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휘트스톤브리지

▣ 휘트스톤브리지내에 가변저항을 조절하여 검류계(G)의 전류가 "0"일 때 이 브리지회로는 평형이 되었다고 한다.

    휘트스톤브리지의 원리는 지중전선로의 고장점을 검출하거나 미지의 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된다.

 

 [평형조건]

   I1P = I2Q, I1X = I2R

    ∴ PR = QX (마주보는 변의 저항 값의 곱은 서로 같다)

2. 키르히호트의 법칙

 가. KCL 제1법칙 (전류법칙)

  ▣ 임의의 점에 들어 온 전류와 나간 전류의 대수 합은 "0"이다.

 

나. KVL 제2법칙 [ 전압법칙 ]

  ▣ 루프를 형성하는 회로망에서 모든 기전력의 대수합은 전압강하의 대수합과 같다.

   ⊙ 전압강하 = 전압상승 ∑ V = 0

 

 ▣ V1 을 기준으로 할 때 : V1 을 기준으로 각 기전력의 극성을 비교하여 산정한다.

 

 ▣ V2 을 기준으로 할 때 : V2 을 기준으로 각 기전력의 극성을 비교하여 산정한다.

 

 ▣ 전압상승분의 대수합과 전압강하분의 대수합은 같게 된다.

 

  [참고] 키르히호프의 전압 법칙의 이용

① 집중 정수회로에 적용
② 회로소자의 선형 · 비선형에 관계없이 적용
③ 회로소자의 시변 · 시불변성에 적용을 받지 않음

3. 전압과 전류의 측정

 가. 전압과 전류의 측정기기

   ① 전압계 : 회로 및 부하의 전압을 측정하는 계기로 부하에 병렬로 연결

   ② 전류계 : 회로 및 부하의 전류를 측정하는 계기로 부하에 직렬로 연결

 나. 배율기

   ▣ 배율기는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전압계에 직렬로 연결하는 저항을 말한다. 이는 회로에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이 분배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 만약 100[V]의 회로가 있고 전압계의 측정범위가 100[V]이라면 이 전압계로 회로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1000[V]의 회로를 측정범위가 100[V]인 회로를 측정하게 되면 과전압으로 전압계가 타버릴 것이다.

  ▣ 이렇게 측정범위가 낮은 전압계로 높은 전압을 측정할 때 배율기를 사용하게 된다.

 

  ▣ 측정범위가 낮은 전압계로 높은 전압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전압계에 직렬로 배율기 저항을 달아 전압을 배분하면

       된다. 즉 전압계의 내부저항 r​v이 10[Ω] 이라 하면 전압 측정 범위가 100[V] 전압계로 1000[V]을 전압을 측정하려는

       경우 1000[V] 에서 100[V]를 뺀 900[V]의 전압을 배율기에 분담시키면 된다. 따라서 전압은 저항에 비례하여 분담하게

       되므로 배율기는 전압계보다 9배 많은 저항을 달면 된다.

    ※ 직렬 회로의 전압 분배법칙에 따라 전압계와 배율기의 전압을 구해 보자.

 

   ※ 배율기의 저항 : (10-1) rv (전압계 내부저항)

      일반화하면 배율기 저항 : (m-1) × rv (전압계 내부저항)

         ⊙ m배 확대시 배율기 저항 : (m-1) rv

【 일반화 】

  ▣ 배율기 : 전압계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전압계에 직렬로 저항을 연결한다.

                    m배 확대 : (m-1) × rv (전압계 내부 저항)

 

4. 분류기

​   ▣ 분류기는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전류계에 병렬로 연결하는 저항을 말한다. 이는 회로에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전류가 분배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 만약 10[A]의 회로가 있고 전류계의 측정범위가 10[A]이라면 이 전류계로 회로의 전류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100[A]의 회로를 측정범위가 10[A]인 회로를  측정하게 되면 과전류로 전류계가 타버릴 것이다.

  ▣ 이렇게 측정범위가 낮은 전류계로 높은 전류을 측정할 때 분류기를 사용하게 된다.

