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아낌없이 주는 나무
검색하기

블로그 홈

아낌없이 주는 나무

인문·교양 분야 크리에이터
ok1659.tistory.com/m

포근하고 따뜻한 사람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_+^%_

구독자
129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배전선의 전기적 특성 -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 변압기 용량결정 1. 수용률 ▣ 수용설비(부하설비)가 최대로 이용되고 있는 비율 ※ 수용률은 수용설비가 최대로 이용되고 있는 비율을 말한다. ※ 위 수용률 식을 이용하여 최대 수용전력을 구할 수 있다. ★ 최대 수요전력 = 설비용량 × 수용률 ​ 2. 부등률 ▣ 부등률 : 최대전력의 발생시간이나 발생시기가 분산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부등율의 값은 "1" 보다 크다. ▣ 합성최대전력은 변압기 용량이다. ▣ 수용가 간에 최대사용전력이 같으면 부등율이 작아지고 다르면 부등률이 커진다. ▣ 동시에 설비를 사용한다는 의미는 전기설비를 같은 시간대에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부등율이 작아진다. 【 부등률의 의미】 ▣ A수용가와 B수용가의 최대전력 사용시간대는 다르게 된다. ▣ 최대전력을 사용하는 시간대가 같아지면 변압기 용.. 공감수 8 댓글수 0 2021. 9. 27.
  • 배전선로 전기방식, 전력손실 경감 대책 1. 배전선로의 전기방식 ​ 가. 단상 3선식 전기방식의 특징 ① 과거 우리나라 고압배전선은 (3,300[V], 6,600[V], 22[kV]) 3상 3선식이었으나 오늘날에는 1차 배전전압 통합정책에 따라 22.9[kV] 3상 4선식으로 통일 승압되었다. ​ ② 저압배전선로 전기방식 : 전력수요의 증가에 따라 전압강하, 전력손실의 경감을 목적 으로 3상 4선식 220/380[V]로 승압되었고 일부는 승압 이행의 과도정책으로 110/220 [V] 양용 전압 공급을 위한 단상 3선식도 사용되고 있다. ⊙ 단상 2선식은 단상 교류전력을 전선 2가닥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전등요 저압배전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단상 3선식 : 주상변압기 저압측의 2개의 전선을 직렬로 접속하고 그 접속점의 중간점 으로 부터.. 공감수 3 댓글수 0 2021. 9. 27.
  • 배전계통의 전기공급방식 - 배전계통의 구성 1. 배전계통의 구성 2. 배전선로 개요 ▣ 배전선로는 발전소 또는 배전용 변전소(2차)로 부터 직접 수용장소에 이르는 선로 ​ 【 전압의 구분 】 구 분 교 류 직류 공칭전압 저압 ~ 1000[V] ~1500[V] 220[V] 380[V] 고압 1000~7000 1500~7000 3,300[V], 6,600[V] 특고압 7000 초과 7000 초과 22.9[kV], 154, 345, 765[kV] 3. 고압배전선의 구분 ① 급전선(Feeder) : 변전소에서 최초로 인출되는 배전선로 일반적으로 부하가 연결되지 않은 선로 ② 간선 : 급전선 이후 배전선의 주요부분으로 분기선이 집중 연결되어 있다. ​ 4. 저압배전선의 구성 ​ ▣ 저압배전선로의 구성으로서는 방사상식이 일반적이지만 이외에도 저압뱅킹방식, .. 공감수 6 댓글수 0 2021. 9. 17.
  • 보호계전기 동작부 - 단로기 및 전력퓨즈 1. 단로기의 종류 (Disconnecting Switch) 가. 특징 ▣ 단로기는 선로로 부터 기기를 분리, 구분 및 변경할 때 사용하는 개폐장치이며 단순히 충전된 선로를 개폐하기 위해 사용한다. ① 단로기는 무부하시 선로를 개폐한다. ⇒ 부하전류 차단능력이 없다. ② 단로기는 소호장치가 없어서 아크를 소멸시키는 소호능력이 없다. ③ 단로기는 단순히 회로를 분리하거나 계통의 접속을 바꿀 때 사용한다. ④ 배전용 단로기는 보통 Disconnecting Bar로 개폐한다. ⑤ 차단기와 개폐기를 개폐하는 순서 ⊙ 정전시 : 차단기(CB) → 단로기 (DS) ⊙ 급전시 : 단로기(DS) → 차단기 (CB) ※ 상호 인터록 관계 : 동시투입방지 [선로개폐기 (LS : Line Switch)] : 단로기와 특징이..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9. 17.
