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51 - OCR : 과전류 계전기

   ▣ 정정값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 동작하여 경보를 발하거나 차단기를 동작한다.

 

2. 전위강하법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법

   ▣ E-P간 거리는 E-C간 거리의 61.8% 일 때 정확한 접지저항값을 얻을 수 있다.

 

3. 리클로저 (R/C : Recloser) : 가공전선로 사고의 대부분은 조류 및 수목에 의한 접촉, 강

    풍, 낙뢰 등에 의한 플래시 오버 사고로서 이런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고장구간을 차단

    하고 사고점의 아크를 소멸 시킨 후 재투입이 가능한 개폐장치이다.

 

4. 선로개폐기 (LS : Line Switch) : 보안상 책임 분계점에서 보수 점검시 전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것으로 반드시 무부하 상태에서 개방하여야 한다. 근래에는 ASS를

     사용하며, 66[kV] 이상의 경우에는 이를 사용한다.

 

5. ① MOF :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 고전압, 대전류를 저전압, 소전류로 변성하여

                     전력량계에 공급

    ② ZCT : 영상변류기 : 지락사고시 영상 전류를 검출

    ③ OCB : 유입차단기 : 단락 및 과부하, 지락사고 등 사고전류를 차단 및 부하전류를 개폐

                    하기 위한 장치

    ④ OCR : 과전류 계전기 : 정정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동작하는 계전기

    ⑤ GR : 지락계전기 : 지락사고 발생시 동작하는 계전기

 

6. 통신선 유도장해 경감대책

 가. 근본대책 : 전자유도전압 억제

 나. 전력선측 대책

    ① 송전선을 통신선으로 부터 멀리 설치한다.

    ② 접지개소를 적정히 선정하여 기유도전류를 억제한다.

    ③ 고속도 지락 보호 계전방식을 채용한다.

    ④ 차폐선을 설치한다.

    ⑤ 지중전선로 방식을 사용한다.

 다. 통신선측 대책

    ① 절연변압기를 사용하여 구간을 분리한다.

    ② 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③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④ 배류코일을 설치한다.

    ⑤ 전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한다.

 

7. 감리현장 및 공사현장 비치 서류

감리현장
공사현장
1. 감리업무 일지 2. 근무상황판
3. 지원업무수행기록부
4. 착수보고서
5. 회의 및 협의내용 기록부
6. 문서접수대장 7. 문서발송대장
8. 교육실적기록부
9. 민원처리부 10. 지시부
11. 발주자 지시사항 처리부 등등...
1. 하도급 현황
2. 주요 인력 및 장비 투입 현황
3. 작업 계획서
4. 기자재 공급원 승인현황
5. 주간공정계획 및 실적 보고서
6.안전관리비 사용실적 현황
7. 각종 측정 기록부

 

8. 간선설계시 고려사항

   ① 전기방식, 배선방식             ② 부하의 사용상태나 수용률

   ③ 장래 증설 유무와 이것에 대한 배려의 필요성

   ④ 간선 경로에 대한 위치와 넓이

   ⑤ 점검구에 대한 사항

 

9. 가공전선로 이상전압 방지 대책

   ① 피뢰기 설치    ② 가공전선 설치    ③ 매설지선 설치    <그외> 중성점 접지

 

10. 퓨즈의 역할

   ①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한다.

   ② 일정치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③ 단락전류의 차단을 목적으로 한다.

 

11. 간선굵기 : 간선굵기가 25[㎟] 일 때 후강전선관 3본 이하 수용시 허용전류는 115[A]

                이므로 간선의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는 허용전류 보다 낮은 간선 허용전류 100

                [A]를 선정하여 AT 100[A], AT 100[A]를 선정한다.

 

12. 22.9[kV] 특고압 수변전설비 설계전압 및 정격전류

   ① ASS : 25.8 [kV], 200[A]            ② 피뢰기 : 18[kV], 2,500[A]

   ③ COS : 25 [kV]

 

13. 중성점 접지의 목적

   ①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을 억제하여 전선로 및 기기의 절연레벨 경감

   ② 뇌, 아크지락 기타에 의한 이상전압 경감 및 발생 방지

   ③ 지락 고장시 접지 계전기의 동작 확실

 

14. 조명 방식

 가. 조명기구 배광에 따른 조명방식

     ① 직접조명      ② 반직접 조명        ③ 전반확산 조명       ④ 반간접 조명        ⑤ 간접조명

 나. 조명기구 배치에 따른 조명방식

     ① 전반 조명     ② 국부조명          ③ 국부적 전반조명       ④ 탈(Tal) 조명

 

15. 66[kV] 피뢰기의 정격전압 : 72 [kV]

 

16. SG : 선택지락 계전기 : 다회선 배전선로에서 지락사고시 지락회선을 선택하여 차단

 

17. 부하의 최대수요 (Peak Power) 억제 방법

   ① 부하의 피크 컷 (Peak cut) 제어             ② 부하의 피크 시프트(Peak shift) 제어

   ③ 자가용 발전설비 가동에 의한 제어 <그외> 부하의 프로그램 제어 방식

 

18. 200[kVA] 2대로 V결선 하는 경우 한전과 계약 수전전력은?

  ▣ (200+200) × 0.866 = 346.4 [kW]

  ▣ V결선 : 결선된 용량 합계 × 86.6 [%] ※ 200 × √3 = 346.4

 

19. 지중전선로

 가. 장점

    ① 동일 루트에 다회선이 가능하여 도심지에 적합

    ② 외부 기상 여건 등의 영향이 거의 없음

    ③ 설비의 단순 고도화로 보수 업무가 비교적 적음

    ④ 차폐 케이블 사용으로 유도장해 경감

<그외> 충전부 절연으로 안정성 확보, 지하시설물로 설비의 보안 유지 용이

             쾌적한 도심환경 조성

 나. 단점

   ① 고장점 발견이 어렵고 복구가 어렵다.

   ② 발생열의 구조적 냉각장해로 가공선에 비해 송전용량이 낮음

   ③ 건설비가 비싸고 건설기간이 길다.

   ④ 설비 구성상 신규 수요 대응에 탄력성 결여

      <그외> 외상 사고, 접속개소, 시공 불량에 의한 영구사고 발생

 

20. 변전실의 높이, 면적

 ▣ 22.9[kV] 1,000[kVA] 폐쇄형 큐비클 변전실의 수변전 설계

   ① 변전실의 유효 높이 : 4.5 [m]

   ② 변전실의 추정 넓이 : 추정계수는 1.4이다.

※ 높이 : 특고압 4.5 [m], 고압 : 3 [m]

 

21. 교류용 적산 전력계

 가. 잠동현상 : 무부하 상태에서 정격 전압 및 주파수의 110%를 가했을 때 계기 원판이

                        1회전 이상 회전하는 현상

 나. 방지대책 ①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②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다. 구비조건 ① 옥내외 설치가 용이할 것

                      ② 온도 변화와 주파수 변화에 보상이 될 것

                      ③ 기계적 강도가 클 것

                      ④ 부하 특성이 좋은 것

                      ⑤ 과부하 내량이 클 것

22. 변압기 모선 방법 : ① 단일 모선 ② 복모선 (이중모선) ③ 환상모선 (루프모선)

23. 가. ALTS : 자동부하전환개폐기 (Auto Load Transfer Switch)

         용도 : 22.9-Y 배선선로에 사용되는 개폐기로서 정전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수용가에

          이중 전원을 확보하여 주 전원 정전시 또는 주 전원이 기준 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예비

          전원으로 자동 절체되어 수용가에 높은 신뢰도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기.

나. ATS : 자동전환개폐기 (Automatic Transfer Switch)

  ① 상시 전원 정전시 상시 전원에서 예비전원으로 전환하는 개폐기

  ② 저압측 (변압기 2차측) 즉 일반 수용가에서 한전 전원이 정전될 경우 특정시간내 (발전

        기 기동 포함)에 자동으로 절체되어 발전기 (비상) 전원을 공급하여 소방 부하나 비상

         부하 등에 전원이 차질없이 공급되도록 한다.

 

24. 용어 정의

   ① 중성선 : 다선식 전로에서 전원의 중성극에 접속된 전선을 말한다.

   ② 분기회로 : 간선에서 분기하여 분기과전류차단기를 거쳐 부하에 이르는 배선을 말한다.

   ③ 등전위 본딩 : 등전위를 형성하기 위해 도전부 상호간을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25. Spot Network : 배전용 변전소로 부터 2회선 이상의 배전선으로 수전하는 방식으로

      배전선 1회선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일지라도 건전한 회선으로 부터 자동으로 수전할

      수 있는 무정전 방식으로 신뢰도가 매우 높다.

  장점 : ① 무정전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② 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③ 전압변동률이 낮다.                  ④ 부하 증감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

 

26. 태양광 발전

 가. 장점

   ① 에너지원이 청정, 영구적이다.                 ②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전력량 생산 가능

   ③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무인화가 가능하다.

   ④ 확산광 (산란광)도 이용할 수 있다.

 나. 단점

   ① 에너지 밀도가 낮아 큰 설치 면적이 필요하다.

   ② 비가 오거나 날씨가 흐린날은 발전 능력이 저하된다.

  <그외> 전력생산량이 지역 일사량에 의존한다.

              설치장소가 한정적이며 고가이다.

27. 진공차단기 (VCB) 특징 3가지

   ① 차단성능이 우수하고 차단시간이 짧다. ② 수명이 길다.

   ③ 기름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이 우수하다.

   <그외> ④ 소형 경량이다.        ⑤ 완전 밀봉형으로 안전하고 소음이 적다.

  [단점] ① 개폐서지가 발생한다. ② 진공도 열화판정이 곤란하다.

 

28. 역률개선

  가. 원리 : 유도성 부하를 사용하면 역률이 저하된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부하에

                  병렬로 콘덴서를 설치하여 진상 전류를 흘려 줌으로써 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나. 개선효과 ① 설비용량 여유 증가 ② 전력손실 감소 ③ 전압강하 감소

                       ④ 전기요금 감소

29. 접지저항 측정

  ① 어스테스터(접지저항 측정기)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법

  ② 콜라우시브리지에 의한 3극 접지저항 측정법

30. 비율차동계전기 :

  ▣ 변압기 주보호 - 변압기 내부고장 비율차동계전기는 후단 계전기 우선

  ▣ 비율차동계전기는 후단 계전기 + 차단기와 1차 주보호

        2차 주보호는 전단 계전기 + 차단기

31. 자가용 발전설비가 구비해야 할 계전기

  ① 과전류 계전기     ② 주파수 계전기      ③ 부족전압계전기  ④ 비율차동계전기

  ⑤ 과전압 계전기

 

32. 수전설비 인입구 개폐기

   ▣ 인인구 개폐기 DS 대신 사용하는 기기 : ASS 자동고장구분개폐기

   ▣ 7000[kVA] 초과시에는 섹션럴라이저 (Sectionalizer)

   ▣ 66[kV] 이상에서는 LS 선로 개폐기를 사용한다.

 

33. 서지흡수기 : 설치위치는 진공차단기와 보호하는 변압기 사이에 설치한다.

34. 서지흡수기 적용

차단기
VCB
전압등급
3kV
6kV
10kV
20kV
30kV
전동기
적용
적용
적용
 
 
변압기
유입식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몰드식
적용
적용
적용
적용
적용
건 식
적용
적용
적용
적용
적용
콘덴서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변압기와 유도기기
와의 혼용 사용시
적용
적용
 
 
 

 

35. 수용가 설비의 전압강하

설비 유형
조명(%)
기타 (%)
A - 저압으로 수전하는 경우
3
5
B - 고압 이상으로 수전하는 경우
6
8
가능한 한 최조회로내의 전압강하가 A유형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배선설비가 100[m]를 넘는 부분의 전압강하는 미터당 0.005% 증가할 수 있으나
이러한 증가분은 0.5%를 넘지 않아야 한다.

 

36. 전압강하 예외사항 : 기동중인 전동기, 돌입전류가 큰 기기

37. 지락사고시 계전기가 동작하기 위하여 영상전류를 검출하는 방법

   ① ZCT (영상변류기)에 의한 검출        ② Y결선의 잔류회로에 의한 검출

   ③ 3차 권선부 CT를 이용하는 검출     ④ 변압기 중성점 접지회로 전류 검출

38. SA 서지흡수기 적용

2차보호기기


차단기 종류
전동기
변 압 기
콘덴서
유입식
몰드식
건식
VCB
적용
불필요
적용
적용
불필요

 

39. 전기기기

 가. MOF에 연결되어 있는 (DM) : 최대 수요 전력계

 나. PF 기능 ①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한다.

                    ② 일정치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③ 단락전류를 차단한다.

 다. ZCT : 지락사고시 영상전류 (지락전류)를 검출하는 것으로 지락계전기(GR)와 조합하

                여 차단기를 차단시켜 사고범위를 작게 한다.

 라. GR : 지락사고시 동작하는 계전기로 영상전류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ZCT)와 조합하

              여 사용한다.

