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순차적 릴레이 코일 ON 방법 (마지막 동작 편솔레노이드)

 ▣ 이 회로도는 가장 기본이 되는 회로도로서 릴레이 코일이 순차적으로 ON되고 마지막에 릴레이 코일이 순차적으로

       OFF되어 초기화 되고 마지막 동작신호가 편솔레노이드로 작동하여 자기유지가 필요없고 전기신호가 OFF된 상태에

       서 스프링에 의해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는 회로도이다.

 

① 시작신호 구성 : 시작신호와 가장 마지막 동작신호 a접점을 직렬로 연결한 다음 이를 자기 유지시킨다.

 

② 첫번째 동작 회로 구성 : 시작신호와 가장 마지막 동작신호 a접점을 직렬로 연결한 다음 이를 자기 유지시킨 다음 마지

     막 릴레이 코일 b접점과 직렬로 연결한 다음 이를 첫번째 릴레이 코일에 연결한다.

  ※ 이것이 첫번째 동작 회로 구성의 공식이다. 이는 외워야 한다.

 

③ 2~4번째 동작 회로 패턴 : 2~4번째 동작 회로구성 패턴은 시작신호를 자기유지한 다음 이를 이전단계 릴레이 코일

     a접점과 직렬로 연결한 다음 릴레이 코일에 연결한다. 패턴이라고 하는 것은 동작이 회로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④ 마지막 릴레이 코일이 동작하면 처음단계 코일 부터 순차적으로 OFF되어 초기화된다.

 

※ 마지막 동작이 편솔레노이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전기신호가 OFF되어도 솔레노이드의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므로

    기계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자기유지가 필요없이 솔레노이드를 OFF시키면 된다.

2. 순차적 릴레이 코일 ON 방법 (마지막 동작 양솔레노이드)

▣ 이 회로 구성은 1번 회로 구성과 마찬가지로 릴레이 코일이 순차적으로 ON되었다가 마지막에 순차적으로 일제히

     OFF되는 것은 같으나 마지막 동작이 양 솔레노이드로 작동하게 되어 기계적 동작이 끝날 때까지 솔레노이드를

     자기유지해 주어야 한다.

 

① 첫번째 동작 회로 구성 : 시작 신호와 마지막 동작신호 a접점을 직렬로 연결한 다음 이를 자기유지 시키고 이 회로를

                                           마지막 릴레이 코일 b접점과 직렬로 연결한 다음 릴레이 코일에 연결시킨다.

 

② 2 ~ 4 동작 회로 패턴 : 시작신호를 자기 유지시킨 다음 이를 이전단계 릴레이 코일 a접점과 직렬로 연결한 다음 릴레이

                                         코일에 연결한다.

  ※ 마지막 릴레이코일 b접점과 이전단계 릴레이 코일 a접점의 역할은 마지막에 일괄 OFF시켜 초기화 하는 것과 다음

       단계 신호를 받을 준비를 하는 역할을 한다.

 

③ 마지막 양솔레노이드 자기 유지 : 2~4번 동작 패턴으로 구성하면 K4가 ON되자 마자 모든 릴레이 코일이 초기화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K4 자기유지를 K3 a접점 아래로 내려 준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모든 동작이

                                  끝나면 K4가 ON상태 이므로 초기동작 K4 b접점이 열려 있어 연속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한

                                  조치로 자기유지회로에 마지막 동작 신호의 b접점을 달아 준다.

 

④ 마지막 동작 신호 b접점을 자기유지 회로에 포함시켜 사이클이 마치면 모든 회로가 OFF되어 초기 상태로 되돌릴 수

     있으나 LS1이 두개가 되어 이는 공유압 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마지막 동작신호 LS1으

      로 릴레이 코일을 설치하여 LS1을 이 릴레이 코일 a,b접점으로 대체하여야 한다.

 

이렇게 양솔레노이드로 마지막 동작을 하게 되면 동작이 끝날 때까지 자기유지를 시켜 주어야 하며 모든 동작이 끝나면 자기유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자기유지 회로에 마지막 동작신호 b접점을 넣어 주어야 하는데 이를 별도의 릴레이를 설치하여 이 릴레이 코일의 a,b접점으로 마지막 동작신호를 대체한다.

3. 순차적 릴레이 코일 ON 방법 (마지막 동작 양솔레노이드) - 2

 

▣ 이 회로 구성은 1번 회로 구성과 마찬가지로 릴레이 코일이 순차적으로 ON되었다가 마지막에 순차적으로 일제히 OFF

     되는 것은 같으나 마지막 동작이 양 솔레노이드로 작동하게 되어 기계적 동작이 끝날 때까지 솔레노이드를 자기유지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이 방법은 별도의 릴레이 코일을 설치하여 순차적으로 OFF시켜 초기화 한다.

 

① 첫번째 동작 회로 구성 : 시작신호를 자기 유지한 다음 마지막 릴레이 코일 b접점과 직렬로 연결하는 다음 릴레이 코일

                                           이 연결한다.

 

② 2 ~ 4 동작 회로 패턴은 시작신호를 자기유지하고 이를 이전 단계 릴레이 코일 a접점과 직렬로 연결한 다음 릴레이 코일

     에 연결한다. 이는 앞전 회로구성과 같다.

 

③ 마지막 릴레이 코일은 솔레노이드 작동을 위한 것이 아니라 회로의 초기화를 위한 것으로 이는 신호를 OFF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자기유지를 할 필요는 없다.

4. 각 단계별 하나의 릴레이 코일을 ON시키는 방법  (일반적으로 2개 양솔레노이드)

 

▣ 이 방법은 동작 단계가 진행되면서 이전 단계의 자기유지를 해제하여 각 단계마다 하나의 릴레이 코일만 여자 (ON)되게

     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양솔레노이드 2개가 설치되는 회로구성이다.

 

① 시작신호 회로 구성 : 시작신호와 마지막 동작신호 a접점 및 마지막 릴레이 코일 b접점을 직렬로 연결한 다음 이를 자기

                                        유지시킨다.

 

② 첫번째 동작 회로 구성 : 시작신호와 마지막 동작신호 a접점 및 마지막 릴레이 코일 b접점과 직렬로 연결한 다음 이를

                                           자기유지시키고 이 회로를 다음 단계 릴레이 코일 b접점과 직렬로 연결한 다음 릴레이 코일에

                                           연결한다.

 

③ 2 ~ 4번째 동작 회로구성 패턴 : 시작신호와 이전단계 릴레이 코일 a접점과 직렬로 연결한 다음 이를 자기유지시키고

          이 회로를 다음 단계 릴레이 코일 b접점과 직렬로 연결한 다음 이를 릴레이 코일에 연결한다.

 

  ※ 이전 단계 코일의 a접점은 시작준비, 다음 단계 코일의 b접점은 자기유지 해제기능을 한다.

 

④ 2~4번 동작 패턴 회로를 구성하면 처음 시작회로 구성에서 K4 a접점이 Open 상태가 되어 동작이 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지막 릴레이 코일 K4 자기 유지 회로에 병렬로 a접점 버튼을 추가하여 K4를 자기 유지하여 첫번째

      동작의 시작준비를 마쳐야 한다. 이 때 PB2의 기능은 첫번째 동작의 시작준비 기능을 한다.

5. 릴레이 코일 하나로 구동하는 방법 (통상 양솔레노이드 2개로 구성)

▣ 이 회로구성은 전원선을 그룹으로 나누어 솔레노이드의 개수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며 실무상으로 많이 사용되지 않으나

     설비보전기사 문제로 종종 출제된다.

 

① 먼저 동작을 그룹으로 나눈다. 그룹내에는 한개의 실린더의 2개 동작을 포함해서는 안된다. 또한 그룹을 나누는

     시작신호와 각 동작을 구분하는 시작신호를 구분한다.

 

 

 

 

 

 

 

 

 

 

 

 

② 그룹을 나눈 후에 각각의 그룹에는 전원선을 따로 구성한다.

 

③ 먼저 시작신호와 함께 첫번째 동작 회로를 구성한 다음 이를 릴레이 코일에 연결하고 이 릴레이 코일로 a, b접점으로

     그룹 전원선을 구분한다.

 

④ 시작신호 회로 구성 : 시작신호와 마지막 동작 신호 a접점을 직렬로 연결한 다음 이를 자기유지 시킨다.

 

⑤ 첫번째 동작 회로 구성 : 시작신호와 마지막 동작신호 a접점을 직렬로 연결한 다음 이를 자기 유지시키고 이 회로를

     그룹 구분 동작신호 b접점과 직렬로 연결한 다음 릴레이 코일에 연결한다.

 

  ※ 이 때 그룹 구분 동작신호는 한개의 릴레이 코일을 2개의 릴레이 코일 역할을 하도독 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의 회로를 정리하면 위 그림과 같다.

#회로설계 #공유압 #설비보전기사 #실기 #작업형 #릴레이코일 #솔레노이드 #릴레이

#접점 #시작신호 #동작코일 #자기유지 #인터록

반응형
반응형

1. 요구사항

  ▣ 지급된 재료 및 시설을 사용하여 아래 작업을 완성하시오.

  ▣ 작품을 제출한 후에는 재작업을 할 수 없음을 유의하여 작업하시오.

가. 유압 기기 배치

  ① 유압 회로도와 같이 유압 기기를 선정하여 고정판에 배치하시오. (단, 유압 기기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수험자가

        임의로 배치하고, 리밋 스위치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설치하시오.)

  ② 유압 호스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및 사용하여 기기를 연결하시오. (단, 유압 호스가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정리하시오.)

  ③ 유압 공급 압력은 4 ± 0.2 MPa로 설정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을 유압유의 누설이 발생화지 않도록 하시오.

나. 유압 회로 설계 및 구성

  ① 전기 회로도 중 오류 부분은 수험자가 정정하여 기본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시오. (단, 릴레이의

       개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지 않도록 작업하시오.)

  ② 응용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변경하시오.

  ③ 전기 배선은 전원의 극성에 따라 +24V는 적색, -0V는 청색 (또는 흑색)의 리드선을 구별하여 사용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투입했을 때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시오.

