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개소에서 전동기의 기동 정지 회로
가. 전동기 기동 정지 시퀀스 회로
[동작설명]
① 전원이 투입 (MCCB를 투입) 되면 녹색램프 GL이 켜진다.
② 누름버튼스위치 a접점을 누르면 (ON하면) 전자개폐기 코일 MC에 전류가 흘러 주접점 MC가 닫히고, 전동기가 회전
하는 동시에 GL램프가 꺼지고 RL램프가 켜진다. 이때 누름버튼 스위치에서 손을 떼어도 이 동작은 계속된다.
(자기유지)
③ 누름버튼 스위치 b접점을 누르면 (OFF하면) 전동기가 멈추고 RL램프가 꺼지며, GL램프가 다시 점등된다.
<참고> 열동계전기 (Thermal Relay : THR)
▣ 서머릴레이라고도 하며 주로 전동기의 과부하 보호용으로 사용된다. 자동제어기구 번호는 49이다.
가. 열동계전기가 동작되는 경우
ⓐ 유도전동기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
ⓑ 전류 세팅을 정격전류보다 낮게 세팅하였을 경우
ⓒ 열동계전기 단자의 접촉불량으로 과열되었을 경우
나. 열동계전기가 동작되어 운전이 정지되었을 경우 열동계전기의 리셋버튼을 눌러 복구시킨 후 누름버튼스위치 ON용
(PBS-on)을 눌러 전동기를 기동시킨다.
나. 전동기 기동 시퀀스 (열동계전기)
[동작설명]
① 전원이 투입 (MCCB를 투입) 되면 녹색램프 GL이 켜진다.
② 누름버튼스위치 PB2-a를 ON시키면 누르면 전자개폐기 코일 MC에 전류가 흘러 주접점 MC가 닫히고, 전동기가 회전
하는 동시에 GL램프가 꺼지고 RL램프가 켜진다. 이때 누름버튼 스위치에서 손을 떼어도 이 동작은 계속된다.
(자기유지)
③ 누름버튼 스위치 PB1-b를 OFF시키거나, 열동계전기 THR이 동작하면 전동기는 멈추고 RL램프는 꼬지며, GL램프가
다시 점등된다.
<참고> 자동제어기구 번호
자동제어
기구 번호
|
기구 명칭
|
설 명
|
19
|
기동·운전 전환접촉기(전자접촉기)
|
기기를 기동에서 운전으로 절환
|
49
|
회전기기 온도계전기 (열동계전기)
|
회로기 온도가 규정치 이상이거나
이하에서 동작
|
88
|
보기용 접촉기 · 개폐기 (전자접촉기)
|
전동장치의 운전용 개폐기
|
다. ON, OFF 스위치와 자기유지
① ON스위치와 OFF스위치는 직렬로 접속하여야 한다.
② ON스위치와 자기유지 접점은 병렬로 접속하여야 한다.
③ 스위치와 계전기의 위치 때문에 배선이 어렵게 그려져 있으나 다음의 회로도와 같은 회로도이다.
라. 전동기 기동 시퀀스 (열동계전기로 전동기 보호)
<동작설명>
① 전원이 투입(MCCB를 투입)되면 정지표시등 RL이 점등된다.
② 누름버튼 스위치 On용 PBS-on 을 누르면 전자접촉기 MC가 여자되어 주접점 MC가 닫히고 전동기는 운전, 기동표시
등 GL은 점등, 정지표시등 RL은 소등된다. 이 때 누름버튼 스위치 ON용 OBS-off를 누르거나 열동계전기 THR이 동작
하면 전동기가 멈추고 기동표시등 GL은 소등, 정지표시등 RL은 점등된다.
2. 2개소에서 전동기의 기동정지 시퀀스 회로
가. 열동계전기가 있는 경우
<동작설명>
① 전원이 투입 (MCCB를 투입) 된 상태에서 PB-on 스위치를 ON시키면 전자접촉기 MC가 여자되어 전자접촉기 주접점이
폐로되어 전동기가 회전한다. 이 때 PB-on 스위치에서 손을 떼어도 전자접촉기 보조접점(자기유지 접점)이 폐로되어
전동기는 계속 회전하게 된다.