 마. OS : 유입개폐기

40. 3.3[kV]측 CB에 적힌 600[A]의 의미는 ? 차단기의 정격전류

41. MOF : 고전압, 대전류를 저전압, 소전류로 변압, 변류하여 전력량계에 공급한다.

42. CB : 부하전류 개폐 및 단락전류와 같은 고장 전류 차단

43. 지중전선로

  가. 장점 ① 동일 루트에 다회선이 가능하여 도심지에 적합

               ② 외부 기상여건 등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

               ③ 설비의 단순 고도화로 유지 보수 업무가 거의 없음

   <그외> ④ 차폐케이블 사용으로 유도장해 경감

                ⑤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 ⑥ 지하시설물로 설비 보안 유지 용이

  나. 단점 ① 고장점 발견 및 복구가 어렵다.

               ② 발생열의 구조적 냉각장해로 가공전선로에 비해 송전용량이 작다.

               ③ 설비구성상 신규 수용 대응 탄력성 결여

   <그외> ④ 건설기간이 길고 건설비용이 고가임

               ⑤ 외상사고, 접속개소, 시공불량에 의한 영구사고 발생

44.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① 극성이 같을 것             ② 권수비가 같을 것             ③ 각변압기의 임피던스 전압이 같을 것

  ④ 각 변압기의 내부저항과 누설 리액턴스비가 같을 것

45. GPT 영상 전압 구하기

 

46. 축전지

  ① 묽은 황산의 농도는 표준이고 액면이 저하하여 극판이 노출되어 있다. 조치는 ?

       증류수를 보충한다.

  ②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치상태, 가벼운 Sulfation 현상이 생겼을 때 기능회복을 위한

      충전방식은 ? 균등충전

  ③ 회복충전 : 정전압 충전법에 의하여 전류로 40~50시간 충전시킨 후 방전시키고 다시

                         충전시킨 후 방전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여러번 반복하면 본래의 충전용량을 회복

                         하게 되는 충전 방법

  ④ 부하의 허용전압이 115[V]이고 축전지와 부하사이의 전압강하가 5[V]일 경우 직렬로

       접속된 축전지 개수가 55개 라면 축전지 한 셀당 허용 최저전압은 ?

 

47. 분전반 설치

  ① 분전반은 각 층마다 설치한다.

  ② 분전반은 분기회로가 30[m]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며 사무실 용도인 경우 하나의 분전

       반이 담당하는 면적은 일반적으로 1,000[㎡] 내외로 한다.

  ③ 1개의 분전반 또는 개폐기함 내에 설치할 수 있는 과전류 장치는 예비회로 (10~20%)

       를 포함하여 42개 이하 (주개폐기 제외)로 하고 이 회로수를 넘는 경우는 2개 분전반으

       로 분리하거나 (자립형)으로 한다. 다만, 2극 3극 배선용 차단기는 과전류장치 소자 수

       량의 합계분으로 계산한다.

  ④ 분전반의 설치 높이는 긴급시 도구를 사용하거나 바닥에 앉지 않고 조작할 수 있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분전반의 상단을 기준으로 하여 바닥 위 (1.8)m로 하고 크기가 작은

       경우는 분전반 중간을 기준으로 하여 바닥위 (1.4)m로 하거나 하단을 기준으로 하여

       바닥위 (1)m 정도로 한다.

  ⑤ 분전반과 분전반은 도어의 열림 반경 이상으로 이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2개 이상의

      전원이 하나의 분전반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전원 사이에 해당하는 분전반과

      동일한 재질로 (격벽)을 설치해야 한다.

48. 감리원 공사 시작전 검토 사항

  ① 현장 조건 부합 여부           ② 시공의 실제 가능 여부

  ③ 다른 사업 또는 다른 공정과의 상호 부합 여부

  ④ 설계도면, 설계설명서, 기술계산서, 산출내역서 등의 내용에 대한 상호 일치 여부

  ⑤ 설계도서의 누락, 오류 등 불명확한 부분의 존재 여부

  ⑥ 발주자가 제공한 물량내역서와 공사업자가 제출한 산출내역서의 수량일치 여부

  ⑦ 시공상의 예상 문제점 및 대책 등

49. CT의 비오차 : 공칭 변류비와 측정 변류비와의 차이를 측정변류비에 대한 백분률로

                              나타낸 것으로 변류비 오차를 말한다.

 

50. 도로 조명 : 등간격

  ▣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를 위하여 컷오프 (Cut-off) 조명일 때 최소 등간격은 ?

       ⊙ 등간격 : S ≤ 3 × H (등 높이) ⇒ S ≤ 3H = 3 × 10 = 30 [m]

51. 광속발산도

 

52. 가스절연 개폐기

 가. 장점

   ① 소형화 할 수 있다.

   ② 충전부가 완전 밀폐되어 안전성이 높다.

   ③ 대기중 오염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아 신뢰도가 높다.

   ④ 소음이 적고 환경조화를 기할 수 있다.

   ⑤ 밀폐형으로 열화, 마모가 적어 보수주기가 길어진다.

   ⑥ 공장 조립이 가능하여 설치공사 기간이 단축된다.

 나. 단점

   ① 육안 점검이 불가능하여 사고 조기발견이 어렵다.

   ② 내부점검, 부품 교환이 번거롭다.

   ③ SF6 가스의 누설 및 압력저하 감시 필요

   ④ 한랭지, 산악자방에서는 액화방지 대책 필요

 

53. 기준충격 절연강도 BIL (Basic Impulse Insulation Level)

  가. 기준충격절연강도

 

나. 차단기의 정격전압

차단기 정격전압 [kV]
사용회로 공칭전압 [kV]
BIL [kV]
0.6
3.6
7.2
24
72.5
170
0.1, 0.2, 0.4
3.3
6.6
22
66
154


45
60
150
350
750

 

다. 계전기용 변류기는 차단기의 전원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

   ▣ 보호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라. 우리나라 차단기의 정격전압과 차단시간

공칭전압 [kV]
6.6
22.9
66
154
345
765
정격전압
7.2
25.8
72.5
170
362
800
공칭차단시간 [c/S]
Cycle은 60Hz 기준
5
5
5
3
3
2

54. 진상용 콘덴서 방전장치

  ▣ 방전장치는 콘덴서 회로에 직접 접속하거나 또는 콘덴서 회로를 개방하였을 경우 자동

       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장치한다.

     [방전능력] 저압 : 3분 이내 75 [V] 이하

                       고압 및 특고압 : 5초 이내 50 [V] 이하

 

55. 수전설비 배전반 등의 최소 유지 거리

위치별
기기별
앞면 또는
조작 계측면
뒷면 또는
점검면
열상호간
(점검하는면)
기타의 면
특고압 배전반
1.8 [m]
0.8 [m]
1.4 [m]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1.5 [m]
0.6 [m]
1.2 [m]
 
변압기 등
0.6 [m]
0.6 [m]
1.2 [m]
0.3 [m]

 

56. 인체 전기 감전 정도

   ① 감지전류 : 수 [mA] - 자극 느낌

   ② 경련전류 : 5 ~50 [mA] 근육 수축, 경련, 도체에서 손 못 뗌

   ③ 심신세동전류 : 수십 [mA] 심장 근육 경련, 혈액공급 정지

 

57. 전기기기 기호

 

58. 통신선 전자유도 장해 대책 (Io)

 가. 근본대책 : 전자유도전압의 억제

 나. 전력선측 대책 (5가지)

    ① 송전선로를 될 수 있는 대로 통신선에서 멀리 설치한다.

    ② 접지개소를 적정하게 선정하여 기유도전류의 분포를 조절한다.

    ③ 고속도 지락보호 계전방식을 채용한다.

    ④ 차폐선을 설치한다.

    ⑤ 지중전선로 방식을 채용한다.

 다. 통신선 측 대책 (5가지)

    ① 절연변압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리한다.

    ② 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③ 통신선에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④ 배류코일을 설치한다.

    ⑥ 전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한다.

59. 전기기기 명칭과 용도

 가. PF : 전력퓨즈

   ①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한다.

   ② 일정치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나 기기를 보호한다.

   ③ 단락전류의 차단을 목적으로 한다.

 나. ZCT : 영상변류기 : 지락사고시 흐르는 영상전류(지락전류)를 검출하는 것으로 GR(지

                락계전기)와 조합하여 차단기를 차단시켜 사고범위를 작게 한다.

 다. GR : 지락계전기 : 지락사고시 동작하는 계전기로서 영상전류를 검출하는 영상변류기

              (ZCT)와 조합하여 사용한다.

60. 분전반

  ① 분전반은 각 층 마다 설치한다.

  ② 분전반 분기회로는 30[m] 이하로 설치하며 사무실 용도의 경우 분전반이 담당하는 면

       적은 1,000[㎡] 내외로 한다.

  ③ 한 개의 분전반에 설치되는 과전류 장치는 42개 이하로 한다. 이 회로 수를 넘는 경우에

       는 2개의 분전반으로 분리하여 자립형으로 한다.

  ④ 분전반의 높이

       ▣ 규모가 큰 것 : 상단과 바닥 : 1.8 [m]

           중간과 바닥 : 1.4 [m]

           하단기준 : 1[m]

   ⑤ 분전반에 2개 이상의 전원이 있는 경우 격벽을 설치한다.

61. 감리원이 공사시작전 설계도서 검토 사항 (3가지)

   ① 현장 조건에 부합 여유             ② 시공의 실제 가능 여부

   ③ 다른 사업 또는 다른 공정과 부합여부

  (그외) ④ 설계도면, 설계설명서, 기술계산서, 산출내역서 등의 상호 일치여부

            ⑤ 설계도서의 누락, 오류 등 불명확한 부분의 존재 여부

           ⑥ 발주자가 제공한 물량 내역서와 공사업자가 제출한 산출내역서의 수량 일치 여부

           ⑦ 시공상의 예상 문제점 및 대책 등

62. CT의 비오차

  ▣ 비오차는 공칭변류비와 측정변류비와의 차이를 측정 변류비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것

        으로 변류비 오차를 말한다.

 

63. 도로조명 : 컷오프형 (Cut-Off) : 90˚ 이상 F = "0" [lm]

        등간격 S ≤ 3H (이하) H : 등주 높이

64. 소선수 : N = 3n (n+1)

65. 저압설비 허용 상용 주파 스트레스 전압

고압계통에서
지락고장 지속시간
저압설비 허용 상용주파
스트레스 전압
적용계통
5초 초과
Uo + 250 [V]
 
5초 이내
Uo + 1,200 [V]
 

 

66. 기기에 요구되는 임펄스 내전압

공칭전압
상전압
과전압 범위
과전압 범위
과전압 범위
과전압 범위
120/208
150
4
2.5
1.5
0.8
220/380
230/400
327/480
300
6
4
2.5
1.5
400/690
600
8
6
4
2.5
1000
1000
12
8
6
4
1560 DC
1500 DC
 
 
8
6

 

67. 절연 형태별 최고 사용 온도

절연물
케이블 종류
허용온도
PVC
VV
70 [ ℃]
XLPE, EPR
CV, FCV, T-FR, TFR-CV, H-FIX
90 [℃]
무기물 (접촉우려)
MI
70 [℃]
무기물 (접촉우려 없음)
MI
105 [℃]

68. 전선의 표면 온도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표면의 재료
최고 표면 온도
손으로 잡고 조작시키는 것
금속
55
비금속
65
손으로 잡지 않지만
접촉하는 부분
금속
70
비금속
80
통상 조작시 접촉할 필요가
없는 부분
금속
80
비금속
90

 

69. 공사 현장 비치서류

    ① 하도급 현황                           ② 주요 인력 및 장비 투입 현황            ③ 작업계획서

    ④ 기자재 공급 및 승인현황      ⑤ 주요 공정계획 및 실적 보고서

 

70. 간선설계시 고려사항

  ① 전기방식, 배선방식                       ② 부하 사용상태나 수용률

  ③ 장래 증설 유무와 이것에 대한 배려 필요성

  ④ 간선 경로에 대한 위치와 넓이       ⑤ 점검구에 대한 사항

71. 가공전선의 이상전압 방지 대책

  ① 피뢰기 설치       ② 가공지선 설치      ③ 매설지선 설치        ④ 중성점 접지

72. 전력 퓨즈의 역할

   ①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전한다.

   ② 일정치 이상의 과전류는 차단하여 전로와 기기를 보호한다.

   ③ 단락전류를 차단한다.

73. 단락전류 계산은 어떤 요소를 알기 위한 것인가 ?

   ① 차단기의 용량 결정    ② 보호계전기 정정    ③ 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 추정 (기계적 과전류 강도 결정)

74. 축전지 설비의 구성 요소 (4가지)

   ① 축전지    ② 충전장치    ③ 보안장치    ④ 제어장치

75. 균등충전 :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치상태, 가벼운 설페이션 (Sulfation) 현상 등이 생겼

                       을 때 기능회복을 위하여 실시하는 충전방식

76. 회복 충전 : 정전류 충전법에 의하여 전류로 40~50시간 충전시킨 후 방전시키고 다시

    충전시키고 방전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여러번 반복하게 되면 본래의 출력 용량을

    회복하게 되는 충전방식

77. 피뢰기 DISC : 피뢰기 고장시 개방되어 피뢰기를 대지로 부터 분리한다.

78. AISS 기능 2가지

   ①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개방하여 사고 확대 방지

   ② 전부하 상태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하여 과부하 방지

79. 병렬 인하도선의 간격은 ?

