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발계획 - 기업체 계획 - 품질화 - 생산
▣ 시스템 라이프 사이클 4단계
① 1단계 : 시스템의 개념 구성과 규격 결정
② 2단계 : 시스템의 설계, 개발
③ 3단계 : 제작, 설치
④ 4단계 : 운용, 유지
▣ 예방 보전 (productive maintenance) 발전 과정
⊙ BM (사후 보전) → PM (예방 보전) → PM (생산 보전) → CM (개량보전)
→ MP (보전 예방) → TPM (종합적 생산보전)
▣ 1920~50년 PM (예방보전), 1954년 미국 GE PM (생산보전)
1957년 CM (개량보전) : 설비자체의 체질개선
1960년 미국 factory : MP (보전예방)
1971년 지프 제창 : TPM (종합적 생산 보전)
생산성 향상을 위한 6대 요소 아닌 것은 ? 측정
설비공학을 분류할 때 AIPE 에서는 설비 기술자의 임무 5가지 아닌 것은 : 고정자산관리
⊙ 설비 배치와 설계, 건설과 설치, 공장의 방재
설비의 분류
㉠ 생산관리 ㉡ 건물 부대설비 및 기타 유틸리티 설비
㉢ 토지, 건물 및 기초 ㉣ 운반 및 수용 기계 / 설비
㉤ 사무용 기기 / 설비
설비의 목적에 따라 생산 설비, 유틸리티 설비, 수송 설비, 관리 설비 등으로
분류하는 이유는 ?
㉠ 설비투자를 합리적으로 할 수 있다.
㉡ 설비 원가, 평가, 통계자료의 파악이 잘 된다.
㉢ 예산화, 예산 통제 및 고정 자산 관리가 편리하다.
설비관리 조직의 분업방식 중 모든 기능을 전문 부분에서 책임지게 하고 그 부분을 다시 하부 기능에 의해 분업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 기능 분업
보전업무에서 실제로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현 설비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설비 설계의 향상 또는 미래의 설비 구매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되는 설비 관리 기능은 ? 기술 기능
설비 프로젝트의 종류
㉠ 합리적 투자 : 설비의 갱신이나 개조에 의한 경비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
㉡ 확장 투자 : 현 제품의 판매량 확대를 위한 프로젝트
㉢ 제품 투자 : 현재 제품에 대한 개량 투자와 신제품 개발 투자로 구분
㉣ 전략적 투자 : 위험 감소 투자와 후생 투자로 구분
▣ 방위적 투자 : 원자재의 양, 질, 비용, 납기 등의 확보가 곤란할 경우 원자재를 자사 생산으로 바꾸어 기업 방위를 도모
하고자 하는 것
▣ 공격적 투자 : 적극적인 기술혁신을 통하여 신제품 개발, 생산이 다른 회사 보다 늦지 않도록 하기 위한 투자
사람, 물건, 설비의 관계를 가장 경제적으로 얻기 위해 제품을 구성하는 각 부품이나 재료의 입하 부터 최종 출하까지의
생산 설비를 계획하는 것은 ? 설비 배치
설비 배치 시 소요 면적 산정법으로 기계 1대의 소요면적을 계산하여 전체 면적을 산출하는 방법은 ? 계산법
공정별(기능별) 배치는 표준화가 어려운 다품종 소량생산에 알맞다.
제품별(라인) 배치는 계획 생산, 시장 생산에 알맞은 배치이다.
총체적 설비 배치는 계획은 공장 입지 선정, 건물 배치 계획, 부서 배치 계획 및 설비 배치 계획 단계로 실시된다.
GT 셀 (group tchnology cell)은 다품종 로트 제품에 알맞다.
