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전선의 접속방법

  ① 직선 접속

    ▣ 전선과 전선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서로 4회 이상 감는다)

  ② 분기접속

    ▣ 하나의 전선을 2개 이상으로 나누는 접속 (심선을 5회 이상 감는다)

  ③ 종단접속

    ▣ 전선의 종단부분을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2회 이상 감는다)

  ④ 슬리브에 의한 접속

    ▣ 슬리브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접속 (심선을 2회 이상 감는다)

[참고] 전선 접속시 유의 사항

  ① 접속으로 인해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을 것
  ② 접속부분의 전선의 강도를 20 [%] 이상 감소시키지 않을 것
  ③ 접속부분은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상의 절연내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
  ④ 전기 화학적 성질이 다른 도체를 접속하는 경우 접속부분에 전기적 부식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

2. 전선의 종류

약호
명 칭
최고허용온도
DV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60 [℃]
OW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HFIX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90 [℃]
C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외장(시스) 케이블
MI
 미네날 인슐레이션 케이블
IH
 하이퍼론 절연전선
95 [℃]
FP
 내화 케이블
-
HP
 내열전선
GV
 접지용 비닐절연전선
E
 접지선

3. 절연물의 최고 허용 온도

절연물의 종류
Y
A
E
B
F
H
C
최고허용온도[℃]
90
105
120
130
155
180
180초과

4. 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요소

  ① 허용전류(가장 중요) : 전선에 안전하게 흘릴 수 있는 최대 전류치

  ② 전압강하 : 입력전압과 출력전압과의 차이

  ③ 기계적 강도 : 기계적인 힘에 의하여 손상을 받는 일이 없이 견딜 수 있는 능력

  ④ 전력손실 : 1초 동안에 전기가 일을 할 때 이에 소비되는 손실

  ⑤ 경제성 : 투자경비에 대한 연간 경비와 전력손실 금액의 총합이 최소가 되도록 정한다.

5. 전선의 허용전류 (전동기 부하)

가. 측정기구

  ① 150 [V] 이하 : 직류(DC) 250 [V] 절연저항계

  ② 150 [V] 초과 : 직류(DC) 500 [V] 절연저항계

 

나. 절연저항값과 판정기준

전 압
절연저항
대지전압 150 [V] 이하
0.1 [MΩ] 이상
대지전압 150 [V] 초과 300[V] 이하
0.2 [MΩ] 이상
사용전압 300 [V] 초과 400 [V] 미만
0.3 [MΩ] 이상
사용전압 400 [V] 이상
0.4 [MΩ] 이상

6. 배선도 표시방법

가. 전선관의 굵기

    ① 16 = 16 [㎜]        ② 22 = 22 [㎜]         ③ 28 = 28 [㎜]

 

나. 전선관의 재질

    ① 별도 표기 없음 : 강제 전선관                      ② VE : 경질비닐전선관

    ③ F2 : 제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④ PF : 합성수지제 가요관

 

다. 전선의 굵기

    ① 1.5 : 1.5 [㎟]               ② 2.5 = 2.5 [㎟]

 

라. 배관의 표시방법

 

마. 전선 가닥수

 

바. 옥내배선기호

 

사. 배선도 표시방법의 예

 

   ※ 의미 : 16 [㎜] 합성수지제 가요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을 넣은

                  천장 은폐배선

 

아. 철거 : 철거인 경우에는 X를 붙인다.

 

7. 금속관 공사

가. 강제전선관의 종류

종류
호칭 표시방법
호칭 규격 [㎜]
후강 전선관
관 내경[㎜]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16, 22, 28, 36, 42, 54, 70, 82, 92, 104
박강 전선관
관 외경[㎜]의 근사값을 홀수로 표시
15, 19, 25, 31, 39, 51, 63, 75

나. 강제전선관

    ① 1본의 표준길이 : 3.66 [m]

    ② 관의 두께 : 1.2 [㎜]

 

다. 합성수지관(경질비닐전선관)

    ① 1본의 표준길이 : 4 [m]

    ② 합성수지관 호칭 표시방법 : 관 내경 [㎜]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라. 금속관의 두께

    ① 콘크리트에 매립 : 1.2 [㎜] 이상

    ② 기타 : 1 [㎜] 이상

    ③ 이음매(Joint)가 없는 길이 4 [m] 이하의 것을 건조하고 전개된 곳에 시설하는 경우 : 0.5 [㎜] 이상

 

마. 금속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 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나사접속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이 있는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② 관의 끝 부분에는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구조의 부싱을 사용할 것. 다만, 금속관공사로 부터

         애자사용공사로 옮기는 경우에는 그 부분의 관의 끝 부분에는 절연부싱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③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 장치를 할 것

    ④ 관에는 접지공사를 할 것. 단, 사용전압이 400[V] 미만으로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관의 길이 (2개 이상의 관을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체의 길이를 말한다.) 가 4 [m] 이하인 것을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 옥내 배선의 사용전압이 직류 300 [V] 또는 교류 대지전압 150 [V] 이하로서 그 전선을 넣는 관의 길이가 8[m] 이하

            인 것을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또는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⑤ 금속관을 금속제의 풀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①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관 및 풀박스를 건조한 곳에서 불연성의 조영제에 견고하게 시설하고 또한 관과 풀박스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바. 금속관용 부속품

 

  <각 부속품 사용례>

 

8. 가요전선관 공사

가. 시설조건

   ①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일 것

   ②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단면적 10 [㎟] (알루미늄선은 16[㎟]) 이하인 것은 제외

   ③ 가요전선관 안에는 전선에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④ 가요전선관은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일 것. 다만, 전개된 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된 장소 (옥내배선의 사용전압

        이 400[V] 이상인 경우에는 전동기에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에 사용하는 것에 한한다)에는

        1종 가요전선관(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는 비닐 피복 제1종 가요전선관에 한한다)을 사용할 수

        있다.

 

나. 가요전선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② 가요전선관의 끝부분은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③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습기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때에는 비닐 피복 2종

        가요전선관일 것

   ④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에는 단면적 2.5[㎟] 이상의 나연동선을 전체 길이에 걸쳐 삽입 또는 첨가하여 그 나연동선과

        제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양쪽 끝에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다만, 관의 길이가 4[m] 이하인 것을 시설

        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⑤ 가요전선관공사는 접지공사를 할 것

 

다. 가요전선관 공사에 사용되는 재료

 

9. 합성수지관 공사

가. 시설조건

  ① 전선은 절연전선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일 것

  ② 전선은 연선일 것. 다만, 다음의 것은 적용하지 않는다.

    ㉠ 짧고 가는 합성수지관에 넣을 것

    ㉡ 단면적 10 [㎟] (알루미늄선은 단면적 16 [㎟]) 이하의 것

  ③ 전선은 합성수지관 안에서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④ 중량물의 압력 또는 현저한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할 것

 

나.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선정

  ▣ 합성수지관 배선에 사용하는 경질비닐 전선관 및 합성수지제 전선관, 기타 부속품등 (관 상호 간을 접속하는 것 및

       관의 끝에 접속하는 것에 한하며 리듀서를 제외한다)은 다음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①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또는 산업표준화법에 적합한 합성수지제의 전선관 및 박스 기타의 부속품일 것. 다만, 부속품 중

       금속제의 박스 및 분진방폭형 가요성 부속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관의 끝 부분 및 안쪽 면은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매끈한 것일 것

  ③ 관[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을 제외]의 두께는 2[㎜] 이상일 것. 다만, 전개된 장소 또는 점검할 수 있는 은폐된 장소

       로서 건조한 장소에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 한한다)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합성수지관 및 부속품의 시설

  ① 관 상호간 및 박스와는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깥지름의 1.2배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0.8배) 이상으로

       하고 또한 꽃음 접속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할 것

  ② 관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1.5 [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지지점은 관의 끝 · 관과 박스의 접속점 및 관 상호 간의 접속점

       등에 가까운 곳에 시설할 것

  ③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장치를 할 것

  ④ 합성수지관을 금속제의 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 또는 분진방폭형 가요성 부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박스 또는

       분진 방폭형 가요성 부속에 접지공사를 할 것. 다만, 사용전압이 400[V] 미만으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직류 300[V] 또는 교류 대지전압이 150 [V] 이하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

         하는 경우

  ⑤ 합성수지관을 풀 박스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①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할 것. 다만,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에

       는 관 및 풀박스를 건조한 장소에서 불연성의 조영재에 견고하게 시설하는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⑥ 난연성이 없는 콤바인 덕트관은 직접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전용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관 또는 덕트에 넣어 시설할 것

  ⑦ 합성수지제 휨(가요) 전선관 상호 간은 직접 접속하지 말 것

 

[참고] 전자식 접지저항계

 

   ① 검류계 : 지침이 가운데를 가리킬 때 접지저항값을 읽는다.

   ② 영점조정장치 : 지침이 0에 위치되도록 조정하는 장치

   ③ 절환스위치 : B(전지검사), Ω(접지저항 측정), V (전압측정)

   ④ 측정스위치 :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로서 누르면서 측정한다.

   ⑤ 다이얼 : 측정하고자 하는 적당한 접지저항값을 조정한다.

10.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종류 및 공사방법

가. 내화배선

사용전선의 종류
공사방법
①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②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③ 6/10 [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④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⑤ 0.6/1[kV]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⑥ 300/500 [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 (180 [℃])
⑦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 케이블
⑧ 버스덕트 (Bus Duct)
⑨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① 금속관공사
②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
③ 합성수지관 공사
※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
    등에 벽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
    부터 25 [㎜] 이상의 깊이로
    매설할 것
내화전선
케이블 공사

[비고]

  ▣ 내화전선의 내화성능은 버너의 노즐에서 75 [㎜]의 거리에서 온도가 750±5 [℃]인 불꽃으로 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12시간 경과 후 전선 간에 허용전류용량 3[A]의 퓨즈를 연결하여 내화시험 전압을 가한 경우 퓨즈가 단선되지

       아니하는 것. 또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내화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나. 내열배선

사용전선의 종류
공사방법
①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②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 케이블
③ 6/10 [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④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⑤ 0.6/1[kV] EP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⑥ 300/500 [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 (180 [℃])
⑦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 케이블
⑧ 버스덕트 (Bus Duct)
⑨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① 금속관공사
②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
③ 금속덕트공사
④ 케이블공사
내화전선 · 내열전선
케이블 공사

[비고]

  ▣ 내열전선의 내열성능은 온도가 716±10 [℃]인 불꽃을 20분간 가한 후 불꽃을 제거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자연소화가

       되고,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180 [㎜] 이하이거나 가열온도의 값을 한국산업표준(KS F 2257-1)에서 정한 건축구조부

       분의 내화시험방법으로 15분 동안 380 [℃]까지 가열한 후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가열로의 벽으로 부터 150 [㎜] 이하

       일 것. 또는 소방청장이 고시한 「내열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11. 내화배선, 내열배선 및 일반배선 공사

가. 자동화재탐지설비

 

나. 옥내소화전설비

 

다. 옥외소화전설비

 

라. 비상벨 · 자동식 사이렌 설비

 

마. 스프링클러설비 · 물분무소화설비 · 포소화설비

 

바.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분말소화설비

 

12.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을 배선전용실에 함께 배선할 경우

  ① 소방용 케이블은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 전용실 등의 내부에 소방용이 아닌 케이블과 함께 노출하여 배선할 때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간의 피복과 피복간의 이격거리는 15 [㎝] 이상이어야 한다.

