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3상 3선식 가동결선 CT와 AS, PT와 VS의 결선법

 

가. 3상3선식 2CT의 결선도에 대하여 알아 보자.

 ① AS 가 OFF 상태일 때

  ▣ AS가 OFF 상태에 있으면 전류계 A는 아무상의 전류도 측정하지 않게 된다.

      그런데 CT 2차측은 개방하면 안되므로 전류계와 연결되지 않는 CT의 단자선은

      단락을 하게 된다. 따라서 AS가 OFF상태일 때는 CT의 단자선인 L1, L3

      단락을 하게 된다.

 
CT결선1

 ② AS 가 L1 선에 있을 때

  ▣ AS가 L1 선에 있을 때는 전류계는 A는 L1 의 CT 단자에 연결되고 전류계와 연결되지

     않는 L3 의 CT 단자선은 단락을 하게 된다.

 
CT결선 2

③ AS 가 L2 선에 있을 때

 ▣ AS가 L2 선에 있을 때는 전류계는 A는 L1 의 CT + L3 의 CT의 합한 전류를 측정하므

     전류계 A는 L1 의 CT 단자와 L3 의 CT 단자 모두에 연결된다.

 
CT결선 3

④ AS 가 L3 선에 있을 때

 ▣ AS가 L3 선에 있을 때는 전류계는 A는 L3 의 CT 단자에 연결되고 전류계와 연결되지

     않는 L1 의 CT 단자선은 단락을 하게 된다.

 
CT 결선 4

나. 3상3선식 2CT와 AS 그리고 전류계 A와의 결선도에 대하여 알아 보자.

 
CT와 AS 결선

 ▣ 위 그림에서 검은색 반점은 단자간에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AS 전환레버가 OFF에 있게 되면 첫번째 선과 3번째 선이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OFF의 검은색 반점이 길게 이어진 것은 계속 부터 있다는 의미 있다. 예를 들면

     AS 전환레버가 OFF에서 L1으로 바꿀 때 단락선은 떨어졌다 붙는 것이 아니라

     계속 붙어 있는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OFF일 때 단자가 연결되는 선은 단락선이다.

     전류계 A로 가는 선이 아니라 개방되지 않게 단락되는 선이란 의미다.

 ▣ AS의 전환레버가 L1에 있으면 L1선의 전류를 측정하게 되므로 L1 CT의 단자선은

    전류계에 연결되고 L3의 CT단자선은 단락시키게 된다.

 ▣ AS의 전환레버가 L2에 있으면 L1선과 L1선의 전류를 합하여 측정하게 되므로 L1 CT

     의 단자선과 L3의 CT단자선 모두를 전류계에 연결하게 된다.

 ▣ AS의 전환레버가 L3에 있으면 L3선의 전류를 측정하게 되므로 L3 CT의 단자선은

     전류계에 연결되고 L1의 CT단자선은 단락시키게 된다.

2. 3상 3선식 2PT와 VS 결선법에 대하여 알아 보자

 
PT와 VS 결선

 ▣ VS의 절환레버가 OFF 상태에 있을 때는 전압을 측정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선도

    연결되지 않는다.

 ▣ 맨 위의 선은 A-B선간 전압을 측정할 때도 ON되고 B-C선간 전압을 측정할 때도

     ON 되므로 이선은 B상선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상 선 단자에 연결하고 전압계의

     한 단자에 연결한다

 ▣ 두변째 선은 B-C선간 전압 측정할 때도 ON되고 C-A간 선간전압을 측정할 때도

     ON 되므로 이선은 C상 선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상 선 단자에 연결하고 전압계의

     단자에는 위 B-C간 전압측정이 가능하도록 B상과 다른 전압계 한단자에 연결한다.

 ▣ 세번째 선은 C-A간 선간전압을 측정할 때 ON 되는데 C선은 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선은 A상 선임을 알 수 있다.

 ▣ 네번째 선은 A-B간 선간전압을 측정할 때 ON 되는데 B선은 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선은 A상 선임을 알 수 있다.

  ※ VS 절환레버에서 OFF시에는 어떠한 선도 연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검은색 반점은 해당 선의 단자가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접촉점에 스위치가 ON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 긴 검은색 반점은 떨어지지 않고 절환레버가 지침을 달리해도 해당 선을 ON을 유지한다

     는 것으로 VS 절환레버가 A-B단자에서 B-C로 이동해도 계속 ON되는 것은 B상 선이며

     마찬가지로 VS 절환레버가 B-C에서 C-A로 이동해도 계속 ON되는 것은 C상 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압계는 측정하고자 하는 상의 선을 한단자씩 연결하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 특고압 수전설비 결선도

 

▣ 아래 도면은 수전설비의 단선 결선도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1) ①~②, ④ ~ ⑨, ⑬ 에 해당하는 부분의 명칭과 용도를 쓰시오.

  (2) ③의 1차, 2차 전압은 ?

  (3) ⑩의 2차측 결선방법은 ?

  (4) ⑪, ⑫ 의 1차, 2차 전류는 ? 단 CT 정격전류는 부하 정격전류의 1.5배로 한다.

  (5) ⑭의 목적은 ?

 
특고압 수전설비 결선도

【답안작성】

 (1) ①~②, ④ ~ ⑨, ⑬ 에 해당하는 부분의 명칭과 용도를 쓰시오.

번호
명칭
용도
전력퓨즈
단락전류 및 고장전류 차단
피뢰기
이상전압이 내습하면 이를 대지로 방전하고 속류를 차단한다.
전력수급용
계기용변성기
전력량을 적산하기 위하여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전력량계에 공급한다.
계기용변압기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시켜 계기 및 계전기 등의 전원으로
사용한다.
전압계용
전환개폐기
1대의 전압계로 3상 각상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환개폐기
차단기
단락사고, 과부하, 지락사고 등 사고전류와 부하전류를 차단
하기 위한 장치
과전류계전기
계통에 과전류가 흐르면 동작하여 차단기의 트립코일을
여자시킨다.
변류기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계기 및 과전류계전기에 공급한다.
전류계용
전환개폐기
1대의 전류계로 3상 각 상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개폐기

 

(2) ③의 1차, 2차 전압은 ?

  ▣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22.9[kV-Y] 송전선의 PT는 변압기 3대로 Y결선을 한다.

      따라서 1차측 전압은 Y결선의 상전압을 의미하므로 선간전압/√3이 된다.

 

 (3) ⑩의 2차측 결선방법은 ? Y결선

 (4) ⑪, ⑫ 의 1차, 2차 전류는 ? 단 CT 정격전류는 부하 정격전류의 1.5배로 한다.

 

(5) ⑭의 목적은 ?

   ▣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동시투입을 방지한다. (인터록)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