  ⑤ 지정되지 않은 누름 버튼 스위치는 자동 복귀형 스위치를 사용하시오. (단, 비상정지 스위치 등 해제 동작이 필요한

       스위치는 유지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⑥ 모든 동작은 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재동작이 가능하도록 회로를 구성화시오.

2. 수험자 유의사항

 ※ 다음의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완성하시오.

  ① 시험 시작 전 장비 이상 유무를 확입합니다.

  ② 시험 중 반드시 시험 감독 위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시험 시간 동안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가 없는 한 시험장을 임의

        로 이탈할 수 없습니다.

  ③ 시험에 필요한 기기 이외의 부품이나 장비에 임의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④ 유압 호스의 제거는 공급 압력을 차단한 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⑤ 전기 연결의 합선시 즉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시기 바랍니다.

  ⑥ 액추에이터의 작동 부분에는 전선 및 호스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⑦ 수험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시험 감독위원의 확인을 받아야 하고,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단, 평가 시 전원이 유지된 상태에서 2회 동작 시도하여 동일하게 정상 동작이 되어야 하며, 1회만 동작하고

        2회째 시도 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인정하지 않습니다.)

  ⑧ 기본 제어 동작을 완성하고 반드시 시험감독위원의 평가를 받은 후 응용제어 동작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⑨ 평가 종료 후 작업한 자리의 부품을 정리하여 모든 상태를 초기 상태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⑩ 다음 사항은 실격에 해당하여 채점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 수험자 본인이 수험 도중 시험에 대한 기권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

    ㉡ 실기시험 과정 중 1개 과정이라도 불참한 경우

    ㉢ 시설 · 장비의 조작 또는 재료의 취급이 미숙하여 위해를 일으킬 것으로 시험감독위원 전원이 합의하여 판단한 경우

    ㉣ 시험감독위원의 지시에 불응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시험 감독위원에게 확인 받지 않고 다음 작업을 진행한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중 한 과제라도 응시하지 않은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전기 공기압 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전기 유압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중 하나라도 0점인

         과제가 있는 경우

    ㉧ 작업을 수험자가 직접 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부터 도움을 받아 작업을 할 경우

    ㉨ 시험 중 타인과 대화를 하거나 다른 수험자의 작품을 고의적으로 모방하는 경우

    ㉩ 시험 중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인터넷 및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할 경우

    ㉪ 시험 중 시험감독위원의 지시 없이 시험장을 이탈한 경우

    ㉫ 시험장 물품을 시험감독위원의 허락없이 반출한 경우

    ㉬ 본인의 지참공구 외에 타인의 공구를 빌려서 사용한 경우

    ㉭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

    ㉮ 시험시간 내에 작품을 제출하지 못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공기압 회로도와 기능이 상이한 기기로 구성하거나 기기를 누락하여 구성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이 문제와 일치하지 않는 작품

3. 도면

 

다. 기본 제어 동작

  ① 초기상태에서 PB1 스위치를 ON-OFF 하면 다음 변위단계선도와 같이 동작합니다.

  ② 변위-단계선도

 

라.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누름버튼 스위치를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 누름 버튼 스위치1(PB2)를 1회 ON-OFF하면 기본제어동작이 연속동작 하여야 합니다.

    ㉡ 누름 버튼 스위치2(PB3)를 1회 ON-OFF하면 행정이 완료된 후 정지하여야 합니다.

    ㉢ 타이머를 사용하여 B실린더가 전진완료하면 3초 후에 후진하도록 회로를 구성합니다.

  ② 실린더 A, B의 전진속도를 meter-out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 회로도를 구성합니다.

【 문제 풀이 】

1. 기본 제어 동작

기본 제어 동작의 회로 오류를 확인하기에 앞서 변위 단계 선도에 단계별 동작 상황과 시작신호를 표기하고 제어 회로에는 알기 쉬운 부분인 솔레노이드에 동작 상황을 표기한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압력 조절장치를 조정하여 압력을 4 MPa로 설정한다.

이제 단계별 동작 상황을 파악하기에 앞서 초기 상황을 확인해 보자.

초기 상황은 유압 회로에는 리밋 스위치 LS1↑과 LS3↑이 눌려져 있는데 전기제어회로에는 LS3↑ 이 b접점으로 되어 있다. LS3↑ 를 a접점으로 바꾸어야 한다. 릴레이 코일 K1 ~ K4가 전원선과 a접점으로 연결되어 소자된 상태이며 솔레노이드 밸브 Y1 ~ Y3는 모두 전원선과 a접점으로 연결되어 있어 OFF 상태에 있다.

이제 단계별로 제어 동작을 확인하면서 회로상 오류를 찾아 보도록 하자.

첫번째 단계, 시작 신호 버튼 PB1을 누르면 K2 b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1 이 전원선과 연결되어 여자되고 릴레이 코일 K1이 여자되면 K1 a접점에 의해 자기 유지되고 다음 단계 시작 준비를 하고 솔레노이드 밸브 Y1이 전원선과 연결되어 ON되어 실린더 A가 전진한다. 이 때 양동 솔레노이드 밸브 Y2는 OFF상태에 있으므로 동작에 문제 없다.

두번째 단계, 실린더 A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2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 K1 a접점과

K3 b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2가 여자된다. 릴레이 코일 K2가 여자되면 릴레이 K2 a접점에 의하여 자기유지되고 다음 단계 시작 준비를 하며 솔레노이드 밸브 Y3를 전원선과 연결하여 실린더 B가 전진을 한다. 또한 릴레이 K2 b접점으로 전단계 릴레이 코일 K1의 자기유지를 해제한다. 이상이 없다.

세번째 단계, 실린더 B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4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 K2 a접점과 K4 b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3가 전원선에 연결되어 여자되고 릴레이 코일 K3가 여자되면 릴레이 K3 a접점에 의해 자기유지되고 다음 단계 시작준비를 하며 K3 b접점에 의하여 이전 단계 릴레이 코일 K2를 소자시켜 솔레노이드 밸브 Y3를 OFF시켜 스프링에 의해 밸브가 작동하여 실린더 B가 후진하도록 한다. 그런데 K3 a접점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Y2를 전원선과 연결하여 동시에 ON시키고 있는데 솔레노이드 밸브 Y2의 작동은 다음 단계의 동작이므로 K3 a접점을 K4 a접점으로 바꾸어야 한다.

네번째 단계, 실린더 B가 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3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 K3 a접점은 붙어 있고 리밋 스위치 LS1은 실린더 A가 전진 상태에 있으므로 접점이 떨어져 있어 릴레이 코일 K4가 여자되지 않는다. 리밋 스위치 LS1 ↑은 첫번째 단계의 전원선에 직렬로 연결하여야 하고 리밋 스위치 LS1 ↑ 자리에는 전단계 즉, 릴레이 코일 K4의 자기유지 해제 기능을 하는 K1 b접점으로 바꾸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릴레이 코일 K4가 여자되고 K4가 여자되면 릴레이 K4 a접점으로 자기유지되고 솔레노이드 밸브 Y2를 전원선과 연결하여 ON시켜 실린더 A를 후진시킨다. 이 때 양동 솔레노이드 밸브인 Y1은 OFF상태에 있으므로 작동에 문제가 없다. 또한 릴레이 K4 b접점으로 전단계 릴레이 코일 K3 의 자기유지를 해제한다.

이상의 사항을 전기회로도에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2.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누름버튼 스위치를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 누름 버튼 스위치1(PB2)를 1회 ON-OFF하면 기본제어동작이 연속동작 하여야 합니다.

    ㉡ 누름 버튼 스위치2(PB3)를 1회 ON-OFF하면 행정이 완료된 후 정지하여야 합니다.

    ㉢ 타이머를 사용하여 B실린더가 전진완료하면 3초 후에 후진하도록 회로를 구성합니다.

  ② 실린더 A, B의 전진속도를 meter-out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 회로도를 구성합니다.

[풀이]

 

응용 제어 동작은 먼저 유압회로의 기계적인 동작을 구성하도록 한다.

  ② 실린더 A, B의 전진속도를 meter-out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 회로도를 구성합니다.

를 구성하여 보자.

 

다음으로

  ① 누름버튼 스위치를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 누름 버튼 스위치1(PB2)를 1회 ON-OFF하면 기본제어동작이 연속동작 하여야 합니다.

    ㉡ 누름 버튼 스위치2(PB3)를 1회 ON-OFF하면 행정이 완료된 후 정지하여야 합니다.

    ㉢ 타이머를 사용하여 B실린더가 전진완료하면 3초 후에 후진하도록 회로를 구성합니다.

를 구성하여 보자.

위 응용동작은 2가지 요구사항이다. 하나는 연속동작을 위한 것으로 연속동작은 별도의 릴레이 코일을 설치하여 PB1을 계속 누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PB1와 병렬로 릴레이 접점을 연결하여 자기유지를 시키는 것이고 두번째는 실린더 B가 전진을 완료하면 타이머가 가동하여 3초 후에 릴레이 코일 K2를 소자시켜 실린더 B가 후진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회로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작업시 유의사항]

  ① 리밋 스위치 LS1, LS3은 a접점이다.

  ② 한 방향 유량 제어 밸브의 위치와 방향에 유의한다.

  ③ 타이머는 여자 지연 타이머이다.

#타이머 #리밋스위치 #유량제어밸브 #체크밸브 #여자지연타이머 #연속동작 #자기유지

#솔레노이드 #유압기기 #유압회로 #전기회로 #제어회로 #솔레노이드 #실린더

반응형
반응형

1. 요구사항

  ▣ 지급된 재료 및 시설을 사용하여 아래 작업을 완성하시오.

  ▣ 작품을 제출한 후에는 재작업을 할 수 없음을 유의하여 작업하시오.

가. 유압 기기 배치

  ① 유압 회로도와 같이 유압 기기를 선정하여 고정판에 배치하시오. (단, 유압 기기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수험자가

       임의로 배치하고, 리밋 스위치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설치하시오.)

