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연기 (Smoke)

가. 정의

    ① 가연물 중 완전 연소되지 않은 #고체 또는 액체의 #미립자 가 떠돌아다니는 상태

    ② 연소생성물이 눈에 보이는 것을 연기라고 한다.

나. 수직으로 연기가 이동하는 속도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속도 보다 빠르다.

다. 연기 중 액체 미립자계만 유독성이다.

라. 연기는 대류에 의하여 전파된다.

2. 연기의 이동속도 ★

  ① 수평방향 : 0.5 ~ 1 [m/sec]

  ② 수직방향 : 2~3 [m/sec]

  ③ 계단실 내의 수직이동속도 : 3 ~ 5 [m/sec]

3. 연기의 농도표시법

가. 절대 농도

  ① 중량 농도법

     ▣ 단위체적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의 중량 [kg/㎥], [g/㎤]

  ② 입자 농도법

     ▣ 단위체적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의 개수 [개/㎥]

나. 상대 농도

  ① 감광계수법

     ▣ 빛을 투과하였을 경우 빛의 감쇄에 따른 가시거리의 감소를 측정하는 것

  ② 감광계수와 가시거리 ★

감광계수[m-1]
가시거리 [m]
상 황
0.1
20~30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때의 농도
0.3
5
건물내부에 익숙한 사람이 피난에 지장을 느낄 정도의 농도
0.5
3
어두운 것을 느낄 정도의 농도
1
1~2
거의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농도
10
0.2 ~ 0.5
화재 최성기 때의 농도, 유도등이 보이지 않음
30
-
출화실에서 연기가 분출할 때의 농도

4. 연기를 이동시키는 요인

  ① 팽창력 : 화재실 내 온도상승에 따른 체적의 팽창(샤를의 법칙)으로 압력이 높아져 연기 유동의 원인이 된다.

  ② 부력 : 화재실 내 온도가 상승하므로 상하부의 밀도차 (비중차)가 발생하여 연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③ #연돌 (굴뚝)효과 (Stack effect) : 건물 내의 온도차 (기후조건 등)에 의한 밀도차 (비중차)의 발생은 기류 이동의 원인이

       되며, 고층일 수록 연돌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④ 바람의 효과 : 건축물 외부의 바람이 건축물 내로 유입되어 연기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⑤ 공조설비 : 건축물 내부에 있는 냉·난방용 공기조화설비에 의한 연기의 유동

  ⑥ 피스톤 효과 : 건축물 내부의 승강기가 피스톤과 같이 이동하며 연기의 유동이 발생

5. 연돌( #굴뚝 ) 효과 (Stack effect) ★

  ① 건물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공기의 흐름현상이다.

  ② 굴뚝효과는 고층 건물에서 주로 나타난다.

  ③ 평상시 건물 내의 기류분포를 지배하는 중요 요소이며 화재시 연기의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④ 건물외부의 온도가 내부의 온도 보다 높은 경우 저층부에서는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참고] 연기거동 중 굴뚝효과와 관계 있는 것

   ① 건물 내외의 온도차
   ② 화재실의 온도
   ③ 건물의 높이 (고층건물에서 발생)

6. 제연방법

제연방법
설 명
희석 (Dilution)
외부로 부터 신선한 공기를 대량 불어 넣어 연기의 양을 일정
농도 이하로 낮추는 것
배기 (Exhaust)
건물 내의 압력차에 의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
차단 (Confinement)
연기가 일정한 장소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

【 출제 예상 문제 】

1. 건물화재 시 연기가 건물밖으로 이동하는 주된 요인이 아닌 것은 ? ④

  ① 굴뚝 효과                                              ② 건물 내부의 #공조설비

  ③ 온도상승에 따른 기체의 팽창               ④ 적설량

[연기를 이동시키는 요인]

  ① #팽창력 : 화재실 내 온도상승에 따른 체적의 팽창 (샤를의 법칙)으로 압력이 높아져 연기유동의 원인이 된다.

