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수면이 펌프보다 1[m] 낮은 지하수조에서 0.3[㎥/min]의 물을 이송하는 원심펌프가 있다. 흡입관과 토출관의 구경이

     각각 100 [㎜]이고, 토출관의 압력계가 0.1[MPa]을 가리키고 있을 때 이 펌프에 공동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별

     하시오. (단, 흡입측 손실수두는 0.5 [m], 흡입측 배관의 속도 수두는 무시하고, 대기압은 표준대기압, 물의 온도

      20[℃], 이 때의 포화 수증기압은 2,340 [Pa], 비중량은 9,800[N/㎥]이고 필요흡입양정은 11 [m]이다. [5점] ★★★★★

           NPSHav = Ha - Hh - Hf - Hv [m]

           NPSHav = 10.339 - 1 - 0.5 - 0.218 = 8.601 ≒ 8.6 [m]

            ∴ NPSHav (8.6[m]) < NPSHre (11 [m]) 이므로 공동현상이 발생한다.

[해설] NPSH (흡입양정) : Net Positive Suction Head

 가. 공동현상 발생 조건

   ① 공동현상 발생한계 : NPSHav = NPSHre

   ② 공동현상이 발생하지 않음 : NPSHav > NPSHre

   ③ 펌프설계시 여유 : NPSHav > NPSHre × 1.3

2. 다음 조건을 참조하여 해발 1,000[m] 에 설치된 펌프에 공동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시오. (단, 중력가속도는

    반드시 9.8 [m/s2]을 적용한다. [5점] ★★★★★

 

[조건] ① 배관의 마찰손실수두 : 0.7 [m]

         ② 해발 1,000[m] 에서의 대기압 : 0.901 × 105 [Pa]

         ③ 해발 0[m] 에서의 대기압 : 1.033 × 105 [Pa]

         ④ 물의 증기압 : 2.334 × 103 [Pa]

         ⑤ 필요흡입양정은 4.5 [m] 이다.

       NPSHav = Ha - Hh - Hf - Hv [m]

       NPSHav = 9.193 - 4 - 0.7 - 0.238 = 4.255 ≒ 4.26 [m]

        ∴ NPSHav (4.26[m]) < NPSHre (4.5 [m]) 이므로 공동현상이 발생한다.

[해설] NPSH (흡입양정) : Net Positive Suction Head

 ▣ 공동현상 발생 조건

   ① 공동현상 발생한계 : NPSHav = NPSHre

   ② 공동현상이 발생하지 않음 : NPSHav > NPSHre

   ③ 펌프설계시 여유 : NPSHav > NPSHre × 1.3

3. 흡입측 배관의 마찰손실수두가 2[m]일 때 공동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수원의 수면으로 부터 소화펌프까지의 설치 높이는

    몇 [m] 미만으로 하여야 하는지 구하시오. (단, 펌프의 필요흡입수도 (NPSHre)는 7.5 [m], 흡입관의 속도수두는 무시하고

     대기압은 표준 대기압, 물의 온도는 20 [℃], 이 때의 포화 수증기압은 2,340[Pa], 비중량은 9,800 [N/㎥] 이다)

     [4점] ★★

※ 공동현상 발생 한계 조건 : NPSHav = NPSHre [m]

                                             NPSHav = Ha - Hh - Hf - Hv = NPSHre [m]

                                              Hh = Ha - Hf - Hv - NPSHre [m]

                                                    = 10.339 - 2 - 0.238 - 7.5 = 0.601 ≒ 0.6 [m]

[해설] NPSH (흡입양정) : Net Positive Suction Head

 가. 공동현상 발생 한계 조건

   ① 공동현상 발생한계 : NPSHav = NPSHre

   ② 공동현상이 발생하지 않음 : NPSHav > NPSHre

   ③ 펌프설계시 여유 : NPSHav > NPSHre × 1.3

 나. NPSHav (수면이 펌프보다 낮을 경우)

    NPSHav = Ha - Hh - Hf - Hv [m] 유효흡입양정 : NPSHav = available

     여기서, NPSHav : 유효흡입양정 [m]

                  Ha : 대기압 환산수두 [m]

                  Hh : 낙차압력환산수두 [m] (흡입 : - , 압입 : +)

                  Hf : 흡입측 마찰손실 압력 수두 [m]

                  Hv : 포화수증기압 환산 수두 [m]

 다. 압력

      압력 P = γ · H = ρ · g · H [N/㎡]

      여기서, P : 압력 [Pa = N/㎡]

                   γ : 물의 비중량 (9,800 [N/㎥ = 9.8 [kN/㎥])

                   H : 높이 (수두) [m]

                   ρ : 물의 밀도 (1,000[㎏/㎥] = 1,000 [N·s2/m4])

                     g : 중력가속도 (9.8 [m/s2])

※ 압력단위 환산

1 [atm]
760 [㎜Hg]
76 [㎝Hg]
101,325 [Pa]
101.325 [kPa]
0.101325 [MPa]
10,3325 [㎜Aq=㎜H2O]
10.3325 [mAq=mH2O]
1.0332 [㎏f/㎠]
10,332[kgf/㎡]
1,013 [mbar]
1.013 [bar]
17.7 [psi]

