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상태공간법 : 현재의 회로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

  ◎ 상태방정식 : 계통방정식이 n차 미분방정식일 때, 이것을 n개의 1차 미분방정식으로

                            바꾸어서 행렬을 이용하여 표현한 것

  ※ 미분방정식 ⇒ 3개의 1차 미분방정식 (행렬) ⇒ 상태천이방정식(상태천이행렬)

     (3차방정식)                        (상태방정식)

                       * 답 찾는 방법 정도만 다룸

1. 상태 방정식 

  계통의 방정식이 n차 미분방정식일 때,

    1차방정식 n개로 나타낸다.

    (행렬을 이용하여 표현)

 

    ※ 시스템행렬과 제어행렬로 나타 내는데 시스템 행렬이 더 중요함

★★  det : determinant 구하는 방법

 

 2. 상태천이행렬

◎ 상태천이방정식 : 입력 r(t)="0"이고 초기 조건만 주어졌을 때, (초기시간 이후에는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초기시간 이후에 나타나는 계통의

                                 시간적 변화상태를 나타내는 행렬식

  ※ 상태천이 방정식 안에 상태천이 행렬이 있음

       상태방정식의 일반식

 
 

   ※  상태천이행렬의 성질

3. Z변환

 ※ "L" 라플라스변환 : 연속인 선형적 시스템, 규칙적 시스템

    "Z" 변환 : 불연속인 비선형 시스템, 불규칙 이산 시스템

① Z변환과 라플라스 변환

 
 

② S평면 ⇒ Z평면

 

③ Z변화의 중요정리

4. 가제어, 가관측

   : 제어의 기능과 불가능, 관측의 가능과 불가능을 판별한다.

반응형

'전기인이 되는 길 > 제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D 제어 (비례 · 적분 · 미분 제어) 란 ?  (0) 2023.01.10
시퀀스 제어  (0) 2023.01.10
근궤적  (0) 2023.01.10
[연습문제] 자동제어계의 주파수 영역해석  (0) 2023.01.10
제어계의 안정도  (0) 2023.01.10
반응형

1. 근궤적

S^2+3S+K = 0 이라고 할 때

  상수 K 값이 변함에 따라 근이 변하게 되는데

  근이 변함에 따라 안정 · 불안정을 판별할 수 있다.

   ⊙ 근 : 특성방정식의 근 - 안정과 불안정을 판별해 줌

   ⊙ S평면 상에서 개루프 전달함수(G(s)·H(s))의 이득상수 K를 "0"에서 ∞까지

       변화시킬 때 근이 그리는 궤적

       ⇒ 근궤적을 통해서 안정, 불안정을 판별할 수 있다.

ex) 이득상수 K의 변화에 따라 계의 특성방정식의 특성근이 어떻게 변화하는가?

[근궤적 및 안정도]

  ① k = 0, s = -2 or 0

  ② 0 < k < 1, s = 서로 다른 음의 실근

  ③ k = 1, s = -1 (중근)

  ④ k > 1, s = 음의 공액 복소수

  ⑤ k < 0, s = 양의 실수, 음의 실근, 불안정 가능

 

2. 근궤적 작성

 ① 근궤적의 출발 : 극점

 ② 근궤적의 도착 : 영점

 ③ 근궤적의 갯수 = 극점과 영점 중 많은 것의 갯수, 특성방정식의 최고 차수

 

④ 근궤적의 대칭 : 실수축 대칭

 

⑤ 실수축 상의 근궤적의 범위 :

   ⊙ 극점과 영점의 총 개수가 홀수 구간에만 존재 ( - ∞ 에서 부터 시작)

 

⑥ 근궤적 점근선의 각도

  ⊙ 1각도 실수축과의 내각

  ⊙ 2각도 실수축과의 외각

  ⊙ 3각도 180˚

⑦ 점근선의 교차점

 

⑧ 허수축과의 교차점 ⇒ 임계 안정 (루스표로 판별) 조건으로 계산

 
 

⑨ 이탈점, 분지점 : 특성방정식의 중근이 되는 경우

  ⊙ 근궤적이 나뉘어 지는 점

 
 

 

반응형

'전기인이 되는 길 > 제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퀀스 제어  (0) 2023.01.10
상태공간법  (0) 2023.01.10
[연습문제] 자동제어계의 주파수 영역해석  (0) 2023.01.10
제어계의 안정도  (0) 2023.01.10
자동제어계의 주파수 영역해석  (0) 2023.01.10
반응형

연습문제 1

문 2) G(s) = s, G(jω) = jω 의 곡선은 ?