 

  ② 불연성 격벽을 설치한 경우에 격벽의 높이는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 중 가장 굵은 케이블 지름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출제 예상 문제】

1. 전선 접속시 유의사항을 3가지 쓰시오.

   ① 접속으로 인해 전기저항이 증가하지 않을 것

   ② 접속부분의 전선의 강도를 20 [%] 이상 감소시키지 않을 것

   ③ 접속부분은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이상의 절연내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

2. 소방펌프용 전동기의 명판에는 절연물의 최고 허용온도를 기호로 표기하고 있다. 다음 표의 빈칸을 완성하시오.

절연물의 종류
Y
A
E
(① B)
F
(②H)
C
최고허용온도[℃]
90
(③105)
120
(④130)
(⑤155)
180
180초과

3. 저압 옥내배선의 금속관공사와 가요전선관공사에 사용되는 부품의 명칭을 쓰시오.

  가. 노출배관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되는 부품 : 유니버설 엘보

  나. 금속관을 아웃렛박스에 로크너트만으로 고정하기 어려울 때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부품  : 링리듀셔

  다. 가요전선관과 박스의 연결 : 스트레이트 박스 콘넥터

  라. 가요전선관과 금속(스틸)전선관의 연결 : 콤비네이션 커플링

  마. 가요전선관과 가요전선관의 연결 : 스프리트 커플링

4. 다음과 같은 배선도가 나타내는 의미를 모두 쓰시오.

 

[답안작성] 천장은폐배선으로 22[㎜] 후강전선관에 4[㎟] 45/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3가닥과

                  2.5 [㎟] 접지선 1가닥을 넣는다.

5. 다음과 같은 조건을 참고하여 배선도로 나타내시오.

  [조건] ① 배선 : 바닥은폐배선

            ② 전력선 : 3가닥,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25 [㎟]

            ③ 접지선 : 1가닥, 접지용 비닐전선 6 [㎟]

            ④ 전선관 : 후강전선관 36 [㎜]

 

6. 다음은 금속관공사에 사용되는 자재이다. 자재의 사용용도에 대해 쓰시오.

   가. 부싱 : 전선의 절연피복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관 끝에 취부하여 사용한다.

   나. 유니언 커플링 : 관이 고정되어 있을 때 금속관 상호간을 접속하는데 사용한다.

   다. 유니버설 엘보 : 노출배관공사에서 금속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한다.

7. 그림은 금속관 공사의 한 예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① ~④ 에 들어갈 부품 명칭을 쓰시오.

    ① 노멀밴드           ② 커플링                ③ 새들                    ④ 환형 3방출 정크션 박스

  나. 노출배관으로 시공할 경우 ① 을 대체할 부품은 무엇인가 ? 유니버설 엘보

8. 후강전선관 배관을 콘크리트 슬리브에 매입하려고 한다. 전선관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몇 [㎜]가 적당한가 ? 1.2 [㎜] 이상

9. 배관공사에 대한 사항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합성수지관 1본과 금속관 1본의 길이는 각각 몇 [m] 인가 ?

    ① 합성수지관 : 4 [m]        ② 금속관 : 3.66 [m]

  나. 금속관과 박스를 접속할 때에는 어떤 재료를 사용하며 접속 1개소에 최소 몇 개를 사용하는가 ? 로크너트 2개

  다. 강재전선관공사 중 노출배관공사에서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3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는 T형

        과 4방향으로 분기할 수 있는 크로스(Cross)형이 있는 자재의 명칭은 무엇인가 ? 유니버설 엘보

10. 비상전원의 내화내열전선 사용범위 중 분말소화설비의 배선범위를 그림에 직접 표시 하시오.

 

    [답안작성]

 

11.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을 배선전용실에 함께 배선할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소방용 케이블을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전용실 등의 내부에0 소방용이 아닌 케이블과 함께 노출하여 배선할 때 소방용

        케이블과 다른 용도의 케이블 간의 피복과 피복간의 이격 거리는 몇 [㎝] 이상이어야 하는가 ? 15 [㎝] 이상

 

  나. 부득이 하여 "(가)"와 같이 이격할 수 없어 불연성 격벽을 설치할 경우 격벽의 높이는 굵은 케이블 지름의 몇 배 이상이

        어야 하는가 ? 1.5 배 이상

 

12. 다음은 후강전선관에 대한 사항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후강전선관의 호칭 표시방법은 ? 관내경 [㎜]의 근사값을 짝수로 표시

  나. 후강전선관 1본의 표준길이는 [m]는 ? 3.66 [m]

13. 그림과 같이 1개의 등을 2개소에서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려고 한다. 다음 각물음에  답하시오.

 

   가. ●3의 명칭을 쓰시오. 점멸기 (3로) 3로 스위치

   나. 배선에 가닥수를 표시하시오.

   다. 전선접속도(실제 배선도)를 그리시오.

 

14. 22[㎜] 후강전선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과 접지선 2.5 [㎟] 1가닥을 천장

      은폐배선하는 배선을 그림기호로 표시하시오.

 

15. 접지공사에서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방법 3가지를 쓰고, 이 중 내구성이 가장 높은 방법은 ?

   가. 연결방법 : 용융접속, 납땜접속, 전극 접지용 슬리브를 이용한 압착 접속

   나. 내구성이 가장 높은 방법 : 용융접속

16. 전자석 접지저항계 결선 및 명칭에 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를 완성하시오.

 

나. ①, ② 의 명칭을 쓰고 역할을 설명하시오.

   ① 영점조정장치 : 지침이 '0'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장치

   ② 측정스위치 :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장치

17. 금속관 공사에 사용되는 부속품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박스나 캐비닛은 노크아웃의 지름이 금속관의 지름보다 큰 경우 박스나 캐비닛의 내외 양측에 사용하는 부품은 ?

       링 리듀셔

  나. 금속관 상호간의 접속에 사용하는 부품은 ? 커플링

  다. 금속관이 고정되어 있어 이것을 회전시켜 접속할 수가 없을 때 사용하는 부품은 ?  유니언 커플링

18. 소방설비의 배관배선공사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금속관 말단의 모를 다듬기 위한 기구는 ? 리머

   나. 노출배관공사를 할 때 관을 직각으로 굽히는 곳에 사용하는 부품은 ? 유니버설 엘보

   다. 금속관과 박스를 접속할 때 사용하는 재료와 최소 설치개수는 ? 로크너트 2개

   라. 이 그림의 명칭은 ? 유니언 커플링

 

   마. 합성수지관 1본의 표준길이는 몇 [m]인가 ? 4 [m]

19. 다음은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심벌이다. 심벌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단, 영문약호는 우리말로 표현하여 설명할 것)

 

  [답안작성]

   (1) 16[㎜] 경질비닐전선관에 1.5[㎟]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4가닥을 넣은 천장 은폐배선

   (2) 16[㎜] 후강전선관에 2.5[㎟] 450/750 [V]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2가닥을 넣은 바닥 은폐배선

   (3) 28[㎜]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에 전선이 들어 있지 않은 천장 은폐배선

   (4) 전선관의 철거를 말함

20. 다음 그림은 스프링클러설비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각 구성요소 사이 배선을 내화배선, 내열배선, 일반배선으로

       구분하여 블록다이어그램을 완성하시오.

 

  [답안작성]

 

21. 다음 그림은 옥내소화전설비의 블록선도이다. 각 구성요소 간에 내화 · 내열 · 일반배선으로 배선하시오.

 

 [답안작성]

 

22. 다음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금속관 공사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다음 ( )안에 알맞은 용어를 기입하시오.

  가. 금속관 공사에는 조영재 표면에 금속관을 노출하여 부착하는 (① 노출배관)공사, 콘크리트 속에 부설하는 (② 매입배

        관)공사, 이중 천장 속에 배관하는 (③ 천장은폐) 공사 등이 있으며, 금속관의 종류에는 후강전선관과 박강전선관이

        있다. (④ 후강)전선관의 크기는 내경에 가까운 짝수이고, (⑤ 박강)전선관의 크기는 외경에 가까운 홀수로 나타낸다.

  나. 금속관 공사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 (① 절연)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 관내에서 전선의 (② 접속)이 없어야 한다.

23. 굴곡장소가 많거나 금속관 공사의 시공이 어려운 경우, 전동기와 옥내배선을 연결할 경우 사용하는 공사방법을

       쓰시오. 가요전선관 공사

24. 전기배선공사 방법 중 내화배선과 내열배선의 공사방법에서 배관구조의 차이점을 쓰시오.

   가. 내화배선 : 금속관 · 제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또는 합성수지지관에 수납하여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 등에 벽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 부터 25[㎜] 이상의 깊이로 매설

   나. 내열배선 : 금속관 · 금속제 가요전선관 · 금속덕트 또는 케이블 공사방법

#배선공사 #전선 #내열전선 #내화전선 #절연물 #내화케이블 #절연내력 #대지전압

#전선관 #경질비닐전선관 #가요전선관 #후강전선관 #합성수지관 #금속관 #노멀밴드

#유니버설엘보 #부싱 #로크너트 #링리듀셔 #커플링 #새들 #사이렌 #자동화재탐지설비

 

반응형
반응형

【전원설비】

1. 전원의 종류

가. 상용전원

    ▣ 평상시 주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원

나. 비상전원

    ▣ 상용전원의 정전 시에 사용되는 전원

다. 예비전원

    ▣ 상용전원의 고장 또는 용량 부족시 최소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전원

 

2. 자동절환개폐기 (Auto Transfer Switch : ATS)

  ▣ 상용전원의 정전 또는 전압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 자동적으로 비상전원 또는 예비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폐기

 

3. 배선용 차단기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MCCB)

  ▣ 과부하 및 단락보호를 겸한 차단기로서 퓨즈(Fuse)를 사용하지 않아 차단 후에도 반복하여 재투입이 가능하며 반영구

       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① 배선용 차단기의 그림기호 (심벌)

 

  ② 배선용 차단기의 특징

    ㉠ 부하차단능력이 우수하다.

    ㉡ 퓨즈를 사용하지 않고 바이메탈이나 전자석으로 회로를 차단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신뢰성이 높다.

    ㉣ 충전부가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소형 경량으로 사용이 간편하다.

    ㉥ 트립(Trip)시 즉시 재투입 (Resetting)이 가능하다.