4. 운전중인 펌프의 압력계를 측정한 결과, 흡입측 진공계의 눈금이 150 [㎜Hg], 토출측 압력계는 0.29 [MPa] 이었다. 이 펌

     프의 전양정 [m]을 구하시오. (단, 토출측 압력계는 흡입측 진공계 보다 50 [㎝] 높은 곳에 설치되어 있고 흡입측과 토출

     측의 직경은 동일하다) [ 5점 ] ★★★★★

  [풀이] 낙차 수두 : 50 [㎝] = 0.5 [m]

∴ 펌프의 전양정 = 진공계(연성계)와 압력계 높이차 + (압력계 환산수두 + 진공계 환산 수두) [m]

                      H : 0.5 + (29.57 - (-2.039)) = 32.109 ≒ 32.11 [m]

 

※ 전양정 H = h1 + h2 + h3 + 17 [m]

                   = 실양정 + 배관마찰손실 + 호스의 마찰손실

   ⊙ 옥내소화전 17 [m]

   ⊙ 옥외소화전 25 [m]

   ⊙ 스프링클러설비 10 [m]

[해설] 펌프의 전양정

  ▣ 펌프의 전양정 = 진공계와 압력계의 높이차 + (펌프 토출측 압력계 지시값의 환산수두 - (- 펌프 흡입측 진공계(연성계)

                                   지시값의 환산수두)

  ※ 압력계, 진공계(연성계)의 지시치는 배관 마찰손실수두, 호스의 마찰손실 수두 등이 모두 포함된 값이다.

※ 압력단위 환산

1 [atm]
760 [㎜Hg]
76 [㎝Hg]
101,325 [Pa]
101.325 [kPa]
0.101325 [MPa]
10,3325 [㎜Aq=㎜H2O]
10.3325 [mAq=mH2O]
1.0332 [㎏f/㎠]
10,332[kgf/㎡]
1,013 [mbar]
1.013 [bar]
17.7 [psi]

5. 양정이 50 [m], 토출량이 900 [ℓ/min]인 펌프가 운전하고 있을 때 펌프의 전력계가 17 [kW]로 표시되었다. 이 때, 펌프의

     회전수가 1,800 [rpm] 이었다가 펌프의 회전수가 1,400 [rpm]으로 바뀐 경우 펌프의 토출량 [ℓ/min]을 구하시오. [4점]

     ★★★★★

[해설] 펌프의 상사 법칙

가. 유량 : 회전수에 비례 및 관경의 세제곱에 비례

여기서, Q2 : 변경 후 유량 [ ℓ/min],               Q1 : 변경 전 유량 [ ℓ/min]

             N2 : 변경 후 회전수 [rp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D2 : 변경 후 관경 [㎜]                      D1 : 변경 전 관경 [㎜]

나. 양정 : 회전수 및 관경의 제곱에 비례

여기서, H2 : 변경 후 양정 [m],                 H1 : 변경 전 양정 [m]

             N2 : 변경 후 회전수 [rp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D2 : 변경 후 관경 [㎜]                 D1 : 변경 전 관경 [㎜]

다. 축동력 : 회전수 세제곱 및 관경의 오제곱에 비례

여기서, P2 : 변경 후 양정 [kW],                          P1 : 변경 전 양정 [kW]

             N2 : 변경 후 회전수 [rp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D2 : 변경 후 관경 [㎜]                            D1 : 변경 전 관경 [㎜]

6. 어느 소화펌프의 임펠러의 직경이 150[㎜], 회전수 1,770[rpm], 유량 4,000[ℓ/min], 양정 45[m]로 가압송수하고 있을 때,

    이 소화펌프를 교환하여 임펠러의 직경이 200 [㎜], 회전수가 1,170 [rpm]으로 운전한다고 하면 변경 후의 유량 [ℓ/min]과

    양정[m]을 구하시오. [4점] ★★★★★

[해설] 펌프의 상사법칙

가. 유량 : 회전수에 비례 및 관경의 세제곱에 비례

여기서, Q2 : 변경 후 유량 [ ℓ/min],                  Q1 : 변경 전 유량 [ ℓ/min]

             N2 : 변경 후 회전수 [rp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D2 : 변경 후 관경 [㎜]                        D1 : 변경 전 관경 [㎜]

나. 양정 : 회전수 및 관경의 제곱에 비례

여기서, H2 : 변경 후 양정 [m],                    H1 : 변경 전 양정 [m]

             N2 : 변경 후 회전수 [rp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D2 : 변경 후 관경 [㎜]                    D1 : 변경 전 관경 [㎜]

7. 어떤 소화펌프의 회전수가 1,800[rpm] 상태에서 소화수를 전양정 40[m]와 유량 2,400 [ℓ/min]으로 방사할 수 있다. 이 펌

     프의 회전수를 3,600[rpm]으로 변경한다면 전 양정 [m]은 얼마가 되고, 축동력은 처음의 몇 배가 되는가 ? [4점]

