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로의 절연 (Insulation)
▣ 절연 :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막아 주는 것
▣ 절연저항 - 전선과 전선 - 사이의 저항값
- 전선과 대지
⊙ 누설전류가 흐르면 전력손실이 발생하고 사람이 접촉하면 위험할 수 있으므로
누설전류를 줄이기 위해 절연저항값은 커야 한다.
⊙ 절연저항은 커야 좋으므로 절연저항의 단위는 [MΩ]이다.
1. 전로는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 대지로 부터 절연하여야 한다.
[ 절연 예외 장소]
① 각종 접지 공사의 접지점
② 대지로 부터 절연하지 않고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부득이 한 경우
▣ 시험용 변압기, 전력선 반송용 결합 리액터, 전기울타리 전원장치
X선 발생장치, 단선식 전기철도 P선, 전기부식방식용 양극
※ 시험용 변압기
③ 대지로 부터 절연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곤란한 곳
▣ 전기욕기, 전기로, 전기보일러, 전해조
※ 전기로 :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쇠를 녹이는 일종의 가열로
전기로는 열이 대단히 높아서 절연시키기가 어렵고
절연을 한다해도 비용이 많이 듬
문제풀이
예제1. 전로를 대지로 부터 반드시 절연해야 하는 것은 ? ④
① 전로의 접지공사의 접지점
② 배전선로의 접지공사의 접지점
③ 시험용 변압기
④ 고압전선
예제2. 전로를 대지로 부터 반드시 절연해야 하는 것은 ? ③
① 전로의 중성선 접지점
② 배전변압기의 2차측 접지점
③ 배전선로
④ 시험용변압기
예제3. 다음중에서 대지로 부터 절연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어려워 접지하지 않아도
되는 곳은 ?
③ 전기로
예제4. 다음중에서 반드시 절연해야 하는 것은 ? ② 전기 다리미
2. 저압전로의 절연 성능
▣ 전로의 절연성능은 전선간 저항이 큰가? 누설전류가 작은가 ?를 측정하여 판단한다.
▣ 절연저항 측정은 "메거"로 한다.
예를 들면
※ 가정에서 자주 누전차단기가 떨어지면 절연이 문제가 있어 누설전류가 발생한다는
것인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절연저항을 측정하게 된다.
※ 절연저항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부하를 떼어 개방상태에서 시험하게 된다.
[절연저항 측정]
▣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셍서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저항성분의 누설전류 1[MΩ] 이하로 유지시켜 주면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본다.
▣ 전선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사이의 절연저항은 개폐기 또는 과전류 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는 전로마다 다음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절연저항값]
▣ 저압전로 중에서 절연부분의 전선과 대지사이 및 전선 심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사용전압에 대한 누설전류가 최대 공급 전류의 1/2000를 넘지 않도록 한다.
문제풀이
예제1.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에
누설전류를 몇 [mA]로 유지시켜야 하는가 ? 1[mA]
예제2. 저압 전선로 중에서 절연부분의 전선과 대지간의 절연저항은 최대사용전압에 대한
누설전류가 최대 공급전류의 얼마를 넘지 않도록 유지하여야 하는가? 1/2000 이하
예제 3. 사용전압이 200[V]인 저압 전로의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간의 절연저항은
몇 [MΩ]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 1 [MΩ]
예제4. 저압전로 중에서 전선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간의 절연저항은 사용전압이 500[V]
이하인 경우는 몇 으로 유지하여야 하는가 ? 1 [MΩ]
예제5. 특별저압(SELV, PELV) 전로에서 전로의 절연저항값은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0.5[MΩ]
예제6. 특별저압(FELV)전로에서 절연저항의 기준값은 ? 1[MΩ]
'전기인이 되는 길 > 설비규정및 기술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극의 시설 및 접지저항, 기출문제 풀이 (0) | 2021.09.29 |
---|---|
접지시스템 개요, 접지도체의 굵기 선정 (0) | 2021.09.29 |
특별저압 (SELV, PELV, FELV)의 종류, 고압 및 특고압 전로의 절연내력 (0) | 2021.09.29 |
전로의 절연(Insulation), 저압 전로의 절연 성능 (0) | 2021.09.29 |
특별저압(SELV, PELV, FELV) 의 종류, 고압 및 특고압 전로의 절연내력 (0) | 202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