 

  ▣ 측정범위가 낮은 전류계로 높은 전류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전류계에 병렬로 분류기 저항을 달아 전류를 배분하면

      된다. 즉 전류계의 내부저항 ra이 10[Ω] 이라 하면 전류 측정 범위가 10[A]인 전류계로 100[A]의 전류를 측정하려는

      경우 100[A]에서 10[A]를 뺀 90[A]의 전류를 분류기에 분담시키면 된다. 따라서 전류는 저항에 반비례 하여 분담하게

      되므로 분류기는 전류계보다 1/9배 적은 저항을 달면 된다.

【 일반화 】

  ▣ 분류기 : 전류계의 측정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전류계에 병렬로 저항을 연결한다.

 

【 출제 예상 문제】

1. 부하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연결방법으로 옳은 것은 ? ①

  ① 전압계 : 부하와 병렬, 전류계 : 부하와 직렬

  ② 전압계 : 부하와 병렬, 전류계 : 부하와 병렬

  ③ 전압계 : 부하와 직렬, 전류계 : 부하와 직렬

  ④ 전압계 : 부하와 직렬, 전류계 : 부하와 병렬

2. 그림에서 a, b 회로의 저항은 c,d 회로의 저항의 몇 배인가 ?

 

   ① 1배          ② 2배              ③ 3배                 ④ 4배

[해설]

  ▣ 단자 a,b에서 본 회로의 합성저항 Rab는 휘스톤 브리지 이므로 가운데 부분은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저항이 없게

       되어 저항 2r을 병렬연결한 것과 같게 되고 단자 c,d에서 본 합성저항 Rcd는 저항 2r, r, 2r을 병렬연결한 것이 된다,

3. 그림과 같은 회로망에서 전류를 계산하는데 옳게 표시된 식은 ? ④

4. 직류전압계의 내부저항이 500[Ω], 최대 눈금이 50[V]라면 이 전압계에 3[kΩ]의 배율기를 접속하여 전압을 측정할 때

    최대 측정치는 몇 [V]인가 ?

   ① 250 [V]                 ② 300 [V]                    ③ 350 [V]                    ④ 400 [V]

[해설] 배율기

5. "회로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유입하는 여러 전류의 총합은 0이다"라고 하는 법칙은 ? ④

   ① 쿨룽의 법칙           ② 옴의 법칙            ③ 패러데이 법칙               ④ 키르히호프의 법칙

[해설] 키르히호프의 법칙

  ⊙ 옴의 법칙을 응용한 것으로 복잡한 회로의 전류와 전압 계산에 사용

  ⊙ 회로망의 임의의 접속점에 유입하는 여러 전류의 총합은 "0"이라고 하는 키르히호프의 제1법칙 (전류평형의 법칙)

6. 내부저항이 200[Ω]이며 직류 120[mA] 전류계를 6 [A]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전류계로 사용하고자 한다.

     어떻게 하면 되는가 ? ④

   ① 24 [Ω]의 저항을 전류계와 직렬로 연결한다.

   ② 12[Ω]의 저항을 전류계와 병렬로 연결한다.

   ③ 약 6.24 [Ω]의 저항을 전류계와 직렬로 연결한다.

   ④ 약 6.24 [Ω]의 저항을 전류계와 병렬로 연결한다.

[해설] 분류기

7.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세우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③

   ① 도선의 접속점에서 키르히호프 제1법칙을 적용한다.

   ② 각 폐회로에서 키르히호프 제2법칙을 적용한다.

   ③ 계산 결과 전류가 +로 표시된 것은 처음에 정한 방향과 반대방향임을 나타낸다.

   ④ 각 회로의 전류를 문자로 나타내고 방향을 가정한다.

[해설] 키르히호프 법칙 : 계산결과 전류가 +로 표시된 것은 처음에 정한 방향과 같은 방향임을 의미한다.

8. 다음 그림에서 a, b간의 합성저항은 몇 [Ω] 인가 ? ②

 

   ① 5 [Ω]              ② 7.5 [Ω]               ③ 15 [Ω]                  ④ 30 [Ω]

[해설] 휘트스톤브리지 원리에 의해 가운데 10[Ω]은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15[Ω] 저항 2개를 병렬로 연결한 것과

          같게 된다.

