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 칭
그림기호
적 요
천장은폐배선

바닥은폐배선

노 출 배 선



(1) 천장 은폐배선 중 천장속의 배선을 구별하는 경우는 천장속의
      배선
를  사용하여도 좋다.
(2) 노출배선 중 바닥면 노출배선을 구별하는 경우는 바닥면 노출
      배선
  를 사용하여도 좋다.
(3) 전선의 종류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기호를 기입한다.
   보기 : 600V 비닐 절연전선 : IV
             600V 2종 비닐 절연전선 : HI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 CV
            600V 비닐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평형) : VVF
            #내화 #케이블 : FP
           #내열전선 : HP
          통신용 PVC 옥내선 : TIV
(4) 절연전선의 굵기 및 전선수는 다음과 같이 기입한다.
      단위가 명백한 경우는 단위를 생략하여도 좋다.
보기 :

    다만, 시방서 등에 전선의 굵기 및 전선수가 명백한 경우는
             기입하지 않아도 좋다.
(5) 케이블의 굵기 및 선심수(또는 쌍수)는 다음과 같이 기입하고 필요에 따라
      전압을 기입한다.
보기 :
다만, 시방서 등에 케이블의 굵기 및 선심수가 명백한 경우는 기입하지
         않아도 좋다.

(6)
#전선 의 접속점은 다음에 따른다.

(7) 배관은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다만, 시방서 등에 명백한 경우는 기입하지 않아도 좋다.

(8)
플로어 덕트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
보기 :
정크션 박스를 표시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정션(Junction)박스 : 관과 관이 만나는 곳
(9) #금속 #덕트 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
(10) 금속선 홈통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
(11) 라이팅 덕트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

필요에 따라 전압, 극수, 용량을 기입한다.
보기 :

(12) #접지선 의 표시는 다음과 같다.
보기 :

(13) 접지선과 배선을 동일관 내에 넣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보기 :

다만, 접지선의 표시 E가 명백한 경우는 기입하지 않아도 좋다.
E 2.0 접지선 굵기 2.0 [㎟]
(14) #케이블 의 #방화구획 #관통부 는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15) 정원등 등에 사용하는 #지중 #매설 배선은 다음과 같다.
(16) 옥외 #배선 은 옥내배선의 그림기호를 준용한다.
(17) 구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실선만으로 표시하여도 좋다.
(18) 건축도의 선과 명확히 구별한다.
상 승

인 하

소 통
(1) 동일층의 상승, 인하는 특별히 표시하지 않는다.
(2) 관, 선 등의 #굵기 를 명기한다. 다만, 명백한 경우는 기입하지 않아도 좋다.
(3) 필요에 따라 공사 종별을 방기한다.
(4) 케이블의 방화구획 관통부는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풀 박스 및
접 속 상 자
(1) 재료의 종류, 치수를 표시한다.
(2) 박스의 대소 및 모양에 따라 표시한다.
    ※ #풀박스 : 전선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박스
VVF용
조인트 박스
단자불이임을 표시하는 경우는 t를 방기한다.
접 지 단 자
의료용인 것은 H를 방기한다.
접 지 센 터
#의료용 인 것은 H를 방기한다.
접 지 극
(1) 접지 종별을 다음과 같이 방기한다.
       제1종:E1, 제2종:E2 , 제3종:E3, 특별 제3종:Es3
보기 :
(2) 필요에 따라 재료의 종류, 크기, 필요한 #접지 저항치 등을 방기 한다.
수 전 점
#인입구 에 이것을 적용하여도 좋다.
점 검 구


반응형
반응형

 

【고압 가공 인입선 보충】

 
인입선

[가공인입선의 높이]

구 분
저 압
고 압
기본
도로
철도
횡단보도교
4 [m] 이상
5 [m] 이상
6.5 [m] 이상
3 [m] 이상
5 [m] 이상
6 [m] 이상
6.5 [m] 이상
3.5 [m] 이상

문제. 고압가공인입선을 다음과 같이 시설하였다. 시설기준으로 맞지 않은 것은 ?

  ① 고압 가공인입선 아래에 위험 표시를 하고 지표상 3.5 [m] 높이에 시설하였다.

  ② 1.5 [m] 떨어진 다른 수용가에 고압 연접 인입선을 시설하였다.

  ③ 횡단보도교 위에 시설하는 경우 케이블을 사용하여 노면상에서 3.5[m] 이상의 높이에

      시설하였다.

  ④ 전선은 지름 5 [㎜]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하였다.

 

1. 터널안 전선로 시설

 

 가. 철도 궤도 또는 자동차 도로의 전용 터널안의 전선로 (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의 기

      준도 같음)

 
터널안 전선로

▣ 저압 전선은 다음 중 하나에 의하여 시설할 것

 ① 전선은 지름 2.6[㎜] 이상 경동선의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규정에 준하는 애자사용배선

     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하며 또한 이들 레일면상 또는 노면상 2.5[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② ① 번 이외의 경우에는 규정에 준하는 합성수지관 배선, 금속관 배선, 가요전선관 배선,

     케이블 배선을 사용하여 시설할 것.