  • 보호계전기 동작부 차단기 3 1. 정격투입전류 ​ ▣ 차단기는 지락·단락 등의 사고전류를 차단한 다음에 재투입할 수 있어야 한다. 차단기의 정격투입전류는 규정된 조건하에서 표준동작책무 및 동작형태에 따라 투입할 수 있는 전류를 말한다. ▣ 투입전류는 최초 주파수에서 순시 최대값으로 나타내고 크기는 정격차단전류 실효값의 2.5배이다. ▣ 단락전류가 흘러 최초 차단을 한 후 재투입할려면 초기 차단시 아크발생(공기 절연파괴 로 공기를 통해 전류 흐름)으로 강한전류에 의해 강한 반발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재투입 할려면 이런 강한 반발력을 이기고 재투입해야 한다. ※ 투입전류 : 최초 주파수에서 순시 최대값 순시최대값의 크기는 정격차단전류 실효값의 2.5배이다.​ ​ 2. 차단기의 정격차단시간 ▣ 트립코일 여자부터 아크 소호까지의 시간 ▣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9. 16.
  • 보호계전기 동작부 차단기 -2 1. 차단기 정격전압 (회복전압) ​ 가. 차단기 정격전압 ▣ 규정한 조건에 따라 그 차단기에 부과할 수 있는 사용회로전압의 상한 (최고전압) 2. 차단기 표준동작 책무 ▣ 차단기는 송수전 점검 및 정비 등을 계획적으로 하는 것 외에 전력계통 등에 고장이 발생 하면 신속하게 차단하고 계통의 안정도를 위해서 재투입하는 통로를 가진다. 차단기에 부과된 1회 혹은 2회 이상의 투입 - 차단 또는 투입 후 바로 차단동작을 일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행하는 일련의 동작을 표준동작책무라고 한다. 3. 정격차단전류 ​ ▣ 규정된 조건하에서 표준동작책무 및 동작상태에 따라 차단할 수 있는 전류의 한도 = 단락전류 4. 차단기 트립방식의 종류 ① 직류전압트립방식(DC방식) : 축전지 등의 제어용 직류전원에 의하여 트립되는 ..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9. 16.
  • 보호계전기 동작부 - 차단기, 차단기 단로기 전력퓨즈 기출문제 1. 개폐장치의 종류 (고압이상 사용) ▣ 고압이상에 사용하는 개폐장치에는 차단기, 단로기, 전력용 퓨즈가 있다. ⊙ 차단기는 아크를 소호할 수 있어 무하전류나 단락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나 단로기는 아크를 소호할 수 없어 무하전류나 단락전류를 차단할 수가 없으며 전력용 퓨즈는 아크 소호능력은 없으나 단락전류,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구분 단락전류차단 소호능력 차단기(CB) O O 전력용퓨즈(PF) O X 단로기(DS) X X ▣ 차단기 ⊙ 차단기는 정상적인 부하전류를 개폐하는 것은 물론 고장시에 발생하는 고장전류도 개폐할 수 있으며 차단기는 소호능력이 있다. ​ 가. 차단기 용량 (Ps) ▣ 차단기 용량이란 ? ⊙ 차단기의 차단능력을 하나의 양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전력계통의 고장계산 을..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9. 16.
