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4석유류】

"제4석유류"라 함은 기어유, 실린더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00℃ 이상 250℃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도료류, 그 밖의 물품은 가연성 액체량이 40wt&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1. 기어유 (Gear oil)

   ① 기계, 자동차 등에 이용한다.

   ② 비중 : 0.90, 인화점 : 220℃, 유동점 : -12℃, 수분 : 0.2 %

2. 실린더유 (Cylinder oil)

   ① 각종 증기기관의 실린더에 사용된다.

   ② 비중 : 0.90, 인화점 : 250℃, 유동점 : -10℃, 수분 : 0.5%

3. 윤활유

   ▣ 기계에서 마찰을 많이 받는 부분의 마찰을 덜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름

 
종 류
용 도
기계유
윤활유 중 가장 많이 사용, 마찰 부위에 쓰이는 외부 윤활용 오일이다. 인화점 200~300℃, 계절에 따라 적당한 점도, 인화점을 주어 여러 종류가 있다.
실린더유
각종 증기기관의 실린더에 사용, 인화점 230~370℃, 과일 수증기를 사용하는 경우 인화점은 280℃가 적당하다.
모빌유
항공 발전기, 자동차 엔진, 디젤엔진, 가스엔진에 사용
엔진오일
기관차, 증기기관, 가스엔진 등의 외부 윤활유로 사용
컴프레셔오일
에어컴퓨레셔에 사용, 공기와의 접촉 시 산화중합 및 연소 위험성이 적어야 한다.

4. 가소제 : 성형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품에 유연성과 내한성 등의 성능을 부여해 주는 물질로 다음 표에서

                  몇가지 예를 들어 본다.

<대표적인 가소제의 일반적인 특징>

 

물질명
융점(℃)
비점(℃)
비중
인화점(℃)
용도
아디핀산디아이소데실
-18~43
349
0.92
219
가소제
세바신산디뷰틸
-12
345
0.94
202
가소제
세바신산디옥틸
-62
377
0.91
215
가소제, 윤활유
인산트리크레실(TCP)
-33
250
1.13
255
가소제
프탈산디옥틸(DOP)
-50
230
0.98
216
가소제, 안정제
프탈산디아이소데실(DIOP)
-37
420
0.97
232
전선필름

5. 전기절연유 : 변압기 등에 쓰이는 인화점이 200℃ 이상인 절연유

6. 절삭유 : 금속 재료를 절삭 가공할 때 공구와 재료와의 마찰열을 감소시키고 절삭물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인화점이 200℃ 이상인 기름

7. 방청유 :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여 철제가 녹슬지 않도록 해 주는 기름

【동식물유류】

"동식물유류"는 동물의 지육 또는 식물의 종자나 과육 등으로 부터 추출한 것으로서 1기압에서 인화점이 250℃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만, 위험물관리법 제20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용기기준, 수납 · 저장 기준에 따라 수납되어 저장 · 보관되고 용기의 외부에 물품의 통명칭, 수량 및 화기엄금(화기엄금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표시를 포함한다)의 표시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다.

 
물질명
원료
인화점(℃)
아이오딘값
용도
비고
동유
오동의열매
289
145~
176
도료의 도막 형성요소, 방식용, 고무충전제, 니스
건성유
아마인유
아마의 열매
222
168~
190
페인트, 기름, 바니스의 도막 형성 요소
건성유
들기름
들께
272
192~208
도료, 식용
건성유
어유
바닷고기의 어체 및 내장
-
92~150
정화유
반건성및
건성유
채종유
겨자씨
163
97~107
식용, 윤활유
반건성유
면실유
목화씨
252
88~121
식용, 의약품,정화유,방수용
반건성유
올리브유
올리브 열매
225
75~90
화장품
불건성유
파마자유
아주까리씨
229
81~91
도료, 화장품, 윤활유, 브레이크유
불건성유
낙화생유
땅콩
282
82~109
식용
불건성유

1. 종류 : 유지의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아이오딘값에 따라 건성유, 반건성유, 불건성유로 구분한다.

   ※ 아이오딘값 : 유지 100g에 부가되는 아이오딘의 g수, 불포화도가 증가할 수록 아이오딘 값이 증가하며, 자연발화

                            위험이 있다.

가. 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30 이상인 것

                   이중결합이 많아 불포화도가 높기 때문에 공기 중에 산화되어 액 표면에 피막을 만드는 기름

         ex : 들기름, 동유, 정어리기름, 해바라기유 등

나. 반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00~130인 것

                 공기중에서 건성유 보다 얇은 피막을 만드는 기름

        ex : 참기름, 옥수수기름, 청어기름, 채종유, 면실유(목화씨유), 콩기름, 쌀겨유 등

다. 불건성유 : 아이오딘값이 100 이하인 것

                      공기중에서 피막을 만들지 않는 안정된 기름

        ex : 올리브기름, 피마자유, 야자유, 땅콩기름, 동백유 등

 

2. 위험성

  ① 인화점 이상에서는 가솔린과 같은 인화의 위험이 있다.

  ② 화재 시 액온이 상승하여 대형 화재로 발전하기 때문에 소화가 곤란하다.

  ③ 건성유는 헝겊 또는 종이 등에 스며들어 있는 상태로 방치하면 분자 속의 불포화 결합이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중합반응을 일으켜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다.

3. 저장 및 취급방법

   ① 화기 및 점화원을 멀리할 것

   ② 증기 및 액체의 누설이 없도록 할 것

   ③ 가열시 인화점 이상 가열하지 말 것

4. 소화방법

   ① 안개상태의 분무 주수

   ② 탄산가스(CO2), 분말, 할로겐화합물 등에 의한 질식 소화

#건성유 #반건성유 #불건성유 #올리브유 #청어기름 #채종유 #땅콩기름 #동백유

#들기름 #참기름 #면실유 #아이오딘값 #실린더유 #윤활유 #기어유 #가소제

#전기절연유 #절삭유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