등급
Ⅰ, Ⅱ 등급
 등급
 등급
간격
10 [m]
15 [m]
20 [m]

80. 피뢰시스템 (내부 피뢰시스템)

   ▣ 건축물의 구조물에는 지하 0.5 [m]와 높이 20 [m] 마다 환상 도체를 설치한다.

       다만, 콘크리트, 철골구조물의 구조체에 인하도선을 등전위 본딩하는 경우 환상도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81. 책임감리원 및 보조 감리원 자격기준

   1. 총공사비 : 20억원 이상 : 책임감리원 특급 1인, 보조 감리원 초급 1인 이상

   2. 총공사비 10억원 이상, 20억원 미만 : 책임감리원 고급 1인, 보조감리원 초급 1인 이상

   3. 총공사비 10억원 미만 : 책임감리원 중급 1인 보조감리원 초급 1인 이상

      ★ 비상주 감리원 자격기준 : 고급 이상

82. 피뢰시스템 설치

   ① 전기,전자 설비가 있는 낙뢰보호가 필요한 건물

      ▣ 높이 : 20 [m] 이상 건물

      ▣ 측면 보호 : 60 [m] 이상

   ② 전기 전자설비 중에 낙뢰보호가 필요한 경우

83. 수뢰부 시스템 : 돌침, 인하도선, 매시도체

84. 피뢰시스템 구성 : 수뢰부시스템, 인하도선 시스템, 접지극 시스템

85. 수뢰부 시스템의 배치방법

   ① 보호각법     ② 회전구체법    ③ 메시법

86. 인하도선은 2조 이상으로 설치한다.

87. 병렬 인하도선의 간격

등급
Ⅰ, Ⅱ 등급
 등급
 등급
간격
10 [m]
15 [m]
20 [m]

 

88. 접지극 시스템의 구성

   ① A형 : 수평, 수직 접지극        ② B형 : 환상극, 기초 접지극

89. 피뢰시스템의 접지극은 10[Ω] 이하로 하여야 하며 최단거리로 시설해야 한다.

90. 저압 전로의 접지방법 : TN, TT, IT 방식

91. IT 방식 : 충전부 전체를 대지와 절연한다.

92. 전기설비의 보호방법

   ① 기본보호 : 충전부를 절연한다. 격벽을 설치하거나 외함 접지를 한다.

   ② 고장보호 : 등전위 보호, 차동차단, 보호등전위본딩

   ③ 추가설비 : 추가적인 누전차단

93. 기능적 특별저압 (FELB : Funtional Extra Low Boltage) : 교류 50V, 직류 120V

94. 특별저압 SELV, PELV 전원

   ① 안전변압기 전원             ② 축전지, 디젤발전기 등 독립전원

   ③ 전자장치 : 내부고장이 발생해도 출력 전압이 규정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함

   ④ 이동용 전원 : 이중절연, 강화절연

95. 감전에 대한 보호대책

   ① 전원의 자동차단        ② 이중절연, 강화된 절연       ③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④ 특별저압 사용

96. IT 계통 감지장치, 보호장치

   ① 절연감시장치           ② 누설전류 감시장치     ③ 절연 고장점 검출장치

   ④ 과전류 보호장치      ⑤ 누전차단기

97. △-△결선 장단점 3가지

 가. 장점 ①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내에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전압을 유기하여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② 1대가 고장이 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하여 3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③ 상전압이 선간전압의 1/√3 배이므로 대전류에 적합하다.

 나. 단점 ① 중성점 접지를 할 수 없어 지락전류 검출이 어렵다.

               ②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98. 자기용 발전기에 설하는 계전기 5가지

   ① 과전류 계전기 ② 주파수 계전기 ③ 부족전압 계전기 ④ 비율차동계전기 ⑤ 과전압 계전기

99. 전자릴레이 장단점 5가지

  가. 장점 ① 과부하 내량이 크다. ② 온도특성이 좋다. ③ 가격이 싸다.

                ④ 전기적 잡음이 없이 입출력을 할 수 있다.

                ⑤ 부하가 큰 출력을 인출할 수 있다.

  나. 단점 ① 소비전력이 크다.       ②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③ 응답속도가 느리다.   ④ 가동접촉부 수명이 짧다.

                ⑤ 충격, 진동에 약하다.

100. 퓨즈

 가. 구입시 고려사항

    ① 정격전압 ② 정격전류 ③ 정격차단전류 ④ 사용장소

 나. 특성 3가지 : ① 용단특성 ② 단시간 허용특성 ③ 전차단 특성

101. MCC반 : ① 기동장치 ② 제어 및 보호장치 ③ 차단장치

102. 차단기 동작요소 : ① 단일 전류요소 ② 단일 전압 요소   ③ 전압,전류요소 ④ 2전류 요소

103. 알칼리 축전지의 장점

   가. 장점 ① 충방전 특성이 양호하다. ② 방전시 전압변동이 작다.

   나. 단점 ① 연축전지에 비해 단자전압이 낮다.

104. 고조파 방지대책 3가지

   ① 전력변환장치의 펄스수를 크게한다.              ② 고조파 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③ 전력용 콘덴서에는 직렬리액터를 설치한다.

   ④ 선로의 코로나 방지를 위해 복도체, 다도체, 굵은 전선을 사용한다.

   ⑤ 변압기에는 델타결선을 사용하여 고조파를 제거한다.

105. 건식변압기의 장점 4가지

   ①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②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③ 난연성, 자기 소화성으로 화재 및 폭발의 우려가 적으므로 안전성이 높다.

   ④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아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106. 역률 개선용 콘덴서 과 보상시 문제점

   ① 모선전압 상승 ② 재점호에 의한 전압 상승 ③ 계전기의 오동작

    <그외> ④ 선로에 변압기 손실 증가          ⑤ 고조파 왜곡의 증가

                ⑥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 현상

                ⑦ 전원설비의 여유용량 감소에 따른 과부하가 될 수 있다.

107. 기기의 명칭 및 용도

   ① PF : 전력퓨즈 : 회로 및 기기의 단락보호용으로 사용한다.

   ② LA : 피뢰기 :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류 시키고 속류를 차단한다.

   ③ PT : 계기용변압기 :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계기나 계전기의 전원으로 사용

   ④ VS : 전류계용 전환 스위치 : 3상 전원에서 1개의 전압계로 3상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절체 스위치

   ⑤ CT : 변류기 : 대전류 및 고압 회로의 전류를 안전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고압회로 부터

                절연하여 소전류로 변환

   ⑥ OCR : 과전류 계전기 : 과전류에 의해 동작하여 차단기 트립 코일 여자

   ⑦ SC : 전력용 콘데서 : 부하의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

   ⑧ TR : 변압기 : 교류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변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정지기기

108. 절연저항 측정 기기

   ① 굵은 나전선 저항 (1Ω 이하) : 켈빈 더블

   ② 수천 오움의 가는 전선 저항 : 휘스톤 브리지

   ③ 전해액 : 콜라우시 브리지

   ④ 옥내 전등선의 절연저항 : 메거

109. 전동기 MCC (Motor Control Center) 의 대표적 장치

    ① 기동장치 ② 제어 및 보호장치 ③ 차단장치

110. 차단기용 보호계전기의 동작 요소

    ① 단일 전류요소 ② 단일전류 요소 ③ 전압전류요소 ④ 2전류 요소

111. 간이 수전설비에는 MOF를 보호하기 위하여 ASS를 설치한다.

 가. 간이 수전설비의 정격

   ① ASS : 정격전압 25.8[kV] 정격전류 200[A]

   ② ACB : AF : 630 [A], AT : 630 [A]

   ③ MCCB : AF : 400[A] AT : 100 [A]

   ④ COS : 25[kV] 100[A]

   ⑤ OA : 유입 자냉식

   ⑥ FA : 유입 풍냉식

 

 

반응형
반응형

 

♠ 송전선로에서 4단자 정수로 전압, 전류, 전력 구하기

 

▣ 공칭전압이 140[kV]인 3상 송전선로가 있다. 이 송전선의 4단자 정수는 A = 0.9,

     B=j0.7, C=j0.52 × 10-3, D=0.9 이다. 무부하 송전단에서 154 [kV]를 인가했을 때 다음을 구하시오.

 

 (1) 수전단 전압 [kV] 및 송전단 전류 [A]를 구하시오.

     ① 수전단 전압 [kV]        ② 송전단 전류 [A]

 (2) 수전단의 전압을 140[kV]로 유지하려고 할 때 수전단에서 공급하여야 할 무효전력 Q[kVA]를 구하시오.

 

[문제풀이]

(1) 수전단 전압 [kV] 및 송전단 전류 [A]를 구하시오.

▣ 송전계통의 수식 등은 한상분 즉, 대지전압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4단자 전송파라미

     A, B, C, D는 송전계통에서 대지전압을 기준으로 하며 아래와 같이 행렬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 편리하다.

 

▣ 위의 4단자 정수 회로를 행렬식을 이용하여 풀이하면 아래와 같다.

 

▣ 주어진 전압이 단자전압 즉 선간전압이므로 4단자 정수식을 단자전압을 적용할 할 수

     있도록 양변에 √3을 곱하여 선간전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주면 문제풀이를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3을 곱하지 않고 대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문제를 풀이하더 라도 된다.

 

(1) 수전단 전압 [kV] 및 송전단 전류 [A]를 구하시오.

  ① 수전단 전압

    ▣ 주어진 문제에서 무부하(2차 개방) 상태에서 1차 단자전압이 154[kV]일 때

        수전단(2차) 전압을 구하는 것이므로 2차 개방시 전압이득식으로 구하면 된다.

         송전단 전압 Vs = A · Vr + √3 B · I2 에서 무부하이므로 I2 = 0 이다.

 

(2) 수전단의 전압을 140[kV]로 유지하려고 할 때 수전단에서 공급하여야 할 무효전력

     Q[kVA]를 구하시오.

  ▣ 무부하 상태에서 송전단에서 154[kV]를 공급했는데 수전단에 140[kV]의 전압을

       유지하려고 할 때 송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무부하 여자전류이므로 모두 무효전력이

       된다. 따라서 4단자 정수로 수전단 전류를 구한 후 무효전력 산정식으로 구하면 된다.

 

   ※ 무부하 송전선에서 수전단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무효전력은 조상설비에

       의한 콘덴서 용량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반응형
반응형

 

♠ 송전선로에서 4단자 정수로 전압, 전류, 전력 구하기

 

▣ 공칭전압이 140[kV]인 3상 송전선로가 있다. 이 송전선의 4단자 정수는 A = 0.9,

     B=j0.7, C=j0.52 × 10-3, D=0.9 이다. 무부하 송전단에서 154 [kV]를 인가했을 때 다음을 구하시오.

 

 (1) 수전단 전압 [kV] 및 송전단 전류 [A]를 구하시오.

     ① 수전단 전압 [kV]        ② 송전단 전류 [A]

 (2) 수전단의 전압을 140[kV]로 유지하려고 할 때 수전단에서 공급하여야 할 무효전력 Q[kVA]를 구하시오.

 

[문제풀이]

(1) 수전단 전압 [kV] 및 송전단 전류 [A]를 구하시오.

▣ 송전계통의 수식 등은 한상분 즉, 대지전압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4단자 전송파라미

     A, B, C, D는 송전계통에서 대지전압을 기준으로 하며 아래와 같이 행렬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 편리하다.

 

▣ 위의 4단자 정수 회로를 행렬식을 이용하여 풀이하면 아래와 같다.

 

▣ 주어진 전압이 단자전압 즉 선간전압이므로 4단자 정수식을 단자전압을 적용할 할 수

     있도록 양변에 √3을 곱하여 선간전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주면 문제풀이를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3을 곱하지 않고 대지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문제를 풀이하더 라도 된다.

 

(1) 수전단 전압 [kV] 및 송전단 전류 [A]를 구하시오.

  ① 수전단 전압

    ▣ 주어진 문제에서 무부하(2차 개방) 상태에서 1차 단자전압이 154[kV]일 때

        수전단(2차) 전압을 구하는 것이므로 2차 개방시 전압이득식으로 구하면 된다.

         송전단 전압 Vs = A · Vr + √3 B · I2 에서 무부하이므로 I2 = 0 이다.

 

(2) 수전단의 전압을 140[kV]로 유지하려고 할 때 수전단에서 공급하여야 할 무효전력

     Q[kVA]를 구하시오.

  ▣ 무부하 상태에서 송전단에서 154[kV]를 공급했는데 수전단에 140[kV]의 전압을

       유지하려고 할 때 송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무부하 여자전류이므로 모두 무효전력이

       된다. 따라서 4단자 정수로 수전단 전류를 구한 후 무효전력 산정식으로 구하면 된다.

 

   ※ 무부하 송전선에서 수전단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무효전력은 조상설비에

       의한 콘덴서 용량이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반응형
반응형

 

♠ 간이 수전설비 결선도 및 큐비클 구성

 

▣ 그림과 같은 간이 수전설비에 대한 결선도를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수전실의 형태를 Cubicle Type으로 할 경우 고압반(HV: High voltage)과 저압반

     (Low voltage)은 몇 개의 면으로 구성되는지 구분하고, 수용되는 기기의 명칭을 쓰시오.

구 분
면수
수용기기
고압반
4면
전력퓨즈, 피뢰기,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성기, 컷아웃스위치,
동력용 변압기, 전등용 변압기
저압반
2면
기중차단기, 배선용 차단기

※ ASS는 옥외에 설치하므로 Cubicle 면에는 포함되지 않느다.