  ② 유압 호스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및 사용하여 기기를 연결하시오. (단, 유압 호스가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정리하시오.)

  ③ 유압 공급 압력은 4 ± 0.2 MPa로 설정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을 유압유의 누설이 발생화지 않도록 하시오.

나. 유압 회로 설계 및 구성

  ① 전기 회로도 중 오류 부분은 수험자가 정정하여 기본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시오. (단, 릴레이의

       개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지 않도록 작업하시오.)

  ② 응용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변경하시오.

  ③ 전기 배선은 전원의 극성에 따라 +24V는 적색, -0V는 청색 (또는 흑색)의 리드선을 구별하여 사용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투입했을 때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시오.

  ⑤ 지정되지 않은 누름 버튼 스위치는 자동 복귀형 스위치를 사용하시오. (단, 비상정지 스위치 등 해제 동작이 필요한

        스위치는 유지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⑥ 모든 동작은 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재동작이 가능하도록 회로를 구성화시오.

2. 수험자 유의사항

 ※ 다음의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완성하시오.

  ① 시험 시작 전 장비 이상 유무를 확입합니다.

  ② 시험 중 반드시 시험 감독 위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시험 시간 동안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가 없는 한 시험장을 임의

       로 이탈할 수 없습니다.

  ③ 시험에 필요한 기기 이외의 부품이나 장비에 임의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④ 유압 호스의 제거는 공급 압력을 차단한 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⑤ 전기 연결의 합선시 즉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시기 바랍니다.

  ⑥ 액추에이터의 작동 부분에는 전선 및 호스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⑦ 수험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시험 감독위원의 확인을 받아야 하고,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단, 평가 시 전원이 유지된 상태에서 2회 동작 시도하여 동일하게 정상 동작이 되어야 하며, 1회만 동작하고

        2회째 시도 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인정하지 않습니다.)

  ⑧ 기본 제어 동작을 완성하고 반드시 시험감독위원의 평가를 받은 후 응용제어 동작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⑨ 평가 종료 후 작업한 자리의 부품을 정리하여 모든 상태를 초기 상태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⑩ 다음 사항은 실격에 해당하여 채점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 수험자 본인이 수험 도중 시험에 대한 기권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

    ㉡ 실기시험 과정 중 1개 과정이라도 불참한 경우

    ㉢ 시설 · 장비의 조작 또는 재료의 취급이 미숙하여 위해를 일으킬 것으로 시험감독위원 전원이 합의하여 판단한 경우

    ㉣ 시험감독위원의 지시에 불응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시험 감독위원에게 확인 받지 않고 다음 작업을 진행한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중 한 과제라도 응시하지 않은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전기 공기압 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전기 유압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중 하나라도 0점인

         과제가 있는 경우

    ㉧ 작업을 수험자가 직접 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부터 도움을 받아 작업을 할 경우

    ㉨ 시험 중 타인과 대화를 하거나 다른 수험자의 작품을 고의적으로 모방하는 경우

    ㉩ 시험 중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인터넷 및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할 경우

    ㉪ 시험 중 시험감독위원의 지시 없이 시험장을 이탈한 경우

    ㉫ 시험장 물품을 시험감독위원의 허락없이 반출한 경우

    ㉬ 본인의 지참공구 외에 타인의 공구를 빌려서 사용한 경우

    ㉭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

    ㉮ 시험시간 내에 작품을 제출하지 못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공기압 회로도와 기능이 상이한 기기로 구성하거나 기기를 누락하여 구성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이 문제와 일치하지 않는 작품

3. 도면

다. 기본제어동작

  ① 초기상태에서 PB1 스위치를 ON-OFF 하면 다음 변위단계선도와 같이 동작합니다.

  ② 변위-단계선도

 

라.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시작스위치(PB1) 외에 스위치(PB2) 및 비상정지 스위치(PB3)(유지형 스위치 가능)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어합니다.

    ㉠ 후입력 우선회로를 구성하고 실린더 A가 전진 중에 스위치(PB2)를 1회 ON-OFF하면 실린더 A는 즉시 후진하고 실린

         더 B는 정지하여야 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3)를 한번 누르면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야 합니다. (단, 실린더 A는 즉시

         후진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PB3)를 해제하면 기본제어동작이 되어야 합니다.

  ② 실린더 A의 Rod측에 Pilot조작 Check Valve를 이용 Locking회로를 구성하고, 실린더 B의 전진속도를 meter-out 방법

       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회로를 변경하고 전진 속도는 5초가 되도록 조정합니다.

【 문제 풀이 】

1. 기본 제어 동작

기본 제어 동작의 회로 오류를 확인하기에 앞서 변위 단계 선도에 단계별 동작 상황과 시작신호를 표기하고 제어 회로에는 알기 쉬운 부분인 솔레노이드에 동작 상황을 표기한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압력 조절장치를 조정하여 압력을 4 MPa로 설정한다.

이제 단계별 동작 상황을 파악하기에 앞서 초기 상황을 확인해 보자.

초기 상황은 리밋 스위치 LS1↑과 LS3↑이 눌려져 있고 릴레이 코일 K1 ~K5가 전원선과 a접점으로 연결되어 소자된 상태이며 솔레노이드 밸브 Y1 ~ Y3는 모두 전원선과 a접점으로 연결되어 있어 OFF 상태에 있다.

첫번째 단계, 시작 신호 버튼 PB1을 누르면 K5 b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1이 전원선과 연결되어 여자되고 릴레이 코일 K1이 여자되면 릴레이 K1 a접점에 의해 자기 유지되고 다음 단계 시작준비를 하며 K1 a접점은 솔레노이드 밸브 Y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데 K4 b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Y1이 전원선에 연결하여 ON 되며 실린더 A를 전진시키게 된다. 이상이 없다.

두번째 단계, 실린더 A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2를 누르게 되면 전단계에서 시작 준비된 K1 a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2가 여자되며 릴레이 코일 K2가 여자되면 K2 a접점으로 자기 유지되고 다음 단계 시작 준비를 하며 릴레이 K2 a접점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Y2를 전원선과 연결하여 ON시켜 실린더 B를 전진시킨다. 이상이 없다.

세번째 단계, 실린더 B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4를 누르게 되면 전단계에서 시작 준비된 K2 a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3가 여자되며 릴레이 코일 K3가 여자되면 K3 a접점으로 자기 유지되고 다음 단계 시작 준비를 하며 릴레이 K3 a접점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Y3를 전원선과 연결하여 ON시켜 실린더 B를 후진시켜야 하는데 이 때 양동 솔레노이드 밸브인 Y2가 ON되어 있다. 따라서 Y2를 OFF시켜야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Y2의 전원선에 릴레이 K3 b접점을 설치해야 한다.

네번째 단계, 실린더 B가 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3를 누르게 되면 전단계에서 시작 준비된 K3 a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4가 여자되며 릴레이 코일 K4가 여자되면 K4 a접점으로 자기 유지되고 다음 단계 시작 준비를 하며 릴레이 K4 b접점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Y1를 전원선과 차단하여 OFF시켜 실린더 A를 후진시킨다. 이상이 없다.

마지막 단계, 실린더 A가 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1를 누르게 되면 전단계에서 시작 준비된 K4 a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5가 여자되며 릴레이 코일 K5가 여자되면 K5 b접점으로 첫번째 단계 릴레이 코일 K1을 소자시키며 릴레이 코일 K1이 소자되면 순차적으로 릴레이 코일 K2 ~ K5가 소자되어 제어회로가 초기화된다. 이상이 없다.

위 내용을 제어회로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시작스위치(PB1) 외에 스위치(PB2) 및 비상정지 스위치(PB3)(유지형 스위치 가능)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어합니다.

    ㉠ 후입력 우선회로를 구성하고 실린더 A가 전진 중에 스위치(PB2)를 1회 ON-OFF하면 실린더 A는 즉시 후진하고 실린

         더 B는 정지하여야 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3)를 한번 누르면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야 합니다. (단, 실린더 A는 즉시

         후진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PB3)를 해제하면 기본제어동작이 되어야 합니다.

  ② 실린더 A의 Rod측에 Pilot조작 Check Valve를 이용 Locking회로를 구성하고, 실린더 B의 전진속도를 meter-out 방법

        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회로를 변경하고 전진속도는 5초가 되도록 조정합니다.

[풀이]

응용 제어동작은 먼저 유압회로의 기계적인 동작을 먼저 풀이한다.

  ② 실린더 A의 Rod측에 Pilot조작 Check Valve를 이용 Locking회로를 구성하고, 실린더 B의 전진속도를 meter-out 방법

       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회로를 변경하고 전진 속도는 5초가 되도록 조정합니다.

를 구성하여 보자.

다음 으로

  ① 시작스위치(PB1) 외에 스위치(PB2) 및 비상정지 스위치(PB3)(유지형 스위치 가능)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어합니다.

    ㉠ 후입력 우선회로를 구성하고 실린더 A가 전진 중에 스위치(PB2)를 1회 ON-OFF하면 실린더 A는 즉시 후진하고 실린

         더 B는 정지하여야 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3)를 한번 누르면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야 합니다. (단, 실린더 A는 즉시

         후진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PB3)를 해제하면 기본제어동작이 되어야 합니다.

 

에 대한 제어회로를 구성하여 보자.

실린더 A는 편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작동되므로 전원이 차단되면 곧바로 후진을 하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 Y2, Y3는 3위치 양솔레노이드 밸브이므로 전원이 차단되면 실린더는 즉시 정지하고 밸브는 중립의 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후입력 우선회로는 b접점 릴레이 2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어회로에 나타내 보자.

[작업시 유의 사항]

  ① 리밋 스위치 LS1, LS3은 a접점이다.

  ② 한방향 유량 제어 밸브의 위치와 방향에 유의한다.

  ③ T 커넥터는 Y1 솔레노이드 밸브 A 포트에 삽입하는 것이 편리하다.

  ④ PB3 스위치는 자기 유지형, 즉 디텐트 스위치를 사용한다.