  ② #부력 : 화재실 내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상하부의 밀도차(비중차)가 발생하여 연기가 상부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③ 연돌(굴뚝) 효과 (Stack effect) : 건물내의 온도차 (기후조건 등)에 의한 밀도차 (비중차)의 발생은 기류이동의 원인이

       되며, 고층일 수록 연돌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 연동효과의 영향 요인 : 실내외의 온도차, 외벽의 기밀성, 층간 공기누설

  ④ 바람의 효과 : 건축물 외부의 바람이 건축물 내로 유입되어 연기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⑤ 공조설비 : 건축물 내부에 있는 냉·난방용 공기조화설비에 의한 연기의 유동

  ⑥ #피스톤 효과 : 건축물 내부의 승강기가 피스톤과 같이 이동하며 연기의 유동이 발생

2. 감광계수 [m-1]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②

  ① 0.5는 거의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이다.            ② 10은 화재 최성기 때의 농도이다.

  ③ 0.5는 가시거리가 20~30 [m] 정도이다.            ④ 10은 연기감지기가 작동하기 직전의 농도이다.

[감광계수]

감광계수[m-1]
가시거리[m]
상 황
0.5
3
어두운 것을 느낄 정도의 농도
10
0.2 ~ 0.5
화재 최성기 때의 농도, 유도등이 보이지 않음

3. 고층건축물에서 연기의 제어 및 차단은 중요한 문제이다. 연기제어의 기본방법이 아닌 것은 ? ④

     ① 희석         ② 차단            ③ 배기               ④ 복사

[제연방법]

제연방법
설 명
희석 (Dilution)
외부로 부터 신선한 공기를 대량 불어 넣어 연기의 양을 일정 농도 이하로 낮추는 것
배기 (Exhaust)
건물 내의 압력차에 의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
차단 (Confinement)
연기가 일정한 장소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

4. 고층건물 내의 연기 거동 중 굴뚝효과 (Stack effect)와 관계가 없는 것은 ? ④

    ① 건물 내외의 온도차                    ② 화재실의 온도

     ③ 건물의 높이                               ④ 층의 면적

[해설] 연돌(굴뚝)효과의 영향요인

  ▣ 건물 내외의 온도차, 화재실의 온도, 건물의 높이 (고층건물에서 발생)

5. 화재시 계단실 내 수직방향의 연기 상승 속도범위는 일반적으로 몇 [m/sec]의 범위에 있는가 ? ③

   ① 0.05 ~ 0.1           ② 0.8 ~ 1.0               ③ 3 ~ 5                   ④ 10 ~ 20

[해설] 연기의 이동속도

  ① 수평방향 : 0.5 ~ 1.0 [m/sec]

  ② 수직방향 : 2 ~ 3 [m/sec]

  ③ 계단실 내의 수직이동속도 : 3 ~ 5 [m/sec]

6. 연기의 농도 표시방법 중 단위체적당 연기입자의 개수를 나타내는 것은 ? ②

  ① 중량농도법          ② 입자농도법            ③ 투과율법               ④ 상대녿도법

[연기의 농도표시법]

   ① 중량농도법 : 단위체적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의 중량

   ② 입자농도법 : 단위체적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의 개수

7. 굴뚝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②

   ① 건물 내·외의 온도차에 따른 공기의 흐름 현상이다.

   ② 굴뚝효과는 고층건물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고 저층건물에서 주로 나타난다.

   ③ 평상시 건물 내의 기류 분포를 지배하는 중요요소이며 화재시 연기의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④ 건물 외부의 온도가 내부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저층부에서는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연돌(굴뚝)효과]

   ① 건물 내 · 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공기의 흐름현상이다.

   ② 굴뚝 효과는 고층건물에서 주로 나타난다.

   ③ 평상시 건물 내의 기류분포를 지배하는 중요 요소이며 화재시 연기의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④ 건물외부의 온도가 내부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저층부에서는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 연돌(굴뚝)효과 (Stack effect)의 개요 및 방지대책】

1. 연돌효과의 정의

  ▣ 연돌효과란 굴뚝으로 연기를 내보내는원리로,고층건물의 최하부층에서 최상층으로향하는 강한기류의 형성을 말한다.

2. 연돌효과의 발생원리 (Mechanism]

  ▣ 연돌효과는 건물 내외부 공기의 상태 (온습도, 공기밀도) 차이로 인하여 실내외 공기간의 압력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건물의 내부와 외부, 건물 내에서 상층부와 하층부 간의 공기흐름이 발생한다.