 

(2) 도면에 표시된 ①, ②, ③ 기기의 최대 설계전압과 정력전류를 쓰시오.

   ① ASS : 설계최대전압 25.8 [kV]

                  정격전류 : 200[A], 배전계통에서 부하용량 7,000[kVA] 이하

   ② LA : 설계최대전압 : 18[kV] - 배전계통 ※ 변전소 : 21[kV]

                정격전류 : 2,500[A]

   ③ COS : 설계최대전압 : 25[kV]

 

(3) ④, ⑤ 차단기의 용량(AF, AT)은 어느 것을 선정하면 되겠는가 ?

 

[해설]

▣ 큐비클 면 구성

고압반 4면
① PF+LA ② MOF ③ COS+Tr#1 ④ COS+Tr#2
저압반 2면
① Tr#1용 ACB ② Tr#2용 MCCB

▣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 (COS : Cut Out Switch)

  ⊙ 정격전압 : 25 [kV]

  ⊙ 정격전류 (연속통전전류) : 100[A] - AF

▣ 내선규정 3220-4 방출형 퓨즈 (PF, COS) 정격전류 (22.9[kV-y] 변압기 보호용)

  ⊙ 1, 2, 3, 6, 8, 10, 12, 15, 20, 25, 30, 40, 50, 65, 80, 100, 140, 200 [A]

     ※ 변압기 1차 정격전류의 1.5 ~ 3.3배로 선정

▣ ASS (자동고장구분 개폐기)

  ⊙ 22.9[kV-Y] 특고압 수용가의 책임분기점 구분개폐기 및 수전설비 보호장치로

      1000[kVA] 이하에서 사용

  ⊙ 정격전류

      ① 200[A] : 배전계통에서 부하용량 7,000[kVA] 이하의 수전실 인입구

      ② 400[A] : 배전계통에서 부하용량 8,000[kVA] 이하의 수전실 인입구

 

반응형
반응형

 

1. 사용전원과 비상전원 상호간에는 인터록과 전환개폐기를 설치한다.

2. 전력용 콘덴서 정기점검 (육안점검) 3항목

① 단자부 이완 ② 단자부 과열 ③ 기름 누설여부 ④ 애자손상 여부

⑤ 용기 등의 녹 발생 ⑥ 보호장치 동작

3. 단권변압기

 

4. 전력용 콘덴서에 설치하는 직렬 리액터의 용량 산정

① 이론상 콘덴서 용량의 4% ⇒ 실제 주파수 변동 등의 여유를 봐서 5~6 % 것을 사용

 

5. 간이 수변전설비

  ▣ ASS : 무전압시 개방이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고장구분개폐기로

                서 돌입전류 억제 기능이 있다.

  ▣ 인터럽트 스위치 : 수동조작만 가능하고 과부하시 자동으로 개폐할 수 없고 돌입전류 억

                제 기능이 없으며 용량 300[kVA]이하에서 ASS 대신에 사용된다.

 

6. 로크너트, 부싱, 커플링, 새들, 노멀밴드, 링리듀셔, 스위치 박스, 아울렛 박스

 

7. 전동기에 개별 콘덴서 설치시 자기여자 현상

  ▣ 이유 : 콘덴서 전류가 전동기의 무부하 전류 보다 큰 경우에 발생

  ▣ 현상 : 전동기의 단자전압이 일시적으로 정격전압을 초과하는 현상

 

8. 옥외용 변전소의 변압기 사고

  ① 권선의 상간단락 및 층간 단락 ② 권선과 철심간의 절연파괴에 의한 지락사고

  ③ 고저압 권선간 혼촉 ④ 권선의 단락 ⑤ Bushing Lead 선의 절연파괴

 

9. 부하개폐기 : 평상시 부하전류의 개폐는 가능하나 이상시 (과부하, 단락) 보호기능은 없

                       음 개폐빈도가 적은 부하개폐용 스위치로 사용, 전력퓨즈와 사용시 결상

                       방지 목적으로 사용

10. 전자접촉기 : 평상시 부하전류 또는 과부하 전류까지 안전하게 개폐, 부하의 개폐 제어

                             가 주목적이고 개폐 빈도가 많음. 부하의 조작, 제어용 스위치로 사용, 전력

                             퓨즈와 조합에 의한 Combination Switch로 널리 이용

11. 송배전선의 단락용량 경감대책

   ① 고임피던스 기기 채용 ② 한류 리액터 설치 ③ 계통분할 방식 채용

 

12. 전동기의 후강전선관 선정 : Y-△ 기동만 전선 6가닥, 나머지 기동법 : 전선 3가닥

13. 아몰퍼스 변압기

 <장점> ① 철손과 여자전류가 매우 작다.

             ② 철심의 발열량이 작아 수명이 길고 과부하 내량이 우수하다.

             ③ 고주파 대역에서 자기적 특성이 우수하다.

<단점> ① 포화자속밀도가 낮다.

              ② 아몰퍼스 소재의 경도가 높고 취성이 나빠 제작상 어려움이 있다.

               ③ 점적률에 의한 원가 상승으로 고가이다.

14. 덕트 기호

 

15. 설비불평형 시설

   ① 단상부하 1개의 경우 2차 역V결선 접속에 따를 것 (300[kVA]를 초과하지 말 것)

   ② 단상 부하 2개인 경우 스코트 결선에 의할 것

   ③ 단상 부하 3개의 경우 가급적 전로가 평형이 되도록 할 것

 

16. 워너 (Wenner)의 4전극법 대지저항률 : ρ = 2πa R

17. 접지저항 물리적 저감법

   ① 접지극을 길게 할 것 ② 접지극의 병렬 접속 ③ 접지봉의 매설깊이를 깊게 한다.

   ④ 접지극과 대지와의 접촉저항을 적게 하기 위해 심타공법으로 한다.

18. 저감제 구비조건

   ① 환경이 무해하여 안전할 것

   ② 전기적으로 양도체이고 전극을 부식시키지 아니할 것

   ③ 지속성이 있을 것 ④ 작업성이 좋을 것

19. 특고압용 지중전선 케이블 2가지

   ① 알루미늄피 케이블 ② 연피케이블 ③ 파이프형 압력 케이블

20. 전압강하법에 의한 접지저항 측정 : 접지극 간격 : E-P는 E-C의 61.8 [%]

21. 연축전지

   ▣ 연축전지 설비의 초기에 단전지 전압의 비중이 저하되고 전압계가 역전하였다.

           : 축전지의 역접속

   ▣ 충전장치 고장, 과충전, 액면저하로 극판 노출, 교류분 전류의 유입과다 등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현상 ? 축전지의 현저한 온도 상승 또는 소손

22.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 (SVC : Static Var Compensator)

  ▣ 사이리스터를 이용하여 병렬 콘덴서와 분로리액터를 신속하게 접속 제어하여 무효전력

       과 전압을 제어하는 장치

22. 방폭형 전동기 : 지정된 폭발성 가스 중에서 사용에 적합하도록 특별히 고려된 전동기

23. T-5 램프 (15.5 ㎜) : ① 기존 T-10, T-8 보다 50%, 30% 이상 에저지 절약 가능

   ② 연색성이 우수하고 광속 유지율이 우수

   ③ 전자식 안정기의 낮은 전력소모로 에너지 절약 가능

   ④ 16,000h 의 긴 수명

   ⑤ 열발생이 적고 104[lm/W]으로 효율이 우수

24. 전력용 콘덴서의 설치 목적

   ① 변압기와 배전선 전력손실 경감 ② 전압강하 감소 ③ 설비 여유용량 증가

   ④ 전기요금 감소

 

25. Y-△ 결선 1차측 중성점

  ▣ 다중접지 계통에서 수전변압기를 2부싱(2-Bushing) 변압기로 Y-△ 결선하는 경우에

       는 1차측 중성점은 접지하지 않고 부동(Floating) 시켜야 하며 변압기 외함만을 중성

       선과 공동접지한다. 왜냐하면 임의의 한상의 결상시 나머지 2대의 변압기가 역V결선

        되므로 과부하로 인하여 변압기가 소손될 우려가 있다.

 

26. 저압전로의 절연저항

전로의 사용전압
DC 시험 전압 [V]
절연저항 [MΩ]
SELV 및 PELV
250
0.5
FELV, 500 [V] 이하
500
1.0
500 [V] 초과
1000
1.0

 

  ▣ 특별저압 ( ELV : Extra Low Voltage)

      ⊙ DC : 120 [V], AC : 50 [V] 이하

 

27. 변압기의 부하 분담

 

28. 3전극법 대지저항

 

29. 중성점 접지 저항기 (NRG)

   ▣ 기능 : 지락 사고시 지락전류 억제 및 건전상 대지 전위의 상승을 억제

 

30. 지중전선로

<장점>

① 동일 루트에 다회선이 가능하여 도심지에 적합

② 외부 기상여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

③ 설비의 단순 고도화로 유지 보수 업무가 적음

④ 차폐 케이블을 사용하여 유도 장해가 적음

<단점>

① 고장점 탐지가 어렵고 복구가 어렵다.

② 발생열의 구조적 냉각 장해로 가공선에 비해 송전용량이 작음

③ 건설비가 비싸고 건설기간이 길다.

④ 설비구성상 신규 수요 대응에 탄력성 결여

 

31. 스폿 네트워크 (Spot Network)

  ① 무정전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② 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③ 전압변동률이 낮다. ④ 부하 증가에 대한 적응성이 좋다.

 

32. 전고조파 왜율 (THD)

  ▣ 기본파의 실효값에 대한 전고조파의 실효값의 비율로서 고조파 성분이 어느 정도 포함

         되어 있는 지를 나타낸 것이다.

 

33. 균등충전방식

  ▣ 축전지의 각 전해조에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해 1~3개월 마다 1회 정전압으로

       10~12시간 충전하는 방식

 

34. 발전소, 변전소 모선 보호 계전방식

  ① 전류차동계전방식 : 각 모선의 2차측 CT를 차동접속하고, 과전류 계전기를 설치한 것으

                             로 모선내 고장시 모선내에 유입, 유출하는 전류가 다르다는 것을 이용해 고장 검출

  ② 전압차동계전방식 : 모선에 설치된 CT 2차 회로에 차동접속하고 거기에 임피던스가 큰

             변압기를 설치한 것으로 모선내 고장에서는 계전기에 큰 전압이 인가되어 동작하는 방식

  ③ 위상비교 계전방식 : 모선에 접속된 각 회선의 전류 위상을 비교함으로써 모선내 고장인

          지를 판별하는 방식

  ④ 방향비교 계전방식 : 모선에 접속된 각 회선에 전력방향 계전기 또는 방향계전기를 설치

                 하여 모선으로 부터 유출하는 고장이 없는데 회선으로 부터 모선방향으로 고장전류가

                유입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모선내 고장인지 외부고장인지를 판별하는 방식

 

35. 지중전선로 고장 및 탐지법

   ▣ 머레이 루프법 : 지락사고, 단락사고

   ▣ 펄스레이다법 : 지락사고, 3상 단락사고, 단선사고

   ▣ 정전브리지법 : 단선사고

 

36. 접지공사의 목적

  ①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 방지

  ② 이상전압 발생시 대지전위 상승을 억제하여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③ 지락사고시 보호계전기의 동작을 신속, 확실하게 하기 위해

 

37. 수전용 차단기와 과전류 계전기 연동 시험시 확인사항 (물저항기)

  ① 정전의 확인

  ② 시험전로에 접지된 부분이 없는지 확인

  ③ 시험용 배선의 접속상태 확인

 

38. 전기방폭설비란? : 전기설비가 원인이 되어 증기 또는 분진 등이 인화하거나 폭발하여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설비를 말함

 

39. 사용중인 UPS 의 2차측 사고시 고장회로 분리방법

  ① 배선용 차단기에 의한 보호 ② 속단퓨즈에 의한 보호

  ③ 반도체 차단기에 의한 보호

 

40. 분산부하의 경우 집중부하보다 전압강하는 1/2, 전력손실은 1/3

41. 전동기 보호

  ① 과부하 보호 ② 지락보호 ③ 단락보호 ④ 회전자 구속보호 ⑤ 결상 보호

  ⑥ 역상보호 ⑦ 부족전압 보호 ⑧ 불평형 보호

 

42. 동기발전기의 횡류

원인
순환전류
영향
기전력의 크기
무효순환전류
두발전기의 역률이 달라지고 발전기 과열
기전력의 위상
동기화전류
(유효순환전류)
출력이 주기적으로 동요하고 발전기 과열
기전력의 파형
고조파무효순환전류
저항손실 증가, 권선 과열

 

43. 경제적 송전식 Still 식

 

44. 단권변압기

<장점> ① 동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② 동손이 감소하여 효율이 좋아진다.

③ 전압강하, 전압변동률이 작다.

<단점> ① 누설임피던스가 작아 단락전류가 크다.

② 1차측에 이상전압 발생시 2차측에도 고전압이 걸려 위험하다.