#자기유지 #디텐트 #체크밸브 #로킹 #locking #미터아웃 #유압회로 #제어회로 #솔레노이드 #로드 #rod #설비보전기사 #실기 #작업형 #스위치 #실린더

반응형
반응형

1. 요구사항

  ▣ 지급된 재료 및 시설을 사용하여 아래 작업을 완성하시오.

  ▣ 작품을 제출한 후에는 재작업을 할 수 없음을 유의하여 작업하시오.

가. 유압 기기 배치

  ① 유압 회로도와 같이 유압 기기를 선정하여 고정판에 배치하시오. (단, 유압 기기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수험자가

       임의로 배치하고, 리밋 스위치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설치하시오.)

  ② 유압 호스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및 사용하여 기기를 연결하시오. (단, 유압 호스가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정리하시오.)

  ③ 유압 공급 압력은 4 ± 0.2 MPa로 설정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을 유압유의 누설이 발생화지 않도록 하시오.

나. 유압 회로 설계 및 구성

  ① 전기 회로도 중 오류 부분은 수험자가 정정하여 기본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시오. (단, 릴레이의

       개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지 않도록 작업하시오.)

  ② 응용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변경하시오.

  ③ 전기 배선은 전원의 극성에 따라 +24V는 적색, -0V는 청색 (또는 흑색)의 리드선을 구별하여 사용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투입했을 때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시오.

  ⑤ 지정되지 않은 누름 버튼 스위치는 자동 복귀형 스위치를 사용하시오. (단, 비상정지 스위치 등 해제 동작이 필요한

       스위치는 유지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⑥ 모든 동작은 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재동작이 가능하도록 회로를 구성화시오.

2. 수험자 유의사항

 ※ 다음의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완성하시오.

  ① 시험 시작 전 장비 이상 유무를 확입합니다.

  ② 시험 중 반드시 시험 감독 위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시험 시간 동안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가 없는 한 시험장을 임의

       로 이탈할 수 없습니다.

  ③ 시험에 필요한 기기 이외의 부품이나 장비에 임의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④ 유압 호스의 제거는 공급 압력을 차단한 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⑤ 전기 연결의 합선시 즉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시기 바랍니다.

  ⑥ 액추에이터의 작동 부분에는 전선 및 호스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⑦ 수험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시험 감독위원의 확인을 받아야 하고,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단, 평가 시 전원이 유지된 상태에서 2회 동작 시도하여 동일하게 정상 동작이 되어야 하며, 1회만 동작하고

        2회째 시도 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인정하지 않습니다.)

  ⑧ 기본 제어 동작을 완성하고 반드시 시험감독위원의 평가를 받은 후 응용제어 동작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⑨ 평가 종료 후 작업한 자리의 부품을 정리하여 모든 상태를 초기 상태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⑩ 다음 사항은 실격에 해당하여 채점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 수험자 본인이 수험 도중 시험에 대한 기권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

    ㉡ 실기시험 과정 중 1개 과정이라도 불참한 경우

    ㉢ 시설 · 장비의 조작 또는 재료의 취급이 미숙하여 위해를 일으킬 것으로 시험감독위원 전원이 합의하여 판단한 경우

    ㉣ 시험감독위원의 지시에 불응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시험 감독위원에게 확인 받지 않고 다음 작업을 진행한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중 한 과제라도 응시하지 않은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전기 공기압 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전기 유압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중 하나라도 0점인

         과제가 있는 경우

    ㉧ 작업을 수험자가 직접 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부터 도움을 받아 작업을 할 경우

    ㉨ 시험 중 타인과 대화를 하거나 다른 수험자의 작품을 고의적으로 모방하는 경우

    ㉩ 시험 중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인터넷 및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할 경우

    ㉪ 시험 중 시험감독위원의 지시 없이 시험장을 이탈한 경우

    ㉫ 시험장 물품을 시험감독위원의 허락없이 반출한 경우

    ㉬ 본인의 지참공구 외에 타인의 공구를 빌려서 사용한 경우

    ㉭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

    ㉮ 시험시간 내에 작품을 제출하지 못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공기압 회로도와 기능이 상이한 기기로 구성하거나 기기를 누락하여 구성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이 문제와 일치하지 않는 작품

3. 도면

 
 

다. 기본제어동작

  ① 초기상태에서 PB1 스위치를 ON-OFF 하면 다음 변위단계선도와 같이 동작합니다.

  ② 변위-단계선도

 

라. 응용제어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비상정지 스위치(유지형 스위치 가능), 타이머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기존 회로에 타이머를 사용하여 아래 변위단계선도와 같이 동작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한번 누르면(ON)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야 합니다. (단, 실린더 B는

         즉시 후진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해제하면 시스템은 초기화됩니다.

  ② 실린더 A와 B의 전진속도를 meter-in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회로도를 변경 합니다.

【 문제 풀이 】

1. 기본 제어 동작

기본 제어 동작의 회로 오류를 확인하기에 앞서 변위 단계 선도에 단계별 동작 상황과 시작신호를 표기하고 제어 회로에는 알기 쉬운 부분인 솔레노이드에 동작 상황을 표기한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압력 조절장치를 조정하여 압력을 4 MPa로 설정한다.

 

이제 단계별 동작 상황을 파악하기에 앞서 초기 상황을 확인해 보자.

초기 상황은 리밋 스위치 LS1↑과 LS3↑이 눌려져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4, K5가 전원선과 연결되어 여자된 상태이다. 릴레이 코일 K4, K5가 여자되어 K4 a접점과 K5 a접점이 PB1과 직렬로 연결되어 시작 준비가 된 상태이다. 릴레이 코일 K1 ~ K3과 솔레노이드 밸브 Y1 ~ Y3는 모두 전원선과 a접점으로 연결되어 있어 소자된 상태이거나 OFF 상태다.

첫번째 단계, 시작 신호 버튼 PB1을 누르면 K4 a접점, K5 a접점과 K3 b접점은 붙어 있므로 릴레이 코일 K1이 여자되고 릴레이 코일 K1이 여자되면 릴레이 K1 a접점에 의해 자기 유지되고 솔레노이드 밸브 Y1을 전원선에 연결하여 ON시키며 실린더 A를 전진시키게 된다. 이상이 없다.

두번째 단계, 실린더 A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2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 K3 b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2가 전원선에 연결되어 여자되고 릴레이 코일 K2가 여자되면 릴레이 K2 a접점으로 자기 유지되고 솔레노이드 밸브 Y3을 전원선에 연결하여 ON시키며 실린더 B를 전진시키게 된다. 이상이 없다.

세번째 동작, 실린더 B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4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 K2 b접점과 직렬로 릴레이 코일 K3과 전원선을 연결하는데 릴레이 K2 b접점은 릴레이 코일 K2가 여자된 상태이므로 접점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릴레이 코일 K3를 여자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릴레이 K2 b접점을 붙게 해야 하므로 K4 b접점(K5 b접점)으로 바꾸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릴레이 코일 K3가 여자되면 릴레이 K3 a접점으로 자기 유지되고 솔레노이드 밸브 Y2을 전원선에 연결하여 ON시키며 실린더 A를 후진시키게 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 밸브 Y1, Y2는 양솔레노이드 밸브 이므로 K3 b접점으로 릴레이 코일 K1을 소자시켜 솔레노이드 밸브 Y1을 소자시키고 동시에 실린더 b를 후진시켜야 하므로 릴레이 코일 K2를 소자시켜 솔레노이드 밸브 Y3를 OFF시켜 스프링에 의해 밸브를 조작하여 실린더 B가 후진하게 한다.

이상의 내용을 회로도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비상정지 스위치(유지형 스위치 가능), 타이머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기존 회로에 타이머를 사용하여 아래 변위단계선도와 같이 동작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한번 누르면(ON)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야 합니다. (단, 실린더 B는 

         즉시 후진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해제하면 시스템은 초기화됩니다.

  ② 실린더 A와 B의 전진속도를 meter-in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회로도를 변경합니다.

[풀이]

응용제어동작은 먼저 유압회로도의 기계적인 동작을 구성하라고 하였다.

 

② 실린더 A와 B의 전진속도를 meter-in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회로도를 변경합니다.

를 구성하여 보자.

 

다음으로

  ① 비상정지 스위치(유지형 스위치 가능), 타이머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기존 회로에 타이머를 사용하여 아래 변위 단계 선도와 같이 동작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한번 누르면(ON)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야 합니다. (단, 실린더 B는

        즉시 후진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해제하면 시스템은 초기화됩니다.

를 구성하여 보자.

 

위 회로에서 비상정지의 경우 PB2를 누르면 제어회로의 전원이 차단되므로 실린더 A나 B가 정지하게 된다. 그런데 솔레노이드 Y3는 단동 솔레노이드 밸브이므로 정지시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여 실린더 B는 후진을 하게 된다. 그런데 실린더 A의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Y1, Y2는 양동 솔레노이드 밸브이므로 전원이 차단되면 중립의 위치에 있는 상태로 w정지가 되어 실린더 A는 정지상태 그대로 있게 된다. 따라서 비상정지 스위치 PB2를 해제하여 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 Y2를 ON시켜 주어야 한다. 비상전원과 위 회로도에서는 K5 a접접으로 연결하였는데 K6로 연결하여도 문제는 없다. 또한 K1 b접점으로 연결한 것은 양동 솔레노이드 밸브이므로 Y1을 ON 시키는 K1 a접점과 인터록을 위한 조치이다.

 

 

[작업시 유의사항]

 

  ① 리밋 스위치 LS1, LS3 은 a접점이다.

  ② 한방향 유량 제어 밸브의 위치와 방향에 유의한다.

  ③ 타이머는 여자 지연 타이머를 사용한다.

  ④ 타이머 접점 삽입 시 리드선 빠짐에 유의한다.

#리밋스위치 #타이머 #접접 #릴레이코일 #릴레이 #솔레노이드 #유압기기 #유압회로

#제어회로 #전기회로 #설비보전기사 #실기 #작업형 #응용회로

반응형
반응형

 

1. 요구사항

  ▣ 지급된 재료 및 시설을 사용하여 아래 작업을 완성하시오.