② 전동기 운전 중 PB-off 스위치를 OFF시키면 MC가 소자되어 전동기는 정지한다.
③ 전동기의 운전 중에 과부하가 걸려 열동계전기 THR이 작동하면 전동기는 정시키기게 된다.
※ 주의
㉠ 현장측과 제어실측의 PB-on 스위치는 병렬로 접속하여야 한다.
㉡ 현장측과 제어실측의 PB-off 스위치는 직렬접속하여야 한다.
㉢ 자기유지접점 (MC-a)는 PB-on 스위치와 병렬접속하여야 한다.
나. 열동계전기가 없는 경우
<동작설명>
① 전원이 투입 (MCCB를 투입) 된 상태에서 PB-on 스위치를 ON시키면 전자접촉기 MC가 여자되어 전자접촉기 주접점이
폐로되어 전동기가 회전한다. 이 때 PB-on 스위치에서 손을 떼어도 전자접촉기 보조접점(자기유지 접점)이 폐로되어
전동기는 계속 회전하게 된다.
② 전동기 운전 중 PB-off 스위치를 OFF시키면 MC가 소자되어 전동기는 정지한다.
※ 주의
㉠ 현장측과 제어실측의 PB-on 스위치는 병렬로 접속하여야 한다.
㉡ 현장측과 제어실측의 PB-off 스위치는 직렬접속하여야 한다.
㉢ 자기유지접점 (MC-a)는 PB-on 스위치와 병렬접속하여야 한다.
㉣ 주회로 측에 열동계전기가 없으므로 보조회로(제어회로)에 그리지 않는다.
3. 3개소에서 전동기의 기동정지 시퀀스 회로
① 문제에 주어진 미완성 도면에서 ON 스위치와 OFF스위치가 층 별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② 문제에 주어진 미완성 도면에서 ON 스위치와 OFF스위치가 층별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동작설명>
① 전원이 투입(MCCB를 투입)된 상태에서 PB-on 스위치를 ON시키면 전자접촉기 MC가 여자되어 전자접촉기의 주접점
이 폐로되어 전동기가 회전한다. 이 때 PB-on 스위치에서 손을 떼어도 전자접촉기 보조접점(자기유지접점)이 폐로되어
전동기는 계속 회전하게 된다.
② 전동기 운전 중에 OFF 스위치를 누르거나 열동계전기 THR이 동작하게 되면 MC가 소자되어 전동기는 정지하게 된다.
※ 주의
㉠ ON스위치는 1층, 2층, 3층 간 병렬접속하여야 한다.
㉡ OFF 스위치는 각 층 모두 직렬접속하여야 한다.
㉢ 자기유지접점 (MC-a)은 ON스위치와 병렬접속하여야 한다.
4. 양수설비
가. 수동과 자동 제어 시퀀스
<동작설명>
① 전원이 인가(MCCB를 투입)되면 GL램프가 점등된다.
② 자동일 경우 플롯스위치(FS : Float Switch)가 붙으면(동작하면) 전자접촉기 88이 여자되어 RL램프가 점등되고,
GL램프가 소등되며, 펌프모터가 동작한다.
③ 급수완료되어 플롯스위치가 떨어지거나 모터과열로 인해 열동계전기 49가 동작하면 전자접촉기 88이 소자되어
RL림프는 소등되고, GL램프가 점등되며 펌프모터는 정지한다.
④ 수동일 경우 누름버튼 스위치 PB-on을 ON시키면 접자접촉기 88이 여자되어 RL램프가 점등되고 GL램프가 소등되며,
펌프모터가 동작한다.
⑤ 수동일 경우 누름버트스위치 PB-off를 OFF시키거나 열동계전기 49가 동작하면 전자접촉기 88이 소자되어 RL램프가
소등되고, GL램프가 점등되며, 펌프모터가 정지된다.