  • 보호계전기시스템 (차단기, 계전기, CT, PT 등) - 2 5. 보호계전시스템 : 판정부 ▣ 검출부에서 전압, 전류 등의 신호를 받아 사고의 유무와 동작의 필요성 유무를 판정하여 필요시 동작부에 지시를 내리는 부분으로 대부분 계전기(Relay)로 구성된다. ※ 판정부 계전기(Relay)는 용도와 동작시간에 따라 분류한다. ​ 가. 용도에 따른 분류 R : Relay O : Over 과 (過) U : Under 부족 V : Voltage 전압 C : Current 전류 G : 접지 - 지락 ▣ 종류 ⊙ OCR (51) - UCR (37) OVR(59) - UVR (27) ※ SGR 선택지락계전기 : Selective Ground Relay ⊙ 비접지 계통에서 사용 - 병행 2회선 (다회선)과 관련 있음 ⊙ 병행 2회선 송전선로에서 한쪽의 1회선에 지락 고장이 발생..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9. 14.
  • 보호계전기시스템(차단기,계전기,CT, PT 등) 【 보호계전기 시스템】 ▣ 보호계전기 시스템은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전기시스템이다. ▣ 보호계전기 시스템은 검출부, 판정부, 동작부로 구성된다. ⊙ 검출부 : 과전류, 과전압, 부족전압 등 전기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 변류기, 계기용 변압기 등으로 구성된다. ⊙ 판정부 : 정상전류인지 과전류인지, 과전압인지 정상전압인지 등을 판별하는 것으로 주로 계전기로 대변된다. ⊙ 동작부 : 판정부의 동작신호를 받아 전원 등을 차단하는 것으로 차단기로 대변된다. ▣ 변류기의 변류비(CT비)가 10/5라고 한다면, 정상전류 전선에 전규가 5[A]가 흐른다면 변류기에 의하여 계전기에는 2.5[A]가 공급된다. 이 때 계전기는 작은 전류로 인식하여 계전기의 접점이 붙지 않는다. 반면 전선에 과전류 10[A]가 흐르게 된다면,..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9. 14.
  • 역섬락과 매설지선 ▣ 역섬락과 매설지선 ※ 주수섬락전압 : 50[kV] 건조섬락전압 : 80[kV] 충격섬락전압 : 125[kV] 우중파괴전압 : 130[kV] ​ ⊙ 송전선이 뇌에 직격되었을 때 뇌전류(I)가 철탑에 흐르게 되는데 철탑의 탑과 접지저항 R로 인해 철탑의 전위는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철탑의 전압이 애자련의 절연파괴 전압이상으로 될 경우에는 거꾸로 철탑에서 전선을 향해 섬락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를 역섬락이라 한다. ​ ▣ 역섬락 발생 이유 ⊙ 애자의 섬락전압 < 철탑의 전압 V = I × R = 뇌전류 × 철탑접지저항 ​ 【역섬락 방지대책】 ① 철탑의 전위를 낮게 한다. ② 철탑의 탑각 접지저항을 낮게 한다. ③ 탑각 접지저항을 낮추기 위해 매설지선을 설치한다. ※ 매설지선 : 탑각접지저항을 낮추기 위해 .. 공감수 4 댓글수 2 2021. 9. 14.
  • 가공지선 ▣ 가공지선 : 유도뢰, 직격뢰로 부터 선로 보호 송전선에는 뇌운에서 발생하는 벼락의 영향을 받게 된다. 벼락은 높은 창공에서 치게 되므로 송전선의 맨 위에 가공지선을 설치하여 벼락를 방지하게 되는데 이를 직격차폐라고 한다. 뇌운에서는 분극현상에 의해 극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분극현상에 따른 정전유도 현상이 선로에 발생하게 되는데 가공지선을 설치하면 이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가공지선의 가장 큰 용도는 직격차폐와 정전차폐라고 할 수 있다. ​ [용도] ▣ 송전선을 뇌의 직격으로 부터 보호한다. ​ ① 굵기 ⊙ 고압 : 4 [mm] 이상 ⊙ 특고압 : 5[mm] 이상 ② 안전율 ⊙ 동선 : 2.2 이상 ⊙ 기타 : 2.5 이상 ​ ▣ 가공지선은 철탑의 상부에 시설하므로 뇌는 주로 가공지선에 내습..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9. 14.