  ▣ 작품을 제출한 후에는 재작업을 할 수 없음을 유의하여 작업하시오.

가. 유압 기기 배치

  ① 유압 회로도와 같이 유압 기기를 선정하여 고정판에 배치하시오. (단, 유압 기기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수험자가

       임의로 배치하고, 리밋 스위치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설치하시오.)

  ② 유압 호스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및 사용하여 기기를 연결하시오. (단, 유압 호스가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정리하시오.)

  ③ 유압 공급 압력은 4 ± 0.2 MPa로 설정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을 유압유의 누설이 발생화지 않도록 하시오.

나. 유압 회로 설계 및 구성

  ① 전기 회로도 중 오류 부분은 수험자가 정정하여 기본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시오. (단, 릴레이의

       개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지 않도록 작업하시오.)

  ② 응용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변경하시오.

  ③ 전기 배선은 전원의 극성에 따라 +24V는 적색, -0V는 청색 (또는 흑색)의 리드선을 구별하여 사용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투입했을 때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시오.

  ⑤ 지정되지 않은 누름 버튼 스위치는 자동 복귀형 스위치를 사용하시오. (단, 비상정지 스위치 등 해제 동작이 필요한

       스위치는 유지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⑥ 모든 동작은 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재동작이 가능하도록 회로를 구성화시오.

2. 수험자 유의사항

 ※ 다음의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완성하시오.

  ① 시험 시작 전 장비 이상 유무를 확입합니다.

  ② 시험 중 반드시 시험 감독 위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시험 시간 동안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가 없는 한 시험장을 임의

       로 이탈할 수 없습니다.

  ③ 시험에 필요한 기기 이외의 부품이나 장비에 임의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④ 유압 호스의 제거는 공급 압력을 차단한 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⑤ 전기 연결의 합선시 즉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시기 바랍니다.

  ⑥ 액추에이터의 작동 부분에는 전선 및 호스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⑦ 수험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시험 감독위원의 확인을 받아야 하고,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단, 평가 시 전원이 유지된 상태에서 2회 동작 시도하여 동일하게 정상 동작이 되어야 하며, 1회만 동작하고

       2회째 시도 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인정하지 않습니다.)

  ⑧ 기본 제어 동작을 완성하고 반드시 시험감독위원의 평가를 받은 후 응용제어 동작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⑨ 평가 종료 후 작업한 자리의 부품을 정리하여 모든 상태를 초기 상태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⑩ 다음 사항은 실격에 해당하여 채점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 수험자 본인이 수험 도중 시험에 대한 기권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

    ㉡ 실기시험 과정 중 1개 과정이라도 불참한 경우

    ㉢ 시설 · 장비의 조작 또는 재료의 취급이 미숙하여 위해를 일으킬 것으로 시험감독위원 전원이 합의하여 판단한 경우

    ㉣ 시험감독위원의 지시에 불응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시험 감독위원에게 확인 받지 않고 다음 작업을 진행한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중 한 과제라도 응시하지 않은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전기 공기압 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전기 유압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중 하나라도 0점인

         과제가 있는 경우

    ㉧ 작업을 수험자가 직접 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부터 도움을 받아 작업을 할 경우

    ㉨ 시험 중 타인과 대화를 하거나 다른 수험자의 작품을 고의적으로 모방하는 경우

    ㉩ 시험 중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인터넷 및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할 경우

    ㉪ 시험 중 시험감독위원의 지시 없이 시험장을 이탈한 경우

    ㉫ 시험장 물품을 시험감독위원의 허락없이 반출한 경우

    ㉬ 본인의 지참공구 외에 타인의 공구를 빌려서 사용한 경우

    ㉭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

    ㉮ 시험시간 내에 작품을 제출하지 못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공기압 회로도와 기능이 상이한 기기로 구성하거나 기기를 누락하여 구성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이 문제와 일치하지 않는 작품

3. 도면

 

다. 기본 제어 동작

  ① 초기상태에서 PB2(유지형 스위치 가능)를 ON하면 램프 1이 점등되고, PB2를 해제 (OFF)하면 램프 1이 소등됩니다.

       시작스위치(PB1)를 ON-OFF하면 실린더 A가 전진하고 실린더 A가 전진 완료 후 유압모터 B가 회전합니다.

       PB2를 ON하면 램프 1 점등, 실린더 A 후진, 유압모터 정지가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작동이 완료되면 PB2를 해제

       (OFF)하여 초기상태로 되어야 합니다.

 

라.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비상정지 스위치(유지형 스위치 가능)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3)를 한번 누르면(ON)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야 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가 동작 중일 때는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램프 2가 점등되고, 비상정지 스위치를 해제하면

         램프 2가 소등됩니다.

    ㉢ PB2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초기화합니다.

    ㉣ 시스템이 초기화된 이후에는 기본제어 동작이 되어야 합니다.

  ② 실린더 A의 전진속도와 유압모터 B의 회전속도를 meter-in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 회로도를 변경합니다.

 

【 문제 풀이 】

 

1. 기본 제어 동작

기본 제어 동작의 회로 오류를 확인하기에 앞서 변위 단계 선도에 단계별 동작 상황과 시작신호를 표기하고 제어 회로에는 알기 쉬운 부분인 솔레노이드에 동작 상황을 표기한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압력 조절장치를 조정하여 압력을 4 MPa로 설정한다.

 

이제 단계별 동작 상황을 파악하기에 앞서 초기 상황을 확인해 보자. 초기 상황은 릴레이 코일 K1~ K3과 솔레노이드 밸브 Y1 ~ Y3 이 전원선과 직렬로 릴레이 a접점 또는 누름 버튼 스위치 a접점으로 연결되어 있어 릴레이 코일과 솔레노이드 밸브가 모두 소자되었거나 OFF 상태에 있다. 리밋 스위치 LS1↑ 은 눌려져 있고 LS2는 접점이 떨어져 있다. 맞게 되어

있다.

 

첫번째 요구 동작, PB2 (유지형 스위치 가능)를 ON하면 램프1이 점등되고 PB2를 해제 (OFF)하면 램프 1이 소등되어야 하는데 PB2에는 램프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램프를 릴레이 코일 K2와 병렬로 연결하여야 하며 PB2가 유지형 스위치가 아니고 순시 동작형 버튼 스위치로 표기되어 있다.

 

첫번째 단계, 시작 신호 버튼인 PB1을 누르면 LS1 ↑와 K3 b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1이 전원선과 연결되어 여자되고 K1 a접점에 의해 자기유지되며 솔레노이드 밸브 Y1과 전원선을 K1 a접점으로 연결하여 ON시키고 실린더 A를 전진시킨다. 이상이 없다.

 

두번째 동작, 실린더 A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2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 코일 K3를 여자시켜 K3 a접점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Y3을 ON시켜 모터 B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릴레이 코일과 직렬로 K1 a접점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원선과 연결할 수가 없다.

 

세번째 동작, PB2를 누르면 램프 L1이 점등되고 실린더 A후진, 유압 모터가 정지되어야 한다. 처음 동작 처럼 릴레이 코일 K2와 병렬로 램프 L1이 추가되어야 한다. 세번째 동작 실린더 A 후진과 유압 모터 정지를 동시에 할려면 K2 a접점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Y2를 전원선과 연결하여 ON시켜야 하고 동시에 릴레이 코일 K1과 K2를 소자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첫번째 제어회로 열의 K3 b접점과 세번째 제어열 K1 b접점을 모두 K2 b접점으로 바꾸어야 한다.

 

마지막 동작, PB를 OFF시키면 초기화 된다.

이상의 내용을 회로도에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2.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비상정지 스위치(유지형 스위치 가능)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3)를 한번 누르면(ON)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야 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가 동작 중일 때는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램프 2가 점등되고, 비상정지 스위치를 해제하면 램프 2가

         소등됩니다.

    ㉢ PB2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초기화합니다.

    ㉣ 시스템이 초기화된 이후에는 기본제어 동작이 되어야 합니다.

  ② 실린더 A의 전진속도와 유압모터 B의 회전속도를 meter-in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 회로도를 변경합니다.

 

[풀이]

 

응용 제어 동작은 먼저 유압회로도의 기계적인 동작을 먼저 구성하라고 하였다.

  ② 실린더 A의 전진속도와 유압모터 B의 회전속도를 meter-in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 회로도를 변경합니다.

 

를 먼저 구성하도록 한다. Meter-in 제어밸브를 구성하는 작업이다.

 

다음으로

  ① 비상정지 스위치(유지형 스위치 가능)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3)를 한번 누르면(ON)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야 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가 동작 중일 때는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램프 2가 점등되고, 비상정지 스위치를 해제하면 램프 2가

         소등됩니다.

    ㉢ PB2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초기화합니다.

    ㉣ 시스템이 초기화된 이후에는 기본제어 동작이 되어야 합니다.

 

를 구성하여 보자.

비상정지 회로 구성은 별도의 릴레이 코일을 설치하여 a접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b접점을 이용하여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는 회로이다. 비상정지 스위치를 누르면 즉시 정지하도록 하라고 문제에서 요구하였고 실린더를 후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작업시 유의 사항]

  ① 체크 밸브의 방향에 유의한다.

  ② 리밋 스위치 LS1은 a접점이다.

  ③ PB2와 PB3는 자기 유지형, 즉 디텐트 스위치이다.

  ④ 한방향 유량 제어 밸브의 위치와 방향에 유의한다.

 

#체크밸브 #솔레노이드 #디텐트 #자기유지 #유량제어밸브 #릴리프밸브 #유량계 #유압계 #기본회로도 #응용회로도 #설비보전기사 #작업형 #실기 #제어회로 #유압회로도

 

반응형
반응형

1. 요구사항

  ▣ 지급된 재료 및 시설을 사용하여 아래 작업을 완성하시오.

  ▣ 작품을 제출한 후에는 재작업을 할 수 없음을 유의하여 작업하시오.