    ㉦ 회로의 차단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비상전원의 종류 】

   ▣ 축전지설비, 자가발전설비, 비상전원수전설비, 전기저장장치

가. 무정전 전원장치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UPS)

  ▣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에서 정류장치, 역변환장치, 변형보정회로 등을 경유시켜 부하로 교류를 공급하고 있으며,

       다시 정류장치 출력에 축전지를 접속하여 부동동작 시킴으로서 정전시에는 이 축전지에서 인버터를 경유하여

       계속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나.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구성도

 

  ① 정류장치 = 컨버터(Converter) :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

  ② 역변환장치 = 인버터 (Inverter) : 직류를 사용 주파수의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

  ③ 축전지(Storage battery) :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접속된 두 개 이상의 셀(Cell)로 구성된 전지로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다.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블록다이어 그램

 

[참고] 용어

용어
국 문
영 문
MDF
주배선반
Main Distributing Framed
LAN
구내정보통신망
Local Area Network
PBX
사설구내교환기
Private Branch Exchange
CAD
컴퓨터지원설계
Computer Aided Design
CVCF
정전압정주파수장치
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VVVF
가변전압가변주파수장치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AVR
자동전압조정기
Automatic Voltage Regulator
IVR
유도형 자동전압조정기
Inductio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UPS
무정전 전원장치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T
변류기
Current Transformer
ZCT
영상변류기
Zero phase sequence Current Transformer
ELB
누전차단기
Earth Leakage Breaker
ELD
누전경보기
Earth Leakage Detector
MCCB
배선용차단기
Molded Case Circuit Breaker
OCB
유입차단기
Oil Circuit Breaker
THR
열동계전기
Thermal Relay

 

【 축전지 설비】

가. 축전지의 설치기준

  ① 진동이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배기설비를 할 것

  ③ 충전기는 가급적 부하와 가까운 곳에 설치할 것

  ④ 개방형 축전지의 경우 조명기구 등은 내산성으로 할 것

나. 축전지의 비교

구 분
알칼리축전지
연축전지
기전력
1.32 [V]
2.05 ~ 2.08 [V]
공칭전압
1.2 [V]
2.0 [V]
방전종지전압
0.96 [V]
1.6 [V]
공칭용량
5 [Ah]
10 [Ah]
충전시간
짧다
길다
수명
15 ~ 20년
5~15년
종류
소결식, 포켓식
클래드식, 페이스트식
기계적 강도
강하다
약하다
가격
비싸다
싸다

[참고] 알칼리축전지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① 수명이 길다.                                          ① 단자전압이 낮다.
  ② 충전시간이 짧다.                                   ② 연축전지에 비해 가격이 고가이다.
  ③ 과충방전에 강하다.
  ④ 기계적 강도가 강하다.
  ⑤ 온도특성이 양호하다.

다. 연축전지 고장의 추정원인과 불량현상

고장
불량 현상
추정 원인
초기고장
전 셀의 전압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충전부족으로 장시간 방치
단전지 전압의 비중 저하, 전압계 역전
극성을 반대로 충전
우발고장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정치 중에도
다량의 가스 발생
불순물 혼입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과충전

라. 축전지의 충전방식

  ① 보통충전방식

     ▣ 필요할 때 바로 표준시간율로 소정의 충전을 하는 방식

  ② 급속충전방식

    ▣ 비교적 단시간에 보통충전전류의 2~3배의 전류로 충전하는 방식

  ③ 부동충전방식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로 하여금 부담하게 하는 방식 (축전지의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일반적으로 거치용 축전지 설비에 많이 사용한다)

 

  ④ 균등충전방식

    ▣ 부동충전방식에 의하여 사용할 때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해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3개월 마다 1회 정전압으로

         10~12시간 충전하여 각 전해조의 용량을 균일화하기 위하여 행하는 방식

  ⑤ 세류(트리클)충전방식 : 자기방전만을 항상 충전하는 부동충전방식의 일종

  ⑥ 회복충전방식

     ▣ 축전지의 과방전 또는 방치상태에서 기능회복을 위하여 실시하는 충전방식

마. 축전지 1개의 허용최저전압

【자가발전설비】

가. 자가용 발전기의 여자방식

  ① 자여자방식

     ▣ 계자권선의 여자전류를 자기 자신의 전기자 유기전압에 의해 공급하는 방식으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된다.

  ② 타여자 방식 : 독립된 직류전원에 의하여 계자권선을 여자 시키는 방식

나.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①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②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 것

  ③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④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다. 저압발전기

  ▣ 예비전원으로 시설하는 저압발전기에서 부하에 이르는 전로는 발전기에 가까운 곳에서 쉽게 개폐 및 점검을 할 수

       있는 곳에 개폐기 · 과전류차단기 · 전압계 및 전류계를 시설하여야 한다.

라. 발전기의 결선도

 

  ① VS (Volt meter Switch) : 전압계용 절환개폐기

  ② AS (Ampere meter Switch) : 전류계용 전환 개폐기

  ③ 배선용 차단기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MCCB) : 과부하 및 단락보호를 겸한 차단기로서 퓨즈(Fuse)를 사용

       하지 않아 차단 후에는 반복하여 재투입이 가능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④ 변류기 (Current Transformer : CT) : 대전류를 소전류로 낮추어 측정하는 기기

  ⑤ 전압조정기 (Voltage Regulator : VR) : 발전기, 기타의 전원전압을 입력전압의 변동 또는 부하변화에 관계없이 요구

      되는 한도 내로 위치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장치

  ⑥ 직렬리액터 (Series Reactor : SR) : 제5고조파에 의한 파형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기기로서

        고조파전류에 의한 계전기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⑦ 3상 정류기 (Three phase rectifier) : 3상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기기

【 비상전원 수전설비 】

가. 비상전원 수전설비의 용어

  ① 소방회로 : 소방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회로

  ② 일반회로 : 소방회로 이외의 전기회로

  ③ 수전설비 : 전력수급용 계기용변성기, 주차단장치 및 그 부속기기

  ④ 변전설비 : 전력용 변압기 및 그 부속장치

  ⑤ 전용큐비클식 : 소방회로의 것으로서 수전설비, 변전설비, 그 밖의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⑥ 공용큐비클식 : 소방회로 및 일반회로 겸용의 것으로서 수전설비, 변전설비, 그 밖의 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⑦ 전용배전반 : 소방회로 전용의 것으로서 개폐기, 과전류차단기, 계기, 그 밖의 배선용 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⑧ 공용배전반 : 소방회로 및 일반회로 겸용의 것으로서 개폐기, 과전류차단기, 계기, 그밖의 배선용 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⑨ 전용분전반 : 소방회로 전용의 것으로서 분기개폐기, 분기과전류차단기, 그 밖의 배선용 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⑩ 공용분전반 : 소방회로 및 일반회로 겸용의 것으로서 분기개폐기, 분기과전류차단기, 그밖의 배선용 기기 및 배선을

                            금속제 외함에 수납한 것

나. 저압수전의 경우

 

   주) 1. 일반회로의 과부하 또는 단락사고시에 SM이 SN, SN1 및 SN2 보다 먼저 차단되어서는 아니된다.

          2. SF는 SN과 동등 이상의 차단용량일 것

약호
명 칭
S
저압용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

다. 고압 또는 특고압 수전의 경우

  ① 전용의 전력용 변압기에서 소방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주) 1. 일반회로의 과부하 또는 단락사고시에 CB10 (또는 PF10)이 CB12 (또는 PF12) 및 CB22 (또는 F22)보다 먼저

             차단되어서는 아니된다.

        2. CB11 (또는 PF11)은 CB12 (또는 PF12)와 동등 이상의 차단용량일 것

약호
명 칭
약호
명 칭
CB
전력차단기
F
퓨즈(저압용)
PF
전력퓨즈(고압 또는 특고압용)
Tr
전력용 변압기

  ② 공용의 전력용 변압기에서 소방부하에 전압을 공급하는 경우

 

  주) 1. 일반회로의 과부하 또는 단락사고시에 CB10 (또는 PF10)이 CB22 (또는 F22) 및 CB (또는 F)보다 먼저 차단되어서

             는 아니된다.

        2. CB21 (또는 F21)은 CB22 (또는 F22)와 동등 이상의 차단용량일 것

약호
명 칭
약호
명 칭
CB
전력차단기
F
퓨즈(저압용)
PF
전력퓨즈(고압 또는 특고압용)
Tr
전력용 변압기

 

【 출제 예상 문제】

1. 다음을 영문약자로 나타내시오.

    가. 누전경보기 : ELD                 나. 영상변류기 : ZCT

    다. 유입차단기 : OCB                라. 열동계전기 : THR

2. 다음의 용어를 국문 또는 영문으로 쓰시오.

  가. MDF : 주배선반 : Main Distributing Frame

  나. LAN : 구내정보통신망 : Local Area Network

  다. PBX : 사설구내교환기 : Private Branch Exchange

  라. CAD : 컴퓨터지원설계 : Computer Aided Design

  마. CVCF : 정전압정주파수장치 : 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3. 배선용 차단기의 특징을 4가지만 쓰시오.

   ① 부하차단능력이 우수하다.               ② 퓨즈가 필요 없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③ 신뢰성이 높다.                                 ④ 충전부가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안전하다.

4. 다음을 한글로 된 것은 영문약자로 표시하고, 영문약자는 한글로 표현하시오.

   가. 450/750 [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 : HFIX

   나. 접지용 비닐전선 : GV            다. CT : 변류기                라. ELB : 누전차단기    마. ZCT : 영상변류기

5. 다음 그림은 상시전원이 정전시에 상시전원에서 예비전원으로 바꾸는 경우이다.

    기호 ①과 ② 의 명칭을 쓰시오.

 

    ① 자동절환개폐기 (ATS)               ② 배선용차단기 (MCCB)

6. 축전지설비 기능점검시 필요한 점검기구 4가지를 쓰시오.

   ① 비중계            ② 스포이트              ③ 절연저항계               ④ 전류전압 측정계

7. 그림은 배선용 차단기의 심벌이다. 각 기호가 의미하는 바를 쓰시오.

 

   가. 극수 (3극)             나. 프레임의 크기 (225AF)                  다. 정격전류 (150 [A])

8. 소방시설에 사용하는 비상전원에는 감시기능과 제어기능이 있다. 감시기능과 제어기능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가. 감시기능 : 비상전원으로 전원만 공급하고 특별한 조작은 하지 않고 대기상태에 있는 것

  나. 제어기능 : 각종 시험 및 조작을 하여 소방시설을 작동시키는 것

9. 다음 그림은 UPS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UPS의 우리말 명칭은 ?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나. CVCF의 명칭은 무엇인가 ? 정전압 정주파수 장치

   다. 기호 A, B의 명칭을 쓰시오.    A : 정류장치 : 컨버터           B : 역변환장치 : 인버터

10. 다음 그림은 UPS의 구성도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UPS의 우리말 명칭은 ? 무정전 전원공급 장치

  나. 기호 ⓐ, ⓑ의 명칭은 ?          ⓐ : 정류장치 : 컨버터          ⓑ 역변환장치 : 인버터

11. 직류전원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축전지에는 수명이 있으며, 또한 부하를 만족하는 용량을 감정하기 위한 계수로서 보통 0.8로 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용량저하율 (보수율)

  나. 전지계수를 결정할 때 셀수를 N, 1셀(Cell)당 축전지의 공칭전압을 VB[V/cell], 부하의 정격전압을 V[V], 축전지 용량

        C[Ah]라 하면 셀수 N은 어떻게 표현하는가 ?   N = V / VB

  다. 아래 그림과 같이 구성되는 충전방식은 무슨 충전방식인가 ? 부동충전방식

 

12. 다음은 소방시설용 비상전원 수전설비로서 고압 또는 특고압으로 수전하는 도면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다음 약호의 명칭을 쓰시오.

약호
명칭
약호
명칭
CB
전력차단기
F
퓨즈(저압용)
PF
전력퓨즈(고압 또는 특고압용)
Tr
전력용 변압기

  나. 일반회로의 과부하 또는 단락사고시에 CB10 (또는 PF10)이 어떤 기기보다 먼저 차단되어서는 안되는지 쓰시오.

      CB12(또는 PF12) 및 CB22 (또는 F22)

  다. CB11 (또는 PF11)은 어느 것과 동등 이상의 차단용량이어야 하는지 쓰시오.  ▣ CB12 (또는 PF12)

13. 퓨즈의 주된 역할을 2가지 쓰시오.

  ① 과전류를 차단하여 사고를 방지한다.          ② 부하전류를 안전하게 통전한다.