나. 고압의 경우에는 고압옥측전선로의 기준에 준하여 시설할 것. 다만 인장강도 5.26[k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4 [㎜] 이상 경동선의 고압 절연전선 또는 특고압 절연전선을 사용

     하여 규정에 준하는 애자 사용 배선에 의해 시설하고 이를 레일 면상 또는 노면상 3[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해야 한다.

 ※ 저압 전선이 다른 저압전선, 약전류전선, 수관, 가스관과 근접하여 지나갈 때 이격거리

     는 다음과 같다.

  ① 애자공사 이격거리 : 이격거리 0.4 [m] (10㎝) 이상

                                나전선일 경우 : 0.3 [m] 이상

 

【 문제풀이 】

문제 1. 철도 또는 자동차 도로의 전용 터널안에 터널내 전선로의 시설방법으로 틀린 것은

     ? ①

  ① 저압 전선은 직경 2 [㎜]의 전선을 사용하였다.

  ② 저압 공사를 케이블을 사용하여 하였다.

  ③ 저압 전선을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궤도면상 또는 노면상 2.5[m] 이상

      의 높이를 유지하였다.

  ④ 저압전선을 가요전선관 배선공사에 의하여 시설하였다.

 

문제 2. 상시 사람이 통행하는 터널안에 교류 220[V]의 배선을 애자사용공사에 의하여

   시설할 경우 전선은 노면상 몇 [m] 이상의 높이로 시설해야 하는가 ? 2.5 [m] 이상

 

문제 3.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내 저압 전선로를 애자사용 배선시 노면상 높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 2.5[m] 이상

 

문제 4. 철도궤도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의 전용터널 안에 터널내 고압 전선로를 애자사용

   배선공사에 의하여 시설하였다. 경동선을 사용할 경우 전선의 최소 높이는 ? 3[m] 이상

 

문제 5. 다음중 터널안 전선로의 시설방법으로 옳은 것은 ? ①

  ① 저압 전선은 지름 2.6[㎜]의 경동선인 절연전선을 사용하였다.

  ② 고압전선을 절연전선을 사용하여 합성수지관 배선을 하였다.

  ③ 저압 배선을 애자사용배선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레일면상 또는 노면상 2.2[m] 높이

      에 시설하였다.

  ④ 고압 전선을 금속관 공사로 시설하고 이를 레일면상 또는 노명상 3[m] 높이로 시설하였

      다.

 

문제 6. 터널내 전선로의 시설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① 저압전선은 직경 2[㎜] 경동선을 사용하였다.

  ② 고압전선을 케이블 배선공사로 시설하였다.

  ③ 저압전선을 애자사용배선공사에 의하여 시설하고 이를 궤도면상 또는 노면상 2.5 [m]

      높이를 유지하였다.

  ④ 저압전선을 가요전선관 배선에 의해 시설하였다.

 

2. 수상전선로의 시설

 
수상전선로

가. 전선은 전선로의 전압이 저압인 경우 클로로플랜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할 것

나. 고압인 경우 전선은 캡타이어케이블을 사용할 것

다. 수상전선로의 전선은 가공전선로의 전선과 접속하는 부분의 전선은 접속점에서 전선의

     피복안에 물이 스며들지 아니하도록 시설하고 또한 전선은 접속점에 다음의 높이로

     지지물에 견고하게 붙일 것

  ① 접속점이 육상에 있는 경우 : 5[m] 이상

  ② 접속점이 수면상에 있는 경우

     ⊙ 저압 : 수면상 4 [m] 이상

     ⊙ 고압 : 수면상 5 [m] 이상

  ③ 제1항의 수상전선로에는 이와 접속하는 가공전선로에 전용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각극에 시설하고 또한 수상전선로의 사용전압이 고압인 경우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 한다.

 

【 문제풀이 】

문제 1. 다음 중에서 수상전선로를 시설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 ③

  ① 사용전압이 고압인 경우에 클로로플랜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한다.

  ② 가공전선로의 전선과 접속하는 경우 접속점이 육상에 있는 경우 지표상 4[m] 이상의

      높이의 지지물에 견고하게 붙인다.

  ③ 가공전선로의 전선과 접속하는 경우 접속점이 수면에 있는 경우 고압인 경우 수면상

      5[m] 이상의 높이의 지지물에 견고하게 붙일 것

  ④ 고압 수면 전선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를 대비하여 전선로를 수동으로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였다.

 

문제 2. 다음중 수상전선로에 사용하는 전선은 ? ④ 클로로플랜 캡타이어 케이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