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누전차단기의 정격 감도 전류

 ▣ 그림은 누전차단기를 적용하는 것으로 CVCF 출력단의 접지용 콘덴서 C0 = 6[μF]이고,

     부하측 라인필터의 대지 정전용량 C1 = C2 = 0.1 [μF], 누전차단기 ELB1에서 지락점

     까지의 대지정전용량 CL1 = 0 (ELB1의 출력단에 지락발생 예상), ELB2 에서 부하까지

     의 케이블 대지 정전용량 CL2 =0.2 [μF] 이다. 지락저항은 무시하며, 사용전압은 200[V],

     주파수는 60[Hz]인 경우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누전차단기 정격 감도전류

[조건]

① ELB1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1은 약 822.74[mA] (Ig1 = 2πfCE에 의하여 계산)이다.

② 누전차단기는 지락시의 지락전류의 1/3에 동작 가능하여야 하며, 부동작 전류는 건전

    피더(Feeder)에 흐르는 지락전류의 2배 이상의 것으로 한다.

③ 누전차단기의 시설 구분에 대한 표시 기호는 다음과 같다.

   O :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곳

   △ : 주택에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할 곳

   □ : 주택 구내 또는 도로에 접한 면에 룸에어컨디셔너, 아시스 박스, 진열장, 자동판매기

         전동기를 부품으로 한 기계기구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것

         바람직 하다.

   ※ 사람이 조작하고자 하는 기계기구를 시설한 장소보다 전기적인 조건이 나쁜 장소에서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적 조건이 나쁜 장소에 시설된 것으로 취급한다.

(1) 도면에서 CVCF는 무엇인지 우리말로 그 명칭을 쓰시오.

(2) 건전피더 ELB2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2는 몇 [mA]인가 ?

(3) 누전차단기 RLB1, ELB2 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격감도전류 몇

     [mA] 범위 안의 것을 선정하여야 하는가 ?

(4) 누전차단기의 시설 예에 대한 표의 빈칸에 O, △, □ 를 표현하시오.

 
기계기구의
전로의 시설장소
대지전압
옥내
옥측
옥외
물기가
있는장소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장소
우선내
우선외
150[V] 이하
 
 
 
 
 
 
150[V] 초과
300[V] 이하
 
 
 
 
 
 

 

【문제풀이】

 ▣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의 흐름을 알아 보자.

  < 부하1 라인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누전차단기 지락전류

  ⊙ 지락전류는 지락점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는데 지락전류는 2갈레로 나뉘어 진다.

      하나는 대지를 통하여 C0 를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고 다른 하나는 C2를 통하여

      부하 라인(ELB2)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한다. 따라서 ELB1의 지락전류는 이 두

      지락전류를 합한 전류값이 되고 ELB2의 지락전류는 Ig 하나만 흐르게 된다.

 

  < 부하2 라인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

⊙ 지락전류는 지락점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는데 지락전류는 2갈레로 나뉘어 진다.

     하나는 대지를 통하여 C0 를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하고 다른 하나는 C1를 통하여

     부하 라인(ELB1)을 통하여 전원으로 회귀한다. 따라서 ELB2의 지락전류는 이 두

     지락전류를 합한 전류값이 되고 ELB1의 지락전류는 Ig 하나만 흐르게 된다.

 

[답안작성]

 (1) 도면에서 CVCF는 무엇인지 우리말로 그 명칭을 쓰시오.

     정전압 정주파수 공급장치

 (2) 건전피더 ELB2 에 흐르는 지락전류 Ig2는 몇 [mA]인가 ?

(3) 누전차단기 RLB1, ELB2 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격감도전류 몇

     [mA] 범위 안의 것을 선정하여야 하는가 ?

 

가. 부하1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

 나. 부하2에서 지락사고 발생시 지락전류

 

다. 동작전류 (지락전류의 1/3)

라. 부동작 전류 (건전피더 지락전류의 2배)

 

(4) 누전차단기의 시설 예에 대한 표의 빈칸에 O, △, □ 를 표현하시오.

 
기계기구의
전로의 시설장소
대지전압
옥내
옥측
옥외
물기가
있는장소
건조한
장소
습기가 많은장소
우선내
우선외
150[V] 이하
-
-
-
150[V] 초과
300[V] 이하
o
-
o
o
o

 

<해설>

KEC 211.2.4 누전차단기의 시설

▣ 전원의 자동차단에 의한 저압전로의 보호대책으로 누전차단기를 시설해야 할 대상은

    다음과 같다.

 가.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 5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

     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① 기계·기구를 발전소 · 변전소 · 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

  ② 기계기구를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

  ③ 대지전압이 150[V] 이하인 기계기구를 물기가 있는 곳 이외의 곳에 시설하는 경우

 나. 주택의 인입구 등 이 규정에서 누전차단기 설치를 요구하는 전로

 다. 특고압전로, 고압전로 또는 저압전로와 변압기에 의하여 결합되는 사용전압 400[V]

     초과의 저압전로 또는 발전기에서 공급하는 사용전압 400 [V] 초과의 저압전로 (발전소 및

     변전소와 이에 준하는 곳에 있는 부분의 전로를 제외)

▣ 내선규정 1300 용어의 정의

 ⊙ 우선내 : 옥측의 처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선단에서 연직선에 대하여 45˚ 각도로

    그은 선내의 옥측 부분으로 통상의 강우 상태에서 비를 맞지 않는 부분

 ⊙ 우선외 : 옥측에서 우선내 이외의 부분

우선내, 우선외

반응형
반응형

 

【고압 가공 인입선 보충】

 
인입선

[가공인입선의 높이]

구 분
저 압
고 압
기본
도로
철도
횡단보도교
4 [m] 이상
5 [m] 이상
6.5 [m] 이상
3 [m] 이상
5 [m] 이상
6 [m] 이상
6.5 [m] 이상
3.5 [m] 이상

문제. 고압가공인입선을 다음과 같이 시설하였다. 시설기준으로 맞지 않은 것은 ?