9.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9배로 하려면 내부저항보다 배율기의 저항을 몇 배로 하여야 하는가 ? ①

   ① 8배                  ② 9배                        ③ 1/8배                   ④ 1/9배

[해설] 배율기 배율(측정범위) Rm = (m-1)Rv, Rm = (9-1)Rv = 8Rv

10. 분류기를 사용하여 전류를 측정하는 경우에 전류계의 내부저항이 0.25[Ω], 분류기의 저항이 0.07[Ω] 이라면

      그 배율은 얼마인가 ? ②

    ① 4                   ② 5                          ③ 6                           ④ 7

[해설] 분류기

11. 다음이 설명하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③

회로망 중의 임의의 폐회로 내에서 그 폐회로를 따라 한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생기는
전압강하의 합은 그 폐회로 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전력의 합과 같다.

   ① 노튼의 정리        ② 중첩의 원리        ③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④ 패러데이의 법칙

[해설] 키르히호프의 제2법칙 : 회로망 중의 임의의 폐회로 내에서 그 폐회로를 따라 한 방향으로 일주하면서

          생기는 전압강하의 합은 그 폐회로 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전력의 합과 같다.

반응형
반응형

1. 옴의 법칙 (Ohm's law)

▣ 도체에 흐르는 전류 I (A)는 전압 V[V]에 비례하고 저항 R[Ω]에 반비례한다.

 

여기서, I : 전류[A], V : 전압 [V], R : 저항 [Ω]

 

2. 저항의 접속

가. 직렬접속

 

  ① 직렬접속회로에서는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일정하고 전압은 저항의 크기에 따라 분배된다 : 선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같다.

② 합성저항

    R0 = R1 + R2 [Ω]

    여기서, R0 : 합성저항 [Ω], R1, R2 : 각각의 저항 [Ω]

③ R[Ω]인 저항 n개를 직렬로 접속한 합성저항

    R0 = nR [Ω]

    여기서, R0 : 합성저항[Ω], n : 저항의 개수, R : 1개의 저항 [Ω]

④ 전체 전류

⑤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 (분압전압)

   여기서, V1 : R1에 걸리는 전압 [V], V2 : R2에 걸리는 전압 [V]

   V : 전체 전압 [V], R1, R2 : 각각의 저항 [Ω]

   ∴ 전압은 저항의 크게에 따라 비례분배된다.

나. 병렬접속

 

  ① 저항을 병렬접속하면 전압의 크기는 일정하고 전류는 저항에 크기에 반비례하여

      분배된다. 즉, 단자간 전압은 일정하고 전류는 단자간 저항크게에 반비례한다.

② 합성저항

  ▣ 합성저항은 저항의 합 분의 저항의 곱으로 계산한다. 이는 저항 2개를 병렬연결할 때의 저항의 계산법이다.

 

③ R [Ω]인 저항 n개를 병렬로 접속한 합성저항

    합성저항 R0 = R / n [Ω]

    여기서, R0 : 합성저항 [Ω], n : 저항의 개수, R : 1개의 저항크기 [Ω]

④ 전체 전압

 

  여기서, V : 전압 [V], R : 저항 [Ω], I : 전류 [A]

⑤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

   여기서, I1 : R1에 흐르는 전류[A], I2 : R2에 흐르는 전류 [A], I : 전체전류 [A]

    R1, R2 : 각각의 저항의 크기 [Ω]

다. 저항의 직·병렬 접속

 

  ① 먼저 병렬 합성 저항을 구한다.

  ② 병렬합성저항과 직렬저항의 합을 구한다.

【 출제 예상 문제 】

1. 2[Ω] 저항 10개를 직렬로 연결했을 때는 병렬로 했을 때의 몇 배인가 ? ③

    ① 10         ② 50          ③ 100           ④ 200

[해설]

2. 일정 전압의 직류전원에 저항을 접속하여 전류를 흘릴 때 저항값을 10[%] 감소시키면

     흐르는 전류는 본래 저항에 흐르는 전류에 비해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 ④

    ① 10 감소          ② 10 % 증가          ③ 11% 감소            ④ 11% 증가

[해설]

3. 지멘스(Siemens)는 무엇의 단위인가 ? ③

  ① 자기저항         ② 리액턴스           ③ 콘덕턴스             ④ 도전율

[해설] 콘덕턴스의 단위 : 모우: mho, S (지멘스 : Siemens), Ω-1

4.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R의 값은 ?