14. 다음은 예비전원설비에 대한 사항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자가용 발전기의 여자방식 중 일반적으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여자방식은 ?   ▣ 자여자방식

  나. 예비전원으로 저압발전기를 시설할 경우, 부하에 이르는 전로에는 발전기의 가까운 곳에 개폐기 등을 시설하여야

        한다. 어떠한 것들을 시설해야 하는지 개폐기 외에 시설하여야 할 것들 3가지를 쓰시오.

         과전류 차단기, 전압계, 전류계

  다. 상시전원의 정전시 상시전원에서 예비전원으로 바꾸는 경우에 그 접속하는 부하 및 배선이 같을 경우, 양 전원의

        접속점에 반드시 사용해야 할 개폐기의 종류는 어느 것인가 ? 전환개폐기

15.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원리에 대하여 개략의 블록다이어그램을 그려서 설명하시오.

  ① 블록다이어 그램

 

  ② 설명 : 평상시에는 상용전원에서 정류장치, 역변환장치, 변형 보정회로 등을 경유시켜 부하로 교류를 공급하고 있으며,

                 다시 정류장치 출력에 축전지를 접속하여 부동동작 시킴으로써 정전시에는 이 축전지에서 인버터를 경유하여

                 계속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16. 다음 도면은 발전기반 결선도로서 셀모터에 의한 기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도면에서 ① ~ ② 에 해당하는 명칭의 제어약호는 무엇인가 ?

    ① VS : 전압계용 전환 개폐기            ② AS : 전류계용 전환 개폐기

나. 도면에서 ③ ~ ⑤ 의 우리말 명칭을 쓰시오.

    ③ MCCB : 배선용 차단기           ④ CT : 변류기                ⑤ VR : 전압조정기

다. 도면의 ⑥ ~ ⑦ 은 무엇인가 ?

    ⑥ 직렬리액터 (SR)               ⑦ 3상 정류기

17. 축전지설비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부동충전방식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 축전지와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으로 평상시 부하는 충전기가 부담하도록 하되 충전

          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는 축전지가 부담하도록 하는 방식

  나. 납축전지 충전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종류는 ? 수소가스

  다. 알칼리축전지의 공칭전압[V]은 ? 1.2 [V]

  라. 납축전지의 공칭용량 [Ah]은 ? 10 [Ah]

  마. 자기방전량만 항상 충전하는 방식은 ? 세류충전방식

18. 축전지설비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축전지에 수명이 있고 또한 그 말기에 있어서는 부하를 만족하는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계수로서 보통 0.8 로 하는

        것은 무엇인가 ? 보수율

  나. 축전지와 부하를 충전기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충전방식은 무엇인가 ?  부동충전방식

  다. 여러개의 축전지 개개의 전압을 측정하였을 때 전압이 차이가 나거나 기준전압 이하로 낮은 축전지가 있을

        경우 1~3개월 마다 1회 10~12시간 충전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 균등충전방식

  라. 부하의 허용 최저전압이 96 [V], 축전지와 부하간 접속선의 전압강하가 3 [V]일 때 직렬로 접속한 축전지의 개수가

         50개라면 축전지 한개의 허용 최저전압은 몇 [V]인가 ? (96+3) / 50 = 1.98 [V]

19. 예비전원설비로 이용되는 축전지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자기방전량만 항상 충전하는 부동충전방식의 명칭을 쓰시오. 세류충전방식

  나. 비상용 조명부하 200[V]용, 50[W] 80등, 30[W] 70등이 있다. 방전시간은 30분이고, 축전지는 HS형 110 [cell]이며,

        허용최저전압은 190[V], 최저축전지온도가 5[℃] 일 때 축전지 용량 [Ah]을 구하시오. (단, 경년용량저하율은 0.6,

        용량환산시간은 1.2h이다.)

  다. 연축전지와 알칼리축전지의 공칭전압 [V/cell]을 쓰시오.

         ① 연축전지 : 2.0 [V/cell]               ② 알칼리축전지 : 1.2 [V/cell]

20. 수신기의 예비전원으로 DC 24 [V]인 Ni-Cd 축전지를 사용한다면 Ni-Cd 축전지의 셀(Cell)수는 몇 개이겠는가 ?

         24 / 1.2 = 20개

21. 비상용 조명설비의 부하가 30[W] 120등, 60[W] 60등이 있다. 방전시간은 30분, 연축전지 HS형 54셀, 허용최저전압

       90[V], 최저축전지온도 5 [℃]일 때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전압은 100[V]이며, 보수율은 0.8이다)

        [연축전지의 용량환산시간 K(상단은 900~2000[Ah], 하단은 900[Ah]이다)

형식
온도
[℃]
10분
30분
1.6[V]
1.7[V]
1.8[V]
1.6 [V]
1.7[V]
1.8[V]
CS
25
0.9
0.8
1.15
1.06
1.6
1.42
1.41
1.34
1.6
1.55
2.0
1.88
5
1.15
1.1
1.35
1.25
2.0
1.8
1.75
1.75
1.85
1.8
2.45
2.35
-5
1.35
1.25
1.6
1.5
2.65
2.25
2.05
2.05
2.2
2.2
3.1
3.0
HS
25
0.58
0.7
0.93
1.03
1.14
1.38
5
0.62
0.74
1.05
1.11
1.22
1.54
-5
0.68
0.82
1.15
1.2
1.35
1.68

  가. 필요한 축전지용량 [Ah]을 구하시오.

나. 연축전지에서 CS형과 HS형은 어떤 방전상태로 구분되는지 쓰시오.

  ① CS형 : 부하에 따라 일정한 방전전류를 가진다.

  ② HS형 : 부하에 따라 방전전류가 급격히 변한다.

22. 비상용 전원설비로 축전지설비를 하고자 한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연축전지의 고장과 불량현상이 다음과 같을 때 그 추정원인은 무엇 때문이겠는가 ?

고장
불량현상
추정원인
초기
고장
전 셀의 전압불균형이 크고, 비중이 낮다.
① 과방전하였을 때
단전지 전압의 비중저하, 전압계 역전
② 극성을 반대로 충전하였을 때
우발
고장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정치 중에도 다량으로 가스 발생
③ 불순물이 혼입되었을 때
전해액의 감소가 빠르다.
④ 과방전되었을 때

  나. 연축전지의 정격용량이 100[Ah]이고, 상시부하 15[kW], 표준전압이 100[V]인 부동충전방식 충전지의 2차 충전전류값

        은 몇 [A]이겠는가 ?  (단, 상시부하의 역률은 1로 본다)

 

  다. 축전지의 수명이 있고 또한 그 말기에 있어서는 부하를 만족하는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계수로서 보통 0.8로 표시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보수율 (용량저하율)

  라.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전상태, 가변운 설페이션 현상 등이 생겼을 때 기능회복을 위하여 실시하는 충전방식은 ?

        회복 충전방식

#상용전원 #비상전원 #예비전원 #자동절환개폐기 #ATS #배선용차단기 #MCCB

#차단기 #개폐기 #무정전전원장치 #UPS #누전경보기 #축전지 #부동충전방식

#연축전지 #알칼리축전지 #균등충전방식 #세류충전방식 #회복충전방식

#전기저장장치 #비상전원수전설비 #전력퓨즈

반응형
반응형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실내의 산소 농도를 낮추거나 연소면의 공기공급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설비

1.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수동식 기동장치의 설치기준

  ① 전역방출방식은 방호구역마다, 국소방출방식은 방호대상물 마다 설치할 것

  ② 해당 방호구역의 출입구 부분 등 조작을 하는 자가 쉽게 피난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③ 기동장치의 조작부는 바닥으로 부터 높이 0.8[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보호판 등에 따른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④ 기동장치에는 그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기동장치"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⑤ 전기를 사용하는 기동장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⑥ 기동장치의 방출용 스위치는 음향경보장치와 연동하여 조작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2.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의 설치기준

  ① 제어반은 수동기동장치 또는 감지기에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경보장치의 작동, 소화약제의 방출 또는 지연 기타의

     제어기능을 가진 것으로 하고, 제어반에는 전원표시등을 설치할 것

  ② 화재표시반은 제어반에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하되, 다음 기준에 따라 설치할 것

    ㉠ 각 방호구역마다 음향경보장치의 조작 및 감지기의 작동을 명시하는 표시등과 이와연동하여 작동하는 벨 · 부저 등의

         경보기를 설치할 것. 이 경우 음향경보장치의 조작 및 감지기의 작동을 명시하는 표시등을 겸용할 수 있다.

    ㉡ 수동식 기동장치는 그 방출용 스위치의 작동을 명시하는 표시등을 설치할 것

    ㉢ 소화약제의 방출을 명시하는 표시등을 설치할 것

    ㉣ 자동식 기동장치는 자동·수동의 절환을 명시하는 표시등을 설치할 것

  ③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의 설치장소는 화재에 따른 영향, 진동 및 충격에 따른 영향 및 부식의 우려가 없고 점검에 편리

       한 장소에 설치할 것

  ④ 제어반 및 화재표시반에는 해당 회로도 및 취급설명서를 비치할 것

  ⑤ 수동잠금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등을 설치할 것

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음향경보장치의 설치기준

  ① 수동식 기동장치를 설치한 것은 그 기동장치의 조작과정에서 자동식 기동장치를 설치한 것은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경보를 발하는 것으로 할 것

  ② 소화약제의 방사개시 후 1분 이상 경보를 계속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③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 안에 있는 자에게 유효하게 경보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④ 증폭기의 재생장치는 화재시 연소의 우려가 없고, 유지관리가 쉬운 장소에 설치할 것

  ⑤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2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⑥ 제어반의 복구 스위치를 조작하여도 경보를 계속 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참고] 제어반에서 기동스위치 조작시 기동용기가 개방되지 않는 이유

 ① 기동 스위치 불량 (접점불량 등)
 ② 제어반의 전원공급차단
 ③ 제어반과 전자개방밸브(솔레노이드 밸브) 사이에 연결된 배선의 단선 또는 오접속
 ④ 제어반에 설치된 기동용 시한계전기(타이머) 불량
 ⑤ 전자개발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코일 단선 또는 절연불량

 

4. 이산화탄소(CO2) 설비의 블록 다이어그램

 

5.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동작순서

  ① 2개 이상의 감지기 회로 작동

  ② 수신반에 신호

  ③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점등

  ④ 사이렌 경보

  ⑤ 기동용기 솔레노이드 개방

  ⑥ 약제방출

  ⑦ 압력스위치 작동

  ⑧ 방출표시등 점등

【 출제 예상 문제 】

1. 다음은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가. 전역방출방식에 있어서는 (방호구역) 마다, 국소방출방식에 있어서는 (방호대상물) 마다 설치할 것

  나. 기동장치의 조작부 설치 높이를 쓰시오.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

  다. 수동식 기동장치의 타이머를 순간 정지시키는 기능의 스위치(비상스위치)를 설치하는 목적은 ?

        소화약제의 방출 지연

2.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음향경보장치를 설치하려고 한다.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이 있는 구획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며, 소화약제의 방사 개시 후 음향경보장치는 몇 분 이상 경보

    를 계속할 수 있게 하여야 하는가 ? ① 수평거리 25 [m] 이하, ② 경보시간 : 1분 이상

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제어반에서 수동으로 기동스위치를 조작하였으나 기동용기가 개방되지 않았다. 기동용기가

     개방되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전기적 원인 4가지만 쓰시오. (단, 제어반의 회로기판은 정상이다)

  ① 기동스위치 불량

  ② 제어반의 전원공급 차단

  ③ 제어반에 설치된 기동용 시한계전기 불량

  ④ 전자개방밸브 코일단선 또는 절연불량

4. 다음은 가스압 기동방식 CO2 설비의 계통을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것이다.