  • 피뢰기 (LA : Lighting Arrester) 송전선로에 이상전압 1000[kV]가 내습했다고 하면 변압기는 기준충격절연강도가 150[kV]이므로 이상전압이 그대로 변압기에 진행하면 변압기는 소손되고 말 것이다. 이상전압 내습시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변압기의 전원측에 피뢰기를 설치하여 이상전압 내습시 전압을 100[kV]까지 낮추어 변압기를 보호하게 된다.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피뢰기를 설치하게 되는데 만약에 충격파 전압이 내습했을 때 피뢰기는 변압기의 기준충격절연강도 150[kV]보다는 낮은 전압에서 방전을 개시하여 전압을 낮추게 되며 이상전압을 피뢰기의 제한전압 100[kV]이하로 낮추게 된다. ​ 가. 피뢰기의 용도 ▣ 평상시에는 누설전류를 방지하고 이상전압이 내습하면 이상전압을 대지로 방류하고 전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속류를 차단한다. .. 공감수 4 댓글수 0 2021. 9. 8.
  • 이상전압 관련 기출문제 풀이 문제 1. 송배전선로의 이상전압 발생의 내부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 ④ 유도뢰에 의한 이상전압 ​ 문제 2. 개폐 이상전압은 회로를 개방할 때 보다 폐로할 때에 어떠한가 ? 개방할 때 > 폐로할 때, 개방할 때가 폐로할 때 보다 이상전압이 높다. ​ 문제3. 차단기 개폐에 의한 이상전압의 크기는 대부분 송전선의 대지전압의 최대 몇배인가 ? ② 최대 4배 ​ 문제 4. 송전선로의 개폐조작시 발생하는 이상전압에 관한 상황에서 옳은 것은 ? ③ ① 개폐서지는 개로할 때 보다 폐로할 때가 크다. ② 개폐전압은 무부하시 보다 전부하시가 더 크다. ③ 가장 높은 이상전압은 무부하 송전선로의 충전전류에 의한다. ④ 개폐 이상전압은 상규 대지전압의 최대 6배이며 시간은 2~3초이다. ​ 문제5. 송전선로에서 이상전압..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9. 8.
  • 이상전압 : 개폐 서지 (Surge) ▣ 개폐서지는 선로를 개방하거나 폐로할 때 이상전압이 발생하여 공기의 절연을 파괴하고 이에 따라 불꽃(아크)이 발생하는 등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 개폐서지가 높게 발생하는 경우 ⊙ 무부하 송전선로를 개방할 때 = C회로를 차단할 때 : 무부하 송전선로는 선로가 만드는 충전용량만 있으므로 = 90˚ 앞선 전류(진상전류)를 차단할 때 ※ 개폐서지는 상규 대지 전압의 4배를 넘지 않는다. ​ 가. 이상전압이 가장 큰 경우 ① 무부하 송전선로를 개방할 때 = C회로를 차단할 때 : 무부하 송전선로는 선로가 만드는 충전용량만 있으므로 = 90˚ 앞선 전류(진상전류)를 차단할 때 ② 투입서지 < 개방서지 (무부하시) ③ 대지전압 (상전압, Y전압, 성형전압)의 최대 4배 ④ 재점호가 발생하기 쉬운 경우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9. 8.
  • 진행파의 반사와 투과 ▣ 선로상의 전파형 진행파는 선로의 종단에 와서 지중 케이블로 들어가거나 또는 전기기기에 침입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상전압의 진행파들은 파동임피던스가 다른 점 즉 변이점에서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변이점을 투과하여 다른 회로에 침입하여 들어갈 것이다. 가. 투과파전압 ▣ 반사전압 ▣ 무반사 조건 : 반사전압 e2가 영("0")이 되는 조건 위 식에서 Z1 = Z2 가 되는 경우 ​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9. 7.