        ★★★★★

[해설] 펌프의 상사법칙

가. 양정 : 회전수 및 관경의 제곱에 비례

여기서, H2 : 변경 후 양정 [m],                   H1 : 변경 전 양정 [m]

             N2 : 변경 후 회전수 [rp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D2 : 변경 후 관경 [㎜]                    D1 : 변경 전 관경 [㎜]

나. 축동력 : 회전수 세제곱 및 관경의 오제곱에 비례

여기서, P2 : 변경 후 양정 [kW],                 P1 : 변경 전 양정 [kW]

             N2 : 변경 후 회전수 [rpm]              N1 : 변경 전 회전수 [rpm]

             D2 : 변경 후 관경 [㎜]                    D1 : 변경 전 관경 [㎜]

8. 관내에서 발생하는 공동현상 (Cavitation)의 발생원인과 방지대책을 각각 4가지씩 쓰시오. [4점] ★★★★★

 가. 발생원인

   ① 펌프의 흡입수두(양정)이 클 경우

   ② 펌프의 설치 위치가 수면보다 높을 경우

   ③ 펌프의 마찰손실이 클 경우

   ④ 펌프의 임펠러 속도가 클 경우

나. 방지대책

   ① 펌프의 흡입수두(양정)을 작게 한다.

   ② 펌프의 설치위치를 수면 보다 낮게 한다.

   ③ 펌프의 마찰손실을 작게 한다.

   ④ 펌프의 임펠러 속도를 작게 한다.

【 해설 】 공동현상 : Cavitation

가. 공동현상 : 펌프 흡입측 배관 내의 물의 정압이 기존의 증기압 보다 낮아져 기포가 발생하여 물의 흡입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나. 공동현상 발생 원인

   ① 펌프의 흡입 수두 (양정)이 클 경우

   ② 펌프의 설치 위치가 수면 보다 높을 경우

   ③ 펌프의 마찰 손실이 클 경우

   ④ 펌프의 임펠러의 속도가 큰 경우

   ⑤ 펌프 흡입측 배관의 구경이 작은 경우

   ⑥ 배관내의 수온이 높을 경우

   ⑦ 배관내의 물의 정압이 기존의 증기압 보다 낮은 경우

다. 공동현상 방지대책

   ① 펌프의 흡입수두(양정)을 작게 한다.

   ② 펌프의 설치위치를 수면 보다 낮게 한다.

   ③ 펌프의 마찰손실을 작게 한다.

   ④ 펌프의 임펠러의 속도를 작게 한다.

   ⑤ 펌프 흡입측 배관의 구경을 크게 한다.

   ⑥ 양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⑦ 배관내의 물의 정압이 기존의 증기압 보다 높게 한다.

라. 발생 현상

   ① 펌프의 임펠러를 소손시킨다.            ② 소음과 진동이 발생한다.

   ③ 펌프의 성능이 저하된다.                   ④ 배관의 부식을 초래한다.

9. 관내에서 발생하는 공동현상 (Cavitation)의 압력관점에서의 발생원인 1가지와 방지대책 4가지를 쓰시오 [5점]

      ★★★★★

가. 발생원인 : 압력관점에서의 발생원인 : 배관 내의 물의 정압이 기존의 증기압 보다 낮아지면 발생한다.

나. 방지대책

   ① 펌프의 흡입(양정)을 작게 한다.

   ② 펌프의 설치위치를 수면보다 낮게 한다,

   ③ 펌프의 마찰손실을 작게 한다.

   ④ 펌프의 임펠러 속도를 작게 한다.

[해설] 공동현상 방지대책

   ① 펌프의 흡입수두(양정)을 작게 한다.

   ② 펌프의 설치위치를 수면 보다 낮게 한다.

   ③ 펌프의 마찰손실을 작게 한다.

   ④ 펌프의 임펠러의 속도를 작게 한다.

   ⑤ 펌프 흡입측 배관의 구경을 크게 한다.

   ⑥ 양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⑦ 배관내의 물의 정압이 기존의 증기압 보다 높게 한다.

10. 다음은 공동현상의 방지대책에 관한 사항이다. ( )안에 작게, 크게, 빠르게, 느리게 중 알맞은 말을 선택하여 쓰시오.

        [3점] ★★★★★

  가. 펌프의 유효흡입수두 (NPSHav)를 (크게) 한다.

  나. 펌프의 흡입양정을 유체의 압력보다 (크게) 한다.

  다. 펌프의 임펠러 회전수를 (느리게) 한다.

[해설] 공동현상 방지대책

   ① 펌프의 흡입수두(양정)을 작게 한다.

   ② 펌프의 설치위치를 수면 보다 낮게 한다.

   ③ 펌프의 마찰손실을 작게 한다.

   ④ 펌프의 임펠러의 속도를 작게 한다.

   ⑤ 펌프 흡입측 배관의 구경을 크게 한다.

   ⑥ 양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⑦ 배관내의 물의 정압이 기존의 증기압 보다 높게 한다.

11. 수격작용에 의한 압력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3가지만 쓰시오. [3점] ★★★★

   ① 배관의 유속을 작게 한다.