    □ 안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장치명을 기재하고 그 장치의 기능에 대해 요약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① 압력스위치 : 선택밸브의 개방에 따른 소화약제가 방출되면 이 압력에 의해 컨트롤판넬에 신호를 보냄

  ② 방출표시등 : 소화가스의 방출을 알려 실내로의 입실 금지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

  ▣ 할로겐 화합물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억제 효과 (부촉매 효과)를 이용하여 소화하는 설비

1.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의 작동흐름

 

[작동순서]

  ① 2개 이상의 감지기 회로 작동

  ② 수신반에 신호

  ③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점등

  ④ 사이렌 경보

  ⑤ 기동용기 솔레노이드 개방

  ⑥ 약제 방출

  ⑦ 압력스위치 작동

  ⑧ 방출표시등 점등

2. 할로겐 화합물 소화설비 기기의 설치장소 및 설치 목적

  ① 경보 사이렌

    ⊙ 설치 위치 : 방호구역 내

    ⊙ 설치목적 : 음향으로 경보하여 방호구역 내에 있는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하여

  ② 수동조작함

    ⊙ 설치위치 : 방호구역외 출입구 옆의 조작이 용이한 장소

  ③ 방출표시등

    ⊙ 설치위치 : 방호구역 외 출입구 상부

    ⊙ 설치목적 : 소화약제의 방출을 알리고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시키기 위하여

  ④ 압력스위치

    ⊙ 설치위치 : 저장용기실 (실린더실) 선택밸브 2차측

     ※ 선택밸브 : 화재가 발생한 방호구역에만 소화약제가 방출되도록 하는 밸브

【 출제 예상 문제 】

  1. 할론 소화설비에 설치되는 방출표시등 및 사이렌의 설치위치와 설치 목적을 쓰시오.

    가. 사이렌

     ① 설치위치 : 방호구역내

     ② 설치목적 : 음향으로 경보를 알려 실내에 있는 인명을 대피시킨다.

   나. 방출등

    ① 설치위치 : 방호구역외 출입구 상부

    ② 설치목적 : 소화약제의 방출을 알려 외부인의 출입을 금지시킨다.

2. 할론 1301 설비에 설치되는 방출지연스위치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안작성]

    ▣ 자동복귀형 스위치로서 수동식 기동장치의 타이머를 순간 정지시키는 기능의 스위치

#방호구역 #방호대상물 #전역방출 #국소방출 #화재표시반 #연소 #제어반 #소화약제

#이산화탄소 #CO2 #수동잠금밸브 #표시등 #음향경보장치 #수평거리 #기동장치

#증폭기 #확성기 #다이어그램 #시한계전기 #계전기 #감지기 #스위치

반응형
반응형

【스프링클러설비】

  ▣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또는 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방호구역 또는 방수구역에 물을 살수하여

      소화하는 자동소화설비

 

※ 스프링클러설비의 비교

구분
1차측
(밸브기준)
2차측
(밸브기준)
헤드의
종류
밸브의 종류
(명칭)
감지기
설치유무
습식
가압수
가압수
폐쇄형
습식유수검지장치
(알람체크밸브)
×
건식
가압수
압축공기
또는 질소
폐쇄형
건식 유수검지장치
(드라이밸브)
×
준비작동식
가압수
대기압
폐쇄형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프리액션밸브)
O
일제살수식
가압수
대기압
개방형
일제개방밸브
(델류지밸브)
O
부압식
가압수
부압(진공)
폐쇄형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프리액션밸브)
O

1. 스프링클러설비의 경보장치 (음향장치 및 기동장치)의 설치기준

  ① 습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건식 유수검지장치를 사용하는 설비에 있어서는 헤드가 개방되면 유수검지장치가 화재

      신호를 발신하고 그에 따라 음향장치가 경보되도록 할 것

  ②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하는 설비에는 화재감지기의 감지에 따라 음향장치가 경보되도록

       할 것. 이 경우 화재감지기회로를 교차회로 방식으로 하는 때에는 하나의 화재감지기회로가 화재를 감지하는 때에는

       음향장치가 경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③ 음향장치는 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 등의 담당구역마다 설치하되 그 구역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음향장치

       까지의 수평거리는 25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④ 음향장치는 경종 또는 사이렌(전자식 사이렌 포함)으로 하되, 주위의 소음 및 다른 용도의 경보와 구별이 가능한 음색

       으로 할 것. 이 경우 경종 또는 사이렌은 자동화재탐지설비 ·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설비의 음향장치와 겸용할

       수 있다.

  ⑤ 주음향장치는 수신기의 내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할 것

  ⑥ 층수가 11층 이상(공동주택은 16층)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에 따라 경보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2층 이상의 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및 그 직상 4개층에 경보를 발할 것

      ㉡ 1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 그 직상 4개층 및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 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⑦ 음향장치는 다음 기준에 따른 구조 및 성능의 것으로 할 것

     ㉠ 정격전압의 80 [%]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 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 [dβ] 이상이 되는 것으로 할 것

2.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신부 (제어반)의 기능

  ① 각 펌프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음향정보 기능이 있어야 할 것

  ② 각 펌프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중단시킬 수 있어야 할 것

  ③ 비상전원을 설치한 경우에는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의 공급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

  ④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가 저수위로 될 때 표시등 및 음향으로 경보할 것

  ⑤ 예비전원이 확보되고 예비전원의 적합여부를 시험할 수 있어야 할 것

  ⑥ 다음 각 확인회로마다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것

    ㉠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압력스위치회로

    ㉡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의 저수위감시회로

    ㉢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의 압력스위치회로

    ㉣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하는 설비의 화재감지기회로

    ㉤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급수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의 폐쇄상태 확인 회로

3.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감시제어반과 동력제어반으로 구분하여 설치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①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설비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000[㎡] 이상인 것

     ㉡ ㉠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특정소방대상물로서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것

  ② 내연기관에 따른 가압송수장치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

  ③ 고가수조에 따른 가압송수장치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

  ④ 가압수조에 따른 가압송수장치를 사용하는 스프링클러설비

4.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비상전원의 출력용량 충족 기준

  ① 비상전원 설비에 설치되어 동시에 운전될 수 있는 모든 부하의 합계 입력용량을 기준으로 정격출력을 선정할 것

       (단,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를 사용할 경우 제외)

  ② 기동전류가 가장 큰 부하가 기동될 때에도 부하의 허용 최저입력전압 이상의 출력전압을 유지할 것

  ③ 단시간 과전류에 견디는 내력은 입력용량이 가장 큰 부하가 최종 기동할 경우에도 견딜수 있을 것

5. 일제개방밸브의 작동기준

  ① 담당구역 내의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의하여 개방 · 작동될 것

  ② 일제개방밸브의 인근에서 수동기동(전기식 및 배수식)에 의하여도 개방 · 작동될 수 있게 할 것

  ③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에 화재감지기회로는 교차회로방식으로 하여야 할 것

6. 탬퍼스위치의 설치장소

  ① 주펌프의 흡입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② 주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③ 고가수조와 수직배관 사이의 개폐밸브

  ④ 유수검지장치, 일제개방밸브의 1차측 개폐밸브

  ⑤ 유수검지장치, 일제개방밸브의 2차측 개폐밸브

  ⑥ 충압펌프의 흡입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⑦ 충압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7. 유수검지장치의 전기적 작동방법

가.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① 수신반에서 솔레노이드밸브 개방

  ② 슈퍼비조리판넬의 기동스위치 ON (수동기동스위치를 누른 경우)

  ③ A·B회로가 다른 두 개의 감지기 동시 작동 (2개 회로의 감지기가 작동한 경우)

 

나.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① 수동기동함의 누름버튼을 눌러서 동작

  ② 수신반에서 해당 감지회로를 복수로 동작

8.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흐름도

 

[동작설명]

  습식 유수검지장치(알람체크밸브) 1차측과 2차측에 가압수가 모두 차 있다. 화재의 열에 의해 헤드가 개방되면 헤드에서

  물이 나오는 동시에 알람체크 2차측 배관내의 압력이 낮아진다. 1차측 가압수의 압력에 의해 알람밸브의 클램퍼가 개방

  되며 클램퍼가 개방되면 열리는 작은 통로를 통해 물이 들어가서 압력스위치의 접점을 붙인다. 압력스위치에서 발생한

  전기적인 신호가 제어반 즉, 수신기에 전달되어 화재표시등, 밸브개방표시등이 점등되며 사이렌이 울리게 된다. 이때

  배관 내의 압력이 낮아져서 펌프가 자동으로 가동하게 되어 개방된 헤드로 계속 물이 나온다. 화재시 신속한 소화가

  가능하고 겨울철 동결의 위험이 있는 곳은 사용하기 어렵다.

9.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 흐름도

 

[동작설명]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준비작동식 밸브) 1차측에는 가압송수장치로 부터 가압수가 채워져 있고 2차측에는 대기압

상태의 공기가 채워져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교차회로방식의 A감지기, B감지기가 동시에 작동되어 준비작동식 밸브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다.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면 준비작동식 밸브의 중간챔버에 물이 배수되면서 준비작동식 밸브가 개방된다. 준비작동식

밸브가 개방되면 1차측의 물이 각 헤드까지 송수되어 있다가 화재가 계속 성장해서 열이 가해지면 헤드가 개방되면서

살수되어 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 출제 예상 문제 】

1. 도면은 어떤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계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감지기, 소화설비반의

    표시부, 전자밸브, 준비작동식 밸브 및 압력스위치들간의  작동연계성(Operation sequence)을 요약 설명하시오.

 

[답안 작성]

   ① 감지기 A · B 작동 (하나의 감지기 작동시 경보 발령)

   ② 수신반에 신호 (화재표시등 및 지구표시등 점등)

   ③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

   ④ 준비작동식 밸브 작동 (개방)

   ⑤ 압력스위치 작동

   ⑥ 수신반에 신호 (기동표시등 및 밸브개방표시등 점등)

2. 스프링클러설비의 감시제어반에서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을 할 수 있어야 하는 회로 5가지를 쓰시오.

   ①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의 압력스위치 회로

   ②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의 폐쇄상태 확인 회로

   ③ 기동용 수압 개폐장치의 압력 스위치 회로

   ④ 일제 개방밸브를 사용하는 설비의 화재감지기 회로

   ⑤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의 저수위감시회로

3.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에 대하여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교차회로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하나의 담당구역 내에 2개 이상의 감지기 회로를 설치하고 2 이상의 감지기 회로가 동시에 감지되는 때에 설비가

         작동하는 방식

  나. 감시제어반에서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에 대하여 4가지 쓰시오.

    ① 기동용 수압 개폐 장치의 압력스위치 회로

    ②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의 저수위감시회로

    ③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의 압력스위치회로

    ④ 일제개방밸브를 사용하는 설비의 화재감지기회로

    ⑤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밸브의 폐쇄상태 확인 회로

4. 다음은 스프링클러의 음향장치의 구조 및 성능기준이다. (     )안을 채우시오.

  가. 정격전압의 ( ① 80 ) [%]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나.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 부터 ( ② 1 ) [m] 떨어진 위치에서 ( ③ 90) [dβ] 이상이 되는 것으로 할 것

5. 스프링클러설비에서 수조의 후드밸브로 부터 헤드까지의 배관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에는 탬퍼스위치(Temper Switch)

    를 설치하는데 이 탬퍼스위치의 설치장소를 5가지 쓰시오.

