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결살수설비
<연결살수설비>
▣ 화재발생시 소방대의 진입이 어려운 지하가 또는 지하층에 설치하여 지상의 송수구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여 살수헤드
로 방사하여 소화하는 소화활동설비
<구성요소>
① 송수구(단구형, 쌍구형) ② 선택밸브 ③ 체크밸브 ④ 자동배수밸브 ⑤ 배관
⑥ 배관 ⑦ 헤드 (전용헤드, 스프링클러 헤드) (준비작동식 밸브 ×)
가. 설치대상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및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시행령 [별표5) ★★♣
설 치 대 상
|
설 치 조 건
|
⊙ 지하층 ♣ (피난층으로 주된 출입구가 도로와 접한 경우에는 제외)
|
바닥면적 150 [㎡] (국민주택규모
이하인 아파트의 지하층(대피시설),
학교의 지하층 : 700[㎡]) 이상
|
⊙ 판매시설 ♣
⊙ 운수시설
⊙ 창고시설 (물류터미널)
|
바닥면적 합계 1,000 [㎡] 이상
|
⊙ 가스시설중 지상에 노출된 탱크 ♣
|
30 [ton] 이상
|
⊙ 연결통로 (지하층, 판매시설, 운수시설, 창고 시설(물류터미널)에 부속된 것
|
전부해당
|
나. 송수구 등
1) 송수구 (NFSC 503 제4조 ①) ★★♣
①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노출된 장소에 설치할 것. 이 경우 가연성 가스의 저장 · 취급시설에 설치하는 연결살수
설비의 송수구는 그 방호대상물로 부터 20 [m] 이상의 거리를 두거나 방호대상물에 면하는 부분이 높이 1.5 [m] 이상,
폭 2.5 [m] 이상의 철근 콘크리트 벽으로 가려진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
② 송수구는 구경 65 [㎜]의 쌍구형으로 설치할 것 (하나의 송수구역에 부착하는 살수헤드의 수가 10개 이하인 것에 있어
서는 단구형의 것을 할 수 있다)
③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송수구의 호스접결구는 각 송수구역 마다 설치할 것 (송수구역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각 송수구역의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외)
※ 전용헤드 (개방형) : 구경 20 [㎜]
S.P.헤드 (폐쇄형) : 구경 15 [㎜]
※ 연결살수 설비 : - 건축물
- 가스설비
④ 지면으로 부터 높이가 0.5 [m] 이상 1 [m] 이하에 설치할 것
⑤ 송수구로 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
포소화설비 또는 연결송수관설비의 배관과 겸용하는 경우에는 제외)
⑥ 송수구의 부근에는 "연결살수설비 송수구"라고 표시한 표지와 송수구역 일람표를 설치할 것 (선택밸브를 설치한 경우
에는 제외) ※ 이와 유사한 다른 시설에는 송수 압력 범위를 표시한다.
⑦ 송수구에는 이 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워야 한다.
2) 선택밸브 (송수구를 송수구역 마다 설치한 경우는 제외) (NFSC 503 제4조 ②)
① 화재시 연소의 우려가 없는 장소로서 조작 및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할 것
② 자동개폐밸브에 따른 선택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송수구역에 방수하지 아니하고 자동밸브의 작동시험이
가능하도록 할 것
③ 선택밸브의 부근에는 송수구역일람표를 설치할 것
3) 자동배수밸브 및 체크밸브 ★♣
①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에는 송수구,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 순으로 설치할 것
②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에는 송수구, 자동배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③ 자동배수밸브는 배관 안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되, 배수로 인하여 다른 물건 또는 장소에 피해를 주지
아니할 것
<참고> 연결살수설비의 송수구 주위배관의 설치기준 ★♣
1. 폐쇄형 헤드를 사용할 경우 :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2. 개방형 헤드를 사용할 경우 :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 있어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하는 살수헤드의 수는 10개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
다. 배관 등 (NFSC 503 제5조) ♣
1) 배관의 종류
배관의 종류
|
사용압력
|
⊙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07)
⊙ 이음매 없는 구리 합금관 (KS D 5301) (습식의 배관에 한한다)
⊙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3576) 또는 일반 배관용 스테인 리스 강관 (KS D 4311)
|
1.2 [MPa] 미만
|
⊙ 압력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62)
⊙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관 (KS D 3583)
|
1.2[MPa] 이상
|
※ 사용압력 1.2 [MPa] 미만일 경우 : 배관용 탄소강관, 스테인리스관, 덕타일 주철관, 습식에만 쓸 수 있는 이음매 없는
동관
※ 사용압력 1.2 [MPa] 이상일 경우 :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배관용 아크 용전 탄소강관
2) 배관의 구경 ★★★♣
▣ 배관의 구경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살수헤드의 개수
|
1개
|
2개
|
3개
|
4개 또는 5개
|
6~10개 이하
|
배관의 구경 [㎜]
|
32
|
40
|
50
|
65
|
80
|
3) 배관의 기준 ★★★♣
①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주배관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배관 또는 수조에 접속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접속부분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되, 점검하기 쉽게 하여야 한다.