 

문 3) 그림과 같은 곡선이 나오는 주파수응답은?

 

문 4) 전압비가 107일 때 이득은 얼마(dB)인가?

 

문 6)

문 10)

반응형

'전기인이 되는 길 > 제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태공간법  (0) 2023.01.10
근궤적  (0) 2023.01.10
제어계의 안정도  (0) 2023.01.10
자동제어계의 주파수 영역해석  (0) 2023.01.10
자동제어계의 시간영역 해석 : 안정상태  (0) 2023.01.10
반응형

1. 안정도

  ⊙ 특성방정식의 근으로 안정과 불안정을 파악한다.

   ◎ 안정도 : 안정도란 시스템이 불안정하면 과도응답과 정상상태의 오차들은 논의할

                      가치가 없게 되므로 불안정한 시스템은 특별한 과도응답이나 정상상태의

                      오차의 요구사항으로 설계될 수 없으므로 모든 제어회로는 반드시 안정되어야 한다.

    ⇒ 특성방정식이 2차식까지는 계산에 의해 근을 구할 수 있으나

        3차식 이상일 경우에는 특성방정식의 근을 구하기 힘들다.

        따라서...

     ① 절대 안정도 : 루스, 후르비쯔 : O, X 판별

     ② 상대 안정도 : 나이퀴스트 : 안정도의 정도까지 판별

    ③ 보드 선도

         이 3가지 방법으로 안정도를 파악한다.

    ※ 제에계의 안정조건

       ⊙ 특성방정식 (1+G(s) · H(s))의 근이 모두 좌반평면에 있을 것

  ① 절대 안정도 : 루스 판별법

        ⇒ 안정 여부만 판별 가능 : O, X 판별

      에   

       1. 모든 차수의 계수가 존재할 것

       2. 모든 차수의 부호가 같을 것 (0차는 예외적으로 봄)

       3. 루스표 1열의 부호가 같을 것

           (루스표 1열의 부호 변화 수 만큼 근이 우반평면에 존재)

 

  ※ 루스표 만드는 방법

※ 부호가 바뀐 횟수 만큼 우반 평면에 근의 갯수가 존재한다.

 

S4 1 3 5
S3 2 1 0
S2 2×31×12= 2.5 2×51×02= 5 2×01×02= 0
S1 2.5×12×52.5= 3 2.5×02×02.5=0 2.5×02×02.5= 0
S0 3×52.5×03= 5 3×02.5×03= 0 3×02.5×03= 0
∴ 불안정 : 1열 부호가 2번 바뀜 ---> 특성방정식의 근이 우반평면에 2개 존재한다.

② 상대안정도 : 나이퀴스트 안정도

​  ⊙ 특성 방정식의 근들의 영점이 복소평면 우반부에 존재하는가를 벡터궤적을 통해 판별하는 방식

  ⊙ 특 징

     ◎ 절대 안정도(안정/불안정) 판단 가능

     ◎ 안정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 제시

     ◎ 스스템의 주파수 영역 응답에 대한 정보 제공

※ 안정도 판별법

  ⇒ 개루프전달함수(G(jω) · H(jω))를 0 ~ ∞ 로 변화시킬 때

      벡터 궤적이 (실부부 -1, 허수부 j0)인 점을

     왼쪽으로 보면서 수렴하면 안정

     오른쪽으로 보면서 수렴하면 불안정으로 판별

 

   ※ 위상의 여유와 이득의 여유

 

  ◎ 이득여유는 벡터궤적이 음의 실수축과 만나는 점과 판별점(-1, j0) 과 간격(차이)

  ◎ 이득 주파수 : 이득곡선과 단위 원과 만나는 점의 주파수

  ◎ 위상여유 Θ = 180˚ - α

      - 단위 원과 만나는 점과 실수축과의 각도

  ◎ 위상의 여유와 이득의 여유가 크면 클 수록 안정하다는 것

   ※ 이득의 여유 구하는 방법

     : G(s) · H(s)의 허수부가 0(jω=0)인 순간의 여유

예제1)

예제2)

③ 보드 선도에 의한 안정도 판별법

 

  ◎ 이득 교차점에서 위상이 -180˚ 보다 크고,

      위상 곡선과 -180˚선 교차점에서 이득이 음수이면 "안정"

※ 안정도 문제

문제 6) S4+2S3+S2+4S+2=0 일 때 안정도는 ?