  ① 주펌프 흡입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개폐표시형 밸브

  ② 주펌프 토출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개폐표시형 밸브

  ③ 옥상수조측 급수배관에 설치된 개폐표시형 밸브

  ④ 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 1차측 개폐표시형 밸브

  ⑤ 준비작동식 유수검지장치 및 일제개방밸브 2차측 개폐밸브형 밸브

6. 다음은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과 관련 부대 전기설비의 배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각 기기들의 연계 작동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단, 압력챔버의 압력스위치 작동으로 펌프모터 MCC 작동,

     펌프모터 기동의 설명은 제외한다)

 

[답안작성]

화재발생 → 헤드개방 → 유수검지장치(알람체크밸브)의 작동 → 압력스위치 동작 → 소화설비반에 신호(화재표시등 및

밸브개방표시등 점등) → 사이렌 경보

7.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 감지기간의 배선방식으로 교차회로방식을 사용할 경우 한개의 감지기 회로가 작동

    하였을 때와 두 개의 감지기 회로가 동시에 작동하였을 때의 소화설비의 작동상황을 설명하시오.

  가. 한 개의 감지기회로가 작동하였을 경우 : 사이렌 경보

  나. 2 개의 감지기 회로가 동시에 작동하였을 경우 : 소화설비 작동

8.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비상전원의 출력용량 충족기준 3가지를 쓰시오.

  ① 비상전원 설비에 설치되어 동시에 운전될 수 있는 모든 부하의 합계 입력용량을 기준으로 정격출력을 선정할 것.

       (단, 소방전원 보존형발전기를 사용할 경우 제외)

  ② 기동전류가 가장 큰 부하가 기동될 때에도 부하의 허용 최저입력전압이상의 출력전압을 유지할 것

  ③ 단시간 과전류에 견디는 내력은 입력용량이 가장 큰 부하가 최종 기동할 경우에도 견딜 수 있을 것

9. 일제개방밸브의 작동기준에 대하여 2가지만 쓰시오.

  ① 담당구역 내의 화재감지기의 동작에 의하여 개방 · 작동할 것

  ② 일제개방밸브의 인근에서 수동기동(전기식 및 배수식)에 의하여 개방 · 자공될 수 있게 할 것

10. 평면도를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가. 이 설비의 명칭을 쓰시오.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또는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 설비

나. 이 설비에 대한 동작시퀀스를 설명하시오.

   ① 감지기 A · B 작동

   ② 수신반에 신호 (화재표시등 및 지구표시등 점등)

   ③ 전자밸브 작동

   ④ 준비작동식 밸브 또는 일제 살수식 밸브 작동

   ⑤ 압력스위치 작동

   ⑥ 수신반에 신호 (기동표시등 및 밸브개방표시등 점등)

#스프링클러 #준비작동식 #솔레노이드 #압력스위치 #일제개방밸브 #탬퍼스위치

#펌프모터 #MCC #비상전원 #압력챔버 #헤드 #유수검지장치 #후드밸브

#감지기 #화재감지기 #제어반

반응형
반응형

【 옥내 소화전 설비】

▣ 화재 초기에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소화전에 비치되어 있는 호스 및 노즐을 이용하여 소화를 하는 설비

1. 옥내 소화전 설비 표시등의 설치기준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 부터 15 [°] 이상의 범위 안

       에서 10 [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② 가압송수장치의 기둥을 표시하는 표시등은 옥내소화전함의 상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하되 적색등으로 할 것. 다만,

       자체소방대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경우 가압송수장치의 기둥표시등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옥내소화전설비의 제어반

  ① 감시제어반

    ▣ 소화설비용 수신반으로서 제어기능이 있는 것

  ② 동력제어반

    ▣ MCC (Motor Control Center) 패널을 말하며, 각종 동력장치의 제어기능이 있는 것

3. 옥내소화전설비의 상용전원회로 배선의 설치기준

  ① 저압수전인 경우에는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하여야 하며, 전용의 전선관에 보호되도록 할 것

  ② 특별고압수전 또는 고압수전일 경우에는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하되,

       상용전원의 상시공급에 지장이 없을 경우에는 주차단기 2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할 것

4. 옥내소화전설비의 비상전원

  가. 비상전원의 종류 :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

  나. 설치기준

    ① 점검에 편리하고 하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② 옥내소화전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할 것

    ③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④ 비상전원(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 축전지 제외)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이 경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외의 것 (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을 두어서는

        아니된다.

    ⑤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5. 비상전원의 설치 제외

   ① 2 이상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는 경우

   ② 하나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때에는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용

        전원을 설치하는 경우

   ③ 가압수조방식을 채용한 경우

6. 옥내소화전설비 감시제어반의 기능

   ① 각 펌프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음향경보기능이 있어야 할 것

   ② 각 펌프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중단시킬 수 있어야 할 것

   ③ 비상전원을 설치한 경우에는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의 공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

   ④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가 저수위로 될 때 표시등 및 음향으로 경보할 것

   ⑤ 각 확인회로 (기동용수압개폐장치의 압력스위치회로 ·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의 감시회로를 말한다)마다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을 할 수 있어야 할 것

   ⑥ 예비전원이 확보되고 예비전원의 적합여부를 시험할 수 있어야 할 것

【 출제 예상 문제 】

1. 옥내 소화전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비상전원의 종류 2가지를 쓰시오.

      ▣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

  나. 비상전원의 설치기준 5가지를 쓰시오.

    ①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

    ② 옥내소화전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을 것

    ③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

    ④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 구획하여야 하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장비외의

         것을 두지 말 것 (단, 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

    ⑤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2. 다음 표는 설비별 비상전원의 종류이다. 해당되는 비상전원에 ○ 표시를 하시오.

설비명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비상전원수전설비
전기저장장치
옥내소화전설비,
제연설비
o
o
o
비상콘센트설비
o
o
o
스프링클러설비
o
o
o
o

3. 다음은 옥내 소화전설비 감시제어반의 기능에 대한 적합기준이다. ( )안을 완성하시오.

   가. 각 펌프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① 표시등) 및 (② 음향경보) 기능이 있어야 할 것

   나.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가 (③ 저수위)로 될 때 표시등 및 음향으로 경보할 것

   다. 각 확인회로(기동용 수압개폐장치의 압력스위치회로 · 수조 또는 물올림탱크의 감시회로를 말한다) 마다 (④ 도통시

         험) 및 (⑤ 작동 ) 시험을 할 수 있어야 할 것

4. 옥내소화전설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 부터 몇 도 이상의 범위 안에

     서 몇 [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하는지 그림의 ( ) 안을 완성하시오.

 

5. 옥내소화전설비에서 비상전원의 설치를 제외할 수 있는 경우 3가지를 쓰시오.

   ① 2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는 경우

   ② 하나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사용전원

        을 설치한 경우

   ③ 가압수조방식을 채용한 경우

6. 다음은 옥내소화전설비의 전원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가. 저압수전인 경우에는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 전용 )배선으로 하여야 한다.

   나. 옥내 소화전설비의 비상전원은 ( ① 자가발전설비) 또는 (② 축전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 비상전원은 해당

         옥내소화전설비를 유효하게 (③ 20) 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7. 옥내소화전설비의 상용전원회로의 배선은 다음의 경우에 어디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하는지를 설명하시오.

   가. 저압수전인 경우 : 인입개폐기 직후에서

   나. 특고압 수전 또는 고압수전인 경우 :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에서

#옥내소화전설비 #감시제어반 #MCC #저압수전 #고압수전 #특고압수전 #비상전원

#상용전원 #기동표시등 #변전소 #예비전원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

#스프링클러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반응형
반응형

▣ 특정소방대상물의 지하층, 지하가 등에서 소화활동시 소방대의 무선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설비

1. 무선통신보조설비의 구성요소

  ① 누설동축케이블 : 동축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가느다란 홈을 만들어 전파가 외부로 새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② 동축케이블

  ③ 안테나

  ④ 분배기 : 신호의 전송로가 분기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임피던스 매칭 (Matching)과 신호 균등분배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

  ⑤ 분파기 :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

  ⑥ 혼합기 : 2개 이상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

  ⑦ 증폭기 : 신호 전송 시 신호가 약해져 수신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증폭하는 장치

  ⑧ 무선기기 접속단자

2.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종류 (방식)

  ① 누설동축케이블 방식 : 동축케이블과 누설동축케이블을 조합한 것

  ② 안테나 방식 : 동축케이블과 안테나를 조합한 것

  ③ 누설동축케이블과 안테나의 혼합방식 : 누설동축케이블과 안테나방식을 혼합한 것

3. 누설동축케이블 등의 설치기준

  ① 소방전용 주파수대에서 전파의 전송 또는 복사에 적합한 것으로서 소방전용의 것으로 할 것 (단, 소방대 상호간의

        무선연락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용도와 겸용할 수 있다.)

  ② 누설동축케이블과 이에 접속하는 안테나 또는 동축케이블과 이에 접속하는 안테나로 구성할 것

  ③ 누설동축케이블은 불연 또는 난연성의 것으로서 습기에 따라 전기의 특성이 변질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하고,

        노출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피난 및 통행에 장애가 없도록 할 것

  ④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4 [m] 이내

       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 등의 지지금구로 벽 · 천장 ·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것 (단, 불연재료로 구획된 반자

       안에 설치하는 경우는 제외)

  ⑤ 누설 동축케이블 및 안테나는 금속관 등에 따라 전파의 복사 또는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할

       것

  ⑥ 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는 고압의 전로로 부터 1.5 [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단, 해당 전로에 정전기

       차폐장치를 유효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제외)

  ⑦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무반사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할 것

    ※ 무반사 종단저항 : 무선통신용 신호가 동축케이블의 끝에 도달하면 갑자기 임피던스가 무한대로 되므로 그 지점에서

                                      반사하여 왔던 길로 되돌아가 메아리가 생기는데 이런 반사파를 없애기 위해 설치하는 것

  ⑧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가 50 [Ω]으로 하고, 이에 접속하는 안테나 · 분배기 기타의 장치는 해당

       임피던스에 적합한 것으로 할 것

[참고] 누설동축케이블 기호의 의미

     LCX - FR - SS - 20 D - 14 6
         여기서, LCX : 누설동축케이블 (Leaky Cozxial Cable)
                      FR : 난연성 (Flame Retardancy)
                      SS : 자기 지지 (Self Supporting)
                       20 : 절연체 외경 (20 [㎜])
                       D : 특성임피던스 (50 [Ω])
                       14 : 사용주파수 (14 : 145,400 [MHz] 대전용)
                        6 : 결합손실표시

4. 무선기기 접속단자의 설치기준

  ① 화재층으로 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에 의한 지장을 받지 않고 지상에서 유효하게 소방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 또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② 바닥으로 부터 높이 0.8 [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③ 지상에 설치하는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300 [m] 이내 마다 설치할 것

  ④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접속단자에서 5 [m] 이상의 거리를 둘 것

  ⑤ 지상에 설치하고, 먼지 · 습기 및 부식 등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아니하도록 조치할 것

  ⑥ 단자의 보호함 표면에 "무선기기 접속단자"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5. 분배기, 분파기 및 혼합기 등의 설치기준

  ① 먼지 · 습기 및 부식 등에 따라 기능에 이상을 가져오지 아니하도록 할 것

  ② 임피던스는 50 [Ω]의 것으로 할 것

  ③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6. 증폭기의 설치기준

  ①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저장장치 또는 교류전압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

       으로 할 것

  ②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전압계를 설치할 것

  ③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해당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유효하게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7.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설치 제외

  ① 지하층으로서 특정소방대상물의 바닥부분 2면 이상이 지표면과 동일한 경우의 해당층

  ② 지하층으로서 지표면으로 부터의 깊이가 1 [m] 이하인 경우의 해당층

8. 누설동축케이블의 결합손실

  ▣ 결합손실이란 어떤 전기회로에 어떤 기기 또는 물질을 추가로 삽입시켰을 때 이것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력손실을

       말한다.