가. 유압 기기 배치

  ① 유압 회로도와 같이 유압 기기를 선정하여 고정판에 배치하시오. (단, 유압 기기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수험자가

       임의로 배치하고, 리밋 스위치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설치하시오.)

  ② 유압 호스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및 사용하여 기기를 연결하시오. (단, 유압 호스가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정리하시오.)

  ③ 유압 공급 압력은 4 ± 0.2 MPa로 설정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을 유압유의 누설이 발생화지 않도록 하시오.

나. 유압 회로 설계 및 구성

  ① 전기 회로도 중 오류 부분은 수험자가 정정하여 기본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시오. (단, 릴레이의

       개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지 않도록 작업하시오.)

  ② 응용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변경하시오.

  ③ 전기 배선은 전원의 극성에 따라 +24V는 적색, -0V는 청색 (또는 흑색)의 리드선을 구별하여 사용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투입했을 때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시오.

  ⑤ 지정되지 않은 누름 버튼 스위치는 자동 복귀형 스위치를 사용하시오. (단, 비상정지 스위치 등 해제 동작이 필요한

        스위치는 유지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⑥ 모든 동작은 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재동작이 가능하도록 회로를 구성화시오.

2. 수험자 유의사항

 ※ 다음의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완성하시오.

  ① 시험 시작 전 장비 이상 유무를 확입합니다.

  ② 시험 중 반드시 시험 감독 위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시험 시간 동안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가 없는 한 시험장을 임의

        로 이탈할 수 없습니다.

  ③ 시험에 필요한 기기 이외의 부품이나 장비에 임의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④ 유압 호스의 제거는 공급 압력을 차단한 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⑤ 전기 연결의 합선시 즉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시기 바랍니다.

  ⑥ 액추에이터의 작동 부분에는 전선 및 호스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⑦ 수험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시험 감독위원의 확인을 받아야 하고,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단, 평가 시 전원이 유지된 상태에서 2회 동작 시도하여 동일하게 정상 동작이 되어야 하며, 1회만 동작하고

       2회째 시도 시 정상적으 로 동작하지 않으면 인정하지 않습니다.)

  ⑧ 기본 제어 동작을 완성하고 반드시 시험감독위원의 평가를 받은 후 응용제어 동작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⑨ 평가 종료 후 작업한 자리의 부품을 정리하여 모든 상태를 초기 상태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⑩ 다음 사항은 실격에 해당하여 채점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 수험자 본인이 수험 도중 시험에 대한 기권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

    ㉡ 실기시험 과정 중 1개 과정이라도 불참한 경우

    ㉢ 시설 · 장비의 조작 또는 재료의 취급이 미숙하여 위해를 일으킬 것으로 시험감독위원 전원이 합의하여 판단한 경우

    ㉣ 시험감독위원의 지시에 불응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시험 감독위원에게 확인 받지 않고 다음 작업을 진행한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중 한 과제라도 응시하지 않은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전기 공기압 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전기 유압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중 하나라도 0점인

         과제가 있는 경우

    ㉧ 작업을 수험자가 직접 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부터 도움을 받아 작업을 할 경우

    ㉨ 시험 중 타인과 대화를 하거나 다른 수험자의 작품을 고의적으로 모방하는 경우

    ㉩ 시험 중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인터넷 및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할 경우

    ㉪ 시험 중 시험감독위원의 지시 없이 시험장을 이탈한 경우

    ㉫ 시험장 물품을 시험감독위원의 허락없이 반출한 경우

    ㉬ 본인의 지참공구 외에 타인의 공구를 빌려서 사용한 경우

    ㉭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

    ㉮ 시험시간 내에 작품을 제출하지 못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공기압 회로도와 기능이 상이한 기기로 구성하거나 기기를 누락하여 구성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이 문제와 일치하지 않는 작품

3. 도면

 
 

다. 기본 제어 동작

  ① 초기상태에서 시작 스위치(PB1)를 ON-OFF하면 다음 변위단계선도와 같이 동작합니다.

  ② 변위단계선도

 

라.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비상정지 스위치(유지형 스위치 가능)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한번 누르면(ON) 동작이 즉시 정지 되어야 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해제하면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시작스위치(PB1)를 ON-OFF하면 기본제어 동작이 되어야

         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가 동작 중일 때는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램프가 점등되어야 합니다.

  ② 실린더 A와 실린더 B의 전진속도를 meter-in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 회로도를 변경․조정합니다.

【 문제 풀이 】

1. 기본 제어 동작

기본 제어 동작의 회로 오류를 확인하기에 앞서 변위 단계 선도에 단계별 동작 상황과 시작신호를 표기하고 제어 회로에는 알기 쉬운 부분인 솔레노이드에 동작 상황을 표기한다.

또한 릴리프 밸브의 압력 조절장치를 조정하여 압력을 4 MPa로 설정한다.

 
 

이제 단계별 동작 상황을 파악하기에 앞서 초기 상황을 확인해 보자. 초기 상황은 릴레이 코일 K1~K4과 솔레노이드 밸브 Y1 ~ Y4 가 전원선과 직렬로 릴레이 a접점 또는 누름 버튼 스위치 a접점으로 연결되어 있어 릴레이 코일과 솔레노이드 밸브가 모두 OFF 상태에 있다.

첫번째 단계, 시작 신호 버튼 PB1을 누르면 릴레이 K3 b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전원선과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 코일 K1은 여자된다. 릴레이 코일 K1이 여자되면 K1 a접점에 의해 자기유지되고 동시에 다음 단계 시작준비가 되고 솔레노이드 밸브 Y1을 전원선과 연결하여 ON시킨다. 솔레노이드 밸브 Y1이 ON되면 실린더 A가 전진한다. 첫번째 동작에는 이상이 없다.

두번째 동작, 실린더 A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2를 누르게 되면 릴레이 코일 K2가 전원선에 연결되어 여자되고 릴레이 코일 K2가 여자되면 릴레이 K2 a접점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 Y3가 ON되어 실린더 B가 전진하게 된다. 두번째 동작에도 이상이 없다.

세번째 동작, 실린더 B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4를 누르게 되면 제어회로에는 리밋 스위치 LS3 ↑ b접점이 눌려져 있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유압회로도에서는 떨어져 있다. 무엇인가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리밋 스위치 LS↑ a접점으로 바꾸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릴레이 코일 K3가 전원선과 연결되어 여자되고 K3가 여자되면 K3 a접점으로 자기 유지와 함께 다음 단계 시작 준비를 하게 되고 솔레노이드 밸브 Y2를 ON시켜 실린더 B를 전진시킨다. 동시에 릴레이 K3 b접점에 의해 릴레이 코일 K1, K2를 소자시켜 솔레노이드 밸브 Y1, Y3를 OFF 시켜 양 솔레노이드 밸브의 후진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K3 a접점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Y2를 전원선과 연결하여 ON시키게 되고 실린더 A가 후진을 하게 된다.

네번째 동작, 실린더 A가 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1을 누르게 되면 릴레이 코일 K4가 여자되고 K2가 여자되면 K4 a접점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Y4를 전원선과 연결하여 Y4를 ON시키고 실린더 B를 후진시킨다. 실린더 B가 후진을 하여 LS3을 누르게 되면 접점이 열려 릴레이 코일 K3, K4를 소자 시켜 초기화하게 된다. 이상이 없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비상정지 스위치(유지형 스위치 가능)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한번 누르면(ON) 동작이 즉시 정지 되어야 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해제하면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시작스위치(PB1)를 ON-OFF하면 기본제어 동작이 되어야

         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가 동작 중일 때는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램프가 점등되어야 합니다.

  ② 실린더 A와 실린더 B의 전진속도를 meter-in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 회로도를 변경․조정합니다.

[풀이]

 

응용 제어 동작은 먼저 유압회로의 기계적인 동작을 먼저 구성하라고 하였다.

  ② 실린더 A와 실린더 B의 전진속도를 meter-in 방법에 의해 조정할 수 있게 유압 회로도를 변경·조정합니다.

 

를 구성하여 보자.

실린더 A와 실린더 B의 흡입측에 meter in 교축 밸브를 설치하여 보자.

 

다음으로

  ① 비상정지 스위치(유지형 스위치 가능)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기본제어동작 상태에서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한번 누르면(ON) 동작이 즉시 정지 되어야 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PB2)를 해제하면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시작스위치(PB1)를 ON-OFF하면 기본제어 동작이 되어야

         합니다.

    ㉢ 비상정지 스위치가 동작 중일 때는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램프가 점등되어야 합니다.

 

를 구성하여 보자.

비상정지 회로는 별도의 릴레이 코일을 비상정지 스위치로 전원선에 연결하고 비상 전원에서 a접점으로 연결한다. 비상정지할 때는 각각의 실린더가 후진 상태가 되도록 후진 솔레노이드 밸브를 ON시킨다. 비상 정지될 때에는 점등해야 하므로 램프를 비상 전원선에 b접점으로 연결한다.

 

[작업시 유의 사항]

  ① 리밋 스위치 LS1은 a접점, LS3은 b접점이다.

  ② 응용 회로에서 한방향 유량 제어 밸브를 설치할 때 방향과 위치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이 회로는 미터 인 전진 속도 제어이다.

  ③ 비상 정지 회로에만 제어되는 두 개의 K5 a접점은 반드시 전기 회로도와 같은 수량을 사용해야 한다.

#비상정지 #유량제어밸브 #솔레노이드 #체크밸브 #미터인 #리밋스위치 #유압회로 #유압기기 #전기회로 #제어회로 #설비보전기사

반응형
반응형

1. 요구사항

  ▣ 지급된 재료 및 시설을 사용하여 아래 작업을 완성하시오.

  ▣ 작품을 제출한 후에는 재작업을 할 수 없음을 유의하여 작업하시오.

가. 유압 기기 배치

  ① 유압 회로도와 같이 유압 기기를 선정하여 고정판에 배치하시오. (단, 유압 기기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수험자가

       임의로 배치하고, 리밋 스위치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설치하시오.)

  ② 유압 호스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및 사용하여 기기를 연결하시오. (단, 유압 호스가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정리하시오.)