 

[해설]

5. 그림에서 a, b 단자에 200[V]를 가할 때 저항 2[Ω]에 흐르는 전류 I1 [A]는 ? ②

 

   ① 40            ② 30               ③ 20            ④ 10

[해설]

 

6. 2개의 저항 R1, R2를 직렬 연결하면 10[Ω], 병렬연결하면 2.4 [Ω] 이 된다. 두 저항값은 각각 몇 [Ω]인가 ? ③

   ① 2와 8       ② 3과 7          ③ 4와 6           ④ 5와 5

[해설]

7. 저항을 설명한 다음 문항 중 틀린 것은 ? ③

   ① 기호는 R, 단위는 Ω 이다.

   ② 옴의 법칙은 R = V/I 이다.

   ③ R의 역수는 서셉턴스이며, 단위는 Ω-1 이다.

   ④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작용을 저항이라 한다.

[해설] 저항의 역수는 컨덕턴스이다.

8. 옴의 법칙에서 전류의 세기는 어느 것에 비례하는가 ? ④

  ① 저항       ② 동선의 길이         ③ 동선의 직경           ④ 전압

[해설] 오음의 법칙 V=IR, I = V/R ∴ 전류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

9. 4[Ω], 5[Ω], 8[Ω]의 저항 3개를 병렬로 접속하고 여기에 40[V]의 전압을 가했을 때 전전류는 몇 [A]인가 ? ④

   ① 5              ② 8                ③ 12                  ④ 23

[해설]

10.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합성저항 Rab는 ? (단, 저항의 단위는 Ω이다)

 

[해설] 저항의 직병렬접속

 

반응형
반응형

1. 물질의 구조

 ▣ 물질의 가장 작은 단위로 원자이다. 물질의 성질을 유지하는 최소단위가 분자이다.

     분자는 다시 원자로 나뉘어 지는데 원자는 물질의 성질과는 달라지고 가장 작은 물질의

     단위이다.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구성되는데 원자핵은 다시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

     된다. 중성자는 전기적 성질을 띠지 않는다.

 

가. 원자

  ① 원자는 중심에 원자핵(양성자+, 중성자로 구성)이 있고 그 주위에 일정한 궤도를 갖는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② 원자핵의 양전기량과 전자의 음전기량은 같아서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을 띤다.

    ※ 물질의 양

 

나. 분자

  ▣ 물질의 성질을 가진 최소단위이다. 분자는 서로 다른 종류 또는 같은 종류의 원자가 결합하여 분자를 구성한다.

 

2. 전기의 발생

가. 자유전자의 이동

  ▣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원자핵의 (+)전하량과 전자의 (-)전하량이 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외부의

       영향으로 빛이나 열 등의 영향으로 전자중 최외각 전자가 이동하게 하게 되는데 이를 자유 전자라고 하고

       한쪽 원자에서 다른 원자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전하량의 불평형이 생기는데 이와같은 현상으로

       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① 중성인 원자에 외부 열, 전기에너지가 가해지면 전자는 원자 궤도 밖으로 이탈한다.

  ② 전자가 이탈한 원자는 (-)가 줄어 전기적으로 (+)가 되고, 이탈한 전자는 다른 원자에 붙어 (-)가 늘어

       전기적으로 (-)가 된다.

  ③ 전기적으로 (+), (-)의 에너지를 가진 것을 전하(electric charge)라고 한다.

  ④ 양성자는 양전하(+)를 더 가졌고, 전자는 음전하(-)를 더 가졌다.

나. 전기력 (쿨룽의 힘)

  ▣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

 

  ① 같은 전하 사이 : 반발력 (척력)

  ② 다른 전하 사이 : 흡인력 (인력)

다. 전하량 (전기량), Q

  ① 단위 : 쿨룽 (Coulomb : [C] )

  ② 양성자, 전자의 전하량

     1[C] = 6.24 × 10^18 e (e : 기본 전하량)

     1[C]은 6.24 × 10^18 개의 전자가 이동해서 만든 전기량

3. 전류, 전압, 기전력, 저항

  ▣ 전기는 물과 비교하면 이해하기 쉽다. 전지는 물탱크로 물의 흐름은 전류, 수압은 전압 수관은 전선으로 비교하면

       개념을 이해하기 쉽다.

 

전기
의 미
전압
수압
흐르게 하는 압력
전위
수위
높이
전류
수량
흐르게 되는 양
기전력, 전원전압
양수 펌프
흐르도록 하는 능력

가. 전류 (electric current)

  ① 정의 : 전선 속에서 전위차에 의해 매초 동안 흐르는 전기의 양

                 기호 I, 단위 [A] (암페어)

      따라서 1초 동안에 1[C]의 전기량이 이동하였다면 전류의 세기는 1[A]가 된다.