  ▣ 연돌현상은 실내외 공기밀도 차이가 있는 모든 건물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건물의 층고가 높은 건물에서 연돌효과의

       발현 정도가 커서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 연돌현상은 실내의 온도차이가 현저한 겨울철에 주로 나타나며, 여름철의 경우 겨울철과 반대로 공기흐름이 발생하여

       역연돌 현상이 발생하나 여름철의 경우 겨울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크지 않아 문제 되고 있지 않다.

3. 연돌효과의 주요 영향 요인 및 고려사항

  ① 실내외 온도차           ② 건물의 높이           ③ 외부 풍환경             ④ 건물의 기밀성

  ⑤ 실내구획의 유무       ⑥ 코어의 배치           ⑦ 평면형태 및 공조시스템 등 건축적, 설비적 요인

  ▣ 연돌효과는 실내외 온도차 이외에도 건물의 높이, 외부 풍환경, 건물의 기밀성, 실내 구획의 유무, 코어의 배치, 평면의

       형태 및 공조시스템 등 건축적, 설비적인 요인들에 의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가. 기후적 요인

  ▣ 연돌효과에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실내외 온도차이기 때문에 같은 건물이라고 해도 그 건물이 위치한

        지역의 기후에 따라 연돌현상으로 인한 공기 유동이 달라진다.

  ▣ 외부 풍향 및 풍속 조건에 따라 건물의 벽체에 작용하는 압력이 달라지고, 건물의 공기 유동량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돌효과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외기온도 및 습도, 외부 풍환경과 같은 기후적인 조건의 검토가 필요하다.

나. 건축적 요인

  ▣ 건물의 높이, 실내구획의 유무, 공기 유동 경로의 기밀성,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수직구획과 같은 건물의 건축적 요인에

       의하여 건물의 공기유도의 양상이 달라진다.  건물의 높이와 연돌효과로 인한 공기 유동 및 압력차는 비례하며 또한

       비슷한 높이의 건물이라도 실내 구획의 차이에 따라 건물의 연돌특성은 다르게 나타난다.

다. 설비적 요인

  ▣ 공조시스템에 의해서 실내의 가압 및 감압 여부에 따라 연돌효과로 인한 공기 유동 역전 현상이 관찰되는 만큼 건물의

       설비적 요소가 연돌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4. 연돌효과 (Stack effect)에 따른 문제점

   ① 공기 유출입에 따른 건물내 에너지 손실

   ② 엘리베이터 도어 및 출입문 개폐 불량

   ③ 환기 및 배기의 어려움

   ④ 화재발생시 연기 및 화염의 급속한 확산

가. 침기와 누기로 인한 문제점

  ▣ 연돌효과로 인해 겨울철 건물의 저층부의 온도는 낮아지고, 고층부는 온도가 높아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됨에 따라

       저층 로비 공간의 난방에너지가 증가되고, 상층부에서는 온도 상승 및 오염된 공기가 확산되어 공기질 저하 현상 발생

  ▣ 또한 온도가 높은 공기가 상층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면서 벽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결로수가 결빙되거나 외부면에

      백화현상 발생

나. 엘리베이터 (E/V)와 출입문에서의 문제점

  ▣ 연돌효과로 인한 강한 공기유도(기류)의 영향으로 사무소 건물에서는 로비 출입문, 자동문 및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불량 현상이 나타나며 풍절음으로 인해 사용자의 불쾌감을 초래한다.

다. 환기 및 배기설비에서의 문제점

  ▣ 연돌 효과로 인하여 저층부의 냄새와 지하주차장의 배기가스 등이 확산될 수 있으며 실내의 화장실 및 주방의 배기에

       어려움

라. 화재발생시 문제점

  ▣ 연돌효과에 의한 공기 유동으로 인해 화재 발생시 유독성 연기 및 #화염 이 계단, 엘리베이터, #샤프트, 공조 #덕트

       을 통하여 급속히 확산될 수 있음

5. 연돌효과 (Stack effect) 대책방안

  ① 로비 현관에 #회전문 설치

    ⊙ #로비 현관에 회전문을 설치하여 출입 개폐에 따른 공기유입 최소화

  ② 지하출입구에 방풍실 설치

    ⊙ 지하출입구에 방풍실을 설치하여 출입문에 작용하는 압력을 분담

    ⊙ 출입문 이중 설치로 출입문 개폐에 따른 공기 유입 최소화

  ③ 공기 유동 경로의 기밀성 강화시키는 방안

    ⊙ 외피의 기밀성 강화

    ⊙ #엘리베이터 샤프트 기밀성능 강화

    ⊙ 출입문 기밀 성능 강화

    ⊙ 실내 추가구획 설치

    ⊙ 주차장 #램프 입구 방풍 셔터 설치 등

 

