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영제국의 위세가 하늘을 찌르던 1852년,

영국 해군의 1,400톤급 수송선이었던

버큰헤드호(Birkenhead)는

군인과 민간인 634명을 태우고 아프리카 남단을

항해 중이었습니다.

케이프타운에서 65km 떨어진 바다를 지나던

버큰헤드호는 2월 26일 새벽 2시, 그만 암초와

충돌하고 말았습니다.

암초에 부딪힌 배는 한쪽으로 기울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차가운 바닷물이 들이닥치는

절체절명의 위기가 닥쳤습니다.

완전히 허리가 끊긴 배에는 고작 3척의

구명정이 있었는데, 1 척당 60명, 전부 합해

180명밖에 탈 수 없었습니다.

배 위에 탄 병사와 가족들의 공포는

말로 다 표현하기 어려운 지경이었습니다.

그때, 그 배에 타고 있던 영국군

74 보병연대의 지휘관인 알렉산더 세튼 중령은

병사들을 갑판에 집결시켜 놓고

큰 소리로 외쳤습니다.

"차렷!"

갑판 위에 병사들은 부동자세를 유지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명령을 내렸습니다.

"제군들은 들어라.

지금까지 가족들은 우리를 위해 희생해 왔다.

이제 우리가 그들을 위해 희생할 때가 되었다.

어린이와 여자부터 보트에 태워라!"

병사들은 횃불을 밝히고, 아이들과 부녀자들을

3척의 구명정으로 옮겨 태웠습니다.

마지막 구명보트에 사람을 태운 뒤

버큰헤드호는 점점 더 바닷속으로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버큰헤드호의 세튼 지휘관과 병사들은

차가운 물이 목까지 차오르는 순간에도

흐트러지지 않은 모습으로 명예롭게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잠시 후 그들은 순식간에 물속으로 사라졌습니다.

판자에 매달려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한 병사는

당시의 상황을 이렇게 전했습니다.

"중령님의 지시에 불평 한마디 없었습니다.

그 명령이 곧 죽음이라는 걸 알면서도.."

바로 이때부터 '여성과 어린이부터'라는

전통이 생겼다고 합니다.

 

버큰헤드호의 병사들...

이 시대의 우리들에게 많은 깨달음과

울림을 줍니다.

우리는 언제나 남보다 나를 우선시하며

살아가고 있었는지 잠시나마

반성을 해 봅니다.

# 오늘의 명언

사랑의 첫 번째 계명은 먼저 희생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희생은 사랑의 고귀한 표현이기 때문이다.

– 발타자르 그라시안 –

반응형

'좋은글, 감동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밍과 방향성  (0) 2023.06.16
두번째 프러포즈...  (0) 2023.06.13
모든 것은 생각하기 나름이다...  (0) 2023.06.01
나의 가슴 속에 담긴 꿈은 무엇인가 ?  (0) 2023.05.31
희망을 욕심내자  (0) 2023.05.29
반응형

 

70년 만에 대한민국 땅을 밟다..

 

 

 

6.25 전쟁 당시 16개국 참전 국가가 있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용감하게 싸워준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강뉴부대.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도왔다는 이유로

공산정권이 들어선 에티오피아에서 평생 가난과 핍박에

시달려왔는데요.

 

지난 2016년부터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강뉴부대를

도와온 따뜻한 하루는 생계비 지원, 미망인 후원,

결연아동 사업, 후손 장학금 지원 등 다양한

나눔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 6.25 전쟁 72주년을 맞이해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어르신 중 두 분을

한국으로 초청했습니다.

 

 

 

 

7박 8일 동안 참전용사분들과

대한민국 곳곳을 다니며 보여드렸는데요.

특히 세계 유일의 유엔기념 묘지가 있는 부산에서

전사자들을 추모하고, 에티오피아 국기 아래에서

기념사진을 찍기도 했는데요!

 

70년 전, 한국전쟁 참전 당시 가장 먼저

부산 땅을 밟았던 만큼 어르신들에게는

감회가 새로운 시간이었습니다.

 

"한국이 정말 놀랍게 변화했고, 발전했네요.

이렇게 한국이 성장해서 너무도 기쁩니다.

앞으로도 이 땅에 계속 평화가 있기를

제가 죽는 날까지 기도할 거예요.!"

- 벨라체우 아메네쉐와 -

 

7박 8일 일정 중 21일에는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초청 행사를 진행하면서 깜짝 손님이 방문해 주셔서

의미를 더했는데요.

 

한국전쟁 당시 17살 어린 나이에

에티오피아 부대에서 폭탄을 나르는 부대원으로 활동하며

벨라체우 아메네쉐와 인연을 맺었던 윤종한 님이

참석해 진한 감동을 선사했습니다.

 

 

 

 

지금의 우리가,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는 건

이 땅의 평화와 자유를 위해 목숨 바쳐 싸워 준

많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강뉴부대의 의미를 되새기고,

감사의 마음을 전한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모두가 함께 울고 웃었던,

감동의 시간이었습니다.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어르신들과 함께한

꿈같은 7박 8일의 여정이 끝났습니다.

우리 어르신들, 에티오피아로 돌아가시더라도

더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따뜻한 하루는 단 1명의 강뉴부대 어르신이

살아계실 때까지 돕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올해로 72주년을 맞이하는 6.25.

젊은 세대들에게는 가슴으로 와닿지 않는 전쟁이지만,

절대 잊지 말아야 할 역사입니다.

 

지금 우리가 서 있는 이 땅, 이 자리가

기성세대의 피와 눈물, 노력으로 일궈진 것이라는 점과

그 땅을 우리가 이어받아 지켜내야 한다는 사명감.

그것만은 잊지 않길 바라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