  ③ 유압 공급 압력은 4 ± 0.2 MPa로 설정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을 유압유의 누설이 발생화지 않도록 하시오.

나. 유압 회로 설계 및 구성

  ① 전기 회로도 중 오류 부분은 수험자가 정정하여 기본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시오. (단, 릴레이의

       개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지 않도록 작업하시오.)

  ② 응용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변경하시오.

  ③ 전기 배선은 전원의 극성에 따라 +24V는 적색, -0V는 청색 (또는 흑색)의 리드선을 구별하여 사용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투입했을 때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시오.

  ⑤ 지정되지 않은 누름 버튼 스위치는 자동 복귀형 스위치를 사용하시오. (단, 비상정지 스위치 등 해제 동작이 필요한

        스위치는 유지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⑥ 모든 동작은 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재동작이 가능하도록 회로를 구성화시오.

2. 수험자 유의사항

 ※ 다음의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완성하시오.

  ① 시험 시작 전 장비 이상 유무를 확입합니다.

  ② 시험 중 반드시 시험 감독 위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시험 시간 동안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가 없는 한 시험장을 임의

       로 이탈할 수 없습니다.

  ③ 시험에 필요한 기기 이외의 부품이나 장비에 임의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④ 유압 호스의 제거는 공급 압력을 차단한 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⑤ 전기 연결의 합선시 즉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시기 바랍니다.

  ⑥ 액추에이터의 작동 부분에는 전선 및 호스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⑦ 수험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시험 감독위원의 확인을 받아야 하고,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단, 평가 시 전원이 유지된 상태에서 2회 동작 시도하여 동일하게 정상 동작이 되어야 하며, 1회만 동작하고

        2회째 시도 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인정하지 않습니다.)

  ⑧ 기본 제어 동작을 완성하고 반드시 시험감독위원의 평가를 받은 후 응용제어 동작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⑨ 평가 종료 후 작업한 자리의 부품을 정리하여 모든 상태를 초기 상태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⑩ 다음 사항은 실격에 해당하여 채점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 수험자 본인이 수험 도중 시험에 대한 기권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

    ㉡ 실기시험 과정 중 1개 과정이라도 불참한 경우

    ㉢ 시설 · 장비의 조작 또는 재료의 취급이 미숙하여 위해를 일으킬 것으로 시험감독위원 전원이 합의하여 판단한 경우

    ㉣ 시험감독위원의 지시에 불응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시험 감독위원에게 확인 받지 않고 다음 작업을 진행한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중 한 과제라도 응시하지 않은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전기 공기압 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전기 유압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중 하나라도 0점인

         과제가 있는 경우

    ㉧ 작업을 수험자가 직접 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부터 도움을 받아 작업을 할 경우

    ㉨ 시험 중 타인과 대화를 하거나 다른 수험자의 작품을 고의적으로 모방하는 경우

    ㉩ 시험 중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인터넷 및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할 경우

    ㉪ 시험 중 시험감독위원의 지시 없이 시험장을 이탈한 경우

    ㉫ 시험장 물품을 시험감독위원의 허락없이 반출한 경우

    ㉬ 본인의 지참공구 외에 타인의 공구를 빌려서 사용한 경우

    ㉭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

    ㉮ 시험시간 내에 작품을 제출하지 못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공기압 회로도와 기능이 상이한 기기로 구성하거나 기기를 누락 하여 구성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이 문제와 일치하지 않는 작품

3. 도면

 
 

다. 기본제어동작

  ① 초기상태에서 시작 스위치(PB1)를 ON-OFF하면 다음 변위 단계 선도와 같이 동작합니다.

  ② 변위단계선도

 

라.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누름버튼 스위치를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 연속동작 스위치(PB2)를 1회 ON-OFF하면 기본제어동작이 연속동작하여야 합니다.

    ㉡ 정지 스위치(PB3)를 1회 ON-OFF하면 해당 행정이 완료된 후 정지하여야 합니다.

  ② 실린더 B의 로드측이 하중에 의하여 종속된 상태로 낙하하지 않도록 카운터밸런스 밸브를 부착하고,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압력은 3 MPa(30 kgf/cm2)로 설정하고, 압력계를 설치하여 확인합니다.

【 문제 풀이 】

1. 기본 제어 동작

기본 제어 동작의 회로 오류를 확인하기에 앞서 변위 단계 선도에 단계별 동작 상황과 시작신호를 표기하고

제어 회로에는 알기 쉬운 부분인 솔레노이드에 동작 상황을 표기한다.

 

 

 

 

 

 

 

 

 

 

 

 

 

 

 

 

 

 

 

 

 

 

 

 

 

 

 

 

 

 

 

 

 

 

이제 단계별 동작 상황을 파악하기에 앞서 초기 상황을 확인해 보자.

초기 상황은 릴레이 코일 K1과 솔레노이드 밸브 Y1, Y3는 전원선과 직렬로 릴레이 또는 누름 버튼 a접점으로 연결되어

있어 릴레이 코일은 소자 또는 OFF 되어 있고 그런데 전기제어 회로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 Y2는 전원선과 릴레이 K1과

눌러져 있는 LS1↑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ON 상태에 있는데 유압 회로에서는 초기 상태에 솔레노이드 밸브 Y3가 ON되어 있는 있는 상태이다. 무엇인가 이상하다. 단계별로 동작을 살펴 보면서 확인해 보자.

첫번째 단계, 시작 신호 버튼 PB1을 누르면 리밋 스위치 LS3 ↑가 눌러져 있고 LS4 b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1이 여자되고 K1 a접점으로 자기 유지하고 솔레노이드 밸브 Y1은 ON되고 Y3는 시작 준비를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Y1이 ON되어 실린더 A가 전진하게 된다. 첫번째 동작은 이상이 없다.

두번째 단계, 실린더 A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2를 누르면

제어회로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 Y3를 ON시키게 되어 있는데

2번째 동작 즉, 실린더 B를 전진시키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 밸브 Y2를 ON 시켜야 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 Y2와 Y3를 바꾸어야 한다.

세번째 동작, 실린더 B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4를 누르게 되면 LS4 b접점으로 릴레이 코일 K1이 소자되는데

K1 이 소자되면 K1 b접점으로 다음 단계 시작준비를 하고

K1 a접점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Y1, Y2를 OFF시키며 실린더 A는 후진을 하게 된다.

세번째 단계는 이상이 없다.

네번째 단계, 실린더 A가 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1을 누르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 Y3가 ON되어 실린더 B가 후진하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 Y2, Y3는 양솔레노이드 밸브이므로 Y2를 OFF시켜야 하는데

이미 K1 a접점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Y2는 OFF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 응용 제어 동작

 ① 누름버튼 스위치를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 연속동작 스위치(PB2)를 1회 ON-OFF하면 기본제어동작이 연속동작하여야 합니다.

   ㉡ 정지 스위치(PB3)를 1회 ON-OFF하면 해당 행정이 완료된 후 정지하여야 합니다.

 ② 실린더 B의 로드측이 하중에 의하여 종속된 상태로 낙하하지 않도록 카운터밸런스

밸브를 부착하고,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압력은 3 MPa(30 kgf/cm2)로 설정하고, 압력계를 설치하여 확인합니다.

 

[풀이]

응용 제어 동작은 유압 회로도의 기계적인 동작을 먼저 풀으라고 하였다.

  ② 실린더 B의 로드측이 하중에 의하여 종속된 상태로 낙하하지 않도록 카운터밸런스 밸브를 부착하고, 카운터밸런스

       밸브의 압력은 3 MPa(30 kgf/cm2)로 설정하고,  압력계를 설치하여 확인합니다.

 

의 동작을 구성하여 보자.

실린더 B의 전진시에 배기측에 카운터 밸런스 밸브를 설치하고 압력을 3MPa로 맞추는 회로이다.

 

다음으로

 ① 누름버튼 스위치를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 연속동작 스위치(PB2)를 1회 ON-OFF하면 기본제어동작이 연속동작하여야 합니다.

   ㉡ 정지 스위치(PB3)를 1회 ON-OFF하면 해당 행정이 완료된 후 정지하여야 합니다.

를 풀어 보도록 하자.

 

이는 별도의 푸쉬 버튼 스위치를 설치하여 PB1을 계속 누르는 것과 같은 효과 즉, PB1을 자기 유지 시키라는 것이고

PB3 b접점을 설치하여 전원을 차단하라는 주문이다.

따라서 PB2 a접점과 PB 3 b접점을 별로듸 릴레이 코일 K2와 직렬로 연결하고 PB1와

PB2를 자기 유지시키기 위해 K2 a접점을 병렬로 연결한다.

 

 

 

 

 

 

 

 

 

 

 

 

 

 

 

 

 

 

 

 

 

 

 

 

 

 

 

 

 

 

 

 

 

 

[작업시 유의 사항]

 ① 리밋 스위치 LS1과 LS2, LS3은 a접점이고, LS4는 b접점이다.

 ② 응용 회로에서 카운터 밸런스 밸브나 릴리프 밸브는 미리 압력을 기본 작업 전 설정한 후 분리하여 테이블에 놓고,

      릴리프 밸브의 호스를 연결하여 4 MPa의 압력을 설정하는 것이 시간적으로 유리하다.

#릴리프밸브 #카운터밸런스 #압력스위치 #압력게이지 #체크밸브 #제어회로 #전기회로

#유압회로 #유압기기 #실린더 #누름버튼스위치 #연속동작 #자기유지

반응형
반응형

1. 요구사항

  ▣ 지급된 재료 및 시설을 사용하여 아래 작업을 완성하시오.

  ▣ 작품을 제출한 후에는 재작업을 할 수 없음을 유의하여 작업하시오.

가. 유압 기기 배치

  ① 유압 회로도와 같이 유압 기기를 선정하여 고정판에 배치하시오. (단, 유압 기기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수험자가

       임의로 배치하고, 리밋 스위치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설치하시오.)

  ② 유압 호스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 및 사용하여 기기를 연결하시오. (단, 유압 호스가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정리하시오.)

