소 : 가연성 고체에 열을 가하면 융해되어 여기서 생긴 액체가 기화되고 이로 인한 연소가 이루어지는

                         형태이다.

        ex : 양초, 황, 나프탈렌, 장뇌 등

  ④ 내부연소 (자기연소) : 물질 자체의 분자 안에 산소를 함유하고 있는 물질이 연소시 외부에서의 산소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고 물질 자체가 갖고 있는 산소를 소비하면서 연소하는 형태이다.

        ex : 질산에스터류, 나이트로화합물류 등

6. 연소에 관한 물성

가. 인화점 (flash point)

가연성 액체를 가열하면서 액체의 표면에 점화원을 주었을 때 증기가 인화하는 액체의 최저온도를 인화점 혹은 인화온도라 하며 이는 인화가 일어나는 액체의 최저 온도이다.

 

나. 연소점 (fire point)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가연성 물질의 연소상태를 5초 이상 유지시키기 위한 온도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인화점 보다 약 5~10℃ 정도 높은 온도이다.

다. 발화점 (ignition point, 발화온도, 착화점, 착화온도)

  ① 가연성 물질 또는 혼합물을 공기 중에서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가연성 가스가 발생되어 계속적인 가열에 의

        하여 화염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ㅁ에서 점화한다. 즉, 점화원을 부여하지 않고 가연성 물질을 조연성 물질과 공존하는

         상태에서 가열하여 발화하는 최저의 온도이다.

  ② 발화점이 낮을 수록 위험성은 증가한다.

  ③ 발화점은 조건에 따라 다양한 수치가 나오므로 비점이나 증기압과 같은 물리적인 상수값은 아니다.

  ④ 발화점에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가열하는 시간, 촉매 유무, 가연물과 산화제의 혼합, 혼합물의 양, 용기의 상태, 압력,

       점화원의 종류 등이 있으며 표는 가연성 가스의 공기 중 발화점을 여러가지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값들을 요약하였다.

<가연성 물질의 발화온도 (착화온도)>

물질
발화온도(℃)
물질
발화온도(℃)
물질
발화온도(℃)
메탄
615~682
가솔린
약 300
코크스
450 ~ 550
프로판
460~520
목탄
250 ~ 320
건조한 목재
280 ~ 300
부탄
430~510
석탄
330 ~ 450
등유
약 210

[참고] 인화점이 낮다고 발화점도 낮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솔린의 경우 인화점은 -43 ℃로 등유 보다 낮지만, 발화점

           은 300 ℃ 로 등유 보다 높다.

라. 최소 착화에너지 (최소 점화에너지)

  ① 가연성 혼합가스에 전기불꽃으로 점화시 착화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에너지를 말한다.

  ② 최소 착화에너지는 혼합가스의 종류, 농도, 압력에 따라 다르며, 이론 농도 혼합기 부근에서 일반적으로 최소가 된다.

  ③ 최소 착화에너지가 적을 수록 폭발하기 쉽고 위험하다.

  ④ 최소 착화에너지 (E)를 구하는 공식

          여기서, E : 착화에너지 (J).

                       Q : 전기량 (C)

                        V : 방전전압 (Volt)

                        C : 전기 (콘덴서) 용량 (F)

마. 연소범위 (연소한계, 가연범위, 가연한계, 폭발범위, 폭발한계)

  연소가 일어나는 데 필요한 조연성 가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 가연성 가스의 농도 (vol %) 이다.

 

  ① 연소하한 (LEL) : 공기 또는 조연성 가스 중에서 연소가 발생할 수 있는 가연성 가스의 최소의 농도

  ② 연소상한 (UEL) : 공기 또는 조연성 가스 중에서 연소가 발생할 수 있는 가연성 가스의 최고의 농도

  ③ 연소범위 : 혼합가스의 연소가 발생하는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

     ㉠ 온도의 영향 : 온도가 증가하면 연소 하한은 낮아지고 연소상한은 높아지는 경향에 의해 연소범위는 넓어진다.

     ㉡ 압력의 영향 : 압력이 증가할 수록 연소 하한값은 변화하지 않지만, 연소 상한값이 증가하여 연소범위는 넓어진다.

     ㉢ 농도의 영향 : 조연성 가스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연소상한이 증가하므로 연소범위는 넓어진다.

7. 연소의 이상현상

가. 선화 (lifting)

연료가스의 분출속도가 연소속도 보다 빠를 때 불꽃이 버너의 노즐에서 떨어져 나가서 연소하는 현상으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역화의 반대현상

 

나. 역화 (back fire)

  ① 역화 : 연료가스의 분출속도가 연소속도 보다 느릴 때 불꽃이 연소기 내부로 들어가 혼합관 속에서 연소하는 현상

  ② 역화의 원인

     ㉠ 버너가 과열될 때

     ㉡ 혼합가스량이 너무 적을 때

     ㉢ 연료의 분출속도가 연소속도 보다 느릴 때

     ㉣ 압력이 높을 때

     ㉤ 노즐의 부식으로 분출 구멍이 커진 경우

 다. 블로오프 (blow - off) 현상

       산화상태에서 연료가스의 분출속도가 증가하거나 주위 공기의 유동이 심하면 화염이 노즐에서 연소하지 못하고 떨어

       져서 화염이 꺼지는 현상

#연소 #점화원 #불꽃 #점염연소 #비화 #예혼합연소 #인화점 #연소점 #발화점 #연소한계 #폭발범위 #선화 #역화 #블루오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