  • 표준충격파 전압 1. 표준충격파전압 가. 표준충격파전압이란? ▣ 일반적으로 뇌전압, 뇌전류 파형은 충격파이다. 이 충격파를 서지라고 한다. 이 파형은 극히 짧은 시간에 파고값에 도달하고 극히 짧은 시간에 소멸한다. 이 충격파는 파고값과 파두장 및 파미장으로 구성된다. ※ 표준 충격파 전압을 만들어 공장에서 절연내력시험을 할 때의 전압으로 사용한다. ▣ 파고점 : 이상전압의 가장 높은 전압값 ▣ 규약영점 : 시작하는 파두부분의 파형이 일그러져 있기 때문에 규약영점은 파고값의 30%와 90% 점을 시간축과 만나는 점 또는 교차하는 점으로 정함 ※ 충격파 전압은 시작전압이 일그러져 영("0")이 계속이어지다가 전압이 높아짐 ​ ▣ 파두장 : 규약영점으로 부터 30[%] ~ 90[%]을 통과하는 직선이 A파고점을 통과하는 수평.. 공감수 3 댓글수 0 2021. 9. 7.
  • 기준충격절연강도 (BIL : Basic Impulse Insulation Level) 1. 이상전압의 종류 가. 외부 이상전압 : 유도뢰, 직격뢰 ⇒ 뇌서지 나. 내부 이상전압 : 개폐서지 ※ 뇌운에서 전자유도 작용에 따라 전하가 구속되어 있다가 선로에 직접 영향을 주면 직격뢰가 되고 구속되어 있으면서 영향을 주게 되면 유도뢰라고 한다. ※ 직격뢰를 맞으면 선로보호를 위하여 차단기를 설치하여 차단을 하게 되는데 차단을 할 때 개폐서지가 발생하게 된다. ▣ 정상전압 : 상용주파전압 (우리나라 60[Hz]) ▣ 이상전압 : 서지(Surge), 충격파 (임펄스 (Impulse)), 뇌해, 고전압의 진행파 변압기를 상용주파에 대비하여 절연을 하면 이상전압이 발생하면 이에 대응이 부족하고 그렇다고 이상전압 1000[kV]에 대비하여 절연을 하면 선로, 애자, 변압기 등에 대한 절연비용이 많이 들어..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9. 7.
  • 안정도 기출문제 풀이 문제1. 정태안정도 극한전력이란 무엇인가 ? 정태안정도 ① 부하를 서서히 증가했을 때의 극한 전력 ​ 문제2. 과도안정 극한 전력이란 무엇인가 ? 과도 안정도 ③ 갑자기 사고가 발생했을 때 교란상태를 극복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극한 전력 ​ 문제3. 안정도의 종류 3가지는 ? 정태, 과도, 동태 안정도 ​ 문제4. 안정도 향상대책과 관계가 없는 것은 ? ③ ① 속응여자방식을 채용한다. ② 재폐로 방식을 채용한다. ③ 역률의 신속한 조정 ④ 리액턴스를 조정한다. ​ 문제5. 송전선의 안정도 향상 대책으로 맞는 것은 ? ② ① 단락비를 낮게 한다. ② 접압변동을 작게 한다. ③ 선로의 회선수를 감소한다. ④ 리액턴스가 큰 변압기를 사용한다. ​ 문제6. 다음중에 송전선의 안정도를 향상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9. 7.
  • 안정도 및 송전전력, 안정도 향상 대책 【 안정도 및 송전전력 】 ▣ 안정도 ⊙ 송전선로로 전력을 전송할 경우 실제로 전송될 수 있는 전력은 송전선로의 임피던스 라든지 송수전 양단에 설치된 기기의 임피던스 등에 의해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전력계통에서 안정도란 계통에 주어진 운전조건하에서 안전하게 운전을 계속할 수 있는 능력 즉, 교란을 일으키지 않고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송전전력을 의미한다. ※ 안정도 = 송전용량 P ① 정태 안정도 : 정상적인 운전상태에서 서서히 부하를 증가시켰을 때 안정운전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 이 때 최대 전력을 정태 안정 극한 전력이라 한다. ② 과도 안정도 : 부하가 갑자기 크게 변동했다든지 계통에 사고가 발생하여 계통에 큰 충격 을 준 경우에도 선로에 접속된 발전기와 전동기가 동기화를 계속 유지하면서 운전을 .. 공감수 4 댓글수 0 2021. 9. 6.