㉠ 옥내 소화전 설비의 주배관 (옥내소화전설비가 설치된 경우에 한한다.)
㉡ 수도배관 (연결살수설비가 설치된 건축물안에 설치된 수도배관 중 구경이 가장 큰 배관을 말한다.)
㉢ 옥상에 설치된 수조 (다른 설비의 수조를 포함한다)
S.P
|
25
|
32
|
40
|
50
|
65
|
80
|
90
|
100
|
125
|
150
|
2
|
3
|
5
|
10
|
30
|
60
|
80
|
100
|
160
|
161 이상
|
|
연결
살수
|
32
|
40
|
50
|
65
|
80
|
|
|
|
|
|
1
|
2
|
3
|
4~5
|
6~10
|
|
|
|
|
|
②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 있어서의 수평주행배관은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1/100 이상의 기울기로
설치하고 주배관 중 낮은 부분에는 자동배수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③ 가지배관 또는 교차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지배관의 배열은 토너먼트방식이 아니어야 하며 가지배관은 교차
배관 또는 주배관에서 분기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한 쪽 가지 배관에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는 8개 이하로 하여야 한다.
라. 연결살수 설비의 헤드 (NFSC 504 제6조) ★★★♣
① 연결살수설비의 헤드는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 또는 스프링클러헤드로 설치하여야 한다.
② 건축물에 설치하는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설치 기준 ♣
㉠ 천장 또는 반자의 실내에 면하는 부분에 설치할 것 ♣
㉡ 천장 또는 반자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살수헤드까지의 수평거리가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의 경우 3.7 [m] 이하,
스프링클러설비헤드의 경우 2.3 [m] 이하로 할 것 (살수헤드의 부착면과 바닥과의 높이가 2.1 [m] 이하인 부분에
있어서는 살수헤드의 살수분포에 따른 거리로 할 수 있다) ♣
※ 전용헤드 수평거리 : 3.7 [m] 반지름 r
S. P 수평거리 : 2.3 [m]
단서붙으면 : 2.1 [m]
③ 가연성 가스의 저장 · 취급시설에 설치하는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설치 기준 (지하에 설치된 가연성 가스의 저장 · 취급
시설로서 지상에 노출된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제외) ♣
㉠ 연결살수설비 전용의 개방형 헤드를 설치할 것
㉡ 가스저장탱크, 가스홀더 및 가스발생기의 주위에 설치하되, 헤드 상호간의 거리 3.7 [m] 이하로 할 것
㉢ 헤드의 살수범위는 가스저장탱크, 가스홀더 및 가스발생기의 몸체의 중간 윗부분의 모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야
하고 살수된 물이 흘러 내리면서 살수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한 부분에도 모두 적셔질 수 있도록 할 것
마. 연결살수설비 헤드의 설치 제외 (NFSC 503 제7조) ★♣
① 상점 (바닥면적이 150 [㎡] 이상인 지하층에 설치된 것을 제외)으로서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방화구조로 되어
있고 바닥 면적이 500 [㎡] 미만으로 방화구획되어 있는 특정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
② 계단실 (특별피난계단의 부속실을 포함), 경사로, 승강기의 승강로, 파이트 덕트, 목욕실, 수영장 (관람석 부분을 제외),
화장실, 직접 외기에 개방되어 있는 복도
③ 통신기기실, 전자기기실
④ 발전실, 변전실, 변압기실
⑤ 병원의 수술실, 응급처치실
⑥ 펌프실, 물탱크실
⑦ 현관 또는 로비 등으로서 바닥으로 부터 높이가 20 [m] 이상인 장소
⑧ 냉장 창고의 영하의 냉장실 또는 냉동창고의 냉동실 ♣
⑨ 고온의 노가 설치된 장소 또는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 장소
【 출제 예상 문제 】
1. 다음 중 연결살수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 ★ ③
① 송수구 ② 살수헤드 ③ 방수구 ④ 자동배수밸브
2. 다음 중 연결살수설비의 설치대상이 아닌 것은 ? ①
① 판매시설 용도 건물로 바닥면적의 합계가 700 [㎡]인 것
② 백화점 용도 건물의 지하층으로서 바닥면적 합계가 700[㎡]인 것
③ 학교용도 건물의 지하층으로서 700 [㎡]인 것
④ 탱크용량이 40 [ton]인 지상 노출 가스 탱크시설
3.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 있어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하는 연결살수전용헤드의 수는 몇개 이하
이어야 하는가 ? ★★★ ②
① 8 ② 10 ③ 12 ④ 14
4. 가연성 가스의 저장 · 취급시설에 설치하는 연결살수 설비의 송수구는 그 방호대상물로 부터 얼마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하는가 ? ★★ ③
① 10 [m] 이상 ② 15 [m] 이상 ③ 20 [m] 이상 ④ 25 [m] 이상
5. 다음 연결살수설비에 대한 시설기준에서 ( )안에 적합한 것은 ? ④
▣ 송수구는 구경 65 [㎜]의 쌍구형으로 설치할 것. 다만, 하나의 송수구역에 부착하는 살수설비의 수가 ( )개 이하일 경우
에 있어서는 단구형의 것으로 할 수 있다.