<용도> ① 배전선로의 승압기, 강압기

② 동기전동기, 유도전동기의 기동보상기용 변압기

 

45. 중요한 접지 개소

① 일반기기 및 제어반의 외함접지 ② 피뢰기 접지

③ 피뢰침 접지 ④ 옥외 철구 및 경계책 접지

(그외) 케이블 실드선 접지

 

46. 변압기 호흡작용 : 외부온도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변압기 내부에 있는 절연

    유 부피가 수축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출입하는 현상

<영향> 변압 내부로 수분 및 불순물이 침입하여 절연유의 절연내력을 저하시키고 침전물

             을 발생시킨다.

<대책> 콘서베이터 설치

 

47. 주요 계전기 번호

27 : 부족전압계전기 44 : 거리계전기 47 : 결상 역상 계전기

50 : 단락선택 지락선택 계전기 51 : 과전류 지락과전류 계전기 52 : 교류차단기 접촉기

59 : 과전압계전기 64 : 지락과전압계전기 67 : 지락방향계전기 87 : 차동계전기

 

48. 감리원의 시운전 성과품 인계 서류

① 운전개시 가동절차 및 방법 ② 점검항목 점검표 ③ 운전지침

④ 기기류 단독 시운전 방법 검토 및 계획서 ⑤ 실가동 Diagram

⑥ 시험구분 방법, 사용매체 검토 및 계획서 ⑦ 시험성적서

⑧ 성능시험 성적서 (성능시험 보고서)

 

49. 부하개폐기 (LBS)

▣ 기능 : 정상상태의 무부하전류와 부하전류는 개폐할 수 있으나 고장전류는 차단할 수

                 없음

▣ 역할 : 개폐 빈도가 낮은 송배전선 및 수변전설비의 인입구 개폐

▣ 같은 용도의 기기 : 기중부하개폐기, 자동고장구분개폐기 (ASS)

 

50. 콘덴서 돌입전류

 

51. 플리커 현상 방지대책 중 전원계통의 리액터분을 보상하는 2가지 방법

① 직렬콘덴서 방식 ② 3권선 보상 변압기 방식

 

52. 진상콘덴서 육안점검

① 단자부 이완 및 과열여부 ② 기름누설 여부 ③ 애자 손상 여부

 

53. 감리 : 안전관리결과 보고서 첨부 서류 5가지

① 안전관리 조직표 ② 안전보건관리체계 ③ 재해발생현황

④ 산재요양신청서 사본 ⑤ 안전교육실적표

 

54. 욕실 등 물기가 있는 장소 누전차단 : 인체 감전보호용누전차단기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 전류 동작형)

 

55. 기중절연자동고장구분개폐기 (AISS)

<기능> ①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개방하여 사고 확산 방지

② 전부하 상태에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하여 과부하 보호

 

56. 몰드 변압기

<장점> ① 난연성 우수 ② 소형 경량화 가능 ③ 절연의 신뢰성 향상

④ 내습성 및 내진성 향상 ⑤ 유입변압기에 비해 보수 점검이 용이

<단점> ① 내전압이 낮아 서지에 대한 대책 필요

② 가격이 고가 ③ 수지층 차폐무링이 없으므로 코일표면과 접촉하면 위험하다.

 

57. 변류기 1차 정격전류 : 5, 10, 15, 20, 30, 40, 50, 75, 100, 150, 200, 250, 300,

                                       400, 500, 600, 750, 800, 1000, 1200, 1500, 2000, 3000, 4000

58. 피뢰기의 접지저항은 10[Ω] 이하로 한다.

59. 전등효율, 발광 효율

① 전등효율 : 전력소비 P에 대한 전발산광속 F의 비율 η = F/P [lm/W]

② 발광효율 : 방사속 φ에 대한 광속 F의 비율 η = F/φ [lm/W]

 

60. 22.9[kV] △-Y 결선

<장점> ① 한쪽 Y결선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다.

② Y결선 상전압은 선간전압의 1/√3 이므로 절연에 유리하다.

③ △결선이 있어 제3고조파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단점> ① 1상 고장시 전원 공급이 불가능해진다.

② 중성점 접지로 인한 유도장해가 초래한다.

③ 1,2차 선간전압에 위상차가 30˚ 발생한다.

61. 동력설비 에너지 절약방안

① 고효율 전동기 채용 ② 부하의 역률 개선 ③ 전동기제어시스템 (VVVF 시스템) 적용

④ 에너지 절약형 공조기기 System 적용 ⑤ 부하에 맞는 적정 용량의 전동기 채용

 

62. 전동기의 진동 및 소음

<진동> ① 회전자의 동적 정적 불평형 ② 베어링의 불량 ③ 회전자 편심

④ 상대기기와 연결불량 및 설치 불량 ⑤ 에어갭의 회전시 변동

<소음> ① 기계적 소음 : 진동, 브러쉬 진동, 베어링 등이 원인

② 전자적 소음 : 철심이 주기적으로 자력, 전자력에 의해 진동하며 발생하는 소음

③ 통풍 소음 : 팬, 회전자 에어덕트 등 팬 작용에 의한 소음

 

63. 부하 중심간 거리

 

64. 보호도체의 굵기

선도체 굵기 [㎟]
보호도체 굵기 [㎟]
(선도체와 같은 재료)
보호도체 굵기 [㎟]
(선도체와 다른 재료)
S ≤ 16
S
S × (K1/k2)
16 < S ≤35
16
16 × (K1/k2)
S > 35
S / 2
S / 16 × (K1/k2)

 

65. 보호선의 종류

① 다심 케이블 도체 ② 충전도체와 같은 트렁킹에 수납된 절연도체 또는 나도체

 

66. 배전선 전압조정 방법

① 자동 전압 조정기 (SVR) ② 승압기 ③ 병렬콘덴서

 

67. 전력퓨즈, 컷아웃스위치

① PF : 전력퓨즈 : 단락전류, 고장전류 차단

② COS 컷아웃스위치 : 계기용 변압기 및 부하측 고장 발생시 이를 고압 회로로 부터

분리하여 사고의 확산 방지

 

68. 전력설비 점검시 보호계전 계통의 보호계전기 오동작 원인 3가지

① 여자돌입전류 ② 변류기 포화 ③ 계전기의 감도저하

④ 보호계전기 허용온도를 초과한 온도 ⑤ 높은 습도에 의한 절연성능 저하

⑥ 유해 가스에 의한 금속부분 부식

 

69. 선택지락 계전기 SG

▣ 다회선 배전선로에서 지락사고시 지락회선을 선택하여 차단

 

70. 부하의 최대수요전력 (Peak Power) 억제방법

① 부하의 피크 컷 (Peak cur) 제어 ② 부하의 피크 시프트(Peak shift) 제어

③ 자가용 발전설비 가동에 의한 피크 제어 ④ 부하의 프로그램 제어 방식

 

71. 폐쇄형 큐비클식 변전실 높이

   ▣ 특고압 수전 : 4.5 [m] 이상 ▣ 고압 수전 : 3[m] 이상

 

72. 진공차단기 장단점

<장점> ① 차단성능이 우수하고 차단시간이 짧다. ② 수명이 길다.

③ 기름을 사용하지 않아 화재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다.

④ 소형 경량이다 ⑤ 완전 밀봉형으로 안전하고 소음도 적다.

<단점> ① 개폐서지가 발생한다 ② 진공도의 열화판정이 곤란하다.

 

73. 자가용 발전설비가 구비되어야 할 계전기

① 과전류 계전기 ② 주파수 계전기 ③ 과전압계전기 ④ 부족전압 계전기

⑤ 비율차동계전기

 

74. 지락사고시 계전기가 동작하여 영상전류 검출 방법

① ZCT (영상변류기)에 의한 검출 ② Y결선의 잔류회로에 의한 검출

③ 3차 권선부 CT를 이용한 검출 ④ 변압기 중성점 접지회로 전류 검출

 

75. 리클로저 (R/C) : 가공 배전선로 사고의 대부분은 조류 및 수목에 의한 접촉, 강풍, 낙

뢰 등에 의한 플래시 오버 사고로서 이런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고장 구간을 차단

하고 사고점의 아크를 소멸 시킨 후 즉시 재투입이 가능한 개폐장치

 

76. 선로개폐기 (LS) : 보안상 책임분계점에서 보수 점검시 전로를 개폐하기 위하여 시설

하는 것으로 반드시 무부하 상태에서 개방하여야 한다. 근래에는 ASS를 사용하여

66[kV] 이상의 경우에는 이를 사용한다.

 

77. 조도 및 광도 계산

 

78. 용어 T : 시간지연 릴레이

79. 역상제동 : 시간지연 릴레이를 사용하여 제동시 과전류를 방지하는 시간적인 여유를

                     주기 위함 - r : 역상제동시 저항의 전압강하로 전압을 줄이고 제동력을

                     제한한다.

80. 감리 : 공사현장 비치, 기록 보관 사항

  ① 하도급 현황 ② 주요 인력 및 장비 투입현황 ③ 작업계획서

  ④ 기자재 공급원 승인 현황 ⑤ 주간 공정 계획 및 실적 보고서

 

81. 방의 크기와 콘센트 수

방의 크기 [㎡]
표준
바람직함
5 미만
5~ 10 미만
10~15미만
15~20미만
부엌
1
2
2
3
2
2
3
4
5
3

82. 통신선 유도장해

<근본대책> 전자유도전압의 억제

<전력선측> ① 전력선을 통신선으로 부터 멀리 건설한다.

② 접지개소를 적정하게 선정하여 기유도전류의 분포를 조절한다.

③ 고속도 지락 보호 계전방식을 채용한다.

④ 차폐선을 설치한다.

⑤ 지중전선로 방식을 채용한다.

<통신선측> ① 절연변압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리한다.

② 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③ 통신선에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④ 배류코일을 설치한다.

⑤ 통신선을 송전선에 수직교차한다.

83. 간선 설계시 고려사항 5가지

① 전기방식, 배선방식 ② 부하의 사용상태나 수용률

③ 장래 증설 유무와 이것에 대한 배려의 필요성

④ 간선의 경로에 대한 위치나 넓이

⑤ 점검구에 대한 사항

 

84. 가공지선의 이상전압 방지대책

① 피뢰기 설치 ② 가공지선 설치 ③ 매설지선 설치 ※ 중성점 접지

 

85. 변압기 중성점 접지 목적

① 1선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을 억제하여 전선로 및 기기의 절연레벨 경감

② 뇌, 아크, 기타에 의한 이상전압의 경감 및 발생 방지

③ 지락사고시 접지 계전기의 동작 확실

 

86. 조명기구 배광에 따른 조명 방식

① 직접 조명 ② 반직접 조명 ③ 전반확산조명 ④ 반간접조명 ⑤ 간접조명

 

87. 조명기구 배치에 따른 조명 방식

  ① 전반조명 ② 국부조명 ③ 국부적 전반조명 ④ 탈조명

     ※ Tal 조명 : 작업구역에서 전용의 국부조명을 하고 주변지역은 간접조명과 같은 낮은

                          조도레벨로 조명

88.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은 병렬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상호간의 차단기에는

      인터록을 시설해야 하고 전환개폐기를 시설해야 한다.

 

89. 66[kV] 선로의 피뢰기 정격전압은 72[kV]

  ※ GPT는 영상전압을 측정하므로 변압기를 상전압을 기준으로 한다.

      선간전압 / √3, 2차측 110/ √3

       그밖에 PT는 1차 정격은 선간전압을 그대로 사용한다.

 

90. UPS 2차측 단락사고시 UPS와 고장회로 분리

① 배선용 차단기에 의한 보호 ② 속단 퓨즈에 의한 보호

③ 반도체 차단기에 의한 보호

 

91. 3상 교류 전동기 보호장치 (과부하 보호 제외) 5가지

① 단락보호 ② 지락보호 ③ 회전자 구속 보호 (기동실패보호)

④ 결상보호 ⑤ 역상보호 <그외> 과부하 보호, 부족전압 보호, 불평형 보호 등

 

92. 단권 변압기

<장점> ① 동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② 동손이 감소하여 효율이 좋아진다.

③ 전압강하, 전압변동률이 작다.

<단점> ① 누설 임피던스가 작아 단락전류가 크다.

② 1차측 이상전압이 발생시 2차측에도 고전압이 걸려 위험하다.

<용도> ① 배전선로의 승압 및 강압용 변압기

② 동기발전기와 유도전동기의 기동보상기용 변압기

 

93. 접지의 목적

①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 방지

② 이상전압 발생하였을 경우 전위상승을 억제하여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③ 지락사고시 보호계전기의 동작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94. 중요접지개소

① 일반 기기 및 제어반 외함 접지 ② 피뢰기 접지 ③ 피뢰침 접지

④ 옥외 철구 및 경계책 접지

 

95. 단권 변압기

 

96. 변압기 호흡작용

① 변압기 호흡작용 : 변압기 외부 온도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변압기 내부의 절

                              연유가 수축 팽창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변압기 내부로 출입하는 것

② 호흡작용 문제점 : 변압기 내부에 수분 및 불순물이 혼입되어 절연유의 절연 내력을 저

                               하시키고 침전물을 발생할 수 있다.

③ 방지대책 : 콘서베이터 설치

 

97. △-Y 결선 방식

<장점> ① 중성점을 접지할 수 있다.

            ② Y결선의 상전압이 선간전압의 1/√3 이므로 절연이 용이하다.

            ③ △ 결선이 있어 제3고조파 장해가 적고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④ Y-△결선은 강압용, △-Y결선의 승압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송전선에 융통성

                   있게 사용한다.