             계수의 부호가 2번 바뀌었으므로 불안정, 우반평면에 근 2개

             ※ 차수에 "0"이 나오면 임계안정

문제10) 다음 전달함수일 때 안정을 위한 K의 조건은?

   G(s) = 2K / S(S+1)(S+2)

   풀이 : 1+G(s) · H(s) ⇒ H(s)=1, 단위 되먹임 함수

             특성방정식 = 개루프 전달함수의 분모 + 분자 = 0

             S(S+1)(S+2)+2K=0

            S(S2+3S+2)=0, S3+3S2+2S+2K=0

 

 

반응형
반응형

  ⊙ 주파수 영역해석 : 입력 주파수가 0~ ∞ 로 변화할 때 출력의 크기나 위상변화 즉 벡터궤적이나 보드 선도를 보는 것

  ⊙ 주파수 응답 : 입력 주파수 변화에 대한 입력과 출력의 진폭비, 위상차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특성을 나타내는 것

  ⊙ 진폭비 : 출력크기 / 입력크기

  ⊙ 위상차 : 입력과 출력의 위상차

    ※ 시간영역 해석은 시간(t)를 라플라스 변환(s)하여 계산하여 역라플라스 변화하여 해석

       주파수 영역해석은 시간(t)를 라플라스변환(s) 후 주파수변환(jω)하여 해석

     f ⇔ ω = 2πf

    주파수 영역 해석은 ω가 0 ~ ∞ 로 변할 때 영역해석

    시간영역해석은 t가 0 ~ ∞로 변할 때 영역 해석

    주파수 영역방법에는 벡터 궤적, 보드 선도가 있다.

1. 주파수 전달함수

2. 주파수 전달함수가 주어졌을 때 이득과 위상을 구하는 방법

 

      위상계산시 전달함수가 분모에 있을 때 위상각은 앞에 "(-)"가 붙는다.

      jb 형태시 각도는 j=90˚, -1=180˚, -j = 270˚

3. 벡터 궤적

  ⊙ 벡터궤적 : 주파수 전달함수 G(jω)를 복소평면상에 벡터로 나타낸 크기로서

                        G(jω)와 각도(Θ)에서 각주파수 G(jω)를 0 ~ ∞ 까지 변화시킬 때 그려진 궤적

                       G(jω) 에서 ω 가 0 ~ ∞로 변할 때

                      ◎ 비례요소 : k ⇒ k

                      ◎ 비분요소 : k · s ⇒ k · jω

                      ◎ 적분요소 : k / s ⇒ k / jω

                      ◎ 1차 지연 요소

                      ◎ 2차 지연 요소

                      ◎ 부동작 등

  ① 비례요소

      G(jω) = K

② 미분요소

    G(s) = k · s ⇒ G(jω) = k · jω

 

③ 적분요소

    G(s) = k / s ⇒ G(s) = k / jω

 

④ 비례미분요소

    G(s) = 1+Ts ⇒ G(s) = 1+jωT

 

⑤ 1차 지연

 

2차 지연 (3차 지연, 4차 지연)

⑦ 부동작(K−τs)

 
 

4. 형에 따른 벡터 궤적 그리는 방법

 

5. 보드 선도

보도 선도 : 자동제어계에서 안정 · 불안정에 관한 정보 및 안정계에서 방법 등에 관한

                       도식화를 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데 이득특성곡선과 위상특성곡선 2가지 종류의 선도가 있다.

이득특성곡선 : 주파수 변화를 대수눈금으로 log식의 "ω"를 횡축으로 하고 주파수 전달

                             함수 이득을 종축으로 표시하고 이득은 20log10의 진폭비로 표시한다.