컴퓨터를 이용한 설비 배치안을 작성하는 방법 중 기존의 배치안을 개선하는 기법 : CRAFT
설비 동작의 신뢰성은 고유의 신뢰성과 사용 신뢰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사용의 신뢰성에 해당하는 것은 ? 보전 기술
고장률 = 고장 횟수 / 총 가동 시간
설비를 가동시켜야 하는 시간에 대한 실제 가동한 비율 : 시간 가동룰
보전도 : 수리 가능한 체계나 설비가 고장 난 후, 규정된 조건 아래에서 수리될 때 규정 시간내에 수리가 완료될 확률
유용성 : 어느 특정 순간에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확률
유용성은 신뢰성과 보전성을 함께 고려한 광의의 신뢰성 척도 사용된다.
신뢰성 : 어떤 특정 환경과 운전 조건하에서 어느 주어진 시점 동안 명시적 특정 기
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확률
MTTR : mean time to repair 평균 수리 시간
MTBF : mean time between failures 평균 고장 간격
MTBM : mean time between maintenance 평균 보전 시간
MTTF : mean time to first failures 평균 고장 시간
평균수리시간 MTTR = 1 / μ ( μ : 수리율)
가동시간 : 고장, 품목변경에 의한 작업 준비, 금형 교체, 예방 보전 등의 시간을 뺀 실제 설비가 작동된 시간
부하시간 = 조압시간 - 휴지시간
가동시간 = 부하시간 - 정지시간
우발 고장기 : 이 기간 동안은 고장 정지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설비 보전원의 고장 개소의 감지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훈련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거의 일정한 고장률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개선 · 개량이 절대 필요하며,
예비품 관리가 중요하다.
욕조 곡선 (bathtub curve) 상 우발고장기에 발생하는 고장의 원인 : 설비의 혹사, 안전계수 미확보, 예측 보다 낮은 설비
강도
※ 제조 과정의 실수는 초기 고장기간에 발생하는 고장원인이다.
설비 또는 시스템의 고장원인 탐구에 생선뼈 분석 : 특성 요인도 분석
연간비용 = 가동비 + 평균이자 + 상각비
MAPI (machinery allied products institute) 방식 : 구방식은 투자 시기, 신방식은 투자의 우선 순위 결정
설비를 교체하거나 갱신할 목적으로 적합한 투자 대안 평가방법 : 원가 비교법
MAPI : 자본 배분에 관련된 투자 순위 결정이 주제이고, 긴급률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수익률을 구하여 이의 대소에 따라
우선순위를 평가한다.
활동 기준 원가 (ABC : activity based cost) 구성요소 : 활동, 활동원가, 원가유발원인, 자원
제조 간접비의 간접 배부율 : ㉠ 직접 노무시간법 (direct labor hours method)
㉡ 기계 가동 시간 (machine hour rate method)
㉢ 직접 노무비법 (direct labor cost method)
설비나 시스템의 모든 고장 발생 유형, 성능에 끼치는 잠재 영향, 안전에 관한 치명도를 검사하여 해결을 모색하는 방법 :
고장유형, 영향 및 심각도 분석 (FMEA :
FMEA : failure mode, effect and criticality analysis
설비의 보전 방식의 형태에 따른 특징 중 설비 마모 상태에 따라 경제성,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수리 주기를
정하고 그 주기에 수리를 실시하는 것은 ? : 시간 기준 보전
설비의 잠재 열화 현상에 대한 정확한 상태를 예측하기 위하여 직접 설비를 감지하는 방법 : 상태 기준 보전 또는 예지 보전
공장 계획 기능 : 계획 입안, 조정, 결정, 실시
보전 부지 선정 시에 고려할 요소 : 부지 이용률, 에너지 이용률, 비용 요소
설비 보전 시스템 체계도를 구성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할 사항 ? 생산계획
설비의 종류, 설비의 수, 크기, 용량, 설비의 위치 등에 연계된 보전 개념과 보전 작업의 결정 및 정보 연계를 의미하는 설비망으로 설비 계획 · 관리에 대한 명확한 책임 및 권한이 있으며 여러 지역의 동종 설비를 설치하여 보전 능력의 분산을 갖는다. : 시장중심 설비망
보전 수준을 장소에 따라 분류할 때 공장이나 생산 현장에서 주요 보전 업무를 수행하는 보전은 회사 수준 차원의 보전
이다.