<단점> ① 1상 고장시 전원공급이 불가능해진다.

            ② 중성점 접지로 인해 유도장해를 초래한다.

             ③ 1,2차 선간전압 사이에 위상차가 30˚ 발생한다.

 

98. 동력설비 에너지 절약 방안

① 고효율 전동기 채용 ② 부하의 역률 개선 (역률 개선용 콘덴서를 전동기 별로 설치)

③ 전동기 제어 시스템 (VVVF 시스템 ) 채용

④ 에너지 절약형 공조 시스템 채택

⑤ 부하에 맞는 적정 용량의 전동기 채용

 

99. 전동기의 진동 및 소음

<진동> ① 회전자의 동적, 정적 불평형 ② 베어링 불량

            ③ 상대기기와의 연결 불량 및 설치 불량 ④ 회전자 편심

            ⑤ 에어갭의 회전시 변동

<소음> ① 기계적 소음 : 진동, 브러쉬 진동, 베어링 등의 원인으로 발생

            ② 전자적 소음 : 철심이 주기적인 자력, 전자력에 의해 진동하며 발생하는 소음

            ③ 통풍 소음 : 팬, 회전자의 에어덕트 등 팬 작용으로 발생하는 소음

 

100. 배전선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

① 자동전압 조정기 (SVR) ② 승압기 ③ 병렬콘덴서, 직렬콘덴서 거의 사용 안함

 

101. 발주자가 책임감리원에게 설계변경 지시시 첨부 서류

① 설계변경 개요서 ② 설계변경 도면 ③ 설계 설명서 ④ 계산서 ⑤ 수량산출서

 

102. 보호계전기 오동작 원인

① 여자돌입전류 ② 변류기 포화 ③ 계전기의 감도 저하

 

103. 피뢰기의 정격 전압 : 속류가 차단되는 교류 최고 전압

 

피뢰기의 정격전압 (표준값)

345
154
66
22
22.9
288
144
72
24
21
18

104. 콘덴서 회로의 리액터 용량

▣ 제5고조파 4% ⇒ 5~6%

▣ 제3고조파 11 %

 

 

반응형
반응형

 

1. 전동기 가열장치 전력장치 배선에서 부하회로의 배선에 개폐기 생략 가능한 경우

① 배선중에 시설하는 현장 조작 개폐기가 전로의 각 극을 개폐할 수 있는 경우

② 전용 분기회로에서 공급될 경우

 

2. 주상변압기 무부하시험에서 SVR, IR 다음에 시설하는 기기는 ? 승압기

 

3. 변류기 1차측 전류 : 5, 10, 15, 20, 30, 40, 50, 75, 100, 150, 200, 250, 300,

    400, 500, 600, 750, 800, 1000, 1200, 1500, 2000, 3000, 4000

 

3.정크션 박스 : 전선상호간 접속시 접속된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기 위해 설치

    풀박스 : 전선의 통과를 쉽게 하기 위해 배관 도중에 설치

 

4. 배선설비의 설계지침

  ▣ 전선관의 길이가 25[m]를 초과하는 경우 25[m] 마다 풀박스를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 부위가 있는 경우 15 [m]를 초과할 수 없다. 또한 3개소를

       초과하는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굴곡 개소를 만들어서는 안된다.

 

5. 특고압 간이수전설비

  ▣ 300[kVA] 이하인 경우 PF 대신 COS (비대칭 차단전류 10[kA]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6. △-△ 결선의 장단점

<장점> ① 제3고조파 전류가 △결선내 순환하므로 정현파 교류전압이 유기되어 기전력의

                  파형이 왜곡되지 않는다.

            ② 변압기 1대가 고장나면 나머지 2대로 V결선하여 3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③ 상전류는 선전류의 1/√3 배 이므로 대전류에 적합하다.

<단점> ① 중성점을 접지할 수 없어 지락전류 검출이 곤란하다.

             ② 권수비가 다른 변압기를 결선하면 순환전류가 흐른다.

             ③ 각 상의 임피던스가 다를 경우 3상 부하가 평형이 되어도 변압기의 부하전류는

                  불평형이 된다.

7. 저압 단상 3선식 수전설비에서 전류는 전체 부하를 전체 전압으로 나누어 산정한다.

    ▣ 220 / 110 [V] 에서 I = Pa / 220 [A]

 

8. 설비불평률을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

   ① 저압수전에서 전용변압기로 수전하는 경우

   ②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 이하 단상 부하인 경우

   ③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단상 부하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 이하인 경우

   ④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 단상 변압기 2대로 역V결선 하는 경우

 

9. 도로 조명설계시 고려사항

   ① 도로면을 가능한 한 높은 평균 휘도로 조명할 것

   ② 조명기구 등의 눈부심 Glare가 작을 것

   ③ 도로 양측 보도, 건축물의 전면 등이 높은 조도로 충분히 밝게 조명할 수 있을 것

   ④ 조명의 광색, 연색성이 좋을 것

   ⑤ 휘도의 차이에 따른 균제도(최대, 최소) 확보

   ⑥ 주간에 도로 풍경을 손상하지 않는 디자인으로 할 것

 

10. 콘덴서의 제3고조파 방지전류 (직렬 리액터 전류)

 

11. 배전선의 전압 조정 방법

   ① SVR 자동 전압 조정기 ② 승압기 ③ 병렬 콘덴서 ④ 배전선 탭(Tap) 조정

 

12. 연축전지의 고장 현상

   ① 전체 셀의 전압 불균일이 크고 비중이 낮다 ⇒ 충전부족으로 장기간 방치

   ② 전체 셀의 비중이 높다. ⇒ 증류수가 부족한 경우 (액면저하로 극판 노출)

   ③ 전해액 변색, 충전하지 않고 그냥 두어도 다량의 가스가 발생한다. ⇒ 불순물 혼입

 

13. 잠동현상 : 무부하상태에서 정격전압, 정격 주파수의 110%를 인가했을 때 전력

                         량계 원판이 1회전 이상 회전하는 현상

  <대책> ① 원판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② 원판에 작은 철편을 붙인다.

 

14. 전력량계 구비조건

   ① 옥내, 옥외 설치가 적당할 것

   ② 온도, 주파수 변화에 보상이 되도록 할 것

   ③ 기계적 강도가 클 것    ④ 부하특성이 좋을 것   ⑤ 과부하 내량이 클 것

 

15. 차단기의 트립방식

  ① 직류트립 방식 : 보호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트립코일에 직류전류를 흘려 차단하는 방식

  ② 콘덴서트립방식 :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상시 콘덴서를 충전해 두고 이 전압을 트립전원

                                   으로 차단하는 방식

  ③ 전류트립방식 : 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2차 전류를 트립코일에 흘려 차단하는 방식

  ④ 부족전압 트립방식 : 부족 전압 개폐장치에 인가 되어 있는 전압의 저하에 따라 차단

                                        하는 방식

16. ULTC (Under Load Transfer Switch) 무하전환개폐기 구조상 종류 2가지

  ① 병렬 구분식             ② 단일 회로식

 

17. 단락용량 경감대책

  ① 고임피던스 기기 채용한다.   ② 한류리액터를 사용한다.   ③ 계통분할 방식을 사용한다.

 

18. 접지저항 측정방법

  ① 어스테스터법 (접지저항 측정법)      ② 콜라우시 브리지에 의한 3극 접지저항 측정법

 

19. 건식 변압기의 장점

  ① 소형 경량화할 수 있다.            ② 절연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

  ③ 난연성, 자기 소화성으로 화재 및 폭발의 우려가 적으므로 안전성이 높다.

  ④ 절연유가 없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20. 조명에서 등과 등사이의 간격 1.5 H

  ▣ 등과 벽사이 간격 : 벽면 이용 1/3 H 이하 벽면 미이용 : 1/2 H 이하

 

21. 단락전류의 적용

  ① 차단기의 용량 결정    ② 보호계전기의 정정       ③ 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 추정

 

22. 유도전동기의 회전 속도

 

23. 고압회로용 진상 콘덴서 설비 보호장치

   ① 과전압 계전기            ② 저전압계전기           ③ 과전류 계전기

    ④ 지락과전압계전기     ⑤ 지락과전류계전기

 

24. 축전지 충전방식

  ① 균등충전 : 개개의 축전지의 전압을 균등하게 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행하는 일종의

                        과충전으로 균등충전 또는 균일 충전이라 한다.

                  ⇒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치상태 ,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 등이 생겼을 때 기능회복을 위하여 실시하는 충전

  ② 회복충전 : 정전류 충전법에 의하여 전류로 40~50시간 충전 후 방전시키고 다시 충전

                        시키고 방전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여러번 반복하면 본래의 출력용량을 회복하는 충전방법

25. 축전지의 구성요소 4가지

  ① 축전지     ② 충전기     ③ 보안장치    ④ 제어장치

26. 인출형 (플러그인 타입) 차단기

 

27. 자가 발전기 중요검사 항목

  ① 접지저항 측정       ② 절연저항 측정          ③ 절연내력 시험

    <그외> 절연유 시험 측정, 보호장치 시험, 계측장치 등

 

28. 변압기 여자돌입 전류에 대한 오동작 방지법

   ① 감도저하법     ② 비대칭파 저지법     ③ 고조파 억제법

 

29. 전류퓨즈(PF) 구입시 고려사항

   ① 정격전압    ② 정격전류    ③ 정격차단전류    ④ 사용장소

 

30. PF-S 형 큐비클 주차단 장치로서 사용하는 전력 퓨즈는 ?

  ① 종류 : 한류형 퓨즈        ② 조합 설치 : 고압 개폐기

 

31. 발전기에 설치하는 기기

  ① 개폐기    ② 과전류 차단기    ③ 전압계    ④ 전류계

 

32. 계기용 변압기 1차측, 2차측에 퓨즈를 설치하는 이유 ?

  ▣ 계기용 변압기 2차 부하의 단락 및 과부하 또는 계기용 변압기 단락시 퓨즈가 차단되어

       사고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한다.

 

33. 가스절연개폐기

  ① SF6 가스는 공기에 비해 절연 내력이 2~3배 좋다.

  ② SF6 가스의 장점 3가지

        ⊙ 무색, 무취, 무독성이다.

        ⊙ 소호능력이 우수하다 (공기의 100배)

        ⊙ 절연내력이 높다 (공기의 2~3배)

  <그외> 난연성, 불활성 가스이다.

    ③ 가스절연 개폐기의 장점

         ⊙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 충전부가 밀폐되어 있어 안전성이 높다.

         ⊙ 대기의 오염물의 영향을 받지 않아 신뢰성이 높고 보수가 용이하다.

         ⊙ 소음이 적고 환경조화를 기할 수 있다.

 

34. 3.3[kV] 측 옥내용 PT는 주로 몰드형을 사용한다.

 

35. 고조파의 발생 원인 및 대책

 <발생원인> ① 변압기, 전동기 등의 여자전류

                    ② 컨버터, 인버터, 초퍼 등의 전력변환장치

                    ③ 전기로, 아크로

            <그외> 용접기, 전력전자기기

  <대책> ① 전력변환장치의 펄스수를 크게 한다.

              ② 고조파 필터를 사용한다.

              ③ 변압기에는 △결선을 채용하여 고조파 순환전류를 구성함으로써 고조파 발생을 방지한다.

   (그외) 전력용 콘덴서에는 직렬리액터를 사용한다.

              코로나 방지를 위해 복도체, 다도체를 사용한다.

 

36. 옥외용 변전소 : 변압기 사고의 종류

  ① 권선의 상간단락 또는 층간 단락           ② 권선과 철심간 절연파괴에 의한 지락사고

  ③ 고저압 권선관 혼촉 사고                       ④ 권선의 단선                ⑤ Bushing 리드선의 절연 파괴

 

37. 차단기의 트립전원은 직류(DC) 또는 콘덴서 (CTD) 방식이 바람직하며 66[kV] 이상

        의 수전설비는 직류(DC) 방식이어야 한다.

 

38. 디지털 계전기의 장점

  ① 고성능 다기능    ② 소형화할 수 있다.      ③ 신뢰도가 높다.

  ④ 융통성이 좋다    ⑤ 변성기의 부담이 작아진다.