  • 통신선 전자유도 장해 1. 통신선 전자유도 장해 ▣ 전자유도장해 ⊙ 송전선에 1선 지락사고 등이 발생하여 영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통신선과 전자적인 결함에 의해 통신선에 커다란 전압 및 전류를 유도한다. 이로인해 통신기기나 통신 종사자에게 손상을 입히거나 통신을 불가능하게 하는 장해를 일으키게 된다. ▣ 한상분의 전자유도 전압 ▣ 3상 합성 전자유도 전압 가. 전자유도 전압 나. 상호 인덕턴스 크기 계산 : 계산식 만든 사람 - 카슨 플라젝 ​ 2. 통신선 유도장해 경감대책 (제58강) ​ 가. 근본대책 : 전자유도 전압(Em)을 경감시킨다. ① 상호 인덕턴스 크기를 줄인다. ② 통신선과의 병행길이를 단축한다. ​ 나. 전력선측 대책 ① 전력선을 통신선으로 부터 멀리 건설한다. ② 전력선과 통신선을 직각(수직) 교차하여 건설한.. 공감수 4 댓글수 0 2021. 9. 6.
  • 정전유도장해 ▣ 유도장해 ⊙ 우리나라에서는 지형 관계상 송전선과 통신선이 근접하여 건설될 경우가 많다. 전력선이 통신선에 근접하여 지날 때는 통신선에 전압 및 전류를 유도해서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장해를 주게 된다. ① 정전유도 장해 - 상호정전용량 Cm ② 전자유도 장해 - 상호유도작용 Lm ③ 고조파 유도장해 - 3의 배수 영상분 고조파 ※ 정전유도장해는 전력선과 통신선이 상호정전용량 Cm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며 전력선의 영상전압 (Vo)에 의해 발생하는 장해이다. ※ 전자유도장해는 전력선과 통신선의 상호 전자유도 작용(Lm)과 영상전류(Io)에 의해 발생하는 장해이다. ※ 고조파 유도장해는 영상분(3의 배수)고조파에 의해 발생한다. ​ 1. 정전유도장해 ​ ▣ 정전유도장해 : 송전선로의 영상전압과 통신선과의 상..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9. 6.
  • 소호리액터 접지 (직접접지 특징과 정반대) ▣ 소호리액터 접지란 ? ⊙ 계통에 접속된 변압기 중성점을 송전선로의 대지정전 용량과 병렬공진하는 인덕턴스를 통해 접지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LC 병렬공진을 이용한 것으로 한상과 대지간의 정 전용량 3Cs 와 리액터 L에 의한 공진 조건 ( ωL = 1 / 3ωCs ) 을 만들게 되면 고장점에 서 본 합성리액턴스가 무한대가 되어 1선 지락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지락전류를 영(0) 으로 만들 수 있다. ※ 공진 : XL = Xc , 허수부를 영('0")으로 만드는 것 [위 그림 설명] 3상 송전선에서 변압기에 중성점을 소호리액터를 연결하여 접지를 한 경우이다. 1선 지락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지락전류 Ig는 소호리액터를 통한 중성점으로 흐르거나 각상의 충전정전용량을 통하여 각 선으로 두 갈래로 나뉘어 전류.. 공감수 5 댓글수 3 2021. 9. 3.
  • 직접접지 방식 - Y결선, 다중접지방식 등 ▣ 직접접지 : 이 방식은 계통에 접속된 변압기 중성점을 금속선(접지선)으로 직접 접지 하는 방식으로 접지선의 임피던스가 거의 영(0)에 가깝다. 직접접지의 경우에는 중성점을 대지에 철선(전선)으로 연결하는 것이므로 접지선은 영에 가깝게 된다. 저항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지락이 발생하게 되면 접지선에는 저항이 거의 없으므로 접지선으로 아주 큰 지락전류가 흐르게 된다. 위와 같이 대지정전용량 Cs는 단순합성이 되므로 송전선과 대지간의 정전용량을 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전선과 대지간의 정전용량으로 인해 전선과 대지간의 저항을 구해보면 약 176,000[Ω]이 된다. 이처럼 전선과 대지간에는 저항이 매우 크게 되므로 1선지락 사고가 발생했을 때에는 전류는 대지정전용량을 통하여 흐르지 못하고 중..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9. 3.