위상특성곡선 : 주파수 눈금을 대수 눈금으로 log식의 "ω"를 횡축으로 하고 주파수 전달

                              함수의 위상차를 종축으로 표시하고 위상차는 20log10의 진폭비로 표시한다.

◎ 위상각 Θ = G(jω) 의 각도 : 도수법 90˚ 180˚ 등

     [보드 선도] ⇒ 특성 변화를 확인하기 쉽도록 그린 것

                              ( ω : 10의 배수로 나타냄)

 

※ 보드 선도에는 이득, 위상 곡선이 있음

 

[이득]

     ⊙ 절점 주파수 : 굴곡점이 발생하는 주파수

                               전달함수에서 실수부 = 허수부일 때의 주파수

     ⊙ 분자는 출발점

ex) 1차 지연요소 보도 선도를 예를 들면

 
ωT = 0.1 g = 0.043 θ = 5.7°
ωT = 1 g =  3 θ  =  45°
ωT = 10 g =  20 θ =  84°
ωT=100 g =  40 θ =  90°
 

6. 주파수 특성에 관한 상수 (용어 정리)

   ① 영주파수의 이득 M0

        : 정상값 ⇒ 최종값의 정리

    ⊙ 영주파수의 이득 Mo (정상값) : 최종값 정리에 의하여 단위 계단 입력에 대한

         정상응답은 폐회로 전달함수에서 "S = 0"으로 놓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정상값

 

  ② 대역폭 (BW : Bandwidth)

 

    ◎ 대역폭이 크면 응답속도가 빠르다

    ◎ 대역폭이 넓을 수록 응답속도가 빠르다

  ③ 공진정점 Mp(최대값)

    ◎ Mp가 너무 크면 오버슈트가 너무 커진다.

    ◎ 제어계에서 적당한 공진정점 Mp는 1.1 ~ 1.5 이다.

  ④ 공진주파수 ωp

    ◎ 공진 정점에서 일어나는 주파수

        (주파수 ↑ ⇒ 주기 ↓) 주파수가 크면 주기는 작아진다.

  ⑤ 분리도

      : 신호와 잡음을 분리하는 제어계의 특성으로서 예리한 분리특성은 공진정점(Mp)가 크다.

          (분리도 ↑ ⇒ 공진정점 ↓ ⇒ 분안정하기 쉽다)

반응형
반응형

시간영역해석 - 과도영역(응답) - 안정

                      - 불안정

                      - 정상영역(응답) : 오차(편차), 감도

(1) 정상응답 (출력)

   ※ 정상응답 - 오차 (편차)

                      - 감도

 

  ⊙ 정상응답 : 제어계에 어떤 입력이 가해졌을 때 출력이 과도기가 지난 이후에 일정한 값에 도달한

                        응답, 응답은 출력을 말함

◎ 특성방정식 : 1 + G(s) · H(s) = 0

   개루프전달함수

    ※ 특성방정식은 1+개루프전달함수이므로, 개루프전달함수 만으로도 정상응답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① 형에 의한 분류

(2) 단위 피드백 제어계

  ※ 편차(오차) - 단위 피드백 제어계 → H(s) = 1

    ⊙ 편차(오차)는 어려워서 "H(s)=1"인 단위 피드백 제에계 중심으로 다룸 (최종식만 외움)

(3) 최종편차 ess

​   ⊙ 회로이론 최종값 정리

① 정상위치편차 ( R(s)=1/s r(t)= u(t))


 

④ 정 리

 
 

[정 리]

 

(4) 감도 (Sensitivity)

  ⊙ 계를 구성하는 한 요소의 특성변화가 계 전체 특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

 

 

반응형
반응형

1. 시간영역 해석

​   ⊙ 시간영역해석 :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응답(출력)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는 것

① 과도 응답 : 어떤 제어계에서 어떤 입력이 가해졌을 때 출력이 일정한 값에 도달하기 전까지 과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② 정상영역 (정상응답)

  ※ 감도 : 어떤 요소에 의해서 응답(출력)이 변하는 정도

 

※ 라플라스 전환

  o 시간함수(t)는 해석은 쉽지만 계산이 어렵기 때문에 라플라스 변환하여 계산한 후

     다시 역 라플라스 변환을 하여 전체를 해석하게 된다.

