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전용량 [C] - 선로정수
선로정수중에서 정전용량에 대하여 알아 봅시다.
전력계통에서 정전용량 [C]는 콘덴서와 관련이 있습니다.
여기서 콘덴서란 콘덴서 제품을 말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콘덴서 역할을 하는
것들의 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콘덴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도체사이에 절연물질이 있는 것입니다.
전력계통에서는 정전용량은 2가지 경우에 나타납니다.
선로와 대지사이는 두 도체 사이에 절연물인 공기가 있어 콘덴서 역할을 하고
전선과 전선사이에도 두 도체사이에 절연물인 공기가 있으므로 콘덴서 역할을 하여
각각 정전용량이 발생하게 됩니다.
⊙ 정전용량도 인덕턴스와 마찬가지로 3가지가 있습니다.
자기(대지)용량, 상호(선간), 작용(합성)정전용량이 있습니다.
명칭 | 발생원인 | 인덕턴스 | 정전용량 |
자기(대지) | 선로와 대지간 | L s | C s |
상호(선간) | 선로 상호간 | L m | C m |
작용 | 합성 | L w | C w |
각각의 정정용량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전기공급방식에 따른 작용정전용량
▣ 송전계통에서 작용정전용량은 전기공급방식에 따라 산정식이 달라집니다.
단상의 경우에는 상호정전용량을 2배, 3상은 3배를 하며 이것은 한상분의 정전용량입
니다.
⊙ 단상 : 작용 정전용량 Cw = Cs + 2 Cm
⊙ 3상 : 작용 정전용량 Cw = Cs + 3 Cm
[단상2선식]
⊙ 상호정전용량은 콘덴서가 직렬연결과 같습니다. (저항의 병렬연결)
따라서 합성 정전용량인 작용정전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상호정전용량인 Cm은 a선의 전압에 의한 Cm과 b선의 전압에
의한 Cm의 합이므로 2Cm이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렇게 외우고 이해
하는 것이 쉽지 않을까 생각한다.)
[3상 3선식]
▣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 상호정전용량 Cm은 △결선에 해당하므로 각 상의 상호정전
용량을 각 상의 정전용량으로 나누기 위해 △결선을 Y결선으로 등가변환한다.
△결선에서 Y결선으로 등가변환하면 저항(R), 리액턴스(x), 임피던스(Z)는 1/3배로
줄어든다. 따라서 △결선의 Cm은 Y결선의 3Cm과 같고 한상의 상호정전용량은
3Cm이 된다.
※ 3상의 경우에도 한상에 걸리는 상호정전용량 Cm은 자신의 전압에 의한 상호정전용
량Cm, 다른 2선에 의한 전압에 의한 상호정전용량을 합하여야 하므로 3Cm이다
이렇게 이해하는 것이 암기하기도 쉬운 것 같다.
2. 전선의 종류에 따른 작용정전용량
3. 충전전류 (앞선전류 = 진상전류)
▣ 충전전류 : 정전용량(콘덴서)에 흐르는 전류 : 한상분을 말함
▣ 송전선과 대지간에는 대지전압이 걸리게 되며 이 전압에 의하여 정전용량이 발생한다.
송전선과 대지간에는 전압차가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 이를 충전전류라 한다.
⊙ 충전전류의 구하는 식은 전압을 저항 즉 작용정전용량으로 나누어 산정한다.
※ 정태시 : 고장이 나지 않은 정상적인 운전상태
4. 충전용량 (진상용량)
※ 콘덴서는 양 극간 전압을 모으고, 에너지를 충전한다.
▣ 충전용량은 정전용량(C)을 말하며 쉽게 말하면 콘덴서용량이라 할 수 있다.
송전계통의 충전용량 즉 정전용량을 말할 때는 3상 전체값을 일컬는다.
※ 변압기 용량을 [kVA] 로 나타 내듯이 용량이란 말이 나오면
피상용량[VA] = 전압 × 전류 를 말한다.
Qc = 3 E × Ic = 3 E × ω CE = 3 ω CE2 = ω CV2 [VA] × 10-3 [kVA]
5. 누설컨덕턴스
▣ 송전선로에서 컨덕턴스는 누설저항값이다. 누설저항으로는 애자표면의 누설전류가
대부분이므로 그 값은 대단히 크고 그 역수인 누설컨덕턴스는 대단히 작아서 선로
정수로는 실용상 고려할 필요가 적다. 따라서 누설컨덕턴스는 무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저항 (R) : 송전계통에서 저항은 전류가 흐르지 않아도 전선이 주어지면 정해진다.
인덕턴스(L) : 송전계통의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그 전선 주위에 자속이 발생하고
발생된 자속에 의하여 유도성 리액턴스가 발생한다.
정전용량(C) : 송전계통의 전선에 전압이 걸리면 선로와 대지간, 그리고 선로 상호
간에 정전용량이 발생한다.
누설컨덕턴스 (G) : 송전선로에서 컨덕턴스는 누설저항값이다. 누설저항으로는 애자표면
의 누설전류가 대부분이므로 그 값은 대단히 크고 그 역수인 누설컨덕턴스는
대단히 작아서 선로정수로는 실용상 고려할 필요가 적다. 따라서 누설컨덕턴스
는 무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 누설컨덕턴스는 애자를 통하여 전류가 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애자는 철탑을 통하여
대지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송전계통에서 누설컨덕턴스는 전선과 대지간의 저항값이
라고 할 수 있다.
▣ 이렇게 하여 송전선로가 주어지면 전력의 송전에 영향을 주는 선로정수 R, L, C,G가
정해지고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그 영향정도를 선로정수라고 한다.
⊙ 이들 선로정수중 저항(R)과 인덕턴스 (L)은 전선에서 발생하므로 R과 L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고
⊙ 정전용량과 누설컨덕턴스는 전선과 대지간에 발생하는 것으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고 볼 수 있다.
이러한 4가지 선로정수를 종합하여 등가회로로 구성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저항과 인덕턴스는 전선에 의해 발생하므로 직렬로 연결되고 합하여 선로임피던스를
구성한다. 정전용량과 누설컨덕턴스는 전선과 대지간에 발생하므로 선로에는 병렬연결
개념으로 어드미턴스를 구성한다. 정전용량과 인턱턴스는 송전로 1[km]를 단위로 하며
이에 따라 합성 등가회로는 1[km]를 단위로 구성되고 전선로의 길이가 100[km]라면
이러한 등가회로가 100개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 인데 이를 종합하여 분포정수회로라고
부른다. 이들 [km]당 선로정수와 100[km]의 합성선로 정수의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
이들 송전계통의 선로정수를 하나의 등가회로로 나타내는 것이 집중정수회로이며
이는 아래 그림과 같다.
이 집중정수회를 분석하기 위하여
임피던스(Z)를 송전단과 수전단의 둘로 양분하여 분석하는 것이 4단자 정수 T형이고
어드미턴스(Y)를 송전단과 수전단 둘로 양분하여 분석하는 것이 4단자 정수 π형이다.
'전기인이 되는 길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성점 접지와 통신선 유도장해 (0) | 2021.08.25 |
---|---|
전압관계 정리 (선간전압, 상전압, 대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등) (8) | 2021.08.25 |
차단기의 차단용량, 단락용량 (0) | 2021.08.25 |
전력용 차단기 (정격전압, 정격전류, 차단전류, 차단용량 등) (0) | 2021.08.25 |
송전선로의 충전전류 (대지전압, 선간전압) (2) | 2021.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