나. 양수설비 (수동-자동 : 리밋스위치)
<동작설명>
① 전원이 인가(MCCB를 투입)되면 GL램프가 점등된다.
② 자동일 경우 리밋스위치(LS)가 붙으면 (동작하면) 전자접촉기 MC가 여자되어 RL램프가 점등되고 GL램프가 소등
되며, 유도전동기가 동작한다.
③ 급수가 완료되어 리밋스위치가 떨어지거나 열동계전기 THR이 동작하면 전자접촉기 MC가 소자되어 RL램프는 소등
되고 GL램프가 점등되며 유도전동기는 정지한다.
④ 수동일 경우 누름버튼스위치 PB-on을 ON시키면 전자접촉기 MC가 여자되어 RL램프가 점등되고 GL램프가 소등되며,
유도전동기가 동작한다.
⑤ 수동일 경우 누름버튼스위치 PB-off를 OFF시키거나 열동계전기 THR이 동작하면 전자접촉기 MC가 소자되어,
RL램프가 소등되고 GL램프가 점등되며, 유도전동기는 정지된다.
다. 리밋스위치로 양수펌프 자동운전
① 시퀀스 결선법 1
② 시퀀스 결선법 2
<동작설명>
① 전원이 투입 (MCCB가 투입)되면 자동일 경우 리미트 스위치 (LS)가 붙으면(동작하면) 전자접촉기 MC가 여자되어
유도전동기가 동작한다.
② 급수가 완료되어 리미트스위치(LS)가 떨어지거나 열동계전기 THR이 동작하면 전자접촉기 MC가 소자되어 유도전동
기는 정지한다.
③ 수동일 경우 운전용 누름버튼스위치 PB-on을 ON시키면 전자접촉기 MC가 여자되어 유도전동기가 동작한다.
④ 수동일 경우 정지용 누름버튼스위치 PB-off를 OFF시키거나 열동계전기 THR이 동작하면 전자접촉기 MC가 소자되어
유도전동기가 정지한다.
라. 자동급배수 제어 시퀀스 회로
① 자동급수
② 자동배수
마. 자동급배수
<동작설명>
① 전원을 투입(MCCB를 투입)하면 GL등이 점등된다.
② 자동 43A ASW-A 스위치가 자동으로 붙으면(동작하면) 전자접촉기 88이 여자되어 RL등이 점등되고 GL등이 소등된다.
③ 급수펌프가 과부하가 걸려 열동계전기 49가 작동하면 급수펌프는 정지된다.
※ 정지용 GL등은 전자접촉기 88-b 접점, 운전용 RL등은 전자접촉기 88-a 접점으로 연결한다.
5. 정 · 역전 운전 시퀀스 회로
<참고> 주회로 부분의 결선방법 (정 · 역전 회로)
<참고> 인터록(Inter lock)회로
▣ 상대동작 금지회로라고도 하며 우선도가 높은 측의 회로를 ON시키면 상대측의 회로는 열려서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회로방식(서로 상대측에 b접점으로 구성한다)
① R1-b접점을 상대측인 R2회로에 구성하여 R1 여자시 R1접점이 열리게 되어 R2회로는 소자상태가 된다. (PB2를 눌러
도 R2는 여자되지 않는다)
② R2-b접점을 상대측인 R1회로에 구성하여 R2 여자시 R2접점이 열리게 되어 R1회로는 소자상태가 된다. (PB1를 눌러
도 R1는 여자되지 않는다)
6. Y-△ 기동 시퀀스 회로
가. 기본 회로
<동작설명>
① 전원을 투입(MCCB를 투입)하고, PB1을 누르면 전자접촉기 MCM, MCS가 여자되어 전동기는 Y결선으로 기동된다. (또한 타이머 TLR이 자기유지된다)
② 타이머 TLR의 설정시간 후 MCM, MCS가 소자됨과 동시에 MCD, MCM이 여자되어 전동기는 △결선으로 운전된다. (MCS와 MCD는 인터록 관계이다)
③ PB-2를 누르면 MCM, TLR, MCD가 소자되어 전동기의 운전이 정지된다.
