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 남자와 두 번 결혼한 여자가 있습니다.

#캐나다 에 살고 있는 23세의 로라 파가넬로는

일하는 동안 머리에 큰 외상을 입어

불과 9개월 전에 있었던 결혼식을

기억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남편 브레이든도 기억하지 못했는데

남편이 사랑한다고 이야기할 때도

무서울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한집에서 살면서

부부가 아닌 룸메이트로 지내기 시작했습니다.

남편은 처음 인연이 되었던 펜팔부터

다시 시작해 2년 동안 아내에게 편지를 쓰기 시작했고

아내가 다시 자신을 사랑해 줄 거라는 믿음으로

기약 없는 기다림과 무조건적인 헌신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그녀는 과거의 결혼생활을 기억하지 못했지만

남편에 대한 마음의 문을 열기 시작했고

다시 커플이 되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남편 은 아내에게

진심을 담은 두 번째 #프러포즈 를 하게 되었고,

처음 #결혼식 을 했던 4주년이 되는 날

두 사람은 다시 한번 결혼식을

하게 되었습니다.

 

 

모름지기 부부는 같은 곳을 바라보며

먼 미래를 향해 여정을 떠나는 배와 같다고 했습니다.

때로는 등대가 되어주고, 돛도 되어주며

그렇게 의지하며 인생의 종착역을 향해

함께 달려가는 것입니다.

#부부 는 곁에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니라

항상 곁에 있고 싶기 때문에..

함께 하는 것입니다.

# 오늘의 #명언

사랑이란 서로 마주 보는 것이 아니라

둘이서 똑같은 방향을 내다보는 것이라고

인생은 우리에게 가르쳐 주었다.

#생텍쥐페리

반응형
반응형
 

 

건강한 가정을 이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부 사랑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부부가 서로 사랑할 때 양가 부모를 공경하게 되고

자녀를 사랑으로 돌볼 여유도 생기기 마련입니다.

그렇다면 부부 사랑을 이루는 열쇠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남편과 아내가 서로의 약점을

보완해 주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남자의 약점은 칭찬에 대한 굶주림입니다.

남자는 자신을 칭찬해 주는 사람을 위해

한평생을 바칠 각오가 되어 있을 만큼

칭찬에 목말라하는데 남편에 대한 아내의 #칭찬

남편의 #신바람 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반면 여자의 약점은 #우울감 입니다.

여자의 마음은 파도처럼 자주 오르내리곤 합니다.

아내의 마음이 가라앉을 때는 이야기를 들어주면서

위로와 격려를 해준다면 가정은 아내의 웃음으로

더욱 밝아질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부부 #사랑#열쇠

한 가지 더 있습니다.

그것은 #자존심 을 접는 것입니다.

설령 #부부싸움 을 해서 서로가 미덥지 않고

화가 나더라도 고운 말을 써야 합니다.

"고마워요", "미안해요", "사랑해요"

이러한 말들은 여러분의 가정에

#축복#씨앗 이 될 것입니다.

 

 

부부는 한 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족한 부분은 채워주고,

넘치는 것은 나눠 갖고,

힘들면 서로 기대고,

기쁘면 같이 웃어주고,

그렇게 살아갑니다.

그래서, 불편한 점 몇 가지쯤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부부 는 그렇게 서로의 반쪽이 돼주면서

평생을 함께 걸어갑니다.

# 오늘의 #명언

행복한 #결혼 생활에서 중요한 것은

서로 얼마나 잘 맞는가보다 다른 점을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가이다.

- 레프 #톨스토이 -

반응형
반응형

 

완벽한 배우자

 

 

결혼을 앞둔 남성이 어떤 여자와 결혼할까 고민했습니다.

그러다 '완벽한 배우자'가 아니라면

불행한 결혼 생활이 될 거라 판단했고

그는 최고의 신부를 찾기 위해

여행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40년이란 시간이 지났지만

그는 여전히 결혼하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한 친구가 그에게 물었습니다.

 

"자네는 그렇게 세상을 다 돌면서 찾아도

완벽한 배우자를 찾지 못했는가?"

 

그러자 남자는 한숨을 푹 쉬며

친구에게 대답했습니다.

 

"사실 딱 한 번 그런 여성을 만났었네.

그런데 그녀는 '완벽한 남성'을 찾고 있었다네.

그래서 결혼이 이뤄지지 못했지."

 

 

 

 

퍼즐처럼 서로의 결핍을 채워가며

공존하는 게 부부입니다.

 

지금의 곁을 지켜주는 배우자를 만난 건

완벽해서가 아닌 마음을 움직이게 한

그만의 장점 때문일 것입니다.

 

세상에는 완벽한 반쪽도,

완벽한 직장도,

완벽한 타인도 없습니다.

 

그러니 너무 고르지 마세요.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시간을 갖고

함께 채워 가면 됩니다.

 

 

# 오늘의 명언

완벽함이란 더 이상 보탤 것이 남아 있지 않을 때가 아니라,

더 이상 뺄 것이 없을 때 완성된다.

- 생텍쥐페리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