① 4 ② 5 ③ 9 ④ 10
6. 연결살수설비의 송수구 설치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 ★★★ ①
①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에는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순으로 설치할 것
② 폐쇄형 헤드를 사용하는 송수구의 호스접결구는 각 송수구 마다 설치할 것
③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 있어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하는 살수헤드의 수는 20개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④ 송수구의 높이가 0.5 [m] 이하에 설치할 것
7. 폐쇄형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주배관과 연결해야 하는 대상으로 적절하지 않는 않는 것은 ? ★★ ④
① 옥내소화전의 주배관 ② 수도배관
③ 옥상에 설치된 물 탱크 ④ 스프링클러설비의 주배관
8. 연결살수설비의 전용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서 배관의 구경이 32 [㎜]인 경우 하나의 배관에 부착할 수 있는
살수헤드의 개수는 ? ★★ ①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9. 배관구경이 65 [㎜]일 경우 하나의 배관에 부착하는 살수 헤드의 개수는 몇 개인가 ? (단,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를
사용) ③
①1개 ② 3개 ③ 5개 ④ 7개
10. 연결살수설비의 배관중 하나의 배관에 부착하는 살수헤드의 수가 8개인 경우 배관의 구경은 몇 [㎜] 이상의 것을 사용
하여야 하는가 ? ★★ ②
① 65 ② 80 ③ 100 ④ 125
11. 연결살수설비의 배관 시공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 ★★ ②
①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에 있어서의 수평주행배관은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100분의 1의 기울기로
설치한다.
② 가지배관 또는 교차배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지배관의 배열은 토너먼트 방식이어야 한다.
③ 가지배관은 교차배관 또는 주배관에서 분기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한 쪽 가지배관에 설치되는 헤드의 개수를 8개 이하
로 하여야 한다.
④ 배관은 배관용 탄소강관 또는 압력배관용 탄소강관을 사용할 수 있다.
12.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의 경우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헤드까지 수평거리는 ? ★★★ ④
① 2.3 [m] 이하 ② 2.5 [m] 이하 ③ 3.2 [m] 이하 ④ 3.7 [m] 이하
13. 연결살수설비의 헤드를 스프링클러헤드로 설치하고자 할 경우 건축물의 천장 또는 반자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살수 헤드까지의 수평거리는 ? ★★★ ③
① 1.7 [m] 이하 ② 2.1 [m] 이하 ③ 2.3 [m] 이하 ④ 3.7 [m] 이하
14. 가연성 가스의 저장 · 취급 시설에 설치하는 연결 살수설비의 헤드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 ★★★ ②
① 헤드의 살수범위는 살수된 물이 흘러 내리면서 살수 범위에 포함된 부분만 모두 적셔질 수 있도록 할 것
② 연결살수 설비 전용의 개방형 헤드를 설치한다.
③ 가스저장 탱크 · 가스홀더 및 가스발생기의 주위에 설치하되, 헤드 상호간의 거리는 2.3 [m] 이하로 한다.
④ 헤드의 살수범위에 가스홀더 및 가스발생기 몸체의 중간 윗부분은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15. 가연성 가스의 저장 · 취급시설에 설치하는 연결 살수 설비 헤드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 ①
①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한다.
② 가스저장 탱크, 가스홀더 및 가스발생기 주위에 설치한다.
③ 헤드 상호간 거리는 3.7 [m]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④ 헤드의 살수 범위는 가스 저장 탱크, 가스홀더 및 가스발생기 몸체의 중간 부분 윗부분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16. 연결살수설비의 살수헤드 설치 면제 장소가 아닌 것은 ?
① 고온의 용광로가 설치된 장소
②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물품의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③ 가연성 가스를 저장 · 취급하는 장소
④ 냉장창고 또는 냉동창고의 영하의 냉장실 또는 냉동고
#연결살수설비 #가스시설 #지하가 #판매시설 #백화점 #송수구 #자동밸수밸브 #선택밸브 #체크밸브 #지하층 #개방형헤드 #폐쇄형헤드 #쌍구형 #단구형 #가연성
'소방설비기사 (기계) > 소방설비의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4. 소화용수설비 (0) | 2023.08.30 |
---|---|
연결송수관설비 - 소화활동설비 (0) | 2023.08.29 |
연소방지설비 : 소화활동설비 (0) | 2023.08.29 |
소화활동설비 : 제연설비 2 (0) | 2023.08.28 |
Chapter 3. 소화활동설비 : 제연설비 1 (0) | 202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