  • 비접지 방식 (△결선)의 특징 1. 접지방식의 종류 : 변압기의 결선의 종류에 따라 결정 ​ 【중성점 접지 목적】 ▣ 지락사고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 억제 ▣ 선로 및 기기의 절연레벨 경감 ▣ 이상전압의 경감 및 발생 방지 ▣ 보호계전기의 동작확실 ▣ 1선 지락사고시 지락 아크 소멸 ​ 가. 접지방식의 종류 나. 비접지방식 【 비접지 방식의 특징 】 ① 변압기 결선방식은 △-△ 결선방식이다. ※ △ 결선, 비접지 방식은 변압기 3대를 △결선하여 3가닥 선을 뽑은 것이다. ② 1선 지락고장시 고장점에 흐르는 전류 : Ig = 3 Ic = 3ωCE ③ 1선 지락고장시 지락점에 흐르는 전류 : 앞선전류( 고장상 전압보다 90˚ 진상 전류 ) ※ 1선 지락사고가 발생하면 지락전류는 각 상의 정전용량을 통하여 변압기를 거쳐 지락점으로 흐르게.. 공감수 9 댓글수 0 2021. 9. 3.
  • 평형3상(고장이 나지 않았을 때)인 경우 대칭분, 송전선의 고장계산과 대칭회로 【 평형 3상 (고장이 나지 않았을 때)인 경우 대칭분 】 ▣ 고장이 나지 않았을 때는 3상 전류는 크기는 같고 위상이 120˚ 차이가 나는 평형 3상 전류가 흐르게 된다. ▣ 이를 벡터 연산자로 표현하면 Vc = a × Va가 되고 Vb = a2 × Va가 된다. 이제 영상전압(전류), 역상전압(전류), 정상전압(전류)를 벡터연산자 a로 표현해 보자. ※ 결과적으로 평형상태에서는 V0 = V2 = 0 이므로 영상분과 역상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 사고유형별 고장전류 발생현황 ○ : 존재한다. × : 존재하지 않는다. 지락사고시에는 Ig 에는 영상분, 정상분, 역상분의 전류가 포함되어 있고 선간단락 I​0에는 정상분과 역상분 전류만 포함되어 있고 3상 단락 I0에는 정상분 전류만 포함되어 있다. ​ 1... 공감수 4 댓글수 0 2021. 9. 2.
  • 대칭좌표법 - 벡터 연산자 "a" 【대칭좌표법 1 】 ▣ 대칭좌표법이란 ? ⊙ 3상 회로의 불평형 문제를 풀이하는데 사용하는 계산법이다. ⊙ 이것은 불평형인 전압이나 전류를 그대로 취급하지 않고 일단 그것을 대칭적인 3개 성분(영상분, 정상분, 역상분), 이 3가지로 나누어서 각각의 대칭분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계산을 실시한 다음에 마지막으로 그들 각 성분의 계산결과를 중첩시켜서 실제 불평형의 값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1. 고장이 나지 않은 경우에는 3상 전류는 평형이다. ※ 3상 평형이라는 의미는 3상 전류(전압)이 크기는 같고 위상이 120˚ 차이가 난다는 것을 말한다. Ia, Ib, Ic는 각각 위상이 120˚ 차이로 순차적으로 회전하는 형태를 취한다. 2. 고장이 발생하면 3상이 전류(전압)이 불평형이 된다. ▣ 고장이 발생.. 공감수 5 댓글수 2 2021. 9. 2.