   ② 배관의 구경을 크게 한다.

   ③ 펌프의 토출측 가까운 곳에 밸브를 설치한다.

[해설] 수격작용 (Water Hammering)

가. 수격현상 (Water Hammering) : 배관내의 물의 흐름에서 급격한 밸브를 개폐하였을 경우 일어나는 충격현상을 말한다.

나. 수격현상의 발생원인

   ① 급격히 밸브를 개폐할 경우

   ② 정상운전시 유체의 압력 변동이 있을 경우

   ③ 펌프가 갑자기 정지한 경우

다. 수격현상의 방지대책

   ① 배관내의 유속을 낮게 한다.

   ② 배관의 구경을 크게 한다.

   ③ 펌프 토출측 가까운 곳에 밸브를 설치한다.

   ④ 조압 수조 (Surge Tank)를 설치한다.

   ⑤ 수격방지기 (Water hammering cushion) 또는 에어챔버(Air chamber)를 설치 한다.

   ⑥ 플라이 휠 (Fly wheel)을 설치한다.

12. 펌프에서 발생하는 현상 중 맥동현상 (Surging)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고, 그 방지대책을 5가지를 쓰시오. [6점]   

      ★★★★

가. 맥동현상 : 유량이 단속적으로 변하여 펌프 흡입측 및 토출측에 설치된 진공계(연성계) 및 압력계가 흔들리고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여 펌프의 토출유량이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나. 방지대책

   ① 운전점을 고려하여 적정한 펌프를 선정한다.

   ② 배관 도중에 불필요한 수조를 설치하지 않는다.

   ③ 배관내의 기체를 없앤다.

   ④ 유량조절밸브를 배관 중 수조의 전방에 설치한다.

   ⑤ 회전자나 안내깃의 형성치수를 바꾸고 그 특성을 변화시킨다.

[해설] 맥동현상 (Surging)

가. 맥동현상 (Surging) : 유량이 단속적으로 변하여 펌프 흡입측 및 토출측에 설치된 진공계(연성계) 및 압력계가 흔들리고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며 펌프의 토출유량이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나. 맥동현상의 발생원인

   ① 펌프의 성능곡선이 산모양이고 운전점이 그 정상부일 일 것

   ② 배관 도중에 수조가 있을 경우

   ③ 배관내 기체 상태의 부분이 있을 경우

   ④ 유량조절밸브가 배관 중 수조의 후방에 있을 경우

 

다. 맥동현상의 방지대책

   ① 운전점을 고려하여 적합한 펌프를 선정한다.

   ② 배관도중에 불필요한 수조를 설치하지 않는다.

   ③ 배관내의 기체를 없앤다.

   ④ 유량조절밸브를 배관 중 수조의 전방에 설치한다.

   ⑤ 회전자나 안내깃의 형상수치를 바꾸어 그 특성을 변화시킨다.

13. 다음 표에 있는 혼합물의 연소상한계(UFL)와 연소하한계(LFL)를 구하고 폭발가능 여부를 판단한 뒤 그 이유를 쓰시오.

       (단, 연소상한계 및 연소하한계 계산시 계산과정을 쓰시오.) [5점] ★★★★★

물질
조성농도 [%]
LFL [vol %]
UFL [vol %]
수소
5
4
75
메탄
10
5
15
프로판
10
2.1
9.5
부탄
5
1.8
8.4
에탄
5
3
12.4
공기
65
-
-
100
-
-

가. 연소상한계 나. 연소하한계 다. 폭발가능 여부 판단

[풀이]

가. 연소상한계

나. 연소하한계

다. 폭발가능여부

  ① 연소(폭발) 범위 : 2.81 ~ 12.57 [%]

  ② 혼합가스의 농도 : 35 [%]

  ③ 연소(폭발) 범위가 연소범위 밖에 있으므로 폭발하지 않는다.

[해설] 르 샤틀리에 공식

여기서, U(L) : 혼합가스의 연소(폭발) 상 · 하한계

             V1, V2, V3, V4, V5 : 연소(폭발)가스의 부피비율 (조성농도)

             U1(L1), U2(L2), U3(L3), U4(L4), U5(L5) : 연소(폭발)가스의 상 · 하한계

   ※ 공기는 가연성 가스가 아니므로 적용하지 않는다.

가. 연소상한계 (UFL)

  전체 혼합 가스의 조성농도(100%) - 공기의 조성농도 (65%) = 공기를 제외한 혼합가스 조성농도 (35%)

나. 연소하한계

다. 폭발가능 여부

  ① 연소(폭발) 범위 : 2.81 ~ 12.57 [%]

  ② 혼합가스의 농도 : 35 [%]

  ③ 연소(폭발)범위가 연소범위 밖에 있으므로 폭발하지 않는다.

14. 화재하중의 정의를 설명하고 그 관계식에 대하여 쓰시오. [5점] ★★

  가. 화재하중 : 거실 내 단위 면적당 가연물의 양을 말하며 화재하중이 클수록 실내 발열량이 높아지며 연소시간이

                         길어진다.