 

9.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도시기호 (심벌)

 

【 출제 예상 문제 】

1.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증폭기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①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저장장치 또는 교류전압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용배선으로 할 것

  ②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회로 전원감시용 표시등 및 전압계를 설치할 것

  ③ 증폭기는 비상전원 부착용으로서 무선통신보조설비를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을 것

2. 무선통신보조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3.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 케이블은 화재에 의하여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될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4 [m] 이하 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 등의 지지금구로 벽, 천장, 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다만, 어떤 경우에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되는가 ?

  ▣ 불연재료로 구획된 반자 안에 설치된 경우

4.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증폭기를 설치하려고 한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

  가.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① 축전지), (② 전기저장장치 ) 또는 (③ 교류전압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

        의 배선은 (④ 전용)으로 할 것

  나.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⑤ 표시등) 및 (⑥ 전압계)를 설치할 것

  다.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해당 비상전원용량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유효하게 (⑦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5.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증폭기 및 무선기기 접속단자의 설치기준이다. ( ) 안을 답안지에 기입하시오.

  가.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① 표시등) 및 (② 전압계)를 설치할 것

  나.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해당 비상전원용량은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유효하게 (③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다.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바닥으로 부터 (④ 0.8) [m] 이상 (⑤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6. 무선통신 보조설비용 무선기기 접속단자의 설치기준을 4가지만 쓰시오.

  가. 바닥으로 부터 0.8 [m] 이상 1.5 [m] 이하의 높이에 설치

  나. 보호함 표면에 "무선기기 접속단자"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다.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는 장소, 지상에서 유효하게 소방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

  라. 지상 설치시 보행거리 300 [m] 이내 마다 설치하고 타 용도의 접속단자와 5 [m] 이상의 거리를 둘 것

7.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분배기, 분파기, 혼합기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시오.

  가. 분배기 : 신호의 전송로가 분기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으로 임피던스 매칭과 신호 균등분배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

  나. 분파기 :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

  다. 혼합기 : 두 개 이상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

8.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누설동축케이블의 끝 부분에는 어떤 것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하는가 ?  무반사 종단저항

  나. 증폭기를 설치할 때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여야 한다. 이 때 해당 비상전원용량은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유효하게 몇 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하는가 ? 30분 이상

  다.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바닥으로 부터 높이 몇 [m] 이상 몇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

         0.8 [m] 이상 1.5 [m] 이하

  라.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어떤 것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 표시등과 전압계

9.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등의 설치기준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누설동축케이블의 끝 부분에는 어떤 종류의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하여야 하는가? 무반사 종단저항

  나.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몇 [Ω]으로 하는가 ? 50 [Ω]

10. 무선통신 보조설비에 사용되는 무반사 종단저항의 설치위치 및 설치 목적을 쓰시오.

  가. 설치 위치 : 누설 동축케이블의 끝 부분

  나. 설치 목적 : 전송로로 전송되는 전자파가 전송로의 종단에서 반사되어 교신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함

11. 그림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간략도이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Zs는 전원임피던스, ZL는 부하임피던스이다.)

 

  가. 전력이 부하에 최대로 전달될 수 있는 조건은 ? Zs = ZL

  나. 전력을 부하에 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임피던스 매칭

  다. 누설동축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몇 [Ω]으로 하는가 ? 50 [Ω]

  라.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바닥으로 부터 높이 몇 [m] 이상 몇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

         0.8 [m] 이상 1.5 [m] 이하

  마. 지상에 설치하는 무선기기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몇 [m] 이내 마다 설치하는가 ?  300 [m] 이내

12.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종류 (방식) 3가지를 쓰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가. 누설동축케이블 방식 : 동축케이블과 누설동축케이블을 조합한 것

  나. 안테나방식 : 동축케이블과 안테나를 조합한 것

  다. 누설동축케이블과 안테나의 혼합방식 : 누설동축케이블방시과 안테나방식을 혼합한 것

13.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의 기호를 보기에서 찾아 쓰시오.

  ① LCX - ② FR - ③ SS - ④ 20 - ⑤ D - ⑥ 14 - ⑦ 6

  보기) 난연성(내열성), 사용주파수, 절연체 외경, 자기지지, 누설동축케이블, 특성임피던스 

  [답안작성]

  ① 누설동축케이블        ② 난연성(내열성)             ③ 자기지지        ④ 절연체 외경

  ⑤ 특성임피던스             ⑥ 사용주파수 ⑦ 결합손실 표시

14. 다음 무선통신보조설비 그림기호의 명칭을 쓰시오.

 

15. 다음은 무선통신보조설비에서 쓰이는 그림기호이다. 명칭과 기능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16. 다음은 무선통신보조설비에 대한 내용이다. 각 물음에 답하시오.

 

17.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는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분배기, 분파기, 혼합기 등의 설치기준 3가지를 쓰시오.

   ① 먼지, 습기 및 부식 등에 따라 기능에 이상을 가져오지 아니하도록 할 것

   ② 임피던스는 50 [Ω]의 것으로 할 것

   ③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18.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무반사 종단저항과 안테나의 설치이유를 쓰시오.

   가. 무반사 종단저항 : 전송로로 전송되는 전자파가 전송로의 종단에서 반사되어 교신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함

   나. 안테나 : 전파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무선통신보조설비 #동축케이블 #누설동축케이블 #분배기 #안테나 #분파기 #혼합기

#증폭기 #무반사종단저항 #임피던스 #임피던스매칭 #종단저항 #접속단자 #결합손실

#축전지 #표시등 #전기저장장치 #전압계

반응형
반응형

【 비상콘센트 설비】

  ▣ 화재발생시 소방대의 필요한 전원을 전요회선으로 공급받기 위한 설비

[참고] 전압의 분류

구 분
전 압
저압
교류 (AC)
1,000 [V] 이하
직류 (DC)
1,500 [V] 이하
고압
교류 (AC)
1,000 [V] 초과 7,000 [V] 이하
직류 (DC)
1,500 [V] 초과 7,000[V] 이하
특고압
7,000 [V] 초과

1. 비상콘센트설비 전원의 설치기준

가. 상용전원

  ① 저압수전인 경우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 배선으로 하여야 한다.

 

  ② 고압수전 또는 특고압수전인 경우에는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 또는 2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

       로 하여야 한다.

 

나. 비상전원

  ① 비상전원 설치대상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000[㎡] 이상이거나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 이상

         인 소방대상물의 비상콘센트설비에는 자가발전설비, 비상전원수전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할

         것

  [예외규정] 비상전원을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경우

    ⊙ 둘 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경우

    ⊙ 하나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때에는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용전원을 설치한 경우

  ② 비상전원 중 자가발전설비의 설치기준

    ㉠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 비상콘센트 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2. 비상콘센트설비 전원회로의 설치 기준

  ① 비상콘센트 설비의 전원회로는 단상 교류 220 [V]인 것으로서, 그 공급용량은1.5[kVA] 이상으로 할 것

  ② 비상콘센트의 플러그 접속기는 접지형 2극 플러그 접속기를 사용할 것

  ③ 전원회로는 각 층에 있어서 2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단, 설치하여야 할 층의 콘센트가 1개인 때에는 하나의 회로로 할 수 있다)

  ④ 전원회로는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할 것

      (단, 다른 설비의 회로의 사고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아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제외)

  ⑤ 전원으로 부터 각 층의 비상콘센트에 분기되는 경우에는 분기배선용 차단기를 보호함안에 설치할 것

  ⑥ 콘센트 마다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충전부가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할 것

  ⑦ 개폐기에는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⑧ 비상콘센트용의 풀박스 등은 방청도장을 한 것으로서, 두께 1.6 [㎜] 이상의 철판으로 할 것

  ⑨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할 것. 이 경우 전선의 용량은 각 비상콘센트 (비상콘센트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3개)의 공급용량을 합한 용량 이상의 것으로 할 것

설치하는
비상콘센트 수량
전선용량 산정시
적용하는 비상콘센트 수량
전선의 용량
1
1개 이상
1.5 [kVA] 이상
2
2개 이상
3.0 [kVA] 이상
3~10개
3개 이상
4.5 [kVA] 이상

  ⑩ 비상콘센트의 플러그접속기의 칼받이의 접지극에는 접지공사를 할 것

3. 비상콘센트의 설치기준

  ① 바닥으로 부터 높이 0.8 [m] 이상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② 비상콘센트의 배치

조 건
배 치
⊙ 아파트
⊙ 바닥면적 1,000 [㎡] 미만 층
⊙ 계단의 출입구로 부터 5 [m]이내
⊙ 바닥면적 1,000 [㎡] 이상 층  (아파트 제외)
⊙ 각 계단의 출입구로 부터 5 [m] 이내
⊙ 계단 부속실의 출입구로 부터 5 [m] 이내

  ③ 설치거리

조 건
설치거리
지하상가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 이상
수평거리 25 [m] 이하
기 타
수평거리 50 [m] 이하

4. 비상콘센트 보호함의 설치기준

  ① 보호함에는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을 설치할 것

  ② 보호함 표면에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③ 보호함 상부에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할 것 (단, 비상콘센트의 보호함을 옥내 소화전함등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는 옥내소화전함 등의 표시등과 겸용할 수 있다)

5. 비상콘센트의 배선의 설치기준

  ▣ 전원회로의 배선은 내화배선으로, 그 밖의 배선은 내화배선 또는 내열배선으로 할 것

6. 비상콘센트설비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가. 절연저항 (전원부와 외함 사이)

    ▣ 직류 500 [V]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20 [MΩ] 이상일 것

 

나. 절연내력 (전원부와 외함 사이)

  ① 정격전압 150 [V] 이하 : 1,000 [V]의 실효전압을 가하여 1분 이상 견딜 것

  ② 정격전압 150 [V] 이상 : (정격전압 × 2) + 1,000 [V]의 실효전압을 가하여 1분 이상 견딜 것

7. 비상콘센트 설비의 설치대상

설치 대상
설치조건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11층 이상의 층
지하 3층 이상이고 지하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이상
지하층의 모든 층
지하가 중 터널
500 [m] 이상

【출제예상문제】

1. 25층 건물에 비상콘센트 설비를 하였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전원은 단상 220 [V] 이다)

  가. 비상콘센트설비의 설치목적은 ?

    ▣ 소방대의 조명용 또는 소화활동에 필요한 장비의 전원용

  나. 비상콘센트의 전원선의 배선은 무엇이며 전체회로의 전선 가닥수는 ?

    ① 배선 : 내화배선

    ② 전선 가닥수 : 11층 ~ 25층 : 각층에 설치 15 / 10 = 1.5회로 = 2회로

         각층에 2회로 : 2회로 × 2 = 4회로 전선가닥수 : 4 × 2 = 8가닥

  다. 화재시 연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단상 3[kW], 역률 0.65인 송풍기를 설치할 때 흐르는 전류의 값 [A]은 ?