 

39. 수변전설비 설계시 검토사항 5가지

  ① 필요한 전력 추정    ② 수전전압 및 수전 방식    ③ 주회로 결선방식

  ④ 감시 및 제어방식    ⑤ 변전설비 형식

 

40. 조명에서 에너지 절약 방법

  ① 고효율 등기구 채용      ②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용               ③ 적절한 조광제어

  ④ 고역률 등기구 채용      ⑤ 등기구의 적절한 보수 및 유지관리

  ⑥ 등기구 격등제어           ⑦ 창측 조명기구 개별 점등

  ⑧ 재실감지기, 카드키 사용

 

41. 몰드 변압기의 특징 5가지

  ① 난연성 우수     ② 소형 경량화 가능     ③ 절연의 신뢰성 향상     ④ 내진성, 내습성 양호

  ⑤ 유입변압기에 비해 보수 점검이 용이

<그외> 가격이 고가이다. 내전압이 낮아 서지에 대한 대책 필요

 

42. 연동선의 온도계수

 

43. 워너(Wenner)의 4전극법 : 4개의 측정전극을 일직선상에 박고 저주파 전류를 흘려 대지저항률을 측정

44. 표준 변압기 용량 : 3, 5, 7.5, 10, 15, 20, 30, 50, 75, 100, 150, 200, 300, 500, 750, 1000

45. 과전류의 2가지

   ① 과부하전류 : 전기적인 고장없이 회로에 발생한 과전류

   ② 단락전류 : 정상운전 상태에서 전위차가 있는 충전도체 사이에 임피던스가 "0"인 고장에 기인한 과전류

46. 발전기실 위치 선정 4가지

  ① 기기의 반입, 반출 및 운전보수에 편리할 것

  ② 배기 배출구에 가급적 가까이 위치 할 것

  ③ 실내환기를 충분히 할 수 있을 것 ④ 급배수가 용이할 것

<그외> ⑤ 연료보급이 용이할 것 ⑥ 수변전실과 인접하여 전력공급이 원활할 것

            ⑦ 발전기실 높이는 기관의 보수, 점검이 용이하도록 공간을 확보할 것

 

47. 지중고장 탐색법

  ① 머레이루프법 ② 펄스레이더법 ③ 정전용량법 ④ 수색코일법 ⑤ 음향법

 

48. 공통(공용)접지

<장점> ① 접지저항의 연접으로 합성저항의 저감 효과

             ② 접지극의 연접으로 접지극의 신뢰도 향상

             ③ 접지극의 감소 (수량 감소)

<단점> ① 계통의 이상전압 발생시 유기전압 상승

             ② 다른 기기 계통으로 부터 사고 파급

             ③ 피뢰침용과 공용하므로 뇌서지에 대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49. 코로나 현상

  ① 코로나 현상: 임계전압 이상의 전압이 전선로 부근이나 애자 부근에 가해지면

                            주위의 공기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는 현상

  ② 영향 : 코로나 손실, 전선 부식 촉진, 통신선 유도장해, 코로나 잡음

  ③ 방지대책 : 복도체, 다도체 사용, 굵은 전선 사용, 가선금구류 개선

 

50. 불평형률 예외사항

  ① 저압 수전에서 전용변압기 등으로 수전하는 경우

  ②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 이하의 단상 부하인 경우

  ③ 고압 및 특고압 수전에서 단상부하 용량의 최대와 최소의 차가 100[kVA] 이하인 경우

  ④ 특고압 수전에서 100[kVA] 이하의 단상 변압기 2대로 역V결선 하는 경우

 

51. 발전소 변전소의 모선 보호 계전방식

   ① 전압차동 계전방식     ② 전류차동 계전방식

   ③ 위상비교 계전방식     ④ 방향비교계전방식

 

52. 콘덴서의 방전장치는 5초 이내에 전압을 50[V] 이하로 저하시켜야 한다.

 

53. 수전설비 배전반 등의 최소 유지거리

위치별
기기별
앞면 또는
조작, 계측면
뒷면 또는
점검면
열상호간
기타면
특고압 배전반
1.7 m
0.8 m
1.4 m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1.5 m
0.6 m
1.2 m

변압기 등
0.6 m
0.6 m
1.2 m
0.3 m

 

54. 차단기의 동작책무 : 차단기에 부과된 1회 또는 2회 이상의 투입, 차단 동작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행하는 일련의 동작

 

55. 충전기 충전 종류

  ① 보통충전 : 필요할 때 마다 표준시간율로 충전을 하는 방식

  ② 세류충전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하기 위하여 부하를 oFF한 상태에서의 미소전류

                        로 항상 충전하는 방식

  ③ 균등충전 : 각 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위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1-3개월 마다 1회,

                          정전압 충전을 하여 각 전해조의 용량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충전방식

  ④ 부동충전방식 : 축전지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은

                              충전기가 부담하되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

                              지가 부담하도록 하는 방식

  ⑤ 급속충전방식 : 짧은 시간에 보통 충전전류의 2~3배의 전류로 충전하는 방식

 

56. 감전패해 위험도

  ① 통전전류의 크기   ② 통전경로   ③ 통전시간   ④ 전원의 종류

 

57. 스폿 네트워크 방식 (Spot Network)

  ▣ 배전용 변전소로 부터 2회선 이상의 배전선으로 수전하는 방식으로 배전선의 1회선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일지라도 건전한 회선으로 부터 수전할 수 있는 무정전 방식으로

          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장점> ① 무정전 전력공급 가능 ② 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③ 전압변동률이 낮다.

               ④ 부하 증가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

 

58. 변압기 내부 고장을 검출하기 위하여 변압기 본체와 콘서베이터 사이에 설치하여

       가스나 유류를 검출하는 보호계전기는 ? 부흐홀쯔계전기

59. 사고 종류와 보호계전기

  ① 접지사고 : 접지계전기 ② 과부하, 단락 : 과전류 계전기  ③ 고저압 혼촉 : 중성점 접지공사

 

60. COS (컷아웃스위치) : 계기용 변압기 및 부하측에 고장 발생시 이를 고압 회로로 부터

                                            분리하여 사고의 확대를 방지

61. 감전전류 종류 : 감지전류, 경련전류, 심신세동전류

 

62. 전력퓨즈의 정격

계통전압 [kV]
퓨즈의 정격전압 [kV]
최대 설계전압 [kV]
6.6
6.9 또는 7.5
8.25
66/11.4
11.5 또는 15.0
15.5
13.2
15.0
15.5
22 또는 22.9
23.0
25.8
66
69.0
72.5
154
161.0
169.0

 

63. 무한대 모선 : 내부 임피던스가 "0"이고 전압은 그 크기와 위상이 부하의 증감에 관계

                           없이 전혀 변하지 않고 또 극히 큰 관성정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는

                            용량 무한대의 전원

64. 동기발전기의 순환전류와 영향

원인
순환전류
영향
기전력의 크기
무효순환전류
두발전기의 역률이 달라지고 발전기 과열
기전력의 위상
동기화전류
(유효순환전류)
출력이 주기적으로 동요하고 발전기 과열
기전력의 파형
고조파무효순환전류
저항손실 증가, 권선 과열

 

65. 3상 4선식 다중접지 배전방식의 장단점

<장점> ① 1선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이 낮다.

            ② 중성점을 "0"전위로 유지가능하므로 단절연이 가능하다.

            ③ 보호계전기의 신속한 동작이 가능하다.

            ④ 정격이 낮은 피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단점> ① 지락전류가 크다. ② 통신선 유도장해가 크다.

             ③ 지락전류는 저역률 대전류이므로 과도안정도가 낮다.

             ④ 송전선로의 사고 대부분이 1선 지락사고 이므로 차단기의 빈번한 동작으로

                  차단기의 수명이 단축된다.

 

66. 보호계전기의 기억작용 : 계전기의 입력이 급변했을 때 변화전 전류량을 계전기에

                                              일시적으로 잔류시키게 하는 작용

 

67. 도로 조명설계시 고려사항

  ① 가급적 도로 전체에 높은 평균휘도로 조명할 것

  ② 조명기구 등의 눈부심(Glare)가 작을 것

  ③ 도로 양측의 보도, 건축물의 전면 등이 높은 조도로 충분히 밝게 조명할 수 있을 것

  ④ 조명의 광색, 연색성이 적절할 것

  ⑤ 휘도의 차이에 따른 균제도(최소, 최대) 확보

 

68. 전동기 과부하 보호장치

  ① 전동기용 퓨즈    ② 열동계전기       ③ 전동기 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④ 유도형 계전기    ⑤ 정지형 계전기 (전자식 계전기, 디지털 계전기 등)

 

69. 피뢰기의 구조

 <갭 형> ① 특성요소 ② 주갭 ③ 측로갭 ④ 소호코일 ⑤ 분로 저항

  <갭레스형> ① 특성요소 ② 특성요소

   ▣ 특성요소 : 대전류를 방전시키고 단자간 전압 제한

   ▣ 직렬갭 : 평상시 개방되고 과전압시 불꽃 방전으로 폐회로 형성

 

70. 접지용구의 작업 순서 ① 대지에 먼저 연결한 후 선로에 연결한다.

                                          ② 단로기의 개폐 : 무부하 충전전류, 변압기의 여자전류

 

71. 가스절연개폐기 (GIS)

 <GIS 장점> ① 소형 경량화 할 수 있다. ② 충전부가 밀폐되어 안전성이 높다.

                    ③ 대기중의 오염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아 신뢰성이 높다.

                    ④ 소음이 작고 환경 조화를 기할 수 있다.

<SF6 가스의 특징> ① 무색, 무취, 무독성이다.

                                ② 소호능력이 우수하다. (공기의 100배) ③ 절연내력이 높다 (공기의 2~3배)

                                ④ 난연성, 불활성 가스이다.

 

72. 변압기 호흡작용 : 변압기 외부 온도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변압기 내부에

                                   있는 절연유의 부피가 수축, 팽창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가 변압기 내로로 혼입

                                    하는 현상을 말함

<호흡작용의 문제점> 변압기 내부에 수분 및 불순물이 혼입되어 절연유의 절연내력를 저

                                    하시키고 침전물을 발생시킨다.

<호흡작용 방지대책> 콘서베이터 설치

 

73. 수변전설비 에너지 절약 대책

  ① 고효율 변압기 채택                                 ② 최대수요제어시스템 채택

  ③ 전력용 콘덴서를 설치하여 역률 개선      ④ 우수한 역률 기기를 선정

  ⑤ 변압기 운전대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뱅크를 구성하여 효율적 운전 관리

 

74. 변압기 중성점 접지저항값

일반
150 / Ig
1초 초과 2초 이내에 고압, 특고압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 시설
300 / Ig
1초 이내에 고압, 특고압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 시설
600 / Ig

 

75. 수변전 설비 설계시 고려사항

  ① 필요한 전력의 추정       ② 수전전압 및 수전방식        ③ 주회로 결선방식

  ④ 감시 및 제어 방식         ⑤ 변전설비 형식

 

76. 콘덴서 설비의 주요 사고

  ① 콘덴서 설비의 모선 단락 및 지락 사고      ② 콘덴서 소체 파괴 및 층간 절연 파괴

  ③ 콘덴서 설비내의 배선 단락

 

77. 정류회로 평균값과 실효값

  ▣ 가동코일형 : 평균값 ave (직류) ▣ 가동철편형 : 실효값 rms (교류)

 

78. 유입풍냉식 : 유입변압기에 방열기를 부착하고 송풍기에 의해 강제 통풍시켜 절연유의

                          냉각효과를 증대시키는 방식

79. 무부하 탭 절환장치 : 무부하 상태에서 변압기의 권수비를 조정하여 변압기의 2차 전압

                                        을 조정하는 방식

80. 에너지 절약형 동력설비 대응방안

  ① 고효율 전동기 채용                       ② 부하의 역률 개선 (역률 개선용 콘덴서 전동기별 설치)

  ③ 전동기 제어 시스템 (VVVF 시스템)

  ④ 에너지 절약형 공조기기 시스템 설치

  ⑤ 부하 용량에 맞는 적정 용량의 전동기 선정

 

81. GPT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 : CLR : 전류 제한형 저항기 (Current Limit Resistance)

 

82. 64 : 지락과전압계전기 67 : 지락방향계전기

83. 전동기 소손 방지를 위한 전동기용 과부하 보호장치 생략 가능 경우

  ① 전동기 출력이 0.2[kW] 이하인 경우

  ② 전동기 운전중 상시 취급자가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 경우

  ③ 전동기의 구조나 부하의 성질상 전동기를 손상시킬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는 경우

  ④ 단상 전동기로서 그 전원측 전로에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6 [A] (배선용 차단기

       는 20[A]) 이하인 경우

 

84. 기기별 예상 부하

  ① 소형 전등 수구, 콘센트 : 150 [VA]                ② 대형 전등 수구 : 300 [VA]

 

85. 트리현상 : 고체 절연체 속에서 나뭇가지 모양의 방전흔적을 남기는 현상

                        트리 종류 : 수트리, 전기적 트리, 화학적 트리

 

86. 전기화재 원인

  ① 누전 지락           ② 접촉불량에 의한 단락              ③ 절연열화에 의한 단락

  ④ 압착손상에 의한 단락                      ⑤ 과부하 / 과전류

 

87. 전등의 에너지 절약 대책

  ① 고효율 등기구 채용    ② 고역률 등기구 채용     ③ 고조도, 저휘도 등기구 채용

  ④ 적절한 조광제어 실시    ⑤ 재실감지기, 카드키 채용     ⑥ 창측 조명기구 개별 점등

   ⑦ 등기구의 적절한 보수 및 유지관리    ⑧ 등기구의 격등제어 및 회로 구성

 

88. 균등충전 : 축전지의 과방전 및 방치상태, 가벼운 설페이션 현상 등이 생겼을 때

                        기능회복을 위해 실시하는 충전

89. 축전지의 구성요소 : ① 충전기 ② 축전지 ③ 보안장치 ④ 제어장치

90. 부하율 : 어떤 기간중의 부하의 변동정도를 나타낸 것

 

91. 태양광 발전

<장점> ① 에너지원이 청정, 영구적이다.             ② 필요한 곳에서 필요한 발전량 발전 가능

             ③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무인화 가능      ④ 확산광(산란광)도 이용할 수 있다.

<단점> ① 에너지 밀도가 낮고 큰 설치면적이 필요하다.