  나. 관계식

여기서, Q : 화재하중 [㎏/㎡]                  Gi : 가연물의 양 [㎏]

             Hj : 가연물의 단위 중량당 발열량 [kcal/㎏]

             H : 목재의 단위 중량당 발열량 [4,500 [kcal/㎏]

             A : 화재실의 바닥면적 [㎡]

            ∑Q : 화재실내 가연물의 전체 발열량 [kcal]

[해설] 화재하중

 가. 화재하중 : 거실 내 단위 면적당 가연물의 양을 말하며 화재하중이 클수록 실내 발열량이 높아지며 연소시간이

                        길어진다.

 나. 관계식

여기서, Q : 화재하중 [㎏/㎡]                       Gi : 가연물의 양 [㎏]

             Hj : 가연물의 단위 중량당 발열량 [kcal/㎏]

             H : 목재의 단위 중량당 발열량 [4,500 [kcal/㎏]

             A : 화재실의 바닥면적 [㎡]

             ∑Q : 화재실내 가연물의 전체 발열량 [kcal]

15. 다음은 소화배관에 대한 내용이다. ( )안에 적합한 숫자 또는 단어를 쓰시오.  [4점] ★★

   소화배관에 사용하는 탄소강관 이음쇠 중에서 배관의 분해 · 수리 · 교체 등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호칭경 65 A 이상의 용접이음에는 ( ① )이(가) 사용되고 호칭경 50 A 이하의 나사이음에는 ( ② )이(가)

   주로 사용된다.

 [풀이]   ① 플랜지        ② 유니온

  ※ 관경 65 A 이상에서는 플랜지를 써서 용접을 하고 50 A이하에서 나사이음을 하며 유니온 결합을 한다.

[해설] 소화 배관 이음 방법

 가. 플랜지(Flange) : 배관의 분해 · 교환 · 증설 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호칭경

                                   65 A 이상의 용접이음이나 압력이 높은 경우에 사용한다.

 

 나. 유니온(Union) : 배관의 분해 · 교환 · 증설 또는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호칭경 50 A 이하의 나사이음에 사용한다.

 

16. 다음은 배관용 강관의 규격을 표시하는 일반적인 표시법이다. 조건을 보고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3점] ★

   [조건] 상표, KS 기호, SPPS - S.H - 1995. 3, 100 - A × ( ) × 6

  가. SPPS 는 어떤 종류의 강관인가 ? 압력 배관용 탄소강관

  나. 위 조건의 ( ) 속에 들어 갈 내용은 무엇인가 ? 스케줄 번호

  다. S.H가 뜻하는 것은 무엇인가 ? 열간 가공 이음매 없는 관

[해설] 배관용 강관의 표시방법

   가. 나. 다. 배관용 강관의 표시법

 

가. 배관용 강관의 종류

   ① 배관용 탄소강관 (SPP, KS, D 3507) 1.2 [MPa] 이하, 350 [℃] 이하에 사용

   ②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SPPS, KS, D 3562) 1.2~10[MPa]이하, 350 [℃] 이하에 사용

   ③ 고압배관용 탄소강관 (SPPH, KS, D 3564) 10[MPa]이상, 350 [℃] 이하에 사용

   ④ 저온배관용 탄소강관 (SPLT, KS, D 3569) 0 [℃] 이하에 사용

   ⑤ 고온배관용 탄소강관 (SPHT, KS, D 3569) 350 [℃] 이상에 사용

   ⑥ 배관용스테인리스 강관 (STS-TP, KS, D 3576) 내식용, 저온용, 고온용 등에 사용

다. 제조방법

   ① S.H : 열간 가공 이음매 없는 관

   ② A : 아크용접관

   ③ B : 단접관

   ④ E : 전기저항 용접관

17. 소방배관의 부식방지법 (방식법) 중 희생(유전)양극법 (Cathodic Protection)의 방식원리 및 특징을 3가지 쓰시오.

       [4점] ★

  가. 방식원리 : 이종 금속간의 이온화 경향 차를 이용하여 배관이 음극이 되도록 하고 접속시킨 금속이 양극이 되어

                          대신 부식되도록 하는 원리

  나. 특징

    ① 소규모 구조물에 효과적이다.

    ② 효과범위가 좁다.

    ③ 인접한 다른 시설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해설] 배관의 부식방지법

 가. 희생(유전)양극법 : 배관 보다 고전위 금속인 Mg, Zn, Al 등의 금속을 연결하여 배관을 음극화하는 방식으로 이종 금속

                              간의 이온화 경향차를 이용하여 배관이 음극이 되도록 하고 접속시킨 금속이 양극이 되어 대신 부식되

                              도록 하는 원리이다.

   ① 소규모 구조물에 효과적이다.

   ② 효과 범위가 좁다.

   ③ 인접한 다른 시설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④ 양극의 분산설치가 가능하므로 시류 분포가 균일하다.

 나. 외부(강제) 전원법 : 정류기를 써서 강제로 전위를 가하여 이온 통로에서 Anode로 부터 피보호관 쪽으로 전류를

                                       흘려 주는 방식

   ① 대규모 구조물에 효과적이다.

   ② 효과 범위가 넓다.