  ② 전류의 방향 : 전자의 이동과 반대방향으로 (+)에서 (-)로 흐른다.

 

나. 전압 (Voltage)

  ① 정의 : 두 지점(전극)간의 전기적인 위치에너지 차이 (전위차)

                 기호 V, 단위 [V] (볼트)

  ② 크기

    ㉠ 1[V]는 단위전하 1[C]이 두 점 사이에서 이동하였을 때에 하는 일의 양이 1[J]일 때의 전위차이다.

    ㉡ 어떤 도체에 Q[C]의 전기량이 이동하여 W[J]의 일을 하였다면 이 때의 전압 [V]은 다음과 같다.

다. 기전력 (electromotive force)

  ① 정의 : 전원, 즉, 전류를 연속적으로 흐르게 하는 원동력

                 기호 E, 단위 [V] (볼트)

  ② 크기

라. 저항

  ① 정의 :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모든 성분

                 기호 R, 단위 : [Ω] (옴)

     여기서, R : 저항[Ω], l : 길이 [m], A : 단면적 [㎡], ρ : 고유저항 [Ω·m]

【 출제 예상 문제 】

1. 대전에 의해서 물체가 가지는 전기 또는 전기량을 무엇이라 하는가 ? ②

   ① 전압          ② 전하            ③ 전류             ④ 저항

[해설] 전하 : 대전에 의해서 물체가 띠고 있는 전기

2. 다음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 ②

   ① 양전하를 가진 물질은 음전하를 가진 물질 보다 전위가 높다.

   ② 전류의 흐름방향은 전자의 이동방향과 같다.

   ③ 전위차를 갖는 대전체에 도체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른다.

   ④ 전위차가 클수록 전류가 흐르기 쉽다.

[해설] 전류의 특성 : 전류는 전자의 이동과 반대방향인 (+)에서 (-)로 흐르고, 전자는 음극 (-)에서 양극(+)으로 흐른다.

3. 전자의 전기량[C]은 ? ③

4. 10[A]의 전류가 5분간 도선에 흘렸을 때 도선 단면을 지나는 전기량은 몇 [C]인가 ?

    ① 3,000[C]              ② 50[C]                ③ 2 [C]                  ④ 0.033 [C]

[해설] 전기량[Q] = · t = 10 × 300 = 3,000 [C]

5. 기전력 1[V]의 정의는 ? ①

   ① 1[C]의 전기량이 이동할 때 1[J]의 일을 하는 두 점간의 전위차

   ② 1[A]의 전류가 이동할 때 1[J]의 일을 하는 두 점간의 전위차

   ③ 2[C]의 전기량이 이동할 때 1[J]의 일을 하는 두 점간의 전위차

   ④ 2[A]의 전류가 이동할 때 1[J]의 일을 하는 두 점간의 전위차

[해설] V = W/Q [V], 여기서 V : 전압[V], W : 일[J]

6. 1[㎲] 동안에 1010 개의 전자가 이동할 때 흐르는 전류는 약 몇 [A]인가 ? ②

  ① 1.6 × 10^-6         ② 1.6 × 10-3             ③ 1.6             ④ 16

[해설]

7. 다음중 [C/sec]와 같은 단위는 ? ③

    ① J             ② V              ③ A               ④ W

[해설] 전기량 Q = It 에서 I =Q[C] / t [sec] [A] ∴ 1[A] = 1 [C] / sec

8. 도체의 단면에 150[C]의 전하가 1분 동안 통과하였다면 이 도체에 흐른 전류의 크기는 몇 [A]인가 ?

   ① 2.5 [A]           ② 5.0 [A]             ③ 4,500 [A]             ④ 9,000 [A]

[해설] 전류 I = Q / t = 150 / 60 = 2.5 [A]

9. 10 [V]의 기전력으로 50 [C]의 전기량이 이동할 때 한 일은 몇 [J]인가 ? ③

   ① 250             ② 400                    ③ 500                  ④ 600

[해설] 1[V]는 1[C]이 흐를 때 1[J]의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전압이므로

           W = V × C = 50 × 10 = 500 [J]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