④ 전동기의 운전 중에 과부하가 결려 열동계전기 THR이 작동하면 전동기를 정지시키게 된다.
※ 주의
㉠ MCD-b 접점을 상대측인 MCS회로에 구성하여 MCD 여자시 MCD-b 접점이 열리게 되어 MCS회로는 소자상태가
된다.
㉡ MCS-b 접점을 상대측인 MCD회로에 구성하여 MCS 여자시 MCS-b 접점이 열리게 되어 MCD회로는 소자상태가 된다.
<참고> 주회로 부분의 결선방법 (Y-△ 기동회로) 및 Y-△ 결선
① 주회로 부분의 결선방법 (Y-△ 기동회로)
㉠ △결선방법 1.
㉡ △ 결선방법 2
② Y-△ 결선 방법
나. Y-△ 기본회로 2
<동작설명)
① 전원을 투입(MCCB를 투입)하고 기동용 푸시버튼스위치 PBS-a를 누르면 전자개폐기 M1이 여자되어 M1-a접점이
닫혀 전자개폐기 M3가 여자된다. 이 때 주접점 M1이 닫혀 전자개폐기 M3가 여자되고, 주접점 M3가 닫히면서
전동기가 Y 기동된다. PBS-a에서 손을 떼어도 계속 Y기동 되며, 동시에 타이머 코일도 여자된다.
② 타이머 설정시간이 지나면 T-b 접점이 열려 M3가 소자되어 Y 기동이 정지되고 T-a가 붙어 M2가 여자되면서 △운전
으로 전환된다.
③ 전동기의 Y결선과 △결선의 동시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터록 접점 M2-b와 M3-b 가 있다.
④ 정지용 푸시버튼스위치 PBS-b를 누르거나 전동기에 과부하가 걸려 열동계전기 THR이 작동하면 운전 중인 전동기는
정지한다.
<참고> 타이머의 한시동작 순시복귀 · 순시동작 한시 복귀 접점회로
다. Y-△기동 (스위치 연동)
<동작설명>
① 전원이 투입(MCCB를 투입)되고, 누름버튼스위치 PB1을 ON시키면 전자개폐기 M1이 여자되어 적색램프 R이 점등
된다.
② 누름버튼스위치 PB2를 ON시키면 전자개폐기 M2가 여자되어 녹색램프 G가 점등되고 전동기는 Y결선으로 운전된다.
③ 누름버튼 스위치 PB3를 OFF시키면 전자개폐기 M2가 소자, 녹색램프 G는 소등되며, 전자개폐기 M3가 여자되어 황색
램프 Y가 점등되고, 전동기는 △결선으로 운전된다.
④ 누름버튼스위치 PB4를 OFF시키면 전동기는 정지되고 적색램프 R만 점등된다.
⑤ 누름버튼스위치 PB4를 OFF시키거나, 운전 중 전동기에 과부하가 걸려 열동계전기 THR이 작동하면, 전동기는 정지
되고 모든 램프는 소등된다.
7. 상용전원 - 예비전원 전환회로
가. 보조회로측에 열동계전기가 2개 그려져 있을 경우
<동작설명>
① 푸시버튼스위치 PB1을 ON시키면 전자접촉기 MC1이 여자되고, RL등이 점등, 전자접촉기 보조접점 MC1-a접점이
닫혀 자기유지되며, 전자접촉기 주접점 MC1이 닫혀 유도전동기는 운전된다. ⇒ 상용전원
② 상용전원 운전 중 푸시버튼스위치 PB3를 OFF시키거나 전동기에 과부하가 걸려 열동계전기 THR1이 작동하면 MC1
이 소자되어 유도전동기는 정지, RL등은 소등된다.