  • 단락전류 관련 공식 및 문제 풀이, 단락전류(Is), 단락용량 [MVA] 산정 문제풀이 【단락전류 관련 공식 및 문제풀이 】 1. 단락전류 계산 공식 2. 퍼센트 임피던스 (%Z) 계산 공식 3. 단락용량 (차단용량) 계산 공식 ① Z [Ω] 임피던스가 오옴으로 주어졌을 때 %Z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공식이다. ② %Z ∝ Z %Z와 임피던스 Z는 비례관계에 있다. ③ P ∝ %Z 설비용량 P는 %Z와 비례관계에 있다. 4. 관련 기출 문제 풀이 ​ 문제 1. 단락전류는 다음중 어느 것을 말하는가 ? 뒤진전류 ※ 송전선에서는 저항보다는 리액턴스 "L"가 훨씬 크므로 xL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단락전류는 뒤진전류 (지상전류)가 흐른다. ​ 문제 2. 송전선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사고는 ? 지락사고 ​ 문제3. 다음 중에서 옳은 것은 ? ② ① 터빈발전기의 %Z는 수차발전기의 %Z보다.. 공감수 12 댓글수 0 2021. 9. 2.
  • 3상 단락전류 계산 - 오옴[Ω]법, 퍼센트임피던스법(%Z) ▣ 단락전류 계산 목적 ⊙ 계통이나 회로에서 큰 전류가 흐를 때는 단락이 발생했을 경우인데, 이 큰 전류가 기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차단기를 사용하여 막아 주어야 하는데 차단기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단란전류를 계산하게 된다. ​ 1. 고장의 종류 ① 단선사고 - 전선이 끊어지는 것, 끊어진 선이 지락사고로 이어진다. ② 지락사고 - 계통사고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사고 ③ 단락사고 - 전선과 전선이 연결되는 사고 ※ 차단기 : 가장 큰 전류인 3상 단락전류를 대상으로 한다. 3상 단락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면 다른 지락전류, 선간단락 전류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험에서도 3상 단락전류가 나온다. 【단락전류의 특징】 ⊙ 선간단락(2선), 3상 단락이 있다. ⊙ 전류가 대단히 크다. ⊙..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9. 2.
  • 콘덴서 부속기기 (직병렬콘덴서, 직렬리액터, 방전코일) 1. 병렬콘덴서 (전력용 콘덴서 SC : Static Condenser) ​ ▣ 전력용 콘덴서(SC : Static Condenser)는 주로 배전계통에서 부하의 역률의 개선하 기 위해 사용하는 전력기기이다. ⊙ 개폐기(전자접촉기 MC)를 닫는 순간부터 전력용 콘덴서에서 진상 무효전력이 부하에 공급되면 이 진상 무효전력은 유도성 부하의 지상무효전력과는 위상이 180˚ 차이가 나므로 두 무효전력은 상호 상쇄되어 전체 무효전력이 작아지고 역률을 개선하게 된다. ​ ▣ 역률개선원리 ⊙ 콘덴서에 의해 진상 무효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유도성 부하의 지상무효전력을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한다. ​ 【콘덴서】 ▣ 병렬 콘덴서 (SC) : 부하의 역률 개선 ▣ 직렬콘덴서 (직렬축전지) : 송전선의 전압강하 개선 일반적으로 송.. 공감수 11 댓글수 0 2021. 9. 1.
  • 조상설비의 종류와 특징, 조상설비 관련 문제풀이 조상설비 : 조상설비란 송수전단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무효전력을 조정한다. 무효전력을 조정하여 전압을 조정하고 역률을 조정하여 송전손실의 경감 및 안정도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설비이다. ① 무효전력 조정 ⇒ 전압조정, 역률 조정 ② 역률 조정 - 역률이 "1"이 되게 조정 - 앞선 역률이 되게 조정 = 콘덴서 - 뒤진 역률이 되게 조정 = 리액터 ※ 동기조상기 : (L, C) 콘덴서, 리액터 역할을 한다. 비동기 조상기는 콘덴서, 리액터를 각각 별개의 개체로 부를 때 쓰는 말이다. 동기조상기(동기전동기)의 설명에 앞선 전류, 전력의 위상관계를 알아 보자. 일반적(가정, 공장 등)으로 전력설비는 병렬로 접속하여 운전한다. 병렬회로에서는 전압이 일정하기 때문에 기준점을 전압을 기준으로 한다. 전원전압과.. 공감수 7 댓글수 0 2021. 9. 1.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