  ③ 유압 공급 압력은 4 ± 0.2 MPa로 설정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을 유압유의 누설이 발생화지 않도록 하시오.

나. 유압 회로 설계 및 구성

  ① 전기 회로도 중 오류 부분은 수험자가 정정하여 기본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시오. (단, 릴레이의

       개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지 않도록 작업하시오.)

  ② 응용 제어 동작을 만족하도록 시스템을 변경하시오.

  ③ 전기 배선은 전원의 극성에 따라 +24V는 적색, -0V는 청색 (또는 흑색)의 리드선을 구별하여 사용하시오.

  ④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투입했을 때 쇼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시오.

  ⑤ 지정되지 않은 누름 버튼 스위치는 자동 복귀형 스위치를 사용하시오. (단, 비상정지 스위치 등 해제 동작이 필요한

       스위치는 유지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⑥ 모든 동작은 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재동작이 가능하도록 회로를 구성화시오.

2. 수험자 유의사항

 ※ 다음의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완성하시오.

  ① 시험 시작 전 장비 이상 유무를 확입합니다.

  ② 시험 중 반드시 시험 감독 위원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시험 시간 동안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가 없는 한 시험장을 임의

       로 이탈할 수 없습니다.

  ③ 시험에 필요한 기기 이외의 부품이나 장비에 임의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④ 유압 호스의 제거는 공급 압력을 차단한 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⑤ 전기 연결의 합선시 즉시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시기 바랍니다.

  ⑥ 액추에이터의 작동 부분에는 전선 및 호스가 접촉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⑦ 수험자는 작업이 완료되면 시험 감독위원의 확인을 받아야 하고, 시험 감독위원의 지시에 따라 동작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단, 평가 시 전원이 유지된 상태에서 2회 동작 시도하여 동일하게 정상 동작이 되어야 하며, 1회만 동작하고

        2회째 시도 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인정하지 않습니다.)

  ⑧ 기본 제어 동작을 완성하고 반드시 시험감독위원의 평가를 받은 후 응용제어 동작을 수행하여야 합니다.

  ⑨ 평가 종료 후 작업한 자리의 부품을 정리하여 모든 상태를 초기 상태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⑩ 다음 사항은 실격에 해당하여 채점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 수험자 본인이 수험 도중 시험에 대한 기권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

    ㉡ 실기시험 과정 중 1개 과정이라도 불참한 경우

    ㉢ 시설 · 장비의 조작 또는 재료의 취급이 미숙하여 위해를 일으킬 것으로 시험감독위원 전원이 합의하여 판단한 경우

    ㉣ 시험감독위원의 지시에 불응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시험 감독위원에게 확인 받지 않고 다음 작업을 진행한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중 한 과제라도 응시하지 않은 경우

    ㉦ 설비보전기사 실기 과제 "전기 공기압 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전기 유압회로 설계 및 구성 작업" 중 하나라도 0점인

         과제가 있는 경우

    ㉧ 작업을 수험자가 직접 하지 않고 다른 사람으로 부터 도움을 받아 작업을 할 경우

    ㉨ 시험 중 타인과 대화를 하거나 다른 수험자의 작품을 고의적으로 모방하는 경우

    ㉩ 시험 중 휴대폰을 사용하거나 인터넷 및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할 경우

    ㉪ 시험 중 시험감독위원의 지시 없이 시험장을 이탈한 경우

    ㉫ 시험장 물품을 시험감독위원의 허락없이 반출한 경우

    ㉬ 본인의 지참공구 외에 타인의 공구를 빌려서 사용한 경우

    ㉭ 지급된 재료 이외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

    ㉮ 시험시간 내에 작품을 제출하지 못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을 공기압 회로도와 기능이 상이한 기기로 구성하거나 기기를 누락하여 구성한 경우

    ㉰ 기본 제어 동작이 문제와 일치하지 않는 작품

3. 도면

 
 

다. 기본제어동작

  ① 초기상태에서 시작 스위치(PB1)를 ON-OFF하면 다음 변위단계선도의 동작이 연속 사이클로 계속 동작되어야 합니다.

      (단, 정회전은 축방향에서 볼 때 시계방향, 역회전은 반시계방향이다.)

  ② 정지 스위치(PB2)를 ON-OFF하면 연속동작을 멈추고 초기상태로 되어야 합니다.

  ③ 변위단계선도

 

라. 응용제어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기본회로에 타이머릴레이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시작 스위치(PB1)를 ON-OFF하여 기본제어동작을 실행시킵니다.

    ㉡ 실린더 A 전진 완료 5초 후 실린더 A가 후진합니다. (단, 실린더 전·후진 시 모터는 기본제어동작과 같이 동작합니다.)

  ② 유압모터 B의 정지 시 발생되는 서지압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라인에 압력 릴리프 밸브 및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서지압 방지회로를 구성합니다.

    ㉠ 설치된 릴리프밸브의 압력은 2 MPa(20 kgf/cm2)로 설정합니다.

【 문제 풀이 】

1. 기본 제어 회로

기본 제어 동작의 회로 오류를 확인하기에 앞서 먼저 문제 요구사항에 맞게 최대 공급 압력을 제어하는 릴리프 밸브를 4MPa로 맞춘다. 또한 변위 단계 선도에 단계별 동작 상황과 시작신호를 표기하고 제어 회로에는 알기 쉬운 부분인

솔레노이드에 동작 상황을 표기한다.

 

이제 단계별 동작 상황을 파악하기에 앞서 초기 상황을 확인해 보자.

초기 상황은 릴레이 코일과 솔레노이드가 모두 전원선과 직렬로 릴레이 또는 누름 버튼 a접점으로 연결되어 있어 릴레이 코일은 소자되어 있고 솔레노이드는 OFF 상태에 있다.

첫번째 단계, 시작 신호 버튼 PB1을 누르면 PB2 b 접점은 붙어 있으므로 릴레이 코일 K1이 여자가 되고 K1 a접점으로 자기 유지와 이후 단계의 전원선이 되고 리밋 스위치 LS1 b은 눌러져 있고 LS2 b접점과 릴레이 코일 K2 가 직렬로 연결되어 릴레이 코일 K2가 여자되고 K2 a접점으로 자기 유지되고 솔레노이드 밸브 Y1과 Y2에 동시에 전원을 공급하여 ON시켜 실린더 A를 전진시킴과 동시에 모터 B를 정회전 시킨다. 또한 K1 b접점으로 솔레노이드 밸브 Y3의 전원을 차단한다.

두번째 동작, 실린더 A가 전진을 하여 리밋 스위치 LS2을 누르게 되면 리밋 스위치 b접점이 열리게 되어 릴레이 코일 K2가 소자되어 솔레노이드 밸브 Y1과 Y2가 OFF되어 실린더 A는 스프링 밸브에 의해 후진을 하고 펌프 B는 정회전을 멈춘다. 그런데 두번째 동작은 실린더 A의 후진과 함께 유압 펌프가 역회전을 해야 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 Y3가 ON되어야 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 Y3과 직렬로 연결된 K1 b접점이 K2 b접점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2. 응용 제어 동작

 ※ 기본제어동작을 다음 조건과 같이 변경하시오.

  ① 기본회로에 타이머릴레이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시작 스위치(PB1)를 ON-OFF하여 기본제어동작을 실행시킵니다.

    ㉡ 실린더 A 전진 완료 5초 후 실린더 A가 후진합니다. (단, 실린더 전·후진 시 모터는 기본제어동작과 같이 동작합니다.)

  ② 유압모터 B의 정지 시 발생되는 서지압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라인에 압력 릴리프 밸브 및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서지압 방지회로를 구성합니다.

   ㉠ 설치된 릴리프밸브의 압력은 2 MPa(20 kgf/cm2)로 설정합니다.

[풀이]

 

응용동작은 먼저 유압회로도의 기계적인 동작을 구성하라고 하였다.

  ② 유압모터 B의 정지 시 발생되는 서지압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라인에 압력 릴리프 밸브 및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서지압 방지회로를 구성합니다.

    ㉠ 설치된 릴리프밸브의 압력은 2 MPa(20 kgf/cm2)로 설정합니다.

  를 먼저 구성하여 보자.

 

다음 응용동작을 풀어 보자.

  ① 기본회로에 타이머릴레이 및 기타 부품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동작되도록 합니다.

    ㉠ 시작 스위치(PB1)를 ON-OFF하여 기본제어동작을 실행시킵니다.

    ㉡ 실린더 A 전진 완료 5초 후 실린더 A가 후진합니다. (단, 실린더 전·후진 시 모터는 기본제어동작과 같이 동작합니다.)

타이머를 설치하여 실린더 A가 전진을 하여 LS2를 눌렀을 때 릴레이 코일 K2 의 소자 5초 동안 늦추어 지도록 하는

제어회로를 구성하는 내용이다.

 

◈ 작업시 유의 사항

  ① 모터의 회전방향이 다를 경우 유압 호스를 서로 바꾸어 연결한다.

  ② 전원 공급기에서 전원 연결선은 PB1과 릴레이 K1-a 접점에만 공급해야 한다.

 

  ③ 리밋 스위치 LS1은 a접점이다.

  ④ 기본 회로에서 LS2는 b접점이며, 응용 회로에서는 a접점으로 교체해야 한다.

  ⑤ 응용 회로에서 릴리프 밸브의 P 포트 호스를 제거하고 제2의 릴리프 밸브를 설치하여 2 MPa로 조정한 후 도면과 같이

       유압호스를 연결하고, 다시 제1의 릴리프 밸브의 호스를 연결하여 4 MPa의 압력을 확인한다.

  ⑥ 타이머는 여자 지연 타이머를 사용한다.

  ⑦ 응용 작업에서 릴리프 밸브만 모터 B라인에 설치하면 CCW회전은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체크밸브를 설치하며

       이 때 각 밸브의 방향에 유의한다.

#릴리프밸브 #타이머 #체크밸브 #P포트 #릴레이 #접점 #모터 #유압회로 #전기회로

#제어회로 #솔레노이드 #압력게이지 #실린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