   ③ 인접한 다른 시설물에 전식 영향의 가능성이 있다.

다. 배류방식 : 지중의 금속과 전철(Rail)을 전선으로 접속하여 전기방식으로 하는 방식

18. 소화설비의 급수배관에 사용하는 개폐표시용밸브 중 버터플라이 밸브 이외의 밸브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배관의

       이름과 그 이유를 쓰시오 [4점] ★★★★★

  가. 배관의 이름 : 펌프 흡입측 배관

  나. 이유 : 유효흡입양정이 감소하여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해설] 펌프의 흡입측 배관에 버터플라이 밸브 설치를 제한하는 이유

  ① 물의 유체 저항이 매우 커서 원활한 흡입을 방해하며 유효흡입양정이 감소되어 공동현상 (Cavitation)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② 밸브개방상태에서도 디스크가 배관 내부 단면의 일부를 차지하므로 물공급에 장해를 주어 펌프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

        할 우려가 있다.

  ③ 펌프 기동 중에 순간적인 개폐조작을 할 경우 수격작용 (Water hammering)이 발생 할 우려가 있다.

#흡입양정 #NPSH #공동현상 #캐비테이션 #cavitation #마찰손실수두 #비중량 #밀도

#축동력 #낙차수두 #임펠러 #수격작용 #조압수조 #맥동현상 #surging #연소상한계

#화재하중 #플랜지 #유니온 #스케줄 #방식원리 #폭발가능범위

반응형
반응형

1. 공동현상 (Cavitation)

가. 공동현상이란 ?

  ▣ 물 속에 공기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공동현상 (cavitation)이라고 하는데 물 속에 기포가 발생하는 원인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물을 온도를 높여 끓이거나 두번째는 물의 압력을 포화증기압 이하는 낮추는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물의 압력

       을 낮아지면서 물 속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공동현상이라 한다.

 
 

  ※ 소방에서는

    ① 배관내의 물의 정압이 포화증기압 보다 낮아지면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

    ② 유효흡입수두 (NPSHav) < 필요흡입수두 (NPSHre)

  ※ 유효흡입수두 = 대기압 - 포화증기압 수두 - 배관손실수두 ± 낙차 수두

                         H = Ho - Hv - Hf ± Hh

나. 발생원인

  ① 펌프보다 수원이 낮아 흡입수두가 클 때

  ② 펌프의 임펠러 회전수가 클 때

    ※ 회전수가 빨라지면 기포가 많이 발생한다. 유속이 빨라지면 압력이 낮아져 기포발생

  ③ 펌프의 흡입관경이 작을 때

  ④ 흡입배관의 유속이 빠를 때

  ⑤ 흡입측 배관의 마찰손실이 클 때

  ⑥ 수온이 높을 때

다. 방지대책

  ① 펌프의 설치 위치를 가급적 낮게 한다.

  ② 회전차를 수중에 완전히 잠기게 한다.

  ③ 흡입관경을 크게 한다.

  ④ 펌프의 회전수를 낮춘다.

  ⑤ 2대 이상의 펌프를 사용한다.

  ⑥ 양 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양 쪽에 펌프를 설치하여 물을 흡입한다)

  ⑦ 배관을 공동현상(케비테이션)에 강한 재질을 선택한다.

  ⑧ 흡입관의 깊이를 가능한 작게 한다.

라. 공동현상에 의한 파생되는 현상

  ① 소음과 진동이 발생한다.

  ② 임펠러(회전차), 배관, 배관 부속 등에 응력이 발생해 기계적 손상을 초래한다.

  ③ 토출량과 양정이 감소되며, 전체적으로 펌프의 효율이 감소한다.

2. 수격현상 (Water hammering)

가. 정의

  ▣ 펌프에서의 수격현상은 갑작스런 속도의 변화에 따른 힘의 차로 펌프와 주변 시스템에 순간적으로 큰 힘이 작용하여

       변형, 손상 또는 파손의 원인이 되는 현상

나. 발생원인

  ① 펌프를 급격하게 가동시키거나 급격히 정지할 때 (플랜저에서 물의 압력이 커지기 때문에 압력차에 의하여 물이 배관

       을 때리는 현상)

  ② 밸브를 급하게 잠그거나 열 때

  ③ 터빈의 출력 변화가 심할 때

    ※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물의 유속차가 발생하여 이것이 바로 압축파로 전환되어 충격파가 배관이나 그 부속품을 파손

         시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다. 방지대책

  ① 유속의 차이가 크지 않게 한다.

  ② 관구경을 크게 하면 유속이 낮아진다.

  ③ 유량을 감소시켜 유속을 감소시킨다.

  ④ 펌프의 송출구 가까이에 밸브를 설치하고 개폐속도를 낮춘다.

  ⑤ 펌프에 플라이 휠을 설치하여 속도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막는다.

  ⑥ 수격 방지기나 에어 챔버를 설치하여 완충작용으로 수격현상을 방지한다.

  ⑦ 조압수조에 의한 완충작용으로 적절한 압력을 유지한다.

  ⑧ 압력 릴리스 밸브, 스몰레스크 체크밸브 등을 설치한다.