③ 상용전원 정전 또는 고장시 푸시버튼 스위치 PB2를 ON시키면 전자접촉기 MC3가 여자되고, GL등이 점등, 전자접촉
기 보조접점 MC2-a 접점이 닫혀 자기유지되며, 전자접촉기 주접점 MC2가 닫혀 유도전동기는 운전된다. ⇒ 예비전원
④ 예비전원 운전 중 푸시버튼스위치 PB4를 OFF시키거나 전동기에 과부하가 걸려 열동계전기 THR2가 작동하면 MC2
가 소자되어 유도전동기는 정지, GL 등은 소등된다.
나. 보조회로측에 열동계전기가 1개 그려져 있는 경우
<동작설명>
① PB1을 누르게 되면 전자접촉기 MC1이 여자되고, RL등이 점등, 전자접촉기 보조접점 MC1-a 가 닫혀 자기유지되며
② 이와 동시에 전자접촉기 주접점 MC1이 닫혀 유도전동기는 사용전원이 운전된다.
③ 상용전원으로 운전 중ㄹ PB3를 누르면 MC가 소자되어 유도전동기 정지, 상용전원 운전표시등 RL등은 소등된다.
④ 상용전원 정전 또는 고장시 예비전원으로 운전하기 위해 PB2를 누르면 전자접촉기 MC2가 여자되고 GL이 점등, 전자
접촉기 보조접점 MC2-a가 닫혀 자기유지 된다.
⑤ 이와 동시에 전자접촉기 주접점 MC2가 닫혀 유도전동기는 예비전원으로 운전된다.
⑥ 예비전원 운전 중 푸시버튼스위치 PB4를 누르면 MC2가 소자되어 유도전동기는 정지되고 예비전원 운전표시등 GL이
소등된다.
8. 기타 회로
가. 과부하시 부저가 울리는 회로
<동작설명>
① 전원을 투입(MCCB를 투입)하면 정지표시등(전원감시표시등) GL이 점등된다.
② 누름버튼스위치를 ON시키면 전자개폐기(전자접촉기) MC가 여자되어, 정지표시등(전원감시표시등) GL은 소등, 운전
표시등 RL은 점등되고 자기유지되어 IM이 동작한다.
③ 누름버튼스위치를 OFF시키면 전자개폐기(전자접촉기) MC가 소자되어, 운전표시등 RL이 소등, 정지표시등(전원감시
표시등) GL은 점등되고, 유도전동기 IM은 정지된다.
④ 전동기의 운전 중에 과부하가 걸려 열동계전기 THR이 작동하면 전체 시스템이 정지되고 부저가 울리게 된다.
나. 과부하시 경고등 점등 회로
<동작설명>
① 전원을 투입(MCCB를 투입)하면 표시램프 GL이 점등된다.
② 전동기 운전용 누름버튼스위치인 PBS1-a를 누르면 전자접촉기 MC가 여자되어 전동기가 기동되며, 동시에 전자접촉
기 보조 a접점인 MC-a 접점에 의해 전동기 운전등인 RL이 점등된다. 이 때 전자접촉기 보조 b접점인 MC-b에 의하여
GL이 소등되며, 또한 타이머 T가 여자되어 타이머 설정시간 후에 타이머 b접점 T-b가 떨어지므로 전자접촉기 MC가
소자되어 전동기가 정지하고, 모든 접점은 PBS1-a를 누르기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③ 전동기가 정상운전 중이라도 정지용 누름버튼 스위치 PBS1-a를 누르면 PBS1-a를 누르기 전의 상태로 된다.
④ 전동기에 과전류가 흐르면 열동계전기 접점인 THR-b 접점이 떨어져서 전동기는 정지하고 모든 접점은 PBS1-a를
누르기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 경고등 YL이 점등된다.
'소방설비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 제어회로 타임 차트 (2) | 2023.07.20 |
---|---|
소방 관련 시퀀스 제어회로 출제 예상 문제 풀이 (0) | 2023.07.19 |
전기회로에 있어 각종 접점 심벌 (2) | 2023.07.16 |
부울(Boolean)대수, 드 · 모르간 정리, 논리회로, 시퀀스 기본 회로 (0) | 2023.07.16 |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실기 계산문제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