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정격전압 1차 6,600[V], 2차 210[V], 10[kVA]의 단상변압기 2대를 V결선하여
6,300[V]의 3상 전원에 접속하였다.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1) 승압된 전압은 몇 [V]인지 계산하시오.
(2) 3상 V결선 승압기의 결선도를 완성하시오.

【문제풀이】
가. 우선 단권변압기 2대를 V결선한다.

▣ 1차측 먼저 살펴보면 변압기 2대를 V 결선한 모습이다. 즉, 단상변압기 2대를 연결하여
중성선을 전력선에 연결하고 나머지 2선을 전력선에 연결하는 모습이다.
▣ 위 그림에서 단권변압기 2대를 위, 아래로 연결한 모습이 된다.
※ 단권변압기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이 직접 연결되는 모습이다.
▣ 변압기의 승압관계는 단권변압기의 승압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답안작성]
(1) 승압된 전압은 몇 [V]인지 계산하시오.
▣ 승압된 전압은 단권변압기 승압공식을 이용하여 풀이하면 된다.

(2) 3상 V결선 승압기의 결선도를 완성하시오.
▣ 단권변압기 2대를 V결선을 하면 된다.
◈ 단권변압기 단선도 모습을 상상하며 이를 복선도로 옮겨 보자.

◈ 위 그림에서 1차 변압기 2대를 위, 아래로 연결하고 중성선을 3상 전력선에 연결하는
형태로 V결선을 하게 되고 단권 변압기의 특징인 1차 변압기 권선과 2차 변압기 권선
을 직접 연결하게 된다. 단권변압기 2대를 V결선하는 것이므로 위, 아래 2개의 변압기
의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직접 연결한다. 변압기 2차도 V결선을 하게 되므로 중성선을
부하에 연결하여 3상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 이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1차측은 V결선하여 3상 전원에 연결하고 2차측도 V결선을 하여 3상 부하에 연결한다.
'전기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지저항률, 접지저항 측정법 (3전극법, 워너(Wenner)의 4전극법 (0) | 2022.02.17 |
---|---|
2014년 전기기사 기출 핵심 포인트 (0) | 2022.02.15 |
접지저항, 대지저항 측정법 - 전위강하법, 3전극법 (0) | 2022.02.12 |
전기기사 기출문제 풀이 및 암기자료 (0) | 2022.02.11 |
지락전류 산정 - 지락계전기(DG)의 잔류전류 검출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