  ① 고압 가공인입선 아래에 위험 표시를 하고 지표상 3.5 [m] 높이에 시설하였다.

  ② 1.5 [m] 떨어진 다른 수용가에 고압 연접 인입선을 시설하였다.

  ③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 케이블을 사용하여 노면상에서 3.5[m] 이상의 높이에

      시설하였다.

  ④ 전선은 지름 5 [㎜]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하였다.

 

1. 터널안 전선로 시설

 

 가. 철도 궤도 또는 자동차 도로의 전용 터널안의 전선로 (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의 기

      준도 같음)

 
터널안 전선로

▣ 저압 전선은 다음 중 하나에 의하여 시설할 것

 ① 전선은 지름 2.6[㎜] 이상 경동선의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규정에 준하는 애자사용배선

     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하며 또한 이들 레일면상 또는 노면상 2.5[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② ① 번 이외의 경우에는 규정에 준하는 합성수지관 배선, 금속관 배선, 가요전선관 배선,

     케이블 배선을 사용하여 시설할 것.

나. 고압의 경우에는 고압옥측전선로의 기준에 준하여 시설할 것. 다만 인장강도 5.26[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4 [㎜] 이상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 또는 특고압 절연전선을 사용

     하여 규정에 준하는 애자 사용 배선에 의해 시설하고 이를 레일 면상 또는 노면상 3[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해야 한다.

 ※ 저압 전선이 다른 저압전선, 약전류전선, 수관, 가스관과 근접하여 지나갈 때 이격거리

     는 다음과 같다.

  ① 애자공사 이격거리 : 이격거리 0.4 [m] (10㎝) 이상

                                나전선일 경우 : 0.3 [m] 이상

 

【 문제풀이 】

문제 1. 철도 또는 자동차 도로의 전용 터널안에 터널내 전선로의 시설방법으로 틀린 것은

     ? ①

  ① 저압 전선은 직경 2 [㎜]의 전선을 사용하였다.

  ② 저압 공사를 케이블을 사용하여 하였다.

  ③ 저압 전선을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궤도면상 또는 노면상 2.5[m] 이상

      의 높이를 유지하였다.

  ④ 저압전선을 가요전선관 배선공사에 의하여 시설하였다.

 

문제 2. 상시 사람이 통행하는 터널안에 교류 220[V]의 배선을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시설할 경우 전선은 노면상 몇 [m] 이상의 높이로 시설해야 하는가 ? 2.5 [m] 이상

 

문제 3.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내 저압 전선로를 애자사용 배선시 노면상 높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 2.5[m] 이상

 

문제 4. 철도궤도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의 전용터널 안에 터널내 고압 전선로를 애자사용

   배선공사에 의하여 시설하였다. 경동선을 사용할 경우 전선의 최소 높이는 ? 3[m] 이상

 

문제 5. 다음중 터널안 전선로의 시설방법으로 옳은 것은 ? ①

  ① 저압 전선은 지름 2.6[㎜]의 경동선인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② 고압전선을 절연전선을 사용하여 합성수지관 배선을 하였다.

  ③ 저압 배선을 애자사용배선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레일면상 또는 노면상 2.2[m] 높이

      에 시설하였다.

  ④ 고압 전선을 금속관 공사로 시설하고 이를 레일면상 또는 노명상 3[m] 높이로 시설하였

      다.

 

문제 6. 터널내 전선로의 시설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① 저압전선은 직경 2[㎜] 경동선을 사용하였다.

  ② 고압전선을 케이블 배선공사로 시설하였다.

  ③ 저압전선을 애자사용배선공사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궤도면상 또는 노면상 2.5 [m]

      높이를 유지하였다.

  ④ 저압전선을 가요전선관 배선에 의해 시설하였다.

 

2. 수상전선로의 시설

 
수상전선로

가. 전선은 전선로의 전압이 저압인 경우 클로로플랜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할 것

나. 고압인 경우 전선은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할 것

다. 수상전선로의 전선은 가공전선로의 전선과 접속하는 부분의 전선은 접속점에서 전선의

     피복안에 물이 스며들지 아니하도록 시설하고 또한 전선은 접속점에 다음의 높이로

     지지물에 견고하게 붙일 것

  ① 접속점이 육상에 있는 경우 : 5[m] 이상

  ② 접속점이 수면상에 있는 경우

     ⊙ 저압 : 수면상 4 [m] 이상

     ⊙ 고압 : 수면상 5 [m] 이상

  ③ 제1항의 수상전선로에는 이와 접속하는 가공전선로에 전용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각극에 시설하고 또한 수상전선로의 사용전압이 고압인 경우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 한다.

 

【 문제풀이 】

문제 1. 다음 중에서 수상전선로를 시설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③

  ① 사용전압이 고압인 경우에 클로로플랜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한다.

  ② 가공전선로의 전선과 접속하는 경우 접속점이 육상에 있는 경우 지표상 4[m] 이상의

      높이의 지지물에 견고하게 붙인다.

  ③ 가공전선로의 전선과 접속하는 경우 접속점이 수면에 있는 경우 고압인 경우 수면상

      5[m] 이상의 높이의 지지물에 견고하게 붙일 것

  ④ 고압 수면 전선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를 대비하여 전선로를 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였다.

 

문제 2. 다음중 수상전선로에 사용하는 전선은 ? ④ 클로로플랜 캡타이어 케이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