        P = VI cos θ ⇒ I = P / V cos θ I = 3 × 103 / 220 × 0.65 ≒ 20.98 [A]

  라. 전원회로는 각 층에 있어서 몇 개 이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 2개

  마. 하나의 전용회로에 비상콘센트의 전선의 용량은 어떻게 선정하는지 구체적으로 답하시오.

    ▣ 비상콘센트 (비상콘센트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3개)의 공급용량을 합한 용량

2. 다음은 비상콘센트 보호함의 시설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 보호함에는 쉽게 개폐할 수 있는 ( ① 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 비상콘센트의 보호함 (② 표면)에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 표지를 하여야 한다.

  ⊙ 비상콘센트의 보호함 상부에 (③ 적색)의 (④ 표시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비상콘센트의 보호함을 옥내소화전함

       등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옥내소화전함) 등이 표시등과 겸용할 수 있다.

3. 비상콘센트 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전원회로의 종류, 전압 및 그 공급용량을 쓰시오.

    ① 전원회로의 종류 : 단상 교류

    ② 전압 : 220 [v]

    ③ 공급용량 : 1.5 [kVA] 이상

  나.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몇 개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 10개 이하

  다. 비상콘센트의 그림기호(심벌)를 그리시오.

 

4. 비상콘센트를 11층에 2개소, 12층에 2개소, 13층에 1개소 등 모두 5개를 설치하려고 한다. 몇 회로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사용전압은 단상 교류 220 [V]를 사용한다고 한다)

        5 /10 = 0.5 ⇒ 1회로 1층 마다 2회로 ∴ 1 × 2 = 2회로

  [답안작성] 단상 교류 220 [V] 2회로

5. 비상콘센트 설비의 전원회로 (비상콘센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의 설치기준에 대한 다음 표의 빈칸을 완성하시오.

전원방식
전압 [V]
공급용량 [kVA]
플러그접속기
단상교류
220 [V]
1.5 [kVA]
접지형 2극

6. 비상콘센트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지하층을 제외한 몇 층 이상의 각 층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 11층 이상

  나. 직류 500 [V]급 절연저항계로 어디를 측정한 값이 20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

    ▣ 전원부와 외함사이

  다. 비상콘센트와 검상시험방법 및 판정기준을 쓰시오.

    ① 검상시험방법 : 소화활동장비를 접지형 2극 플러그접속기에 접속한다.

    ② 판정기준 : 정상적으로 작동할 것

7. 비상콘센트설비의 상용전원회로의 배선은 다음의 경우에 어디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하는지를 설명하시오.

  가. 저압수전인 경우 : 인입 개폐기 직후에서

  나.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 또는 2차측에서

8. 그림과 같이 6층 건물에 비상콘센트를 설치하였다. 사용전압은 단상 220 [V]일 때 간선 (화살표 부분)에 걸리는 정격전류

     를 구하시오 (단, 역률은 각 90[%]로 한다)

 

[답안작성]

9. 비상콘센트 보호함의 설치기준에 의해 비상콘센트 보호함에 설치해야 할 것 3가지를 쓰시오.

   ①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

   ②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 표지

   ③ 적색의 표시등

10. 비상콘센트 비상전원으로 자가발전설비 설치시 비상전원의 설치기준 5가지를 쓰시오.

  ① 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② 비상콘센트 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을 것

  ③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

  ④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하여야 하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 외의 것을 두지 말 것 (단, 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 제외)

  ⑤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11. 비상콘센트 설비를 하려고 한다. 다음의 경우에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

  가. 비상콘센트의 플러그 접속기는 구체적으로 어떤 형 (종류)의 플러그 접속기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 접지형

  나.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가 7개이다. 이 경우에 전선의 용량은 비상콘센트 몇 개의 공급용량을 합한

        용량 이상의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 ? 3개

  다. 비상콘센트 설비의 전원부와 외함 사이의 절연저항의 측정방법 및 절연내력의 시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적합한

        기준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① 절연저항 측정방법 : 직류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20 [MΩ] 이상

    ② 절연내력의 시험방법

      ㉠ 정격전압이 150 [V] 이하 : 1,000 [V]의 실효전압을 가하여 1분 이상 견딜 것

      ㉡ 정격전압이 150 [V] 이상 : 정격전압에 2를 곱하여 1,000을 더한 실효전압을 가하여 1분 이상 견딜 것

12. 비상콘센트의 비상전원으로 자가발전설비나 비상전원 수전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2가지를 쓰시오.

   ① 둘 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는 경우

   ② 하나의 변전소에서 전력 공급이 중단될 때 자동으로 타 변전소에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용전원을 설치한 경우

13. 지하 3층, 지상 14층 건물에 비상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할 층에 2개씩 설치한다면 비상콘센트는 몇 개가 필요한 지

       직접 계통도에 그려 넣으시오.

 

   [답안작성]

 

14. 비상콘센트 설비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전압은 단상 교류 220 [V]를 사용한다)

  가. 비상콘센트를 설치하는 목적을 쓰시오.

    ▣ 소방대의 조명용 또는 소방활동상 필요한 장비의 전원설비로 사용하기 위하여

  나. 지상 11층인 건물에 비상콘센트를 설치하고자 한다. 가닥수는 몇 가닥인가 ?

      (단, 전지선은 1가닥으로 한다)

   ▣ 3가닥 (단상 2가닥, 접지선 1가닥)

다. 단상용 콘센트에 2 [kW]용 송풍기를 연결하여 운전하면 몇 [A]의 전류가 흐르는가 ?

    (단, 송풍기의 역률은 70%이다)

15. 비상콘센트 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다음 빈칸을 완성하시오.

  가. 전원회로는 각 층에 있어서 (① 2 이상)이 되도록 할 것. 다만, 설치하여야 할 층의 비상콘센트가 1개인 때에는

        하나의 회로로 할 수 있다.

  나. 전원회로는 (②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할 것. 다만, 다른 설비의 회로의 사고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아니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다. 콘센트 마다 (③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며, (④ 충전부)가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라.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④ 10개) 이하로 할 것

16. 비상콘센트 설비의 비상전원으로 자가발전설비 또는 비상전원 수전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2가지를 쓰시오.

   ① 7층 이상 (지하층 제외)으로서 연면적 2,000 [㎡] 이상

   ② 지하층의 바닥 면적 합계가 3,000 [㎡] 이상

17. 비상콘센트 설비의 설치대상 3가지를 쓰시오.

   ① 11층 이상의 층 (지하층 제외)

   ② 지하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 [㎡] 이상인 것은 지하층

   ③ 지하가 중 터널 길이가 500 [m] 이상

18. 비상전원 중 자기발전설비를 사용하는 비상콘센트는 유효하게 몇 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하여야 하는가 ?

      20분 이상

19. 비상콘센트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   ) 안을 완성하시오.

  가. 바닥으로 부터 높이 (① 0.8 [m]) 이상 ( ② 1.5 [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나. 비상콘센트의 배치는 아파트 또는 바닥면적이 1,000 [㎡] 미만인 층은 계단의 출입구 (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하며,

       계단이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그 중 1개의 계단을 말한다.) 의 출입구 또는 계단부속실의 출입구 (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하며 계단이 3 이상 있는 층의 경우에는 그 중 2개의 계단을 말한다.)로 부터 (④ 5 ) [m] 이내에 설치하되,

       그 비상콘센트로 부터 그 층의 각 부분까지의 거리가 다음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기준 이하가 되도록

       비상콘센트를 추가하여 설치할 것

  다. 지하상가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⑤ 3,000) [㎡] 이상인 것은 수평거리 (⑥ 25 [m])

20. 비상콘센트 설비 중 연면적 2,000 [㎡] 이상 7층 건물에 사용하는 비상전원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가. 어떤 전원설비를 사용하여야 하는지 2가지를 쓰시오.

    ▣ 비상전원수전설비, 자가발전설비

  나.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부와 외함 사이의 절연저항의 측정방법에 대하여 쓰시오.

   ▣ 직류 500 [V] 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20 [MΩ] 이상

21. 15층 건물에 비상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할 층에 1개씩 설치하였다.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단, 역률은 0.85이며, 안전율은 1.25배를 적용할 것)

  가. 단상 220 [V]를 사용할 때 간선의 허용전류 [A]는 ?

  나. 이 건물에 설치하여야 하는 비상콘센트의 개수는 몇 개인가 ? 5개

#비상콘센트 #접지 #저압 #고압 #특고압 #전원회로 #변전소 #전용회로

#풀박스 #충전부 #절연저항 #시설용량 #주배전반 #특정소방대상물

#보호함 #절연내력 #수평거리 #터널 #단상 #교류 #직류

반응형
반응형
 

1. 가압송수장치

  ▣ 지표면에서 최상층 방수구의 높이가 70 [m]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가. 가압송수장치는 방수구가 개방될 때 자동으로 기동되거나 또는 수동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가동되도록 할 것.

       이 경우 수동스위치는 2개 이상 설치하되, 그 중 1개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송수구 부근에 설치하여야 한다.

   ① 송수구로 부터 5 [m] 이내의 보기 쉬운 장소에 바닥으로 부터 높이 0.8 [m] 이상 1.5 [m] 이하로 설치할 것

   ② 1.5 [㎜] 이상의 강판함에 수납하여 설치하고 "연결송수관설비 수동스위치"라고 표시한 표지를 부착할 것.

        이 경우 문짝은 불연재료로 설치할 수 있다.

   ③ 접지하고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할 것

 나.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할 것

   ① 내연기관의 기동은 기동장치의 기동을 명시하는 적색등으로 설치할 것

   ② 제어반에 따라 내연기관의 자동기동 및 수동기동이 가능하고, 상시 충전되어 있는 축전지 설비를 갖출 것

   ③ 내연기관의 연료량은 펌프를 20분 (층수가 30층 이상 49층 이하는 40분, 50층 이상은 60분) 이상 운전할 수 있는

        용량일 것

2. 전원 등

가. 가압송수장치의 상용전원회로의 배선 및 비상전원 기준

  ① 저압수전인 경우 :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할 것

  ② 특별고압수전 또는 고압수전일 경우 : 전력용 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하되,

       사용전원회로의 배선기능에 지장이 없을 경우에는 주차단기 2차측에서 분기아혀 전용배선으로 할 것

나. 비상전원은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

      축전지를 말한다) 또는 전기저장장치(외부 전기에너지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한 때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다음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① 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② 연결송수관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할 것

  ③ 상용전원으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④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할 것. 이 경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외의

       것 (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한다)을 두어서는 아니된다.

  ⑤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

【 출제 예상 문제 】

1. 연결 송수관설비의 가압송수장치에 대한 다음 물음에 답하고 ( )안을 완성하시오.

  가. 지표면에서 최상층 방수구의 높이가 몇 [m]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연결 송수관설비의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

        야 하는가 ? 70 [m] 이상

  나. 송수구로 부터 ( ① 5 [m]) 이내의 보기 쉬운 장소에 바닥으로 부터 높이 ( ② 0.8 [m] 이상 1.5 [m] 이하)로 설치할 것

  다. (③1.5 [㎜]) 이상의 강판함에 수납하여 설치하고 "연결송수관 설비 수동스위치"라고 표시한 표지를 부착할 것. 이 경우

        문짝은 (④ 불연재료)로 설치할 수 있다.

#연결송수관설비 #가압송수장치 #방수구 #비상전원 #상용전원 #70m #표지

#전기저장장치 #자가발전설비 #전기저장장치 #변압기 #개폐기 #차단기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