반응형

'소방설비기사 (전기) > 소방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역학 법칙 : 소방원론  (0) 2023.04.15
전열 · 열전달 현상 : 화재론  (2) 2023.04.15
연소 생성물  (2) 2023.04.14
화재의 분류 - 소방학 개론  (2) 2023.04.12
유류화재 - 소방학 개론  (0) 2023.04.12
반응형
 

 

1. 연소생성물

  ▣ 연소 생성물 : 연소가스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포스겐, 황화수소, 아크로레인, 암모니아 등)

    ※ 가연물 + 산소 → #연소생성물 + Q [kcal]

      ⊙ 불완전 연소의 경우 완전 연소에 비해 #농연 과 독성가스가 많이 발생한다.

2. 연소 가스의 발생

※ 화재 초기에는 가연물에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백색 또는 회색의 연기를 발생한다. ↔ 탄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 흑색 연기가 많이 포함된다.

  가. 물체의 #열분해 혹은 연소할 때 발생한다.

  나. 주로 이산화탄소 (CO2), 일산화탄소(CO) 등이 발생한다.

  다. 완전연소 · 불완전연소시 모두 발생한다.

  라. 대부분 유독성이다.

《 연기의 조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 》

   ▣ 가연물의 종류, 산소의 농도, 주위 온도 및 연소 속도, 가연성 가스의 농도

《 발연량을 증가시켜 주는 요소 》

   ▣ 탄소의 함량이 많은 경우, 연소가 어려운 조건

《 연기의 유해성 》

   ▣ 생리적 유해성 : 호흡, 고온, 산소 결핍, 일산화탄소 중독 등 유독가스의 #중독 호흡기의 화상, 입자에 의한 자극

   ▣ 시계적 유해성 :

   【 감광계수 및 상황 설명】 ★

     ◈ 0.1 [cs (㎥)] (가시거리 20 ~ 30 [m])

        ⊙ 희미하게 연기가 감도는 정도의 농도

        ⊙ #연기감지기 작동

        ⊙ 건물구조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이 피난에 지장을 받을 수 있는 정도

     ◈ 0.3 [cs (㎥)] (가시거리 5 [m])

        ⊙ 건물의 구조를 잘 아는 사람이 피난에 지장을 받을 수 있는 농도

     ◈ 0.5 [cs (㎥)] (가시거리 3 [m])

        ⊙ 약간 어두운 정도의 농도

     ◈ 1 [cs (㎥)] (가시거리 3 [m])

        ⊙ 전방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농도

    ◈ 10 [cs (㎥)] (가시거리 수십 [㎝])

        ⊙ #최성기 때 화재층의 연기 농도

        ⊙ 유도등도 보이지 않는 암흑상태의 농도

    ◈ 20 [cs (㎥)] (가시거리 없음)

        ⊙ 출화실에서 연기가 배출될 때의 농도

 ▣ 심리적 #유해성 : 불이 있고 어둡고 나 혼자 있고 패닉 상태

 