3. 맥동현상 (Surging)

가. 정의

  ▣ 펌프를 운전할 때 송출압력과 송출유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여 펌프 입구나 출구에 설치된 진공계나 압력계의 지침이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

나. 발생원인

  ① 펌프의 특성곡선이 우상향 곡선일 경우 운전점이 그 정상부에 위치할 때

 

  ② 배관 도중에 수조가 있을 때

  ③ 배관 중에 기체 상태의 부분이 있는 경우

  ④ 유량 조절밸브가 배관 수조의 위치 후단에 있을 경우

다. 방지대책

  ① 펌프 성능곡선이 우하향 구배를 갖는 특성의 펌프를 사용한다.

  ② 회전차나 안내날개 형성 지수를 바꾸어 펌프의 성능특성을 변화시킨다.

  ③ 바이패스관을 사용하여 운전점이 펌프의 HP곡선이 우하향 구배 특성 범위 내에 있게 한다.

  ④ 배관중간에 수조나 기체 상태인 부분이 존재하지 않도록 배관한다.

  ⑤ 유량조절밸브를 펌프 토출측 직후에 위치한다.

  ⑥ 관로내의 잔류 공기를 제거하고 관로의 단면적, 유속, 저항 등을 바꾼다.

【 출제 예상 문제 】

1. 펌프의 공동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 ④

   ① 펌프의 설치위치를 수원보다 낮게 한다.

   ② 펌프의 흡입측을 가압한다.

   ③ 펌프의 흡입관경을 크게 한다.

   ④ 펌프의 회전수를 크게 한다.

2. 물의 압력파에 의한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 ①

   ① 관로 내의 관경을 수축시킨다.

   ② 관로내의 유체의 유속을 낮게 한다.

   ③ 수격방지기를 설치한다.

   ④ 펌프의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3. 다음의 ㉠, ㉡ 에 알맞은 것은 ?

파이프 속을 유체가 흐를 때 파이프 끝의 밸브를 갑자기 닫으면 유체의 ( ㉠ )가 압력으로 변환되면서 밸브 직전에서 높은 압력이
발생하고 상류로 압축파가 전달되는 ( ㉡ )현상
이 발생한다.

   ㉠ 운동에너지    ㉡ 수격작용

 

4. 다음은 펌프에서의 공동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이다. 다음 항목 중에서 옳바르게 설명한 것을 모두 고르시오.

   ㉠ 액체의 온도가 높아지면 공동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 흡입양정을 작게 하는 것은 공동현상 방지에 효과가 있다. (낙차에 의한 손실을 작게 함으로써 공동현상 방지)

   ㉢ 공동현상은 유체 내의 국소압력이 포화증기압 이상일 때 나타난다. (유체의 국소압력이 포화증기압 보다 낮아 질 때

        나타난다)

5. 수격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

  ④ 흐르는 물을 갑자기 정지시킬 때 수압이 급격히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6. 펌프의 흡입양정이 클 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은 ? 공동현상

7. 펌프를 운전중에 펌프 입구와 출구에 설치된 진공계와 압력계의 지침이 크게 흔들리고 동시에 토출유량이 변하는 현상

     으로 송출압력과 송출유량 사이에 주기적인 변동이 일어 나는 현상은 ? 서징 (맥동) 현상

8. 온도가 T인 유체가 정압이 P인 상태로 관속을 흐를 때 공동현상이 발생하는 현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단, 유체 온도

     t에 해당하는 포화증기압을 Ps라고 한다.

  ③ 유체내의 압력 P < Pv (포화 증기압)

    ⊙ 유체내의 압력이 포화증기압 보다 작아질 때

9. 다음 중 대표적인 펌프의 이상현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④

  ① 공동현상   ② 수격작용   ③ 맥동 현상   ④ 진공현상

10. 펌프에서 공동현상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 ③

  ① 소음과 진동 발생                  ② 양정곡선이 저하된다.

  ③ 효율곡선이 증가한다.           ④펌프 깃의 침식 현상

※ 공동현상이 발생하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고 관의 부식을 촉진한다. 또한 펌프의 성능이 저하된다.

#펌프 #공동현상 #cavitation #유효흡입수두 #수격현상 #hammering #포화증기압

#플랜저 #맥동현상 #surging #임펠러 #회전차 #캐비테이션

반응형
반응형

1. 증기압, 증발, 비등

▣ 증기압 : 기체가 갖을 수 있는 액체에 대한 최적분율 또는 질량분율을 말한다.

▣ 액체가 기체로 변화하는 현상에는 증발과 비등이 있다.

 

 

위 그림의 왼쪽을 보면 물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고체, 액체, 기체의 형상을 보임을 알 수 있

다. 그림에서 1기압 상태에서 0[℃]까지는 물음 얼음(고체), 0 ~ 100 [℃]에서는 액체, 그

리고 100 [℃]를 넘은면 기체 상태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증기압은 액체와 기체가 열적인 평형상태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열적인 평형이란 위 그림

의 오른쪽 그림에서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액체인 물이 기체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에너

지를 필요로 한다. 위 그림에서 100 [℃] 에서는 공기중에 100[kPa] 만큼의 수증기가 존

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온도를 50 [℃]로 낮추면 공기중에 20[kPa] 압력 만큼

의 수증기만 있을 수 있어 나머지 수증기는 물방울로 맺히게 된다. 위에서 증기압은 포화증

기압이라고 가정했을 때의 예이다.