보전 작업 표준화의 목적은 보전 작업의 낭비를 제거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전 표준의 종류 : 작업표준, 수리표준, 일상점검 표준
열화 : 자연열화, 재해열화, 사용열화
예방보전 검사제도 흐름
PM 검사 표준 설정 → PM검사계획 → PM 검사 실시 → 수리요구 → 수리검수 → 설비보전 기록
위급경로 또는 주공정 경로 (critical path) : 공사를 완료하는데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경로
공사관리에서 활동시간을 추정시에 베타분포를 따른다는 전제하에 활동시간을 추정한다.
베타 분포는 통계학에서 어떤 시행을 하여 성공이 α 번이고 실패가 β 번 관측된 사건에 대하여 이 시행의 성공 확률이 x일
확률을 모델링한 분포이다.
수리공사의 목적에 따른 분류 중 설비검사를 하지 않은 생산설비의 수리 : 사후 수리 공사
배관 교체, 기타 변경 공사 등 조업상의 요구에 의한 공사 : 개수 공사
예비 공사 : 예비적으로 직장이 전표를 보관하고 있다가 한가할 때 착공한다.
계획공사 : 일정 계획을 수립하여 통제하는 공사로 당 계절에 접수하여 공수 견적을 하고 다음 계절 이후로 넘긴다.
준급 공사 : 당 계절에 착수하는 공사로 전표를 제출할 여유가 있고 여력표에 남기지 않는다
공사기간 단축기법
SAM : siemens approximation method
LP : linear programming
MCX : maintenance cost expediting
수리공사 견적법 : 경험법, 실적 자료법, 보전 자료법
일정계획 수립 기법 : PERT & CPM
공사관리를 위한 PERT 기법에서 공사기간의 평균치
보전 효과 측정을 위한 듀폰사의 보전 효과 : 계획, 작업량, 비용, 생산성
각개 대체 (사후 대체) : 부품이 파손되면 신품과 대체하는 방식
개별 사전 대체 : 일정 기간 만큼 경과 하여도 파손되지 않은 부품만 신품과 대체하는 방식
일제 대체 : 일정 기간 만큼 경과했을 때 모든 부품을 신품과 대체하는 방식
정량발주방식 : 주문점법이라고도 하며 규정 재고량까지 소비하면 일정량 만큼 주문하는 것으로 발주량이 일정하나 발주
시기가 변한다.
상용고 발주 방식 : 최고 재고량을 일정량으로 정해 놓고 사용할 때마다 사용량 만큼을 발주해서, 언제든지 일정량을 유지
하는 방식
계량 단위 : 기본단위, 유도단위, 보조 계량 단위
기체연료의 특징
㉠ 화염의 흑도가 낮고 방사열이 적다.
㉡ 예열에 의한 열효율 상승이 비교적 용이하다.
㉢ 조금 많은 공기의 공급으로 완전 연소가 가능하다.
어느 기간내의 부하의 전력량을 그 기간의 전 시간수로 나눈 것으로 그 기간 내의 부하의 평균치는 무엇인가 ? 평균 부하
최대 부하아 설비 용량과의 비를 말하며 백분률로 표시되는 것은 ? 수요율
부하가 많을 경우에 각 부하전력의 산술합계를 최대 부하로 나눈 것 : 부등률
평균 부하와 최대 부하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 부하율
직접 손실 : 기계의 공회전, 누전, 저능률 설비 사용
간접 손실 : 공정관리 불량, 품질 불량
TPM 목표 (TPM :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 맨(man), 머신(machine), 시스템(system)을 극한 까지 높일 것
⊙ 설비의 성능을 항상 최고의 상태로 유지한다.
⊙ 그 상태를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한다.