라플라스함수는 계산은 쉽지만 해석이 불가능

반대로 시간함수는 해석은 쉽지만 계산이 어려움

가. 단위계단 응답(인디셜 응답)

  ⊙ 입력으로 단위 계단 입력 (u(t)=1/s)을 넣었을 때의 출력

     ⇒ R (t) = u (t) = 1 / s

    ※ 단위 계단 응답(인디셜 응답)이란 ? : 입력으로 [u(t) → 1/s]을 입력시 출력을 말함

 
 

나. 임펄스 응답

라플라스 입력 '1"을 입력

 
 

다. 경사응답(등속응답, 램프(Ramp)응답)

라. 2차 지연계(R-L-C 과도응답)에서 인디셜 응답

2. 제동비, 감쇠비 ζ

 

3. 특성방정식 - 2차 지연

※ 특성방정식 : 전체 전달함수의 분모가 "0"이 되는 방정식

① 특성방정식을 이용한 회로의 안정·불안정 해석

 

 
 

<1차 지연 제어계의 과도 응답>

⇒ 인디셜 응답

<2차 지연 제어계의 과도 응답>

⇒ 인디셜 응답

            ① ζ >1 : 
             ζ = 1 : 
             0<ζ<1 :  
 

<특성방정식의 근의 위치별 과도 응답>

(4) 영점과 극점 (제6강)

 

① 영점 (Zero)은 분자가 "0"이고 단락상태

   ⊙ Z(s) 임피던스는 분자가 "0"이 되는 "S"를 영점이라 하며 회로의 단락상태를 말한다

   ⊙ M(s)=0 ⇒ 분자 = 0 좌표상 표시 O

② 극점(Pole)은 분모가 "0"이 되는 개방상태

   ⊙ Z(s) 임피던스는 분모가 "0"이 되는 "S"를 극점이라 하며 회로의 개방상태를 말한다.

   ⊙ M(s) = ∞ ⇒ 분모 = 0 좌표상 표시 X

5. 과도 응답의 시간 특성 - 2차 지연요소의 인디셜 응답

  ※ 3장 전체중 시험에 제일 잘 나옴

 

오버슈트 : 응답중에 발생하는 입력과 출력 사이의 최대 편차량으로서 제어계의 안정도의 척도가 된다.

지연시간(Delay) : 시작부터 목표값의 50%에 이르는 데 걸리는 시간

상승시간(Rising) : 10%에서 90%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세팅(정정)시간 : 정상값의 ±5%에 들어 오기까지 걸리는 시간

 

반응형
반응형

1. 최대오버슈트(Maxium overshoot)

① 최대오버슈트

  ⊙ 최대 오버슈트는 제어량이 목표값을 초과하여 최대로 나타나는 최대편차량으로

       계단응답의 최종값의 백율율로 자주 사용된다

 

③ 최대 오버슈트는 제어계통의 상대적인 안정도를 측정하는데 자주 이용된다

    오버슈트가 큰 제동은 항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설계시 최대 오버슈트는 시간영역 정격으로 흔히 주어진다.

2. 지연시간(Delay time)

  ⊙ 지연시간 td 는 계단응압이 최종값의 50[%]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정의한다.

3. 상승시간(Rise time)

  ⊙ 상승시간 tr 은 계단응답이 최종값의 10[%] ~ 90[%]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

    ▶ 응답이 최종값의 50[%]인 순간 계단응답 기울기의 상승시간을 나타내기도 한다.

4. 임펄스응답

  ⊙ 입력이 임펄스 함수로 주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출력함수를 임펄스 응답이라고 하며

      임펄스 응답의 라플라스 변환을 전달함수라 한다.

5. 단위계단응답

  ⊙ 입력이 단위계단함수로 주어진 경우에 해당하는 출력함수로 단위계단응답이라 한다

6. 2차 계통의 과도응답

  ⊙ 2차 계통의 전달함수 G(s)는

  ② 안정도와의 관계

    ▶ 0 < ζ < 1 : 부족제동, 감쇄진동, 안정

    ▶ ζ = 1 : 임계제동, 임계진동, 안정

    ▶ ζ > 1 : 과제동, 비진동, 안정

    ▶ ζ = 0 : 무제동, 진동, 임계 안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