  ※ #연기 유도의 요인

    ◈ 저층 건축물 : 열, 대류에 의한 이동, 화재에 의한 압력상승에 의한 이동

    ◈ 고층 건축물 : 온도 상승에 의한 기체의 팽창, 굴뚝 효과, 외부 풍압의 영향 건물내에서 강제적인 공기의 유동

  ※ 연기의 농도 표시

    ◈ 질량 농도, 입자농도, 광학적 농도

3. 연소가스의 종류 및 특성

【 가연물의 구성 원소에 따른 연소 #생성물

   ◈ C : C, CO, CO2

   ◈ H : H2, H2O

   ◈ N : NO, NO2, NO3, (NOx) - 독성가스, 질소산화물

   ◈ P : P2O5

   ◈ S : SO, SO2

   ◈ Cl

       ※ HCl. HCN, H2S, COCl2, NH3

【 각 물질 ( 독성 #가스 )의 허용 #농도

   ◈ 포스겐 (COCl2) : 0.1 PPM

   ◈ 염소 (Cl2) : 1 PPM

   ◈ 염화수소 (HCl) : 5 PPM

   ◈ 시안화수소 (HCN) : 10 PPM

   ◈ 황화수소 (H2S) : 10 PPM

   ◈ 벤젠 (C8H8) : 10 PPM

   ◈ 일산화질소 (NO) : 25 PPM

   ◈ 암모니아 (NH3) : 25 PPM

   ◈ 일산화탄소 (CO) : 50 PPM

   ◈ 이산화탄소 (CO2) : 5,000 PPM

       ※ 독성가스 최고 농도 : 200 PPM

가. 일산화탄소 (CO)

  1) 화재시 흡입된 일산화탄소(CO)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헤모글로빈(Hb)이 #혈액산소 운반작용을 저해하여

      사람을 질식·사망하게 한다.

  2) 목재류의 화재시 인명피해를 가장 많이 주며, 연기로 인한 의식불명 또는 질식을 가져 온다.

  3) 인체의 폐에 큰 자극을 준다.

  4) 산소와의 결합력이 극히 강하여 #질식작용 에 의한 독성을 나타낸다.

  5) 일산화탄소의 영향 ★

    ① 0.2 [%] : 1시간 호흡시 생명에 위험을 준다.

    ② 0.4 [%] : 1시간 내에 사망한다.

    ③ 1 [%] : 2 ~ 3 분 내에 실신한다.

나. 이산화탄소 (CO2)

  1) 연소가스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스 그 자체의 독성은 거의 없으나 다량이 존재할 경우, 사람의

       호흡속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하여 화재가스에 혼합된 유해가스의 혼입을 증가시켜 위험을 가중시키는 가스

  2) 이산화탄소의 영향

   ① 1 [%] : 공중위생상의 상한선이다.

   ② 2 [%] : 수 시간의 흡입으로는 증상이 없다.

   ③ 3 [%] : 호흡수가 증가되기 시작한다.

   ④ 4 [%] : 두부에 압박감이 느껴진다.

   ⑤ 6 [%] : 호흡수가 현저하게 증가한다.

   ⑥ 8 [%] : 호흡이 곤란해진다.

   ⑦ 10 [%] : 2 ~ 3분 동안에 의식을 상실한다.

   ⑧ 20 [%] : 사망한다.

다. 포스겐 (COCl2) ★

   1) 매우 독성이 강한 가스로서 소화제인 사염화탄소 (CCl4)를 화재시에 사용할 때도 발생한다.

   2) Halon 104 가 열분해될 때 발생되는 가스

라. 황화수소 (H2S)

   1) 달걀 썩는 냄새가 나는 특성이 있다.

   2) 유황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불완전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스

   3) 자극성이 있다.

마. 아크로레인 (CH2CHCHO)

   ▣ 독성이 매우 높은 가스로서 석유제품, 유지 등이 연소할 때 생성되는 가스

바. 암모니아 (NH3)

   1) 나무,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등의 질소함유물이 연소할 대 발생하며, 냉동시설의 냉매로 쓰인다.

   2) 눈 · 코 · 폐 등에 매우 자극성이 큰 가연성 가스

【 참고 】

 가. 고체 가연물 연소시 생성물질

   ▣ CO, CO2, SO2, NH3, HCN, HCl

 나. 연소시 시안화수소 (HCN) 발생 물질

   ① 요소     ② 멜라민     ③ 아닐린     ④ 폴리우레탄 (Poly urethane)

 다. 폴리염화비닐(PVC) 의 연소생성물

  ① HCl (염화수소) : #부식성 가스

  ② CO2 (이산화탄소)

  ③ CO (일산화탄소)

 라. 가연성 가스 + 독성가스 ★

 ▣ 황화수소(H2S), 암모니아 (NH3)

【 출제 예상 문제 】

1.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①

   ① 물체가 열분해 또는 연소할 때 발생할 수 있다.

   ② 주로 산소를 발생한다.

   ③ 완전연소 할 때만 발생할 수 있다.

   ④ 대부분 유독성이 없다.

  ※ 연소가스

    ⊙ 물체의 열분해 혹은 연소할 때 발생한다.

    ⊙ 주로 이산화탄소 (CO2) · 일산화탄소 (CO) 등이 발생한다.