㉡ 현장의 체질을 개선할 것 : TPM에서 설비가 변하고, 사람이 변하고, 현장이 변하는 것이 TPM의 목표다.
TPM : 3현 주의 - 현장, 현물, 현실
TPM의 5가지 활동 중 보전이 필요없는 설비를 설계하여 가능한 빨리 설비의 안전활동을 위한 활동은 ? MP설계와 초기
유동관리 체계의 확립
자주보전의 효과적 측정방법 : MTBF(평균가동시간)의 연장, OPL (one point lesson) 작성 현황, 자주 보전 개선 시트의
작성 현황, 기준서 작성 현황
TPM = 생산보전 + 작업자 자주 보전
TPM (종합적 생산 보전) : ⊙ 원인, Input 지향 시스템, 자주 보전 능력 향상, 불량제로, 로스(loss) 측정, 고장 제로 추구,
LCC (life cycle cost)의 경제성 추구
종합 효율 = 시간 가동률 × 성능 가동률
PM 분석의 단어 : '현상을 물리적으로 (phenomena, physical)'에서 P, 매커니즘과 설비 · 사람 · 재료의 관련성 (mechanism
· machine · man · material)'에서 M이란 머리글자를 따서 PM이라고 한다.
종합효율 = 시간가동률 × 성능 가동률 × 양품률
만성 로스의 특징
㉠ 원인은 하나지만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 수없이 많으며, 그 때 마다 바뀐다.
㉡ 복합 원인으로 발생하며, 그 요인의 조합이 그 때 마다 달라진다.
만성로스를 제로화하기 위해서는 PM분석기법이 유효하다.
고장로스 : 돌발적 또는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고장에 의하여 발생, 효율화를 저해하는
최대 요인
일시 정체 로스 대책 : ㉠ 현상을 잘 볼 것 ㉡ 미세한 결함을 시정할 것 ㉢ 최적 조건을 파악할 것
성능가동률 = 속도 가동률 × 실질 가동률
설비 유효 가동률 = 시간 가동률 × 속도 가동률
수리할 수 있는 능력 : 오버홀시 보조할 수 있다, 부품의 수명을 알고 교환할 수 있다.
고장의 원인을 추정하고 긴급 처리를 할 수 있다.
자주 보전활동 7단계
▣ 초기 청소 → 발생원 곤란 개소 대책 → 점검/급유 기준 작성 → 총점검 → 자주점검
→ 자주 보전의 시스템화 → 자주관리의 철저
자주 보전 7단계 중 "점검 수첩에 의한 점검 기능 교육이나 점검하기 쉬운 설비로의 개선" 에 해당하는 단계 : 총점검
자주 보전 제4단계 총점검의 진행방법
㉠ 설비의 기초 교육을 받는다.
㉡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 배운 것을 실천하여 이상을 발견한다.
㉣ '눈으로 보는 관리'를 추진한다.
관리도 : 공정이 정상 상태인지, 이상 상태인지를 판독하기 위한 기법
히스토그램 : 공정에서 취한 계량치 데이터가 여러 개 있을 때 데이터가 어떤 값을 중심으로 어떤 모습으로 산포하고 있는
가를 조사하는데 유용한 그림이다. 그림의 형태, 규정값과의 관계, 평균치와 표준차, 공정 능력 등 많은 정보
를 얻을 수 있다.
파레도도 : 불량품이나 결점, 클레임, 사고 건수 등을 현상이나 원인별로 데이터를 정리하고 수량이 많은 순서로 나열하여
그 크기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
'설비보전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압 및 자동화 : 참고자료 (4) | 2024.02.24 |
---|---|
기계 일반 : 참고자료 (0) | 2024.02.22 |
설비 진단 및 계측 : 참고 자료 (1) | 2024.02.20 |
설비 보전 기사 필기 - 핵심 요약 (0) | 2024.02.19 |
자동화 시스템의 보전 - 오답 노트 (0)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