가. 증발(Evaporation)과 비등 (Boiling)

 

증기압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증발과 비등을 구분해야 한다. 액체가 기체가 되는 것은 증발

이나 비등이나 같다. 그러나 실제 물리적인 메카니즘은 다르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증발은

유체가 공기와 만나는 면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비등은 공기와 만나는 면 뿐만 아니라 유체

내부에서도 발생한다. ※ 위 그림에서 정수압은 물에 의한 수압을 말한다.

비등은 유체의 체적작용으로 유체 온도에 해당하는 포화증기압이 유체 압력과 같아져서 유

체 내부에서도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나. 낮은 온도에서 비등과 공동화 현상 (Low Pressure Boiling - Cavitation)

 

 

앞에서 온도를 낮추면 기체의 포화증기압이 낮아진다고 했다. 이번에는 압력을 낮추면 끓는

점이 낮아지게 된다. 즉, 낮은 온도에서도 비등(보일링)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대표적인 현

상이 공동화 현상 (Cavitation)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관에서 프로펠러가 돌면 프로펠러

주변의 유속이 매우 빨라지게 된다. 이 때 베르누이 법칙에 의해 유속의 제곱에 비례하여

압력이 변하게 된다. 유속이 빨라지면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압력이 낮아진다. 압력이 떨

어지면 온도가 100[℃] 보다 낮음에도 유체 속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공동화 현상 (Cavitaion)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공동현상은 기기류에 매우 치명적이다. 속도가 높아지면서 발생한 기포는

다시 속도가 낮아지면 압력이 높아져서 기포가 존재할 수 없는 상황이 되게 되는데

이 때 기포는 뽀개지고 기포가 분열하게 되는데 기포가 뽀개지면서 매우 큰 충격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위 그림의 오른쪽을 보면 유체에 Cavitation이 발생하여 그 충격으로 인해 강철로 만든 프로펠러(회전날개)가

파괴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포는 기기에 매우 큰 충격을 주게 된다.

2. 비열(Specific Heat)과 에너지 (Energy)

 

 

▣ 비열이란 어떤 물질이 에너지를 저장하는 성질을 말한다.

  ⊙ 물을 100[℃]까지 끓였는데 바로 기체 상태로 되지 않는 것은 바로 비열 때문이다.

      물은 열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데 100 [℃]에서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를 넘어서면

      그 때서야 물은 에너지를 저장에서 운동에너지로 변환하여 기체상태의 수증기가 된다.

  ⊙ 정적비열은 체적이 일정할 때, 정압비열은 압력이 일정할 경우의 비열을 말한다. 물의

       정적비열 대비 정압비열은 1.4가 된다.

  ※ 정압비열은 물을 끓이는 경우 온도에 따라 부피가 커져야 압력이 일정하므로 비열이 커지게 된다.

3. 힘과 응력 (압력, 전단응력)

 

 

어느 평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을 면적으로 나눈 것을 압력이라고 하고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즉, 전단력을 면적으로 나눈 것을 전단응력이라고 한다.

위 그림에서 어떤 물체를 꺾었을 때 위 부분은 늘어났고 아래 부분은 수축하였다. 늘어난 부

분은 전단응력이 작용하여 Normal Stress가 발생했고 아래 부분은 수직압력이 작용했다

고 볼 수 있다.

 

 

위 그림 왼쪽은 실린더에 피스톤이 있는데 이 때는 평형상태에 있었다. 그런데 피스톤에

500[kg]을 올려 놓았다면 이 때의 압력은 500[kg] / 피스톤 단면적 이라고 할 수 있다.

오른쪽 그림은 4각형 모양의 물체에 수직방향도 아니고 접선방향도 아닌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위의 힘은 수직방향과 접선방향의 힘으로 구분할 수가 있는

데 이 힘을 면적으로 나누면 압력과 전단응력이 된다.

 

 

위 그림은 하천에 세워진 교각에 물의 흐름에 의한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교각에는 물의 흐름에 의해 수직방향의 압력과 접선방향의 마찰력 즉, 전단응력이 함께

작용하게 된다.

 

 

 

압력은 어떤 면 A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 F가 있다면 힘을 면적으로 나눈 것이다.

즉, 압력 P = F / A 이다.

절대압력은 압력이 "0"[Pa]에서 측정한 압력을 말하고

상대압력은 표준대기압 즉, 101,300 [Pa]에서 측정한 압력을 말한다.

따라서 상대압력이 절대압력보다 101,300 [Pa] 만큼 작게 된다.

#증기압 #증발 #비등 #수증기 #압력 #온도 #공동현상 #Cavitation #비열 #잠열

#기화열 #에너지 #힘 #전단응력 #표준대기압 #절대압력 #상대압력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