            ② 비가오거나 흐린 날씨에는 발전능력 저하

 (그외) ③ 전력생산량이 지역 일사량에 의존 ④ 설치장소가 한정적이며 고가이다.

 

92. 플리커 현상 방지대책

<전원측> ① 전용변압기로 공급한다.                    ② 전용계통으로 공급한다.

                ③ 단락용량이 큰 계통에서 공급한다.    ④ 공급전압을 승압한다.

<부하측> ① 전원계통의 리액터 분을 보상하는 방법

                ② 전압강하를 보상하는 방법

               ③ 부하의 무효전력 변동분을 흡수하는 방법

 

93. 몰드 변압기 장점

  ① 난연성(자기소화성) 우수     ② 절연의 신뢰성 향상

  ③ 소형 경량화 가능                 ④ 내습, 내진성이 양호

  ⑤ 유입 변압기에 비해 보수 점검이 용이

 

94. 특고압 가공전선 상호간 이격 거리

  ▣ 35[kV] 이하 : 2 [m] (절연전선 1[m], 케이블 0.5[m])

  ▣ 35[kV] 초과 60[kV] 이하 : 2[m]

  ▣ 60[kV] 초과 : 2[m] + 단수 × 0.12 [m]

 

95. 대용량 변압기 내부고장 보호장치

  ① 비율차동계전기  ② 부흐홀쯔계전기   ③ 충격압력계전기   ④ 방압안전장치  ⑤ 유온계, 유위계

 

96. 가공전선로의 이도 영향

  ① 이도의 대소는 지지물의 높이를 좌우 한다.

  ② 이도가 너무 크면 전선이 진동하여 다른 상의 전선 또는 수목과 접촉하여 위험을 준다.

  ③ 이도가 너무 크면 도로, 철도, 통신선 등의 횡단장소에서는 이들과 접촉할 위험이 있다.

  ④ 이도가 너무 작으면 그와 반비례하여 전선의 장력이 증가하여 심할 경우 전선이 단선되기도 한다.

 

97. 이중모선의 장점 : 모선 점검시에도 부하의 운전을 무정전 상태로 할 수 있어 전원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98. 조명 눈부심의 원인

  ① 고휘도 광원, 반사면 또는 투과면       ② 순응의 결핍             ③ 눈에 입사하는 광속의 과다.

  ④ 물체와 그 주위 사이의 고휘도 대비    ⑤  광원을 오랫동안 주시할 때

 

99. 역률 과보상의 문제점

  ① 모선 전압의 상승       ② 재점호에 의한 전압 상승           ③ 계전기의 오동작

  ④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현상                 ⑤ 선로 및 변압기 손실 증가

  ⑥ 전원설비 여유용량 감소로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⑦ 고조파 왜곡 증가 (콘덴서, 타기기 손상 및 오동작)

 

100. 변압기 2차측 접지저항값

일반
150 / Ig
1초 초과 2초 이내에 고압, 특고압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 시설
300 / Ig
1초 이내에 고압, 특고압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 시설
600 / Ig

▣ 변압기 중성점(2차측) 접지선 굵기

⊙ 고압 · 특고압 : 16 [㎟] 이상          ⊙ 저압 : 6 [㎟] 이상

 

101. 풍력발전기 출력

 

102. 통신선 전자유도장해 경감대책

<근본대책> 전자유도전압의 억제

<전력선> ① 송전선로를 통신선에서 멀리 떨어져 설치한다.

                ② 접지장소를 적당히 선정해서 기유도전류 분포를 조절한다.

                ③ 고속도 지락 계전방식을 채용한다.

                ④ 차폐선을 설치한다.

               ⑤ 지중전선로 방식을 채용한다.

 <통신선>

       ① 절연변압기를 설치하고 구간을 분리한다.

       ② 연피케이블을 사용한다.

       ③ 통신선에 우수한 피뢰기를 설치한다.

       ④ 배류코일을 설치한다.

       ⑤ 전력선과 교차할 때는 수직교차한다.

 

103. 부싱형 변류기

 

104. 중성점 전류 검출 보호방식 (NCS), 중성점 전압 검출 보호방식 (NVS)

   ▣ 중성점 전압 검출 (NVS : Neutral Voltage Sensor)

       ⊙ 콘덴서 고장시 중성점 간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

 

▣ 중성점 전류 검출 보호방식 (NCS : Neutral Current Sensor)

   ⊙ 콘덴서 고장시 중성점간의 불평형 전압을 검출

 

105. 지중케이블 밀집지역의 케이블 방재대책

   ▣ 난연테이프, 난연 도료 (케이블과 접속재)

 

 

반응형
반응형

 

♠ 3상 3선식 가동결선 CT와 AS, PT와 VS의 결선법

1. 3상3선식 2CT의 결선도에 대하여 알아 보자.

 

① AS 가 OFF 상태일 때

 ▣ 전류계용 전환개폐기(AS)는 한 개의 전류계로 3상의 각 선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AS는 AS가 OFF 상태에 있으면 전류계 A는 아무 상의 전류도 측정하지 않게 된다.

  ⊙ 그런데 CT 2차측을 개방하면 CT 1차측 전류가 모두 여자전류가 되어 2차측의 전압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절연이 파괴되는 등 위험하게 되므로 2차측을 개방하면 안되므로

      전류계와 연결되지 않는 CT의 단자선은 단락을 하게 된다.

       따라서 AS가 OFF 상태일 때는 CT의 단자선인 L1, L3는 단락을 하게 된다. 1S와 1L을

       연결하고 3S와 3L을 연결한다. 2차측 단락은 다음 그림과 같다.

 
AS 결선1

② AS 가 L1 선에 있을 때

 

  ▣ AS가 L1 선에 있을 때는 전류계는 A는 L1 의 CT 단자에 연결되고(1S-전류계, 전류계 -

      1L) 전류계와 연결되지 않는 L3 의 CT 단자선은 단락(3S - 3L)을 하게 된다.

    ※ CT가 가동접속이므로 1L과 3L은 공통선이 된다.

 
AS 결선 2

③ AS 가 L2 선에 있을 때

 

 ▣ AS가 L2 선에 있을 때는 전류계는 A는 L1 의 전류와 L3 의 전류를 합산한 전류값을 표

     시하므로 전류계는 L1과 L3 의 전류 모두를 측정해야 한다. 따라서 전류계 A는 L1 선과

     L3 선 모두에 연결되어야 한다. ( 1S + 3S - 전류계 - (1L · 3L)

     단선 결선도의 모습은 아래 그림과 같다.

 
AS 결선 3

④ AS가 L3 선에 있을 때

 

 ▣ AS가 L3 선에 있을 때는 전류계는 A는 L3 의 CT 단자에 연결되고(3S - 전류계, 전류계 -

     3L) 전류계와 연결되지 않는 L1 의 CT 단자선은 단락(1S - 1L)을 하게 된다.

   ※ CT가 가동접속이므로 1L과 3L은 공통선이 된다.

 
AS 결선 4

2. 3상3선식 2CT와 AS 그리고 전류계 A와의 결선도에 대하여 알아 보자.

 
AS 결선방법

▣ 위 그림에서 검은색 반점은 단자간에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AS 전환레버가 OFF에 있게 되면 첫번째 선과 3번째 선이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OFF의 검은색 반점이 길게 이어진 것은 계속 붙어 있다는 의미 있다. 예를 들면

     AS 전환레버가 OFF에서 L1으로 바꿀 때 단락선은 떨어졌다 붙는 것이 아니라

     계속 붙어 있는다는 의미이다.

 
전환개폐기 작동원리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은 색 반점이 있는 곳은 AS 절환스위치의 레버가 있는 곳에

서 전선의 한쪽 끝 단자와 다른 쪽 끝 단자간에 서로 연결시킨다는 의미이다. 위 그림에서

파란색 박스부분이 전선의 송전측과 수전측을 연결시킨다는 의미이다. AS 레버 위치가

OFF와 L1에 있을 때는 위쪽 전선의 송전측과 수전측을 연결시키고 AS레버 위치가 L2와

L3에 있을 때는 아래쪽 전선의 송전측과 수전측을 연결한다.

 
전류계용 전환개폐기

▣ 그런데 위 그림에서 AS 레버 위치가 OFF일 때 송전측과 수전측 단자가 연결되는 선은

    단락선이다. 즉, OFF일 때는 전류계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충전선을 연결하는 전선로는

    CT의 2차측을 단락하는 단락선이 된다.

▣ AS의 전환레버가 L1에 있으면 L1선의 전류를 측정하게 되므로 L1 CT의 단자선은

    전류계에 연결되고 L3의 CT단자선은 단락시키게 된다.

 

▣ AS의 전환레버가 L2에 있으면 L1선과 L1선의 전류를 합하여 측정하게 되므로 L1 CT

    의 단자선과 L3의 CT단자선 모두를 전류계에 연결하게 된다.

▣ AS의 전환레버가 L3에 있으면 L3선의 전류를 측정하게 되므로 L3 CT의 단자선은

    전류계에 연결되고 L1의 CT 단자선은 단락시키게 된다.

2. 3상 3선식 2PT와 VS 결선법에 대하여 알아 보자

 
전압계용 전환 개폐기 VS

▣ VS의 절환레버가 OFF 상태에 있을 때는 전압을 측정하지 않으므로 어떠한 선도

    연결되지 않는다.

▣ 맨 위의 선은 A-B선간 전압을 측정할 때도 ON되고 B-C선간 전압을 측정할 때도

    ON 되므로 이선은 B상선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상 선 단자에 연결하고 전압계의

    한 단자에 연결한다

▣ 두변째 선은 B-C선간 전압 측정할 때도 ON되고 C-A간 선간전압을 측정할 때도

    ON 되므로 이선은 C상 선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상 선 단자에 연결하고 전압계의

    단자에는 위 B-C간 전압측정이 가능하도록 B상과 다른 전압계 한단자에 연결한다.

▣ 세번째 선은 C-A간 선간전압을 측정할 때 ON 되는데 C선은 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선은 A상 선임을 알 수 있다.

▣ 네번째 선은 A-B간 선간전압을 측정할 때 ON 되는데 B선은 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선은 A상 선임을 알 수 있다.

  ※ VS 절환레버에서 OFF시에는 어떠한 선도 연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검은색 반점은 해당 선의 단자가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접촉점에 스위치가 ON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 긴 검은색 반점은 떨어지지 않고 절환레버가 지침을 달리해도 해당 선을 ON을 유지한다

      는 것으로 VS 절환레버가 A-B단자에서 B-C로 이동해도 계속 ON되는 것은 B상 선이며

      마찬가지로 VS 절환레버가 B-C에서 C-A로 이동해도 계속 ON되는 것은 C상 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압계는 측정하고자 하는 상의 선을 한단자씩 연결하면 된다.

【 2013년 전기기사 기출문제】

​1. 전류계용, 전압계용 전환 개폐기

 ▣ 다음 미완성 부분의 결선도를 완성하고, 필요한 곳에 접지를 하시오.

   (1) CT와 AS와 전류계 결선도

 

  (2) PT와 VS와 전압계 결선도

 

  (1) 3상3선식 2CT

 

  (2) 3상3선식 2PT

 

 

 

반응형
반응형

 

♠ 주상변압기 고압측 탭전압 조정

 

▣ 주상변압기의 고압측의 사용탭이 6,600[V]인 때 저압측의 전압이 95[V]였다.

    저압측의 전압을 약 100[V]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압측의 사용탭은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 단, 변압기의 정격전압은 6600/105 [V] 이다.

 

【문제풀이】

 

위 그림은 주상변압기의 고압측 탭조정과 관련한 도면이다. 위 그림에서 주상변압기의 1차측 전압탭을 조정하여 2차측의 전압을 조정하고 있다. 주상변압기의 1차측 전압탭 조정은

전선로의 전압강하 등으로 인하여 부하측의 전압이 낮아지거나 또는 부하측의 전압이 높아

졌을 때 1차측 전압탭 즉 권수비를 조절하여 부하측에 적정 전압을 유지해 준다.

 

이 때 1차측에서 공급해 주는 전압은 일정하며 2차측의 권수비도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주상변압기 1차측 전압탭 조정에서 가변변수는 1차측 권수가 되고 2차측 전압은

1차측 탭조정(권수 조정)에 따른 종속변수가 된다.

이 때 1차측 권수와 2차측 전압과의 관계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이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 보자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압비와 권수비는 같다. 이를 하고자 하는 변압기 1차측

권수비 N1으로 정리를 하면 다음과 같다.

 

위 식을 이용하여 변압기 1차측 탭전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2차측 전압을 높이려면 탭전압값을 낮추면 되고 전압을 낮추려면 탭전압값을 높이면 된다.

이런 관계를 이용하여 문제의 탭전압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주상변압기 고압측 탭값은 6,300 [V] 가 된다.

 

【참고】

  ▣ 탭전압 조정 : 1차 전압이 일정하게 가해진 상태에서 1차 권수비를 조정함으로써 2차측

       전압을 조정하는 것

  ▣ 1차측 탭을 높이면 2차측 전압이 감소하고

       1차측 탭을 낮추면 2차측 전압이 높아진다.

  ▣ 주상 변압기의 표준 Tap

       6600[V] 급 : 5,700      6,000       6,300      6,600      6,90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