    ⊙ 완전연소 · 불완전연소 시에 모두 발생한다.

    ⊙ 대부분 유독성이다.

2. 다음 가스 중 유독성이 커서 화재시 인명피해 위험성이 높은 가스는 ? ③

   ① N2         ② O2          ③ CO            ④ H2

※ 일산화탄소 (CO)

  ① 화재시 흡입된 일산화탄소 (CO)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헤모글로빈 (Hb)이 혈액의 산소운반작용을 저해하여 사람을

       질식 · 사망하게 한다.

  ② 유독성이 커서 화재 시 인명피해 위험성이 높은 가스이다.

3. 가연물질이 열분해 되어 생성된 가스 중 독성이 가장 큰 것은 ? ④

   ① 일산화탄소       ② 염화수소        ③ 이산화탄소         ④ 포스겐가스

  ※ 포스겐 가스 : 매우 독성이 강한 가스로서 소화제인 사염화탄소를 화재시 사용할 때도 발생한다.

 

4. 화재시 탄산가스의 농도로 인한 중독 작용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④

   ① 농도가 1[%] 인 경우 : 공중위생상의 상한선이다.

   ② 농도가 3 [%] 인 경우 : 호흡수가 증가되기 시작한다.

   ③ 농도가 4 [%]인 경우 : 두부에 압박감이 느껴진다.

   ④ 농도가 6 [%]인 경우 : 의식불명 또는 생명을 잃게 된다.

※ 이산화탄소의 영향

   ① 1 % : 공중위생상의 상한선이다.

   ② 2 % : 수 시간의 흡입으로는 증상이 없다.

   ③ 3 % : 호흡수가 증가되기 시작한다.

   ④ 4 % : 두부에 압박감이 느껴진다.

   ⑤ 6 % : 호흡수가 현저하게 증가한다.

   ⑥ 8 % : 호흡이 곤란해진다.

   ⑦ 10 % : 2~3분 동안에 의식을 상실한다.

   ⑧ 20 % : 사망한다.

5.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 가스 중에서 유황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불완전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스는 ?

   ① H2SO4          ② H2S             ③ SO2               ④ PbSO4

   ※ 황화수소 (H2S) : 유황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질의 불완전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스

6.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등이 연소될 때 발생하며, 눈 · 코 · 인후 및 폐에 매우 자극성이 #유독성 가스는 ? ④

   ① CO2            ② SO2             ③ HBr               ④ NH3

#암모니아 (NH3)

  ① 나무,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등의 질소함유물이 연소할 때 발생하며, 냉동시설의 냉매로 쓰인다.

  ② 눈, 코, 폐 등에 매우 자극성이 큰 가연성 가스이다.

7. 일반 고체 가연성 물질이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어느 것인가 ? ④

   ① NH3             ② HCN                ③ HCl                ④ H2SO4

※ 고체 #가연물 연소시 생성물질

  ▣ 일산화탄소 (CO) , 이산화탄소 (CO2), 이산화황 (SO2), 암모니아 (NH3) #시안화수소 (HCN), #염화수소 (HCl)

8. 연소생성물 중 시안화 수소를 발생하는 물질은 ? ②

   ① Poly ethylene        ② Poly urethane         ③ PVC                ④ Poly styrene

※ 연소시 시안화수소 (HCN) 발생 물질

   ▣ 요소, 멜라민, 아닐린, Poly uretane (폴리 우레탄)

9. 폴리염화비닐이 연소할 때 생성되는 연소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④

   ① HCl           ② CO2              ③ CO              ④ SO2

※ 폴리염화비닐 (PVC)의 연소생성물

▣ HCl (염화수소), CO2 (이산화탄소), CO (일산화탄소)

10. 가연성 가스이면서 독성 가스인 것은 ? ④

   ① 질소            ② 수소               ③ 메탄                    ④ #황화수소

※ 가연성 가스 + 독성 가스 : 황화수소 (H2S), 암모니아 (NH3)

반응형

'소방설비기사 (전기) > 소방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열 · 열전달 현상 : 화재론  (2) 2023.04.15
연기 - 화재론  (0) 2023.04.15
화재의 분류 - 소방학 개론  (2) 2023.04.12
유류화재 - 소방학 개론  (0) 2023.04.12
화재 - 소방학 개론  (0) 2023.04.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